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492B1 - 설치가 간편한 도어락 - Google Patents

설치가 간편한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492B1
KR102624492B1 KR1020220063431A KR20220063431A KR102624492B1 KR 102624492 B1 KR102624492 B1 KR 102624492B1 KR 1020220063431 A KR1020220063431 A KR 1020220063431A KR 20220063431 A KR20220063431 A KR 20220063431A KR 102624492 B1 KR102624492 B1 KR 102624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hole
latch bol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3748A (ko
Inventor
윤영갑
송루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광
Priority to KR1020220063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492B1/ko
Publication of KR20230163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4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53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means providing a stable, i.e. indexed, position of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8Fastening the spindle to the foll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05Y2400/854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가 간편한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식으로 계폐되는 여닫이문에 도어락 설치를 위한 큰 구멍을 천공하지 않고, 10mm이하의 작은 구멍 3개만 일반적인 드릴로 천공한 상태로 문에 도어락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54mm구멍과 22~25mm의 구멍을 천공한 뒤에 도어락을 설치할 때, 전용공구가 반드시 필요하고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면서 간편하게 도어락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문(1)의 내외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되는 내외측 손잡이유닛(20,30)과, 내외측 손잡이유닛(20,30)에 포함되는 내외측 손잡이(21,31)를 돌림에 따라 선단 래치볼트(11)가 출몰하며 문틀(6)에 설치된 스트라이크유닛(40)에 걸림과 해정이 되는 래치볼트유닛(10)과, 래치볼트(11)에 대응되는 위치의 문틀(6)에 설치되어 래치볼트(11)가 출입되는 스트라이크유닛(40)으로 이루어지는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내측손잡이유닛(20)에 포함되며 문(1)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내측커버(23)의 일측에 래치설치부(25)를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되, 내측커버(23)와 래치설치부(25)의 내부공간이 서로 통하게 형성되며, 래치설치부(25)의 선단부에는 서로 통하는 내측커버(23)와 래치설치부(25)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래치볼트유닛(10)의 선단 래치볼트(11)가 출몰하는 래치홀(26)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커버(23)에 형성되는 나사구멍(24)으로 삽입되는 나사(27)는 문(1)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나사통과홀(5)을 각각 관통하여 문(1) 외측의 외측커버(35)에 형성되는 나사체결부(36)에 체결되고, 래치볼트유닛(10)의 샤프트홀(14)에 관통되어 내외측 손잡이(21,31)를 돌림에 따라 래치볼트(11)를 출몰시키는 샤프트(33)는 나사통과홀(5) 사이의 문(1)에 형성되는 축삽입홀(4)을 관통하여 내외측커버(23,35)의 내측 중심부에 서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설치가 간편한 도어락{Easy-to-install door lock}
본 발명은 설치가 간편한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식으로 계폐되는 여닫이문(이하 "문"이라고 약칭함)에 도어락 설치를 위한 큰 구멍을 천공하지 않고, 10mm이하의 작은 구멍 3개만 일반적인 드릴로 천공한 상태로 문에 도어락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54mm구멍과 22~25mm의 구멍을 천공한 뒤에 도어락을 설치할 때, 전용공구가 반드시 필요하고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면서 간편하게 도어락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도어락(100)은 공지된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1)의 폭방향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되, 문(1)의 측면으로 탄력적으로 출몰되는 선단 래치볼트(11)가 문(1)을 힌지식으로 닫을 때 문틀(미도시)에 설치된 스트라이크 유닛의 걸림구멍으로 눌려 들어가 걸리며, 문(1) 개방을 위해 내외측 손잡이(21,31)를 돌리면 래치볼트몸체(13)측으로 래치볼트(11)가 들어가서 스트라이크 유닛의 걸림구멍에서 나오게 하는 래치볼트유닛(10)과, 문(1)의 내외측면에 설치되어 내외측 손잡이(21,31)를 돌린 상태로 밀고 당김에 따라 문(1)을 개폐하며 외측손잡이(31)에 열쇠구멍(32)이 설치되고 내측손잡이(21)에 잠금버튼(22)이 설치되는 내외측 손잡이유닛(20,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의 공지된 도어락(100)을 문(1)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문(1)의 측면에 폭방향으로 래치볼트유닛(10)을 삽입 설치하기 위한 측면홀(2)과, 문(1)의 실내외측면에 내외측 손잡이유닛(20,30)을 설치하기 위한 전후면홀(3)을 상기 측면홀(2)과 통하게 관통형성한 뒤에, 측면홀(2)을 통하여 래치볼트유닛(10)의 래치볼트몸체(13) 후방을 삽입시킨 뒤에 통형 래치볼트몸체(13) 외측방에 형성된 장착플랜지(12)를 문(1)의 측면에 나사로 고정 설치한다.
