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881B1 - 자동화 마이크 - Google Patents

자동화 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881B1
KR100548881B1 KR1020030039231A KR20030039231A KR100548881B1 KR 100548881 B1 KR100548881 B1 KR 100548881B1 KR 1020030039231 A KR1020030039231 A KR 1020030039231A KR 20030039231 A KR20030039231 A KR 20030039231A KR 100548881 B1 KR100548881 B1 KR 10054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volume
microphone
tone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492A (ko
Inventor
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특수에이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특수에이브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특수에이브이
Priority to KR1020030039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881B1/ko
Publication of KR20040108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에 설치되어 인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에 대해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인체와의 거리 변화에 따라 음량을 가감하여 보정하고, 이 음량 보정된 음성신호에 대해 설정 주파수 대역별로 음색을 조정하되,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인체와의 거리 변화에 따라 음색을 보정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출력볼륨을 조절하는 출력볼륨 조정버튼을 포함하는 키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거리에 따라 음성신호의 음량 및 각 마이크 특성에 따라 주파수 대역별 음색을 자동으로 조정함에 의해 마이크를 통해 말을 하는 사람과 마이크간의 거리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불규칙한 음성신호 입력에 무관하게 청취자가 균일한 음성신호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마이크, 거리감지센서, 음량 보정, 음색 보정

Description

자동화 마이크 {Microphone for being able to adjust the Volume automatically}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마이크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마이크가 적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이크 200 : 거리감지센서
300 : 제어부 310 : 증폭부
320 : 메모리부 330 : 볼륨조절부
340 : 등화조절부 350 : 출력구동부
400 : 키조작부 500 : 통신부
본 발명은 자동화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와 마이크간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볼륨을 조정하는 음성신호의 볼륨제어에 관련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 5-183621 호(1993. 7. 23)에서 제시한 전화기는 인 체와의 거리를 계측하는 거리 센서 수단과, 상기 거리 센서 수단의 계측결과에 따라 수화기의 음량을 제어하는 음량 제어 수단과, 상기 거리 센서 수단의 계측결과에 따라 송화기의 입력 감도를 제어하는 입력 감도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 5-183621 호에서 제시한 발명의 요지는 가변되는 거리에 따라 전화기의 송화기 및 수화기를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신호의 음량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가변되는 거리에 따라 음성신호의 음량을 제어하는 기술을 마이크에 적용하여 말하는 사람의 얼굴(입)로부터 마이크간의 거리를 센서를 이용해 감지하여 거리가 멀어지면 증폭률을 자동으로 높여주고, 거리가 가까워지면 증폭률을 자동으로 줄여주는 마이크 장치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으며, 더 나아가 종래의 가변되는 거리에 따라 음성신호의 음량을 제어하는 기술에 부가하여 음성신호를 설정 주파수 대역별로 나누어 각 주파수 대역의 음색을 설정값에 따라 조정하는 등화(Equalizing) 처리시 각 주파수 대역별로 거리에 따른 음색 보정 가감률을 상이하게 적용하여 마이크의 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 마이크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또한, 마이크는 제조사나 종류에 따라 마이크 특성이 다 다르므로, 마이크 특성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마이크 특성 정보로부터 각 마이크 고유의 거리에 따른 음량변화 정도 및 방향에 따른 음량 변화 정도를 파악하여, 이로부터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 및 거리에 따른 설정 주파수 대역별 음색조정 가감도 정보를 작성하고, 이를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마이크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도 병행하였 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거리에 따라 음성신호의 음량 및 각 주파수 대역별 음색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자동화 마이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 및 거리에 따른 설정 주파수 대역별 음색조정 가감도 정보를 PC 등의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 자동화 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이크의 지향특성(Directional Characteristic)에 따른 음량 감도 변화에 대한 보정을 처리하도록 한 자동화 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마이크는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에 설치되어 인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 및 거리에 따른 설정 주파수 대역별 음색조정 