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275B1 -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 - Google Patents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275B1
KR102623275B1 KR1020230082406A KR20230082406A KR102623275B1 KR 102623275 B1 KR102623275 B1 KR 102623275B1 KR 1020230082406 A KR1020230082406 A KR 1020230082406A KR 20230082406 A KR20230082406 A KR 20230082406A KR 102623275 B1 KR102623275 B1 KR 102623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atc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경
강지훈
강석우
Original Assignee
김진경
강지훈
강석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경, 강지훈, 강석우 filed Critical 김진경
Priority to KR1020230082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2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64Gels; Film-forming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21Microcaps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9/00Tenebrescent materials, i.e. materials for which the range of wavelengths for energy absorption is changed as a result of excitation by some form of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에 관한 것으로, 화재 발생이 예상되는 장치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되어 일정온도 이상에서 작동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로서, 내부에 소화약제가 코팅된 캡슐에 감싸져서 상온에서의 색상은 청색 또는 적색이고, 주위온도가 60℃ 이상이면 흰색으로 변색되고, 주위온도가 -8℃ 이하에서 본래의 청색 또는 적색으로 환원되며, 자동소화패치의 이면에는 스티커 이면지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화재발생시, 자동소화패치의 내부온도의 약 110℃에서 소화캡슐이 반응하여 터지며 소화약제를 분출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되며, 마이크로캡슐의 붕괴됨으로써 그 내부에 소화약제가 화재 부위에 분출됨으로써 초기 화재가 진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Automatic Fire Extinguishing Patch Color Changed by Temperature, The Making Method thereof, And The Compositions thereof}
본 발명은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 그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화재 발생 지점 혹은 화재감지장치내에 패치 형태로 설치되어 화재감지장치가 일정온도 이상 상승하여 화재위험이 있는 경우 특정온도 이상 예를 들어 발화점이상에서 패치가 작동되고, 이와 동시에 특정 색상으로 변색되어 고객 또는 담당관리요원, 또는 주위사람들에게 배전반내의 이상온도 발생 상황을 인지하게 하여 배전반 내부 장치의 이상 발생과 이에 따른 화재 발생의 위험을 알림과 동시에 배전반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현장에서 이상 온도가 발생한 배전반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 이전에 이상요인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또한 화재 발생시에는 초기에 화재 진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 그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 분말식 소화기는 화재의 초기 단계에서 화재를 진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불연성 고압가스(이산화탄소, 질소)에 의해 분말 소화약재를 분사시키는 소화기는 평상시 일정장소에 비치하였다가 화재의 초기에 사용하는 것인데, 소화기 용기 내부에 별도의 압력가스통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 함은 물론 사용자의 조작 또한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배전반에는 건물내의 각종 전기장치들의 전원 공급 및 신호전달을 위한 전기설비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전선이 노출된 부분이 있어서 고온 다습한 경우에 배전반내 전선들에서 전류가 누설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파크가 발생되는 경우에 장기간 사용에 따라 쌓여진 먼지에 불이 붙어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가 잦다.
