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864B1 -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864B1
KR102622864B1 KR1020230032466A KR20230032466A KR102622864B1 KR 102622864 B1 KR102622864 B1 KR 102622864B1 KR 1020230032466 A KR1020230032466 A KR 1020230032466A KR 20230032466 A KR20230032466 A KR 20230032466A KR 102622864 B1 KR102622864 B1 KR 102622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oil
weight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2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희
홍인기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2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8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8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29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r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polyvinylmethyle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막형성제; 오일; 오일 안정화제; 점증제; 및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COSMETICS COMPOSITION OF PEEL-OFF TYPE PACK}
본 발명은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습, 청결, 표피 혈액 순환 도모, 각질이나 기타 노폐물의 제거, 피부 영양 공급 또는 주름 감소 등을 위하여 다양한 미용 팩이 활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필-오프(peel-off) 타입 팩은 부직포 등으로 구성된 기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피부에 도포하여 피막을 형성한 후 시간이 경과하면 건조된 피막을 떼어내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필-오프타입 팩은 피막을 떼어낼 때 노폐물이 피막에 흡착되기 때문에 즉각적인 노폐물 제거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필-오프타입 팩은 피부에 도포된 팩의 세정 또는 제거 시간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시간을 확인하여야 하는 사용 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막형성제; 오일; 오일 안정화제; 점증제; 및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안정화제는,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및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카올린(Kaolin)/하이드레이티드 실리카(Hydrated Silica) 복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 안정화제 0.2 내지 1.9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막형성제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및 알진(Algi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폴리비닐알코올 3 내지 15 중량% 및 알진 0.5 내지 5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은, 극성 오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 3 내지 20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증제는,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Sphingomonas Ferment Extract),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및 잔탄검(Xanthan G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점증제 0.1 내지 1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화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및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내지 5 중량% 및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5 내지 5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에 도포된 조성물이 유백색에서 투명색으로 변색되어 팩 제거 시간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 안정화제로서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및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카올린/하이드레이티드 실리카 복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오일을 피막형성제에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필-오프 후에도 피막형성제에 함유되어 있던 오일이 피부에 잔존하여 보습감, 피부 광채 등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제형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막형성제, 오일, 오일 안정화제, 점증제 및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피막형성제는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될 때 피부에 피막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피막형성제에 의하여 형성된 피막은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피부에 영양 또는 보습 등의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막형성제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알진(Algin), 풀루란(Pullulan),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카바모일풀루란(Trimethylsiloxysilylcarbamoyl Pullulan),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아크릴레이트/다이메티콘코폴리머(Acrylates/Dimethicone Copolymer),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암모늄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Ammonium Acrylates Copolymer), 브이피/에이코신코폴리머(VP/Eicosen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 아크릴레이트/브이에이코폴리머(Acrylates/VA Copolymer),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Ethylene/Propylene Copolymer), 폴리우레탄-11(Polyurethane-11) 및 폴리우레탄-40(Polyurethane-4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피막형성제는 폴리비닐알코올 및 알진을 포함할 수 있다. 