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893B1 - 일회용 피내침 및 이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피내침 및 이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893B1
KR102625893B1 KR1020210179505A KR20210179505A KR102625893B1 KR 102625893 B1 KR102625893 B1 KR 102625893B1 KR 1020210179505 A KR1020210179505 A KR 1020210179505A KR 20210179505 A KR20210179505 A KR 20210179505A KR 102625893 B1 KR102625893 B1 KR 102625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guide
hub
disposable
intrade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0603A (ko
Inventor
임성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179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893B1/ko
Publication of KR20230090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8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피내침 및 이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피내침은 몸체; 상기 몸체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와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바늘; 및 상기 몸체와 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시술자가 자신이 시술받는 침이 진짜침인지 거짓침인지 구별이 불가능하여 보다 완전한 이중맹검 상태를 확보할 수 있고, 피내침 시술시 자입 통증을 경감시켜 침의 안정적 자극 제공 및 피부에 자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피내침 및 이의 사용 방법{DISPOSABLE SHAM ACUPUNCTURE AND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일회용 피내침 및 이의 사용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거짓침과 함께 이중맹검 시험에 사용될 수 있고, 시술 시 자입 통증을 경감시켜 침의 안정적 자극 제공이 가능하며, 피부 위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일회용 피내침 및 이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침 치료는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서 이천 년 이상 시행되어 오는 치료법으로서, 침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관심 및 사용이 늘어나면서 그 작용방식 및 기전을 과학적으로 해석하려는 시도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침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 근거가 필요함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기초로 한 근거 중심의 침 치료 임상연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초기의 침 치료 임상연구에서는 대조군 설정 시 각 질환에 대한 기존의 치료나 무처치군을 사용하여 침 치료 군과 비교하였다. 그러나 침 치료 효과를 검증할 때 플라시보(placebo) 현상을 배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침이 대조군으로 사용되기 시작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침은 피시술자에 대하여 눈가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피시술자가 자신이 시술받는 침이 거짓침인지 진짜침인지 인식 가능한 경우가 많이 발생되어 제대로 된 무작위 대조군 실험이 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기존의 피내침은 피부 자입시 가압 통증을 심하게 유발할 수 있고 피부에 자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고 이탈되는 경우가 많았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10-1661748호(2016.09.2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육안으로는 피시술자가 자신이 시술받는 침이 진짜침인지 거짓침인지 구별이 불가능한 일회용 피내침 및 이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시술자 역시도 어느 것이 진짜침인지 거짓침인지 확인이 어려워, 보다 완전한 이중맹검 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일회용 피내침 및 이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내침 시술 시 자입 통증을 경감시켜 침의 안정적 자극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피부에 자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일회용 피내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회용 피내침은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몸체;
상기 몸체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와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바늘; 및
상기 몸체와 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몸체는 기둥과 바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공체 형상이다. 몸체의 바닥부는 피시술자의 피부에 접하는 부위이며, 바늘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이 부분에 가이드가 결합된다.
몸체 내부에는 바닥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허브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다. 허브 수용부는 기둥과 동축으로 연장되며 중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이에는 허브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몸체의 바닥부에는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된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늘려 안정적인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는 시술자가 누르는 부위로서 바늘의 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중공 원통 형태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이드는 외벽과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의 외벽은 몸체에 끼워지는 부분이다. 가압부는 시술 시 눌리는 상부로서 그 내면에는 허브가 결합되는 허브 결합부가 형성된다. 다만, 가이드와 허브는 고정적으로 결합되지 않아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바늘은 허브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허브는 바늘을 지지하며, 허브 몸체와 허브 헤드를 포함하여 리벳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늘은, 가이드가 가압된 상태에서 허브 몸체의 하부로부터 바닥부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피시술자의 피부에 자입되기에 충분한 길이로 형성된다.
스프링은 몸체의 허브 수용부 외주에 끼워진다. 스프링의 상단은 가이드의 가압부 내면에 접하여 유지되며, 하부는 몸체의 바닥부에 접하여 지지된다.
한편, 몸체의 바닥부에는 피내침이 피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점착 시트가 결합될 수 있다. 점착 시트에는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어, 시술 시에는 이형지를 제거하고 피부에 접촉시킨다.
