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336B1 - 자동 온-오프 기능을 가지는 마이크로폰 - Google Patents

자동 온-오프 기능을 가지는 마이크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336B1
KR102624336B1 KR1020230104208A KR20230104208A KR102624336B1 KR 102624336 B1 KR102624336 B1 KR 102624336B1 KR 1020230104208 A KR1020230104208 A KR 1020230104208A KR 20230104208 A KR20230104208 A KR 20230104208A KR 102624336 B1 KR102624336 B1 KR 102624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range
sensor uni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배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엔엠 filed Critical ㈜에이치엔엠
Priority to KR1020230104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 G01J5/0025Living 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을 제공한다. 마이크로폰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음하고, 상기 음성에 의해 발생하는 음압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수음부; 상기 전기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음향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증폭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마이크로폰이 가지는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수동 적외선 동작 센서일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온-오프 기능을 가지는 마이크로폰{MICROPHONE WITH AUTOMATIC ON-OFF FUNCTION}
본 발명은 자동 온-오프 기능을 가지는 마이크로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폰은 전기신호 전달 매체에 따라 유선과 무선 마이크로폰으로 분류된다. 유선 마이크로폰과 무선 마이크로폰은 다양한 형태로 생산된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폰의 구성은 수음부, 증폭부, 신호부, 그리고 전원부를 포함한다. 수음부는 사용자의 음성(음파)에 의한 압력을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증폭부는 수음부가 변환시킨 전기신호를 증폭시킨다. 신호부는 증폭부에서 증폭된 전기신호를 믹서, 앰프, 또는 무선 수신기 등을 포함하는 출력 장치로 전송한다. 전원부는 수음부, 증폭부, 신호부 등 마이크로폰이 구비하는 구성들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일반적인 마이크로폰은 전원부를 온-오프 시키는 작동 스위치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작동 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마이크로폰을 온-오프 시킨다.
마이크로폰의 제조사, 마이크로폰의 종류 등에 따라 작동 스위치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화한다. 예를 들어, 작동 스위치는 마이크로폰의 측면에 구비되기도 하고, 마이크로폰의 밑면에 구비되기도 한다. 또한 작동 스위치의 형태, 조작 방법 또한 마이크로폰의 제조사, 마이크로폰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에, 마이크로폰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작동 스위치의 조작에 미숙함을 겪고 있다. 특히, 구즈넥 형태의 회의용 마이크는 발언 시작과, 종료시 마다 반드시 작동 스위치를 수동으로 온 또는 오프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회의용 마이크의 작동 스위치를 사용자가 적절히 조작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회의 진행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무선 마이크로폰은 전원 공급을 위해 배터리 형태의 전원부를 구비한다. 이때,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를 적절히 오프시키지 못하게 되면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이 경우, 전력을 낭비하여 무선 마이크로폰의 사용시간을 단축시킨다.
본 발명은 전원부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와 마이크로폰 사이의 거리가 매우 가깝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마이크로폰 사용 의도를 판단하여 전원부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와 마이크로폰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더라도 비교적 일정한 음향 출력을 가능케하는 마이크로폰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을 제공한다. 마이크로폰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음하고, 상기 음성에 의해 발생하는 음압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수음부; 상기 전기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음향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증폭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마이크로폰이 가지는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수동 적외선 동작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센서부는, 인체 7μm ~ 14μm 대역에서 파장의 열 복사를 감지하도록 설계된 수동 적외선 동작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센서부는, 감지 각도가 0 ~ 90도로 설계된 수동 적외선 동작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증폭부로부터 상기 증폭 음향전기신호를 전송받아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장치에 전송 처리하는 신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전원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제1범위에 속하는 경우 온(On)되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1범위보다 먼 제3범위에 속하는 경우 오프(Off)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전원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제2범위에 속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오프(Off) 혹은 온(On)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범위는 상기 제1범위보다는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고, 상기 제3범위보다는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와 가까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온(On) 혹은 오프(Off) 여부를 제어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2범위에 속하되,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2범위에 속하게 된 경우, 상기 전원부를 온(On) 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상기 제2범위에 속하게 된 경우, 상기 전원부를 오프(Off) 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1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 이득을 제1이득으로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2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 이득을 제2이득으로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3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 이득을 제3이득으로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이득은 상기 제2이득보다 작고, 상기 제2이득은 상기 제3이득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폰은, 복수의 상기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부는, 상기 센서부들 중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장 작게 센싱되는 센서부를 기준으로 온(On) 또는 오프(Off)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마이크로폰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방향을 센싱하기 위한 방향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 센서부가 센싱하는 상기 사용자의 방향에 따라 상기 수음부의 수음 방향 및/또는 수음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을 제공한다. 