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898B1 - toothbrush - Google Patents

tooth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898B1
KR102625898B1 KR1020197021602A KR20197021602A KR102625898B1 KR 102625898 B1 KR102625898 B1 KR 102625898B1 KR 1020197021602 A KR1020197021602 A KR 1020197021602A KR 20197021602 A KR20197021602 A KR 20197021602A KR 102625898 B1 KR102625898 B1 KR 102625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direction
less
length
thickness
bul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6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4658A (en
Inventor
사야 노자와
히로유키 코바야시
마사시 키타하라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4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6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8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1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conform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용 증가를 초래하는 일 없이 핸들부에 대해 높은 파지성을 갖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핸들부(30)는, 장축방향의 제1 위치(P1)에서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제1 팽출부(41)와, 제1 팽출부보다도 후단측의 제2 위치(P2)에서 길이가 최소가 되는 제1 잘록부(43)와, 제1 잘록부보다도 후단측의 제3 위치(P3)에서 길이가 최대가 되는 제2 팽출부(42)와, 제2 팽출부보다도 후단측의 제4 위치(P4)에서 길이가 최소가 되는 제2 잘록부(44)를 갖는다. 제1 잘록부의 최소 길이를 PW2, 제2 팽출부의 최대 길이를 PW3으로 하면, PW3은, 15㎜ 이상, 20㎜ 이하이고, PW3/PW2는, 1.3 이상, 1.5 이하이다. 제1 위치의 두께를 PT1, 제3 위치의 두께를 PT3으로 하면, PT3은, 15㎜ 이상, 20㎜ 이하이고, PT3/PT1은, 1.7 이상, 2.5 이하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with high gripping properties against the handle without increasing cost. The handle portion 30 includes a first bulged portion 41 whos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is maximized at a first position P1 in the major axis direction, and a length at a second position P2 on the rear end side of the first bulged portion. A first constriction portion 43 where the It has a second narrow portion 44 whose length becomes minimum at the fourth position P4. If the minimum length of the first constriction is PW2 and the maximum length of the second bulge is PW3, PW3 is 15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and PW3/PW2 is 1.3 or more and 1.5 or less. If the thickness at the first position is PT1 and the thickness at the third position is PT3, PT3 is 15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and PT3/PT1 is 1.7 or more and 2.5 or less.

Figure R1020197021602
Figure R1020197021602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oothbrushes.

본원은, 2017년 7월 31일 일본에 출원된 특원2017-147972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7-147972, filed in Japan on July 31, 2017, and uses its contents here.

종래, 구강내 청소를 구석구석까지 달성할 수 있도록,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에 주시하여 식모부의 컴팩트화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구강 청소를 컴팩트한 식모부로 행하는 경우, 청소 방법의 숙련이나 청소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래서, 식모부가 대형화된 타입의 헤드(와이드 헤드)를 갖는 칫솔이 개발되어 있는데, 식모부가 폭광(幅廣) 설계이기 때문에, 쇄모부(刷毛部)가 적절하게 청소부위에 도달하기 어려운 점이 지적되고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achieve cleaning of every corner of the oral cavity, compaction of the hair transplant portion was common, with an eye on operability within the oral cavity. However, when oral cleaning is performed with a compact hair transplant unit, skill in the cleaning method and cleaning time are required. Therefore, a toothbrush with a type of head with an enlarged bristle section (wide head) has been developed, but since the bristle section is designed to be wide,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bristle section to properly reach the cleaning area. .

특허 문헌 1에는, 쇄모 타입이나 배열을 궁리함에 의해, 복수의 청소부위를 동시에 쇄소(刷掃)하는 것이 가능하고 높은 청소성을 갖는 와이드 헤드 사양의 칫솔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toothbrush with a wide head specification that can clean multiple cleaning areas simultaneously by devising the bristle type and arrangement and has high cleaning properties.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16-209616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6-209616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와이드 헤드 사양의 칫솔에서는, 청소성은 어느 정도 개선되는 것이지만, 청소부위에 당접한 때의 모속의 간섭이 크기 때문에, 파지한 핸들부가 흔들거려 안정된 청소에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핸들부의 잡기 쉬움, 미끄러지기 어려움을 개선하여 파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핸들부의 표면에 러버 등의 연성부를 마련하는 것도 고려되어진다.However, with the conventional wide head specification toothbrush as described above, cleaning performance is improved to some extent, but since the interference of the bristles when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area is larg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gripped handle part will shake and interfere with stable cleaning. there is. In order to improve the gripability of the handle by improving the ease of grip and slippage, it is also considered to provide a soft portion such as rubber on the surface of the handle.

그런데, 이 경우, 복수 종류의 수지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것에 더하여 2색 성형 등으로 핸들부를 제작할 필요가 있어서 비용 증가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와 같은 문제는, 와이드 헤드 사양으로 한정되지 않고 컴팩트 사양의 헤드에서도 생길 가능성이 있다.However, 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need to use multiple types of resin, there is a need to manufacture the handle portion by two-color molding, etc., resulting in a problem of increased cost. This problem is not limited to wide head specifications and may also occur in compact specification heads.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비용 증가를 초래하는 일 없이 핸들부에 대해 높은 파지성을 갖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toothbrush with high gripping properties against the handle without increasing cost.

본 발명의 제1의 양상에 따르면, 장축방향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식모면에 모속이 식설된 헤드부와, 그 헤드부의 후단측에 연설된 네크부와, 그 네크부의 후단측에 연설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d portion dispos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major axis direction and having a hair bundle implanted on the hair-flocking surface, a neck portion extended to the rear end of the head portion, and a handle extended to the rear end of the neck portion. Equipped with wealth,

상기 핸들부는, 상기 네크부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식모면과 직교하는 정면방향에서 본 정면시로 상기 장축방향 및 상기 정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팽출하는 제1 팽출부와, 상기 제1 팽출부보다도 상기 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잘록해지는 제1 잘록부와, 상기 제1 잘록부보다도 상기 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팽출하는 제2 팽출부와, 상기 제2 팽출부보다도 상기 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잘록해지는 제2 잘록부를 가지며, The handle portion is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neck portion and bulges out by continuously changing symmetrically on both sides in the long axis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air transplantation surface. A first bulge, a first constriction portion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first bulge portion, and a first constriction portion that continuously changes and narrows symmetrically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first constriction portion. and a second bulge that continuously changes and bulges symmetrically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disposed on a rear end side of the second bulge, and is continuously changed and constrict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It has a second constriction,

상기 폭방향에서의 상기 헤드부의 최대 길이는, 13㎜ 이상이고, 상기 제1 팽출부는,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상기 네크부와 상기 제1 잘록부 사이의 제1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고, 상기 제1 잘록부는,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상기 제1 팽출부와 상기 제2 팽출부 사이의 제2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되고, 상기 제2 팽출부는,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상기 제1 잘록부와 상기 제2 잘록부 사이의 제3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고, 상기 제2 잘록부는,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상기 제2 팽출부보다도 후단측의 제4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되고, The maximum length of the hea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13 mm or more, and the first bulge portion has a maximum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at a first position between the neck portion and the first narrow portion in the major axis direction. , the length of the first constricte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minimized at a second position between the first bulge and the second bulge in the major 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bulged portion is positioned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is maximized at the third position between the first constriction and the second constriction, and the second constriction is at a rear end of the second bulge in the major axis direction. At position 4,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becomes minimum,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제1 팽출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를 PW1로 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제1 잘록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를 PW2로 하고, 상기 제3 위치에서의 상기 제2 팽출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를 PW3으로 하면, 상기 PW3은, 15㎜ 이상, 20㎜ 이하이고, PW3/PW2는, 1.3 이상, 1.5 이하이고,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를 PT1으로 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를 PT2로 하고, 상기 제3 위치에서의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를 PT3으로 하면, 상기 PT3은, 15㎜ 이상, 20㎜ 이하이고, PT3/PT1은, 1.7 이상, 2.5 이하이고,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3 위치의 거리가 30㎜ 이상, 60㎜ 이하이고, 상기 PT3과 PT1의 두께의 차는 5.5∼9㎜이고, 이하의 관계 (1) 및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이 제공된다.
PW3>PW1>PW2 …(1)
PT3>PT2>PT1 …(3)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4 위치에서의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를 PT4, 상기 제4 위치에서의 상기 제2 잘록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를 PW4로 했을 때에, 이하의 관계 (2) 및 (4)를 각각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W3>PW4>PW2 …(2)
PT3>PT4>PT1 …(4)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제1 팽출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 PW1은, 14㎜ 이상, 17㎜ 이하이고,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제1 잘록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 PW2는, 11㎜ 이상, 14㎜ 이하이고, 상기 제4 위치에서의 상기 제2 잘록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 PW4는, 12.5㎜ 이상, 15.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 PT1은, 6.5㎜ 이상, 9㎜ 이하이고,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 PT2는, 9㎜ 이상, 11㎜ 이하이고, 상기 제4 위치에서의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 PT4는, 10㎜ 이상, 1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Let th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ulge portion at the first position be PW1, th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constriction portion at the second position be PW2, and let th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constriction portion at the second position be PW2. 2 If the length of the bulge in the width direction is PW3, the PW3 is 15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PW3/PW2 is 1.3 or more and 1.5 or less, and the thickness in the front direction at the first position is Let PT1, the thickness in the front direction at the second position be PT2, and let PT3 be the thickness in the front direction at the third position, then PT3 is 15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and PT3 /PT1 is 1.7 or more and 2.5 or les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position in the major axis direction is 30 mm or more and 60 mm or less, and the difference in thickness between PT3 and PT1 is 5.5 to 9 mm. , a toothbrush is provided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ships (1) and (3).
PW3>PW1>PW2 … (One)
PT3>PT2>PT1 … (3)
Moreover, in the toothbrush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ckness in the front direction at the fourth position is PT4 and th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narrow portion at the fourth position is PW4, It is characterized by satisfying the following relationships (2) and (4), respectively.
PW3>PW4>PW2 … (2)
PT3>PT4>PT1 … (4)
Moreover, in the toothbrush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PW1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ulge in the first position is 14 mm or more and 17 mm or less, and the length PW1 of the first bulge in the first position is 14 mm or more and 17 mm or less. The length PW2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constriction is 11 mm or more and 14 mm or less, and the length PW4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constriction at the fourth position is 12.5 mm or more and 15.5 mm or less. .
Furthermore, in the toothbrush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PT1 in the front direction at the first position is 6.5 mm or more and 9 mm or less, and the thickness PT2 in the front direction at the second position is , 9 mm or more and 11 mm or less, and the thickness PT4 in the front direction at the fourth position is 10 mm or more and 13 mm or less.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1 팽출부, 상기 제1 잘록부, 상기 제2 팽출부 및 상기 제2 잘록부는, 각각 상기 정면시의 윤곽선이 상기 장축방향으로 이웃하는 팽출부 또는 잘록부와 서로 외접하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in the toothbrush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ulge, the first constriction, the second bulge, and the second constriction have outlin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major axis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s a curve that circumscribes the bulge or constriction portion.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핸들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보다도 큰 편평 형상이고, 상기 제3 위치에서의 상기 핸들부의 단면 형상은, 개략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in the toothbrush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andle portion in the first position is a flat shape in which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in the front direction,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andle portion in the first position is a flat shape in which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in the front direc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andl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pproximately circular.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핸들부의 정면측과 배면측의 적어도 일방은, 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over, in the toothbrush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handle portion in the first position has a groove portion.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in the toothbrush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삭제delete