이에 따라, 배전반내의 화재방지를 위하여 다양한 수단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555620호(등록일자 2015년09월18일)에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은 내부에 전자 부품들이 배치되는 함체부와; 상기 함체부를 개폐하는 도어부와; 상기 함체부 및 상기 도어부의 내부에 일정의 냉각 온도를 이루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함체부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전자 부품들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전자 부품들 각각으로 냉풍을 공급하여 상기 전자부품들의 온도가 기설정된 과열온도 이하를 이루도록 제어하는 냉풍 공급부; 및 상기 함체부 내부에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여, 상기 함체부 내부에 소화제를 공급하여 소화시키는 소화부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소화설비는 그 함체부 내에 냉풍공급 및 냉각수 순환을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 비용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문제와 함께, 화재 발생으로 인하여 자동소화설비의 자체 회로가 손상되는 경우에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장기간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위급한 상황에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한 유지관리에 어려움과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패치라는 용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패치는 보통 의료용 패치에 사용되는 용어이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니들 패치라는 제품이 있는데, 이는 마이크로 크기의 아주 작은 니들들이 표면에 붙어있는 패치로, 니들 안에는 피부에 전달될 유효성분들이 들어있다. 스티커 붙이듯 니들이 있는 면이 피부에 닿도록 부착시킨후 니들이 잘 박히도록 패치가 부착된 곳의 피부를 압박해주면, 이후 패치 안에서 유효성분이 스며나와 몸에 퍼지게 된다. 니들은 생분해성 소재를 쓴다고도 한다. 원래 주사기의 대용품으로 개발되었다고 하는데 유효성분을 표피 아래 진피층까지 다이랙트로 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이 어필되었는지 의료계보다 피부미용 쪽에서 더 각광받고 있다.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 패치도 있고, 그 외에 트러블패치의 기능을 겸하는 물건도 있다. 덤으로 왜인지 관절계 나이크로니들 패치도 있다. 니들이 매우 작기 때문에 통증은 주사에 비해 거의 없는 수준이며 흉터도 크게 남지 않거나 안 남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유효성분이라고는 해도 이물질을 표피를 거치지 않고 진피로 다이랙트시키는 물건인지라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존재하고, 크게 효과가 있냐는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하지만 수요층이 확실히 자리잡혔고 더 기술이 발전하면 주사를 보완할 수 있는 물건이 되리라 보는 시각도 있다.(나무위키 패치 참조. https://namu.wiki/w/%ED%8C%A8%EC%B9%98)
위와 같은 형태의 패치를 의료용 이외에 화재 자동소화 용도로 사용하려는 연구도 계속되고 있으며, 산업현장에서 특수목적용으로도 활발하게 적용가능하도록 개발되고 패치형태의 제품이 다수가 개발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2086237호(등록일자 2020년03월02일)(발명의 명칭: 부착형소화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 지점 혹은 화재감지장치내에 패치 형태로 설치되어 화재감지장치가 일정온도 이상 상승하여 화재위험이 있는 경우 특정온도 이상 예를 들어 발화점이상에서 패치가 작동되고, 이와 동시에 특정 색상으로 변색되어 고객 또는 담당관리요원, 또는 주위사람들에게 배전반내의 이상온도 발생 상황을 인지하게 하여 배전반 내부 장치의 이상 발생과 이에 따른 화재 발생의 위험을 알림과 동시에 배전반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현장에서 이상 온도가 발생한 배전반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 이전에 이상요인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또한 화재 발생시에는 초기에 화재 진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패치는
화재 발생이 예상되는 장치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되어 일정온도 이상에서 작동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로서,
내부에 소화약제가 코팅된 캡슐에 감싸져서 상온(20±5℃)에서의 색상은 청색 또는 적색이고, 주위온도가 60℃ 이상이면 흰색으로 변색되고, 주위온도가 -8℃ 이하에서 본래의 청색 또는 적색으로 환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가 제공된다.
또한, 자동소화패치의 이면에는 스티커 이면지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동소화패치의 비가역 변색온도는 79.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화재발생시, 자동소화패치의 내부온도의 110℃에서 소화캡슐이 반응하여 터지며 소화약제를 분출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되며, 마이크로캡슐의 붕괴됨으로써 그 내부에 소화약제가 화재 부위에 분출됨으로써 초기 화재가 진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이크로캡슐은 110℃이상의 온도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자동으로 소화약제를 방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소화약제는 화재 활성화를 방지하고 연쇄반응을 억제하여 소화 작용을 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마이크로캡슐(Micro Capsule) 50.0wt%, 바인더(Flame Retardent Binder), 30wt%, 물(Water) 20.0wt% 및 스파이볼(SpyBall)1.0w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인더는 Co-polymer 12.5wt%, Phosphate Powder 5.0wt%, Phosphate Liquid 5.0wt%, Glycerine 4.0wt%, 및 Surface Active Agent & Water 2.5wt%를 포함하는 배합 비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스파이볼은 자동소화패치로서, 자동소화패치는 붉은 분말(Red Powder)형태이고, capsule wall type으로 polyoxymethylene melam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바인더(Flame Retardent) 50.0wt%에 물 20.0wt%넣어 젓는 단계,