마이크로폰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음하고, 상기 음성에 의해 발생하는 음압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수음부; 상기 전기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음향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증폭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마이크로폰이 가지는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전원부; 및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온(On) 혹은 오프(Off) 여부를 제어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제1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를 온(On)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제2범위에 속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전원부를 온(On) 혹은 오프(Off)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제3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를 오프(Off) 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범위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2범위보다 가깝고, 상기 제2범위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3범위보다 가까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2범위에 속하되,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2범위에 속하게 된 경우, 상기 전원부를 온(On) 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상기 제2범위에 속하게 된 경우, 상기 전원부를 오프(Off) 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1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 이득을 제1이득으로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2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 이득을 제2이득으로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3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 이득을 제3이득으로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이득은 상기 제2이득보다 작고, 상기 제2이득은 상기 제3이득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원부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와 마이크로폰 사이의 거리가 매우 가깝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마이크로폰 사용 의도를 판단하여 전원부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와 마이크로폰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더라도 비교적 일정한 음향 출력을 가능케한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그리고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마이크로폰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으로, 마이크로폰의 센서부가 센싱하는 센싱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마이크로폰의 측부를 바라본 도면으로, 마이크로폰의 센서부가 센싱하는 센싱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마이크로폰의 수음부, 센서부 및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마이크로폰이 가지는 전원부의 온-오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폰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폰의 측부를 바라본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더욱 명백해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첨부 도면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축척에 맞게 그려진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명확성을 위해 도면의 다양한 치수는 과장되었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제 더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이 철저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그 범위를 충분히 전달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구성요소, 장치 및 방법의 예와 같은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이 제시된다. 특정 세부사항이 이용될 필요가 없고, 예시적인 실시예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둘 다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공지된 프로세스, 공지된 장치 구조 및 공지된 기술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여기서 사용된 것과 같은, 단수 표현들 또는 단복수가 명시되지 않은 표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나타나지 않는 이상, 복수 표현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구비하는", "가지는"은 개방형 의미이며 따라서 언급된 특징들, 구성들(integers), 단계들, 작동들, 요소들 및/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구성들, 단계들, 작동들, 요소들, 구성요소들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방법 단계들, 프로세스들 및 작동들은, 수행하는 순서가 명시되지 않는 한, 논의되거나 설명된 특정 순서로 반드시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단계들이 선택될 수 있다.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연결된", "결합된", "부착된", "인접한" 또는 "덮는"으로 언급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상기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있거나, 연결되거나, 결합되거나, 부착되거나, 인접하거나 또는 덮거나, 또는 중간 요소들 또는 층들이 존재할 수 있다. 반대로, 요소가 다른 요소 또는 층의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된"으로 언급될 때, 중간 요소들 또는 층들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요소를 지칭한다. 본원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열거된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의 모든 조합들 및 부조합들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본원발명에서 다양한 요소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이 요소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들 용어는 어느 한 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단지 다른 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논의되는 제1 요소, 제1 영역, 제1 층, 또는 제1 섹션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교시를 벗어나지 않고 제2 요소, 제2 영역, 제2 층, 또는 제2 섹션으로 지칭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예를 들어, "아래에", "밑에", "하부", "위에", "상단"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배향뿐만 아니라 사용 또는 작동 중인 장치의 다른 배향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 내의 상기 장치가 뒤집힌다면,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의 "밑에" 또는 "아래에"로 설명된 요소들은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의 "위에" 배향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아래에" 용어는 위 및 아래의 배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다르게 배향될 수 있고(90도 회전되거나, 다른 배향으로), 본원발명에서 사용된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설명어구는 그에 맞춰 해석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같은"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경우, 약간의 부정확함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한 요소 또는 값이 다른 요소 또는 값과 동일한 것으로 언급될 경우, 해당 요소 또는 값이 제조 또는 작동 오차 (예를 들어 ±10 %) 내의 다른 요소 또는 값과 동일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수치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대략" 또는 "실질적으로"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 당해 수치는 언급된 수치의 제조 또는 작동 오차(예를 들어 ±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기하학적 형태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와 "실질적으로"라는 단어를 사용할 경우 기하학적 형태의 정확성이 요구되지는 않지만 형태에 대한 자유(latitude)는 개시 범위 내에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하는)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을 포함하여,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그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원발명에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그리고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마이크로폰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으로, 마이크로폰의 센서부가 센싱하는 센싱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마이크로폰의 측부를 바라본 도면으로, 마이크로폰의 센서부가 센싱하는 센싱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폰(1)은 출력 장치(2)로 음향전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출력 장치(2)는 마이크로폰(1)으로부터 음향전기신호를 전송받아 음향으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 장치일 수 있다. 출력 장치(2)는 믹서, 앰프, 무선 수신기, 또는 믹서와 앰프를 구비하는 음향 시스템일 수 있다.
