KR102627207B1 - 표시 패널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207B1
KR102627207B1 KR1020160105471A KR20160105471A KR102627207B1 KR 102627207 B1 KR102627207 B1 KR 102627207B1 KR 1020160105471 A KR1020160105471 A KR 1020160105471A KR 20160105471 A KR20160105471 A KR 20160105471A KR 102627207 B1 KR102627207 B1 KR 102627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layer
display panel
layer
display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1333A (ko
Inventor
정경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5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207B1/ko
Priority to US15/679,396 priority patent/US10816838B2/en
Publication of KR20180021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333A/ko
Priority to US17/068,759 priority patent/US1168696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2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면과 제2면을 갖고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제2 면 상에 제공되는 제1 버퍼층; 및 상기 제1 버퍼층과 인접하고 상기 제1 버퍼층에 대하여 상기 제2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버퍼층을 적어도 한 개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제2 버퍼층이 제공되지 않는 적어도 한 개의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 패널{DISPLAY PANEL}
본 발명은 내충격 특성이 개선된 표시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표시 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개발된 표시 패널 중 대표적인 것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은 두 개의 전극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에 존재하는 두 전극은 각각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을 유기 발광층에 주입한다. 유기 발광층에 주입된 전자와 정공은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을 형성한다. 상기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함으로써 유기 발광층이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표시 패널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지면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 품질이 나빠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강한 표시 패널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내충격 특성이 개선되어 외부 충격에 강한 표시 패널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과 제2면을 갖고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제2 면 상에 제공되는 제1 버퍼층; 및 상기 제1 버퍼층과 인접하고, 상기 제1 버퍼층에 대하여 상기 제2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버퍼층을 적어도 한 개 포함하고,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제2 버퍼층이 제공되지 않는 적어도 한 개의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제1 버퍼층과 서로 다른 영역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제1 버퍼층과 중첩되는 제1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듈은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모듈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표시 패널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버퍼층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필름은 Ti, Zr, V, Nb, Ta, Cr, Mo, W, Mn, Fe, Ru, Co, Rh, Ni, Pd, Pt, Cu, Ag, Au, Zn, Cd, Al, Ga, In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모듈의 제1 면 상에 제공되는 커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층의 경도는 3H 내지 6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버퍼층과 상기 제2 버퍼층은 동일한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버퍼층과 상기 제2 버퍼층은 서로 다른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버퍼층의 밀도는 상기 제2 버퍼층의 밀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버퍼층의 밀도는 상기 제2 버퍼층의 밀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버퍼층의 밀도는 0.6 g/㎤ 내지 1.2 g/㎤이고, 상기 제2 버퍼층의 밀도는 0.1 g/㎤ 내지 0.5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버퍼층의 밀도는 0.1 g/㎤ 내지 0.5 g/㎤이고, 상기 제2 버퍼층의 밀도는 0.6 g/㎤ 내지 1.2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패널의 내충격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충격을 잘 견디고, 표시 품질이 우수한 표시 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버퍼층과 제2 버퍼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버퍼층과 제2 버퍼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버퍼층과 제2 버퍼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버퍼층과 제2 버퍼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버퍼층과 제2 버퍼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on)에 형성되었다고 할 경우, 상기 형성된 방향은 상부 방향만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이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면'과 '하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기 위하여 상대적인 개념으로 사용된 것이다. 따라서, '상면'과 '하면'은 특정한 방향, 위치 또는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고 서로 호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이 '하면'이라고 해석될 수도 있고 '하면'이 '상면'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면'을 '제1'이라고 표현하고 '하면'을 '제2'라고 표현할 수도 있고, '하면'을 '제1'로 표현하고 '상면’을 '제2'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하나의 실시예 내에서는 '상면'과 '하면'이 혼용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00)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패널(10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변들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표시 패널(100)의 형상은 예시에 불과하며, 표시 패널(100)은 도시된 직사각형 형상 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00)은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flexibility)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가요성을 갖는 부분은 접힐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0)은 