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676B1 - 히터 및 히터를 포함하는 제빙기 - Google Patents

히터 및 히터를 포함하는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676B1
KR102626676B1 KR1020180130594A KR20180130594A KR102626676B1 KR 102626676 B1 KR102626676 B1 KR 102626676B1 KR 1020180130594 A KR1020180130594 A KR 1020180130594A KR 20180130594 A KR20180130594 A KR 20180130594A KR 102626676 B1 KR102626676 B1 KR 102626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ice
heater
extension par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462A (ko
Inventor
지준동
신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80130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676B1/ko
Priority to PCT/KR2019/014384 priority patent/WO2020091388A1/ko
Publication of KR2020004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6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제빙트레이의 수용부 내 얼음이 이빙되는 제빙기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단자를 포함하고, 제빙트레이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수용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연결부로부터 수용부에 접촉되어 연장되고, 수용부 내측을 향해 열을 전달하는 제1연장부; 및 제1연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수용부에 접촉되어 수용부의 내측을 향해 열을 전달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히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히터 및 히터를 포함하는 제빙기{HEATER AND ICE MAK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히터 및 히터를 포함하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빙기란 제빙수를 공급받아 얼음을 제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인 일 예로써 제빙기는 제빙수를 제공받는 제빙트레이가 수지를 포함한 재질로 형성되어, 탄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액체상태의 제빙수가 얼음이 되고 나면 기 결정된 길이방향으로 제빙트레이가 꼬이면서(twist) 얼음을 제빙트레이로부터 이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써, 발열 가능한 구성이 금속재질의 제빙트레이의 일면에 접촉되어 액체상태인 제빙수가 얼음이 되고 나면, 발열하여 제빙트레이로 열을 전달함으로서 제빙트레이와 얼음을 분리할 수 있고, 이젝터의 동작으로 이빙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두 형태의 제빙기는 가장 일반적인 제빙기의 형태이며, 수지를 포함한 제빙트레이를 구비한 제빙기는 제빙속도가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요구되며, 금속재질의 제빙트레이를 구비한 제빙기는 제빙기의 무게가 증가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67494 (2007. 01. 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빙트레이에 마련된 복수 개의 수용부 측으로 열을 전달하는 히터가 서로 연결되어 열발생부를 형성하되,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제빙트레이를 채용하여 제빙기의 무게를 줄이고, 이젝터의 동작을 통해 이빙함으로써, 제빙속도 및 무게를 개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빙트레이의 수용부 내 얼음이 이빙되는 제빙기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단자를 포함하고, 제빙트레이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수용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연결부로부터 수용부에 접촉되어 연장되고, 수용부 내측을 향해 열을 전달하는 제1연장부; 및 제1연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수용부에 접촉되어 수용부의 내측을 향해 열을 전달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히터가 제공된다.
그리고, 제빙트레이 표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의 연장방향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2연장부는 제1연장부로부터 복수 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단자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전력은 입력단자로 공급되어 연결부,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를 경유하여 출력단자로 흐를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을 위해 연결부,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를 통해 연결된 열선의 패턴은 연결부,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 각각에 면적당 밀도가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연장부의 연장구간은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연장부는 제1연장부로부터 절곡된 절곡부를 경계로 제1연장부와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제2연장부에 의해 수용부 내에 형성되는 열열향부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 제1영향부 및 제2영향부의 발열면은 수용부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사출된 제빙트레이 내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의 연장방향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2연장부는 제1연장부로부터 복수 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단자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전력은 입력단자로 공급되어 연결부,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를 경유하여 출력단자로 흐를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을 위해 연결부,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를 통해 연결된 열선의 패턴은 연결부,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 각각에 면적당 밀도가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연장부의 연장구간은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연장부는 제1연장부로부터 절곡된 절곡부를 경계로 제1연장부와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제2연장부에 의해 수용부 내에 형성되는 열열향부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 제1영향부 및 제2영향부의 발열면은 수용부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빙트레이에 마련된 복수 개의 수용부 측으로 열을 전달하는 히터가 서로 연결되어 열발생부를 형성하되,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제빙트레이를 채용하여 제빙기의 무게를 줄이고, 이젝터의 동작을 통해 이빙함으로써, 제빙속도 및 무게를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가 제빙트레이의 저부에 접촉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전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태양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터가 