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410B1 -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410B1
KR102623410B1 KR1020230140687A KR20230140687A KR102623410B1 KR 102623410 B1 KR102623410 B1 KR 102623410B1 KR 1020230140687 A KR1020230140687 A KR 1020230140687A KR 20230140687 A KR20230140687 A KR 20230140687A KR 102623410 B1 KR102623410 B1 KR 102623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wire
magnets
traction
hous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0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건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건축
Priority to KR1020230140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2Magnetic drives, magne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형의 부도체로 구현되어, 하부 중앙에 주전선이 인입되는 주전선공이 형성되고, 상부면에 다수의 간선들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간선홈들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주전선을 파지하고 상기 주전선공을 관통하여, 상기 주전선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견인하는 주전선견인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주전선과 상기 간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주전선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상기 간선들로 분배하는 분배수단; 및 제1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탈착자석들, 및 상기 제1 극성과 다른 제2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제2 탈착자석들이 하부면에 소정간격으로 번갈아 부착된 채로 상기 분배수단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주전선과 상기 간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탈착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내부가 폐쇄된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 내부의 온도 상승에 반응하여 주전선과 간선의 전기적 연결을 분리시킴으로써,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인한 분배기의 오동작 또는 화재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APPARATUS FOR DISTRIBUTING ELECTRIC CABLES FOR APARTMENT COMPLEXES}
본 발명은 전기선분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선분배기는 전기에너지를 여러개의 선으로 분배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통상, 수용가로 공급되는 주전선을, 수용가내에서 사용되는 각종 전기제품으로 연결하기 위해 다수의 간선으로 분배하기 위해 사용되며, 복수의 전기 분기구 중, 하나의 전기 분기구로 주전선이 연결되고, 나머지 전기 분기구로 간선이 연결되어 전기선이 분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460490호(2022.10.31.공고)에는. 배전용 배전케이블 분배기로서, 주전선이 인입되도록 하부 중앙에 주전선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간선들이 인입되도록 상기 주전선공을 중심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간선공들이 형성된 하우징; 및 외력에 의해, 상기 주전선과 상기 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주전선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상기 간선들로 분배하는 분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분배수단은 적어도 끝단 일부(Pa)가 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주전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주전선의 심선과 접촉하는 접촉봉; 일측이 상기 접촉봉의 도체부분(Pa)에 접하여 상기 접촉봉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다수의 이동부재들; 및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간선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간선의 외피를 뚫고 상기 간선의 심선과 접촉하는 접촉침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이동부재들 및 상기 접촉침은 도체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배전케이블 분배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의하면, 주전선으로 인가된 전기를 간선으로 분배하는 분배수단을 부도체로 이루어진 하우징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전극 및 연결부위의 노출로 인한 누전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주전선과 간선의 불완전한 접촉 등으로 하우징 내부에 과열이 발생할 경우, 이를 사전에 감지하기 어렵고 또한 내부가 폐쇄됨으로써 과열로 인한 온도 상승이 더욱 빠르게 진행됨으로써, 이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60490호(2022.10.31.