또한, 몸체의 허브 수용부에는 탄성체가 장착될 수 있다. 탄성체는 가이드가 하강할 때 허브의 하부와 접하여 허브가 직접 바닥부에 접하는 충격을 완화하고, 또한 바늘의 급격한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지는 전술한 구성의 일회용 피내침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시술자의 가압에 의해 가이드가 몸체 내에서 하강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에 결합된 바늘이 가이드와 함께 하강하여 피시술자의 피부에 자입되는 단계;
시술자의 가압 해지 시 스프링의 복원력에 따라 가이드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단계; 및
상기 바늘이 피부에 자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회용 피내침 및 이의 사용 방법에 따르면, 시술자가 가이드의 가압부를 누르면 가이드가 하강하여, 허브에 결합된 바늘의 하단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자입된다.
이 상태에서 시술자가 가이드를 누르고 있던 손을 떼어 가압을 해지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가이드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나 허브와 바늘은 가이드와 독립되어 있으므로, 상승하지 않고 피부에 자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은 피내침의 내부에서 일어나며 외부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피시술자는 물론 시술자도 바늘이 실제 자입된 것인지 아닌지 확인할 수 없어, 이중맹검 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피내침 및 이의 사용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피시술자가 자신이 시술받는 침이 진짜침인지 거짓침인지 구별이 불가능하여, 무작위 대조군 실험에서 완벽한 눈가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시술자 역시도 어느 것이 진짜침인지 거짓침인지 확인이 어려워, 보다 완전한 이중맹검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이 복원력을 제공하고 침의 구조가 피부에의 자입 깊이를 규정할 수 있어, 피내침 시술시 자입 통증을 경감시켜 침의 안정적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피부에 자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피내침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피내침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피내침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일회용 피내침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놓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회용 피내침이 가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4의 일회용 피내침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일회용 피내침이 가압 해지되어 가이드가 복귀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피내침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내침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피내침(10)은 몸체(100), 가이드(200), 바늘(300), 스프링(400) 및 점착 시트(5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기본적으로 기둥(105)과 바닥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공체 형상이며 재질은 합성수지이다. 바닥부(110)는 피시술자의 피부에 접하는 부위이며, 바늘(300)이 통과하는 관통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100) 내부에는 바닥부(110)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허브 수용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허브 수용부(130)는 기둥(105)과 동축으로 연장되며 중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이에는 후술하는 허브(310)가 삽입된다.
몸체(10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서, 이 부분에 가이드(200)가 결합된다. 가이드(200)의 결합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몸체(100)의 기둥(105)은 하부로 가면서 지름이 약간 넓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기둥(105)의 내벽에는 가이드(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122)가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100)의 바닥부(110)에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114)가 형성됨으로써 피부와의 접촉면을 늘려 안정적인 접촉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몸체(100)의 바닥부(110) 하면에는 점착시트(500)가 부착된다. 점착 시트(500)는 바늘(300)이 통과하는 부분이 비어 있는 디스크 형상이다. 점착시트(500)에는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다. 이형지에는 점착시트(500)로부터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손잡이부(510)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200)는 시술자가 누르는 부위로서 바늘(300)의 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200)는 상부가 폐쇄되고 중공 원통 형태로 구성된다. 가이드(20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이다. 가이드(200)는 외벽(210) 및 가압부(220)를 포함한다. 가이드(200)는 몸체(100)에의 삽입 및 몸체(100) 내에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부로 가면서 지름이 약간 넓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200)의 외벽(210)은 몸체(100)에 끼워지는 부분이다. 외벽(210)의 하단 바깥부에는 몸체(100) 기둥(105)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부(122)와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212)가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
가압부(220)는 시술자가 피내침을 누르기 위해 가압하는 부위이다. 가압부(220)의 내면에는 허브(310)가 끼워지는 허부 결합부가 형성된다. 다만, 가이드(200)와 허브(310)는 고정적으로 결합되지 않아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가이드(200)는 몸체(100) 내에 삽입되고 몸체(100)에 대해 바늘(30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바늘(300)은 금속,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된다. 바늘(300)은 허브(310)와 함께 가이드(200)에 삽입되어 허브(310)와 일체로 움직인다.