제빙트레이에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방명의 제1태양의 제2실시예에 따은 히터가 제빙트레이에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제2태양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터가 제빙트레이에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방명의 제2태양의 제2실시예에 따은 히터가 제빙트레이에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전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가 제빙트레이의 표면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다 제빙트레이 내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100)가 제빙트레이(10)의 저부에 접촉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히터(100)는 연결부(110), 제1연장부(120) 및 제2연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10)에는 전력이 공급되는 단자(101)가 마련될 수 있고, 단자(101)를 통해 공급된 전력은 연결부(110), 제1연장부(120) 및 제2연장부(130)에 제공될 수 있다. 전력은 히터(100)에 포함된 열선에 의해 각 구성(연결부(110), 제1연장부(120) 및 제2연장부(1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입력단자(101) 및 출력단자(101)를 포함하는 단자(101) 중 전력이 제공되는 입력단자(101)로부터 연결부(110), 제1연장부(120) 및 제2연장부(130)의 면 상에서 연장되어 배열될 수 있고, 배열된 열선을 따라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열선은 발열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110), 제1연장부(120) 및 제2연장부(130)에는 열선이 배열될 수 있으나, 열선이 배열된 단위면적당 밀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10)의 경우에는 복수 개인 연장부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기능을 하므로,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열을 초과하는만큼 단위면적당 열선의 밀도가 높지 않아도 관계없다. 반면에, 수용부 측으로 열을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제1연장부(120) 및 제2연장부(130)는 제빙효율을 증대하기 위해 빠르게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열선이 높은 밀도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제1연장부(120) 및 제2연장부(130) 상에 배열된 열선의 밀도는 연결부(110) 상에 배열된 열선의 밀도보다 높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00)는 제빙트레이(10)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접촉은 제빙트레이(10)의 표면에 접촉되는 경우 및 제빙트레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빙트레이(10)와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제빙트레이(10)에 접촉된 경우에는 히터(100)가 제빙트레이(10)를 감싸는 형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빙트레이(10)의 저부에 접촉이 되는 경우에 제빙트레이(10)의 수용부(11)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발열면적이 노출되도록 히터(100)는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11)는 제빙기의 급수부로부터 제빙수를 공급받아 제빙수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써,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제빙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즉, 상기 저부는 제빙트레이(10)에서 저면을 향해 노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히터(100)의 위치 및 기능을 통해 수용부(11)에 수용된 얼음은 이빙될 수 있는 준비가 될 수 있고, 이젝터(미도시)의 회전동작 등에 의해 얼음이 수용부(11) 내에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준비는 얼음이 수용부(11) 내표면에서 얼어 고착된 부분을 적어도 일부 해빙하면서 이젝터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상태로 준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100)의 전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히터(100)는 연결부(110), 제1연장부(120) 및 제2연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트레이(10)에 마련된 수용부(11)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제2연장부(130)는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1)가 복수 개 마련되는 제빙기에서는 제1연장부(120)도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제1연장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연결부(110)가 제1연장부(120) 서로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적으로의 연결은 열선의 배열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각각의 제1연장부(120)에 배열된 열선 간을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110)는 열선이 배열될 수 있는 면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제1연장부(120)는 연결부(110)에 의해 서로가 열선이 연결될 수 있고, 제1연장부(120)에 배열된 열선은 제2연장부(130)를 경유하여 이웃한 제1연장부(120)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연장부(130)는 제1연장부(120)가 연결부(110)로부터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1연장부(12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연장부(120) 및 제2연장부(130)는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빙트레이(10)의 저부를 감싸면서 접촉되기 위해 제2연장부(130)는 제1연장부(120)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즉, 제1연장부(120) 및 제2연장부(130)는 절곡부(121)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히터(100)는 제빙트레이(10)의 저부를 감싸면서 접촉되기 위해 곡형의 표면에 면접촉이 될 수 있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빙트레이(10)의 저부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야 하므로, 제빙트레이(10)의 저부에 평면 구간이 있으면, 히터(100)도 평면구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평면구간은 제1연장부(120)의 연장길이방향의 중앙을 포함하는 구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태양을 설명한 것으로, 도 3(a)는 본 발명의 제1태양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터(100)가 제빙트레이(10)에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방명의 제1태양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히터(100)가 제빙트레이(10)에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빙트레이(10)의 측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빙트레이(10)의 저부에 히터(100)가 접촉될 수 있다. 