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328B1 - Tension control apparatus of tent - Google Patents

Tension control apparatus of 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328B1
KR102623328B1 KR1020230041494A KR20230041494A KR102623328B1 KR 102623328 B1 KR102623328 B1 KR 102623328B1 KR 1020230041494 A KR1020230041494 A KR 1020230041494A KR 20230041494 A KR20230041494 A KR 20230041494A KR 102623328 B1 KR102623328 B1 KR 102623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kjae
tension
tent
frame
membran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1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지훈
Original Assignee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황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황지훈 filed Critical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230041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3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328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22Stre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천막 텐션 조절 장치는, 천막용 골조에 고정된 막재의 텐션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상기 골조의 표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막재의 단부가 연결되는 막재 연결부; 상기 막재 연결부와의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막재의 인장을 위해 일단 또는 양단이 상기 막재의 외면을 가압하는 인장 커버부; 및 상기 막재 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인장 커버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장 커버부를 상기 막재 연결부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막재의 가압 정도를 조절하는 가압력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골조와 골조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막재를 준비한 후 천막의 골조를 따라 구비된 막재 연결부에 일단 또는 양단이 연결된 막재의 도중을 인장 커버부의 하강에 의해 가압하고 인장시킴으로써 인장을 위한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고, 단시간 내에 인장 작업이 가능하고, 막재의 균일한 텐션 조절이 가능하면서 막재의 사이즈가 작아 부분적으로 골조의 간격 칸 수에 맞게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골조와 골조 사이를 인장 커버부에 의해 커버함으로써 별도의 구성 없이 틈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The tent tens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nsion of the makjae fixed to the tent frame, and is provided along the surface of the frame to which the end of the makjae is connected to the makjae connector; The distance from the makjae connection portion is adjusted, and one or both ends of the tensile cover portion 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makjae for tensioning the makjae;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akjae connection part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the tension cover part, and a pressing pressure control unit that moves the tension cover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makjae connection part or the opposite direction to adjust the degree of pressing of the makjae. It inclu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preparing a membrane material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gap between the frames, the middle of the membrane material connected at one end or both ends to the membrane material connector provided along the frame of the tent is pressed and tensioned by lowering the tensile cover portion. The structure of the device for tensioning is simple, tensioning work is possible in a short time, uniform tension control of the membrane material is possible, and the size of the membrane material is small, allowing partial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pacing between the frame and the frame. By covering the gap with the tensile cover part,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gaps without a separate configuration.

Description

천막 텐션 조절 장치 {TENSION CONTROL APPARATUS OF TENT}Tent tension control device {TENSION CONTROL APPARATUS OF TENT}

본 발명은 천막 텐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막 막재의 텐션을 횡방향으로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djusting tent tens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a tent material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일반적으로 조립식 천막은 간단한 구조물을 이용하여 야외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대형의 수용시설로서, 통상적으로 경사형 또는 아치형의 바(bar)의 양단을 지상에 고정시키고 비닐이나 천 등으로 덮어서 폐쇄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In general, a prefabricated tent is a large accommodation facility that can be quickly and conveniently installed outdoors using a simple structure. It is usually closed by fixing both ends of an inclined or arch-shaped bar to the ground and covering it with vinyl or cloth. creates an internal space.

다른 형태의 조립식 천막은 지붕 트러스의 양단에 단일의 파이프 기둥을 용접 시공하여 제작하고 있다.Another type of prefabricated tent is manufactured by welding single pipe columns to both ends of the roof truss.

한편, 조립식 천막은 철 구조물이나 케이블 구조물 위에서 막재를 인장한 상태로 덮고, 막재의 가장자리에 연결 금구류(세일트랙 또는 클램프)로 고정하여 마감처리를 한다.On the other hand, prefabricated tents are finished by covering the membrane material in a tensioned state on a steel structure or cable structure and fixing it to the edge of the membrane material with connecting fittings (sail tracks or clamps).