가요성을 가지며 접힐 수 있는 폴더블 영역(foldable area)과 상기 폴더블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며 접히지 않는 경질 영역(rigid are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히지 않는 영역을 경질 영역이라고 지칭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경질”이라는 표현은 가요성이 없어 단단한 경우뿐만 아니라, 가요성이 있기는 하나 폴더블 영역보다 작은 가요성을 가지는 경우, 및 가요성을 가지되 접히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패널(100)의 전체가 폴더블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루말이처럼 말리는 표시 패널의 경우 표시 패널(100)의 전체가 폴더블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휘거나 접힐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이 저감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휘거나 접힐 수 있기 위해서는 표시 패널(100)을 이루는 각 층은 점점 더 얇게 제작되고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0)에 사용되는 완충재도 얇아져야 한다. 그러나, 완충재가 얇아질 경우, 외부 충격에 대한 충분한 완충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얇은 완충재를 포함하면서도 표시 패널(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00)은 곡률 반경이 저감되고, 각 층의 두께가 작은 경우에도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00)은 표시 영역(101) 및 비표시 영역(102)을 갖는다. 표시 영역(101)은 다수의 화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00)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102)은 표시 영역(101)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 신호선(미도시) 및 구동 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102)은 표시 영역(101)을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비표시 영역(102)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표시 영역(102)은 표시 영역(101)의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비표시 영역(102)의 표시 영역(101)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경우, 표시 영역(101)의 한쪽 끝에 형성된 비표시 영역(102)의 넓이는 표시 영역(101)의 다른쪽 끝에 형성된 비표시 영역(102)의 넓이보다 클 수 있다. 표시 영역(101)과 비표시 영역(102)의 관계에 대해서는 상기 언급한 것 외에도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00)은 제1 면(111)과 제2 면(112)을 갖고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 모듈(110), 표시 모듈(110)의 제2 면(112) 상에 제공되는 제1 버퍼층(120), 제2 면(112) 상에 제공되며 제1 버퍼층(120)에 대하여 제2 면(112)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버퍼층(130)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평면 상에서 볼 때 제2 버퍼층(130)은 제2 버퍼층(130)이 제공되지 않는 적어도 한 개의 개구(131)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표시 패널의 제1 면 상에 커버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커버층(140)이 함께 도시되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100)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더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표시 모듈(110)은 제1 면(111)과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제2 면(112)을 갖는 판상 형태일 수 있다. 표시 모듈(110)의 제1 면(111)으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표시 모듈(110)에는 복수의 화소가 존재할 수 있다. 각 화소는 백색광 및/또는 컬러광을 출사할 수 있다. 각 화소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출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안, 마젠타, 옐로우, 화이트 등의 색도 출사 가능하다. 상기 화소들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소들은 액정 소자, 전기 영동 소자, 전기 습윤 소자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표시 모듈(110)의 제2 면(112) 상에는 제1 버퍼층(120)이 제공된다. 제1 버퍼층(120)은 표시 패널(100)이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제1 버퍼층(120)은 충격을 흡수하거나 분산시키기 위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탄성이 있는 제1 버퍼층(120)은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졌을 때 변형되며 충격을 흡수하고, 충격이 사라졌을 때 다시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제1 버퍼층(120)과 인접하여 제2 버퍼층(130)이 제공된다. 제2 버퍼층(130)은 상기 제1 버퍼층(12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버퍼층(130)은 제1 버퍼층(120)과 함께 표시 패널(100)이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제2 버퍼층(130) 역시 충격을 흡수하거나 분산하기 위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버퍼층(130) 역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졌을 때 변형되며 충격을 흡수하고, 충격이 사라졌을 때 다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120) 및 제2 버퍼층(130)은 탄성력을 갖도록 다공성 고분자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버퍼층(120) 및 제2 버퍼층(130) 각각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우레탄 (polyurethane), 폴리아미드(polyamides), 합성고무(synthetic rubbers),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폴리이소부티렌(polyisobutylene), 폴리(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poly(styrene-butadienestyr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s), 폴리클로로프렌(polychloropr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실리콘(silicone), 및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120) 및 제2 버퍼층(130)을 이루는 재료는 서로 동일할 수도,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아울러, 제1 버퍼층(120) 및 제2 버퍼층(130)은 스폰지와 같이 발포체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제2 버퍼층(130)은 상기 제2 버퍼층(130)이 제공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31)를 갖는다. 개구(131)는 제2 버퍼층(130)으로 둘러싸이며, 상기 제2 버퍼층(130)의 내 측면은 개구(131)에 면한다. 개구(131)에 의해 제1 버퍼층(120) 또는 표시 패널(100) 내 다른 층이 노출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볼 때 개구(131)의 형상은 제2 버퍼층(130)이 형성된 모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개구의 형상은 표시 패널(10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표시 패널(100)이 직사각형 모양인 경우, 개구(131) 또한 직사각형 모양일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이 원형인 경우, 개구(131) 또한 원형일 수 있다.