물과 배합하여 묽어진 용액에 스파이볼 1.0wt%을 넣고 색깔이 균일하게 될 때 까지 저어 주는 단계,
상기 배합된 용액에 마이크로캡슐(Micro Capsule) 50.0wt%를 넣는 단계,
교반기 또는 거품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캡슐(Micro Capsule)과 바인더(Flame Retardent)가 배합되도록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스파이볼은 자동소화패치로서, 자동소화패치는 붉은 분말(Red Powder)형태이고, capsule wall type으로 polyoxymethylene melam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에 의하면, 화재 발생 지점 혹은 화재감지장치내에 패치 형태로 설치되어 화재감지장치가 일정온도 이상 상승하여 화재위험이 있는 경우 특정온도 이상 예를 들어 발화점이상에서 패치가 작동되고, 이와 동시에 특정 색상으로 변색되어 고객 또는 담당관리요원, 또는 주위사람들에게 배전반내의 이상온도 발생 상황을 인지하게 하여 배전반 내부 장치의 이상 발생과 이에 따른 화재 발생의 위험을 알림과 동시에 배전반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현장에서 이상 온도가 발생한 배전반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 이전에 이상요인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또한 화재 발생시에는 초기에 화재 진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를 제작하여 실험한 샘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의 내부 마이크로캡슐과 소화약제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의 작동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 내부 마이크로캡슐의 상세 동작원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의 설치후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가 설치된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화재가 발생하는 위치들을 예시적으로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가 배전반에 설치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의 설치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의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를 제작하여 실험한 샘플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의 내부 마이크로캡슐과 소화약제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의 작동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 내부 마이크로캡슐의 상세 동작원리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의 설치후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가 설치된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화재가 발생하는 위치들을 예시적으로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가 배전반에 설치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의 설치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변색 자동소화패치 샘플제작 설명도로서,
자동소화패치(patch는 일종의 스티커형태이다)는(일명, 적색 스파이볼 패치라 칭함, Spyball P-Red 80M)(도 2 참조)
PVC에 적용한 색상으로서,
60℃ 청색의 경우,
상온에서의 색상(청색) --->변색---> 60도 이상의 색상(흰색) --->환원 -8도 이하에서 환원(청색)
60℃ 빨강의 경우,
상온에서의 색상(빨강) ---> 변색---> 60도 이상의 색상(흰색) --->환원 -8도 이하에서 환원(빨강)
이 된다.
상기 도1에서, 자동소화패치는 붉은 분말(Red Powder)형태이고, 분류는 Thermochrmic Microcapsule powder로 분류되며, 습기는 < 2.5%(2.5%이하이고), capsule wall type은 polyoxymethylene melamine이며, mean particle size는 4.38㎛이고, non flammable이며, decolored는 48.0℃~73.0℃이고, 비가역(irreversibility) 은 79.5℃에서 일어나며, colored는 2.0~ -20.0℃의 범위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성분 온도 반응온도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A 샘플로서 자동소화패치(100-1,100-2)와, B샘플로서 자동소화패치(100-3,100-4)가 준비되었다.
1). “A” Sample SpyBall 2g 만 투입시(좌측하단), “B” Sample Spyball 2g + Acryic 염료 2g을 같이 배합 했을 때 (우측하단) 제품의 색상은 더 선명하다.
2). 온도에 반응하여 변색시에는 Spyball 만 배합 한 A Sample의 색상 변화가 분명하다. B Sample은 색상 변화 정도가 약하다.
3). A, B 모두 온도반응에 따른 색상 변화가 나타나지만 확실한 변색 재조를 보이기 위해서는 Spyball 만 배합한 A Sample이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의 최적의 배합 비율은
* Micro Capsule ( 300미크론) : 50.0g
* Frame Retardant Binder : 30g
- Co-polymer (24937-78-8) 12.5g
- Phosphate Pow (68333-79-9) 5.0g
- Phosphate Liquid (41203-81-0) 5.0ml
- Glycerine (21645-51-2) 4.0ml
- Surface Active Agent & Water 2.5ml
* Water : 20.0ml
* SpyBall : 1.0g
상기와 같은 배합비율로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의 제조 작업 순서를 설명한다.
1) Flame Retardent 58g 에 물 40g 넣어 잘 젓는다. 젓는 시간은 제한은 없으나, 필요시 30분~1시간으로 정할 수도 있다.
2) 물과 배합하여 묽어진 용액에 Spyball 2 g 을 넣고 색깔이 균일하게 될 때 까지 잘 저어 준다. 젓는 시간은 제한은 없으나, 필요시 30분~1시간으로 정할 수도 있다.
