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891B1 - 탄성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탄성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891B1
KR102545891B1 KR1020210051691A KR20210051691A KR102545891B1 KR 102545891 B1 KR102545891 B1 KR 102545891B1 KR 1020210051691 A KR1020210051691 A KR 1020210051691A KR 20210051691 A KR20210051691 A KR 20210051691A KR 102545891 B1 KR102545891 B1 KR 102545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ond
acupuncture
tube
dum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5069A (ko
Inventor
임성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051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89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3Need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침관; 상기 침관 하부에 형성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본드가 충전된 본드 캡슐; 및 상기 침관 내에 구비되는 바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 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짓 침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피시술자는 자신이 시술받는 침이 진짜 침인지 거짓 침인지 구별이 불가능하여, 무작위 대조군 실험에서 완벽한 눈가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탄성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SHAM ACUPUNCTURE WITH ELASTIC MEMBER AND THE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탄성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진짜 침과 함께 사용되며, 침관 하부에 형성된 탄성 재질의 탄성부를 가압하여 시술이 이루어져 시술시 보다 정확한 위치의 피부에 부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침 치료는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서 이천 년 이상 시행되어 오는 치료법으로서, 침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관심 및 사용이 늘어나면서 그 작용방식 및 기전을 과학적으로 해석하려는 시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침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 근거가 필요함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기초로 한 근거 중심의 침 치료 임상연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초기의 침 치료 임상연구에서는 대조군 설정 시 각 질환에 대한 기존의 치료나 무처치군을 사용하여 침 치료 군과 비교하였다. 그러나 침 치료 효과를 검증할 때 플라시보(placebo) 현상을 배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거짓 침이 대조군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거짓 침은 피시술자에 대하여 눈가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피시술자가 자신이 시술받는 침이 거짓 침인지 진짜 침인지 인식 가능한 경우가 많이 발생되어 제대로 된 무작위 대조군 실험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거짓침은 피부에 자입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진짜 침과 유사한 형태로 구현할 경우 피부에의 부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10-2015-018938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육안으로는 시술자와 피시술자가 침이 진짜 침인지 거짓 침인지 구별이 불가능하도록 한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거짓 침을 제공한다.
침관;
상기 침관 하부에 형성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본드가 충전된 본드 캡슐; 및
상기 침관 내에 구비되는 바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 침.
본 발명에 따르면, 거짓 침의 시술 시 침관 하부의 탄성부를 가압함에 따라 탄성부 내에 위치하는 본드 캡슐이 파괴되어 본드가 유출되고 피부에 도포됨으로써 침의 부착을 견고하게 하여준다.
탄성부는 침관 하부에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되며, 재질은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이다.
본드 캡슐은 내부에 액체 상태의 본드가 충전되어 있다. 본드 캡슐은 접착제 등에 의해 탄성부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본드 캡슐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육면체 또는 구형일 수 있다. 또는 하부가 뾰족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압력이 뾰족한 하단부에 집중되어 파괴가 더욱 용이해진다. 더욱이, 깔대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 본드의 유출도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거짓 침에 의하면, 시술자가 침관의 탄성부를 누르면 탄성부는 수축하고, 그 힘이 본드 캡슐에 전달된다. 그 결과 본드 캡슐은 파괴되고, 내부의 본드가 유출된다. 유출된 본드는 중력에 의해 하부로 흘러내려 피부에 도포된다.
이어서, 시술자가 바늘 부재를 가압하면, 바늘 부재가 침관 내에서 하강하여 본드 캡슐을 뚫고 피부에 접하게 된다. 이때 바늘 부재는 본드가 도포된 피부에 접하기 때문에, 본드의 접착력에 의해 피부에 접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드 캡슐은 상부와 측부보다 하부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시술자가 탄성부를 누를 때, 본드 캡슐은 두께가 얇은 하부에서 우선적으로 파괴가 일어난다. 따라서 캡슐 내부의 본드는 침관 내에서 상부나 측부가 아닌 하부로만 유동하게 되어 빠르게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거짓 침은 상기 바늘 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관의 상단에는 마찰 지지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마찰 지지 부재는 발포 폴리스타이렌(expanded polystyrene) 또는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 지지 부재는 바늘 부재가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너무 쉽게 침관 내로 삽입되지 않도록 저항하는 마찰력을 제공한다.