이렇게, 조립식 천막의 막재는 마감과정에서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부를 잡아당겨 긴장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24561호에 제안된 바 있다.In this way, the membrane material of the prefabricated tent is tensioned by pulling the ends to prevent wrinkles from occurring during the finishing process, and a technology related to such a device has been proposed in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324561.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외장막을 천막의 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씌워 고정하므로 시공 과정에서 외장막이 구겨지거나 손상되며, 외장막의 단부에 파이프 구조를 갖는 횡방향의 원단 지지부재를 결합시킨 후 크기가 큰 원단 지지부재를 당겨 텐션을 조절하게 되므로 텐션 조절을 위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작업 시간 역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Patent Document 1, since the exterior membrane is covered and fix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tent, the exterior membrane is wrinkled or damaged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after joining the transverse fabric support member with a pipe structure to the end of the exterior membrane, the fabric of a large size is used. Since the tension is adjusted by pulling the support member, the structure of the device for tension adjustment is complicated, and the working time also increases.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24561호(2003.08.14)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324561 (2003.08.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천막 골조의 간격에 맞게 구비된 막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막재 표면을 가압하여 텐션을 조절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controlling tension by pressing the surface of the membrane material while connecting the membrane material provided according to the spacing of the tent frame. There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막 텐션 조절 장치는, 천막용 골조에 고정된 막재의 텐션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상기 골조의 표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막재의 단부가 연결되는 막재 연결부; 상기 막재 연결부와의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막재의 인장을 위해 일단 또는 양단이 상기 막재의 외면을 가압하는 인장 커버부; 및 상기 막재 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인장 커버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장 커버부를 상기 막재 연결부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막재의 가압 정도를 조절하는 가압력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ent tens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nsion of the makjae fixed to the tent frame, and is provided along the surface of the frame to which the end of the makjae is connected to the makjae connector; The distance from the makjae connection portion is adjusted, and one or both ends of the tensile cover portion 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makjae for tensioning the makjae;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akjae connection part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the tension cover part, and a pressing pressure control unit that moves the tension cover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makjae connection part or the opposite direction to adjust the degree of pressing of the makjae. It can be characterized.

상기 막재 연결부는 상기 골조의 현재를 따라 구비된 가이드 파이프에 삽입되도록 일단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막재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일부가 개구된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 상기 가압력 조절부가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akjae connector has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one end to be inserted into a guide pipe provided along the current of the frame, and a coupling hole in which a portion is opened so that the ends of the makjae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insertion groov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so that the adjustment part passes through.

상기 인장 커버부는 상기 가압력 조절부가 관통하도록 통과홀이 복수 형성되는 수평체와, 상기 수평체의 양단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막재의 외면을 가압하는 절곡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ensile cover par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horizontal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so that the pressing force adjustment unit penetrates, and a bent body that is bent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ody and 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membrane material.

상기 인장 커버부의 절곡체는 상기 막재의 외면에 선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ent body of the tensile cover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lin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embrane material.