본 발명에서는, 비용 증가를 초래하는 일 없이 핸들부에 대해 높은 파지성을 갖는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oothbrush with high gripping properties against the handle portion without causing an increase in cost.

도 1은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칫솔(1)의 정면도.
도 2는 동 칫솔(1)의 측면도.
도 3은 동 칫솔(1)의 배면도.
도 4는 제1 위치(P1)로 절단한 핸들부(30)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의 제1 위치(P1)을 확대한 측면도.
도 6은 제3 위치(P3)로 절단한 핸들부(30)의 단면도.
도 7은 제4 위치(P4)를 포함하는 핸들부(30)의 후단을 확대한 측면도.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is a front view of a toothbrush 1.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toothbrush 1.
Figure 3 is a rear view of the toothbrush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le portion 30 cut at the first position (P1).
Figure 5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first position (P1) in Figure 2.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le portion 30 cut at the third position (P3).
Figure 7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rear end of the handle portion 30 including the fourth position P4.

이하, 본 발명의 칫솔의 실시의 형태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부의 폭이 대형화된 와이드 헤드 사양의 칫솔의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explanation is made using an example of a toothbrush with wide head specifications in which the width of the head portion is enlarged.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한 양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는, 각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실제의 구조와 각 구조에서의 축척이나 수 등을 다르게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 shows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arbitrari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below, in order to make each structure easier to understand, the scale and numbers of each structure are different from the actual structure.

도 1은, 칫솔(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칫솔(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칫솔(1)의 배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the toothbrush 1.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toothbrush 1. Figure 3 is a rear view of the toothbrush 1.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은, 장축방향의 선단측(이하, 단지 선단측이라고 칭한다)에 배치되어 용모(用毛)의 모속(도시 생략)이 식모된 헤드부(10)와, 헤드부(10)의 장축방향 후단측(이하, 단지 후단측이라고 칭한다)에 연설된 네크부(20)와, 네크부(20)의 후단측에 연설된 핸들부(30)(이하, 헤드부(10)와 네크부(20)와 핸들부(30)를 합쳐서 핸들체(2)라고 칭한다)을 구비한다.The toothbrush 1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head portion 10 disposed on the distal end sid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the distal end side) in the major axis direction and into which bristle bundles (not shown) of bristles are planted, and the head portion. A neck portion 20 extended to the rear end side in the major axis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only as the rear end side) of (10), and a handle portion 30 extended to the rear end side of the neck portion 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head portion 10). ) and the neck portion 20 and the handle portion 30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handle body 2).

헤드부(10)는, 두께방향의 일방에 식모면(11)을 갖고 있다. 또한, 이후, 상기 두께방향에서 식모면(11)측을, 정면방향의 정면측으로 하고, 식모면(11)과 반대측을 배면측으로 하고, 상기 정면방향 및 장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를 단지 두께라고 칭한다. 식모면(11)에는, 식모구멍(12)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식모구멍(12)에는, 용모의 모속(도시 생략)이 식설되어 있다.The head portion 10 has a hair-flocking surface 11 on one side of the thickness direction. Hereinaft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side of the hair transplantation surface 11 is referred to as the front side of the front direction, the side opposite to the hair transplantation surface 11 is referred to as the back side,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direction and the major axis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width direction. .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hickness in the front direction is simply referred to as thickness. A plurality of hair transplant holes 12 are formed on the hair transplantation surface 11. A hair bundle (not shown) is planted in the hair transplant hole 12.

헤드부(10)는, 폭이 넓은 와이드 헤드 사양이다. 헤드부(10)의 최대폭(W1)은, 13㎜ 이상, 16㎜ 이하이다. 헤드부(10)의 길이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 이상, 33㎜ 이하가 바람직하다. 헤드부(10)의 길이가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모속을 식설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상한치 이하면,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The head portion 10 has a wide head specification. The maximum width W1 of the head portion 10 is 13 mm or more and 16 mm or less. The length of the head portion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preferably 10 mm or more and 33 mm or less, for example. If the length of the head portion 10 is more than the above lower limit, a sufficient area for planting the hair bundle can be secured, and if the length is less than the above upper limit,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can be further improved.

복수의 식모구멍(12) 중, 헤드부(10)의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식모구멍(12)과 헤드부(10)의 선단까지의 거리와, 헤드부(10)의 가장 후단측에 위치하는 식모구멍(12)과 헤드부(10)의 후단까지의 거리는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헤드부(10)의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식모구멍(12)과 헤드부(10)의 선단까지의 거리를 d라고 하면, 헤드부(10)와 네크부(20)와의 경계 위치는, 헤드부(10)의 가장 후단측에 위치하는 식모구멍(12)부터 거리(d)와 동등한 거리만큼 후단측으로 떨어진 위치이다.Among the plurality of tufting holes 12, the distance between the tufting hole 12 located at the most distal end of the head 10 and the distal end of the head 1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l tip of the head 10 and the tufting hole 12 located at the most distal end of the head 10. The distance between the tuft hole 12 and the rear end of the head portion 10 is set to be equal. In other words, if the distance between the tuft hole 12 located at the most distal end of the head 10 and the distal end of the head 10 is d, then the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head 10 and the neck 20 is is a position away from the tuft hole 12 located at the rearmost end of the head portion 10 by a distance equal to the distance d toward the rear end.

헤드부(10)의 두께는, 핸들체(2)의 재질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2.0㎜ 이상, 6.0㎜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이상, 5.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가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헤드부(10)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고, 상기 상한치 이하면, 어금니의 속으로의 도달성을 높게 함과 함께,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10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of the handle body 2, etc., and is preferably 2.0 mm or more and 6.0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0 mm or more and 5.0 mm or less. If the thickness is more than the above lower limit, the strength of the head portion 10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if it is less than the above upper limit, the reach into the molars can be improved and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can be further improved.

네크부(20)의 길이는, 헤드부(10)를 구강내에 삽입한 때에 네크부(20)가 입술에 접하기 때문에, 40㎜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of the neck portion 20 is preferably 40 mm or more and 70 mm or less because the neck portion 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ips when the head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네크부(20)의 최소폭 및 최소 두께는, 예를 들면, 3.0㎜ 이상, 6.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네크부(20)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고, 상기 상한치 이하면, 입술을 다물기 쉽고, 또한 어금니에의 도달성을 높게 함과 함께,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The minimum width and minimum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20 are preferably, for example, 3.0 mm or more and 6.0 mm or less. If it is more than the above lower limit, the strength of the neck portion 20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if it is less than the above upper limit, it is easy to close the lips, the reach to the molars can be improved, and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can be further improved. there is.