그 다음에 문(1)의 실내측과 실외측의 전후면홀(3)로 내외측 손잡이유닛(20,30)을 마주보게 삽입시키면서 외측손잡이유닛(30)에 설치된 샤프트(33)를 래치볼트유닛(10)의 샤프트홀(14)에 관통시키며, 외측손잡이유닛(30)의 열쇠구멍(32)으로 열쇠를 끼워 돌리는 방향에 따라 회전하면 잠금과 해정을 하는 회전로드(34)를 내측손잡이유닛(20)의 잠금버튼(22) 내측부와 연결되게 끼우며, 내측손잡이유닛(20)의 내측커버(23)에 형성된 나사구멍(24)으로 나사를 삽입하여 선단 나사부를 외측커버(35)에 내향 형성된 나사체결부(36)에 체결함으로써, 도어락(1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때, 상기 내측손잡이유닛(20)에 포함하는 내측커버(23)와 , 외측손잡이유닛(30)에 포함하는 외측커버(35)의 외경이 문에 천공된 전후면홀(3) 보다 커서 전후면홀(3)의 내외부를 커버하며, 내외부커버(23,35)를 서로 결합 설치하는 나사가 전후면홀(3) 내부로 삽입되면서 내외부커버(23,35)를 서로 결합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도어락(100)을 문(1)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문(1)의 측면부와 전후면부에 반드시 측면홀(2)과 전후면홀(3)을 서로 통하게 천공을 해야 하는데, 측면홀(2)은 22~25mm, 전후면홀(3)은 54mm로 그들 구멍이 커서 측면홀(2)과 전후면홀(3)을 천공하기 위한 전용공구가 필요하며 천공하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천공하는 과정에서 부스러기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일반인들이 도어락을 직접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측면홀(2)과 전후면홀(3)을 천공할 수 있는 전용공구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데, 일반가정에서 그들 전용용구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서 일반 가정의 사용자는 사용자 본인이 직접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요즘 들어서는 필요로 하는 제품을 인터넷의 온라인 마켓에서 구입하여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여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시간에 설치를 하고 있는데, 위의 측면홀(2)과 전후면홀(3)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와 방문 시간을 맞추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등록 제10-2088947호(발명의 명칭 : 레버형 도어락의 구동 조립체) 특허등록 제10-1367639호(발명의 명칭 : 디지털 도어락장치) 특허등록 제10-2023853호(발명의 명칭 : 공공 사용 공간의 룸에 적용되는 스마트 도어락을 가지는 방범 룸도어)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닫이문에 도어락 설치를 위한 큰 구멍을 천공하지 아니하고 10mm이하의 작은 구멍 3개만 일반적인 드릴로 천공한 상태로 여닫이문에 도어락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54mm구멍과 22~25mm의 구멍을 천공한 뒤에 도어락을 설치할 때, 전용공구가 반드시 필요하고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면서 간편하게 도어락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문의 내외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되는 내외측 손잡이유닛과, 내외측 손잡이유닛에 포함되는 내외측 손잡이를 돌림에 따라 선단 래치볼트가 출몰하며 문틀에 설치된 스트라이크유닛에 걸림과 해정이 되는 래치볼트유닛과, 래치볼트에 대응되는 위치의 문틀에 설치되어 래치볼트가 출입되는 스트라이크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내측손잡이유닛에 포함되며 문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내측커버의 일측에 래치설치부를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되, 내측커버와 래치설치부의 내부공간이 서로 통하게 형성되며, 래치설치부의 선단부에는 서로 통하는 내측커버와 래치설치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래치볼트유닛의 선단 래치볼트가 출몰하는 래치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커버에 형성되는 나사구멍으로 삽입되는 나사는 문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나사통과홀을 