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가 폐쇄된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 내부의 온도 상승에 반응하여 주전선과 간선의 전기적 연결을 분리시킴으로써,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인한 분배기의 오동작 또는 화재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는 원통형의 부도체로 구현되어, 하부 중앙에 주전선이 인입되는 주전선공이 형성되고, 상부면에 다수의 간선들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간선홈들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주전선을 파지하고 상기 주전선공을 관통하여, 상기 주전선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견인하는 주전선견인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주전선과 상기 간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주전선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상기 간선들로 분배하는 분배수단; 및 제1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탈착자석들, 및 상기 제1 극성과 다른 제2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제2 탈착자석들이 하부면에 소정간격으로 번갈아 부착된 채로 상기 분배수단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주전선과 상기 간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탈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배수단은 상기 간선홈들 각각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대응된 간선의 심선과 접촉하는 판형상의 제1 도체부재들; 상기 하우징 중앙에 수용되며, 상기 탈착부재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주전선의 심선과 접촉하는 접촉돌기가 하부면에 돌출된 제2 도체부재; 및 상기 제1 도체부재 및 상기 제2 도체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전선견인부재는 부도체로 구현된 다각기둥 형상의 견인몸체; 상기 탈착부재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상기 견인몸체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2 탈착자석과의 사이에 인력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견인자석들; 상기 탈착부재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상기 견인몸체의 상부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1 탈착자석과의 사이에 인력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제2 견인자석들; 및 상기 주전선이 관통하도록 상기 견인몸체 중심에 형성된 주전선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견인자석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탈착자석들 각각과 동일한 간격으로 번갈아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탈착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탈착자석들; 하부면에 상기 제1 및 제2 탈착자석들이 부착되며, 상기 분배수단과 상기 주전선견인부재 사이에서 수평회전하는 회전몸체;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 상승에 반응하여 상기 회전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가동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가동부재는 같은 극성의 자석에서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 상기 주전선견인부재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1 탈착자석들이 상기 제1 견인자석들과 마주하고, 상기 제2 탈착자석들이 상기 제2 견인자석들과 마주하는 위치로 상기 회전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는 내부가 폐쇄된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 내부의 온도 상승에 반응하여 주전선과 간선의 전기적 연결을 분리시킴으로써,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인한 분배기의 오동작 또는 화재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100)는 원통형의 부도체로 구현된 하우징(110), 주전선(10)을 하우징(110) 내부로 견인하는 주전선견인부재(120), 주전선(10)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다수의 간선(20)들로 분배하는 분배수단(130), 및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변화에 반응하여 주전선(10)과 다수의 간선(2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탈착부재(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하부 중앙에 주전선(10)이 인입되는 주전선공(111)이 형성되고, 상부면에 다수의 간선(20)들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간선홈(112)들이 형성된다. 이 때, 주전선공(111)의 단면은 후술될 주전선견인부재(12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간선홈(112)들 각각은 간선홈(112)의 내주면으로부터 간선홈(112) 내측방향으로 탄성을 가지고 연장 형성되어, 간선(20)의 진입시 간선(20)의 외피에 손상을 입히며 간선홈(112)의 벽면으로 밀려들어가는 다수의 칼날(112-1)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간선(20)의 심선이 노출되는 범위를 확장시켜서 주전선(10)과의 전기적인 연결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주전선견인부재(120)는 주전선(10)을 하우징(110) 내부로 견인하기 위해, 주전선(10)을 파지하고 주전선공(111)을 관통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진입한다. 이를 위해, 주전선견인부재(120)는 부도체로 구현된 견인몸체(121), 주전선(10)이 관통하도록 견인몸체(121) 중심에 형성된 주전선관통공(122), 견인몸체(121) 상부면에 부착된 다수의 자석들(123, 124)을 포함한다.