상기 가압력 조절부는, 상기 골조의 현재에 구비된 가이드 파이프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체결볼트; 상기 막재 연결부에 밀착되는 위치까지 상기 체결볼트의 나선축에 체결되는 제1 체결너트; 및 상기 나선축에 결합된 상기 인장 커버부가 상기 제1 체결너트에 밀착될 때까지 체결되는 제2 체결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막 텐션 조절 장치는 천막용 골조에 고정된 막재(30)의 텐션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상기 골조의 표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막재(30)의 단부가 연결되는 막재 연결부(310); 상기 막재 연결부(310)와의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막재의 인장을 위해 일단 또는 양단이 상기 막재의 외면을 가압하는 인장 커버부(320); 및 상기 막재 연결부(3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인장 커버부(320)에 구비되어, 상기 인장 커버부(320)를 상기 막재 연결부(31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막재(30)의 가압 정도를 조절하는 가압력 조절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막재 연결부(310)는 상기 골조의 현재를 따라 구비된 가이드 파이프(212)에 삽입되도록 일단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막재(30)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일부가 개구된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 상기 가압력 조절부(330)가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복수 형성되며, 상기 인장 커버부(320)는 상기 가압력 조절부(330)가 관통하도록 통과홀이 복수 형성되는 수평체와, 상기 수평체의 양단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막재(30)의 외면을 가압하는 절곡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력 조절부(330)는 상기 골조의 현재에 구비된 가이드 파이프(212)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체결볼트(332); 상기 막재 연결부(310)에 밀착되는 위치까지 상기 체결볼트(332)의 나선축에 체결되는 제1 체결너트(334); 및 상기 나선축에 결합된 상기 인장 커버부(320)가 상기 제1 체결너트(334)에 밀착될 때까지 체결되는 제2 체결너트(336);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너트(334)의 상면은 상기 막재 연결부(310)의 상면 양측보다 더 높게 구비되고, 상기 막재 연결부(31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312)의 수직부와 상기 삽입홈(31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이드파이프(212)의 수직부가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볼트(332)의 헤드 부분은 상기 가이드파이프(212)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sing force adjusting unit includes a fastening bolt positioned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pipe provided in the current of the frame toward the outside; A first fastening nut fastened to the spiral shaft of the fastening bolt to a posi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makjae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fastening nut that is tightened until the tension cover part coupled to the spiral shaf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astening nut.
The tent tens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adjusts the tension of the makjae 30 fixed to the tent frame, and is provided along the surface of the frame and the makjae connector 310 to which the end of the makjae 30 is connected. ; The distance from the makjae connection portion 310 is adjusted, and one or both ends of the tensile cover portion 320 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makjae for tensioning the makjae;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akjae connection part 310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in the tensile cover part 320, and the makjae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makjae connection part 310 or the opposite direction. It includes; a pressing force control unit 330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pressing of 30), wherein the makjae connection part 310 has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one end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pipe 212 provided along the current of the frame, A coupling hole is formed on both sides so that the ends of the membrane material 30 are partially opened,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pressing force adjusting part 330 penetrates, and the tensile cover part 320 It consists of a horizontal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so that the pressing force adjusting unit 330 passes through, and a bent body that is bent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ody to 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makjae 30, and the pressing force adjusting unit ( 330) is a fastening bolt 332 located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pipe 212 provided in the current of the frame toward the outside; A first fastening nut 334 fastened to the spiral shaft of the fastening bolt 332 to a posi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makjae connection portion 310; And a second fastening nut 336 that is fastened until the tension cover part 320 coupled to the spiral shaf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astening nut 334, wherein the first fastening nut 334 The upper surface of the makjae connection part 310 is provided higher tha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vertical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312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kjae connection part 310 and the guide pipe ar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2. The vertical portions of 212 are each formed vertically, and the head portion of the fastening bolt 332 is provided inside the guide pipe 212.

본 발명에 의하면, 골조와 골조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막재를 준비한 후 천막의 골조를 따라 구비된 막재 연결부에 일단 또는 양단이 연결된 막재의 도중을 인장 커버부의 하강에 의해 가압하고 인장시킴으로써 인장을 위한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고, 단시간 내에 인장 작업이 가능하고, 막재의 균일한 텐션 조절이 가능하면서 막재의 사이즈가 작아 부분적으로 골조의 간격 칸 수에 맞게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골조와 골조 사이를 인장 커버부에 의해 커버함으로써 별도의 구성 없이 틈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preparing a membrane material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gap between the frames, the middle of the membrane material connected at one end or both ends to the membrane material connector provided along the frame of the tent is pressed and tensioned by lowering the tensile cover portion. The structure of the device for tensioning is simple, tensioning work is possible in a short time, uniform tension control of the membrane material is possible, and the size of the membrane material is small, allowing partial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pacing between the frame and the frame. By covering the gap with a tensile cover part,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gaps without a separate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천막 텐션 조절 장치가 설치되는 천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천막 텐션 조절 장치가 설치되는 천막의 골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천막 텐션 조절 장치에 의해 막재에 텐션이 가해지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천막 텐션 조절 장치가 골조의 상현재 직경에 따라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ent in which the tent tension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ame of a tent in which the tent tension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s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tension is applied to the membrane material by the tent tension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nt tension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top current of the frame.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막 텐션 조절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tent tension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천막 텐션 조절 장치가 설치되는 천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천막 텐션 조절 장치가 설치되는 천막의 골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천막 텐션 조절 장치에 의해 막재에 텐션이 가해지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천막 텐션 조절 장치가 골조의 상현재 직경에 따라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ent on which the tent tension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ame of a tent on which the tent tension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igures 3 and 3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tension is applied to the membrane material by the tent tension adju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tent tension adju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top chord of the frame. am.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막 텐션 조절 장치(300)는 막재 연결부(310), 인장 커버부(320) 및 가압력 조절부(3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5, the tent tension control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kjae connection part 310, a tension cover part 320, and a pressing force control part 330.