본드 캡슐 내의 본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cyanoacrylate), 피브린 글루(fibrin glue), 단백질 글루(protein-based glue), 폴리에틸렌글리콘 글루(polyethylene glycol glue), 폴리우레탄 글루(polyurethane glue), 메틸리딘 말로닉(methylidene malonate) 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드에는 아로마 오일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로마 오일로서는 라벤더, 패츌리, 탄제린, 기타 다양한 오일이 사용 가능하다. 아로마 오일이 본드에 포함됨에 따라, 피부 자극을 진정시키고, 방향에 따라 피시술자의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다. 무엇보다, 아로마 오일의 향에 의해 피시술자의 주의를 분산시킴으로써, 이중 맹검 시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드 캡슐의 외피는 내부의 본드가 유출되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바늘 부재의 가압에 의해 파괴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재질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젤라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압 부재와 침관 사이에 구비되어, 가압 부재가 상기 침관 측으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토록, 측면이 개방된 형태의 안전 링(r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지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의 거짓 침의 사용 방법으로서,
탄성부의 가압에 의해 본드 캡슐이 파괴되는 단계;
파괴된 본드 캡슐로부터 본드가 유출되어 피부에 도포되는 단계;
가압 부재의 가압에 의해 바늘 부재가 하강하는 단계;
상기 바늘 부재가 본드 캡슐을 관통하는 단계;
본드 캡슐을 관통한 바늘 부재가 피시술자의 피부에 접하는 단계.
이때, 가압 부재가 침관 방향으로 하강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가압 부재와 상기 침관 사이에 끼워져 있던 안전 링을 제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성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피시술자가 자신이 시술받는 침이 진짜 침인지 거짓 침인지 구별이 불가능하여, 무작위 대조군 실험에서 완벽한 눈가림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기존의 거짓 침은 시술 후에 피부에서 이탈되어 피시술자가 쉽게 자신이 시술받는 침이 거짓 침인지 진짜 침인지 여부에 대하여 인식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거짓 침도 피시술자의 피부에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피시술자가 침의 종류를 인식하지 못한다. 더욱이, 시술자까지도 자신이 시술하는 침이 거짓 침인지 알 수 없어 정확한 이중 맹검 시험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거짓 침의 시술시, 거짓 침이 자입되지 않으면서도 피시술자에게 진짜 침과 동일한 통감을 제공하여 침 치료 효과의 검증에 더욱 정확한 근거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침 치료의 효과가 플라시보 효과에 의한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정확한 근거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보관 시에는 안전 링이 침관과 가압 부재 사이에 끼워지므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 시에는 간단하게 이러한 안전 링만 제거하고 사용하면 되므로, 기존의 거짓 침에 비하여 시술시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거짓 침을 옆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거짓 침의 침 지지대를 이용하여 진짜 침을 시술하였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거짓 침의 침 지지대를 이용하여 거짓 침을 시술하였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짓 침의 외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짓 침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짓 침의 탄성부가 눌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짓 침에서 바늘 부재가 피부에 접한 상태는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짓 침의 일부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마찰 부재가 결합된 거짓 침의 정면도로서, (a)와 (b)는 각각 바늘 부재를 가압하기 전과 후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짓 침의 보관 시 안전 링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안전 링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의 사용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거짓 침 중 하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은 종래의 거짓 침을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기존의 거짓 침은 침두(1), 침간(2), 침첨(3)으로 이루어지는 침과 이러한 거짓 침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피부 접착에 필요한 커버가 있는 비닐 테이프(9)를 피복한 피부 접촉면(8)이 결합되어 있는 부착부(7)와 이러한 부착부(7)를 관통하여 거짓 침 등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침 유도관(6)을 포함하는 침 지지대로 구성되었다.
도 2는 종래의 거짓 침의 침 지지대를 이용하여 진짜 침을 시술하였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이중 맹검 시험을 위해서는 진짜 침과 거짓 침이 외관상으로는 피시술자에게 동일하게 인식되어 완벽한 눈가림 효과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거짓 침을 이용한 이중 맹검 시험에서는 진짜 침을 시술할 때에도 종래의 거짓 침의 침 지지대의 침 유도관(6)에 진짜 침을 삽입하여 피시술자에게 시술하였다.