견인몸체(121)는 단면이 다각형인 다각기둥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될 탈착부재(140)가 주전선(10)과 간선(20)들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회전할 때, 주전선견인부재(120)가 함께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주전선공(111)의 둘레에는 견인몸체(121)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플렌지(111-1)가 하우징(110)의 내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전선관통공(122)은 주전선(10)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주전선관통공(122)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주전선(10)이 진입하는 일측의 지름이 주전선(10)의 외경과 동일하고, 타측이 심선의 지름과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전선관통공(122) 내부 공간에서 주전선(10)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간선(20)들과의 전기적인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수의 자석들(123, 124)은 복수의 N극 자석(123)들 및 복수의 S극 자석(124)들을 포함하며,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N극 자석(123)과 S극 자석(124)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번갈아 부착된다. 이 때, 각 자석들(123, 124)간의 이격 간격은 동일하다. 또한, 다수의 자석들(123, 124) 각각은 후술될 탈착부재(140)의 하부면에 부착된 다수의 자석들(143, 144) 각각과 마주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자석들(123, 124, 143, 144)은 각각 90°간격으로 견인몸체(121) 상부면 또는 탈착부재(140)의 하부면 각각에 부착될 수 있다. 이는 견인몸체(121) 상부면에 부착된 자석들(123, 124)과 탈착부재(140)의 하부면에 부착된 자석들(143, 144)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해 주전선견인부재(120)가 탈착부재(140)에 부착 또는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주전선(10)과 간선(20)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분배수단(130)은 주전선(10)과 간선(2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되는데, 하우징(110) 중앙에 수용되는 중심도체(131), 중심도체(131) 하부면에 돌출되어 후술될 탈착부재(140) 중심을 관통하여 주전선(10)의 심선과 접촉하는 접촉돌기(132), 간선홈(112)들 각각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대응된 간선의 심선과 접촉하는 판형상의 판도체(134)들, 및 중심도체(131) 및 판도체(134)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케이블(133)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주전선(10)의 심선을 통해 전달된 전기는 접촉돌기(132), 중심도체(131), 연결케이블(133), 및 판도체(134)를 거쳐 간선(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탈착부재(140)는 복수의 N극 자석(143)들 및 복수의 S극 자석(144)들이 하부면에 소정 간격으로 번갈아 부착된 채로 분배수단(130)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주전선(10)과 간선(2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한다. 이를 위해, 탈착부재(140)는 복수의 N극 자석(143)들, 복수의 S극 자석(144)들, 하부면에 자석들(143, 144)이 부착되며, 중심에 접촉돌기(132)가 관통하는 관통공(142)이 형성되어 분배수단(130)과 주전선견인부재(120) 사이에서 수평회전하는 회전몸체(141), 및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 상승에 반응하여 회전몸체(141)를 회전시키는 회전가동부재(145)를 포함한다.
이 때, 회전가동부재(145)는 같은 극성의 자석에서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 주전선견인부재(120)가 분리되도록, N극 자석들(143, 123)이 서로 마주하고, S극 자석들(144, 124)이 서로 마주하도록 회전몸체(141)를 회전시킨다.
도 2 내지 도 4의 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회전가동부재(145)가 솔레노이드 부재로 구현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의 예에서, 솔레노이드부재(145)는 일측이 회전몸체(141)에 고정되어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변화에 의해 몸체 외부로 돌출하는 플런저(plunger)(145-1)를 구비하고, 플런저(plunger)(145-1)는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상승에 반응하여 외부도 돌출하여 회전몸체(141)를 90°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솔레노이드부재(145) 내부 또는 외부에는 하우징(110)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솔레노이드부재(145)의 동작에 의해 탈착부재(140)에 부착되었던 주전선견인부재(120)가 분리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3의 (a) 및 도 4의 (a)는 주전선견인부재(120)가 탈착부재(140)에 부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3의 (b) 및 도 4의 (b)는 주전선견인부재(120)가 탈착부재(14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의 (a) 및 도 4의 (a)를 참조하면, 회전몸체(141)의 하부면에 부착된 N극 자석(143)들과 견인몸체(121) 상부면에 부착된 S극 자석(124)들 사이, 및 회전몸체(141)의 하부면에 부착된 S극 자석(144)들과 견인몸체(121) 상부면에 부착된 N극 자석(123)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 견인몸체(121)가 회전몸체(141)에 부착된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3의 (b) 및 도 4의 (b)를 참조하면,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 상승에 반응하여 플런저(plunger)(145-1)가 돌출하면서 회전몸체(141)를 90°회전시킨 경우, 견인몸체(121)에 부착된 S극 자석(124)들 상부에 회전몸체(141)에 부착된 S극 자석(144)이 위치하게 되고, 견인몸체(121)에 부착된 N극 자석(123)들 상부에 회전몸체(141)에 부착된 N극 자석(143)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이들 간의 척력에 의해 주전선견인부재(120)가 탈착부재(140)로부터 분리됨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200)는 원통형의 부도체로 구현된 하우징(110), 주전선(10)을 하우징(110) 내부로 견인하는 주전선견인부재(120), 주전선(10)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다수의 간선(20)들로 분배하는 분배수단(230), 및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변화에 반응하여 주전선(10)과 다수의 간선(2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탈착부재(240)를 포함한다.