또한, 상기 네크부(20)와 핸들부(30)와의 경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면측에서의 경계(31)와 배면측에서의 경계(32)가 존재하는데(도 5 참조), 상기 네크부(20)의 길이를 산출할 때의 후단측의 위치는, 정면측에서의 경계(31)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later, the boundary between the neck portion 20 and the handle portion 30 includes a boundary 31 on the front side and a boundary 32 on the back side (see FIG. 5), and the neck portion 20 ) The position of the rear end side when calculating the length is to use the boundary 31 on the front side.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네크부(20)는, 정면측 및 배면측의 쌍방이 식모면(11)과 거의 평행하게 늘어나 있다. 네크부(20)의 정면측은, 측면시로 정면측에 극률(極率) 중심을 가지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방(정면측)을 향하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21)을 갖고 있다. 네크부(20)의 배면측은, 측면시로 배면측에 극률 중심을 가지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하방(배면측)을 향하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22)를 갖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neck portion 20 extend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hair transplantation surface 11 on both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The front side of the neck portion 20 has an arc-shaped curved outline 21 that has a polar center on the front side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gradually moves upward (to the front side) toward the rear end. The back side of the neck portion 20 has an arc-shaped curved outline 22 that has a polar center on the back side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gradually moves downward (to the back side) toward the rear end.

핸들부(30)는, 도 1의 정면시 및 도 3의 배면시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폭방향의 길이가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팽출하는 제1 팽출부(41) 및 제2 팽출부(42)와, 폭방향의 길이가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잘록해지는 제1 잘록부(43) 및 제2 잘록부(44)와, 후단 근방에 배치된 관통구멍(46)을 갖고 있다. 제1 팽출부(41), 제1 잘록부(43), 제2 팽출부(42) 및 제2 잘록부(44)는, 선단측부터 장축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핸들부(30)의 정면측에는 홈부(45A)가 형성되고, 핸들부(30)의 배면측에는 홈부(45B)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ront view of FIG. 1 and the back view of FIG. 3, the handle portion 30 includes a first bulge 41 and a second bulge whos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continuously changes symmetrically on both sides. A bulging portion 42, a first constriction portion 43 and a second constriction portion 44 whos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continuously changes symmetrically on both sides and is narrowed, and a through hole 46 disposed near the rear end. I have it. The first bulged portion 41, the first constricted portion 43, the second bulged portion 42, and the second constricted portion 44 are arranged sequentially along the major axis direction from the distal end side. Additionally, a groove portion 45A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handle portion 30, and a groove portion 45B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handle portion 30.

제1 팽출부(41)는, 장축방향에서 선단측의 제1 위치(P1)에서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된다. 제1 위치(P1)는, 장축방향에서의 네크부(20)와 제1 잘록부(43) 사이에서 제1 팽출부(41)에서의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위치이다. 제1 잘록부(43)는, 장축방향에서 제1 위치(P1)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된 제2 위치(P2)에서 폭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된다. 제2 위치(P2)는, 장축방향에서의 제1 팽출부(41)와 제2 팽출부(42) 사이에서 제1 잘록부(43)에서의 폭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되는 위치이다. 제2 팽출부(42)는, 장축방향에서 제2 위치(P2)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된 제3 위치(P3)에서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된다. 제3 위치(P3)는, 장축방향에서의 제1 잘록부(43)와 제2 잘록부(44) 사이에서 제2 팽출부(42)에서의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는 위치이다. 제2 잘록부(44)는, 장축방향에서 제3 위치(P3)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된 제4 위치(P4)에서 폭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된다. 제4 위치(P4)는, 장축방향에서의 제3 위치(P3)보다도 후단측에서 제2 잘록부(44)에서의 폭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되는 위치이다. 즉, 제3 위치(P3)에서의 폭이 좁아지는 양연(兩緣)을 형성하는 곡선 또는 직선으로부터, 폭이 넓어지는 곡선 또는 직선, 또는 폭이 같은 직선으로 변화하는 위치이다.The length of the first bulged portion 41 in the width direction becomes maximum at the first position P1 on the distal end side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he first position P1 is a position where the length of the first bulged portion 41 in the width direction is maximized between the neck portion 20 and the first narrow portion 43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he length of the 1st narrow part 43 in the width direction becomes the minimum at the 2nd position P2 arrange|positioned at the rear end side rather than the 1st position P1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he second position P2 is a position where the length of the first constricted portion 43 in the width direction is minimum between the first bulged portion 41 and the second bulged portion 42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he length of the second bulge 42 in the width direction becomes maximum at the third position P3, which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position P2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he third position P3 is a position where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second bulge portion 42 is maximized between the first constriction portion 43 and the second constriction portion 44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he length of the 2nd narrow part 44 in the width direction becomes minimum at the 4th position P4 arrange|positioned at the rear end side rather than the 3rd position P3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he fourth position P4 is a position at which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second constriction 44 is the minimum on the rear end side compared to the third position P3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hat is, the third position P3 is a position where the width changes from a curve or straight line forming a narrow double edge to a widening curve or straight line, or a straight line with the same width.

제1 팽출부(41), 제1 잘록부(43), 제2 팽출부(42) 및 제2 잘록부(44)는, 각각 정면시의 윤곽선이 장축방향으로 이웃하는 팽출부 또는 잘록부와 서로 외접하는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bulge 41, the first constriction 43, the second bulge 42, and the second constriction 44 each have an outlin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at is adjacent to the bulge or constriction in the long axis direction. They are formed with gentle curves that circumscribe each other.

구체적으로는, 제1 팽출부(41)는, 정면시에서 폭방향 중앙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1)을 갖고 있다. 제1 잘록부(43)는, 정면시에서 폭방향 외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2)을 갖고 있다. 제2 팽출부(42)는, 정면시에서 폭방향 중앙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3)을 갖고 있다. 제2 잘록부(44)는, 정면시에서 폭방향 외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4)를 갖고 있다. 각 곡선 윤곽(C1∼C4)은, 장축방향으로 이웃하는 곡선 윤곽과 외접하고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bulge 41 has an arc-shaped curved outline C1 with the center of curvature at the cen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n front view. The first narrow portion 43 has an arc-shaped curved outline C2 having the center of curvature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n front view. The second bulge 42 has an arc-shaped curved outline C3 with the center of curvature at the cen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n front view. The second constriction 44 has an arc-shaped curved outline C4 with the center of curvature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n front view. Each curved outline C1 to C4 is circumscribed with a neighboring curved outline in the long axis direction.

핸들부(30)는, 제1 팽출부(41)의 폭방향의 길이(제1 위치(P1)에서의 폭)를 PW1로 하고, 제1 잘록부(43)의 폭방향의 길이(제2 위치(P2)에서의 폭)를 PW2로 하고, 제2 팽출부(42)의 폭방향의 길이(제3 위치(P3)에서의 폭)를 PW3으로 하고, 제2 잘록부(44)의 폭방향의 길이(제4 위치(P4)에서의 폭)를 PW4로 하면, 이하의 관계(1), (2)를 각각 만족하고 있다.The handle portion 30 has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first bulge portion 41 (width at the first position P1) as PW1, and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first constriction portion 43 (second width). Let the width at the position P2 be PW2,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bulge 42 (width at the third position P3) be PW3, and let the width of the second constriction 44 be PW3. If the length in the direction (width at the fourth position P4) is PW4, the following relationships (1) and (2) are satisfied, respectively.

PW3>PW1>PW2 …(1)PW3>PW1>PW2 … (One)

PW3>PW4>PW2 …(2)PW3>PW4>PW2 … (2)

제1 위치(P1)에서의 폭(PW1)으로서는, 14㎜ 이상, 17㎜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width PW1 at the first position P1 is preferably 14 mm or more and 17 mm or less.

제2 위치(P2)에서의 폭(PW2)으로서는, 11㎜ 이상, 14㎜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width PW2 at the second position P2 is preferably 11 mm or more and 14 mm or less.

제3 위치(P3)에서의 폭(PW3)으로서는, 15㎜ 이상, 20㎜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width PW3 at the third position P3 is preferably 15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제4 위치(P4)에서의 폭(PW4)으로서는, 12.5㎜ 이상, 15.5㎜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width PW4 at the fourth position P4 is preferably 12.5 mm or more and 15.5 mm or less.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의 폭의 차(PW1-PW2)는 2.5㎜ 이상, 3.5㎜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difference in width (PW1-PW2) between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econd position P2 is preferably 2.5 mm or more and 3.5 mm or less.

제3 위치(P3)와 제2 위치(P2)의 폭의 차(PW3-PW2)는 4㎜ 이상, 5.5㎜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difference in width (PW3-PW2) between the third position P3 and the second position P2 is preferably 4 mm or more and 5.5 mm or less.

제4 위치(P4)와 제2 위치(P2)의 폭의 차이(PW4-PW2)는 0.5㎜ 이상, 1.5㎜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difference in width (PW4-PW2) between the fourth position P4 and the second position P2 is preferably 0.5 mm or more and 1.5 mm or less.

PW3/PW2로서는, 1.3 이상,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PW3/PW2 is preferably 1.3 or more and 1.5 or less.

