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918B1 -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 Google Patents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918B1
KR102622918B1 KR1020210176057A KR20210176057A KR102622918B1 KR 102622918 B1 KR102622918 B1 KR 102622918B1 KR 1020210176057 A KR1020210176057 A KR 1020210176057A KR 20210176057 A KR20210176057 A KR 20210176057A KR 102622918 B1 KR102622918 B1 KR 102622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triking needle
solenoid valve
striking
fire extingui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7263A (ko
Inventor
조휴윤
전준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76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918B1/ko
Publication of KR20230087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9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62C13/6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에 관한 것으로, 타격침바디와, 일측이 상기 타격침바디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밸브바디에 연결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타격스프링와, 상기 슬라이드홈의 외측 둘레를 관통하여 상기 타격침바디에 체결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타격침을 제공하여, 용기밸브에 설치된 파열판과 상기 타격침이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솔레노이드밸브의 설치과정에서 파열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이다.

Description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 FOR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소화가스 저장용기의 상부에 설치된 파열판을 관통시켜 화재 발생 시 저장용기 내의 소화가스가 분사되는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변전소 등이나 지중구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대부분 과전류, 전기합선 및 절연파괴 등에 의한 전기화재이며, 연소 확대의 위험성이 매우 크므로 일반 수계 소화설비로는 화재의 소화 및 억제가 불가능하고 추가적인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기화재 발생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기 위해 가스를 분사하여 산소의 접근을 차단하여 전기화재를 소화시키는 가스소화기가 설치되어 운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변전소 등에 설치된 가스소화설비는, 소화가스 저장용기(1), 용기밸브(2), 단자대(3), 압력 스위치(4), 기동 용기함(5). 솔레노이드 밸브(100)을 포함하며, 소화가스 저장용기(1) 내부에 저장된 이산화탄소(CO2) 가스 등의 소화가스를 자동 배출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밸브(100)에 의해 작동가능하게 구성되며, 화재발생에 따른 외부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용기밸브(2)를 개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수신반으로부터 단자대(3)를 통해 동작전원이 공급되고,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소화가스 저장용기(1)의 상단에 결합된 용기밸브(2)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화재가 발생하면 작동하여 용기밸브(2)를 개방하여 소화가스 저장용기(1)의 내부에 저장된 소화가스를 방출시켜 화재를 소화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소화가스 저장용기(1)의 상단에 결합된 용기밸브(2)는, 상기 소화가스 저장용기(1)의 상단에 결합되고 중앙에 소화가스가 이동가능한 통로가 형성된 밸브 하우징(2a)과, 상기 소화가스 저장용기(1)와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2a)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통로관(2b)과, 상기 소화가스 저장용기(1) 내부의 소화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2a)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2c)와, 상기 배출구(2c)와 대향되어 상기 밸브 하우징(2a)의 타측 내부에 설치되는 파열판(2d)과, 상기 소화가스 저장용기(1) 내부의 소화가스가 배출되는 통로관(2b)의 입구에 접촉되는 피스톤(2e)과, 상기 피스톤(2e)이 상기 통로관(2b)의 입구에 밀착되도록 상기 피스톤(2e)을 가압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밸브스프링(2f)을 포함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밸브 하우징(2a)은 수평으로 관통되어 통로가 형성되어 있어 일측에 배출구(2c)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00)가 결합가능한 결합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열판(2d)은 상기 밸브 하우징(2a)의 타측에 위치한 상기 밸브 하우징(2a)의 결합단자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파열판(2d) 본체의 외측에서 돌출된 고정핀이 상기 밸브 하우징(2a)의 결합단자 외측면을 관통하여 고정된다.
상기 통로관(2b)은 하단이 상기 소화가스 저장용기(1)에 연결되고 상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출구(2c)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소화가스를 분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로관(2b)에서 상기 소화가스 저장용기(1) 내부의 소화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통로관(2b)의 입구에 피스톤(2e)이 밀착된다.