가감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인체와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를 참조하여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음성신호의 음량을 가감하여 보정하는 볼륨조절부와, 상기 볼륨조절부에 의해 음량 보정된 음성신호에 대해 설정 주파수 대역별로 음색을 조정하되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인체와의 거리 변화에 따 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거리에 따른 설정 주파수 대역별 음색조정 가감도를 참조하여 반영하는 등화조절부와, 상기 볼륨조절부에 의해 음량 조정되고, 상기 등화조절부에 의해 설정 주파수 대역별로 음색 조정된 음성신호를 출력볼륨으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출력구동부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상기 출력구동부의 출력볼륨을 조절하는 출력볼륨 조정버튼을 포함하는 키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거리에 따라 음성신호의 음량 및 각 주파수 대역별 음색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마이크는 PC를 포함하는 외부의 통신장치로부터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 및 거리에 따른 설정 주파수 대역별 음색조정 가감도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PC 등의 통신수단을 통해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 및 거리에 따른 설정 주파수 대역별 음색조정 가감도 정보를 본 발명 장치의 메모리부에 저장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마이크는 상기 거리감지센서가 상기 마이크 첨단으로부터 인체의 입이 위치한 방향을 더 감지하고; 상기 메모리부가 마이크 첨단으로부터 인체의 입이 위치한 방향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기 볼륨조절부가 음량 보정시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마이크 첨단으로부터 인체의 입이 위치한 방향 변화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마이크 첨단으로부터 인체의 입이 위치한 방향에 따른 음 량조정 가감도를 참조하여 음량을 더 가감함으로써 마이크의 지향특성(Directional Characteristic)에 따른 음량 감도 변화에 대한 보정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인체가 위치한 방향 즉, 마이크의 지향특성(Directional Characteristic)에 따른 음량 감도 변화에 대한 보정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마이크는 상기 키조작부가 상기 볼륨조절부의 음량조정 가감시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의 기준이 되는 기준거리를 설정하는 기준거리 조정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음량조정 가감의 기준이 되는 기준거리를 사용자가 외부환경에 맞게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마이크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마이크는 마이크(100)와, 거리감지센서(200)와, 제어부(300)와, 키조작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100)는 음성을 입력받는다. 마이크(100)를 통해 말하는 사람의 인체(입)와 마이크 사이의 거리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아니므로, 말하는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시시각각 거리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100)로 입력 되는 음성신호의 크기도 차이가 나므로, 이를 듣는 청취자들에게는 말하는 사람의 목소리가 커졌다 작아졌다 계속 변하게 되어 주위가 조금 시끄럽거나 할 경우 마이크(100)를 통해 말하는 사람의 말이 종종 청취자에게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100)를 통해 말하는 사람의 가변되는 거리에 무관하게 청취자가 듣는 음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위해 본 발명에서는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마이크(100)와 인체의 거리에 따라 적절한 음량 및 음색을 보정하여 이를 출력하도록 하였다.
상기 거리감지센서(200)는 상기 마이크(100)에 설치되어 인체와의 거리를 감지한다. 이 거리감지센서(200)로는 인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검출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적외선센서, 인체로 초음파를 발사하고 반사파를 검출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초음파센서 등 현재 거리계측에 이용되는 각종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감지센서(200)에 관련된 기술은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거리감지센서(200)에 의해 감지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마이크(1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음량 및 각 주파수 대역별 음색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00)는 증폭부(310)와, 메모리부(320)와, 볼륨조절부(330)와, 등화조절부(340)와, 출력구동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증폭부(310)는 상기 마이크(100)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증폭한다.
상기 메모리부(320)는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 및 거리에 따른 설정 주파수 대역별 음색조정 가감도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볼륨조절부(330)는 상기 거리감지센서(200)에 의해 감지되는 인체와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를 참조하여 상기 증폭부(310)에 의해 증폭된 음성신호의 음량을 가감하여 보정한다.
상기 등화조절부(340)는 상기 볼륨조절부(330)에 의해 음량 보정된 음성신호에 대해 설정 주파수 대역별로 음색을 조정하되 상기 거리감지센서(200)에 의해 감지되는 인체와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거리에 따른 설정 주파수 대역별 음색조정 가감도를 참조하여 반영한다.