제빙트레이(10)에 마련된 수용부(11) 외측에 히터(100)가 접촉되어 히터(100)의 발열에 의해 수용부(11) 측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수용부(11) 내에서는 제2연장부(130)가 대향하고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열영향부(T)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영향부(T)로 표시된 영역은 열이 전달되는 부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부보다 상대적으로 열영향을 많이 받는 영역을 나타낸 것이므로, 제1연장부(120)가 대향하고 있는 부분도 열전달에 의해 얼음의 고착부 일부가 해빙진행 될 수도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수용부(11)의 저부 형상이 곡면 및 평면을 포함하고 있다. 히터(100)는 곡면 및 평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면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태양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터(100)가 제빙트레이(10)에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방명의 제2태양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히터(100)가 제빙트레이(10)에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빙트레이(10)의 측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빙트레이(10)의 저부에 히터(1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은 조립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빙트레이(10)의 제조과정에서 히터(100)가 삽입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제빙트레이(10)가 사출에 의해 제조될 경우에는, 사출 과정에서 히터(100)가 삽입되는 위치에 히터(100)의 배치가 이루어짐으로써 제빙트레이(10)에 삽입된 채로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제빙트레이(10)를 포함하는 제빙기에서도, 제조된 얼음은 제빙트레이(10)로부터 이젝터의 동작에 의해 이빙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수지재로 형성되는 제빙트레이(10)의 회전(twist) 또는 금속재로 형성되는 제빙트레이(10)가 채용된 제빙기에서 이젝터의 동작에 의해 얼음이 이빙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젝터의 동작에 의해 얼음이 이빙되되, 제빙트레이(10)가 회전(twist) 가능한 소재로 형성됨으로서 제빙트레이(10)의 무게를 감소하여 경량화를 이루고, 히터(100)를 사용함으로써 제빙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빙트레이(10)의 측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빙트레이(10)의 내부에 히터(100)가 삽입될 수 있다. 제빙트레이(10)에 마련된 수용부(11)를 구성하는 사출부(12) 내측에 히터(100)가 삽입되어 히터(100)의 발열에 의해 수용부(11) 측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수용부(11) 내에서는 제2연장부(130)가 대향하고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열영향부(T)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영향부(T)로 표시된 영역은 열이 전달되는 부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부보다 상대적으로 열영향을 많이 받는 영역을 나타낸 것이므로, 제1연장부(120)가 대향하고 있는 부분도 열전달에 의해 얼음의 고착부 일부가 해빙진행 될 수도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수용부(11)의 내부에 히터(100) 삽입 형상이 곡면 및 평면을 포함하고 있다. 히터(100)는 제빙트레이(10)의 제조시(사출을 포함)에 상기 곡면 및 상기 평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200)의 전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히터(200)는 연결부(210), 제1연장부(220a, 220b) 및 제2연장부(230a, 230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히터(100)도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빙트레이(10)의 저부에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제빙트레이(10)의 제조과정에서 삽입되어 제빙트레이(10)의 사출부(1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연결부(21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제1연장부(220a, 220b)가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210)는 예를 들어, 제빙트레이(10) 저부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제빙트레이(10)에 마련된 수용부(11)가 복수 개일 경우에, 연결부(210)는 복수 개의 수용부(11)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부(11)가 1열로 배치된 경우에는 각각의 수용부(11) 저부 중심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중심으로부터 양측 즉, 수용부(11)의 일측부를 따라 제1연장부(220a, 220b)가 연장될 수 있다. 제1연장부(220a, 220b)가 수용부(11)를 따라 기 결정된 길이만큼 연장되고, 제1연장부(220a, 220b)로부터 제2연장부(230a, 230b)가 수용부(11)의 타측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연장부(230a, 230b)는 제1연장부(220a, 220b)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221)를 기준으로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제1연장부(220a, 220b)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타측부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이 제2연장부(230a, 230b)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200)가 제빙트레이(10)의 표면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200)가 제빙트레이(10) 내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부(210)가 수용부(11)의 저부 중심에 위치되고, 연결부(210)를 중심으로 수용부(11)의 일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연장부(220a, 220b)로부터 절곡부(221)를 기점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연장부(230a, 230b)는 수용부(11)의 타측면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타측면에서 수용부(11) 내측방향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열영향부(T)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210)가 히터(100)의 중심에서 길게 형성되고, 제1연장부(220a, 220b)가 연결부(210)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양방향 연장되므로, 제1연장부(220a, 220b)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장부(230a, 230b)는 상기 타측면에 두 개가 될 수 있다. 즉, 열영향부(T)를 형성하는 제2연장부(230a, 230b)가 하나의 타측면에 두 개가 위치되므로, 열영향부(T)는 수용부(11) 내측에 두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금속재가 아닌 소재,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포함하는 소재로 제조된 제빙트레이(10)를 통해 제빙기를 감량하고, 일부 해빙을 위해 히터(100, 200)를 채용함으로써 제빙 효율을 증대시키는 과정에서 히터(100, 200)에 포함된 열선의 패턴은 연결부(110, 210), 제1연장부(120, 220a, 220b) 및 제2연장부(130, 230a, 230b) 상에서 면적당 밀도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제빙트레이
11 : 수용부
12 : 사출부
100, 200 : 히터
101 : 단자
110, 210 : 연결부
120, 220a, 220b : 제1연장부
121, 221 : 절곡부
122 : 평면부
130, 230a, 230b : 제2연장부
T : 열영향부

Claims (20)