마이크로폰(1)은 사용자(P, 화자)의 음성(음파)을 수음하고, 수음된 음파를 증폭 및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은 수음부(10), 센서부(20), 몸체부(30), 그리고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음부(10)는 사용자(P)의 음성을 수음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음부(10)는 사용자(P)의 음성을 수음하고, 수음된 음성에 의해 구현되는 압력을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음부(10)의 외부는 사용자(P)의 음성을 수음하기 용이한 메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수음부(10)의 내부는 음압을 전기신호로 바꿔주는 변환기(Transducer)를 구비할 수 있다.
변환기는 변환기의 형태 및/또는 재료에 따라 수음된 음성을 변환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 변환기의 형태 및/또는 종류에 따라 마이크로폰(1)은 다이내믹 마이크로폰, 콘덴서 마이크로폰, 리본 마이크로폰, 탄소 마이크로폰, 크리스털 마이크로폰 등으로 구분되어 질 수 있다.
센서부(20)는 사용자(P)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20)는 사용자(P)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20)는 사용자(P)의 입술 부분과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통상 인체에서는 7 마이크로미터 내지 14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적외선을 방출된다. 센서부(20)는 인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0)는 수동 적외선 동작 센서(PIR Sensor;Passive Infrared Ray Sensor)일 수 있다. 센서부(20)는 7 마이크로미터 내지 14 마이크로미터 대역에서 파장의 인체 열 복사를 감지하도록 설계된 수동 적외선 동작 센서일 수 있다.
센서부(20)는 설정 범위(D) 내에 사용자(P)가 존재하는지 여부(존재 유무)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0)는 사용자(P)와의 거리에 따라 열 복사 세기도 감지할 수 있다. 후술하는 판단부(44)는 센서부(20)의 감지 범위일 수 있는 설정 범위(D) 내에 사용자(P)의 존재 유무, 그리고 상기 열 복사 세기에 따라 센서부(20)와 사용자(P) 사이의 거리가 얼마나 되는지를 추정 또는 판단할 수 있다.