도 2에는 측벽이 제2 버퍼층(130)으로 이루어져있고, 제1 버퍼층(120)을 노출하는 개구(131)가 한 개 도시되어있다. 그러나, 개구(131)의 형상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개구(131)는 제2 버퍼층(130)의 형태에 따라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은 표시 패널(100)에 가해질 수 있는 점 충격과 면 충격 모두를 완충할 수 있다. 점 충격은 좁은 면적에 높은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말하며, 면 충격은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 높은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점 충격은 표시 패널(100)이 펜과 같은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찍힐 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면 충격은 표시 패널(100)이, 예를 들어 운송 과정에서, 무거운 물체에 의해 눌릴 때 발생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이 일상 생활에서 사용될 수 있으려면, 상기와 같은 점 충격과 면 충격 모두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점 충격과 면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하기 위해서는 버퍼층의 두께 및 밀도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버퍼층이 두꺼울 경우 완충 효과가 뛰어나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의 박막화 경향에 따라, 버퍼층을 두껍게 하는데 한계가 있다. 아울러, 버퍼층의 완충 효과는 버퍼층 밀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우선, 면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서는 버퍼층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 좋다. 버퍼층은 면 충격이 가해졌을 때, 휘거나 압축되면서 면 충격을 흡수, 분산할 수 있다. 버퍼층이 휘거나 압축되기 위해서는 버퍼층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 좋다. 반대로, 점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서는 버퍼층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큰 것이 좋다. 점 충격에 의해 표시 패널(100) 내 표시 모듈(110)은 꺾일 수 있는데, 표시 모듈(110)과 인접하여 제공되는 버퍼층은 표시 모듈(110)이 충격 지점에서 꺾이지 않도록 표시 모듈(110)을 받쳐 준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00)은 면 충격을 견딜 수 있다. 표시 모듈(110)의 제1 면(111) 상에 면 충격이 가해졌을 때, 표시 모듈(110)은 충격 지점에서 과도하게 압축되고 충격 지점과 인접한 지점에서 과도하게 인장될 우려가 있다. 표시 모듈(110)이 과도하게 압축/인장되면 표시 모듈 내 화소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명점 불량이 발생하고 표시 패널(100)의 영상 출력 품질은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모듈(110)이 과도하게 압축 또는 인장되는 것을 막기 위해, 표시 패널(100)의 버퍼층은 면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표시 모듈(110)의 제2 면(112) 상에 제공되는 제1 버퍼층(120)은 면 충격이 가해졌을 때, 개구(131) 방향으로 휘면서 표시 모듈(110)이 압축 또는 인장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1 버퍼층(120)상에 제공되는 개구(131)는 제1 버퍼층(120)이 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개구(131)는 제1 버퍼층(120)이 면 충격에 의해 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개구(131)가 너무 작을 경우에는 면 충격을 받더라도 제1 버퍼층(120)이 변형될 수 없어, 제1 버퍼층(120)에 의한 면 충격 완충 효과가 상대적으로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버퍼층(130)에 의해 정의되는 개구(131)는 제1 버퍼층(120)이 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가져야 한다. 개구(131)의 높이는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의 단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개구(131)는 약 20㎛ 내지 약 80㎛일 수 있다. 