  1. 제빙트레이의 수용부 내 얼음이 이빙되는 제빙기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단자를 포함하고, 제빙트레이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수용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수용부에 접촉되어 연장되고, 상기 수용부 내측을 향해 열을 전달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수용부에 접촉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측을 향해 열을 전달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트레이 표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절곡된 절곡부를 경계로 제1연장부와 구분되는, 히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의 연장방향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인, 히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복수 개 연장되는, 히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전력은 상기 입력단자로 공급되어 상기 연결부,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를 경유하여 상기 출력단자로 흐르는, 히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을 위해 상기 연결부,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를 통해 연결된 열선의 패턴은 상기 연결부,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 각각에 면적당 밀도가 상이하도록 형성되는, 히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의 연장구간은 평면부를 포함하는, 히터.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에 의해 상기 수용부 내에 형성되는 열영향부는 복수 개 형성되는, 히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의 발열면은 상기 수용부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히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출된 상기 제빙트레이 내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히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의 연장방향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인, 히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복수 개 연장되는, 히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전력은 상기 입력단자로 공급되어 상기 연결부,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를 경유하여 상기 출력단자로 흐르는, 히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을 위해 상기 연결부,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를 통해 연결된 열선의 패턴은 상기 연결부,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 각각에 면적당 밀도가 상이하도록 형성되는, 히터.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의 연장구간은 평면부를 포함하는, 히터.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절곡된 절곡부를 경계로 제1연장부와 구분되는, 히터.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에 의해 상기 수용부 내에 형성되는 열영향부는 복수 개 형성되는, 히터.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의 발열면은 상기 수용부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히터.
  20. 청구항 1에 기재된 히터를 포함하는, 제빙기.
KR1020180130594A 2018-10-30 2018-10-30 히터 및 히터를 포함하는 제빙기 KR102626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594A KR102626676B1 (ko) 2018-10-30 2018-10-30 히터 및 히터를 포함하는 제빙기
PCT/KR2019/014384 WO2020091388A1 (ko) 2018-10-30 2019-10-30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594A KR102626676B1 (ko) 2018-10-30 2018-10-30 히터 및 히터를 포함하는 제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462A KR20200048462A (ko) 2020-05-08
KR102626676B1 true KR102626676B1 (ko) 2024-01-18

Family

ID=7067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594A KR102626676B1 (ko) 2018-10-30 2018-10-30 히터 및 히터를 포함하는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6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860B1 (ko) * 2006-12-31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467A (ko) * 2004-09-23 2006-03-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제빙용기
KR100667494B1 (ko) 2004-11-30 200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기의 얼음 분리 방법 및 제빙 트레이
KR101447292B1 (ko) * 2008-01-10 201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KR20160004880A (ko) * 2014-07-04 2016-01-13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860B1 (ko) * 2006-12-31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462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3491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7332034B (zh)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106574767B (zh) 接线电部件的安装基座、相应照明模块、制造相关模块的方法和服饰
US7905466B2 (en) Ice tray
KR20160150394A (ko) 씨즈 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제빙기
US20180216863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KR102626676B1 (ko) 히터 및 히터를 포함하는 제빙기
US8100729B2 (en) Cable connector and wiring assembly
US3335394A (en) Appliance connector
KR880001070A (ko) 전열성 커얼링 아이론
KR20120103133A (ko) Hdmi 커넥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5718954B2 (ja) 圧電トランス
US6912355B2 (en) Device for the evaporation of volatile active substances having a heating body and method
JP6776918B2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接続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KR101087591B1 (ko) 개선된 구조의 플러그 조립체
JP6968446B2 (ja) コネクタ部を備えた電熱ヒータ
KR200460887Y1 (ko) 난방제품의 전기접속 커넥터
KR102385391B1 (ko) 제빙기
KR20060027467A (ko) 냉장고용 제빙용기
KR20200048465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00048464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2004039631A (ja) めくら組み付け部内において組み付けられる接触子幾何形状体を、より強固に結合するための方法
KR100662441B1 (ko) 스팀 청소기
KR102365733B1 (ko) 다이렉트 접속 방식 고효율 이빙 히터를 구비하는 제빙기
KR200414380Y1 (ko) 전원플러그의 전원단자용 전선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