센서부(20)의 감지 범위일 수 있는 설정 범위(D)는 약 200mm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센서부(20)는 지향성 감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을 사용시, 일반적으로 사용자(P)는 수음부(10)의 측방 또는 상부에 입술을 가까이하여 음성을 발생시킨다. 이에, 센서부(20)의 센싱 영역은 설정 범위(D) 내, 그리고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A 도 범위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P)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도는 90 도일 수 있다. 즉, 센서부(20)는 0 도에서 90 도, 그리고 설정 범위(D) 내의 센싱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센서부(20)는 수음부(10)와 인접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수음부(1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20)가 수음부(10)와 인접하게 설치되거나, 수음부(10)의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P)의 입술과 수음부(10) 외부 사이의 거리를 왜곡 없이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센서부(20)를 수동 적외선 동작 센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센서부(20)는 수동 적외선 동작 센서 이외에도, 설정 범위(D) 내 사용자(P)의 존재 유무 및/또는 사용자(P)와 센서부(2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0)는 레이저 센서(Laser Sensor), 라이다 센서(LIDAR, Light Dectection and Ranging Sensor), 레이더 센서(Radar, Radio Detecting And Ranging Sensor), 가시광선 센서, 비전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몸체부(30)는 사용자(P)가 마이크로폰(1)을 그립(Grip)할 수 있는 형상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제어부(40)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 그리고 도 3에서는 마이크로폰(1)이 핸드 마이크로 제공되고, 사용자(P)가 마이크로폰(1)을 그립할 수 있도록 몸체부(30)가 일정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태를 가지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몸체부(30)는 회의실 책상에 놓여질 수 있는 블록이나,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부(40)는 몸체부(3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마이크로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수음부(10)로부터 수음된 음성(음파)에 의한 압력이 변환된 전기신호를 증폭시키고, 외부의 출력 장치(2)로 전송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사용자(P)와 마이크로폰(1) 사이의 거리,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P)의 입술과 센서부(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마이크로폰(1)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어부(40)는 음향 전기신호 혹은 증폭 음향전기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노이즈 제거 필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마이크로폰의 수음부, 센서부 및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40)는 증폭부(41), 신호부(42), 전원부(43), 그리고 판단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부(41)는 수음부(10)에서 수음된 음성(음파)이 변환되어 생성된 음향전기신호를 증폭 음향전기신호로 증폭시킬 수 있다. 증폭부(41)는 음향 전기신호를 증폭부(41)에 포함된 증폭기의 이득(Gain)에 근거하여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증폭부(41)에는 복수의 증폭기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증폭기들은 서로 다른 이득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센서부(20)와 사용자(P)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복수의 증폭기들 중 선택된 증폭기가 사용될 수 있다.
신호부(42)는 증폭부(41)에서 증폭된 증폭 음향전기신호를 마이크로폰(1) 외부의 출력 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신호부(42)는 구비하고 있는 전송 매체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출력 장치(2)에 증폭 음향전기신호를 전송처리 할 수 있다. 또한, 신호부(42)가 구비하는 전송 매체의 종류에 따라 마이크로폰(1)은 무선 마이크로폰, 혹은 유선 마이크로폰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원부(43)는 마이크로폰(1)이 구비하는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43)는 마이크로폰(1)이 가지는 수음부(10), 증폭부(41), 신호부(42) 등의 구성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잇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43)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원, 그리고 센서부(20)가 센싱하는 사용자(P)와 센서부(20)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원의 전력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43)가 구비하는 전력 공급원은, 마이크로폰(1)이 무선 마이크로폰인 경우에는 배터리(Battery)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마이크로폰(1)이 유선 마이크로폰인 경우에는 유선 선로와 같은 외부 전력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포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판단부(44)는 센서부(20)가 센싱하는 센서부(20)와 사용자(P)와의 거리에 따라 전원부(43)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전원부(43)가 구비하는 전원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판단부(44)는 필요에 따라 센서부(20)가 센싱하는 인체로부터 발생하는 적외선 파장의 세기를 통해 센서부(20)와 사용자(P) 사이의 거리를 추정하는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판단부(44)는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 기판이거나, 반도체 칩으로 구성되는 프로세서이거나,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마이크로폰이 가지는 전원부의 온-오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판단부(44)는 센서부(20)와 사용자(P)와의 거리가 설정 범위(D)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선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P)가 센서부(20)의 감지 범위인 설정 범위(D)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판단부(44)는 사용자(P)가 설정 범위(D) 내에서 어느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부(20)의 감지 범위인 설정 범위(D)는 제1범위(A) 및 제2범위(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범위(C)는 센서부(20)의 감지 범위인 설정 범위(D)를 벗어나는 범위일 수 있다. 센서부(20)의 감지 범위인 설정 범위(D)가 크게 설정되는 경우에는, 설정 범위(D)가 제1범위(A), 제2범위(B) 및 제3범위(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범위(A)는 사용자(P)와 센서부(20)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은 범위일 수 있다. 제3범위(C)는 사용자(P)와 센서부(20) 사이의 거리가 가장 먼 범위일 수 있다. 제2범위(B)는 제1범위(A)와 제3범위(C) 사이에 위치하는 범위일 수 있다.