허브(310)는 바늘(3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허브(310)는 허브 몸체(312)와, 허브 몸체(312) 상부의 허브 헤드(314)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외형이 리벳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허브(310)의 하부에는 바늘(300)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허브 몸체(312)는 바늘이 결합되는 하부 외에는 내부가 비어 있어 바늘 삽입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바늘의 고정이 확실하도록 전체가 중실 형태로 되어 있어도 된다. 바늘(300)은 허브 몸체(312)의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바늘(300)은, 가이드(200)가 가압된 상태에서 허브 몸체(312)의 하부로부터 바닥부(110)의 관통공(112)을 통과하여 피부에 자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스프링(400)은 가이드(200)에 압력이 인가되어 시술이 수행된 후 가이드(200)를 원위치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스프링(40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400)은 몸체(100)의 허브 수용부(130)의 외주에 끼워진다. 스프링(400)의 상단은 가이드(200)의 가압부(220) 내면에 의해 지지되며, 하단은 몸체(100)의 바닥부(110)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스프링(400)은 피내침(1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가이드(200)의 하강에 대해 적절한 저항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시술 후에는 원상복귀를 위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한편, 몸체(100)의 기둥(105) 내 바닥부(110) 위에는 디스크 형상의 탄성체(600)가 장착된다. 탄성체(600)는 스펀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200)가 하강할 때 허브(310)의 하부와 접하여 허브(300)가 직접 바닥부(110)에 접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바늘(300)은 탄성체(600)를 뚫고 하강하기 때문에, 탄성체(600)에 의해 바늘(300)의 급격한 움직임이 제어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의 피내침의 사용 방법을 도 3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피내침 사용 방법은 시술자의 가압에 의해 가이드가 몸체(100) 내에서 하강하는 단계(S100), 가이드에 결합된 바늘(300)이 가이드(200)와 함께 하강하여 피시술자의 피부에 자입되는 단계(S200), 및 시술자의 가압 해지에 의해 스프링(400)의 복원력에 따라 가이드(200)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단계(S300), 바늘 (300)이 피부에 자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400)로 구성된다.
각 단계를 설명하면, 먼저 점착시트(500)에 부착된 이형지를 손잡이부(510)로부터 제거하고 피시술자의 피부에 점착시트(500)를 부착함으로써 피내침(10)을 위치시킨다. 이어서 시술자가 가이드(200)의 가압부(220)를 누르면, 가이드(200)는 몸체(100) 내에서 스프링(400)을 압축하면서 하강한다(S100).
이에 따라, 가이드(200)에 허브(310)와 함께 결합된 바늘(300)도 하강하여 피시술자의 피부에 자입된다(S200).
이후 시술자가 가이드(200)를 누르는 힘을 해지하면, 눌려 있던 스프링(400)의 탄성에 의해 가이드(200)가 상승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한다(S300). 가이드(200)는 돌출부(212)가 몸체(100)의 걸림부(122)에 걸림으로써 몸체(100)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이때, 허브(310) 및 그에 결합된 바늘(300)은 피부와의 결합에 의해, 가이드(200)로부터 이격되면서 피부에 자입된 상태를 유지한다(S400).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 피내침(10)의 작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서 이형지가 제거된 피내침(10)은 점착시트(500)를 피시술자에 접촉시킴으로써 피시술자의 피부에 놓인다.