상기 출력구동부(350)는 상기 볼륨조절부(330)에 의해 음량 조정되고, 상기 등화조절부(340)에 의해 설정 주파수 대역별로 음색 조정된 음성신호를 출력볼륨으로 조정하여 출력한다.
마이크(100)는 제조사나 그 종류에 따라 마이크 특성이 상이하여 마이크 특성의 규격화가 곤란하므로, 마이크 특성 측정장치를 이용해 마이크 특성 예컨데, 마이크의 응답 주파수 특성(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마이크의 지향 특성(Directional Characteristic), 감도(Sensitivity), 최대 음압레벨(Sound Pressure) 등을 측정하여 마이크 특성 정보를 얻는다. 상기 마이크 특성을 측정하는 마이크 특성 측정장치는 이 출원 이전에 당업계에서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장치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마이크 특성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마이크 특성 정 보로부터 작성된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 및 거리에 따른 설정 주파수 대역별 음색조정 가감도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를 이용해 음량 및 음색을 조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거리감지센서(200)에 의해 감지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마이크(1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대해 상기 볼륨조절부(330)를 통해서는 음량을 보정하고, 상기 등화조절부(340)를 통해서는 각 주파수 대역별로 음색을 보정하여 상기 출력구동부(350)를 통해 이 음량 및 음색 조정된 음성신호를 출력볼륨으로 조정하여 출력한다.
이 때, 상기 음량 보정시는 상기 볼륨조절부(330)가 상기 거리감지센서(200)에 의해 감지되는 인체와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증폭부(310)에 의해 증폭된 음성신호의 음량을 가감하여 보정한다.
한편, 상기 음색 보정시는 상기 등화조절부(340)가 상기 볼륨조절부(330)에 의해 음량 보정된 음성신호에 대해 설정 주파수 대역별로 음색을 조정하되, 상기 거리감지센서(200)에 의해 감지되는 인체와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거리에 따른 설정 주파수 대역별 음색조정 가감도를 참조하여 반영하여 보정한다.
상기 키조작부(400)는 상기 출력구동부(350)의 출력볼륨을 조절하는 출력볼륨 조정버튼(41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음량 및 음색이 보정된 음성신호는 상기 키조작부(400)의 출력볼륨 조정버튼(410)에 의해 설정된 출력볼륨으로 조절되어 스피커 등의 음성출력수단으로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를 통해 말을 하는 사람과 마이크간의 거리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불규칙한 음성신호 입력에 무관하게 청취자는 거리에 따라 자동으로 음량 및 음색이 조정되어 출력된 균일한 음성신호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마이크가 PC를 포함하는 외부의 통신장치로부터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 및 거리에 따른 설정 주파수 대역별 음색조정 가감도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메모리부(132)에 저장하는 통신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마이크(100)는 제조사나 그 종류에 따라 마이크 특성이 상이하므로, 마이크 특성 측정장치를 이용해 마이크 특성 정보를 얻게 되는데, 이 측정된 마이크 특성 정보로부터 작성된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 및 거리에 따른 설정 주파수 대역별 음색조정 가감도 정보를 PC를 포함하는 외부의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부(132)에 저장함으로써, 이 저장된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 및 거리에 따른 설정 주파수 대역별 음색조정 가감도 정보가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음량 및 음색 보정시 참조된다.
따라서,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 및 거리에 따른 설정 주파수 대역별 음색조정 가감도 정보를 PC 등의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마이크의 상기 거리감지센서(200)가 상기 마이크 첨단으로부터 인체의 입이 위치한 방향을 더 감지하고, 상기 메모리부(320)가 마이크 첨단으로부터 인체의 입이 위치한 방향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기 볼륨조절부(330)가 음량 보정시 상기 거리감지센서(200)에 의해 감지되는 마이크 첨단으로부터 인체의 입이 위치한 방향 변화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마이크 첨단으로부터 인체의 입이 위치한 방향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를 참조하여 음량을 더 가감함으로써 마이크의 지향특성(Directional Characteristic)에 따른 음량 감도 변화에 대한 보정을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마이크의 지향특성(Directional Characteristic)이란 음원의 방향에 따른 마이크의 감도(Sensitivity)를 의미하는 것으로, 단일지향성(Unidirectional), 양지향성(Bi-directional), 무지향성(Omni-directional)으로 분류된다.