판단부(44)는 사용자(P)가 설정 범위(D)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와 함께 사용자(P)의 현재 위치가 제1범위(A), 제2범위(B), 제3범위(C) 중 어느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44)는 제1범위(A)에 사용자(P)가 위치한다고 판단하면 항상 전원부(43)를 온(On)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경우는
판단부(44)는 제3범위(C)에 사용자(P)가 위치한다고 판단하면 항상 전원부(43)를 오프(Off)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판단부(44)는 제2범위(B)에 사용자(P)가 위치한다고 판단하면 전원부(43)를 온(On) 시키거나, 오프(Off) 시키는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킨다.
제2범위(B)에 사용자(P)가가 위치하는 경우, 판단부(44)는 사용자(P)의 마이크 사용 의사를 추정하여 전원부(43)를 온 또는 오프 시키는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부(20)와 사용자(P)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사용자(P)의 위치가 제2범위(B)에 속하게 된 경우, 마이크로폰(1)이 사용자(P)의 입술과 가까워지면서 제2범위(B)에 속하게 된 것이다. 판단부(44)는 이 경우에 사용자(P)가 마이크 사용 의사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여 전원부(43)를 온 시킬 수 있다.
반대로, 센서부(20)와 사용자(P)와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사용자(P)의 위치가 제2범위(B)에 속하게 된 경우, 마이크로폰(1)이 사용자(P)의 입술과 멀어지면서 제2범위(B)에 속하게 된 것이다. 판단부(44)는 이 경우에 사용자(P)가 마이크 사용 의사가 없는 것으로 추정하여 전원부(43)를 오프 시킬 수 있다.
설정 범위(D)가 제1범위(A), 제2범위(B), 제3범위(C)를 모두 포함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판단부(44)는 사용자(P)가 제3범위(C)에서 제2범위(B)로 진입하는 경우, 센서부(20)와 사용자(P)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P)가 제1범위(A)에서 제2범위(B)로 진입하는 경우, 센서부(20)와 사용자(P)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설정 범위(D)가 제1범위(A) 및 제2범위(B)만을 포함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판단부(44)는 사용자(P)가 감지되지 않다가 제2범위(B)에서 감지되는 경우, 센서부(20)와 사용자(P)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P)가 제1범위(A)에서 제2범위(B)로 진입하는 경우, 센서부(20)와 사용자(P)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설정 범위(D)가 제3범위(C)를 포함하는지와 무관하게, 판단부(44)는 사용자(P)가 제2범위(B)에서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매우 짧은 시간(예를 들어, 0.5초 정도) 동안 제2범위(B) 내에서의 이동 방향을 통해, 센서부(20)와 사용자(P)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있는지, 아니면 멀어지고 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원부(43)가 온 또는 오프되는 제2범위(B)를 별도로 설정해두는 것은 사용자(P)들마다 마이크로폰(1)의 사용 습관이 다르기 때문이다.
어떤 사용자(P)는 마이크로폰(1)에 입술을 가까이 대고 사용하는 것을 사용 습관으로 할 수가 있으나, 다른 사용자(P)는 위생 등을 이유로 마이크로폰(1)에 입술을 가까이 대는 것을 꺼려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에 입술을 가까이 대는 것을 꺼려하는 사용자(P)를 고려하여, 전원부(43)가 항시 온(On)되는 제1범위(A)를 넓게 하는 경우, 마이크로폰(1)에 사용자(P)가 조금만 가까워지더라도 마이크로폰(1)은 온(On)되기 때문에, 온-오프를 자동 제어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효과의 효용성을 떨어뜨린다.