피막형성제로서 폴리비닐알코올 및 알진을 혼합 사용할 경우 점도가 적절하게 조절되어 피부에 피막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피막형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피막형성제가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될 경우, 본 발명이 의도한 효과가 도출되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막형성제로서 폴리비닐알코올 및 알진을 혼합 사용할 경우, 폴리비닐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3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고, 알진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고, 알진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일은 피부에 도포된 조성물의 건조 시 유백색에서 투명색으로 변색되도록 하여 팩 제거 시간을 용이하게 파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오일은 피부에 유분을 공급하고, 보습막을 형성하여 보습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의 필-오프 후에도, 피막에 함유되어 있던 오일이 피부에 잔존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보습감, 피부 광채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30 내지 50의 보습력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오일은 극성 오일일 수 있다. 극성 오일은 조성물이 유백색으로 구현되도록 하여 조성물의 건조 시에 바람직한 색 변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천연 오일, 실리콘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에스테르계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오일은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포도씨오일(Vitis Vinifera (Grape) Seed Oil), 해바라기씨오일(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 올리브오일(Olea Europaea (Olive) Fruit Oil), 카놀라오일(Canola Oil), 마카다미아씨오일(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메도우폼씨오일(Limnanthes Alba (Meadowfoam) Seed Oil), 아보카도오일(Persea Gratissima (Avocado) Oil),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트라이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페닐트라이메티콘(Phenyl Trimethicone), 헥사메틸사이클로실록세인(Hexamethylcyclotrisiloxane),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Octamethylcyclotetrasiloxane),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Decamethylcyclopentasiloxane), 페닐다이메티콘(Phenyl Dimethicone), 다이페닐다이메티콘(Diphenyl Dimethicone), 트라이메틸펜타페닐트라이실록세인(Trimethyl Pentaphenyl Trisiloxane) 및 옥틸도데칸올(Octyldodenca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3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일 안정화제는 용액 내에 유화 형성과 형성된 유화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오일 안정화제는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카올린(Kaolin), 하이드레이티드 실리카(Hydrated silica),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Stearalkonium Hectorite), 쿼터늄-18헥토라이트(Quaternium-18 Hectorite), 스테아랄코늄벤토나이트(Stearalkonium Bentonite), 쿼터늄-18벤토나이트(Quaternium-18 Bentonite), 벤토나이트(Bentonite), 나이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오일 안정화제는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및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카올린/하이드레이티드 실리카 복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카올린/하이드레이티드 실리카 복합물은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카올린 및 하이드레이티드 실리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또는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카올린/하이드레이티드 실리카 복합물은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여 저온, 고온에서도 상 분리 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고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 및 유지되도록 하고, 오일을 피막형성제에 안정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오일 안정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2 내지 1.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오일 안정화제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2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고온에서 상 분리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9 중량%을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점도가 매우 높아 발림성이 저하되거나 조성물의 필-오프 후 오일이 피부에 남아 있지 않아 피부 광채가 저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점증제는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여 피부에 조성물을 도포 시 두께감 있는 피막을 형성하여도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50,000 내지 120,000 cp의 점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점증제는 피부에 조성물을 도포 시 형성되는 피막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증제는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Sphingomonas Ferment Extract),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잔탄검(Xanthan Gum), 데하이드로잔탄검(Dehydroxanthan Gum), 구아검(Cyamopsis Tetragonoloba (Guar) Gum), 젤란검(Gellan Gum), 캐롭검(Ceratonia Siliqua (Carob) Gum), 웰란검(Welan Gum), 카보머(Carbomer),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Beheneth-25 Methacrylate Copolymer),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점증제는 셀룰로오스검,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 및 잔탄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증제는 셀룰로오스검,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및 잔탄검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점증제는 셀룰로오스검,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점증제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다양한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1 내지 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화제는 조성물 내 각각의 구성을 서로 혼합시키며 오일을 정제수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오일을 피막형성제에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화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솔비탄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펜타에리스틸다이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Distearate),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폴리솔베이트80(Polysorbate 80),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Polyglyceryl-10 