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148B1 - 표적 탐지를 위한 송신원 선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송신원 선정 장치 - Google Patents

표적 탐지를 위한 송신원 선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송신원 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148B1
KR102625148B1 KR1020210111914A KR20210111914A KR102625148B1 KR 102625148 B1 KR102625148 B1 KR 102625148B1 KR 1020210111914 A KR1020210111914 A KR 1020210111914A KR 20210111914 A KR20210111914 A KR 20210111914A KR 102625148 B1 KR102625148 B1 KR 102625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r
signal
transmitters
transmitting
transmitting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9432A (ko
Inventor
정인환
김산해
곽현규
이종환
송규하
이병남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11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148B1/ko
Publication of KR20230029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42Determining the position of transmitters to be subsequently used in positio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18Multipath in signal rece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46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involving frequency difference of arrival or Doppler measur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표적 탐지를 위한 송신원 선정 방법은, 안테나가 복수의 송신원으로부터 직접 수신된 기준 신호 및 복수의 송신원으로부터 송신되어 복수의 표적에 반사된 후 수신된 반사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수신된 기준 신호 및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송신원 중에서, 복수의 송신원 각각의 추정 방위인 제 1 방위와 복수의 송신원 각각의 실제 방위인 제 2 방위 사이의 방위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송신원을 선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 1 송신원 중에서, 제 1 송신원 중 어느 하나와는 상이한 제 2 송신원의 제 1 송신원의 기준 신호에 대한 간섭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제 3 송신원을 복수의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적 탐지를 위한 송신원 선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송신원 선정 장치{METHOD OF SELECTING TRANSMISSION SOURCE FOR DETECTION OF TARGET LOCATION AND TRANSMISSION SOURCE SELECTION DEVICE PERFORMING METHOD}
본 발명은 송신원 신호와 표적에 반사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최적의 송신원을 선정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송신원 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스태틱 PCL(passive coherent location) 시스템은 FM 라디오 방송,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디지털 TV 방송 등과 같은 복수의 제 3의 송신원에서 방사되는 신호를 직접 수신하는 기준신호와 이동 중인 표적에서 반사되어 수신되는 표적반사신호의 도래시간차이(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및 도래주파수차이(frequency difference of arrival, FDOA)를 추정하여 바이스태틱 거리 및 바이스태틱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특정 표적과 연계하여 표적의 위치를 탐지하는 시스템이다.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이 표적을 효과적으로 탐지하기 위해서는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에 도달하는 신호의 품질이 우수한 송신원을 선정하여야 한다. 신호의 세기가 클수록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의 탐지범위가 확대되므로 종래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은 수신 신호세기가 높은 순으로 송신원을 선정하며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는 송신원은 배제하고 동일 송신소에 여러 송신원을 선택하는 것은 기하학적 배치 측면에서 불리하므로 동일 송신소에서 복수 송신원을 선정하지 않는 방식으로 송신원을 선정할 수 있다.
실제 운용환경에서는 제 3의 송신원과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의 위치에 따른 신호의 가시거리(LOS, line of sight)상의 간섭, 주변 클러터에 의한 간섭, 동일 주파수를 이용하는 타 송신원에 의한 간섭,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과 근거리에 위치한 고출력 송신원의 기준신호 간섭 및 송신원의 실시간 음원 변화에 따른 유효대역폭 변화 등 여러 환경요인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신호품질을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다방면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송신원을 효율적으로 선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적 탐지를 위한 송신원 신호의 품질을 분류하여 단계별 분석을 통해 최적의 송신원을 선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표적 탐지를 위한 송신원 선정 방법은, 상기 안테나가 복수의 송신원으로부터 직접 수신된 기준 신호 및 상기 복수의 송신원으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복수의 표적에 반사된 후 수신된 반사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기준 신호 및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원 중에서, 상기 복수의 송신원 각각의 추정 방위인 제 1 방위와 상기 복수의 송신원 각각의 실제 방위인 제 2 방위 사이의 방위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송신원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송신원 중 어느 하나와는 상이한 제 2 송신원이 송신하는 상기 제 1 송신원의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간섭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송신원 중에서, 제 3 송신원을 상기 복수의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방위는, 수신된 기준 신호 및 반사 신호를 수신 방위 연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원의 방위를 추정한 방위이고, 상기 제 2 방위는 상기 복수의 송신원과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는 시스템의 기 정해진 위치관계를 이용하여 기하학적으로 상기 표적의 실제 방위를 계산한 방위일 수 있다. 