개구(131)의 높이가 약 20㎛ 미만인 경우 면 충격을 받았을 때 제1 버퍼층(120)이 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개구(131)의 높이가 약 80㎛을 초과할 경우, 제1 버퍼층(120)이 면 충격에 의해 지나치게 휘어서 완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아울러, 이 경우 제1 버퍼층(120)이 점 충격에도 취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00)은 점 충격도 견딜 수 있다. 표시 패널(100)에 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충격 지점에서 표시 모듈(110)은 꺾일 수 있다. 표시 모듈(110)의 제2 면(112)상에 제공되는 제1 버퍼층(120) 및 제2 버퍼층(130)이 표시 모듈(110)을 뒷받침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표시 모듈(110)은 점 충격을 받더라도 꺾이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점 충격과 면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제1 버퍼층(120) 및 제2 버퍼층(130)의 형태는 다양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100)은 표시 모듈(110)의 제1 면(111)상에 제공되는 커버층(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층(140)은 표시 모듈(110) 상에 제공되어 표시 모듈(11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커버층(140)은 유리, 유기 고분자 등의 투명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층(140)은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10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층(140)의 경도는 약 3H 내지 약 6H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00)이 커버층(140)을 포함하는 경우, 제1 버퍼층(120)의 밀도는 커버층(140)의 경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커버층(140)의 경도가 낮은 경우, 커버층(140)은 상대적으로 유연할 수 있다. 이때는 커버층(140) 자체가 면 충격의 일정 부분을 완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버퍼층(120)이 완충해야 하는 면 충격의 충격량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제1 버퍼층(120)은 면 충격보다는 점 충격 완충을 위해 고밀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커버층(140)의 경도가 높은 경우, 커버층(140)은 상대적으로 딱딱할 수 있다. 이때는 커버층(140) 자체가 점 충격의 일정 부분을 완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버퍼층(120)은 면 충격 완충을 위해 저밀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은 동일한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은 모두 고밀도 또는 저밀도일 수 있다.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이 모두 저밀도인 경우에는, 점 충격 완충을 위하여 표시 패널(100)이 금속 필름(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은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버퍼층(120)은 고밀도고 제2 버퍼층(130)은 저밀도일 수 있으며, 그 반대도 성립할 수 있다. 제1 버퍼층(120)이 고밀도고 제2 버퍼층(130)이 저밀도인 경우, 면 충격을 받으면 제1 버퍼층(120)이 개구(131) 내로 휘는 동시에 제2 버퍼층(130)도 압축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제1 버퍼층(120)의 밀도가 제2 버퍼층(130)의 밀도보다 큰 경우, 제1 버퍼층(120)의 밀도는 약 0.6 g/㎤ 내지 약 1.2 g/㎤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버퍼층(130)의 밀도는 약 0.1 g/㎤ 내지 약 0.5 g/㎤일 수 있다. 상기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의 밀도 범위는 금속 필름(150) 없이도 점 충격 및 면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제1 버퍼층(120)의 밀도가 약 0.6g/㎤ 미만인 경우, 제1 버퍼층(120)에 의한 점 충격 완충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버퍼층(120)의 밀도가 약 1.2g/㎤을 초과하는 경우, 제1 버퍼층(120)은 면 충격 완충에 기여하지 못할 수 있다. 제2 버퍼층(130)의 경우에도, 제2 버퍼층(130)의 밀도가 약 0.1g/㎤ 내지 약 0.5g/㎤가 아닐 때 효과적으로 점 충격 및/또는 면 충격을 완충하지 못할 수 있다.
