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901B1 -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901B1
KR102623901B1 KR1020220155633A KR20220155633A KR102623901B1 KR 102623901 B1 KR102623901 B1 KR 102623901B1 KR 1020220155633 A KR1020220155633 A KR 1020220155633A KR 20220155633 A KR20220155633 A KR 20220155633A KR 102623901 B1 KR102623901 B1 KR 102623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lenishment
vehicle
energy source
information
re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5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
Original Assignee
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 filed Critical 이현
Priority to KR1020220155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4Optimising energy costs, e.g. responding to electricity 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에 이용되는 에너지원을 상기 차량에 보충하는 보충 장치에 정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보충 장치가 설치된 보충 스테이션에서 상기 차량의 에너지원 보충이 예약되었는지를 조회 요청하는 예약 조회 요청 신호를 상기 차량 번호 정보와 함께 서버로 송신하는 차량 인식 장치; 상기 예약 조회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예약 목록 중에서 상기 차량에 대응되는 예약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예약 정보에 대응되는 에너지원의 보충에 책정된 가격을 결제 요청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는 서버; 및 상기 결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예약 정보를 표시하고, 결제 요청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결제 신호와 함께 서버로 송신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System for searching and reserving of supplement station for non-face-to-face vehicle energy source supplement}
본 발명은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위치와 과거에 에너지원 보충 이력에 기초하여 보충 스테이션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보충할 에너지원의 종류와 보충량을 결정하여 검색된 보충 스테이션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보충 스테이션에 대해 에너지원 보충을 예약하고, 차량이 보충 스테이션 내 보충 장치에 정차하면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예약을 검색한 후 사용자에게 예약된 에너지원 보충에 책정된 가격의 결제를 요청하고, 결제가 완료되면 보충 로봇이 보충 장치를 조작하여 예약 및 결제에 대응되는 종류의 에너지원을 보충량만큼 차량에 보충하는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상거래 활동에 있어서 편의성과 비접촉성(Untact)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COVID-19 등과 같은 바이러스가 유행하는 등으로 인해 각종 산업과 서비스에서 비접촉성 및 비대면 서비스가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오프라인 외식 산업과 오프라인 쇼핑 산업 등은 배달 서비스와 온라인 쇼핑 등으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연료 차량에 연료를 주유하는 주유소, 전기 차량에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소의 이용과 같이 사용자의 오프라인 매장 방문이 필수적인 상업 분야에서는 온라인 기술을 이용한 비접촉 또는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러한 전통적인 오프라인 상업 활동에서도 키오스크(KIOSK), 주문형 태블릿 PC, 무인정산기,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한 주문 또는 결제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으나, 이는 비접촉성과는 거리가 있으며, 사용 시간, 공간 활용도, 비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또한, 작동 방법에 학습이 필요하고 편의성 측면에서도 소비자와 매장 관리자 양측 모두에게 만족스럽지 못하다.
또한, 주유 또는 충전을 하기 위해서는 외부 공간과 분리된 차량의 실내 공간에서 사용자가 외부 공간으로 나와 직접 주유 또는 충전을 수행하거나, 주유소 또는 충전소의 직원과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다른 사람과 대면하지 않고 비대면으로 주유 또는 충전을 예약 및 결제하고, 결제에 대응하여 주유 또는 충전이 완료되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9460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위치와 과거에 에너지원 보충 이력에 기초하여 보충 스테이션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보충할 에너지원의 종류와 보충량을 결정하여 검색된 보충 스테이션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보충 스테이션에 대해 에너지원 보충을 예약함으로써, 사용자의 차량에 맞는 에너지원을 보충할 수 있는 보충 스테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보충 스테이션에 연락하지 않더라도 미리 에너지원 보충을 예약할 수 있는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보충 스테이션 내 보충 장치에 정차하면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예약을 검색한 후 사용자에게 예약된 에너지원 보충에 책정된 가격의 결제를 요청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 외부로 하차하여 직접 결제를 하지 않고 보충 스테이션의 직원과 대면하여 결제를 하지도 않으며, 비대면으로 결제가 가능한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결제가 완료되면 보충 로봇이 보충 장치를 조작하여 예약 및 결제에 대응되는 종류의 에너지원을 보충량만큼 차량에 보충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보충 스테이션 직원이 보충 작업을 직접 수행하지 않고도 보충 로봇을 통해 차량에 에너지원을 보충할 수 있는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에 이용되는 에너지원을 상기 차량에 보충하는 보충 장치에 정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보충 장치가 설치된 보충 스테이션에서 상기 차량의 에너지원 보충이 예약되었는지를 조회 요청하는 예약 조회 요청 신호를 상기 차량 번호 정보와 함께 서버로 송신하는 차량 인식 장치; 상기 예약 조회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예약 목록 중에서 상기 차량에 대응되는 예약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예약 정보에 대응되는 에너지원의 보충에 책정된 가격을 결제 요청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는 서버; 및 상기 결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예약 정보를 표시하고, 결제 요청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결제 신호와 함께 서버로 송신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인식 장치는 상기 보충 장치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보충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근접 거리 내에 차량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차량이 감지되면 해당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번호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번호판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차량 번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인식 장치는 상기 보충 스테이션의 입구 및 출구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입구를 통과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번호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번호판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차량 번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보충 스테이션에 차량이 입차함을 알리는 입차 알림 신호와 함께 상기 차량 번호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출구를 통과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번호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번호판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차량 번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보충 스테이션에서 차량이 출차함을 알리는 출차 알림 신호와 함께 상기 차량 번호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보충 스테이션에 대응되는 보충 차량 대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입차 알림 신호 및 상기 출차 알림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보충 스테이션 내에 체류하고 있는 차량의 수를 나타내는 체류 차량 대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보충 차량 대수 정보 및 상기 체류 차량 대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충 스테이션에서 에너지원을 