더욱이, 본 발명의 천막 텐션 조절 장치(300)가 설치되는 천막(1)은 뼈대를 이루는 골조에 설치되어, 막재(30)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Moreover, the tent (1) on which the tent tension adjusting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s installed on the frame forming the skeleton and is provid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makjae (30).

이때, 골조는 천막(1)의 전체 길이 중 일부 길이인 막재(30)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설정 간격마다 지면에 다수 고정되는 메인 트러스(main truss: 10)와, 메인 트러스(10)들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퍼린(purlin: 20) 및 메인 트러스(10)를 마감하는 막재(30)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frame consists of a main truss (10) fixed to the ground at set intervals for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makjae (30), which is a portion of the total length of the tent (1), and main trusses (10) It includes a plurality of purlins (20)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akjae (30) for finishing the main truss (10).

메인 트러스(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된 기둥부(100)와, 기둥부(100)들의 대향면을 연결하는 지붕 트러스(200)를 포함하며, 지면에 설정 간격마다 열 구조로 복수 배열된다.The main truss 10 includes opposing pillar parts 100, as shown in Figures 1 and 2, and a roof truss 200 connecting opposing surfaces of the pillar parts 100, and is positioned on the ground at set intervals. Multiple arrays are arranged in a column structure.

여기서, 각각의 기둥부(100)는 제1 상현재(110)와 제1 하현재(120)를 포함하되 제1 상현재(110)와 제1 하현재(120)의 대향면에 상호 연결을 위해 연결 프레임(130)이 다수 설치된다.Here, each pillar portion 100 includes a first upper chord 110 and a first lower chord 120, and is interconnected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upper chord 110 and the first lower chord 120.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connection frames 130 are installed.

지붕 트러스(200)는 기둥(100)의 상단부에 구비된 제1 상현재(110)와 제1 하현재(120)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제2 상현재(210)와 제2 하현재(220)를 포함한다. The roof truss 200 includes a second upper chord 210 and a second lower chord 220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first upper chord 110 and the first lower chord 12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illar 100. ) includes.

더욱이, 지붕 트러스(200)는 제2 상현재(210)와 제2 하현재(220)의 대향면에 상호 연결을 위해 연결 프레임(230)이 다수 설치된다.Furthermore, the roof truss 200 has a plurality of connection frames 230 installed on opposing surfaces of the second upper chord 210 and the second lower chord 220 for mutual connection.

막재(30)는 설정 간격마다 설치된 메인 트러스(10)들의 간격과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구비되면서 메인 트러스(10)들의 사이를 마감한다.The makjae 30 is provid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spacing of the main trusses 10 installed at set intervals and closes the space between the main trusses 10.

그리고 막재(30)는 한쪽 또는 양쪽 끝단에 로프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로프의 표면을 따라 권취시켜 양단에 로프 등과 같은 선형부재가 위치되게 하는 단처리를 하게 되므로 막재 연결부(310)의 제1, 2 결합홀(314, 316)에 삽입한 상태에서 텐션 조절 시 이탈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makjae 30 is wound along the surface of the rope with a rope positioned at one or both ends and processed to position linear members such as ropes at both end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of the makjae connection portion 310 It does not come off when tension is adjusted when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s (314, 316).

그리고 막재(30)는 외장막 뿐만 아니라 내장막 등이 이에 적용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외장막을 인장시키는 것으로 예시한다.In addition, the membrane material 30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exterior membrane but also the interior membrane, and in this embodiment, the exterior membrane is exemplified by tensioning.

한편, 막재 연결부(310) 및 인장 커버부(320)는 제1 상현재(110) 및 제2 상현재(21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1 상현재(110) 및 제2 상현재(210)의 표면이 직선이면 이와 대응되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제1 상현재(110) 및 제2 상현재(210)의 표면이 곡선이면 이와 대응되는 곡선으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kjae connection part 310 and the tension cover part 320 are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upper current 110 and the second upper current 210, and the first upper current 110 and the second upper current 210 If the surface of the second upper chord 210 is a straight line, it is formed as a corresponding straight line. If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chords 110 and 210 are curved, they are formed as a corresponding curve.