제1 버퍼층(120)의 밀도가 제2 버퍼층(130)의 밀도보다 작은 경우, 제1 버퍼층(120)의 밀도는 약 0.1 g/㎤ 내지 약 0.5 g/㎤일 수 있다. 또한, 제2 버퍼층(130)의 밀도는 약 0.6 g/㎤ 내지 약 1.2 g/㎤일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제1 버퍼층(120)이 표시 패널(100)에 가해지는 점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버퍼층(120)의 밀도가 상기 범위인 경우 표시 패널(100)은 금속 필름(150, 도 9 참조)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패널(100)이 금속 필름(150)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제1 버퍼층(120)의 밀도가 0.1g/㎤ 미만이면 표시 패널(100)이 점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버퍼층(120)의 밀도가 0.5g/㎤를 초과하면, 표시 패널(100)이 면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 제2 버퍼층(130)의 경우에도, 제2 버퍼층(130)의 밀도가 약 0.1g/㎤ 내지 약 0.5g/㎤가 아닐 때 효과적으로 점 충격 및/또는 면 충격을 완충하지 못할 수 있다.
아울러,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어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100)은 방열층, 전자파 차단층, 차광층,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층은 표시 패널(100) 내에서 발생한 열이 표시 모듈(1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표시 패널(100)은 인쇄 회로 기판 등의 구동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바, 구동부로부터 발생한 열이 표시 패널(100)에 전달될 수 있다. 열은 화소의 열화를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열의 전달에 따라 화소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방열층은 구동부에서 발생한 열을 단열 및 방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방열층에는 알루미늄(Al), 구리(Cu),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및 몰리브덴(Mo)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방열층에는 열전도도가 우수하여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방열층에는 그래파이트(graphite), 그래핀(graphen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및 금속 필러(fill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전자파 차단층은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를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자파 차단층은 전도성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도성 시트는 금(Au),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티타늄(Ti),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및 그래파이트(graphi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은 표시 패널(100)의 배면으로부터 표시 패널(100)의 전면으로 광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차광층은 차광 필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검은색일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의 각 층은 점착제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점착제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는 필요에 따라 공지된 재료를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2 버퍼층(130)과 제1 버퍼층(120)은 평면상에서 볼 때 중첩되는 제1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은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102)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제1 버퍼층(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영역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영역은 제1 버퍼층(120)의 가장자리 중 일부(직사각형의 단변 또는 장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버퍼층(120)이 원형인 경우 제1 영역은 제1 버퍼층(120)의 원 둘레의 일부에 호(arc)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영역이 반드시 제1 버퍼층(12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영역은 제1 버퍼층(120)의 가장자리 안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영역은 평면상에서 볼 때 비표시 영역(102)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버퍼층(13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개구(131)이다. 제1 버퍼층(120)은 면 충격을 받았을 때 개구(131) 내로 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따르면, 제2 버퍼층(130)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제1 버퍼층(120)과 서로 다른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은 단차를 갖는다. 상기 단차는 개구(131)의 높이와 같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은 평면 상에서 서로 다른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이 평면 상에서 서로 다른 영역에 제공될 때, 제2 버퍼층(130)은 표시 모듈(110)의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버퍼층(130)은 표시 모듈(110)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버퍼층(130)은 표시 모듈(110)의 비표시 영역(102)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버퍼층(130)이 표시 모듈(110)의 비표시 영역(102)과 접촉하는 경우, 광학적으로 투명하지 않은 점착제를 이용하여 제2 버퍼층(130)과 표시 모듈(110)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제2 버퍼층(130)은 제1 버퍼층(120)과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버퍼층(130)은 제1 버퍼층(120)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00)에 커버층(140)이 제공되는 경우, 제2 버퍼층(130)은 커버층(140)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버퍼층(130)을 커버층(140)에 바로 부착하는 경우, 제2 버퍼층(130)이 표시 모듈(110) 또는 제1 버퍼층(120)과만 연결되는 때에 비해 구조적으로 더 안정적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은 표시 패널(100)의 단축 방향에 서로 중첩된 제1 영역을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은 표시 패널(100)의 장축 방향에 서로 중첩된 제1 영역을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은 평면상에서 볼 때 서로 다른 영역에 존재한다. 아울러, 제2 버퍼층(130)상에는 두 개의 개구(131)가 제공된다. 도 8을 참고하면 두 개의 제1 버퍼층(120)이 제공된다. 제2 버퍼층(130)의 장축 방향을 따라 두 개의 제1 버퍼층(120)은 서로 이격되어있다. 그러나, 제1 버퍼층(12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제1 버퍼층(120)은 제2 버퍼층(130)의 단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버퍼층(120)은 3개 또는 4개 이상일 수 있다. 비록 도 8에서는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이 모두 직사각형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버퍼층(120)과 제2 버퍼층(130)은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버퍼층(120)은 원형이며, 제2 버퍼층(130)은 정사각형인 것, 제1 버퍼층(120)은 마름모 형태이며, 제2 버퍼층(130)은 원형인 것 등도 가능하다.