단일지향성 마이크는 정면에서 전달되는 소리에 대해서는 매우 높은 감도를 나타내고 배면으로 갈수록 감도가 떨어진다. 이 단일지향성은 몇 가지의 패턴으로 재분류 되는데 일반적으로 카디오이드, 수퍼(super)카디오이드, 하이퍼(hyper)카디오이드, 초지향성(shotgun)의 네 종류로 나뉘어진다.
양지향성(Bi-directional)은 마이크 전면과 배면의 감도가 동일한 극성 패턴으로 8자형 패턴(figure-8)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정면과 배면에서 균등하게 좋은 감도 특성을 지니며 측면 음에는 반응하지 않는다.
무지향성(Omni-directional)은 음원의 방향에 관계없이 도일한 감도를 가지는 마이크이다.
상기 마이크 첨단으로부터 인체의 입이 위치한 방향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는 이러한 마이크의 지향특성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타 테이블이며, 볼륨조절부(330)는 상기 거리감지센서(200)에 의해 감지되는 마이크 첨단으로부터 인체의 입이 위 치한 방향 변화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마이크 첨단으로부터 인체의 입이 위치한 방향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를 참조하여 음량을 더 가감함으로써 마이크의 지향특성(Directional Characteristic)에 따른 음량 감도 변화에 대한 보정을 처리하게 된다.
상기한 지향특성(Directional Characteristic)에 관련된 당업계에서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합니다.
또한, 상기 거리감지센서(100)를 통해 마이크 첨단으로부터의 인체이 입이 위치한 방향을 검출하는 기술 또한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따라서, 마이크의 지향특성(Directional Characteristic)에 따른 음량 감도 변화에 대한 보정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키조작부(400)가 상기 볼륨조절부(330)의 음량조정 가감시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의 기준이 되는 기준거리를 설정하는 기준거리 조정버튼(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음량조정 가감의 기준이 되는 기준거리를 사용자가 외부환경에 맞게 적절하게 조정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300)의 볼륨조절부(330) 및 등화조절부(340)가 음량 및 음색 조정시 이 설정된 기준거리를 기준으로 가감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마이크가 적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예는 센서 탈착형의 자동화 마이크에 대한 일예로 마이크(100)의 손잡이 부분에 거리감지센서(200)가 설치된 센서부재를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300)를 회로구성하여 본체 내부에 수납하고, 본체 외부에 키조작부(400)를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따라서, 위와 같이함에 의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마이크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마이크는 거리에 따라 음성신호의 음량 및 각 주파수 대역별 음색을 자동으로 조정함에 의해 마이크를 통해 말을 하는 사람과 마이크간의 거리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불규칙한 음성신호 입력에 무관하게 청취자가 균일한 음성신호를 청취할 수 있으며, PC 등의 통신수단을 통해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 및 거리에 따른 설정 주파수 대역별 음색조정 가감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마이크의 지향특성(Directional Characteristic)에 따른 음량 감도 변화에 대한 보정을 처리할 수 있고, 음량조정 가감의 기준이 되는 기준거리를 사용자가 외부환경에 맞게 적절하게 조정 가능한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4)

  1. 삭제
  2.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에 설치되어 인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 및 거리에 따른 설정 주파수 대역별 음색조정 가감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인체와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를 참조하여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음성신호의 음량을 가감하여 보정하는 볼륨조절부와, 상기 볼륨조절부에 의해 음량 보정된 음성신호에 대해 설정 주파수 대역별로 음색을 조정하되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인체와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거리에 따른 설정 주파수 대역별 음색조정 가감도를 참조하여 반영하는 등화조절부와, 상기 볼륨조절부에 의해 음량 조정되고, 상기 등화조절부에 의해 설정 주파수 대역별로 음색 조정된 음성신호를 출력볼륨으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출력구동부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상기 출력구동부의 출력볼륨을 조절하는 출력볼륨 조정버튼을 포함하는 키조작부와;
    PC를 포함하는 외부의 통신장치로부터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 및 거리에 따른 설정 주파수 대역별 음색조정 가감도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마이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감지센서가 상기 마이크 첨단으로부터 인체의 입이 위치한 방향을 더 감지하고;
    상기 메모리부가 마이크 첨단으로부터 인체의 입이 위치한 방향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기 볼륨조절부가 음량 보정시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마이크 첨단으로부터 인체의 입이 위치한 방향 변화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마이크 첨단으로부터 인체의 입이 위치한 방향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도를 참조하여 음량을 더 가감함으로써 마이크의 지향특성(Directional Characteristic)에 따른 음량 감도 변화에 대한 보정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마이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조작부가:
    상기 볼륨조절부의 음량조정 가감시 거리에 따른 음량조정 가감의 기준이 되 는 기준거리를 설정하는 기준거리 조정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마이크.