이에, 본 발명은 전원부(43)가 온 또는 오프되는 제2범위(B)를 별도로 설정해두고, 사용자(P)가 제2범위(B)에 위치하게 되기까지의 거리 변화를 고려하여 사용자(P)의 사용 의사를 추정하고, 추정된 사용 의사에 근거하여 전원부(43)를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판단부(44)는 증폭부(41)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증폭부(41)는 복수의 증폭기를 구비하고, 복수의 증폭기는 서로 다른 이득을 가지고, 복수의 증폭기는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판단부(44)는 사용자(P)가 제1범위(A)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면, 증폭부(41)들 중 가장 증폭 이득이 작은 제1이득을 가지는 증폭기를 사용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판단부(44)는 사용자(P)가 제3범위(C)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면, 증폭부(41)들 중 가장 증폭 이득이 큰 제3이득을 가지는 증폭기를 사용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판단부(44)는 사용자(P)가 제2범위(B)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면, 증폭부(41)들 중 중간 정도의 증폭 이득인 제3이득을 가지는 증폭기를 사용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판단부(44)는 사용자(P)와 마이크로폰(1) 사이의 거리에 따라 증폭부(41)의 증폭 이득을 달리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P)와 마이크로폰(1) 사이의 거리가 다소 변화하더라도 일정한 크기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게 돕는다.
상술한 예에서는 센서부(20)가 하나만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부(20)가 마이크로폰(1)의 측부에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 마이크로폰(1)의 방향에 따라 사용자(P)의 위치가 적절히 센싱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1)은 복수의 센서부(20a, 20b, 20c, 20d)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판단부(44)는 복수의 센서부(20a, 20b, 20c, 20d)들 중 사용자(P)와의 거리가 가장 짧게 인식되는 센서부가 측정하는 측정 값을 기준으로 하여 전원부(43)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1)은 방향 센서부(50)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방향 센서부(50)는 몸체부(30)의 밑면에 설치될 수 있다. 방향 센서부(50)는 마이크로폰(1)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P)의 방향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센서부(50)는 사용자(P)가 도 7에 도시된 제1영역에 위치하는지, 혹은 제2영역에 위치하는 지를 센싱할 수 있다. 방향 센서부(50)가 사용자(P)의 방향을 센싱하면, 수음부(10)는 방향 센서부(50)의 센싱 값에 근거하여 음성(음파)의 수음 방향 및 수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여기에 개시되었으며, 다른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정 실시예의 개별 요소 또는 특징은 일반적으로 그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지만, 적용 가능한 경우, 특별히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더라도 상호 교환 가능하고 선택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그러한 모든 변형은 다음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마이크로폰: 1
출력 장치: 2
수음부: 10
센서부: 20, 20a, 20b, 20c, 20d
몸체부: 30
제어부: 40
증폭부: 41
신호부: 42
전원부: 43
판단부: 44
방향 센서부: 50

Claims (14)

  1. 마이크로폰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수음하고, 상기 음성에 의해 발생하는 음압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수음부;
    상기 전기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음향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증폭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마이크로폰이 가지는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제1범위에 속하는 경우 온(On)되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1범위보다 먼 제3범위에 속하는 경우 오프(Off)되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제2범위에 속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오프(Off) 혹은 온(On)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범위는 상기 제1범위보다는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고, 상기 제3범위보다는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와 가깝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온(On) 혹은 오프(Off) 여부를 제어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2범위에 속하되,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2범위에 속하게 된 경우, 상기 전원부를 온(On) 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상기 제2범위에 속하게 된 경우, 상기 전원부를 오프(Off) 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7μm ~ 14μm 대역에서 파장의 인체 열 복사를 감지하도록 설계된 수동 적외선 동작 센서인 마이크로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감지 각도가 0 ~ 90도로 설계된 수동 적외선 동작 센서인 마이크로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증폭부로부터 상기 증폭 음향전기신호를 전송받아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장치에 전송 처리하는 신호부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수동 적외선 동작 센서인 마이크로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1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 이득을 제1이득으로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2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 이득을 제2이득으로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3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 이득을 제3이득으로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이득은 상기 제2이득보다 작고,
    상기 제2이득은 상기 제3이득보다 작은 마이크로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복수의 상기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부는,
    상기 센서부들 중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장 작게 센싱되는 센서부를 기준으로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마이크로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마이크로폰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방향을 센싱하기 위한 방향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 센서부가 센싱하는 상기 사용자의 방향에 따라 상기 수음부의 수음 방향 및/또는 수음 각도가 조절되는 마이크로폰.