보충하는데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보충 대기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인식 장치는 상기 예약 조회 요청 신호와 함께 상기 보충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스테이션 식별 정보 및 상기 보충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보충 장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예약 정보에 포함된 예약 스테이션 식별 정보와 상기 예약 조회 요청 신호와 함께 수신된 스테이션 식별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예약 스테이션 식별 정보와 상기 예약 조회 요청 신호와 함께 수신된 스테이션 식별 정보가 동일하면 상기 결제 요청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위치와 과거에 에너지원 보충 이력에 기초하여 보충 스테이션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보충할 에너지원의 종류와 보충량을 결정하여 검색된 보충 스테이션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보충 스테이션에 대해 에너지원 보충을 예약함으로써, 사용자의 차량에 맞는 에너지원을 보충할 수 있는 보충 스테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보충 스테이션에 연락하지 않더라도 미리 에너지원 보충을 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보충 스테이션 내 보충 장치에 정차하면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예약을 검색한 후 사용자에게 예약된 에너지원 보충에 책정된 가격의 결제를 요청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 외부로 하차하여 직접 결제를 하지 않고 보충 스테이션의 직원과 대면하여 결제를 하지도 않으며, 비대면으로 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결제가 완료되면 보충 로봇이 보충 장치를 조작하여 예약 및 결제에 대응되는 종류의 에너지원을 보충량만큼 차량에 보충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보충 스테이션 직원이 보충 작업을 직접 수행하지 않고도 보충 로봇을 통해 차량에 에너지원을 보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에서 차량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에서 보충 스테이션을 검색하는 과정을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에서 보충 스테이션에 에너지원 보충을 예약하는 과정을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의 보충 로봇 및 차량 인식 장치가 배치되고 보충 장치가 설치된 보충 스테이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의 보충 로봇 및 차량 인식 장치가 배치된 보충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이 적용된 보충 스테이션에 차량이 입차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의 차량 인식 장치가 차량 번호 정보를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에서 에너지원 보충의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의 보충 로봇이 보충 장치를 조작하여 차량에 에너지원을 보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이 적용된 보충 스테이션에 차량이 출차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작동,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제어부"는 해당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작동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장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및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기계 구동 장치,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로봇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에 이용되는 에너지원을 차량에 보충하는 보충 장치(200)가 복수 설치된 복수의 보충 스테이션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따라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보충 스테이션을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에너지원 보충의 예약을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아 에너지원 보충의 예약을 완료 처리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은 에너지원 보충을 예약한 차량 또는 에너지원 보충을 예약하지 않은 차량이 보충 스테이션에 도착하면 사용자에게 결제를 요청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에너지원 보충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보충 로봇(300)을 통해서 보충 장치로부터 차량으로 에너지원을 보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은 연료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여 주행하는 연료 차량일 수도 있고,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여 주행하는 전기 차량일 수 있다.
이때, 연료는 경유, 휘발유, LPG 및 수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에너지원은 연료인 경유, 휘발유, LPG 및 수소 중 어느 하나이거나 전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원을 보충함이란, 차량이 연료 차량인 경우, 연료를 차량의 연료탱크에 주입함을 의미하고, 차량이 전기 차량인 경우, 전기를 차량의 배터리에 충전시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보충 스테이션은 경유 또는 휘발유를 주유할 수 있는 주유소, LPG를 충전할 수 있는 LPG 충전소, 수소를 충전할 수 있는 수소 충전소 및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 충전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보충 장치(200)는 경유 또는 휘발유를 주유 장치, LPG를 충전할 수 있는 LPG 충전 장치, 수소를 충전할 수 있는 수소 충전 장치 및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 충전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보충 장치(200)가 주유 장치인 경우 보충 장치(200)의 유출부(202)는 주유건일 수 있고, 보충 장치(200)가 LPG 충전 장치인 경우 보충 장치(200)의 유출부(202)는 LPG 충전 커넥터일 수 있고, 보충 장치(200)가 수소 충전 장치인 경우 보충 장치(200)의 유출부(202)는 수소 충전 커넥터일 수 있고, 보충 장치(200)가 전기 충전 장치인 경우 보충 장치(200)의 유출부(202)는 전기 충전 커넥터일 수 있고,
또한, 차량이 경유 또는 휘발유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경우 에너지원이 유입되는 차량의 유입부는 주유구일 수 있고, 차량이 LPG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경우 에너지원이 유입되는 차량의 유입부는 LPG 충전 단자일 수 있고, 차량이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경우 에너지원이 유입되는 차량의 유입부는 수소 충전 단자일 수 있고, 차량이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경우 에너지원이 유입되는 차량의 유입부는 전기 충전 단자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은 차량 인식 장치(100), 보충 로봇(300), 서버(400) 및 사용자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인식 장치(100)는 보충 스테이션을 출입하는 차량의 차량 번호 정보를 인식하거나 에너지원의 보충을 위해 보충 장치(200)에 정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보충 로봇(300)은 결제된 에너지원의 종류에 대응되는 에너지원이 결제된 에너지원의 보충량 만큼 보충되도록 보충 장치(200)를 조작하여 차량에 에너지원을 보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충 로봇(300)은 로봇암부(330)를 제어하여 에너지원이 보충 장치(20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부(202)를 차량의 유입부와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서버(400)는 사용자 장치(5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술된 검색, 예약 및 보충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장치와 로봇 간에 전달하거나,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0)는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정보인 차량 정보를 입력받으며, 검색된 보충 스테이션에 대한 스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에너지원 보충의 예약에 필요한 정보 및 에너지원 보충에 요구되는 결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각 구성의 역할과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에서 차량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된 검색, 예약, 결제, 에너지원 보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에 대한 정보인 차량 정보를 서버(400)에 등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50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정보는 차량의 차량 번호 정보(I1-1), 해당 차량의 주행에 이용되는 에너지원의 종류를 나타내는 차량 에너지원 종류 정보(I1-2), 차량의 모델 종류를 나타내는 차량 종류 정보(I1-3) 및 차량의 색상을 나타내는 차량 색상 정보(I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정보는 