Oleate), 글리세릴팔미테이트(Glyceryl Palmitate), 글리세릴올리에이트(Glyceryl Oleate), 미리스틸알코올(Myristyl Alcohol), 세틸알코올(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다이미리스틸포스페이트(Dimyristyl Phosphate) 및 피이지-150스테아레이트(PEG-150 Stea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유화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유화제로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를 혼합 사용할 경우 고온에서의 제형 안정성이 향상되며 조성물의 필-오프 후 피부에 보습감 및 피부 광채 등의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유화제가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될 경우, 본 발명이 의도한 효과가 도출되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화제로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를 혼합 사용할 경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되고,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1 중량%로 포함되고,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50,000 내지 120,000 cp의 점도를 가질 수 있고, 30 내지 50의 보습력을 가질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범위의 점도 및/또는 보습력을 갖도록 구현됨에 따라, 조성물의 발림성, 사용감 등이 우수하며, 필-오프 후에도 피부에 보습감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가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은 3 이상의 관능 평가에 따른 오일 광채감을 가질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와 같은 오일 광채감을 가짐에 따라, 필-오프 후 피부에 오일이 잔존하여 우수한 피부 광채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주된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면, 보습제, pH 조절제, 등장화제,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보존제, 방부제, 자외선 흡수제, 살균제, 차단제, 산화 방지제, 유기 안료, 무기 안료, 향료, 비타민, 주름 및 미백 기능성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용에 효과적인 유효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피부에 형성되는 피막을 통하여 다양한 피부 영양 성분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성분은 보습,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장벽 개선 또는 피부 재생에 효과가 있는 피부 영양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1) 실시예 1 내지 8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표 1 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유화조에 정제수를 투입하여 75℃로 가온한 후, 피막형성제 및 풀루란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온도 및 회전속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점증제 및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를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하였다. 교반이 완료되면 오일, 오일 안정화제, 유화제, 폴리솔베이트80 및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를 첨가한 후 10분 동안 HOMO 공정을 거친 뒤, 실온에서 냉각시켜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2) 비교예 1 내지 11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표 2 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고,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실시예 1 내지 8과 동일하다.
실험예
(1) 실험예 1: 점도, 보습력 및 오일 광채감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11에 대하여, 점도, 보습력 및 오일 광채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점도의 경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을 RV 7번 핀으로 10rpm 조건에서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보습력의 경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에 대한 보습력을 Aramo TS II 측정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오일 광채감의 경우, 20 내지 40대의 평가자 30명 각각에게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을 피부에 도포하고, 샘플이 건조해지면 샘플을 필-오프 하도록 하여, 오일 광채감을 평가 척도로서 5단계로 평가하고, 점수는 5점 만점으로 단계에 따라 1점 단위로 부여하였다. 각각의 평가 항목은 전체 점수를 합산한 평균값을 구한 뒤, 편차를 제외한 값으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8은 점도가 적절히 조절되었고, 필-오프 후 보습력 또한 높은 수치로 측정되었으며, 필-오프 후 오일 광채감 역시 높은 점수로 평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오일 안정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은 점도가 다소 낮게 형성되었고, 과량의 오일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2는 점도가 너무 높아 발림성 및 사용감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화제로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3은 점도가 다소 낮게 형성되고 필-오프 후 오일 광채감 또한 다소 낮게 평가되었고,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4와 실시예 범위 밖의 유화제의 성분을 포함하는 비교예 5는 필-오프 후 보습력 및 오일 광채감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점증제로서 셀룰로오스검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6과 실시예 범위 밖에 점증제의 성분을 포함하는 비교예 7 내지 9는 점도가 낮게 형성되어 제형 안정성이 좋지 않거나, 필-오프 후 보습력 및 오일 광채감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막형성제로서 폴리비닐알코올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0은 점도가 매우 낮게 형성되어 제형 안정성이 좋지 않았고, 알진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1은 점도가 아예 형성되지 않았고 피부에 도포하더라도 피막이 형성되지 않아 보습력 및 오일 광채감의 평가가 불가하였다.
(2) 실험예 2: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밀폐된 용기에 넣고 50℃의 고온에서 1개월 동안 보관한 뒤 제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4는 조성물의 제형의 석출 또는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 및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오일 안정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은, 고온에서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여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 및 유지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도 1의 (a) 및 (b)에 순차적으로 나타내었다.