핸들부(30)의 정면측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위치(P1)에 배치되고, 측면시로 정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11)과, 제2 위치(P2)에 배치되고, 측면시로 정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12)과, 제3 위치(P3)에 배치되고, 측면시로 배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13)과, 제4 위치(P4)에 배치되고, 측면시로 정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14)과, 곡선 윤곽(C12, C13)에 각각 외접하고 측면시로 배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15)를 갖고 있다. 곡선 윤곽(C12∼C15)은, 장축방향으로 이웃하는 곡선 윤곽과 외접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ront side of the handle portion 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has an arc-shaped curved outline C11 having the center of curvature on the front side in side view, and a second position. An arc-shaped curved outline C12 disposed at (P2) and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on the front side in a side view, and an arc-shaped curved outline C12 disposed at the third position P3 and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on the back side in side view. The curved outline C13, the arc-shaped curved outline C14 disposed at the fourth position P4 and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on the front side in the side view, and the curved outlines C12 and C13 are respectively circumscribed in the side view. It has an arc-shaped curved outline (C15) with the center of curvature on the back side. The curved outlines C12 to C15 are circumscribed with neighboring curved outlines in the long axis direction.

핸들부(30)의 배면측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위치(P1)에 배치되고, 측면시로 배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21)과, 제2 위치(P2)에 배치되고, 측면시로 정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22)과, 제3 위치(P3)에 배치되고, 측면시로 정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23)과, 제4 위치(P4)에 배치되고, 측면시로 배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24)과, 곡선 윤곽(C22, C23)에 각각 외접하고 측면시로 정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25)을 갖고 있다. 곡선 윤곽(C22∼C025은, 장축방향으로 이웃하는 곡선 윤곽과 외접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ack side of the handle portion 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has an arc-shaped curved outline C21 having the center of curvature on the back side in side view, and a second position. An arc-shaped curved outline C22 disposed at (P2) and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on the front side in side view, and an arc-shaped curved outline C22 disposed at the third position P3 and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on the front side in side view. The curved outline C23, the arc-shaped curved outline C24 disposed at the fourth position P4 and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on the back side in a side view, and the curved outlines C22 and C23 are respectively circumscribed in a side view. It has an arc-shaped curved outline (C25) with the center of curvature on the front side. The curved outlines (C22 to C025) are circumscribed with neighboring curved outlines in the long axis direction.

핸들부(30)는, 제1 위치(P1)에서의 두께를 PT1로 하고, 제2 위치(P2)에서의 두께를 PT2로 하고, 제3 위치(P3)에서의 두께를 PT3으로 하고, 제4 위치(P4)에서의 두께를 PT4로 하면, 이하의 관계(3), (4)를 각각 만족하고 있다.The handle portion 30 has a thickness at the first position P1 of PT1, a thickness of the second position P2 of PT2, a thickness of the third position P3 of PT3, and If the thickness at the 4 position (P4) is PT4, the following relationships (3) and (4) are satisfied, respectively.

PT3>PT2>PT1 …(3)PT3>PT2>PT1 … (3)

PT3>PT4>PT1 …(4)PT3>PT4>PT1 … (4)

제1 위치(P1)에서의 두께(PT1)로서는, 6.5㎜ 이상, 9㎜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PT1 at the first position P1 is preferably 6.5 mm or more and 9 mm or less.

제2 위치(P2)에서의 두께(PT2)로서는, 9㎜ 이상, 11㎜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PT2 at the second position P2 is preferably 9 mm or more and 11 mm or less.

제3 위치(P3)에서의 두께(PT3)로서는, 15㎜ 이상, 20㎜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PT3 at the third position P3 is preferably 15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제4 위치(P4)에서의 두께(PT4)로서는, 10㎜ 이상, 13㎜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PT4 at the fourth position P4 is preferably 10 mm or more and 13 mm or less.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의 두께의 차(PT2-PT1)는 1.5㎜ 이상, 3.0㎜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difference in thickness (PT2-PT1) between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econd position P2 is preferably 1.5 mm or more and 3.0 mm or less.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의 두께의 차(PT3-PT1)는 5.5㎜ 이상, 9㎜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difference in thickness (PT3-PT1) between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third position P3 is preferably 5.5 mm or more and 9 mm or less.

제1 위치(P1)와 제4 위치(P4)의 두께의 차(PT4-PT1)는 2.5㎜ 이상, 4.5㎜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difference in thickness (PT4-PT1) between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fourth position P4 is preferably 2.5 mm or more and 4.5 mm or less.

PT3/PT1로서는, 1.7 이상,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PT3/PT1 is preferably 1.7 or more and 2.5 or less.

또한,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와의 거리로서는, 3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의 거리가 상기한 하한치를 하회하는 경우에는, 핸들부(30)를 파지한 때에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와의 거리가 짧아져서, 제2 위치(P2)의 정면측에 당접한 엄지손가락의 말절(末節)과 제2 위치(P2)의 주위 방향에 당접한 집게손가락이 가까워져서, 청소시에 헤드부(10)에 부하가 가하여진 때의 보조 기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음과 함께,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를 촉각적으로 구별하기 어렵게 된다.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의 거리가 상기한 상한치를 상회하는 경우에는, 핸들부(30)를 파지한 때에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의 거리가 길어져서, 제1 위치(P1)의 정면측을 엄지손가락의 말절의 지당부(指當部)로 하고, 제3 위치(P3)로 둘레 방향으로 중지와 약지가 당접하여 유지가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Addition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third position P3 is preferably 30 mm or more and 60 mm or less. I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third position P3 is less than the above-mentioned lower limi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third position P3 when the handle portion 30 is gripped. It is shortened, so that the tip of the thumb in contact with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position P2 and the index finger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position P2 become closer, so that they are in contact with the head portion 10 during cleaning. In addition to the possibility that the auxiliary function when a load is applied may deteriorate, it becomes difficult to tactilely distinguish between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third position P3. I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third position P3 exceeds the above upper limi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third position P3 when the handle portion 30 is held. As it becomes longer, the front side of the first position (P1) becomes the supporting part of the terminal joint of the thumb, and in the third position (P3), the middle finger and ring finger come into contac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king maintenance difficult. there is.

도 4는, 제1 위치(P1)에서 절단한 핸들부(30)의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le portion 30 cut at the first position P1.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위치(P1)에서의 핸들부(30)(제1 팽출부(41))의 단면 형상은, 폭방향의 길이가 두께보다도 큰 편평 형상이다. 핸들부(30)의 정면측에는, 제1 위치에서의 폭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환형상으로 형성된 정면시 원형의 홈부(45A)가 마련되어 있다. 핸들부(30)의 배면측에는, 제1 위치에서의 폭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환형상으로 형성된 정면시 원형의 홈부(45B)가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andle portion 30 (first bulged portion 41) at the first position P1 is a flat shape in which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n the front side of the handle portion 30, a groove portion 45A, which is circular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centered on the width direction center at the first position,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handle portion 30, a groove portion 45B, which is circular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with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at the first position as the center, is provided.

또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핸들부(30)의 정면측은, 폭방향에 관해 배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31)을 갖고 있다. 곡선 윤곽(C31)의 양측에는 홈부(45A)를 가지며, 높이(T1)가 0.5∼1.5㎜ 낮은 단차로 형성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4, the front side of the handle part 30 has an arc-shaped curved outline C31 with the center of curvature on the back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re are grooves 45A on both sides of the curved outline C31, and the height T1 is formed with a step difference of 0.5 to 1.5 mm.

마찬가지로, 핸들부(30)의 배면측은, 폭방향에 관해 정면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의 곡선 윤곽(C32)을 갖고 있다. 곡선 윤곽(C32)의 양측에는 홈부(45B)를 가지며, 높이(T2)가 0.5∼1.5㎜ 낮은 단차로 형성되어 있다.Similarly, the back side of the handle portion 30 has an arc-shaped curved outline C32 with the center of curvature on the fron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re are grooves 45B on both sides of the curved outline C32, and the height T2 is formed with a step that is 0.5 to 1.5 mm lower.

도 5는, 도 2에서의 제1 위치(P1)를 확대한 측면도이다.FIG. 5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first position P1 in FIG. 2.

정면측에서의 네크부(20)와 핸들부(30)와의 경계(31)는, 측면시에서, 경계(31)보다도 선단측에 배치된 상기 곡선 윤곽(21)과, 경계(31)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된 상기 곡선 윤곽(C11)이 교차한 개소의 능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경계(31)의 정면방향의 위치, 즉 곡선 윤곽(C11)이 곡선 윤곽(21)과 교차하는 위치는, 곡선 윤곽(C11)이 곡선 윤곽(C12)과 교차하는 위치보다도 정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정면측에서의 제1 위치(P1)보다도 선단측에는, 제1 위치(P1)보다 후단측과 비교하고 가파르게 돌출한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The boundary 31 between the neck portion 20 and the handle portion 30 on the front side is, in a side view, the curved outline 21 dispos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boundary 31 and the boundary 31 on the rear end side. It is formed by ridges at the points where the arranged curved outline C11 intersects. The frontal position of the border 31,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curved outline C11 intersects the curved outline 21,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than the position where the curved outline C11 intersects the curved outline C12. . Therefore, a curved surface that protrudes steeply compared to the rear end side than the first position P1 is formed at the front end side compared to the first position P1 on the front side.

장축방향의 선단측에 관해 홈(45A)의 높이(T3)는 0.5∼1.5㎜의 단차로 형성되어 있다.The height T3 of the groove 45A on the distal end side in the major axis direction is formed with a step of 0.5 to 1.5 mm.