도 3은 종래의 거짓 침의 침 지지대를 이용하여 거짓 침을 시술하였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실험군에 도 2와 같이 진짜 침을 자입한 이후에, 대조군에는 도 3과 같이 침 지지대의 침 유도관(6)에 거짓 침을 삽입하여 피시술자에게 시술한다. 거짓 침은 진짜 침과는 달리 침첨(3)이 뭉툭하므로, 피시술자의 피부를 관통하여 자입되지는 않는다.
즉, 종래의 거짓 침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피시술자에게 완벽한 눈가림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피부 상에 부착되는 침 지지대를 통하여 진짜 침 또는 거짓 침을 시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거짓 침은 비닐 테이프를 이용하여 환자에 부착하므로, 접착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피부에서 떨어지거나, 환자의 움직임 등을 통하여 시술된 부분에서 이탈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이렇게 이탈된 침을 인식함으로써 피시술자는 자신이 시술받은 침이 진짜 침인지 거짓 침인지 인식이 가능하여 환자에게 완벽한 눈가림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시술 과정에서도 비닐테이프(9)를 일일이 제거하고 시술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짓 침의 외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짓 침(100)은 가압 부재(110), 가압 부재(110)와 연결된 바늘 부재(120), 바늘 부재(120)가 내장되는 침관(130), 본드 캡슐(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서 거짓 침(100)은 외부에서 보면 가압 부재(110), 침관(130), 가압 부재(110)와 침관(130) 사이로 노출되는 바늘 부재(120)만 인식될 뿐이다.
따라서 무작위 대조군 시험에 사용되기 전에 겉모습만으로는 피시술자는 어느 것이 진짜 침인지 거짓 침(100)인지 확인할 수 없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짓 침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거짓 침(100)의 침관(130) 하부에는 탄성부(135)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135)는 침관(130)의 하부에 접착되어 있다. 탄성부(135)의 재질은 실리콘 등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탄성부(135)의 내면에는 본드 캡슐(140)이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드 캡슐(140)은 육면체 형상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드 캡슐(140)은 내부에 액상의 본드를 포함하고 있다. 본드는 본드 캡슐(140)이 파괴될 경우 유출되어 피부에 부착됨으로써 바늘 부재(120)의 피부 고정을 강화한다.
본드의 재질은 봉합사나 스테이플러 대신에 상처 봉합에 사용되는 의료용 본드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cyanoacrylate), 피브린 글루(fibrin glue), 단백질 글루(protein-based glue), 폴리에틸렌글리콘 글루(polyethylene glycol glue), 폴리우레탄 글루(polyurethane glue), 메틸리딘 말로닉(methylidene malonate) 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드는, 상기 물질 외에도, 본드 캡슐(140)이 파열되면 신속하게 흘러나와 피부에 접한 뒤 빠르게 건조되는 특성을 가지는 액상 물질이면 사용 가능하다.
한편, 본드에는 아로마 오일이 첨가될 수 있다. 아로마 오일로서는 라벤더, 패츌리, 탄제린, 기타 다양한 오일이 사용 가능하다.
아로마 오일이 본드에 포함됨에 따라, 피부 자극을 진정시키고, 방향 효과에 따라 피시술자의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아로마 오일의 향에 의해 피시술자의 주의를 분산시킴으로써, 이중 맹검 시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료용 본드를 사용함에 따라 본드와 피부의 접촉으로 인한 부작용 염려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드 캡슐(140)의 외피는 내부의 액상 본드를 수용할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본드 캡슐(140)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 본드는 높은 압력으로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가압 시 신속하게 파괴됨과 동시에 낙하되어 피부 영역으로 도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드 캡슐(140)의 외피는 젤라틴과 같은 탄성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짓 침의 탄성부가 눌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시술자가 침관(130)의 탄성부(135)를 누르면 탄성이 있는 탄성부(135)는 수축하고, 그 힘이 본드 캡슐(140)에 전달된다. 그 결과 본드 캡슐(140)은 파괴되고, 내부의 본드가 유출된다. 유출된 본드는 중력에 의해 하부로 흘러내려 피부의 'A' 부위에 도포된다.