이 때, 하우징(110) 및 주전선견인부재(12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100)에 포함된 하우징(110) 및 주전선견인부재(120) 각각의 구성 및 동작과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도 5 내지 도 7에서, 이들의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분배수단(230)은 주전선(10)과 간선(2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되는데, 하우징(110) 중앙에 수용되며 그 일측에 후술될 고정키(245)가 삽입될 제1 키홈(231-1)이 형성된 중심도체(231), 중심도체(231) 하부면에 돌출되어 후술될 탈착부재(240) 중심을 관통하여 주전선(10)의 심선과 접촉하는 접촉돌기(232), 간선홈(112)들 각각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대응된 간선의 심선과 접촉하는 판형상의 판도체(234)들, 및 중심도체(231) 및 판도체(234)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케이블(233)들을 포함한다.
탈착부재(240)는 복수의 N극 자석(243)들 및 복수의 S극 자석(244)들이 하부면에 소정 간격으로 번갈아 부착된 채로 분배수단(230)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주전선(10)과 간선(2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한다. 이를 위해, 탈착부재(240)는 복수의 N극 자석(243)들, 복수의 S극 자석(244)들, 하부면에 자석들(243, 244)이 부착되며 중심에 접촉돌기(232)가 관통하는 관통공(242)이 형성되어 분배수단(230)과 주전선견인부재(120) 사이에서 수평회전하되, 일측에 후술될 고정키(245)가 삽입될 제2 키홈(241-1)이 형성된 회전몸체(241), 회전몸체(241)와 중심도체(231)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몸체(241)가 수평회전하도록 회전력을 발휘하는 비틀림스프링(246), 및 비틀림스프링(246)의 회전력이 발휘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력을 발휘하도록 중심도체(231)와 회전몸체(241)를 고정하되,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 상승에 반응하여 녹는 재질로 구현된 고정키(245)를 포함한다.
고정키(245)는 중심도체(231)에 형성된 제1 키홈(231-1) 및 회전몸체(241)에 형성된 제2 키홈(241-1)이 일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1 키홈(231-1) 및 제2 키홈(241-1)에 동시 삽입되어야 하므로, 고정키(245)를 삽입하기 위해, 제2 키홈(241-1)이 제1 키홈(231-1)과 일렬로 배치되도록 비틀림스프링(246)의 회전력이 발휘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회전몸체(241)를 회전시킨 후 고정키(245)를 삽입한다.
한편, 고정키(245)는 온도 상승에 반응하여 녹는 재질로 구현되므로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가 상온을 유지할 경우 회전몸체(241)는 외력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고정키(245)가 녹게될 경우 회전몸체(241)는 비틀림스프링(246)의 회전력이 발휘되는 방향으로 다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회전몸체(241)에 부착된 자석들(243, 244)과 견인몸체(121)에 부착된 자석들(123, 124)은, 고정키(245)가 제1 키홈(231-1) 및 제2 키홈(241-1)에 삽입되었을 때 서로 인력을 발휘하고,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고정키(245)가 녹았을 때 서로 척력을 발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주전선견인부재(120)가 탈착부재(240)로부터 분리되도록 작동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전선견인부재(120)가 탈착부재(240)로부터 분리될 경우, 주전선(10)과 간선(20)들간의 전기적인 연결도 함께 분리된다.