장축방향의 후단측에 관해 홈(45A)의 높이(T4)는 0.5∼1.5㎜의 단차로 형성되어 있다.The height T4 of the groove 45A on the rear end side in the major axis direction is formed with a step of 0.5 to 1.5 mm.

마찬가지로, 배면측에서의 네크부(20)와 핸들부(30)의 경계(32)는, 측면시에서, 경계(32)보다도 선단측에 배치된 상기 곡선 윤곽(22)과, 경계(32)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된 상기 곡선 윤곽(C21)이 교차하는 개소의 능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경계(32)의 정면방향의 위치, 즉 곡선 윤곽(C21)이 곡선 윤곽(22)과 교차하는 위치는, 곡선 윤곽(C21)이 곡선 윤곽(C22)과 교차하는 위치보다도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배면측에서의 제1 위치(P1)보다도 선단측에는, 제1 위치(P1)보다 후단측과 비교하여 가파르게 돌출한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Similarly, the boundary 32 between the neck portion 20 and the handle portion 30 on the back side is, in a side view, the curved outline 22 dispos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boundary 32 and the rear end of the boundary 32. It is formed by ridges at the points where the curved outline C21 arranged on the side intersects. The frontal position of the border 32,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curved outline C21 intersects the curved outline 22,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compared to the position where the curved outline C21 intersects the curved outline C22. . Accordingly,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first position P1 on the back side, a curved surface is formed that protrudes steeply compared to the rear end side of the first position P1.

장축방향의 선단측에 관해 홈 45B의 높이(T5)는 0.5∼1.5㎜의 단차로 형성되어 있다.The height T5 of the groove 45B on the distal end side in the major axis direction is formed with a step of 0.5 to 1.5 mm.

장축방향의 후단측에 관해 홈 45B의 높이(T6)는 0.5∼1.5㎜의 단차로 형성되어 있다.The height T6 of the groove 45B on the rear end side in the major axis direction is formed with a step of 0.5 to 1.5 mm.

도 6은, 제3 위치(P3)로 절단한 핸들부(30)의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le portion 30 cut at the third position P3.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3 위치(P3)에서의 핸들부(30)의 단면 형상은, 개략 원형이다. 제3 위치(P3)에서의 핸들부(30)의 최대경으로서는, 15㎜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부(30)의 최대경이 상기한 하한치를 하회한 경우에는, 제3 위치(P3) 주변을 팜 그립으로 파지한 때에, 파지 면적이 작아 중지 및 약지가 충분히 당접하지 않아 미끄러지기 쉽게 되고 파지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핸들부(30)의 최대경이 상기한 상한치를 상회한 경우에는, 제3 위치(P3) 주변을 팜 그립으로 파지한 때에, 둘레 길이가 커져서 파지하기 어렵게 된다.As shown in FIG. 6,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andle portion 30 at the third position P3 is approximately circular. The maximum diameter of the handle portion 30 at the third position P3 is preferably 15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If the maximum diameter of the handle portion 30 is below the above-mentioned lower limit, when the area around the third position P3 is gripped with a palm grip, the grip area is small and the middle and ring fingers do not come into sufficient contact, making it prone to slipping and poor grip.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is may deteriorate. If the maximum diameter of the handle portion 30 exceeds the above-mentioned upper limit, when the area around the third position P3 is grasped with a palm grip, the circumferential length in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grip.

도 7은, 제4 위치(P4)를 포함하는 핸들부(30)의 후단을 확대한 측면도이다.FIG. 7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rear end of the handle portion 30 including the fourth position P4.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핸들부(30)의 후단부 근방에는, 정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핸들부(30)의 정면측에는, 관통구멍(46)으로부터 선단측으로 늘어나는 홈부(47)가 배치되어 있다. 홈부(47)는, 한 예로서, 반원의 단면 형상으로 깊이가 1㎜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a through hole 46 penetrating in the front direction is formed near the rear end of the handle portion 30. Additionally, as shown in FIGS. 1 and 7, a groove portion 47 extending from the through hole 46 toward the distal end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handle portion 30. As an example, the groove portion 47 is formed in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has a depth of about 1 mm.

마찬가지로, 핸들부(30)의 배면측에는, 관통구멍(46)으로부터 제4 위치(P4)까지 선단측으로 늘어나는 홈부(49)가 배치되어 있다. 홈부(49)는, 한 예로서, 반원의 단면 형상으로 깊이가 1㎜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Similarly, on the rear side of the handle portion 30, a groove portion 49 extending toward the distal end from the through hole 46 to the fourth position P4 is disposed. As an example, the groove portion 49 is formed in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has a depth of about 1 mm.

핸들체(2)의 길이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0∼200㎜가 된다. 핸들체(2)는, 전체로서 장척형상으로 일체 성형된 것이고, 예를 들면, 수지를 재료로 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핸들체(2)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한 예로서, 휨 탄성율(JIS7171)이 1000㎫ 이상 2200㎫ 이하인 수지를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폴리아세탈 수지(POM), 폴리스티렌 수지(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A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비 면을 고려한다면 범용 수지인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바람직하다.The length of the handle body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for example, 100 to 200 mm. The handle body 2 is integrally molded into a long shape as a whole, and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injection molding using resin as a material. As an example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handle body 2, a resin having a bending elastic modulus (JIS7171) of 1000 MPa or more and 2200 MPa or less can be mentioned, for example, polypropylene resin (PP), polyacetal resin (POM) , polystyrene resin (PS),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PET),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PBT),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resin (ABS), polyarylate resin, polycarbonate resin, acrylonitrile styrene resin ( AS), etc. Among these, polypropylene resin, which is a general-purpose resin, is preferable when considering specific aspect.

모속은, 복수의 용모를 묶은 것이다. 식모면(11)으로부터 모속의 선단까지의 길이는, 모속에 요구되는 모 탄력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6∼14㎜가 된다. 모든 모속은 같은 모장이라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The hair bundle is a bundle of multiple faces. The length from the hair transplantation surface 11 to the tip of the hair bundle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hair elasticity required for the hair bundle, and is, for example, 6 to 14 mm. All hair bundles may be the same or may be different.

모속의 두께(모속경)는, 모속에 요구되는 모 탄력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3㎜가 된다. 모든 모속은 같은 모속경이라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The thickness of the hair bundle (hair bundle diameter)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hair elasticity required for the hair bundle, and is, for example, 1 to 3 mm. All hair bundles may be the same o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모속을 구성하는 용모로서는, 예를 들면, 모선을 향하여 점차 그 지름이 작아지고, 모선이 선예화된 용모(테이퍼모), 식모면(11)부터 모선을 향하여 그 지름이 거의 동일한 용모(스트레이트모) 등을 들 수 있다. 스트레이트모로서는, 모선이 식모면(11)에 개략 평행한 평면이 되는 것이나, 모선이 반구형상으로 둥글게 된 것을 들 수 있다.As for the hair constituting the hair bundle, for example, hair whose diameter gradually becomes smaller toward the hairline and the hairline is sharpened (tapered hair), hair whose diameter is almost the same from the hair transplant surface 11 toward the hairline (straight hair) ), etc. Examples of straight hair include those in which the hairline is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hair transplantation surface 11, and those in which the hairline is rounded into a hemispherical shape.

모털의 재질은, 예를 들면, 6-12 나일론(6-12NY), 6-10 나일론(6-10NY)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계 일래스토머,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등의 일래스토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수지 재료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모로서는, 심부와 그 심부의 외측에 마련된 적어도 1층 이상의 초부를 갖는 다중심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제 용모를 들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bristle is, for example, polyamide such as 6-12 nylon (6-12NY), 6-10 nylon (6-10NY),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 Polyesters such as 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nd polybutylene naphthalate (PBN), polyolefins such as polypropylene (PP), polyolefin-based elastomers, and styrene-based elastomers. Stormer resin, etc. can be mentioned. These resin material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Additionally, examples of the cap include polyester caps having a multi-center structure having a core portion and at least one layer of sheath provided outside the core portion.

용모의 횡단면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진원형, 타원형 등의 원형, 다각형, 성형, 3엽 클로버형, 4엽 클로버형 등으로 하여도 좋다. 모든 용모의 단면 형상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ai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circular such as a true circle or oval, polygonal, shaped, three-leaf clover-shaped, four-leafed clover-shaped, etc. The cross-sectional shape of all feature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용모의 굵기는, 재질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 예를 들면, 6∼9mil(1mil=1/1000inch=0.025㎜)이 된다. 또한, 사용감, 쇄소감, 청소 효과,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두께가 다른 복수개의 용모를 임의로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The thickness of the hair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etc., and when the cross-section is circular, for example, it is 6 to 9 mil (1 mil = 1/1000 inch = 0.025 mm). In addition, taking into account the feeling of use, feeling of cleansing, cleaning effect, durability, etc., a plurality of wools with different thicknesses may be arbitrarily combined and used.

상기 구성의 칫솔(1)에서의 핸들체(2)는, 예를 들면, 핸들체(2)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공간(캐비티)을 갖는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된다. 금형에 용융한 수지를 사출하는 게이트는, 예를 들면, 핸들체(2)의 후단부에 배치된다. 게이트로부터 사출된 용융 수지는, 금형의 캐비티에 충전되고, 냉각 후에 금형으로부터 취출함에 의해 제조된다.The handle body 2 of the toothbrush 1 of the above structure is formed, for example, by injection molding using a mold having a space (cavity) of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handle body 2. The gate for injecting molten resin into the mold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handle body 2, for example. The molten resin injected from the gate is manufactured by filling the cavity of the mold and taking it out from the mold after cooling.