상기 피스톤(2e)이 상기 통로관(2b)의 입구에 밀착되어 소화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측이 상기 파열판(2d)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피스톤(2e)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2e)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밸브스프링(2f)이 구비된다.
상기 밸브 하우징(2a)의 결합단자 외측에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제1 커넥터(11)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커넥터(11)의 타측에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제2 커넥터(12)의 일측이 결합되고, 제2 커넥터(12)의 타측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00)가 결합된다.
상기 용기밸브(2)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00) 간을 연결하는 커넥터부(10)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커넥터(11) 및 상기 제2 커넥터(12)의 구조는 외측 둘레를 따라 플랜지가 형성된 너트 등의 자유실시기술을 참조하여 사용할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상단 일측에 슬라이드홈(111)이 형성되고, 상단 내부의 직경이 상기 슬라이드홈(111)의 직경보다 작은 통로를 가지는 중공형상의 밸브바디(110)와, 상기 밸브바디(100)의 통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단에 타격침(150)이 결합되는 타격침삽입홈(123)이 형성된 타격침 축대(120)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바디(100)는 타격침 축대(120)가 내부에 배치되는 상단 영역과, 솔레노이드부(130)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단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밸브바디(110)의 상단 일측에서 요입되어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슬라이드홈(1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바디(110)의 상단 내부에서 수평으로 관통되어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바디(110)의 통로 직경은 상기 슬라이드홈(1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타격침 축대(120)의 직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격침 축대(120)는 상기 밸브바디(110)의 통로에 수평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고,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격침 축대(120)에서 외부를 향하는 전단에는 상기 파열판(2d)을 관통하는 타격침(150)이 삽입가능하도록 타격침삽입홈(123)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바디(110)는, 상기 타격침 축대(120)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는 스토퍼(113)와, 상기 슬라이드홈(111)의 내측과 상기 스토퍼(113)를 연결하는 격발스프링(1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격발스프링(112)은 상기 슬라이드홈(111)의 개구면과 반대되는 내측면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타격침 축대(120)의 외측 둘레에 결합된 스토퍼(113)에 결합되어 상기 타격침 축대(120)가 상기 용기밸브의 파열판을 향해 슬라이딩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타격침 축대(120)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후단에 결합되는 안전핀(12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핀(122)은 상기 타격침 축대(120)의 본체 후단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안전핀(122)이 상기 타격침 축대(120)의 본체 후단에서 분리되면, 상기 타격침 축대(12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타격침 축대(120)와 함께 이동되는 상기 타격침(150)의 말단이 상기 파열판을 관통한다.
따라서, 유사시 작업자에 의해 상기 안전핀(122)이 제거되어 타격침 축대(120)가 전진하면 말단 타격침(150)이 마주보고 있는 파열판(2d)을 타격하여 구멍을 뚫어 소화가스 저장용기(1) 내부의 소화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통로관(2b)를 막고 있는 피스톤(2e)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그러나, 솔레노이드 밸브(100)를 용기밸브(2)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솔레노이드 밸브(100) 내부의 타격침(150)의 길이가 상이하여 타격침(150)의 말단에 파열판(2d)에 접촉되어 파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타격침(150)에 의해 파열판(2d)이 파괴되어 소화가스가 분사되어 버리므로 사실상 점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타격침 축대(120)의 조립 전에 파열판(2d)과 타격침(150)이 이격된 거리를 조정하여 파열판(2d)의 파괴를 방지하는 구조적 개선 요구가 대두되고 있으며, 그러한 개선에 따르더라도 솔레노이드 밸브(100) 본연의 작용과 효과가 저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63528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4880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에 니들밸브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니들의 길이가 상이하여 내부 소화약제의 방출을 막는 동판을 파괴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니들 내부 타격침의 길이를 조절하여 동판의 파손을 방지하는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화가스 저장용기의 상단에 결합된 용기밸브의 일측에 결합되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는, 상단 일측에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단 내부의 직경이 상기 슬라이드홈의 직경보다 작은 통로를 가지는 중공형상의 밸브바디; 및 상기 밸브바디의 통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단에 타격침이 결합되는 타격침삽입홈이 형성된 타격침 축대;을 포함한다.