차량의 외형을 촬영한 차량 이미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장치(500)는 차량 정보는 차량의 차량 번호 정보(I1-1), 해당 차량의 주행에 이용되는 에너지원의 종류를 나타내는 차량 에너지원 종류 정보(I1-2), 차량의 모델 종류를 나타내는 차량 종류 정보(I1-3) 및 차량의 색상을 나타내는 차량 색상 정보(I1-5) 각각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 UI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500)는 차량의 외형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장치(500)는 차량 정보를 등록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와 함께, 차량 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400)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50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를 사용자 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에서 보충 스테이션을 검색하는 과정을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장치(500)는 보충 스테이션의 검색에 대해 검색을 요청하는 스테이션 검색 요청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 스테이션 검색 요청 신호를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500)는 스테이션 검색 요청 신호와 함께, 차량의 위치를 나타내는 차량 위치 정보와 차량 번호 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장치(500)는 사용자 장치(500)가 위치한 위치 정보를 센싱하여 차량 위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500)는 별도로 차량 위치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서버(400)는 스테이션 검색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함께 수신된 차량 위치 정보와 차량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보충 스테이션 중에서 검색 조건을 만족하는 보충 스테이션을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차량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과거 차량에 에너지원이 보충된 이력을 나타내는 보충 이력 정보를 확인하고, 보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과거 차량에 보충된 에너지원의 종류를 나타내는 보충 에너지원 종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서버(400)는 복수의 보충 스테이션 중에서 차량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차량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고 보충 에너지원 종류 정보가 나타내는 종류의 에너지원을 보충 가능한 보충 스테이션이 검색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서버(400)는 검색 조건을 만족하는 보충 스테이션들의 스테이션 정보를 사용자 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 정보는 보충 스테이션의 위치를 나타내는 스테이션 위치 정보 및 보충 스테이션에서 보충 가능한 에너지원의 종류를 나타내는 보충 가능 에너지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0)는 검색 요청 신호의 응답으로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스테이션 정보(S1, S2)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500)는 스테이션 정보 중에서 보충 가능 에너지원 정보를 함께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스테이션 위치 정보를 기반하여 지도 형식으로 스테이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에서 보충 스테이션에 에너지원 보충을 예약하는 과정을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장치(500)는 수신된 스테이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 이후, 특정 보충 스테이션 정보가 나타내는 보충 스테이션에서 차량의 에너지원 보충을 예약하는 예약 요청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 예약 요청 신호를 사용자 장치(4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500)는 예약 요청과 함께 보충할 에너지원의 종류를 나타내는 예약 에너지원 종류 정보, 보충할 에너지원의 보충량을 나타내는 예약 보충량 정보 및 보충할 에너지원의 가격을 나타내는 예약 가격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자로부터 더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500)는 에너지원을 보충할 것으로 예약한 보충 스테이션의 예약 스테이션 식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장치(500)는 예약 요청 신호와 함께, 예약 스테이션 식별 정보, 예약 에너지원 종류 정보, 예약 보충량 정보, 예약 가격 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500)는 예약 요청 신호와 함께, 차량 번호 정보를 서버(400)로 더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500)는 예약 요청이 입력되면 차량 위치 정보 및 예약 요청된 보충 스테이션의 위치를 나타내는 스테이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예약 요청된 보충 스테이션에 도착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도착 시간 정보를 생성하고, 예약 요청 신호와 함께, 도착 시간 정보를 사용자 장치(400)로 더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장치(500)는 예약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예약 요청된 보충 스테이션의 명칭을 나타내는 스테이션 명칭 정보(I2-1), 예약 요청된 보충 스테이션의 주소를 나타내는 스테이션 주소 정보(I2-2), 예약 에너지원 종류 정보(I2-3), 예약 보충량 정보(I2-4) 및 예약 가격 정보(I2-5) 각각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 UI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장치(500)는 예약 요청이 입력되되, 예약 보충량 정보 및 예약 가격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과거에 입력된 예약 보충량 정보의 평균값을 생성하여 예약 보충량 정보로써, 사용자 장치(4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500)는 예약 요청이 입력되되, 예약 보충량 정보 및 예약 가격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과거에 입력된 예약 가격 정보의 평균값을 생성하여 예약 가격 정보로써, 사용자 장치(4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서버(400)는 예약 요청 신호와 함께, 예약 스테이션 식별 정보, 예약 에너지원 종류 정보, 예약 보충량 정보, 예약 가격 정보를 사용자 장치(500)로부터 수신하면, 예약 스테이션 식별 정보, 예약 에너지원 종류 정보, 예약 보충량 정보, 예약 가격 정보, 차량 번호 정보 및 도착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서버(400)는 도착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도착 시간이 경과한 이후, 차량 인식 장치(100)로부터 해당 보충 스테이션에 해당 차량이 입차함을 알리는 입차 알림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에너지원 보충이 예약됨을 알리는 예약 알림 신호를 사용자 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의 보충 로봇 및 차량 인식 장치가 배치되고 보충 장치가 설치된 보충 스테이션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의 보충 로봇 및 차량 인식 장치가 배치된 보충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이 적용된 보충 스테이션에 차량이 입차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의 차량 인식 장치가 차량 번호 정보를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충 스테이션에는 에너지원을 차량에 보충하는 보충 장치(200)가 복수로 설치되고, 차량에 에너지원이 보충되도록 보충 장치(200)를 조작하는 하나 이상의 보충 로봇(3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보충 로봇(300)은 보충 장치(200) 마다에 일대일로 배치되어 차량에 에너지원이 보충되도록 담당하는 보충 장치(200)를 조작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보충 스테이션에 설치된 보충 장치(200)의 수보다 적을 수의 보충 로봇(30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보충 로봇(300)은 소정의 순번이 설정되고, 에너지원을 보충하기 위해 보충 스테이션의 보충 장치(200)에 차량이 정차할 때마다, 순번 순으로 해당 보충 로봇(300)이 보충 장치(200)로 이동하여 차량에 에너지원이 보충되도록 담당하는 보충 장치(200)를 조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보충 로봇(300) 각각에 하나 이상의 보충 장치(200)가 설정되어, 설정된 보충 장치(200)에 차량이 정차하면 해당 보충 로봇(300)이 보충 장치(200)로 이동하여 차량에 에너지원이 보충되도록 담당하는 보충 장치(200)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 보충 로봇(300)은 보충 스테이션의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충 로봇(300)은 보충 스테이션 내를 자율주행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보충 로봇(300)은 보충 스테이션 상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한편, 차량 인식 장치(100)는 보충 스테이션의 입구에 배치된 차량 인식 장치(101), 보충 장치(200) 각각에 배치된 차량 인식 장치(102) 및 보충 스테이션의 출구에 배치된 차량 인식 장치(103)로 구성될 수 있다.