표시 패널(100)이 도 8과 같은 구조를 가질 경우, 표시 패널(100)이 면 충격을 받는 위치에 따라 두 개의 개구(131) 중 어느 하나의 안으로 제1 버퍼층(120)이 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9와 도 10에 따르면, 제1 버퍼층(120)상에는 금속 필름(150)이 적어도 하나 포함될 수 있다. 금속 필름(150)은 표시 모듈(110)이 점 충격으로 인해 꺾이는 것을 막는다. 즉, 상대적으로 단단한 금속 필름(150)을 표시 모듈(110)의 제2 면(112)상에 제공할 경우, 금속 필름(150)은 제1 버퍼층(120)과 함께 점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특히, 금속 필름(150)은 두께가 얇아도 점 충격 완충 효과가 뛰어나므로, 표시 패널(100) 전체의 두께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는다. 오히려, 금속 필름(150)을 사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얇은 제1 버퍼층(120)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필름(150)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100)을 박형화할 수 있다.
금속 필름은 Ti, Zr, V, Nb, Ta, Cr, Mo, W, Mn, Fe, Ru, Co, Rh, Ni, Pd, Pt, Cu, Ag, Au, Zn, Cd, Al, Ga, In,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 필름이 상기와 같은 원소로 형성되는 경우, 금속 필름은 완충 기능 외에도 EMI 차폐/방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금속 필름(150)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50㎛일 수 있다. 금속 필름(150)의 두께가 약 10㎛ 미만일 경우, 금속 필름(150)에 의한 점 충격 완충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금속 필름(150)의 두께가 약 50㎛를 초과할 경우, 표시 패널(100)이 너무 두꺼워질 수 있다.
상기 금속 필름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표시 패널 전체에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00)에 폴더블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금속 필름(150)은 폴더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금속 필름(150)의 경우 탄성이 적어서, 표시 패널(100)이 접혔다가 펴졌을 때 다시 원상태로 회복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에 제시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표시 패널 제작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의 완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커버층, 표시 모듈, 제1 버퍼층 및 제2 버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커버층은 두께 250㎛, 경도 약 4H(HMV-2로 측정)의 유리로 제작하였다. 또한, 표시 모듈로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을 사용하였으며, 37㎛의 두께를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제1 버퍼층 및 제2 버퍼층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표시 패널의 각 층은 아크릴계 Pressure Sensitive Adhesive(PSA)를 이용하여 부착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표시 패널은 금속층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다. 금속층은 Au 합금으로 형성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표시 패널 각각의 금속 필름 포함 여부, 금속 필름의 두께, 제1 버퍼층의 두께, 제2 버퍼층의 두께는 하기 표 1과 같다.