상기 제 2 송신원은, 상기 제 1 송신원의 상기 제 1 방위 외의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송신원의 상기 기준 신호의 세기는 소정의 신호 세기 이상이며, 상기 제 2 송신원의 기준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 1 송신원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기준 신호 및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원 각각에 대해 시간에 따른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또는 FDOA(frequency difference of arrival)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송신원의 TDOA 또는 FDOA에 기초하여, 신호품질 지속성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신호품질 지속성 만족 여부를 더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송신원으로부터 송신된 기준 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신호 세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신호 세기를 더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정된 상기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후보 송신원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단계;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소정의 개수까지 상기 후보 송신원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정된 상기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복수의 송신원 중에서 선정된 상기 후보 송신원과는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 4 송신원 사이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단계; 상기 제 4 송신원 중에서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소정의 개수에서 상기 표적 탐지를 위한 상기 후보 송신원의 개수의 차이만큼 상기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으로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제 1 방위와 제 2 방위 사이의 방위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제 3 송신원에 양의 값인 기 설정된 제 1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신호 품질 지속성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원에 양의 값인 기 설정된 제 2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복수의 송신원의 상기 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값 이상인 송신원에 양의 값인 기 설정된 제 3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 송신원에 대해 상기 제 1 내지 제 3 가중치의 합이 높은 순서대로 송신원을 배열한 순위일 수 있다.
상기 표적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한 송신원을 선정한 시점 이후에, 상기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안테나가 상기 복수의 송신원으로부터 직접 수신된 기준 신호 및 상기 복수의 송신원으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복수의 표적에 반사된 후 수신된 반사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기준 신호 및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원 중에서, 상기 복수의 송신원 각각의 추정 방위인 제 1 방위와 상기 복수의 송신원 각각의 실제 방위인 제 2 방위 사이의 방위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송신원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송신원 중에서, 상기 제 1 송신원 중 어느 하나와는 상이한 제 2 송신원의 상기 제 1 송신원의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간섭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제 3 송신원을 상기 복수의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상기 복수의 표적의 위치가 변하거나 상기 복수의 표적 중에서 특정 표적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송신원 선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가 복수의 송신원으로부터 송신된 기준 신호 및 상기 복수의 송신원으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표적에 반사된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기준 신호 및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원 각각에 대해 시간에 따른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또는 FDOA(frequency difference of arrival)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송신원의 TDOA 또는 FDOA에 기초하여, 신호품질 지속성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신호품질 지속성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원을 상기 복수의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품질 지속성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송신원의 TDOA 또는 FDOA가 주기적으로 측정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송신원의 측정된 TDOA 또는 FDOA의 개수가 많은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송신원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송신원 중에서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로 배열하여 높은 순서대로 소정의 개수의 송신원이 신호품질 지속성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원 선정 장치는 복수의 송신원으로부터 직접 수신된 기준 신호 및 상기 복수의 송신원으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복수의 표적에 반사된 후 수신된 반사 신호를 획득하는 안테나; 상기 수신된 기준 신호 및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원 중에서, 상기 복수의 송신원 각각의 추정 방위인 제 1 방위와 상기 복수의 송신원 각각의 실제 방위인 제 2 방위 사이의 방위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송신원을 선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송신원 중에서, 상기 제 1 송신원 중 어느 하나와는 상이한 제 2 송신원의 상기 제 1 송신원의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간섭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제 