KR1020030039231A 2003-06-17 2003-06-17 자동화 마이크 KR10054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231A KR100548881B1 (ko) 2003-06-17 2003-06-17 자동화 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231A KR100548881B1 (ko) 2003-06-17 2003-06-17 자동화 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492A KR20040108492A (ko) 2004-12-24
KR100548881B1 true KR100548881B1 (ko) 2006-02-02

Family

ID=37382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231A KR100548881B1 (ko) 2003-06-17 2003-06-17 자동화 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8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671B1 (ko) * 2006-06-13 2006-11-29 주식회사 특수에이브이 시각적 경고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
US8271037B2 (en) 2007-02-28 2012-09-18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audio accessory use position detection and audio adjustment
US9134952B2 (en) 2013-04-03 2015-09-15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163284A1 (en) * 2013-04-03 2014-10-09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29786B1 (ko) * 2013-04-03 2020-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538400B1 (ko) * 2013-08-27 2015-07-22 (주) 로임시스템 반향 제거 성능 개선을 위한 오디오 시스템
KR102428973B1 (ko) * 2020-11-18 2022-08-04 캐치플로우(주) 능동 음압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 스피커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492A (ko) 200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7951B2 (ja) 参照信号プロセッサを備えた補聴器内の信号プロセスを現場で測定し現場で補正または調整するための方法
EP2202998B1 (en) A device for and a method of processing audio data
US11438711B2 (en) Hearing assist device employing dynamic processing of voice signals
Spriet et al. Evaluation of feedback reduction techniques in hearing aids based on physical performance measures
US20110002474A1 (en) Active Noise Reduction System Control
US11997461B2 (en) Proximity detection
CN106919225A (zh) 用于移动装置的声处理器
AU2008203193B2 (en) Hearing aid with anti-feedback system
US7916881B2 (en) Hear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a room acoustic
JP2002530033A (ja) モデルプロセッサを有する補聴器の出力信号を現場で測定し、補正または調整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上記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補聴器
CN215935067U (zh) 可穿戴音频设备
CN114503602A (zh) 用于耳戴式播放设备的音频系统和信号处理方法
KR100548881B1 (ko) 자동화 마이크
US200902743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degree of closure in hearing devices
WO2009081189A1 (en) Calibration of a noise cancellation system by gain adjustment based on device properties
EP1261235A2 (en) An IC chip for a hearing aid, a hearing aid and a system for adjusting a hearing aid
US20220343886A1 (en) Audio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an ear mountable playback device
US11875771B2 (en) Audio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an ear mountable playback device
JP4442726B2 (ja) オーディオトランスデューサ用音声マッチングシステム
CN217064005U (zh) 听力设备
JPH08102991A (ja) 受話器用音響再生装置
JP4293884B2 (ja) ステレオマイクロホン装置
EP3393138A1 (en) An automatic mut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for headphone
US20230050817A1 (en) Method for preparing an audiogram of a test subject by use of a hearing instrument
CN117939339A (zh) 麦克风系统和操作麦克风系统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