제1 커버층 두께 제1 커버층 밀도 제2 커버층 두께 제2 커버층 밀도 개구 높이 금속층 두께
실시예1 100㎛ 0.7g/㎤ 50㎛ 0.7g/㎤ 50㎛ 20㎛
실시예2 100㎛ 0.7g/㎤ 50㎛ 0.4g/㎤ 50㎛ 20㎛
실시예3 100㎛ 0.4g/㎤ 50㎛ 0.7g/㎤ 50㎛ 20㎛
실시예4 100㎛ 0.7g/㎤ 387㎛ 0.7g/㎤ 50㎛ 20㎛
실시예5 100㎛ 0.7g/㎤ 387㎛ 0.4g/㎤ 50㎛ 20㎛
실시예6 100㎛ 0.4g/㎤ 387㎛ 0.7g/㎤ 50㎛ 20㎛
비교예1 150㎛ 0.7g/㎤ - - - -
비교예2 100㎛ 0.9g/㎤ - - - -
상기 표 1에서 실시예 1~3은 도 2와 같이 제2 버퍼층과 제1 버퍼층이 중첩되는 제1 영역을 갖는다. 이에 비하여 실시예 4~6은 도 4와 같이 제2 버퍼층과 제1 버퍼층이 서로 다른 영역에 존재한다. 다만, 실시예 1~6 모두 개구의 높이, 즉 제1 버퍼층과 제2 버퍼층간 단차는 약 50㎛이다.
2. 표시 장치의 내충격 특성 시험
상기 표 1과 같은 실시예와 비교예의 표시 패널 각각에 대하여 펜 드랍(pen drop) 시험과 볼 드랍(ball drop) 시험을 수행하였다. 펜 드랍 시험은 펜 팁의 직경이 0.07㎜, 뚜껑을 포함한 무게가 5.7g인 BIC Fine 펜(소시에떼 빅(Societe Bic)사의 Fine BiC 펜)을 낙하 높이를 달리하며 표시 패널 상으로 자유 낙하시켜 수행했다. 볼 드랍 시험은 직경 25.4㎜, 질량 5.5g의 쇠공을 낙하 높이를 달리하며 표시 패널 상으로 자유 낙하시켜 수행했다.
하기 표 2는 펜 드랍 및 볼 드랍을 수행하였을 때 표시 패널이 펜 드랍 또는 볼 드랍에 의해 파손이 일어나는 한계 높이를 측정하였다. 한계 높이가 클수록 표시 패널이 외부 충격을 잘 견딜 수 있다.
펜 드랍 한계 높이 볼 드랍 한계 높이
실시예1 21㎝ 22㎝
실시예2 25㎝ 24㎝
실시예3 20.5㎝ 20㎝
실시예4 20.5㎝ 20㎝
실시예5 26㎝ 24㎝
실시예6 22㎝ 21㎝
비교예1 9㎝ 8㎝
비교예2 11㎝ 10.5㎝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1 버퍼층, 제2 버퍼층 및 금속 필름을 포함하는 실시예 1~6은 제1 버퍼층만 포함하는 비교예 1,2에 비하여 월등히 향상된 내충격 특성을 갖는다.
실시예 1~3과 실시예 4~6을 비교하였을 때, 제1 버퍼층과 제2 버퍼층이 중첩되는지 여부는 표시 장치의 내충격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다양한 전자 기기에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는 텔레비젼,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내비게이션, 스마트 워치와 같은 각종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표시 패널 101: 표시 영역
102: 비표시 영역 110: 표시 모듈
111: 제1 면 112: 제2 면
120: 제1 버퍼층 130: 제2 버퍼층
131: 개구 140: 커버층
150: 금속 필름

Claims (15)

  1. 제1 면과 제2면을 갖고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제2 면 상에 제공되고, 탄성을 갖는 제1 버퍼층; 및
    상기 제1 버퍼층과 인접하고 상기 제1 버퍼층에 대하여 상기 제2 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탄성을 갖는 제2 버퍼층을 적어도 한 개 포함하고,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제2 버퍼층은 적어도 한 개의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제1 버퍼층과 서로 다른 영역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제1 버퍼층과 중첩되는 제1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표시 패널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필름은 Ti, Zr, V, Nb, Ta, Cr, Mo, W, Mn, Fe, Ru, Co, Rh, Ni, Pd, Pt, Cu, Ag, Au, Zn, Cd, Al, Ga, In,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의 제1 면 상에 제공되는 커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의 경도는 3H 내지 6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과 상기 제2 버퍼층은 동일한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과 상기 제2 버퍼층은 서로 다른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의 밀도는 상기 제2 버퍼층의 밀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의 밀도는 상기 제2 버퍼층의 밀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의 밀도는 0.6 g/㎤ 내지 1.2 g/㎤이고, 상기 제2 버퍼층의 밀도는 0.1 g/㎤ 내지 0.5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층의 밀도는 0.1 g/㎤ 내지 0.5 g/㎤이고, 상기 제2 버퍼층의 밀도는 0.6 g/㎤ 내지 1.2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KR1020160105471A 2016-08-19 2016-08-19 표시 패널 KR102627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471A KR102627207B1 (ko) 2016-08-19 2016-08-19 표시 패널
US15/679,396 US10816838B2 (en) 2016-08-19 2017-08-17 Display panel
US17/068,759 US11686961B2 (en) 2016-08-19 2020-10-12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471A KR102627207B1 (ko) 2016-08-19 2016-08-19 표시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333A KR20180021333A (ko) 2018-03-02
KR102627207B1 true KR102627207B1 (ko) 2024-01-23

Family