보충 스테이션의 입구에 배치된 차량 인식 장치(101)는 입구를 통과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번호판 이미지를 생성하고, 번호판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차량 번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보충 스테이션의 입구에 배치된 차량 인식 장치(101)는 보충 스테이션에 차량이 입차함을 알리는 입차 알림 신호와 함께 차량 번호 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보충 스테이션의 출구에 배치된 차량 인식 장치(103)는 출구를 통과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번호판 이미지를 생성하고, 번호판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차량 번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보충 스테이션의 출구에 배치된 차량 인식 장치(103)는 보충 스테이션에서 차량이 출차함을 알리는 출차 알림 신호와 함께 차량 번호 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보충 장치(200) 각각에 배치된 차량 인식 장치(102)는 보충 장치(200)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보충 장치(200)로부터 미리 설정된 근접 거리 내에 차량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보충 장치(200) 각각에 배치된 차량 인식 장치(102)는 보충 장치(200)로부터 미리 설정된 근접 거리 내에 차량이 감지되면 보충 장치(200)에 정차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번호판 이미지를 생성하고, 번호판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차량 번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보충 장치(200) 각각에 배치된 차량 인식 장치(102)는 보충 장치(200)로부터 미리 설정된 근접 거리 내에 차량이 감지되면, 차량에 에너지원의 보충을 위해 보충 장치(200)가 설치된 보충 스테이션에 차량이 입차하여 보충 장치(200)에 정차 후 에너지원의 보충을 대기함을 알리는 차량 대기 신호를 차량 번호 정보와 함께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보충 장치(200) 각각에 배치된 차량 인식 장치(102)는 해당 보충 스테이션의 스테이션 식별 정보와 해당 보충 장치(200)의 보충 장치 식별 정보를 차량 대기 신호와 함께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대기 신호와 함께 송신되는 스테이션 식별 정보는 차량이 진입한 보충 스테이션의 스테이션 식별 정보이고, 차량 대기 신호와 함께 송신되는 보충 장치 식별 정보는 차량이 정차한 보충 장치의 보충 장치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이후, 서버(400)는 차량 대기 신호가 수신되면, 이전에 생성된 예약 정보 중에서 차량 대기 신호와 함께 수신된 차량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서버(400)는 이전에 생성된 예약 정보 중에서 차량 대기 신호와 함께 수신된 차량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차량 번호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장치로 상기 차량에 보충할 에너지원에 대한 정보인 보충 에너지원 정보를 요청하는 보충 에너지원 정보 요청 신호를 사용자 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400)는 보충 에너지원 정보 요청 신호와 함께 상기 스테이션 식별 정보 및 상기 보충 장치 식별 정보를 사용자 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보충 에너지원 정보는 사용자 장치(500)가 현재 차량에 보충할 에너지원의 종류를 나타내는 현재 에너지원 종류 정보, 현재 차량에 보충할 에너지원의 보충량을 나타내는 현재 보충량 정보 및 현재 차량에 보충할 에너지원의 가격을 나타내는 현재 가격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장치(500)는 서버(400)로부터 보충 에너지원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 정보의 차량 에너지원 종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차량 에너지원 종류 정보를 보충 에너지원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 중에서 현재 에너지원 종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500)는 상술된 보충 에너지원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 중에서 현재 보충량 정보 및 현재 가격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 UI를 화면에 표시하고, 현재 보충량 정보 및 현재 가격 정보를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장치(500)는 보충 에너지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장치(500)는 현재 에너지원 종류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현재 보충량 정보 및 현재 가격 정보를 중 하나 이상만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보충 에너지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장치(500)는 보충 에너지원 정보 요청 신호와 함께 수신된 스테이션 식별 정보 및 상기 보충 장치 식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차량이 위치한 보충 스테이션 및 보충 장치 각각이 화면에 표시된 스테이션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보충 스테이션 및 상기 보충 장치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보충 장치와 동일한지를 확인 요청하는 제1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장치(500)는 제1 확인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사용자로부터 제1 확인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에만 생성된 보충 에너지원 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확인 입력이란, 차량이 위치한 보충 스테이션 및 보충 장치 각각이 화면에 표시된 스테이션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보충 스테이션 및 상기 보충 장치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보충 장치와 동일함을 사용자가 확인했음을 의미하는 입력일 수 있다.