3 송신원을 상기 복수의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으로 선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표적 탐지를 위한 송신원을 송신원의 신호 무결성, 송신원의 신호 세기 및 송신원의 신호품질 지속성에 기초하여 선정함으로써, 송신원의 신호가 지속적으로 검출되는 송신원을 선택하여, 표적을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L 시스템 및 주변 환경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PCL 시스템의 기능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위치 예측부의 기능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품질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L 시스템을 위한 송신원 선정 장치를 하드웨어적 측면에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L 시스템의 송신원 선정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나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RF 신호를 수신 하는 시스템은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일 수 있다.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은 M개의 송신원(200-1, ... ,200-M)에서 방사되어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에 직접 수신되는 기준 신호와 M개의 송신원(200-1, ... ,200-M)의 방사 신호가 이동 중인 표적(100)에 반사되어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에 수신되는 표적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K개의 표적(100-1, ... ,100-K)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의 기능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은 표적 위치 예측부(1100), 신호무결성 분석부(1400), 신호세기 분석부(1500) 및 신호품질 지속성 분석부(1600) 및 송신원 선정부(1700)를 포함할 수 있고, 표적 위치 예측부(1100)는 신호수신부(1100), 신호처리부(1130) 및 위치탐지부(1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 위치 예측부의 기능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적 위치 예측부(1100)는 신호수신부(1100), 신호처리부(1130) 및 위치탐지부(115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적 위치 예측부(1100)는 송신원(200-1, ... ,200-M) 및 표적(100-1, ... ,100-K)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표적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1110)는 배열안테나(1112) 및 신호측정기(111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열안테나(1112)는 N개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M개의 송신원(200-1, ... ,200-M)으로부터 송신된 신호 및 K개의 표적(100-1, ... ,100-K)으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열안테나(1112)는 일정한 배치 간격에 따라 설치되어 M개의 송신원(200-1, ... ,200-M)들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들을 수신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측정부(1110)는 배열안테나(1112)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채널별로 분배하여 신호를 측정하는 M개의 신호측정기(1114-1, ... ,1114-M)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신호측정기(1114)는 배열안테나로부터 수신된 N개의 RF 신호를 전달받는다. 이어서, 신호측정기(1114)는 M개의 송신원(200-1, ... ,200-M)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방송 서비스에서 규정된 주파수 대역 이외의 신호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하고, 저잡음 증폭기로 증폭할 수 있다.
이후, 신호측정기(1114)는 주파수 변환 및 ADC(analog-digital converter) 연산 등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여 각 송신원(200-1, ... ,200-M)에 대하여 N개의 I/Q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130)는 M개의 신호처리기(1130-1,??,1130-M)를 포함할 수 있고, 신호처리부(1130)는 신호측정기(1114)로부터 수집된 전자 정보를 분산하여 처리할 수 있다.
M개의 신호처리기(1130-1, ... ,1130-M)는 M개의 신호측정기(1114-1, ... ,1114-M) 각각으로부터 I/Q 신호를 입력 받아, 디지털 빔포밍 기반의 기준신호 및 표적 반사 신호 분리 단계, 클러터(clutter) 신호 및 기준신호 간섭 제거 단계, 표적 검출을 위한 코히어런트(coherent) 신호 처리 단계 및 검출된 표적에서 바이스태틱(bistatic) 거리와 바이스태틱 속도를 포함하는 표적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등의 복수의 신호처리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탐지부(1150)는 동일표적정보 매칭기(1152)와 위치/속도 예측기(11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위치탐지부(1150)의 동일표적정보 매칭기(1152)는 신호처리부(1130)로부터 검출된 표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표적 정보를 동일표적별로 매칭시킨다. 이후, 위치/속도 예측기(1154)는 동일표적마다 매칭된 표적정보를 입력받아 표적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
신호무결성 분석부(1400)는 송신원의 추정 방위와 실제 방위차이가 오차 범위 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간섭신호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의 두 단계로 수신된 신호의 무결성을 분석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신호무결성 분석부(1400)는 M개의 송신원(200-1, ... ,200-M)의 추정 방위와 실제 방위차이가 오차 범위 내인지 판단하기 위해, 채널별 신호왜곡을 분석한다. 신호무결설 분석부(1400)는 신호 수신부(1110)에서 측정한 채널별 I/Q데이터를 수신하고 M개의 채널에 대해 신호의 수신방위를 추정한다.
이 때, 신호무결성 분석부(1400)는 MUSIC(multiple signal classification) 또는 ESPRIT(estimation of signal parameters via rotational invariance technique) 등의 수신 방위 연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신호의 수신 방위를 추정할 수 있다.
이어서, 신호무결성 분석부(1400)는 각 채널에 대해 수신 신호를 기반으로 추정된 송신원의 대표 방위값
Figure 112021097787588-pat00001
과 송신원과 PCL 시스템(1000)의 위치를 기반으로 기하학적으로 계산된 표적의 실제 방위값
Figure 112021097787588-pat00002
를 비교하여 후보 송신원을 선정한다.