  12. 마이크로폰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수음하고, 상기 음성에 의해 발생하는 음압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수음부;
    상기 전기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음향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증폭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마이크로폰이 가지는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전원부; 및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온(On) 혹은 오프(Off) 여부를 제어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제1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를 온(On)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제2범위에 속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전원부를 온(On) 혹은 오프(Off)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제3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를 오프(Off) 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범위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2범위보다 가깝고,
    상기 제2범위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3범위보다 가깝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2범위에 속하되,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2범위에 속하게 된 경우, 상기 전원부를 온(On) 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상기 제2범위에 속하게 된 경우, 상기 전원부를 오프(Off) 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폰.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1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 이득을 제1이득으로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2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 이득을 제2이득으로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3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 이득을 제3이득으로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이득은 상기 제2이득보다 작고,
    상기 제2이득은 상기 제3이득보다 작은 마이크로폰.
KR1020230104208A 2023-08-09 2023-08-09 자동 온-오프 기능을 가지는 마이크로폰 KR102624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208A KR102624336B1 (ko) 2023-08-09 2023-08-09 자동 온-오프 기능을 가지는 마이크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208A KR102624336B1 (ko) 2023-08-09 2023-08-09 자동 온-오프 기능을 가지는 마이크로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336B1 true KR102624336B1 (ko) 2024-01-12

Family

ID=8954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4208A KR102624336B1 (ko) 2023-08-09 2023-08-09 자동 온-오프 기능을 가지는 마이크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3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961A (ko) * 1993-12-28 1995-07-28 배순훈 자동 온/오프 마이크장치
US20140112483A1 (en) * 2012-10-24 2014-04-24 Alcatel-Lucent Usa Inc. Distance-based automatic gain control and proximity-effect compensation
KR200485782Y1 (ko) * 2016-12-28 2018-02-22 강태천 음원 접근 여부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는 음향 장치
JP2019022011A (ja) * 2017-07-13 2019-02-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情報取得装置及び情報取得装置の制御方法
US20190098402A1 (en) * 2016-07-22 2019-03-28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Locating method, locating system, and terminal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961A (ko) * 1993-12-28 1995-07-28 배순훈 자동 온/오프 마이크장치
US20140112483A1 (en) * 2012-10-24 2014-04-24 Alcatel-Lucent Usa Inc. Distance-based automatic gain control and proximity-effect compensation
US20190098402A1 (en) * 2016-07-22 2019-03-28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Locating method, locating system, and terminal device
KR200485782Y1 (ko) * 2016-12-28 2018-02-22 강태천 음원 접근 여부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는 음향 장치
JP2019022011A (ja) * 2017-07-13 2019-02-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情報取得装置及び情報取得装置の制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15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hearing assistance
US83915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hearing assistance
US10304438B2 (en) Noise-cancellation system and method for noise cancellation
US8130990B2 (en) Fully automatic switching on/off in hearing aids
US20090299215A1 (en) Measurement of sound pressure level and phase at eardrum by sensing eardrum vibration
US20090052707A1 (en) Hearing-aid system having magnetic-field sensors
WO2007041058A3 (en) Power control feedback loop for adjusting a magnitude of an output signal
US20180152783A1 (en) Method to dynamically change the directional speakers audio beam and level based on the end user activity
KR101667276B1 (ko) 소형 개구 음향 센서를 이용하는 디지털 전사 시스템
WO2017157409A1 (en) Wireless body worn personal device with loss detection functionality
KR102624336B1 (ko) 자동 온-오프 기능을 가지는 마이크로폰
US20070177744A1 (en) Automatic volume limiter for portable audio devices
JP4317947B2 (ja) ヘッドホン装置
WO2007081052A1 (ja) 発光応答装置
CN101959113A (zh) 具有音量控制器的助听器和音量控制器
KR101667275B1 (ko) 작업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 개구를 갖는 음향 검출기를 이용하는 디지털 전사 시스템
WO2012044278A1 (en) A hearing instrument
KR100548881B1 (ko) 자동화 마이크
KR101056054B1 (ko) 무선 음향방출센서
CN211063759U (zh) 一种可测量体温并将测量结果传至手机的蓝牙耳机
US20170164123A1 (en) Hearing device system with a voic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US20070041598A1 (en) System for location-sensitive reproduction of audio signals
TW200630596A (en) Ultra sensitive silicon sensor readout circuitry
US8477971B2 (en) Hearing device with supporting hook recognition
JP3796470B2 (ja) マイクロ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