도 6 및 도 7은 고정키(245)과 비틀림스프링(246)의 작용에 의해 탈착부재(240)에 부착되었던 주전선견인부재(120)가 분리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6의 (a)는 주전선견인부재(120)와 탈착부재(240)가 부착하기 전 초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6의 (b) 및 도 7의 (a)는 주전선견인부재(120)가 탈착부재(240)에 부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6의 (c) 및 도 7의 (b)는 주전선견인부재(120)가 탈착부재(24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회전몸체(241)에 외력을 가하기 전 초기 상태에는, 중심도체(231)에 형성된 제1 키홈(231-1) 및 회전몸체(241)에 형성된 제2 키홈(241-1)이 서로 엇갈린 상태로서, 회전몸체(241)에 부착된 자석들(243, 244)과 견인몸체(121)에 부착된 자석들(123, 124)은, 서로 척력을 발휘하도록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제1 키홈(231-1)과 제2 키홈(241-1)이 일렬이 되도록 회전몸체(241)를 회전시키면, 도 6의 (b)와 같이 회전몸체(241)에 부착된 자석들(243, 244)과 견인몸체(121)에 부착된 자석들(123, 124)은, 서로 인력을 발휘하도록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석들이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1 키홈(231-1) 및 제2 키홈(241-1)과, 자석들(123, 124, 143, 144) 각각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의 (b) 및 도 7의 (a)를 참조하면, 회전몸체(241)를 회전시켜 제1 키홈(231-1)과 제2 키홈(241-1)이 일렬이 되도록 한 후 고정키(245)를 삽입하면, 회전몸체(241)의 하부면에 부착된 N극 자석(243)들과 견인몸체(121) 상부면에 부착된 S극 자석(124)들 사이, 및 회전몸체(241)의 하부면에 부착된 S극 자석(244)들과 견인몸체(121) 상부면에 부착된 N극 자석(123)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 견인몸체(121)가 회전몸체(141)에 부착된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6의 (c) 및 도 7의 (b)를 참조하면,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 상승에 반응하여 고정키(245)가 녹아서 제1 키홈(231-1)과 제2 키홈(241-1)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 비틀림스프링(246)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몸체(241)의 회전상태가 초기상태로 복귀되고, 이로 인해, 견인몸체(121)에 부착된 S극 자석(124)들 상부에 회전몸체(241)에 부착된 S극 자석(244)이 위치하게 되고, 견인몸체(121)에 부착된 N극 자석(123)들 상부에 회전몸체(241)에 부착된 N극 자석(243)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이들 간의 척력에 의해 주전선견인부재(120)가 탈착부재(240)로부터 분리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는 내부가 폐쇄된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 내부의 온도 상승에 반응하여 주전선과 간선의 전기적 연결을 분리시킴으로써,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인한 분배기의 오동작 또는 화재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주전선 20: 간선
100: 배전용 배전케이블 분배기 110: 하우징
111: 주전선공 112: 간선공
120: 주전선견인부재 121: 견인몸체
122: 주전선관통공 123, 143, 243: N극 자석
124, 144, 244: S극 자석 130, 230: 분배수단
131, 231: 중심도체 132, 232: 접촉돌기
133, 233: 연결케이블 140, 240: 탈착부재
141, 241: 회전몸체 142, 242: 관통공
145: 솔레노이드부재 245: 고정키
246: 비틀림스프링

Claims (4)

  1.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에 있어서,
    원통형의 부도체로 구현되어, 하부 중앙에 주전선이 인입되는 주전선공이 형성되고, 상부면에 다수의 간선들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간선홈들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주전선을 파지하고 상기 주전선공을 관통하여, 상기 주전선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견인하는 주전선견인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주전선과 상기 간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주전선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상기 간선들로 분배하는 분배수단; 및
    제1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탈착자석들, 및 상기 제1 극성과 다른 제2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제2 탈착자석들이 하부면에 소정간격으로 번갈아 부착된 채로 상기 분배수단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주전선과 상기 간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탈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주전선견인부재는
    부도체로 구현된 다각기둥 형상의 견인몸체;
    상기 탈착부재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상기 견인몸체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2 탈착자석과의 사이에 인력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견인자석들;