각각 관통하여 문 외측의 외측커버에 형성되는 나사체결부에 체결되고, 래치볼트유닛의 샤프트홀에 관통되어 내외측 손잡이를 돌림에 따라 래치볼트를 출몰시키는 샤프트는 나사통과홀 사이의 문에 형성되는 축삽입홀을 관통하여 내외측커버의 내측 중심부에 서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설치가 간편한 도어락은, 여닫이문에 도어락을 설치할 때 10mm이하의 작은 구멍 3개만 일반적인 드릴로 천공한 상태로 여닫이문에 도어락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54mm구멍과 22~25mm의 구멍을 천공한 뒤에 그들 구멍에 도어락을 설치할 때 발생하는 모든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면서 간편하게 도어락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에는 스트라이크유닛에 래치푸셔를 누르면 도어락의 잠금이 해정되고 래치푸셔의 누름상태가 부저나 음성신호등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치원 어린이나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들이 다니는 시설에서 래치푸셔가 눌렸을 때, 유치원의 관리사무실이나 초등학교의 교무실에서 어린이가 혼자 갖혀 있었음을 인식하고 당황한 어린이를 위로 및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도어락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도어락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5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의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스트라이크유닛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7은 도 6의 "A"부의 평단면도를 확대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간편한 도어락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설치가 간편한 도어락(이하, "도어락"이라고 약칭함)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힌지식으로 개폐되는 여닫이문(1)의 내외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되는 내외측 손잡이유닛(20,30)과, 내외측 손잡이유닛(20,30)에 포함되는 내외측 손잡이(21,31)를 돌림에 따라 선단 래치볼트(11)가 출몰하며 문틀(6)에 설치된 스트라이크유닛(40)에 걸림과 해정이 되는 래치볼트유닛(10)과, 래치볼트(11)에 대응되는 위치의 문틀(6)에 설치되어 래치볼트(11)가 출입되는 스트라이크유닛(40)으로 이루어지는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내측손잡이유닛(20)에 포함되며 문(1)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내측커버(23)의 일측에 래치설치부(25)를 스트라이크유닛(40)을 향하는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되, 내측커버(23)와 래치설치부(25)의 내부공간이 서로 통하게 형성되며, 래치설치부(25)의 선단부에는 서로 통하는 내측커버(23)와 래치설치부(25)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공지된 래치볼트유닛(10)의 선단 래치볼트(11)가 출몰하는 래치홀(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커버(23)에 형성되는 나사구멍(24)으로 삽입되는 나사(27)는 문(1)에 드릴로 천공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나사통과홀(5)을 각각 관통하여 문(1)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손잡이유닛(30)에 포함되는 외측커버(35)에 형성되는 나사체결부(36)에 체결되고, 래치볼트유닛(10)에 설치되는 샤프트홀(14)에 관통되어 내외측 손잡이(21,31)를 돌림에 따라 래치볼트(11)를 출몰시키는 샤프트(33)는 나사통과홀(5) 사이의 문(1)에 드릴로 천공하여 형성되는 축삽입홀(4)을 관통하여 내외측커버(23,35)의 내측 중심부에 서로 연결되게 설치된다.
참고로, 내외측 손잡이(21,31)를 잡아 돌림에 따라 래치볼트(11)가 출몰하는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도어락과 동일하므로 그것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공지된 종래의 도어락은 대한민국 기업인 "주식회사 현대정밀"에서 제조하는 제품(모델명 : 스타 GR-S)임을 밝혀둔다.