막재 연결부(3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현재(110) 및 제2 상현재(210)의 외면 중 정점을 따라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는 사각 단면을 갖는 가이드파이프(212)를 따라 삽입되도록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312)과, 양측에 막재(30)의 일단 또는 양단이 고정되도록 형성된 제1, 2 결합홀(314, 316) 및 상면에 가압력 조절부(330)의 체결볼트(332)의 나선축이 통과하도록 설정간격마다 형성된 관통홀(318)을 포함한다.The makjae connection portion 310 is a guide pipe 212 having a square cross-section fixed by welding, etc. along the vertices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currents 110 and 210, as shown in FIGS. 3 to 5. ) of the insertion groove 312 formed at the lower part to be inserted alo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314, 316 formed to fix one or both ends of the makjae 30 on both sides, and the pressing force adjusting part 330 on the upper surface It includes through holes 318 formed at set intervals so that the spiral axis of the fastening bolt 332 passes through.

이때, 가이드파이프(212) 및 막재 연결부(310)는 제1 상현재(110) 및 제2 상현재(210)의 외면 전체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guide pipe 212 and the makjae connection portion 310 are form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entire outer surface length of the first upper current 110 and the second upper current 210.

그리고 가이드파이프(212)의 상면에는 막재 연결부(310)의 관통홀(318)과 동심을 갖는 홀(214)이 형성되어 가이드파이프(212)의 내부에 위치된 체결볼트(332)의 나선축이 홀(214) 및 관통홀(318)을 통과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파이프(212)의 하면 중 홀(214)과의 수직선상 위치에 체결볼트(332)는 머리가 통과하도록 홀이 형성 가능하다.And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ipe 212 is formed with a hole 214 concentric with the through hole 318 of the makjae connection portion 310, so that the spiral axis of the fastening bolt 332 located inside the guide pipe 212 is formed. It passes through the hole 214 and the through hole 318. Meanwhile, a hole can b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pipe 212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hole 214 so that the head of the fastening bolt 332 passes through.

제1, 2 결합홀(314, 316)은 막재 연결부(310)의 외측면과 연통되는 입구 면적이 좁아 로프의 표면을 따라 권취된 막재(30)의 단부가 분리되지 않는다.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314 and 316 have a narrow inlet area communicating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kjae connection portion 310, so that the ends of the makjae 30 wound along the surface of the rope are not separated.

인장 커버부(32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재 연결부(310)의 상측에 위치되어 막재 연결부(310)와의 간격이 조절되며, 막재(30)의 인장을 위해 일단 또는 양단이 막재(30)의 외면 도중을 가압한다.As shown in Figures 3 to 5, the tension cover part 32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kjae connection part 310 and the gap with the makjae connection part 310 is adjusted, and one end or both ends are provided for tensioning the makjae 30. The outer surface of the makjae (30) is pressurized.

이때, 인장 커버부(320)는 가압력 조절부(330)의 체결볼트(332) 나선축이 관통하도록 홀(214) 및 관통홀(318)과 동심을 갖는 통과홀(322a)이 복수 형성되는 수평체(322)와, 수평체(322)의 양단에 절곡 형성되어 막재(30)의 외면을 가압하는 절곡체(324)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tensile cover part 320 is a horizontal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assing holes 322a are formed concentric with the hole 214 and the through hole 318 so that the spiral axis of the fastening bolt 332 of the pressing force adjusting part 330 penetrates. It consists of a sieve 322 and a bent body 324 that is bent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ody 322 and 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makjae 30.

즉, 인장 커버부(320)는 절곡체(324)의 간격이 막재 연결부(310)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막재(30)의 가압시 절곡체(324)가 막재 연결부(310)에 연결된 막재(30)의 일단 또는 양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외측을 가압하게 된다.That is, the tensile cover portion 320 is form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bent members 324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makjae connection portion 310, so that when the makjae 30 is pressed, the bent body 324 is connected to the makjae connection portion 310. The outer sid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or both ends of (30) is pressed.

이렇게, 인장 커버부(320)는 느슨한 상태로 연결된 막재(30)를 절곡체(324)를 통해 눌러 팽팽하게 만드는 것이다.In this way, the tensile cover portion 320 presses the loosely connected makjae 30 through the bending body 324 to make it taut.