먼저,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각 채널에 대해 추정된 대표 방위값
Figure 112021097787588-pat00003
와 실제 방위각
Figure 112021097787588-pat00004
의 차이가 특정 오차범위인 eth이내를 만족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eth는 송수신간의 가시거리상의 간섭 및 주변 클러터 간섭 등의 허용 범위 등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다. 신호무결성 분석부(1400)는 복수의 송신원 중에서 오차범위를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원을 제 1 송신원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어서, 신호무결성 분석부(1400)는 제 1 송신원 중 하나의 송신원의 신호에 대해 간섭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선정된 후보리스트의 각 송신원별로 추정된 표적의 대표 방위값
Figure 112021097787588-pat00006
이외에 다른 방위에서 간섭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신호무결성 분석부(1400)는 제 1 송신원 중 하나의 송신원에 대해 추정된 대표 방위각
Figure 112021097787588-pat00007
이외의 방위를 가지며, 즉, 제 1 송신원 중 하나의 송신원의 추정된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존재하며, 신호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 이상이고 표적의 방위 추정에 사용된 상기 제 1 송신원과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는 제 2 송신원에 대한 간섭 신호가 존재하는 제 1 송신원을 표적 위치 탐지를 위한 송신원에서 제외할 수 있다. 또한, 신호무결성 분석부(1400)는 제외된 송신원을 미선정 송신원 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은 간섭신호가 적고, 표적의 위치 탐지에 적합한 송신원을 선정할 수 있다.
신호세기 분석부(1500)는 M개의 송신원(200-1, ... ,200-M) 각각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이 관심지역의 표적을 탐지하기에 적합한 송신원을 선정할 수 있다.
먼저,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에서 수신하는 기준신호의 세기 PD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을 수 있다.
여기서,PT는 송신원의 송신출력, GT는 송신원의 안테나 이득, GR는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의 안테나 이득,
Figure 112021097787588-pat00009
는 송신원 신호의 파장, R0는 송수신기간 거리 및 L은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의 시스템 손실을 나타낼 수 있다.
이어서, 송신원에서 송출된 신호가 표적에 반사되어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에 도달하는 표적반사신호의 세기 PS는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을 수 있다.
여기서, S0는 표적의 RCS(radar cross section), R1은 하나의 송신원과 하나의 표적간의 거리, R2는 상기 표적과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간의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신호세기 분석부(1500)는 수학식 2와 수학식 3을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관심지역에 위치한 표적을 검출할 수 있는 최소 수신신호의 세기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PRmin은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의 표적반사신호 검출능력에 따른 최소 검출가능 표적반사신호의 세기를 나타내고, R1은 관심지역에 위치한 표적과 송신원과의 거리를 나타내며, R2는 표적과 멀티스태틱 PCL(1000)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S0는 표적 RCS를 나타낼 수 있다.