서버(400)는 상기 보충 에너지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보충 에너지원 정보에 대응되는 에너지원의 보충에 책정된 가격을 결제 요청하는 결제 요청 신호와 함께 상기 가격을 나타내는 결제 가격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400)는 보충 에너지원 정보에 현재 에너지원 종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보충 에너지원 정보에 현재 에너지원 종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차량에 대응되는 차량 정보의 차량 에너지원 종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차량 에너지원 종류 정보를 현재 에너지원 종류 정보로 생성하여 보충 에너지원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후, 서버(400)는 보충 에너지원 정보에 포함된 현재 가격 정보를 결제 가격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버(400)는 보충 에너지원 정보에 현재 가격 정보가 포함되지 있지 않으면, 현재 보충량 정보 및 현재 에너지원 종류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가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현재 에너지원 종류 정보가 나타내는 에너지원의 기본 단위 판매 가격에 현재 보충량 정보가 나타내는 보충량를 곱합여 결제 가격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판매 가격은 차량이 위치한 보충 스테이션에서 현재 에너지원 종류 정보가 나타내는 에너지원을 기본 단위만큼 구매하는 경우, 지불해야하는 가격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서버(400)는 결제 요청 신호와 함께 결제 가격 정보를 사용자 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400)는 결제 요청 신호와 함께 상기 스테이션 식별 정보 및 상기 보충 장치 식별 정보 또한 사용자 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에서 에너지원 보충의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장치(500)는 상기 결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 가격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결제 요청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결제 신호와 함께 서버(400)로 송신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500)는 결제 가격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결제 가격 정보가 나타내는 가격(차량에 보충할 에너지원의 가격)을 결제할 수 있는 결제 UI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0)는 사용자의 결제 정보와 함께 결제 요청이 입력되면, 결제 신호와 함께 결제 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정보는 사용자의 신용카드 결제 정보, 체크카드 결제 정보, 간편결제 서비스의 결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장치(500)는 결제 요청 신호와 함께 수신된 스테이션 식별 정보 및 상기 보충 장치 식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차량이 위치한 보충 스테이션 및 보충 장치 각각이 화면에 표시된 스테이션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보충 스테이션 및 상기 보충 장치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보충 장치와 동일한지를 확인 요청하는 제2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장치(500)는 제2 확인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사용자로부터 제2 확인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에만 결제 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확인 입력이란, 차량이 위치한 보충 스테이션 및 보충 장치 각각이 화면에 표시된 스테이션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보충 스테이션 및 상기 보충 장치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보충 장치와 동일함을 사용자가 확인했음을 의미하는 입력일 수 있다.
한편, 서버(400)는 수신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가격 정보가 나타내는 가격을 결제하거나, 별도의 결제 서버로 결제 정보를 송신하여 결제 가격 정보가 나타내는 가격을 결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서버(400)는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내역 정보는 결제된 에너지원의 종류를 나타내는 결제 에너지원 종류 정보 및 결제된 에너지원의 보충량을 나타내는 결제 에너지원 보충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전에 생성된 예약 정보 중에서 차량 대기 신호와 함께 수신된 차량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가 검색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400)는 차량 대기 신호가 수신되면, 이전에 생성된 예약 정보 중에서 차량 대기 신호와 함께 수신된 차량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서버(400)는 이전에 생성된 예약 정보 중에서 차량 대기 신호와 함께 수신된 차량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가 검색되면, 검색된 예약 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에서 예약 스테이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차량 대기 신호와 함께 수신된 스테이션 식별 정보가 예약 스테이션 식별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차량 대기 신호와 함께 수신된 스테이션 식별 정보가 예약 스테이션 식별 정보와 동일하면, 사용자 장치(500)로 예약 결제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400)는 검색된 예약 정보에 대응되는 에너지원의 보충에 책정된 가격을 결제 요청하는 예약 결제 요청 신호를 사용자 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400)는 검색된 예약 정보를 예약 결제 요청 신호와 함께 사용자 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장치(500)는 예약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예약된 에너지원 보충에 책정된 가격을 결제할 수 있는 결제 UI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0)는 사용자의 결제 정보와 함께 예약 결제 요청이 입력되면, 예약 결제 신호와 함께 결제 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정보는 사용자의 신용카드 결제 정보, 체크카드 결제 정보, 간편결제 서비스의 결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400)는 수신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예약된 에너지원 보충에 책정된 가격을 결제하거나, 별도의 결제 서버로 결제 정보를 송신하여 예약된 에너지원 보충에 책정된 가격을 결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서버(400)는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내역 정보는 결제된 에너지원의 종류를 나타내는 결제 에너지원 종류 정보 및 결제된 에너지원의 보충량을 나타내는 결제 에너지원 보충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의 보충 로봇이 보충 장치를 조작하여 차량에 에너지원을 보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이 적용된 보충 스테이션에 차량이 출차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서버(400)는 결제가 완료되면 해당 차량에 에너지원을 보충 요청하는 보충 요청 신호와 함께, 결제된 내역을 나타내는 결제 내역 정보 및 차량의 차량 번호 정보를 보충 로봇(3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400)는 차량에 에너지원을 보충할 보충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보충 장치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차량 인식 장치(100)로부터 차량 대기 신호와 함께 수신된 보충 장치 식별 정보를 차량에 에너지원을 보충할 보충 장치의 보충 장치 식별 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서버(400)는 확인된 보충 장치 식별 정보에 매칭된 로봇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보충 로봇(300)로 상술된 보충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충 장치(200)를 조작하여 에너지원을 차량에 보충하는 보충 로봇(300)가 미리 배정되고, 배정된 로봇 장치(200)의 로봇 식별 정보와 해당 보충 장치(200)의 보충 장치 식별 정보는 미리 매칭될 수 있다.