상기 타격침은, 타격침바디; 일측이 상기 타격침바디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밸브바디에 연결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타격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드홈의 외측 둘레를 관통하여 상기 타격침바디에 체결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밸브는, 상기 소화가스 저장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밸브 하우징; 상기 소화가스 저장용기와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을 관통하는 통로관; 상기 소화가스 저장용기 내부의 소화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 상기 밸브 하우징의 타측 내부에 설치되는 파열판; 상기 통로관의 입구에 접촉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이 상기 통로관의 입구에 밀착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밸브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바디는, 상기 타격침 축대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슬라이드홈의 내측과 상기 스토퍼를 연결하는 격발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격침 축대는, 본체; 상기 본체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후단에 결합되는 안전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격침 축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안전핀이 상기 본체의 후단에서 분리되면, 상기 본체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타격침의 말단과 함께 이동되어 상기 타격침의 말단이 상기 파열판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타격침 축대는, 상기 고정나사가 관통가능하도록 상기 타격침삽입홈의 외측에서 천공되어 형성된 나사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밸브바디의 하단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말단이 상기 타격침 축대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지는 승강봉; 상기 승강봉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시키는 캠팔로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밸브바디의 하단 내부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부는,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솔레노이드 코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의 통로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된 가동철심; 및 상기 가동철심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캠팔로워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평판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승강봉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승강봉의 말단이 상기 타격침 축대의 걸림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평판캠을 직선 이동시키는 수동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조작부는, 상기 밸브바디의 하단을 관통하고,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평판캠을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작동핀; 상기 작동핀의 외측 둘레에 끼워지는 스냅링; 일측이 상기 스냅링의 외측에 결합되는 안전클립; 및 일측이 상기 안전클립의 타측을 관통하여 결합된 당김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조작부는, 상기 작동핀의 외측 말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작동플랜지; 및 상기 밸브바디와 상기 작동플랜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작동핀이 상기 평판캠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작동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안전클립과 상기 스냅링을 상기 작동핀에서 분리하도록 상기 당김선의 타단에 연결되는 레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하면, 솔레노이드밸브를 소화가스 저장용기 상단의 용기밸브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솔레노이드밸브 내부 타격침의 길이를 조절하여 파열판과 타격침 간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시켜 작업자에 의한 파열판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소화가스 저장용기에 배치된 소화가스 저장용기함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소화가스 저장용기에 결합된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종래의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가 작동하여 소화가스 저장용기의 용기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에 타격침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의 타격침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의 타격침과 타격침 축대 간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의 수동조작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의 수동조작부가 솔레노이드밸브와 이격되어 설치된 레버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의 레버부에 설치된 레버가 작업자에 의해 회동하여 당김선을 당기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솔레이드 밸브(10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상기 밸브바디(110)의 하단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부(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40)는, 말단이 상기 타격침 축대(12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걸림홈(121)에 끼워지는 승강봉(141) 및 상기 승강봉(141)이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시키는 캠팔로워(142)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봉(141)은 말단에 형성된 강구(141a)가 상기 타격침 축대(12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져 상기 타격침 축대(12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캠팔로워(142)는 상기 승강봉(141)이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도록 본체에 니들롤러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니들롤러가 상기 승강봉에 접촉하여 상하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유사 선행기술이 존재하고 있어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상기 밸브바디(110)의 하단 내부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부(!30)는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솔레노이드 코일(131),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1)의 통로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된 가동철심(132) 및 상기 가동철심(132)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캠팔로워(134)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평판캠(134)이 구비된 솔레노이드부(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1)은 상기 밸브바디(110)의 하단 영역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철심이 감겨져 외부에 설치된 제어장치에 의하여 자기장을 생성한다.