핸들체(2)에서는, 질감, 의장성의 향상이나 고급감의 창출 등을 목적으로 하여 펄 안료 등의 광휘재를 수지에 혼련하여 배합한 것을 사출 성형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종류의 광휘재를 포함하는 수지는, 금형 내를 유동할 때에 광휘재가 배향하기 때문에, 특히 유동 말단의 헤드부(10)에서, 광휘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외관상, 제팅, 플로우 마크, 웰드 라인이 눈에 띄기 쉬워진다.In the handle body 2, a bright material such as a pearl pigment mixed with a resin may be used for injection molding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exture and design or creating a sense of luxury. The resin containing this type of bright material orients the bright material when flowing in the mold, so in terms of appearance, jetting and flow, especially in the head portion 10 at the end of the flow,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bright material is not used. Marks and weld lines become more visible.

본 실시 형태의 핸들체(2)에서는, 게이트(50)와 직근의 위치에 관통구멍(46)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구멍(46)을 형성하는 축형상의 금형에 의해, 게이트(50)으로부터 사출된 용융 수지의 흐름을 제어하고, 속도 및 유로의 크기를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팅, 플로우 마크가 외관상,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 또한, 관통구멍(46)으로부터 제4 위치(P4)까지 선단측으로 늘어나는 홈부(47, 49)가 배치됨으로써, 관통구멍(46)에 의해 용융 수지가 분류(分流)한 후에 합류함으로써 발생하는 웰드 라인과 홈부(47, 49)가 겹쳐지기 때문에, 외관상,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In the handle body 2 of this embodiment, the through hole 46 is disposed at a position directly adjacent to the gate 50, so that the gate 50 is formed by an axial mold forming the through hole 46. It becomes possible to control the flow of molten resin injected from and control the speed and size of the flow path. Accordingly, jetting and flow marks become less noticeable in appearance. In addition, the groove portions 47 and 49 extending toward the distal end from the through hole 46 to the fourth position P4 are disposed, thereby forming a weld line that occurs when the molten resin joins after being separated by the through hole 46. Since the and groove portions 47 and 49 overlap, it becomes difficult to stand out in appearance.

다음에, 상기 칫솔(1)의 핸들부(30)를 팜 그립으로 쥐었을 때의 작용에 관해 설명한다.Next, the action when the handle portion 30 of the toothbrush 1 is held with a palm grip will be described.

(제1 위치(P1))(First position (P1))

핸들부(30)에서의 제1 위치(P1)의 정면측은, 네크부(20)측의 지당부가 되여 엄지손가락의 말절이 당접한다. 제1 위치(P1)의 배면측은, 집게손가락의 중절(中節)이 당접한다. 이에 의해, 핸들부(30)는, 제1 위치(P1)에서 정면측 및 배면측부터 끼우도록 유지된다. 이때, 제1 위치(P1)의 정면측에는, 홈부(45A)가 배치되고, 제1 위치(P1)의 배면측에는, 홈부(45B)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당부를 촉각적에 명확화할 수 있다. 또한, 홈부(45A, 45B)가 원형으로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폭방향 및 장축방향을 포함하여 식모면(11)과 개략 평행한 면내의 이동에 손가락의 이동시에도 미끄러지기 어려워진다.The front side of the first position P1 in the handle portion 30 becomes a support portion on the neck portion 20 side, and the terminal joint of the thumb comes into contact with it. The middle finger of the index fing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ck side of the first position P1. Thereby, the handle part 30 is held in the first position P1 so as to fit from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At this time, since the groove portion 45A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groove portion 45B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first position P1, the support portion can be clearly tactile. In addition, since the groove portions 45A and 45B are formed in a circular annular shape, it becomes difficult to slip even when the finger moves in a plane roughly parallel to the hair transplantation surface 11, including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ng axis direction.

또한, 핸들부(30)의 제1 위치(P1)에서 단면이 편평 형상이기 때문에, 핸들부(30)는 제1 위치(P1)에서 정면측의 엄지손가락 및 배면측의 집게손가락과 넓은 면적으로 당접하게 되어 힘을 기울이기 쉽고 안정된 지지가 가능해진다. 그때문에, 헤드부(10)부터 가까운 제1 위치(P1)에서 핸들부(30)에 가한 힘이 헤드부(10)에 전해지기 쉬워짐으로써 조작성이 향상하고, 식모면을 깔끔하게 치아에 닿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handle portion 30 is flat at the first position P1, the handle portion 30 has a large area between the thumb on the front side and the index finger on the back side at the first position P1. It is easy to apply force and stable support is possible. Therefore, the force applied to the handle portion 30 at the first position P1, which is close to the head portion 10, is easily transmitted to the head portion 10, thereby improving operability and allowing the planting surface to neatly contact the teeth. You can.

(제2 위치(P2))(second position (P2))

제2 위치(P2)는, 핸들부(30)를 파지한 때의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를 구별하기 위한 네크부(20)측의 보조부로서 기능한다. 핸들부(30)를 팜 그립으로 유지한 때에는, 엄지손가락의 말절이 제2 위치(P2)의 정면측에 당접하고, 집게손가락이 제2 위치(P2)의 주위 방향에 당접함에 의해, 제1 위치(P1)에서 정면측 및 배면측부터 끼우도록 유지하고, 제3 위치(P3)에서 손바닥, 중지 및 약지로 쥐고 유지한 핸들부(30)의 중간부분을 보조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위치(P2)에는, 정면시에서 제1 잘록부(43)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집게손가락을 둘레 방향으로 용이하게 당접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잘록부(43)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부(30)를 잡은 때에,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의 형상의 차이를 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자연적으로 쥐기 쉽도록 유도되어 피트하는 것도 가능해진다.The second position P2 functions as an auxiliary part on the neck part 20 side for distinguishing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third position P3 when the handle part 30 is held. When the handle portion 30 is held with a palm grip, the tip of the thumb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position P2, and the index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position P2. It is possible to auxiliary hold the middle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30, which is held in the first position (P1) by inserting it from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and held by the palm, middle finger, and ring finger in the third position (P3). Since the first narrow portion 43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P2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index finger can be easily brought into contac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ddition, because the first narrow portion 43 is disposed, when the handle portion 30 is held, the difference in shape between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third position P3 can be tactilely recognized, It is naturally made easy to grip, making it possible to fit it.

(제3 위치(P3))(Third position (P3))

제3 위치(P3)는, 폭방향의 최대의 제2 팽출부(42)가 배치되고, 파지 안정부로서 기능한다. 팜 그립으로 핸들부(30)를 파지한 때에, 제3 위치(P3)의 주위 방향에 손바닥, 중지 및 약지가 당접한다. 핸들부(30)는, 제3 위치(P3)에서의 단면 형상이 개략 원형이고, 또한, 폭방향의 최대 길이(PW3) 및 최대 두께(PT3)가 다른 위치(P1, P2, P4)와 비교하여 최대이기 때문에, 파지한 손안에 피트되어 안정된 유지가 가능해진다.At the third position P3, the largest second bulged portion 42 in the width direction is disposed and functions as a gripping stabilizing portion. When the handle portion 30 is held with a palm grip, the palm, middle finger, and ring finger are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hird position P3. The handle portion 30 has a roughly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t the third position P3, and the maximum length PW3 and maximum thickness PT3 in the width direction are compared with those at other positions P1, P2, and P4. Because it is the largest, it fits in the hand held and can be held stably.

(제4 위치(P4))(4th position (P4))

제4 위치(P4)를 포함하는 후단부까지의 영역은, 핸들부(30)를 팜 그립으로 파지한 때, 특히 제3 위치(P3)를 손바닥, 중지 및 약지로 유지한 때의 보조부로서 기능한다. 팜 그립으로 핸들부(30)를 파지한 때에, 제4 위치(P4)의 주위 방향에 약지, 새끼손가락 및 손바닥의 월구(月丘)가 당접한다. 제4 위치(P4)에서의 최대폭(PW4) 및 두께(PT4)는, 제3 위치(P3)에서의 최대폭(PW3) 및 두께(PT3)보다도 모두 작기 때문에, 중지보다도 짧은 약지 및 새끼손가락에 대해서도 제4 위치(P4)의 주위 방향으로 안정되게 당접시킬 수 있다.The area up to the rear end including the fourth position P4 functions as an auxiliary part when the handle portion 30 is held with a palm grip, especially when the third position P3 is held with the palm, middle finger, and ring finger. do. When the handle portion 30 is held with a palm grip, the ring finger, the little finger, and the moon ball of the palm come into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ourth position P4. Since the maximum width PW4 and thickness PT4 at the fourth position P4 are both smaller than the maximum width PW3 and thickness PT3 at the third position P3, even for the ring finger and little finger that are shorter than the middle finger. It can be stably contacted in the direction around the fourth position P4.