보충 로봇(300)는 보충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보충 스테이션 내에서 차량을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충 로봇(300)는 보충 스테이션을 내를 이동하면서 보충 스테이션 내에 위치한 차량들의 차량 번호 정보를 인식하고, 보충 요청 신호와 함께 수신된 차량 번호 정보와 동일한 차량 번호 정보가 인식되는 차량을 검색할 수 있다.
이후, 보충 로봇(300)는 결제 내역 정보로부터 결제된 에너지원의 종류를 나타내는 결제 에너지원 종류 정보 및 결제된 에너지원의 보충량을 나타내는 결제 에너지원 보충량 정보를 확인하고, 검색된 차량에 결제 에너지원 종류 정보에 대응되는 종류의 에너지원이 결제 에너지원 보충량 정보에 대응되는 보충량 만큼 보충되도록 보충 장치(200)를 조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충 로봇(300)은 보충 스테이션 내를 보충 로봇이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동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306)는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레일 바퀴로 구현되거나 자율주행할 수 있는 바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보충 로봇(300)은 보충 장치(200)에서 차량으로 에너지원이 보충되도록 보충 장치(200)로부터 에너지원이 유출되는 유출부(202)를 파지하여 차량에 구비된 유입부와 결합시키는 로봇암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암부(33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작동에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로봇암부(330)는 지지부(J,303,304)에 일단이 고정된 로봇암(302) 및 로봇암(302)의 타단과 연결된 파지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301)는 유출부(202)를 파지하여 유입부와 결합시키거나, 차량에 결제 에너지원 종류 정보에 대응되는 종류의 에너지원이 결제 에너지원 보충량 정보에 대응되는 보충량 만큼 보충되도록 보충 장치(200)의 제어패널(201)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301)는 차량의 유입부 덮개를 개폐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보충 로봇(300)은 검색된 차량의 차량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차량의 주행에 이용되는 에너지원의 종류를 나타내는 차량 에너지원 종류 정보를 확인하고, 차량 에너지원 종류 정보가 결제 에너지원 종류 정보와 동일하면 결제 에너지원 종류 정보가 나타내는 에너지원의 종류에 대응되는 에너지원이 보충 장치로부터 차량으로 보충되도록 로봇암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충 로봇(300)은 결제 에너지원 보충량 정보에 대응되는 보충량 만큼의 에너지원이 보충 장치로부터 차량으로 보충되도록 로봇암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충 로봇(300)은 사물의 형태와 크기를 인식하고, 사물까지와의 거리를 센싱하는 비전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보충 로봇(300)은 에너지원 보충의 완료가 감지되면 결합된 유출부(202)와 유입부를 결합 해제시키고, 유입부의 덮개를 패쇄시키며, 유출부(202)를 보충 장치(200)에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보충 로봇(300)은 서버(400)로 차량에 에너지원 보충이 완료됨을 알리는 보충 완료 신호를 송신하고, 서버(400)는 보충 완료 신호를 사용자 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충 완료 신호를 확인하고 보충 스테이션에서 출발할 수 있다.
한편, 서버(400)는 보충 스테이션에 대응되는 보충 차량 대수 정보를 확인하고, 입차 알림 신호 및 출차 알림 신호에 기초하여 보충 스테이션 내에 체류하고 있는 차량의 수를 나타내는 체류 차량 대수 정보를 생성하고, 보충 차량 대수 정보 및 체류 차량 대수 정보에 기초하여 보충 스테이션에서 에너지원을 보충하는데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보충 대기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버(400)는 검색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검색 조건을 만족하는 보충 스테이션들 중에서 보충 대기 시간 정보가 기준 대기 시간 미만인 보충 스테이션들의 스테이션 정보만을 사용자 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서버(400)는 보충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보충 로봇(300)이 에너지원을 차량에 보충한 보충 수수료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보충 로봇(300)이 차량에 보충한 에너지원의 보충량에 기준 수수료율을 적용하여 보충 수수료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보충 로봇(300)이 차량에 보충한 에너지원의 보충량에 기준 수수료율을 곱하여 보충 수수료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수수료율은 단위 보충량에 미리 전해진 기준 수수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원이 휘발유인 경우, 기준 수수료율은 단위 보충량인 1L에 미리 정해진 기준 수수료 10원일 수 있다.
즉, 서버(400)는 보충 로봇(300)이 차량에 보충한 에너지원의 보충량 1L 당 기준 수수료 10원을 부과하여 보충 수수료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수수료율은 에너지원의 종류마다 상이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버(400)는 보충 수수료에 보정율을 적용하여 보정된 보충 수수료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율은 보충되는 에너지원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보충 난이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값일 수 있다.
여기서, 보충 난이도는 보충 로봇(300)이 해당 에너지원을 차량에 보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유출부와 유입부를 결합하는 난이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값일 수 있다.
즉, 서버(400)는 보충 난이도가 높을수록 보정율이 적용된 보충 수수료가 증가하도록 보정율을 설정할 수 있다.
서버(400)는 보충 수수료 또는 보정된 보정 수수료를 보충 스테이션의 관리자 장치로 송신하여 청구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차량 인식 장치(100)는, 저장부(110), 입력부(120), 촬영부(130), 센싱부(140), 프로세서(150) 및 통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차량 인식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비휘발성 저장부(110), 휘발성 저장부(110), 플래시저장부(110)(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차량 인식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및 버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차량 인식 장치(100)가 부팅되면 O/S가 RAM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에 저장될 수 있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는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10)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메인 CPU는 저장부(11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1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프로세서(15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10)에는 프로세서(1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외부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20) 다양한 입력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모듈을 구비할 있다.