상기 스트라이크유닛(40)은 도 3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틀(6)에 나사에 의해 설치되는 스트라이크함체(41) 일측의 래치볼트(11) 대응부에 래치볼트(11)가 출입하는 래치걸림구멍(42)이 형성되고, 래치걸림구멍(42) 반대편에는 푸셔설치홀(43)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이 푸셔설치홀(43)에는 래치걸림구멍(42)으로 삽입되는 래치볼트(11)를 스트라이크함체(41)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래치푸셔(44)의 후방에 삽입 설치된다.
이때, 래치푸셔(44)의 양측에는 외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한 톱니형 탄성스냅돌기(45)가 탄력적으로 형성되되, 탄성스냅돌기(45) 양측의 래치푸셔(44) 본체에는 절개부(45a)가 형성되어 탄성스냅돌기(45)에 탄성이 부여된다.
또한, 상기 래치푸셔(44)의 내부에는 래치푸셔(44)를 밀어서 래치푸셔(44)의 후방이 래치볼트(11)를 밀어낼 때, 래치볼트(11)의 선단부를 누르는 힘에 의해 스위치가 온(on)되어 부저를 울리거나 음성신호를 보내는 스위치(46)가 설치된다.
이는 유치원 어린이나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가 실내에 혼자 있는 것을 모르고 부주의로 실외측에서 본 발명의 도어락(100)에 포함되는 잠금장치유닛을 잠겼을 때, 어린이가 래치푸셔(44)를 눌러서 래치볼트(11)를 밀어내어 실외로 나오는 경우에 교무실 등의 관리실에서 상기 부저나 음성신호를 듣고 어린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래치걸림구멍(42)은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크함체(41)의 후방측 말단선부로부터 푸셔설치홀(43) 측으로 소정의 깊이(d)만큼 요입홈(47) 형태로 들어온 위치에 형성되어 래치볼트(11)를 절반 정도만 밀어내도 스트라이크함체(41)의 래치걸림구멍(42)에서 래치볼트(11)가 밀려나면서 잠금상태가 해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100)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1)이 힌지식으로 열리는 쪽에 10mm 드릴과 5~6mm 드릴을 이용하여 1개의 10mm 축삽입홀(4)과 2개의 5~6mm 나사통과홀(5)을 내외측 방향으로 천공한다.
그 다음에 문(1)의 실내측면에서 내측손잡이유닛(20)의 내측커버(23) 중심부에 끼움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사각봉 형태로 형성된 샤프트(33)를 축삽입홀(4)로 끼운 뒤에, 내측커버(23)에 형성된 나사구멍(24)을 문(1)에 형성된 나사통과홀(5)과 일치시키면서 그렇게 일치된 나사구멍(24)으로 나사(27)를 삽입시키면서 그 나사의 선단부가 나사통과홀(5)로 삽입되게 한다.
이때는 나사(27)의 선단 나사부가 외측손잡이유닛(30)과 체결되지 않았으므로 내측손잡이유닛(20)이 뒤로 빠지지 않도록 내측손잡이유닛(20)을 한 손으로 잡고, 그 상태에서 문(1)의 실외측에서 외측손잡이유닛(30)의 외측커버(35) 안쪽이 내측커버(23)의 안쪽과 대면하도록 마주 대면서 샤프트(33)의 선단부를 외측커버(35)의 중심부에 삽입시키고, 나사통과홀(5)으로 삽입된 나사(27)의 선단 나사부를 외측커버(35)의 안쪽에 암나사관 형태로 형성된 나사체결부(36)에 체결시키면, 내외측 손잡이유닛(20,30)의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완료된다.