상기 가동철심(132)은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1)의 내부에 설치되고, 자기장에 의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산화철과 같은 일반적인 자성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평판캠(134)은 일측이 상기 가동철심(132)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옆면이 상기 캠팔로워(142)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1)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함께 이동되어 상기 평판캠(134)을 회전시켜 상기 승강봉(141)이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한다.
상기 평판캠(134)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평판캠(134)의 하단에는 회전가능한 하부롤러(14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부(130)는, 상기 가동철심(132)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일측이 상기 가동철심(132)의 측부에서 돌출된 플랜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1)의 외측에 연결되는 가동스프링(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상기 승강봉(141)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승강봉(141)의 말단이 상기 타격침 축대(120)의 걸림홈(12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평판캠(134)을 직선 이동시키는 수동조작부(16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부를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10)에 포함된 타격침 축대(110)의 전단에 배치된 타격침(150)은 타격침바디(151), 일측이 상기 타격침바디(151)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밸브바디(110)에 연결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타격스프링(152) 및 상기 슬라이드홈(111)의 외측 둘레를 관통하여 상기 타격침바디(151)에 체결되는 고정나사(153)를 포함한다.;
상기 타격침바디(151)는 상기 파열판(2d)을 관통가능하도록 말단이 사선으로 기울어지면서 선단부가 예각 또는 직각이나 둔각을 가지도록 날카롭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격스프링(152)은 일측이 상기 타격침바디(151)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밸브바디(110)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타격침바디(151)가 상기 타격침삽입홈(123)의 내부에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타격침 축대(120)는 상기 고정나사(153)가 관통가능하도록 상기 타격침삽입홈(123)의 외측에서 천공되어 형성된 나사홀(1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나사(153)는, 상기 타격침삽입홈(123)의 외측 둘레에서 천공되어 형성된 나사홀(124)을 통과하여 상기 타격침바디(151)의 외측면을 가압하거나, 상기 타격침바디(151)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제조 과정에서 각 부품의 오차로 인하여 상기 용기밸브(2)의 파열판(2d)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00)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간격보다 가깝거나 멀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밸브바디(110)와 상기 타격침바디(151)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도 7(a)를 기준으로, 상기 타격침바디(151)가 상기 밸브바디(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도 7(b))에서 상기 나사홀(124)에 상기 고정나사(153)가 삽입되어 상기 타격침바디(151)가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므로 상기 파열판(2d)과의 거리가 감소된다.
또한, 상기 타격침바디(151)가 상기 밸브바디(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도 7(c))에서 상기 나사홀(124)에 고정나사(153)가 삽입되면서 상기 타격침바디(151)가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므로 상기 파열판(2d)과의 거리가 증가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수동조작부(160)는, 상기 밸브바디(110)의 하단을 관통하고,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평판캠(134)을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1)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작동핀(161)과, 상기 작동핀(161)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는 스냅링(162)과, 일측이 상기 스냅링(162)의 외측에 결합되는 안전클립(163) 및 일측이 상기 안전클립(163)의 타측을 관통하여 결합된 당김선(1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핀(161)은 상기 밸브바디(11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이고,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평판캠(134)에 접촉되어 상기 평판캠(134)을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1)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스냅링(162)은 상기 작동핀(161)의 외측 둘레에 결합가능하도록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일측이 개방된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클립(163)은 일측이 상기 스냅링(162)에 결합되고, 타측이 작업자의 손이나 상기 당김선(166)에 연결될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당김선(166)은 일측이 상기 안전클립(163)의 타측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금속 와이어 또는 플라스틱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외부 환경에서 내구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수동조작부(160)는, 상기 작동핀(161)의 외측 말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작동플랜지(164)와, 상기 밸브바디(110)와 상기 작동플랜지(164)의 중간에 배치되어 상기 작동핀(161)이 상기 평판캠(134)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작동스프링(1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에 의하여 상기 작동핀(161)에 결합된 상기 스냅링(162)과 상기 안전클립(163)이 제거되면, 상기 작동스프링(165)에 의하여 상기 작동핀(161)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밸브바디(110)의 하단 내부로 진입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10)는, 상기 안전클립(163)과 상기 스냅링(162)을 상기 작동핀(161)에서 분리하도록 상기 당김선(166)의 타단에 연결되는 레버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당김선(166)은 일측이 고리 형태의 상기 안전클립(163)을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솔레노이드 밸브(100)로부터 이격된 원격지에 설치된 레버부(170)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레버부(170)를 조작하면 상기 작동핀(16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분리된다.