이때, 본드 캡슐(140)은 상부와 측부보다 하부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시술자가 탄성부(135)를 누를 때, 본드 캡슐은 두께가 얇은 하부에서 우선적으로 파괴가 일어난다. 따라서 본드 캡슐(140) 내부의 본드는 침관(130) 내에서 상부나 측부가 아닌 하부로만 유동하게 되어 빠르게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본드 캡슐(140)의 파괴 후 시술자가 탄성부(135)에서 손을 떼면, 탄성부(135)와 본드 캡슐(140)은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짓 침에서 바늘 부재가 피부에 접한 상태는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탄성부(135)가 복귀된 상태에서 시술자가 가압 부재(110)를 누르면 가압 부재(110)와 바늘 부재(120)가 침관(130)의 내부에서 하강한다. 그 결과, 바늘 부재(120)는 본드 캡슐(140) 상면에 도달하여 접한 뒤 본드 캡슐(140)의 상면과 하면을 차례로 뚫고 하강하여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에 접한다. 바늘 부재(120)의 말단은 피부에 자입되지 않도록 뭉툭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침 자체의 지름이 작은 바늘 형태이기 때문에 본드 캡슐(140)의 상부와 하부를 뚫고 통과하기에 충분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바늘 부재(120)는 피부에 접촉하여 통감을 제공하지만 실제로는 자입되지 않은 상태이며, 본드 캡슐(140)로부터 흘러나온 본드에 의하여 바늘 부재(120)와 침관(130)이 피부에 고정됨으로써, 대조군의 피실험자는 자신이 시술받은 침이 거짓 침인지 진짜 침인지 구별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침에 의하면 무작위 대조군 실험에서 대조군으로 설정된 피시술자나 실험군으로 설정된 피시술자가 침 시술을 받기 전이나 받은 후에도 자신이 시술받은 침이 진짜 침인지 거짓 침인지 분별할 수 없는 완벽한 눈가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거짓 침(100)은 피부에 자입되지만 않지만 지름이 매우 작은 바늘 형태이기 때문에 시술받는 자에게 진짜 침과 유사한 통감을 제공한다. 따라서 무작위 대조군 실험에서 침의 효과가 플라시보 효과인지 여부에 대한 논란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시술자조차도 거짓 침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보다 완벽한 실험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짓 침의 일부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본드 캡슐(140)의 하부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에 따라, 탄성부(135)를 누를 때, 본드 캡슐(140)에 가해지는 힘은 하부의 뾰족한 부분에 집중된다. 그 결과 빠른 파괴와 신속한 유출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거짓 침(100)의 시술 및 보관 등을 위해 추가적인 다양한 구성을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마찰 부재가 결합된 경우를 나타내며, (a)와 (b)는 각각 바늘 부재가 가압되기 전과 후의 도면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바늘 부재(120)가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너무 쉽게 침관(130) 내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침관(130)의 상부에 접합되는 마찰 지지 부재(150)를 제공하여, 침관(130)의 하강에 저항하는 적절한 마찰력을 제공한다. 마찰 지지 부재(150)는 발포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또는 고무 등 탄성이 있는 물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면에서 (a)와 같은 상태에 있는 바늘 부재(120)를 시술자가 누르면, 바늘 부재(120)는 마찰 지지 부재(150)를 관통하여 도면의 (b)와 같이 침관(130) 내부로 삽입될 때 탄성 물질의 저항을 극복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나 사용자의 아주 작은 힘에 의한 가압만으로도 하강되어 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마찰 지지 부재(150)는 바늘 부재(120)가 눌리는 깊이를 한정하는 역할도 수행함으로써, 바늘 부재(120)가 피부에 지나치게 강한 압력으로 시술되는 것도 방지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짓 침의 보관 시 안전 링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4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짓 침들이 운반 시 또는 보관 시 외부 충격에 의하여 가압 부재(110)가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압 부재(110)와 침관(130) 사이에 안전 링(170)을 구비한다.
도 11은 도 10의 안전 링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안전 링(170)은 한 측에 개구부(B)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 링 모양으로 형성된다. 안전 링(170)은 탄성 재질이며, 따라서 침을 안전 링(170)으로부터 분리할 때는 개구부를 벌리면서 빼내면 된다.
따라서 침의 사용자는 거짓 침(100)이 수용된 박스를 개봉한 후, 거짓 침(100)에 끼워져 있던 안전 링(170)을 간단히 제거하고 사용한다. 따라서, 미사용 시 의도하지 않게 침이 눌리는 일이 방지된다.