상기한 핸들부(30)에서는, 제1 위치(P1)∼제4 위치(P4)에서의 폭방향의 길이가 상기한 관계(1), (2)를 각각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미끄러지기 어려운 상태에서 제1 위치(P1)에서의 지당부에 넓은 면적으로 정면측의 엄지손가락 및 배면측의 집게손가락에 당접시키면서, 최대경으로 형성된 제3 위치(P3)의 제2 팽출부(42)에서 주위 방향으로 손바닥, 중지 및 약지를 당접시킴으로써, 파지한 손안에 피트되어 안정된 유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잘록부(43)의 최소폭(PW2)가 제1 팽출부(41)의 최대폭(PW1) 및 제2 팽출부(42)의 최대폭(PW3)보다도 작기 때문에, 제1 위치(P1) 및 제3 위치(P3)에서 유지된 핸들부(30)의 중간부분을 보조적으로 유지 가능해저서, 안정된 파지에 의해 청소시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한, 제2 잘록부(44)를 포함하는 후단부의 최소폭(PW4)이 제1 잘록부(43)의 최소폭(PW2)보다도 크기 때문에, 제2 팽출부(42)에서의 지지를 후단측부터 단단히 보조하는 것이 가능해저서 파지성의 더한층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전술한 PW3/PW2가 1.3 이상, 1.5 이하임으로써, 상기 효과가 더욱 얻어진다.In the above-described handle portion 30, since the width direction lengths at the first position P1 to the fourth position P4 satisfy the above-mentioned relationships (1) and (2), respectively, it is difficult to slip. While contacting the thumb on the front side and the index finger on the back side with a large area on the support portion at the first position P1, the second bulging portion 42 at the third position P3 formed at the maximum diameter is direc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bringing the palm, middle finger, and ring finger into contact, it fits into the hand held and can be held stably. In addition, since the minimum width PW2 of the first constriction 43 is smaller than the maximum width PW1 of the first bulge 41 and the maximum width PW3 of the second bulge 42, the first position P1 )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30 held in the third position P3 can be auxiliary held, thereby improving operability during cleaning by stable gripping. In addition, since the minimum width PW4 of the rear end including the second constriction 44 is larger than the minimum width PW2 of the first constriction 43, support in the second bulge 42 is provided at the rear end. Si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firm support from the beginning, it can contribute to further stabilization of grip properties. The above effect is further obtained when the above-mentioned PW3/PW2 is 1.3 or more and 1.5 or less.

또한, 상기한 핸들부(30)에서는, 제1 위치(P1)∼제4 위치(P4)에서의 두께가 상기한 관계(3), (4)를 각각 만족하고 있고, 지당부가 되는 제1 위치(P1)의 두께가, 가장 얇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제1 위치(P1)를 정면측 및 배면측부터 용이, 또한, 강하게 협지할 수 있다. 그때문에, 헤드부(10)에 가까운 위치에서 핸들부(30)에 가한 힘이 헤드부(10)에 전해지기 쉬워짐으로써 조작성이 향상하고, 식모면을 깔끔하게 치나에 닿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P1)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네크부(20)와 핸들부(30)와의 경계(31, 32)와 제1 위치(P1)와의 사이에 가파르게 돌출한 곡면이 형성된다. 그때문에, 지당부에 당접하는 엄지손가락 및 집게손가락이 당해 곡면에 후단측에 계합함에 의해, 파지한 핸들부(30)가 장축방향에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PT3/PT1이 1.7 이상, 2.5 이하임으로써, 상기 효과가 더욱 얻어진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handle portion 30, the thickness at the first position P1 to the fourth position P4 satisfies the above-mentioned relationships (3) and (4), respectively, and the first position serving as the support portion is Since the thickness of (P1) is set to be the thinnest, the first position (P1) can be easily and strongly clamped from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For this reason, the force applied to the handle portion 30 at a position close to the head portion 10 is easily transmitted to the head portion 10, thereby improving operability and allowing the hair transplantation surface to be neat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hina. Additionally, because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sition P1 is thin, a steeply protruding curved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boundaries 31 and 32 between the neck portion 20 and the handle portion 30 and the first position P1. Therefore, the thumb and forefinger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ortion engage the rear end side with the curved surface, thereby suppressing the gripped handle portion 30 from shaking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he above effect is further obtained when the above-mentioned PT3/PT1 is 1.7 or more and 2.5 or less.

또한, 상기한 핸들부(30)에서는, 제1 팽출부(41)의 곡선 윤곽(C1), 제1 잘록부(43)의 곡선 윤곽(C2), 제2 팽출부(42)의 곡선 윤곽(C3) 및 제2 잘록부(44)의 곡선 윤곽(C4)이, 장축방향으로 이웃하는 곡선 윤곽과 외접하고, 정면측에서의 곡선 윤곽(C11), 곡선 윤곽(C12), 곡선 윤곽(C13), 곡선 윤곽(C14) 및 곡선 윤곽(C15)이, 장축방향으로 이웃하는 곡선 윤곽과 외접하고, 배면측에서의 곡선 윤곽(C21), 곡선 윤곽(C22), 곡선 윤곽(C23), 곡선 윤곽(C24) 및 곡선 윤곽(C25)이 장축방향으로 이웃하는 곡선 윤곽과 외접함으로써, 각 윤곽이 완만하게 이어진다. 그때문에, 상기한 핸들부(30)에서는, 다양한 쥐는 방식에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작성 및 범용성에 우수한 칫솔(1)을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handle portion 30, the curved outline C1 of the first bulged portion 41, the curved outline C2 of the first constricted portion 43, and the curved outline of the second bulged portion 42 ( C3) and the curved outline C4 of the second constriction 44 circumscribe the adjacent curved outline in the long axis direction, and the curved outline C11, the curved outline C12, the curved outline C13, and the curved line on the front side. The contour C14 and the curved contour C15 are circumscribed with the adjacent curved contour in the long axis direction, and the curved contour C21, the curved contour C22, the curved contour C23, the curved contour C24, and the curved curve on the back side. The contour C25 is circumscribed with a curved contour neighboring it in the long axis direction, so that each contour is gently connected. Therefore, the above-mentioned handle portion 30 can accommodate various holding methods and can realize the toothbrush 1 that is excellent in operability and versatility.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에서는, 핸들부(30)의 형상 및 크기를 적절하게 설정함에 의해, 연성부 등을 이용하여 비용 증가를 초래하는 일 없이, 핸들부(30)에 대해 높은 파지성을 가지며, 청소시의 조작성이 높은 칫솔(1)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폭이 넓은 와이드 헤드 사양의 헤드부(10)를 갖는 구성으로 쇄모부가, 청소부위에 당접한 때에 모속의 간섭이 큼으로써 파지한 핸들부가 흔들리고, 또한, 적절하게 청소부위에 도달하기 어려운 경우라도, 손안에 피트되고, 높은 파지성을 갖는 핸들부(30)를 갖고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고 쇄모부를 깔끔하게 치아에 닿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toothbrush 1 of the present embodiment,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handle portion 30, the handle portion 30 can be used without increasing costs by using a soft portion or the like. It becomes possible to obtain a toothbrush 1 that has high gripping properties and is highly operable during cleaning.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in a configuration having a head portion 10 with a wide head specification, when the bristle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leaning site, the interference of the bristle bundles is large, causing the gripped handle portion to shake and reach the cleaning site appropriately. Even in cases where it is difficult to do so, since it has a handle portion 30 that fits in the hand and has high gripping properties, operability is good and the hairs can be brought into neat contact with the teeth.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알맞은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예에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여러 형상이나 조합 등은 한 예이고, 본 발명의 주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계 요구 등에 의거하여 여러가지 변경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The various shapes and combinations of each constituent member shown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re examples,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based on design requirements, etc., without departing from the main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위치(P1)의 정면측 및 배면측의 쌍방에 홈부(45A, 45B)를 마련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정면측 또는 배면측에만 마련하는 구성이라도 좋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groove portions 45A and 45B are provided on both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first position P1 is illustrated, bu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y are provided only on the front side or the back side may be used.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드 헤드 사양의 헤드부(10)를 이용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와이드 헤드 사양으로 한정되지 않고, 통상 타입 또는 컴팩트 사양의 헤드부라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a configuration using the head portion 10 of a wide head specification i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wide head specif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to a head portion of a normal type or compact specification.

본 발명은 칫솔에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oothbrushes.