상기 당김선(166)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상기 당김선(166)의 단선을 방지하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고분자 재질의 연결관(167)이 상기 당김선(166)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167)의 일측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바디(110)의 외측에는 중앙에서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부재(168)가 나사나 볼트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167)의 타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부(170)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71)와, 상기 고정부재(171)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관(167)을 관통한 상기 당김선(166)의 타측이 결합되는 레버(17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171)는, 지면에 결합되는 지면플레이트(171a)와, 상기 지면플레이트(171a)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167)의 타측이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수직플레이트(171b)와, 상기 수직플레이트(171b)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레버(172)를 강우 또는 강설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레버(172)와 마주보도록 상부에 배치되는 지붕 플레이트(171c)를 포함한다.
또하, 상기 레버(172)는, 상기 지면플레이트(171a)의 상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작축(172a)과, 상기 조작축(172a)의 상부에 결합되어 중간에 상기 당김선(166)이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조작레버(172b)와, 상기 조작레버(172b)의 상부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손이 접촉되는 조작핸들(172c)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외력에 의하여 상기 조작핸들(172c)이 당겨지면 상기 조작축(172b)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하면서, 상기 조작레버(172b)에 결합된 상기 당김선(166)이 당겨지므로 상기 당김선(166)의 일측에 결합된 상기 안전클립(163)이 당겨지면서 상기 작동핀(161)으로부터 제거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소화가스 저장용기 110 : 밸브바디
2 : 용기밸브 120 : 타격침 축대
3 : 단자대 130 : 솔레노이드부
4 : 압력 스위치 140 : 연결부
5 : 기동 용기함 150 : 타격침
10 : 커넥터부 160 : 수동조작부
100 : 솔레노이드 밸브 170 : 레버부

Claims (12)

  1. 소화가스 저장용기의 상단에 결합된 용기밸브의 일측에 결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
    상단 일측에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단 내부의 직경이 상기 슬라이드홈의 직경보다 작은 통로를 가지는 중공형상의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통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단에 타격침이 결합되는 타격침삽입홈이 형성된 타격침 축대; 및
    상기 밸브바디의 하단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부;
    을 포함하고,
    상기 타격침은,
    타격침바디;
    일측이 상기 타격침바디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밸브바디에 연결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타격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드홈의 외측 둘레를 관통하여 상기 타격침바디에 체결되는 고정나사;
    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침 축대는,
    상기 고정나사가 관통가능하도록 상기 타격침삽입홈의 외측에서 천공되어 형성된 나사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나사홀을 관통하여 상기 타격침바디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밸브는,
    상기 소화가스 저장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밸브 하우징;
    상기 소화가스 저장용기와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을 관통하는 통로관;
    상기 소화가스 저장용기 내부의 소화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
    상기 밸브 하우징의 타측 내부에 설치되는 파열판;
    상기 통로관의 입구에 접촉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이 상기 통로관의 입구에 밀착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밸브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는,
    상기 타격침 축대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슬라이드홈의 내측과 상기 스토퍼를 연결하는 격발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타격침 축대는,
    본체; 및
    상기 본체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후단에 결합되는 안전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타격침 축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안전핀이 상기 본체의 후단에서 분리되면, 상기 본체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타격침의 말단과 함께 이동되어 상기 타격침의 말단이 상기 파열판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의 하단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말단이 상기 타격침 축대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지는 승강봉; 및
    상기 승강봉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시키는 캠팔로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의 하단 내부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부는,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솔레노이드 코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의 통로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된 가동철심; 및