3) 상기 배합된 용액에 Micro Capsule 100g을 넣는다.
4) 교반기 또는 거품기를 이용하여 Micro Capsule과 Flame Retardent가 잘 배합되도록 교반한다. 젓는 시간은 제한은 없으나, 필요시 30분~1시간으로 정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재발생시,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100)의 내부온도의 약 110℃에서 소화캡슐이 반응하여 터지며 소화약제를 분출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즉, 자동소화패치가 화재를 감지하고 붕괴되는 마이크로캡슐(112)이 도시되며, 마이크로캡슐의 붕괴됨으로써 그 내부에 소화약제(114)가 화재 부위에 분출됨으로써 초기 화재가 진압된다.
마이크로캡슐(112)은 110℃이상의 온도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자동으로 소화약제를 방출하게된다.
소화약제(114), 즉 작동 작용제(ACTIVE AGENT)는, 화재 활성화를 방지하고 연쇄반응을 억제하여 소화 작용을 하게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100)의 여러가지 색상 형태를 나열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100)는 다른 용어로서 일종의 스티커 형태이며, 특정 부위에 쉽게 부착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일명 퀵스탑 파이어) 및 그의 자동변색 과정을 설명한다.
자동소화패치(100)는 화재진압 후에 일부 부분(110a)이 자동변색되게 된다. 이를 통해 소비자가 자동소화패치(100)의 작동여부를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가 설치된 후의 화재진압과정을 요약하면,
24시간 화재예방이 가능한데,
즉, 본 발명의 자동소화패치(100)가 장착된 곳에서 화재발생시 자동으로초기화재 진압 이 수행된다(전기장치 및 서류문서에 2차 피해가 없다).
또한, 오존층 파괴지수 0, 지구온난화지수 1이하(< 1)이다.
또한, 3M 테이프 부착으로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전원공급이 필요없으며, 오작동이 전혀없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반응 변색 자동소화패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재시, 특정온도(100~120℃)에서 마이크로캡슐이 터지고 캡슐안에 담긴 소화물질이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이크로캡슐(112)은 120℃에서, 특수 소화약제(114)가 마이크로캡슐로 농축되어 있어서 화재발생시 온도가 120℃이상 상승하면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반응하여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화재발생시 패치형태의 소화용구가 자동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소화약재를 방출하게되고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게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의 설치 및 부착위치는 배전반내 상부위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화재를 일어난 상태를 도시한다. 즉, 배전반, 분전반, 콘센트에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배전반 설치방법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설치위치는 배전반에 한정되지 않으며, 화재 초기 발생 위험이 높은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배전반 설치부위 오염물을 제거하고,
스티커(110) 이면지를 분리하고,
상부에 자동소화패치(100)를 부착하여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붙이는 스티커소화기 즉 자동소화패치는 소공간에서 발생하는 화재에 대한 초기진압자동소화구이다. 또한, 전기누전 및 쇼트로 인한 화재를 막는데 유용한 제품이다.또한, 첨단의 나노기술의 결정체로서 간편한 설치로 A,B,C급 화재유형에 적합하며 온도 감지를 통해 자동으로 소화약제를 분사하며, 효과적인 초기화재진압으로 화재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일예로, 소화물질은 FK-5-1-12 화합물이며, 최적온도 작동조건은 -40℃~40℃이고, 적용범위는 체적 30L이며, 활성화온도는 110℃이고, 크기는 100x250x1.6mm이고, 무게는 36g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100)의 사용예로써, 콘센트 내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소화패치(100)를 이면지 3M스티커(110) 제거후에 붙여서 사용하게 된다.