이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가이드(200)가 하강하면 바늘(300)도 하강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난 것과 같이, 허브(310)의 하부가 탄성체(600)의 상부에 접하여 가이드(200)는 저항을 받게 되고 하강이 멈춘다. 탄성체(600)가 없는 경우의 실시예라면 허브 헤드(314)의 하부가 허브 수용부(130)의 상면에 접하는 시점에서 하강이 멈추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피내침(10)은 가이드(200)의 하부로부터 바늘(300)이 몸체(100) 바닥부(110)를 통과하여 피시술자 피부에 자입된다. 이에 따라, 바늘(300)이 피부에 자입되는 깊이를 한정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침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과도한 깊이의 자입이 방지되어, 통증을 경감하고 안정적인 자극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술자가 가이드(200)에서 손을 떼어 가압력을 해지하면, 가이드(200)는 스프링(400)의 탄성에 의해 바늘(300)과 함께 상승하여 도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나, 허브(310)와 이에 결합된 바늘(300)은 가이드(200)와 일체로 결합된 것이 아니고 단순히 가압부(220) 내면의 허브 결합부에 넣어진 상태이므로, 가이드(200)의 상승에도 이동하지 않는다. 즉, 바늘(300)은 가이드(200)로부터 이격되면서 분리될 뿐 피부에 자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과정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피시술자는 물론이고 시술자 역시도 본 발명의 거짓침이 진짜침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내침(10)과 외형이 같으나 바늘(300)이 피부에 자입되지 않고 가이드(200)와 일체로 복귀하는 형태의 거짓침이 함께 사용될 경우, 실제 어떤 침이 자입되고 어떤 침이 자입되지 않았는지 피시술자는 물론이고 시술자까지도 구별할 수 없어 완벽한 눈가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정확한 이중맹검 시험의 구현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피내침 100: 몸체
105: 기둥 110: 바닥부
112: 관통공 114: 연장부
122: 걸림부 130: 허브 수용부
200: 가이드 210: 외벽
212: 돌출부 220: 가압부
300: 바늘 310: 허브
312: 허브 몸체 314: 허브 헤드
400: 스프링 500: 점착시트
510: 손잡이부 600: 탄성체

Claims (8)

  1.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중공형 기둥을 포함하며, 내부에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기둥과 동축으로 상부로 연장되며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 허브 수용부를 포함하는 몸체;
    외벽 및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
    바늘;
    상기 바늘이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에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몸체의 허브 수용부 외주에 끼워지며 상단은 상기 가이드의 가압부 내면에 의해 지지되며 하단은 몸체의 바닥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피내침.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브가, 허브 몸체 및 상기 허브 몸체 상부의 허브 헤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피내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바닥부로부터 원주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피내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바닥부에 점착 시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피내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에 장착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피내침.
  8. 삭제
KR1020210179505A 2021-12-15 2021-12-15 일회용 피내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625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505A KR102625893B1 (ko) 2021-12-15 2021-12-15 일회용 피내침 및 이의 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505A KR102625893B1 (ko) 2021-12-15 2021-12-15 일회용 피내침 및 이의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603A KR20230090603A (ko) 2023-06-22
KR102625893B1 true KR102625893B1 (ko) 2024-01-17

Family

ID=86989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505A KR102625893B1 (ko) 2021-12-15 2021-12-15 일회용 피내침 및 이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8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479B1 (ko) * 2014-10-02 2015-10-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침 세트
KR101731021B1 (ko) * 2016-10-28 2017-04-27 대한민국 스프링을 구비한 패치형 샴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597B1 (ko) * 2009-06-30 2011-04-2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KR101661398B1 (ko) * 2014-09-05 2016-09-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방 침과 이를 이용한 한방 침 세트
KR101661748B1 (ko) 2014-09-05 2016-09-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거짓 침 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479B1 (ko) * 2014-10-02 2015-10-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침 세트
KR101731021B1 (ko) * 2016-10-28 2017-04-27 대한민국 스프링을 구비한 패치형 샴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603A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15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thdrawing blood
CA2339223C (en) Safety needle, placebo needle, and needle set for double-blinding
KR101031597B1 (ko)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PL197819B1 (pl) Urządzenie do pobierania płynu ustrojowego z obszaru części ciała, w szczególności z opuszka palca
KR102625893B1 (ko) 일회용 피내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616014B1 (ko) 일회용 거짓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40014342A (ko)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40014346A (ko)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거짓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40014351A (ko) 자극 제공이 가능한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40014353A (ko) 자극 제공이 가능한 거짓침 및 이의 사용 방법
WO2016192416A1 (zh) 一种浮针疗法用针灸针
KR102615934B1 (ko) 레이저 가공부를 포함하는 거짓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0497115B1 (ko) 한방용 연속 자침기
KR20230086190A (ko) 레이저 가공부를 포함하는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40016503A (ko) 이중맹검용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40016505A (ko) 이중맹검용 거짓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591818B1 (ko) 자석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545891B1 (ko) 탄성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WO2019119382A1 (zh) 一种进针器及其应用
KR102458419B1 (ko) 본드 캡슐이 구비된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00019607A (ko) 젓가락 및 젓가락용의 보조구
KR102545887B1 (ko) 탄성부를 포함하는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591816B1 (ko) 자석부를 포함하는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097412B1 (ko) 일회용 니들 임플란트 보조구
KR102253071B1 (ko) 본드 캡슐이 구비된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