촬영부(130)는 전방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130)는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외형을 촬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촬영부(130)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차량 인식 장치(100)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차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부(140)는 적외선 센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다른 장치 및 서버(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6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칩, 저전력 블루투스 칩(BLE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 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5G(1th Gener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한편, 보충 로봇(300)은 촬영부(310), 프로세서(320), 로봇암부(330), 디스플레이(340), 스피커(350), 결제부(360), 통신부(370) 및 저장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310)는 보충 로봇(300) 주위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320)는 생성된 이미지로부터 차량, 차량 번호, 보충 장치(200) 및 물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촬영부(310)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310)는 물체에 대해 비전 센싱을 수행하는 비전 센싱 카메라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380)는 차량 인식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80)는 비휘발성 저장부(380), 휘발성 저장부(380), 플래시저장부(380)(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저장부(38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충 로봇(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및 버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차량 인식 장치(100)가 부팅되면 O/S가 RAM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에 저장될 수 있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는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380)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는 저장부(38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여기서, 연산부는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하는 구성이 일 수 있다. 이러한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13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메인 CPU는 저장부(38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38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는 저장부(38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32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20)는 프로세서(32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2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380)에는 프로세서(3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8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로봇암부(33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작동에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로봇암부(330)는 지지부(J,303,304)에 일단이 고정된 로봇암(302) 및 로봇암(302)의 타단과 연결된 파지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301)는 유출부(202)를 파지하여 유입부와 결합시키거나, 차량에 결제 에너지원 종류 정보에 대응되는 종류의 에너지원이 결제 에너지원 보충량 정보에 대응되는 보충량 만큼 보충되도록 보충 장치(200)의 제어패널(201)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301)는 차량의 유입부 덮개를 개폐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패널(201)은 보충 장치(200)로부터 에너지원의 유출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입력을 입력받고, 유출되는 에너지원의 양을 입력받는 패널을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0)는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OLED(Transparent OLED), Micro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밖에 종래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0)는 보충 로봇(300)의 현재 상태, 현재 수행하는 동작, 수행한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340)는 보충 로봇(300)이 에너지원의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40)는 보충 로봇(300)이 차량에 에너지원을 보충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40)는 보충 로봇(300)이 차량에 에너지원의 보충을 완료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스피커(350)는 디스플레이(340)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피커(350)는 스피커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결제부(360)는 결제 가격 정보가 나타내는 가격만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제부(360)는 신용카드로 결제 가격 정보가 나타내는 가격을 결제하는 신용카드 결제 모듈 및 현금을 투입받고 투입된 현금의 투입 금액을 인식하며 인출 요청된 인출 금액만큼의 현금을 인출시키는 현금 수납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370)는 다른 장치 및 서버(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37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칩, 저전력 블루투스 칩(BLE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 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5G(1th Gener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한편, 서버(400)는, 저장부(410), 프로세서(420) 및 통신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10)는 서버(4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10)는 비휘발성 저장부(410), 휘발성 저장부(410), 플래시저장부(410)(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저장부(4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버(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및 버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서버(400)가 부팅되면 O/S가 RAM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에 저장될 수 있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는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410)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는 저장부(41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메인 CPU는 저장부(41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41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는 저장부(4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42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420)는 프로세서(42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410)에는 프로세서(4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통신부(430)는 다른 장치, 로봇 및 결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43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칩, 저전력 블루투스 칩(BLE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 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5G(5th Gener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한편, 사용자 장치(500)는, 저장부(510), 입력부(520), 디스플레이(530), 촬영부(540), 프로세서(550) 및 통신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510)는 사용자 장치(5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510)는 비휘발성 저장부(510), 휘발성 저장부(510), 플래시저장부(510)(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550)는 저장부(5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치(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50)는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및 버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치(500)가 부팅되면 O/S가 RAM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에 저장될 수 있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는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510)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는 저장부(51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여기서, 연산부는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하는 구성이 일 수 있다. 이러한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53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메인 CPU는 저장부(51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51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는 저장부(5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55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550)는 프로세서(55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5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510)에는 프로세서(5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5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입력부(52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520) 다양한 입력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52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모듈을 구비할 있다.