위와 같이 내측손잡이유닛(20)을 문(1)의 안쪽면에 설치할 때, 내측커버(23)의 일측에 수평 설치된 래치설치부(25)가 스트라이크유닛(40)이 설치될 문틀(6) 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며, 이렇게 래치설치부(25)가 스트라이크유닛(40)이 설치될 문틀(6) 측을 향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내측 공간부가 서로 통하는 래치설치부(25)와 내측커버(23)의 내측에 래치볼트유닛(10)이 설치되어 있어서 래치볼트유닛(10)의 선단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래치볼트(11)가 래치설치부(25)의 선단부에 형성된 래치홀(26)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래치볼트(11)와 대응하는 스트라이크유닛(40)을 문틀(6)에 설치하는데, 이때는 도 3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크함체(41)의 래치걸림구멍(42)이 래치볼트(11)를 향하도록 설치하면, 스트라이크유닛(40)의 설치작업도 완료되어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100)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종래의 도어락과 본 발명을 비교해보면, 종래의 공지된 일반적인 도어락은 래치볼트유닛(10)이 문(1)의 폭 방향 내측에 삽입 설치됨에 따라 설치작업이 번거로워 비생산적이었으나, 본 발명은 래치볼트유닛(10)이 내측손잡이유닛(20)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문(1)에 3개의 구멍, 즉 10mm 축삽입홀(4) 1개, 5~6mm 나사통과홀(5) 2개만 일반적인 드릴로 천공하고 나사 4개만 체결하면 간편하게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트라이크함체(41)의 푸셔설치홀(43)로 래치푸셔(44)를 조립시킬 때는 후방측에 스위치(46)가 설치된 래치푸셔(44)를 푸셔설치홀(43)로 삽입시킬 때, 래치푸셔(44)의 후방 외경이 푸셔설치홀(43)에 헐겁게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용이하게 삽입되다가 탄성스냅돌기(45)의 경사면에 푸셔설치홀(43)에 걸리게 되나, 래치푸셔(44)를 밀어 주는 힘에 의해 탄성스냅돌기(45)의 양측에 형성된 절개부(45a)에 의해 탄성스냅돌기(45)가 탄력적으로 수축되면서 푸셔설치홀(43)을 통과한 뒤에는 탄성스냅돌기(45)가 자체탄력에 의해 원위치로 펼쳐지면서 수직부가 푸셔설치홀(43)의 안쪽에 걸려 외측으로 이탈하지 않게 조립된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100)이 설치된 상태에서 문(1)을 열고 닫을 때, 내외측 손잡이(21,31)를 잡고 돌리면, 공지된 래치볼트유닛(10)와 동일하게 사각봉형태로 형성된 샤프트(33)가 회전하게 되고, 샤프트(33)의 회전에 따라 래치볼트(11)가 래치설치부(25) 선단의 래치홀(26)에서 출몰하게 되면서 스트라이크유닛(40)의 래치걸림구멍(42)으로 들어가면 문이 잠기고, 래치볼트(11)가 래치걸림구멍(42) 외측으로 나오면 해정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100)에도 내측손잡이(21)에 잠금버튼(22)을 설치하고 외측손잡이(31)에 열쇠구멍(32)을 설치하여서 종래의 공지된 도어락과 동일하게 잠금 및 해정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100)을 열쇠구멍(32)에 열쇠를 끼워 돌려서 도어락의 잠금기능이 잠기었을 때, 종래의 도어락과 동일하게 내외측 손잡이(21,31)를 잡아 돌려도 샤프트(33)에 끼워진 회전로드(34)의 잠금에 의해 내외측 손잡이(21,31)가 돌아가지 않아 해정이 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유치원의 어린이나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가 실내에 있음을 모르고 문의 잠금기능으로 잠그었을 때, 일부의 어린이가 잠금버튼(22)을 조작하지 못하고 돌아가지 않는 내측손잡이(21)만 잡아 돌려서 문을 열고자 하나 잠금기능이 해정되지 않고 내측손잡이(21)가 돌아가지 않아서 당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감안하여 교사들이 스트라이크유닛(40)에 설치된 래치푸셔(44)를 누르면 문이 열린다는 것을 교육시켜서 어린이가 래치푸셔(44)를 누르거나, 또는 당황한 어린이가 문 안쪽에서 내측손잡이유닛(20)이나 스트라이크유닛(40)을 만지는 과정에서 래치푸셔(44)가 눌려지면 래치푸셔(44)가 래치볼트(11)를 래치걸림구멍(42) 외측으로 밀어내어 문이 열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래치푸셔(44)의 후방측 단부는 래치걸림구멍(42)으로 들어온 