    상기 탈착부재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상기 견인몸체의 상부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1 탈착자석과의 사이에 인력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제2 견인자석들; 및
    상기 주전선이 관통하도록 상기 견인몸체 중심에 형성된 주전선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견인자석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탈착자석들 각각과 동일한 간격으로 번갈아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수단은
    상기 간선홈들 각각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대응된 간선의 심선과 접촉하는 판형상의 제1 도체부재들;
    상기 하우징 중앙에 수용되며, 상기 탈착부재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주전선의 심선과 접촉하는 접촉돌기가 하부면에 돌출된 제2 도체부재; 및
    상기 제1 도체부재 및 상기 제2 도체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탈착자석들;
    하부면에 상기 제1 및 제2 탈착자석들이 부착되며, 상기 분배수단과 상기 주전선견인부재 사이에서 수평회전하는 회전몸체;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 상승에 반응하여 상기 회전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가동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가동부재는
    같은 극성의 자석에서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 상기 주전선견인부재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1 탈착자석들이 상기 제1 견인자석들과 마주하고, 상기 제2 탈착자석들이 상기 제2 견인자석들과 마주하는 위치로 상기 회전몸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
KR1020230140687A 2023-10-19 2023-10-19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 KR102623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0687A KR102623410B1 (ko) 2023-10-19 2023-10-19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0687A KR102623410B1 (ko) 2023-10-19 2023-10-19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410B1 true KR102623410B1 (ko) 2024-01-10

Family

ID=8951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0687A KR102623410B1 (ko) 2023-10-19 2023-10-19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4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9763A (ko) * 2007-11-14 2009-05-19 인창전자주식회사 온도감지장치
KR102460490B1 (ko) 2022-01-07 2022-10-31 주식회사 대건종합기술 배전용 배전케이블 분배기
KR20220148051A (ko) * 2021-04-28 2022-11-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9763A (ko) * 2007-11-14 2009-05-19 인창전자주식회사 온도감지장치
KR20220148051A (ko) * 2021-04-28 2022-11-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커넥터
KR102460490B1 (ko) 2022-01-07 2022-10-31 주식회사 대건종합기술 배전용 배전케이블 분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55695A (en) Hinge for carrying electric circuits
TWI645621B (zh) 基於磁斥力的電連接器
CN104823338B (zh) 具有集成的屏蔽元件的绝缘体
JPS6342385B2 (ko)
US3112973A (en) Locking three-wire electrical cord connector
KR102623410B1 (ko) 공동주택용전기선분배기
KR102460490B1 (ko) 배전용 배전케이블 분배기
KR890011514A (ko) 구조적 어셈블리의 전기적 와이어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E202012100261U1 (de) Mehradriges Kabel mit Anschlusskomponente
US3380014A (en) Run and tap connector
US20150222028A1 (en) Contacting device of an electric plug-in connector
EP2924808B1 (en)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a plurality of signal lines
JPH10189120A (ja) 多極の遮蔽されたケーブルプラグ
US6264492B1 (en) Compact branch connector for at least one branch cable into a main cable
KR900004064A (ko) 데이지체인코넥터 및 그의 종단방법
GB2042824A (en) Electrical contact unit
KR100657022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 내 콘센트 구조
US6345993B1 (en) Compact branch connector for at least one branch neutral cable into a main neutral cable and simultaneous grounding
US3453402A (en) Electrical three-part,keylocked switch
US1950616A (en) Insulator
JP6870095B2 (ja) サーマルプロテクタ
US1668606A (en) Connecter plug
US2713669A (en) Plug connector
US3283290A (en) Electrical terminal
KR101069297B1 (ko) 감전방지용 개폐기구를 갖춘 공동주택용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