1 : 칫솔 2 : 핸들체
10 : 헤드부 11 : 식모면
20 : 네크부 30 : 핸들부
41 : 제1 팽출부 42 : 제2 팽출부
43 : 제1 잘록부 44 : 제2 잘록부
45A, 45B : 홈부 P1 : 제1 위치
P2 : 제2 위치 P3 : 제3 위치
P4 : 제4 위치
1: Toothbrush 2: Handle body
10: head part 11: hair transplant side
20: neck part 30: handle part
41: first bulge 42: second bulge
43: first narrow portion 44: second narrow portion
45A, 45B: groove P1: first position
P2: 2nd position P3: 3rd position
P4: 4th position

Claims (8)

장축방향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식모면에 모속이 식설된 헤드부와,
그 헤드부의 후단측에 연설된 네크부와,
그 네크부의 후단측에 연설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네크부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식모면과 직교하는 정면방향에서 본 정면시에서 상기 장축방향 및 상기 정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팽출하는 제1 팽출부와,
상기 제1 팽출부보다도 상기 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잘록해지는 제1 잘록부와,
상기 제1 잘록부보다도 상기 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팽출하는 제2 팽출부와,
상기 제2 팽출부보다도 상기 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대칭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잘록해지는 제2 잘록부를 가지며,
상기 폭방향에서의 상기 헤드부의 최대 길이는, 13㎜ 이상이고,
상기 제1 팽출부는,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상기 네크부와 상기 제1 잘록부 사이의 제1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고,
상기 제1 잘록부는,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상기 제1 팽출부와 상기 제2 팽출부 사이의 제2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되고,
상기 제2 팽출부는,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상기 제1 잘록부와 상기 제2 잘록부 사이의 제3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고,
상기 제2 잘록부는,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상기 제2 팽출부보다도 후단측의 제4 위치에서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최소가 되고,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제1 팽출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를 PW1로 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제1 잘록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를 PW2로 하고,
상기 제3 위치에서의 상기 제2 팽출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를 PW3으로 하면,
상기 PW3은, 15㎜ 이상, 20㎜ 이하이고,
PW3/PW2는, 1.3 이상, 1.5 이하이고,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를 PT1로 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를 PT2로 하고,
상기 제3 위치에서의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를 PT3으로 하면,
상기 PT3은, 15㎜ 이상, 20㎜ 이하이고,
PT3/PT1은, 1.7 이상, 2.5 이하이고,
상기 장축방향에서의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3 위치의 거리가 30㎜ 이상, 60㎜ 이하이고,
상기 PT3과 PT1의 두께의 차는 5.5∼9㎜이고,
이하의 관계 (1) 및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PW3>PW1>PW2 …(1)
PT3>PT2>PT1 …(3)
A head portion disposed at the distal end in the long axis direction and having hair bundles planted on the hair transplantation surface;
A neck portion extended to the rear end of the head portion,
A handle portion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neck portion,
The handle portion is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neck portion and bulges out by continuously changing symmetrically on both sides in the long axis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air transplantation surface. A first bulge,
a first constriction portion disposed at a rear end side of the first bulge portion and continuously changing and narrowing symmetrically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 second bulged portion disposed at a rear end side of the first constricted portion and bulging in a continuously changing manner symmetrically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second bulge, and has a second constriction that continuously changes symmetrically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nd becomes constricted,
The maximum length of the hea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13 mm or more,
The first bulged portion has a maximum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at a first position between the neck portion and the first constriction portion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he first constricted portion has a minimum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at a second position between the first bulged portion and the second bulged portion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he second bulged portion has a maximum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at a third position between the first narrow portion and the second narrow portion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he length of the second narrow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becomes minimum at a fourth position on the rear end side of the second bulge portion in the major axis direction,
Let the length of the first bulge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first position be PW1,
Let th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narrow portion at the second position be PW2,
If the length of the second bulge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third position is PW3,
The PW3 is 15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PW3/PW2 is 1.3 or more and 1.5 or less,
Let the thickness in the front direction at the first position be PT1,
Let the thickness in the front direction at the second position be PT2,
If the thickness in the front direction at the third position is PT3,
The PT3 is 15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PT3/PT1 is 1.7 or more and 2.5 or les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position in the major axis direction is 30 mm or more and 60 mm or less,
The difference in thickness between PT3 and PT1 is 5.5 to 9 mm,
A toothbrush characterized by satisfying the following relationships (1) and (3).
PW3>PW1>PW2 … (One)
PT3>PT2>PT1 …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위치에서의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를 PT4,
상기 제4 위치에서의 상기 제2 잘록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를 PW4로 했을 때에,
이하의 관계 (2) 및 (4)를 각각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PW3>PW4>PW2 …(2)
PT3>PT4>PT1 …(4)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hickness in the front direction at the fourth position is PT4,
When th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narrow portion at the fourth position is PW4,
A toothbrush characterized by satisfying the following relationships (2) and (4), respectively.
PW3>PW4>PW2 … (2)
PT3>PT4>PT1 …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제1 팽출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 PW1은, 14㎜ 이상, 17㎜ 이하이고,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제1 잘록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 PW2는, 11㎜ 이상, 14㎜ 이하이고,
상기 제4 위치에서의 상기 제2 잘록부의 상기 폭방향의 길이 PW4는, 12.5㎜ 이상, 15.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width direction length PW1 of the first bulged portion at the first position is 14 mm or more and 17 mm or less,
The length PW2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narrow portion at the second position is 11 mm or more and 14 mm or less,
The toothbrush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length PW4 of the said width direction of the said 2nd narrow part in the said 4th position being 12.5 mm or more and 15.5 mm or les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 PT1은, 6.5㎜ 이상, 9㎜ 이하이고,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 PT2는, 9㎜ 이상, 11㎜ 이하이고,
상기 제4 위치에서의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 PT4는, 10㎜ 이상, 1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hickness PT1 in the front direction at the first position is 6.5 mm or more and 9 mm or less,
The thickness PT2 in the front direction at the second position is 9 mm or more and 11 mm or less,
The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PT4 in the front direction at the fourth position is 10 mm or more and 13 mm or les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팽출부, 상기 제1 잘록부, 상기 제2 팽출부 및 상기 제2 잘록부는, 각각 상기 정면시의 윤곽선이 상기 장축방향으로 이웃하는 팽출부 또는 잘록부와 서로 외접하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bulge, the first constriction, the second bulge, and the second constriction are each formed as a curve whose outline when viewed from the front is circumscribed with a bulge or constriction adjacent to the major axis direction. A toothbrush characterized by hav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핸들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폭방향의 길이가 상기 정면방향의 두께보다도 큰 편평 형상이고,
상기 제3 위치에서의 상기 핸들부의 단면 형상은, 개략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andle portion in the first position is a flat shape in which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in the front direction,
A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andle portion at the third position is approximately circula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핸들부의 정면측과 배면측의 적어도 일방은, 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According to claim 1 or 2,
A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handle portion in the first position has a groove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In clause 7,
A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KR1020197021602A 2017-07-31 2018-07-24 toothbrush KR10262589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47972A JP6983568B2 (en) 2017-07-31 2017-07-31 toothbrush
JPJP-P-2017-147972 2017-07-31
PCT/JP2018/027674 WO2019026685A1 (en) 2017-07-31 2018-07-24 Tooth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658A KR20200034658A (en) 2020-03-31
KR102625898B1 true KR102625898B1 (en) 2024-01-18

Family

ID=6523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602A KR102625898B1 (en) 2017-07-31 2018-07-24 toothbrush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83568B2 (en)
KR (1) KR102625898B1 (en)
CN (1) CN110267566B (en)
TW (1) TWI763892B (en)
WO (1) WO201902668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2715B2 (en) * 2020-03-18 2022-05-06 株式会社バンダイ toothbrus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6015A1 (en) * 2009-12-18 2011-06-2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JP2015054209A (en) * 2013-09-13 2015-03-23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91154B3 (en) * 1996-10-18 1998-05-07 Dennis Warren Bartlett A self-application toothbrush
JP2000189250A (en) * 1998-12-25 2000-07-11 Lion Corp Toothbrush
JP2003135148A (en) * 2001-10-31 2003-05-13 Lion Corp Toothbrush
JP5468832B2 (en) * 2009-07-07 2014-04-09 花王株式会社 toothbrush
CA2782362C (en) * 2009-12-18 2015-09-29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ple soft tissue cleaner components
JP5806922B2 (en) * 2011-12-07 2015-11-10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JP6170802B2 (en) * 2013-10-02 2017-07-26 ライオン株式会社 Handle body for toothbrush,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oothbrush
US20150119877A1 (en) 2013-10-25 2015-04-30 Covidien Lp Electrode ablation balloon catheter
CN205612045U (en) * 2016-03-24 2016-10-05 镇江洁友刷业有限公司 Adult's toothbrus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6015A1 (en) * 2009-12-18 2011-06-2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JP2015054209A (en) * 2013-09-13 2015-03-23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67566A (en) 2019-09-20
CN110267566B (en) 2022-03-22
TWI763892B (en) 2022-05-11
TW201909790A (en) 2019-03-16
JP6983568B2 (en) 2021-12-17
KR20200034658A (en) 2020-03-31
WO2019026685A1 (en) 2019-02-07
JP2019025028A (en) 201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9912B (en) Toothbrush
TWI520696B (en) Toothbrush
KR102237310B1 (en) Tooth brush
KR102185323B1 (en) Toothbrush
JP2023026519A (en) toothbrush
JP5081911B2 (en) toothbrush
JP7086002B2 (en) toothbrush
KR102625898B1 (en) toothbrush
KR102638892B1 (en) toothbrush
JP6478384B2 (en) Toothbrush handle body and toothbrush
CN111031850B (en) Tooth brush
JP6512703B2 (en) toothbrush
WO2015137487A1 (en) Toothbrush handle, toothbrus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othbrush
JP6842904B2 (en) toothbrush
JP5977942B2 (en) toothbrush
JP6842905B2 (en) Toothbrush and how to make a toothbrush
JP2018075269A (en) toothbrush
WO2018110299A1 (en) Toothbrus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othbrush
JP2024054019A (en) toothbrush
JP2006043275A (en) Hair 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