ID=6119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471A KR102627207B1 (ko) 2016-08-19 2016-08-19 표시 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816838B2 (ko)
KR (1) KR1026272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89251B (zh) 2016-02-29 2020-03-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彩膜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595137B1 (ko) 2016-10-11 2023-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11263603B1 (en) 2017-07-26 2022-03-01 Square, Inc. Security asset packs
CN108648622B (zh) * 2018-04-23 2021-04-20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终端及其显示屏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532B1 (ko) * 2008-01-14 2009-03-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1972A (ja) * 2004-09-02 2006-03-16 Sharp Corp 表示装置
US20060152648A1 (en) * 2005-01-12 2006-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portab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7808776B2 (en) * 2008-05-20 2010-10-05 Dell Products, L.P. Apparatu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 display panel of a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KR101704686B1 (ko) * 2010-04-01 2017-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723150B1 (ko) * 2010-05-28 2017-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463450B (zh) * 2010-07-28 2014-12-01 E Ink Holdings Inc 顯示器及其製造方法
KR101690146B1 (ko) * 2010-09-02 2016-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8786799B2 (en) * 2010-11-22 2014-07-22 Wistr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same
KR20130060885A (ko) * 2011-11-30 2013-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충격 흡수 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1841285B1 (ko) * 2011-12-09 2018-03-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평판표시장치 제조방법
US20130208209A1 (en) * 2012-02-15 2013-08-1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CN102809841B (zh) * 2012-08-21 2015-05-2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KR102202145B1 (ko) * 2014-03-28 2021-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완충패드를 갖는 표시장치
KR102260013B1 (ko) 2014-12-10 2021-06-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04018B1 (ko) 2016-07-07 2023-1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532B1 (ko) * 2008-01-14 2009-03-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16838B2 (en) 2020-10-27
US20210041741A1 (en) 2021-02-11
KR20180021333A (ko) 2018-03-02
US20180052355A1 (en) 2018-02-22
US11686961B2 (en)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207B1 (ko) 표시 패널
US10230062B2 (en) Display device
KR102482409B1 (ko) 표시 장치
US10261546B2 (en) Display device
CN110970465B (zh) 显示装置
CN112530278B (zh) 显示装置
US9661744B2 (en) Touch panel having a sensing electrode and a printing electrode
US20160295176A1 (en) Display device
US11395425B2 (en) Flexible display panel
CN107437590A (zh) 显示装置
KR10179209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734469B2 (en) Display device
US11822384B2 (en) Display device
KR20150093280A (ko) 표시 장치
US20240032325A1 (en) Display device
KR20200139569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812655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support plate
KR102456050B1 (ko) 터치 패널
CN113299187A (zh) 可折叠显示设备
US957537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40188413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CN220820973U (zh) 柔性显示装置
KR20240050995A (ko) 표시 장치
CN117877376A (zh) 显示装置
CN117440600A (zh) 一种显示模组、显示装置以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