디스플레이(530)는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OLED(Transparent OLED), Micro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밖에 종래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디스플레이(53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접히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촬영부(540)는 사용자의 조작 제어에 따라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540)는 차량의 외형을 촬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촬영부(540)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560)는 다른 장치 및 서버(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56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칩, 저전력 블루투스 칩(BLE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 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5G(5th Gener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차량 인식 장치
200 : 프로세서
300 : 보충 로봇
400: 디스플레이
500: 스피커

Claims (5)

  1. 차량의 주행에 이용되는 에너지원을 상기 차량에 보충하는 보충 장치가 설치된 보충 스테이션에 대해 검색을 요청하는 스테이션 검색 요청이 입력되면, 스테이션 검색 요청 신호를 서버로 송신하는 사용자 장치;
    상기 스테이션 검색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과거 상기 차량에 에너지원을 보충한 이력을 나타내는 보충 이력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위치를 나타내는 차량 위치 정보 및 상기 보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조건을 만족하는 보충 스테이션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보충 스테이션의 스테이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는 서버; 및
    상기 차량에 에너지원이 보충되도록 상기 보충 장치를 조작하는 보충 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스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스테이션 정보가 나타내는 보충 스테이션에서 상기 차량의 에너지원 보충을 예약하는 예약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서버로 예약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예약 요청과 함께 보충할 에너지원의 종류를 나타내는 예약 에너지원 종류 정보, 보충할 에너지원의 보충량을 나타내는 예약 보충량 정보 및 보충할 에너지원의 가격을 나타내는 예약 가격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장치는
    입력된 상기 예약 에너지원 종류 정보, 입력된 상기 예약 보충량 정보 및 입력된 상기 예약 가격 정보를 상기 서버로 상기 예약 요청 신호와 함께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예약 요청이 입력되되, 상기 예약 요청과 함께 상기 예약 보충량 정보 및 상기 예약 가격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과거에 입력된 예약 보충량 정보의 평균값을 예약 보충량 정보로써,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예약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차량 위치 정보 및 예약 요청된 보충 스테이션의 위치를 나타내는 스테이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예약 요청된 보충 스테이션에 도착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도착 시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예약 요청 신호와 함께 상기 도착 시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도착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도착 시간이 경과한 이후, 해당 보충 스테이션에 배치된 차량 인식 장치로부터 해당 보충 스테이션에 해당 차량이 입차함을 알리는 입차 알림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에너지원 보충이 예약됨을 알리는 예약 알림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보충 로봇이 차량에 보충한 에너지원의 보충량에 기준 수수료율을 곱하여 보충 수수료를 산출하되, 상기 보충 로봇이 에너지원을 차량에 보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상기 보충 장치로부터 에너지원이 유출되는 유출부와 상기 유출부로부터 유출된 에너지원이 유입되는 차량의 유입부를 결합하는 난이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값인 보충 난이도가 높을수록 상기 보충 수수료를 증가시켜 보정하는 보정율을 상기 보충 수수료에 적용하여 보정된 보충 수수료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스테이션 검색 요청 신호와 함께 상기 차량 위치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충 이력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보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과거 상기 차량에 보충된 에너지원의 종류를 나타내는 보충 에너지원 종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차량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보충 에너지원 종류 정보가 나타내는 종류의 에너지원을 보충 가능한 보충 스테이션이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 정보는
    보충 스테이션의 위치를 나타내는 스테이션 위치 정보 및 보충 스테이션에서 보충 가능한 에너지원의 종류를 나타내는 보충 가능 에너지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55633A 2022-11-18 2022-11-18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 KR102623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5633A KR102623901B1 (ko) 2022-11-18 2022-11-18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5633A KR102623901B1 (ko) 2022-11-18 2022-11-18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2316A Division KR20240074711A (ko) 2024-01-05 에너지원 보충 이력을 기반한 차량 에너지원 보충 스테이션의 예약 시스템
KR1020240002315A Division KR20240074710A (ko) 2024-01-05 로봇을 이용한 차량 에너지원 보충 스테이션의 예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901B1 true KR102623901B1 (ko) 2024-01-10

Family

ID=8951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5633A KR102623901B1 (ko) 2022-11-18 2022-11-18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9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602A (ko) 2000-03-31 2001-11-01 유승렬 주유소 종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008441A (ja) * 2009-06-24 2011-01-13 Fujitsu Ten Ltd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及びサーバ
KR20160098766A (ko) * 2015-02-11 2016-08-19 (주) 대경엔지니어링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54993A (ko) * 2015-11-10 2017-05-18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주유 이력을 이용한 선결제 주유 예약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602A (ko) 2000-03-31 2001-11-01 유승렬 주유소 종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008441A (ja) * 2009-06-24 2011-01-13 Fujitsu Ten Ltd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及びサーバ
KR20160098766A (ko) * 2015-02-11 2016-08-19 (주) 대경엔지니어링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54993A (ko) * 2015-11-10 2017-05-18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주유 이력을 이용한 선결제 주유 예약 방법
KR20170054992A (ko) * 2015-11-10 2017-05-18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선결제 주유 예약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45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communicating with a charging station
US20200134590A1 (en) Commerce automation for a fueling station
US20130246218A1 (en) Remote third party payment of in-store items
CN109508805A (zh) 航班改签信息的提供方法、系统、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150035877A (ko) 실시간 대화를 기반으로 한 트랜잭션 처리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N105892320A (zh) 自助服务机器人、服务方法、控制装置和服务系统
EP3140715A1 (en) Controlling access based on display orientation
KR101898650B1 (ko)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
US20190096009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gas station
CN107003953A (zh) 管理对外围设备的访问
JP2002354609A (ja) 電気を動力源とする車両の充電サービスシステム
KR102623901B1 (ko)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보충 스테이션 검색 및 예약 시스템
KR102623904B1 (ko) 차량 에너지원의 비대면 보충 시스템
KR102623902B1 (ko) 비대면 차량 에너지원 보충을 위한 차량 인식 및 결제 시스템
KR102623903B1 (ko) 로봇을 이용한 차량 에너지원 보충 시스템
JP7126897B2 (ja) サーバ、充電スタンド案内システム、充電スタンド案内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113568A (ko) 실시간 대화를 기반으로 한 트랜잭션 처리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20240074711A (ko) 에너지원 보충 이력을 기반한 차량 에너지원 보충 스테이션의 예약 시스템
KR20240074710A (ko) 로봇을 이용한 차량 에너지원 보충 스테이션의 예약 시스템
KR20240076751A (ko) 차량 에너지원의 비대면 보충에 따른 수수료 산출 시스템
KR20240074714A (ko) 차량 에너지원의 충전 예약, 충전 및 결제를 비대면 자동화 프로세스로 수행하는 시스템
CN107180344B (zh) 代充值方法、装置和系统
KR20240076749A (ko) 차량의 에너지원 종류 별로 적용 가능한 로봇 충전 시스템
KR20240076750A (ko) 예약 정보에 기반한 차량 에너지 자동 충전 시스템
KR20240074712A (ko) 차량 에너지원 보충 스테이션의 차량 입출차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