래치볼트(11)와 일직선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래치푸셔(44)가 눌려질 때 래치푸셔(44)가 래치볼트(11)를 래치걸림구멍(42) 외측으로 밀어내게 되며, 래치걸림구멍(42)이 형성된 위치가 래치푸셔(44)측으로 요입홈(47) 형태로 들어온 위치에 형성되어서 당황한 어린이가 어쩌다 래치푸셔(44)를 누르는 경우에도 래치볼트(11)가 조금만 밀려나가도 래치걸림구멍(42)에서 벗어나면서 문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래치푸셔(44)가 눌려져서 문이 열리는 경우에는 래치푸셔(44)에 설치된 스위치(46)가 래치볼트(11)의 단부와 접촉하면서 전기신호가 켜져 온(on)되면서 그 전기신호가 유치원의 사무실이나 초등학교의 교무실 등의 관리실에 설치된 부저나 음성발생기로 출력되어 관리실에 있는 교사가 그 해당 교실로 달려가서 어린이를 위로하고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위와 같이 래치푸셔(44)가 눌려지면서 래치푸셔(44)의 후방이 래치걸림구멍(42)을 통하여 스트라이크함체(41)의 내부로 들어온 래치볼트(11)를 외측으로 밀어내어 문(1)을 개방한 뒤에도 래치푸셔(44)가 래치걸림구멍(42)이 형성된 래치홈(47) 뒷면 까지 들어와 있으나, 다음에 문(1)이 닫치면서 래치볼트(11)가 래치걸림구멍(42)으로 들어오면 래치볼트유닛(10)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래치볼트(11)가 래치푸셔(44)를 외측으로 밀어 낸다.
이때, 래치푸셔(44)의 양측면에 외향 돌출된 탄성스냅돌기(45)의 수직면이 푸셔설치홀(43)이 형성된 스트라이크함체(41)의 내면에 걸려서 래치푸셔(44)가 외측으로 이탈하지 않고 다음에 래치푸셔(44)를 탄력적으로 누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1 : 문 2 : 측면홀 3 : 전후면홀
4 : 축삽입홀 5 : 나사통과홀 6 : 문틀
10 : 래치볼트유닛 11 : 래치볼트 12 : 장착플랜지
13 : 래치볼트몸체 14 : 샤프트홀 20 : 내측손잡이유닛
21 : 내측손잡이 22 : 잠금버튼 23 : 내측커버
24 : 나사구멍 25 : 래치설치부 26 : 래치홀
30 : 외측손잡이유닛 31 : 외측손잡이 32 : 열쇠구멍
33 : 샤프트 34 : 회전로드 35 : 외측커버
36 : 나사체결부 40 : 스트라이크유닛 41 : 스트라이크함체
42 : 래치걸림구멍 43 : 푸셔설치홀 44 : 래치푸셔
45 : 탄성스냅돌기 46 : 스위치 47 : 래치홈

Claims (4)

  1. 문의 내외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되는 내외측 손잡이유닛과, 내외측 손잡이유닛에 포함되는 내외측 손잡이를 돌림에 따라 선단 래치볼트가 출몰하며 문틀에 설치된 스트라이크유닛에 걸림과 해정이 되는 래치볼트유닛과, 래치볼트에 대응되는 위치의 문틀에 설치되어 래치볼트가 출입되는 스트라이크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내측손잡이유닛에 포함되며 문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내측커버의 일측에 래치설치부를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되, 내측커버와 래치설치부의 내부공간이 서로 통하게 형성되며, 래치설치부의 선단부에는 서로 통하는 내측커버와 래치설치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래치볼트유닛의 선단 래치볼트가 출몰하는 래치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커버에 형성되는 나사구멍으로 삽입되는 나사는 문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나사통과홀을 각각 관통하여 문 외측의 외측커버에 형성되는 나사체결부에 체결되고, 래치볼트유닛의 샤프트홀에 관통되어 내외측 손잡이를 돌림에 따라 래치볼트를 출몰시키는 샤프트는 나사통과홀 사이의 문에 형성되는 축삽입홀을 관통하여 내외측커버의 내측 중심부에 서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스트라이크유닛은 문틀에 설치되는 스트라이크함체 일측의 래치볼트 대응부에 래치볼트가 출입하는 래치걸림구멍이 형성되고, 래치걸림구멍 반대편의 스트라이크함체에는 푸셔설치홀이 형성되며, 상기 푸셔설치홀에는 래치걸림구멍으로 삽입된 래치볼트를 밀어내는 래치푸셔의 후방이 삽입 설치되되, 래치푸셔의 양측에는 외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한 톱니형 탄성스냅돌기가 탄력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간편한 도어락.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푸셔의 내부에는 래치푸셔를 밀어서 래치푸셔의 후방이 래치볼트를 밀어낼 때, 스위치가 온(on)되어 부저를 울리거나 음성신호를 보내는 스위치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간편한 도어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걸림구멍은 스트라이크함체의 후방측 말단선부로부터 푸셔설치홀 측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래치홈 형태로 들어온 위치에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간편한 도어락.