    상기 가동철심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캠팔로워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평판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승강봉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승강봉의 말단이 상기 타격침 축대의 걸림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평판캠을 직선 이동시키는 수동조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작부는,
    상기 밸브바디의 하단을 관통하고,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평판캠을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작동핀;
    상기 작동핀의 외측 둘레에 끼워지는 스냅링;
    일측이 상기 스냅링의 외측에 결합되는 안전클립; 및
    일측이 상기 안전클립의 타측을 관통하여 결합된 당김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작부는,
    상기 작동핀의 외측 말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작동플랜지; 및
    상기 밸브바디와 상기 작동플랜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작동핀이 상기 평판캠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작동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안전클립과 상기 스냅링을 상기 작동핀에서 분리하도록 상기 당김선의 타단에 연결되는 레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20210176057A 2021-12-09 2021-12-09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2622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057A KR102622918B1 (ko) 2021-12-09 2021-12-09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057A KR102622918B1 (ko) 2021-12-09 2021-12-09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263A KR20230087263A (ko) 2023-06-16
KR102622918B1 true KR102622918B1 (ko) 2024-01-10

Family

ID=8694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057A KR102622918B1 (ko) 2021-12-09 2021-12-09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9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952B1 (ko) * 2010-04-07 2012-07-04 주식회사 화이어텍리더스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KR102135297B1 (ko) * 2019-03-11 2020-07-17 이용건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399A (ko) * 1997-10-29 1999-05-15 구자홍 납 파형 측정장치
KR100848804B1 (ko) 2007-06-01 2008-07-28 김종원 불활성가스 소화약제를 이용한 소화방법 및 혼합소화약제
KR100963528B1 (ko) 2008-01-25 2010-06-15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시스템 모니터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952B1 (ko) * 2010-04-07 2012-07-04 주식회사 화이어텍리더스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KR102135297B1 (ko) * 2019-03-11 2020-07-17 이용건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263A (ko)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759B1 (ko)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보호기구
KR102048799B1 (ko)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KR102030659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접속인자 배전반구조
WO2019141760A1 (de) Komponente für eine brandschutzanlag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nd brandschutzanlage mit selbiger
KR101717083B1 (ko) 압력 챔버 방식의 소공간용 자동소화장치
KR102622918B1 (ko) 가스소화기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0314152B1 (ko) 압력검지밸브가장착된스프레이헤드
US20140238708A1 (en) High rate discharge (hrd) valve opening mechanism for a fire and explosion protection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200400018Y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US8800585B2 (en) High rate discharge (HRD) valve incorporating a rotating lever release mechanism
KR102316190B1 (ko) 이상감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US8776820B2 (en) High rate discharge (HRD) valve incorporating a collet sleeve release mechanism
KR101577789B1 (ko) 소화시스템
KR20090083266A (ko) 소방용 분무 관창
KR100314153B1 (ko) 소화설비밸브
KR102254527B1 (ko) 이중 챔버 소화기
CN111649234A (zh) 消防阀门、消防气瓶及充气系统
US6688326B1 (en) Locking fire hydrant
CN108816551B (zh) 一种柔性拐弯喷枪
KR101916599B1 (ko) 수동분사체를 갖는 소 공간 화재진압장치
KR10228385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차단장치
KR102630725B1 (ko) 산탄식 소화장치
KR20200037709A (ko) 전력구 소화설비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JP7245346B2 (ja) アングル型ドライペンダント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