한편으로는, 바인더(Flame Retardent) 50.0g에 물 20.0ml넣어 젓는 단계,
물과 배합하여 묽어진 용액에 스파이볼 1.0g을 넣고 색깔이 균일하게 될 때 까지 저어 주는 단계,
상기 배합된 용액에 마이크로캡슐(Micro Capsule) 50.0g을 넣는 단계,
교반기 또는 거품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캡슐(Micro Capsule)과 바인더(Flame Retardent)가 배합되도록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스파이볼은 자동소화패치로서, 자동소화패치는 붉은 분말(Red Powder)형태이고, capsule wall type으로 polyoxymethylene melamine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100: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
112: 마이크로캡슐
114: 소화약제

Claims (8)

  1. 화재 발생이 예상되는 장치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되어 일정온도 이상에서 작동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로서,
    내부에 소화약제가 코팅된 캡슐에 감싸져서 상온(20±5℃)에서의 색상은 청색 또는 적색이고, 주위온도가 60℃ 이상이면 흰색으로 변색되고, 주위온도가 -8℃ 이하에서 본래의 청색 또는 적색으로 환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자동소화패치의 이면에는 스티커 이면지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자동소화패치의 비가역 변색온도는 79.5℃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화재발생시, 자동소화패치의 내부온도의 110℃에서 소화캡슐이 반응하여 터지며 소화약제를 분출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되며, 마이크로캡슐의 붕괴됨으로써 그 내부에 소화약제가 화재 부위에 분출됨으로써 초기 화재가 진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캡슐은 110℃이상의 온도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자동으로 소화약제를 방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소화약제는 화재 활성화를 방지하고 연쇄반응을 억제하여 소화 작용을 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
  7. 삭제
  8. 삭제
KR1020230082406A 2023-06-27 2023-06-27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 KR102623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2406A KR102623275B1 (ko) 2023-06-27 2023-06-27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2406A KR102623275B1 (ko) 2023-06-27 2023-06-27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275B1 true KR102623275B1 (ko) 2024-01-10

Family

ID=89511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2406A KR102623275B1 (ko) 2023-06-27 2023-06-27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2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758U (ko) * 1997-09-10 1997-12-10 김선정 시간차이로 화재를 판단하는 자동식 소화기
KR20110021450A (ko) * 2009-08-26 2011-03-04 김성호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KR20170132457A (ko) * 2016-05-24 2017-12-04 김병열 온도센서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KR20200015320A (ko) * 2018-08-03 2020-02-12 심근보 부착형 소화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34172A (ko) * 2022-03-14 2023-09-21 김진경 화재감지 기능을 갖춘 배전반 화재진압용 자동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758U (ko) * 1997-09-10 1997-12-10 김선정 시간차이로 화재를 판단하는 자동식 소화기
KR20110021450A (ko) * 2009-08-26 2011-03-04 김성호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KR20170132457A (ko) * 2016-05-24 2017-12-04 김병열 온도센서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KR20200015320A (ko) * 2018-08-03 2020-02-12 심근보 부착형 소화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34172A (ko) * 2022-03-14 2023-09-21 김진경 화재감지 기능을 갖춘 배전반 화재진압용 자동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544014A (ja) 電気化学エネルギー貯蔵装置の内部、表面又は周囲における火災の消火又は防止方法及び装置
RU2379080C1 (ru)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с управляемым пуском
KR102120381B1 (ko) 라인형 자동소화용구 및 소화절연테이프가 구비된 전력변환장치
DE69221149T2 (de) Feuerlöschvorrichtung
JP2014504785A (ja) 複数の電気化学的エネルギー貯蔵装置からなるバッテリー
KR102623275B1 (ko) 이상온도 자동변색 자동소화패치
ES2117977T3 (es) Procedimiento e instalacion contra incendios.
WO2022068692A1 (zh) 一种消防系统
FI13108Y1 (fi) Automaattinen jäähdytys- ja sammutusjärjestelmä
CN213760299U (zh) 一种消防系统
DE3809754A1 (de) Feuerloesch- oder -schutzvorrichtung fuer elektrische geraete mit entzuendbaren teilen
CN103974748A (zh) 用来在封闭房间中灭火的方法以及灭火系统
RU186394U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ном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для протяженных объектов
US20040256119A1 (en) Fire protection and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domestic appliances
CN112843540A (zh) 一种机房能耗自动化检测调节设备
CN214181518U (zh) 灭火装置及电控箱
CN111821616A (zh) 一种充换电站消防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0848804B1 (ko) 불활성가스 소화약제를 이용한 소화방법 및 혼합소화약제
RU218926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RU215082U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JP2001333215A (ja) 火災時の緊急避難通報装置
KR102103513B1 (ko) 안전성이 향상된 화재확산 방지 소방장치
CZ34028U1 (cs) Automatický ochlazovací a hasicí systém
JPH10216265A (ja) 消火具、防火具、消防補助具
CN219558563U (zh) 一种热气溶胶灭火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