더욱이, 절곡체(324)는 수평체(322)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하단이 막재(30)의 외면에 선 접촉하게 되며, 하단에 연질의 마감재(도면에 미도시)가 고정되어 막재(30)의 손상을 방지 가능하다.Moreover, the bent body 324 is formed by bending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ody 322 so that its lower end comes into lin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kjae 30, and a soft finishing material (not shown in the drawing)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makjae.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또한, 인장 커버부(320)는 막재(30)를 가압하여 텐션을 조절하는 기능 외에 막재(30)와 막재(30)의 사이 틈을 가리는 기능도 겸비하며, 막재(30)의 표면을 가압하므로 막재(30)와 막재(30)의 틈을 가리게 된다.In addition, the tensile cover portion 320 has the function of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makjae 30 and the makjae 30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tension by pressing the makjae 30, and presses the surface of the makjae 30. It covers the gap between the makjae (30) and the makjae (30).

가압력 조절부(33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재 연결부(3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인장 커버부(320)에 구비되어, 인장 커버부(320)를 막재 연결부(31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막재(30)의 가압 정도를 조절하며, 체결볼트(332), 제1 체결너트(334) 및 제2 체결너트(33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3 to 5, the pressing force control unit 33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makjae connection part 310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in the tension cover part 320, and the tension cover part 320 is connected to the makjae connection part 310. )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to adjust the degree of pressurization of the makjae 30, and includes a fastening bolt 332, a first fastening nut 334, and a second fastening nut 336.

체결볼트(332)는 머리가 가이드파이프(212)의 내부에 위치되며, 나선축이 동심을 갖는 홀(214), 관통홀(318) 및 통과홀(322a)을 통과하여, 통과홀(322a)의 외부에 노출된다.The head of the fastening bolt 332 is located inside the guide pipe 212, and the spiral axis passes through the concentric hole 214, the through hole 318, and the through hole 322a, and reaches the through hole 322a. exposed to the outside.

제1 체결너트(334)는 막재 연결부(310)의 상면에 밀착되는 위치까지 체결볼트(332)의 나선축에 체결되어 체결볼트(332)를 막재 연결부(310)에 고정시킨다.The first fastening nut 334 is fastened to the spiral shaft of the fastening bolt 332 to a posi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kjae connection portion 310 to secure the fastening bolt 332 to the makjae connection portion 310.

제2 체결너트(336)는 나선축에 결합된 인장 커버부(320)의 하부가 제1 체결너트(334)의 상면에 밀착될 때까지 체결되어 체결볼트(332)에 인장 커버부(320)를 고정시킨다.The second fastening nut 336 is fastened until the lower part of the tension cover part 320 coupled to the spiral shaf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nut 334, so that the tension cover part 320 is attached to the fastening bolt 332. Fix i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천막 텐션 조절 장치(3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such, the operating process of the tent tension control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기둥부(100)와, 기둥부(100)들의 대향면을 지붕 트러스(200)로 연결한 메인 트러스(10)의 제조 시 제1 상현재(110) 및 제2 상현재(210)의 외면 중 정점을 따라 가이드파이프(212)를 용접 등에 의해 고정시킨다.First, when manufacturing the pillar portion 100 and the main truss 10 connecting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column portions 100 with the roof truss 200, the first upper chord 110 and the second upper chord 210 are used. The guide pipe 212 is fixed along the vertex of the outer surface by welding or the like.

이때, 가이드파이프(212)의 홀(214)마다 체결볼트(332)의 나선축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나선축에 관통홀(318)이 결합되도록 가이드파이프(212)에 막재 연결부(310)의 삽입홈(312)을 결합시킨다.At this time, with the spiral shaft of the fastening bolt 332 passing through each hole 214 of the guide pipe 212, the insertion groove of the membrane connection portion 3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pipe 212 so that the through hole 318 is coupled to the spiral shaft. Combine (312).

다음으로, 관통홀(318)을 통과한 나선축에 제1 체결너트(334)를 막재 연결부(310)의 상면에 밀착되는 위치까지 체결시킨다.Next, the first fastening nut 334 is fastened to the spiral shaf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318 to a posi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connecting portion 310.