신호세기 분석부(1500)는 송신원 별로 수신신호세기 측정하고, 측정된 송신원의 기준 신호의 세기가 수학식 4를 만족하는지 확인하여, 수학식 4를 만족하는 송신원을 표적의 위치 탐지를 위한 송신원으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신호세기 분석부(1400)는 수학식 4를 만족하지 않는 송신원을 미선정 송신원 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신호품질 지속성 분석부(1600)는 신호처리부(1130)에서 코히어런트 처리를 수행하여 추정한 TDOA/FDOA 결과를 이용하여, 송신원 별 신호품질 지속성 만족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코히어런트 처리를 통한 표적검출의 결과는 TDOA/FDOA 값으로 나타낼 수 있고, 신호품질 지속성 분석부(1600)는 탐지 범위내의 표적들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TDOA/FDOA 값이 검출 및 유지되는 경우, 송신원의 신호품질의 지속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신호품질 지속성 분석부(1600)는 TDOA/FDOA 값의 검출개수가 많을수록 해당 송신원이 다수의 표적을 탐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품질 지속성 분석부(1600)는 TDOA/FDOA 값의 검출개수가 많은 송신원을 표적의 위치 탐지를 위한 송신원으로 우선 선정할 수 있다. 신호품질 지속성 분석부(1600)는 우선 순위에 따라 배열한 송신원 중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소정의 개수만큼 신호품질 지속성이 만족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신호품질 지속성 만족여부의 기준은 운용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신호품질 지속성 분석부(1600)는 신호품질 지속성 분석 결과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송신원에 대해서, 미선정 송신원 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조건에서 송신원별 신호품질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의 (a)를 더 참조하면, 104.1MHz인 경우, TDOA 값은 150초에서 180초 사이에 TDOA 값이 200 μs 이하로 지속적으로 검출되나, 그 외의 시간대에서 TDOA 값은 지속적으로 검출되지 않는다. 한편, 도 4의 (b)를 더 참조하면, 101.5MHz의 TDOA 추정결과의 경우, TDOA 값은 500 μs 이하에서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검출된 TDOA의 개수를 비교하면, 104.1MHz 채널의 TDOA 추정결과에서 검출된 TDOA의 개수보다 101.5MHz의 TDOA 추정결과에서 더 많은 TDOA가 검출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신호품질 지속성 분석부(1600)는 신호품질 지속성 분석에 따라 101.5MHz 채널의 송신원을 우선 선정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송신원 선정부(1700)는 신호무결성 분석부(1400), 신호세기 분석부(1500) 및 신호품질 지속성 분석부(1600)에서 선정된 표적의 위치 탐지를 위한 송신원에서 최종 송신원을 선정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송신원 선정부(1700)는 사전에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이 이용할 송신원의 최대 수 L에 맞춰 최종 송신원을 선정할 수 있다. 먼저, 송신원 선정부(1700)는 신호 무결성을 만족하는 송신원에 양의 값을 갖는 제 1 가중치를 부여하고, 일정 신호세기를 만족하는 송신원에 양의 값을 갖는 제 2 가중치를 부여하고 및 신호품질 지속성을 만족하는 송신원에 양의 값을 갖는 제 3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가중치는 사용자가 표적 탐지를 위한 환경에 따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각 송신원에 대해 상기 제 1 내지 제 3 가중치의 합이 높은 순서대로 송신원을 배열할 수 있고, 배열된 순서에 따라 최종 송신원 선정을 위한 송신원의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사용자가 동작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송신원 선정부(17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 무결성 분석부(1400), 신호세기 분석부(1500) 및 신호품질 지속성 분석부(1600)가 선정하지 않은 송신원을 미선정 송신원 리스트로 관리할 수 있다. 이어서, 송신원 선정부(1700)는 미선정 송신원 리스트의 송신원들에 대한 각 분석 결과에 따른 가중치를 결정하여, 미선정 송신원들 간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미선정 송신원 간의 우선순위는 송신원 선정부(1700)가 신호 무결성을 만족하는 미선정 송신원에 양의 값을 갖는 제 1 가중치를 부여하고, 일정 신호세기를 만족하는 미선정 송신원에 양의 값을 갖는 제 2 가중치를 부여하고 및 신호품질 지속성을 만족하는 미선정 송신원에 양의 값을 갖는 제 3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가중치는 사용자가 표적 탐지를 위한 환경에 따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각 미선정 송신원에 대해 상기 제 1 내지 제 3 가중치의 합이 높은 순서대로 미선정 송신원을 배열할 수 있고, 배열된 순서에 따라 최종 송신원 선정을 위한 미선정 송신원의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사용자가 동작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송신원 선정부(1700)는 후보 송신원 개수가 송신원 최대 수 L보다 작은 경우, 미선정 송신원 리스트에서 추가 송신원을 선정하여, 최종 송신원을 선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을 위한 송신원 선정 장치를 하드웨어적 측면에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은 저장장치(1810), 프로세서(1820), 수신 장치(18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840) 및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850)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1810, 1820, 1830, 1840, 1850)은 데이터 버스(bus, 186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장치(1810)는 메모리 또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장치(181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장치(1810)는 후술될 프로세서(1820)에 의해 실행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82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을 더 참조하면, 프로세서(18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장치(18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신호수신부(1100), 신호처리부(1130), 위치탐지부(1150), 신호무결성 분석부(1400), 신호세기 분석부(1500), 신호품질 지속성 분석부(1600) 및 송신원 선정부(17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의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수신 장치(1830)는 배열안테나(1112)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송신원으로부터 신호를 직접 수신하거나 복수의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1830)는 신호측정기(1114)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송신원으부터 수신받은 RF 신호 및 복수의 표적에 반사되어 수신받은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84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840)는 표적 탐지를 위한 송신원을 재설정하도록 입력신호를 받을 수 있고, 사용자의 표적탐지 목적에 따라, 신호무결성, 신호세기, 신호품질 지속성에 가중치를 미리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된 각 단계별 가중치는 저장장치(1810)에 저장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850)는 프로세서(1820)의 동작에 의해 송신원 선정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여 가시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 내 프로세서 동작에 의해 실행되는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L 시스템의 송신원 선정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5 및 도 6의 (a)를 참조하면, 먼저 수신 장치(1830)는 M개의 송신원(200-1, ... ,200-M)에서 방사되는 기준 신호와 M개의 송신원(200-1, ... ,200-M)의 방사 신호가 이동 중인 표적(100)에 반사되는 표적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010). 수신 장치(1830)는 수신된 기준 신호와 표적 반사 신호를 I/Q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S1020).