사용예
상기 실시예 1의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사용예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다만 도 2의 사용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도 2의 사용예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구체적으로, 도 2에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직후(도 2의 (a)), 조성물이 건조된 후(도 2의 (b)) 및 조성물의 필-오프 후(도 2의 (c))를 순차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조성물은 유백색으로 제조되며, 이를 피부에 도포한 뒤 건조시키면 투명색으로 변색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오프 팩의 제거 시간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2의 (b) 및 (c)를 참조하면, 투명색으로 변색된 조성물을 필-오프할 경우, 피막에 함유되어 있던 오일이 여전히 피부에 잔존하기 때문에 피부 광채 및 보습 효과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로서,
    피막형성제; 오일; 오일 안정화제; 점증제; 및 유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오일 안정화제는,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및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카올린(Kaolin)/하이드레이티드 실리카(Hydrated silica) 복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 안정화제 0.2 내지 1.9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형성제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및 알진(Algin)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폴리비닐알코올 3 내지 15 중량% 및 알진 0.5 내지 5 중량%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극성 오일인,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 3 내지 20 중량%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Sphingomonas Ferment Extract),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및 잔탄검(Xanthan G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점증제 0.1 내지 1 중량%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및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내지 5 중량% 및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5 내지 5 중량%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032466A 2023-03-13 2023-03-13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KR102622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466A KR102622864B1 (ko) 2023-03-13 2023-03-13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466A KR102622864B1 (ko) 2023-03-13 2023-03-13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864B1 true KR102622864B1 (ko) 2024-01-09

Family

ID=8953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466A KR102622864B1 (ko) 2023-03-13 2023-03-13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8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5967A (ko) * 2009-02-23 2010-09-01 최중소 황토분말 및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필-오프 황토영양팩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90063226A (ko) * 2017-11-29 2019-06-07 지디케이화장품(주) 원물이 함유된 필오프 타입 팩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6713A (ko) * 2018-03-06 2019-09-18 주식회사 이엠코퍼레이션 신속 수용성 미용 팩용 조성물과 그 혼합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용 팩
KR20210144733A (ko) * 2019-03-29 2021-11-30 샤넬 파르퓜 보트 박리성 필름 형성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5967A (ko) * 2009-02-23 2010-09-01 최중소 황토분말 및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필-오프 황토영양팩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90063226A (ko) * 2017-11-29 2019-06-07 지디케이화장품(주) 원물이 함유된 필오프 타입 팩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6713A (ko) * 2018-03-06 2019-09-18 주식회사 이엠코퍼레이션 신속 수용성 미용 팩용 조성물과 그 혼합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용 팩
KR20210144733A (ko) * 2019-03-29 2021-11-30 샤넬 파르퓜 보트 박리성 필름 형성 화장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네이버 블로그 1* *
비특허문헌: 네이버블로그 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468B1 (ko) 수중유형 유화 모발 화장료
CN102366384B (zh) 一种焕颜修容霜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394833A (zh) 亲脂性个人护理组合物
US6703026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organosiloxane and an acrylic terpolymer, and use of this composition for treating keratinous material
US6184277B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organopolysiloxane gel
CN113440433A (zh) 冰沙状卸妆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764485A (zh) 包含弹性体的化妆品组合物
CN109952091A (zh) 外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2656729A (zh) 一种控油隔离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7929220A (zh) 一种具有修复抗衰功能的干细胞护肤复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970138A (zh) 一种果冻状不脱妆bb霜及其制备方法
KR102622864B1 (ko)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CN101217997B (zh) 唇膏组合物
CN109700675A (zh) 一种细胞复活草霜及其制备方法
CN109640943A (zh) 含有玫瑰果油的头发造型组合物及其用途
CN109453067A (zh) 一种臻颜清润面霜及其制备方法
US7427412B1 (en) Gel-based cosmetic composition
CN113304099A (zh) 一种玫瑰能量霜及其制备方法
JP2017039711A (ja) 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
CN112545914A (zh) 一种红花丰盈丝绒滋养口红
CN109689025A (zh) 含有玫瑰果油的头发护理用发油组合物及其用途
EP4021400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mps polymer and polysaccharide
KR102583283B1 (ko) 고함량의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정한 화장료 조성물
KR20120049590A (ko)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보습감이 증진된 립메이크업 조성물
JP2001213729A (ja) 油中水型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