다음으로, 나선축마다 인장 커버부(320)의 통과홀(322a)을 각각 통과시킨 상태에서 나선축에 제2 체결너트(336)를 가체결시킨다.Next, the second fastening nut 336 is temporarily fastened to the spiral shaft while each spiral shaft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22a of the tension cover portion 320.

다음으로, 양측 기둥부(100)의 사이에 지붕 트러스(200)가 연결된 메인 트러스(10)를 각각 직립시킨 상태에서 막재 연결부(310)의 제1, 2 결합홀(314, 316)과 이와 대향된 타측 메인 트러스(10)에 구비된 막재 연결부(310)의 제2, 1 결합홀(316, 314)에 막재(30)를 연결하게 된다.Next,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314 and 316 of the makjae connection portion 310 and the main trusses 10 with the roof truss 200 connected between the two pillar portions 100 are erected, respectively. The makjae 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and first coupling holes 316 and 314 of the makjae connection portion 310 provided on the other main truss 10.

다음으로, 인장 커버부(320)의 하부가 제1 체결너트(334)의 상면에 밀착될 때까지 제2 체결너트(336)를 체결시키면 인장 커버부(320)의 절곡체(324)가 막재(30)의 일단 또는 양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외측을 가압하게 되면서 느슨한 막재(30)를 폭방향(횡방향)으로 당겨 텐션력을 조절한다.Next, when the second fastening nut 336 is tightened until the lower part of the tensile cover part 3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nut 334, the bent body 324 of the tensile cover part 320 is formed. While pressing the outer sid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or both ends of (30), the loose membrane material (30) is pulled in the width direction (lateral direction) to adjust the tension force.

이상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들은 서로 간에 명백하게 구현의 측면에서 배척되는 조합이 아닌 이상 위에서 예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기타 가능한 다양한 변경조합의 실시예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The configurations includ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also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possible modification combinations not illustratively described above, unless they are combinations that are clearly excluded from the aspect of implementation.

1: 천막 10: 메인 트러스
20: 퍼린 30: 막재
100: 기둥부 200: 지붕 트러스
300: 천막 텐션 조절 장치 310: 막재 연결부
320: 인장 커버부 330: 가압력 조절부
1: tent 10: main truss
20: purlin 30: makjae
100: pillar part 200: roof truss
300: Tent tension adjustment device 310: Makjae connection part
320: Tensile cover part 330: Pressure force adjustment part

Claims (5)

천막용 골조에 고정된 막재(30)의 텐션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상기 골조의 표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막재(30)의 단부가 연결되는 막재 연결부(310);
상기 막재 연결부(310)와의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막재의 인장을 위해 일단 또는 양단이 상기 막재의 외면을 가압하는 인장 커버부(320); 및
상기 막재 연결부(3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인장 커버부(320)에 구비되어, 상기 인장 커버부(320)를 상기 막재 연결부(31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막재(30)의 가압 정도를 조절하는 가압력 조절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막재 연결부(310)는 상기 골조의 현재를 따라 구비된 가이드 파이프(212)에 삽입되도록 일단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막재(30)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일부가 개구된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 상기 가압력 조절부(330)가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복수 형성되며,
상기 인장 커버부(320)는 상기 가압력 조절부(330)가 관통하도록 통과홀이 복수 형성되는 수평체와, 상기 수평체의 양단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막재(30)의 외면을 가압하는 절곡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력 조절부(330)는
상기 골조의 현재에 구비된 가이드 파이프(212)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체결볼트(332);
상기 막재 연결부(310)에 밀착되는 위치까지 상기 체결볼트(332)의 나선축에 체결되는 제1 체결너트(334); 및
상기 나선축에 결합된 상기 인장 커버부(320)가 상기 제1 체결너트(334)에 밀착될 때까지 체결되는 제2 체결너트(336);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너트(334)의 상면은 상기 막재 연결부(310)의 상면 양측보다 더 높게 구비되고,
상기 막재 연결부(31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312)의 수직부와 상기 삽입홈(31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이드파이프(212)의 수직부가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볼트(332)의 헤드 부분은 상기 가이드파이프(212)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텐션 조절 장치.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nsion of the membrane material (30) fixed to the tent frame,
A makjae connector 310 provided along the surface of the frame to which the ends of the makjae 30 are connected;
The distance from the makjae connection portion 310 is adjusted, and one end or both ends of the makjae pressurize the outer surface of the makjae for tensioning the makjae (320);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akjae connection part 310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in the tensile cover part 320, and the tensile cover part 32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makjae connection part 310 or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kjae (30). ) includes a pressing pressure control unit 330 that controls the degree of pressing,
The makjae connection portion 310 has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one end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pipe 212 provided along the current of the frame, and has a coupling hole partially opened on both sides so that the ends of the makjae 30 are coupled. It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pressing force adjusting part 330 passes through,
The tensile cover part 320 is composed of a horizontal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so that the pressing force adjusting part 330 penetrates, and a bent body that is bent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ody to 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membrane material 30. under,
The pressing force adjusting unit 330 is
Fastening bolts 332 located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pipe 212 provided on the current of the frame toward the outside;
A first fastening nut 334 fastened to the spiral shaft of the fastening bolt 332 to a posi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makjae connection portion 310; and
It includes a second fastening nut 336 that is fastened until the tension cover part 320 coupled to the spiral shaf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astening nut 334,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nut 334 is provided higher tha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kjae connection portion 310,
The vertical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312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embrane connection portion 310 and the vertical portion of the guide pipe 212 that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groove 312 are each formed vertically,
A tent tension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portion of the fastening bolt (332) is provided inside the guide pipe (212).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커버부의 절곡체는 상기 막재의 외면에 선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텐션 조절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tent tension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body of the tensile cover portion is in lin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embrane material.
삭제delete
KR1020230041494A 2023-03-29 2023-03-29 Tension control apparatus of tent KR1026233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1494A KR102623328B1 (en) 2023-03-29 2023-03-29 Tension control apparatus of 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1494A KR102623328B1 (en) 2023-03-29 2023-03-29 Tension control apparatus of t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328B1 true KR102623328B1 (en) 2024-01-10