이어서, 프로세서(1820)는 변환된 I/Q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기 2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무결성을 분석하여 표적의 위치 탐지에 이용할 송신원 후보를 선정한다(S1100).
신호 무결성을 분석하기 위해, 제 1 단계로 프로세서(1820)는 I/Q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정한 송신원의 추정 방위와 기 정해진 PCL 시스템(1000) 및 M개의 송신원(200-1, ... ,200-M)의 기하학적 위치관계를 통해 계산된 송신원의 실제 방위의 차이가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1110).
이어서, 방위 차이가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경우(S1110의 예), 프로세서(1830)는 제 2 단계로, 제 1 단계에서 추정한 송신원의 추정 방위 외에 동일 주파수로 수신되는 소정 크기 이상의 간섭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1120).
프로세서(1830)는 제 2 단계에서 소정 크기 이상의 간섭 신호가 없다면(S1120의 아니오), 신호 무결성을 만족하는 송신원으로서 표적의 위치 탐지를 위한 송신원으로 선정할 수 있다.
즉, 신호 무결성을 분석하는 단계(S1100)에서 프로세서(1820)는 표적의 위치를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고 타 간섭 신호에 의해 영향을 적게 받는 송신원을 표적의 위치 탐지를 위한 송신원으로 선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820)는 신호 세기 분석 단계로서 송신원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세기를 분석하여, 소정의 크기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200). 수신된 신호가 일정 세기 이상이어야 관심 지역에 위치한 표적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프로세서(1820)는 송신원의 신호품질 지속성 만족여부 분석 단계로서, 수신된 I/Q신호를 코히런트 처리하고, 송신원의 FDOA 및 TDOA 가 얼마나 자주, 얼마나 많이 검출되는 지를 판단하여, 송신원의 신호품질 지속성 만족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0).
프로세서(1820)는 신호 무결성, 신호 세기 및 신호품질 지속성을 분석하는 각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송신원을 미선정 송신원으로 분류하여 미선정 송신원 리스트를 생성하고(S1410), 각 단계에 사용자가 설정한 가중치를 두어, 미선정 송신원의 우선순위를 연산할 수 있다(S1420). 이어서, 저장장치(1810)는 미선정 송신원 및 미선정 송신원의 우선순위를 저장할 수 있고, 후술할 표적의 위치 탐지를 위한 송신원 개수가 소정의 개수 이하인 경우(S1440의 아니오), 저장된 미선정 송신원 및 미선정 송신원의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표적의 위치 탐지를 위한 최종 송신원으로 선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820)는 신호 무결성, 신호 세기 및 신호품질 지속성을 만족(S1300의 예)하는 송신원을, 표적의 위치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 리스트를 생성하여(S1430) 저장장치(18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820)는 표적의 위치 탐지에 이용할 수 있는 최대 송신원 개수 L보다 저장장치(1810)에 저장된 후보 송신원 의 개수가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S1440).
최대 송신원 개수 L보다 저장장치(1810)에 저장된 송신원 후보의 개수가 큰 경우(S1440의 예), 프로세서(1820)는 신호 무결성, 신호 세기 및 신호품질 지속성을 분석하는 각 단계에 사용자가 설정한 가중치를 두어, 후보 송신원의 우선순위를 연산할 수 있다(S1450).