한편, 도 10에서는 마찰 지지 부재가 없는 상태에서 안전 링(170)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데, 마찰 지지 부재가 결합되고 그 위에 안전 링(170)이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안전 링(170)이 끼워질 수 있도록 마찰 지지 부재의 지름이 침관(130)에 비해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짓 침의 사용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짓 침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거짓 침(100)을 사용하기 위해서 안전 링(170)이 제거되는 과정이 수행된다(S100). 다음으로는, 탄성부(135)의 가압에 의해 본드 캡슐(140)이 파괴되는 단계가 수행된다(S200). 파괴된 본드 캡슐(140)로부터 본드가 유출되어 피부에 도포되는 단계(S300)가 이어진다. 이어서, 가압 부재(110)가 침관(130) 방향으로 하강하는 과정이 수행되며(S400), 가압 부재(110)가 하강하여 바늘 부재(120)가 본드 캡슐(140)을 관통하게 된다(S500). 본드 캡슐(140)을 관통한 바늘 부재(120)는 피시술자의 피부 상에 고착되고(S600), 그 결과 거짓 침(100)이 피부 상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짓 침 사용 방법에 의하면 피시술자에게 완벽한 눈가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대조군의 피시술자에게도 진짜 침을 자입받는 것과 유사한 통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거짓 침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에서 실험자가 바람직한 대조군과 실험군을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침두 2: 침간
3: 침첨 6: 침 유도관
7: 부착부 8: 피부 접촉면
9: 비닐 테이프 100: 거짓 침
110: 가압 부재 120: 바늘 부재
130: 침관 135: 탄성부
140: 본드 캡슐 150: 마찰 지지 부재
170: 안전 링

Claims (6)

  1. 침관;
    상기 침관 하부에 형성되며, 가압 시 침관 중심 방향으로 눌리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액상 본드가 충전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의 가압에 의해 파괴될 수 있는 본드 캡슐;
    상기 침관 내에 구비되며 단부가 뭉툭하게 형성되는 바늘 부재; 및
    상기 바늘 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드 캡슐의 하부가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드 캡슐의 하부가 상부 및 측부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 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관의 상단에 구비되는 마찰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
  6. 삭제
KR1020210051691A 2021-04-21 2021-04-21 탄성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545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691A KR102545891B1 (ko) 2021-04-21 2021-04-21 탄성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691A KR102545891B1 (ko) 2021-04-21 2021-04-21 탄성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069A KR20220145069A (ko) 2022-10-28
KR102545891B1 true KR102545891B1 (ko) 2023-06-22

Family

ID=8383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691A KR102545891B1 (ko) 2021-04-21 2021-04-21 탄성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8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056B1 (ko) * 2019-12-03 2020-09-23 대한민국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597B1 (ko) * 2009-06-30 2011-04-2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056B1 (ko) * 2019-12-03 2020-09-23 대한민국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069A (ko)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056B1 (ko)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US3905375A (en) Acupuncture needle
US7617932B2 (en) Medical device package, kit and associated methods
US5800403A (en) Safety syringe
JP3688287B1 (ja) 眼科用インプラントを送達するための装置
JP2002500061A (ja) 注射器
JP2019509870A (ja) ガスキャニ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0072798A1 (en) Safe needle, placebo needle, and needle set for double blind
CN105979914A (zh) 用于治疗剂的视网膜下递送的系统和方法
CN102613977B (zh) 凸轮致动的医疗穿刺装置
KR102253077B1 (ko) 본드 캡슐이 구비된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070108150A (ko) 연장 가능한 자동 인입식 의료용 주사기
US6524284B1 (en) Medical injection patch
KR102545891B1 (ko) 탄성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458419B1 (ko) 본드 캡슐이 구비된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30077164A (ko) 자석부를 포함하는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253071B1 (ko) 본드 캡슐이 구비된 거짓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545887B1 (ko) 탄성부를 포함하는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CN107072645A (zh) 泡罩条带
US10307145B2 (en) Vessel sealing device
KR20230077156A (ko) 자석부를 포함하는 침 및 이의 사용 방법
US7063683B2 (en) Non-mechanical syringe and needle assembly needle guard
KR102616014B1 (ko) 일회용 거짓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615934B1 (ko) 레이저 가공부를 포함하는 거짓침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30090603A (ko) 일회용 피내침 및 이의 사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