Family

ID=8951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1494A KR102623328B1 (en) 2023-03-29 2023-03-29 Tension control apparatus of t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32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831A (en) * 1993-10-20 1995-05-02 Tokuji Kotaki Method for setting up sheet and sheet house
KR100324561B1 (en) 1998-07-02 2002-04-17 구자홍 Apparatus for preventing high pressure in absorption heat pump and method thereof
KR102465048B1 (en) * 2021-06-30 2022-11-09 조남철 Tension device for convenient membrane construction and re-tension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831A (en) * 1993-10-20 1995-05-02 Tokuji Kotaki Method for setting up sheet and sheet house
KR100324561B1 (en) 1998-07-02 2002-04-17 구자홍 Apparatus for preventing high pressure in absorption heat pump and method thereof
KR102465048B1 (en) * 2021-06-30 2022-11-09 조남철 Tension device for convenient membrane construction and re-tensio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3425A (en) Tension membrane structure wrinkle elimination
KR102249049B1 (en) Membrane structure with tension measurement and bidirectional re-tension system for membrane
US20030131539A1 (en) Cantilever support and erectable structures
KR102623328B1 (en) Tension control apparatus of tent
US3643391A (en) Roof construction
KR100906193B1 (en) A pavilion structure of simple tension regulation and apparatus of tension regulation for the pavilion
AU2003262358B9 (en) Holding profile
KR20120070510A (en) Device for pre-tensioning a machine frame, machine frame, and pressing and drawing device
KR102099771B1 (en) Tension control apparatus of prefabricated tent
KR102623313B1 (en) Tension adjustable tent for both outer and inner curtains
US4096669A (en) Membrane building segment connection
JP5007178B2 (en) Fixing structure of film material peripheral par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T13584U1 (en) Parallel foldable membrane roof
KR102623363B1 (en) Curtain structure te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with left and right tension function
US5582099A (en) Truss bend correction system
JP2878945B2 (en) Roof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0493923Y1 (en)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for tent
JP4041015B2 (en) Temporary tent
JP6176943B2 (en) Tent framework
US6539679B1 (en) Structural member with strength-reinforcing steel strap
JP3032197U (en) Wooden strong lattice beam structure of building
EP2042681B1 (en) Gate provided with a closing part
GB2039582A (en) Beam with pretensioned member
JP2782097B2 (en) Frame membrane structure and its tension introduction method
CA1281970C (en) Building structure with transversely tensioned fabric cov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