최대 송신원 개수 L보다 저장장치(1810)에 저장된 송신원 후보의 개수가 크지 않은 경우(S1440의 아니오), 프로세서(1820)는 저장장치(1810)에 저장된 미선정 송신원 및 미선정 송신원의 우선순위에 따라, 최대 송신원 개수 L에 맞춰 추가로 표적의 위치 탐지를 위한 송신원을 선정할 수 있다(S1460).
최대 송신원 개수 L만큼 표적의 위치 탐지를 위한 송신원의 개수가 채워졌다면, 선정된 송신원을 표적의 위치 탐지를 위한 최종 송신원으로 선정할 수 있다(S1470).
송신원을 선정한 이후의 시점에서, 프로세서(1820)는 표적의 위치 탐지를 위한 환경이나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 선정된 최종 송신원의 위치탐지 기여도를 파악하여 필요한 경우, 표적의 위치 탐지를 위한 송신원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20)는 사용자의 표적의 위치 탐지를 위한 관심 영역이 변하거나 특정 지역을 집중적으로 탐지하기 위한 경우 등 목적에 따라 주기적으로 송신원을 재선정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정 방법은 운용자의 운용방식, 목적,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의 성능 및 운용환경에 따라서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필요한 경우, 멀티스태틱 PCL 시스템(1000)이 일반적으로 송신원을 선정하는데 활용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송신원을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적
200: 송신원
1000: PCL 시스템
1100: 표적 위치 예측부
1110: 신호수신부
1130: 신호처리부
1150: 위치탐지부
1400: 신호무결성 분석부
1500: 신호세기 분석부
1600: 신호품질 지속성 분석부
1700: 송신원 선정부

Claims (13)

  1. 안테나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표적 탐지를 위한 송신원 선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가 복수의 송신원으로부터 직접 수신된 기준 신호 및 상기 복수의 송신원으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복수의 표적에 반사된 후 수신된 반사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기준 신호 및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원 중에서, 상기 복수의 송신원 각각의 추정 방위인 제 1 방위와 상기 복수의 송신원 각각의 실제 방위인 제 2 방위 사이의 방위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송신원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송신원 중 어느 하나와는 상이한 제 2 송신원이 송신하는 상기 제 1 송신원의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간섭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송신원 중에서 제 3 송신원을 상기 복수의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원 선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위는, 수신된 기준 신호 및 반사 신호를 수신 방위 연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원의 방위를 추정한 방위이고,
    상기 제 2 방위는 상기 복수의 송신원과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는 시스템의 기 정해진 위치관계를 이용하여 기하학적으로 상기 표적의 실제 방위를 계산한 방위인
    송신원 선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원은, 상기 제 1 송신원의 상기 제 1 방위 외의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송신원의 상기 기준 신호의 세기는 소정의 신호 세기 이상이며, 상기 제 2 송신원의 기준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제 1 송신원과 동일한
    송신원 선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기준 신호 및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원 각각에 대해 시간에 따른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또는 FDOA(frequency difference of arrival)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송신원의 TDOA 또는 FDOA에 기초하여, 신호품질 지속성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품질 지속성 만족 여부를 더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원 선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원으로부터 송신된 기준 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신호 세기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세기를 더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원 선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선정된 상기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후보 송신원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단계; 및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소정의 개수까지 상기 후보 송신원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원 선정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선정된 상기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복수의 송신원 중에서 선정된 상기 후보 송신원과는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 4 송신원 사이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4 송신원 중에서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소정의 개수에서 상기 표적 탐지를 위한 상기 후보 송신원의 개수의 차이만큼 상기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으로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원 선정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제 1 방위와 제 2 방위 사이의 방위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제 3 송신원에 양의 값인 기 설정된 제 1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신호품질 지속성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원에 양의 값인 기 설정된 제 2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복수의 송신원의 상기 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값 이상인 송신원에 양의 값인 기 설정된 제 3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 송신원에 대해 상기 제 1 내지 제 3 가중치의 합이 높은 순서대로 송신원을 배열한 순위인