KR1020220063431A 2022-05-24 2022-05-24 설치가 간편한 도어락 KR102624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431A KR102624492B1 (ko) 2022-05-24 2022-05-24 설치가 간편한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431A KR102624492B1 (ko) 2022-05-24 2022-05-24 설치가 간편한 도어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748A KR20230163748A (ko) 2023-12-01
KR102624492B1 true KR102624492B1 (ko) 2024-01-12

Family

ID=8912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431A KR102624492B1 (ko) 2022-05-24 2022-05-24 설치가 간편한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4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179Y1 (ko) * 1995-08-19 1999-01-15 윤규중 여닫이문의 핸들장치 및 힌지
KR20080003655A (ko) * 2006-07-03 2008-01-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도어락 단열장치
KR100872687B1 (ko) * 2006-12-06 2008-12-10 문영택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버튼
KR101146493B1 (ko) * 2010-07-15 2012-05-16 한동수 안전 도어록
KR101367639B1 (ko) 2012-08-02 2014-02-27 (주)락시스 디지털 도어락장치
KR102088947B1 (ko) 2018-04-02 2020-03-13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레버형 도어락의 구동 조립체
KR102023853B1 (ko) 2018-10-08 2019-09-23 강혜란 공공 사용 공간의 룸에 적용되는 스마트 도어락을 가지는 방범 룸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748A (ko)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9406A (en) Automatic bolt lock
US5860250A (en) Gate device
US4102545A (en) Sliding door locking system
US20020067046A1 (en) Drop lock-outward opening door retaining device
KR102624492B1 (ko) 설치가 간편한 도어락
AU2005311681B2 (en) Universal door striker plate that permits continuous adjustment
US7686356B2 (en) Universal door striker plate that permits continuous adjustment
JP4410777B2 (ja) 非表示型打掛錠の非常解錠構造
US20210071444A1 (en) Child-safe door, cabinet, and drawer locking system and apparatus
CA1294298C (en) Security hardware for old construction
KR200492142Y1 (ko) 울타리용 문고리
JP4948192B2 (ja) 室内における扉用表示錠
US7603879B2 (en) Deadbolt vinyl gate fence lock and system
US20050134056A1 (en) Cabinet door locking system
US1126375A (en) Lock for door-bolts.
US20020095962A1 (en) Thumbturn extension assembly
JPH0440362Y2 (ko)
JP3848103B2 (ja) 防犯錠
JPH0237432Y2 (ko)
KR200288035Y1 (ko) 투입구 차단장치
JP6163008B2 (ja)
CN1133787C (zh) 设定及开锁的方法及装置
GB2120311A (en) Locks
US1099387A (en) Lock-strike.
KR200226114Y1 (ko) 도어의 록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