    송신원 선정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한 송신원을 선정한 시점 이후에, 상기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안테나가 상기 복수의 송신원으로부터 직접 수신된 기준 신호 및 상기 복수의 송신원으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복수의 표적에 반사된 후 수신된 반사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기준 신호 및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원 중에서, 상기 복수의 송신원 각각의 추정 방위인 제 1 방위와 상기 복수의 송신원 각각의 실제 방위인 제 2 방위 사이의 방위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송신원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송신원 중에서, 상기 제 1 송신원 중 어느 하나와는 상이한 제 2 송신원의 상기 제 1 송신원의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간섭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제 3 송신원을 상기 복수의 표적 탐지를 위한 후보 송신원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재수행하는,
    송신원 선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은,
    상기 복수의 표적의 위치가 변하거나 상기 복수의 표적 중에서 특정 표적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한 경우를 포함하는
    송신원 선정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복수의 송신원으로부터 직접 수신된 기준 신호 및 상기 복수의 송신원으로부터 송신되어 복수의 표적에 반사된 후 수신된 반사 신호를 획득하는 안테나; 및
    상기 수신된 기준 신호 및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원 중에서, 상기 복수의 송신원 각각의 추정 방위인 제 1 방위와 상기 복수의 송신원 각각의 실제 방위인 제 2 방위 사이의 방위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송신원을 선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송신원 중에서, 상기 제 1 송신원 중 어느 하나와는 상이한 제 2 송신원의 상기 제 1 송신원의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간섭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제 3 송신원을 상기 복수의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후보 송신원으로 선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송신원 선정 장치.
KR1020210111914A 2021-08-24 2021-08-24 표적 탐지를 위한 송신원 선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송신원 선정 장치 KR102625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914A KR102625148B1 (ko) 2021-08-24 2021-08-24 표적 탐지를 위한 송신원 선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송신원 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914A KR102625148B1 (ko) 2021-08-24 2021-08-24 표적 탐지를 위한 송신원 선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송신원 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432A KR20230029432A (ko) 2023-03-03
KR102625148B1 true KR102625148B1 (ko) 2024-01-12

Family

ID=85510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914A KR102625148B1 (ko) 2021-08-24 2021-08-24 표적 탐지를 위한 송신원 선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송신원 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1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410B1 (ko) * 2017-12-18 2022-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가능 물체를 고려한 통신 환경 분석 및 망 설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432A (ko)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59609A1 (en) Determining emitter locations
KR101108749B1 (ko) 다수의 송신기들을 구비한 무선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무선수신기 위치 찾기 시스템 및 방법
RU2440588C1 (ru) Способ пассивного радиомониторинга воздушных объектов
EP2690458A1 (en) Radar device
KR101435168B1 (ko) 감시 공간에서의 신호원의 검출방법 및 시스템
KR20210001219A (ko) 국지적 분해능을 조정하는 레이더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RU2444755C1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и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й локализации воздушных объектов
JP5361914B2 (ja) レーダ装置、レーダ受信装置及び目標検出方法
RU2444754C1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и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й локализации воздушных объектов
JP6415288B2 (ja) レーダ装置
KR101150259B1 (ko) 다중분리 레이더에서의 이동 표적 위치 추적 방법 및 장치와 이동 표적 위치 추적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733035B1 (ko)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기반으로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pcl 시스템
JP6251087B2 (ja) 目標検出装置、及び目標検出方法
KR102169873B1 (ko) 차량용 레이더의 고유값의 상대 비교를 통한 신호 개수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레이더
JP5360038B2 (ja) 電波監視装置、及び電波監視方法
KR102625148B1 (ko) 표적 탐지를 위한 송신원 선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송신원 선정 장치
RU2444753C1 (ru) Способ радиоконтроля воздушных объектов
KR20190040637A (ko) 레이다 DoA 추정 시스템 및 방법
RU2444756C1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и локализации воздушных объектов
US10768274B2 (en) Built-in sensor for intercepting radioelectric COM/RAD emissions
del-Rey-Maestre et al. Statistical analysis of UHF bistatic radar clutter in coastal scenarios
EP3290942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a signal
US10620292B2 (en) Method for selecting signals of opportunity for passive coherent location
KR20210152911A (ko) 위상 왜곡을 교정하여 레이더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6597505B2 (ja) 電波源の識別装置および識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