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631B1 - 침출수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침출수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631B1
KR102622631B1 KR1020230018599A KR20230018599A KR102622631B1 KR 102622631 B1 KR102622631 B1 KR 102622631B1 KR 1020230018599 A KR1020230018599 A KR 1020230018599A KR 20230018599 A KR20230018599 A KR 20230018599A KR 102622631 B1 KR102622631 B1 KR 102622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chate
float
measuring device
support membe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8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상
염동곤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이영상
염동곤
김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상, 염동곤, 김동우 filed Critical 이영상
Priority to KR1020230018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6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7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7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floa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출수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물 매립장과 같은 혐기성 소화 구역의 집수정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수위를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면서도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감지방식에 의해 침출수의 표면 및 바닥면을 감지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침출수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침출수위 측정장치{Leachate lavel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침출수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물 매립장과 같은 혐기성 소화 구역의 집수정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수위를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면서도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감지방식에 의해 침출수의 표면 및 바닥면을 감지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침출수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출수는 고체 폐기물이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일으키면서 액체 상태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뜻하는 것으로, 주로 폐기물 매립장과 같은 혐기성 소화 구역에서 발생된다.
즉, 사람들이 생활하면서 발생시키는 생활 폐기물과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업 폐기물 등의 폐기물 상당량이 매립에 의해 처리되는데, 경제 성장으로 인해 폐기물의 배출량이 늘어나면서 매립되는 폐기물의 양도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폐기물의 분해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독성 침출수의 유출에 의한 환경오염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폐기물 매립장에 적층된 폐기물들은 그 자체로 일정량의 수분을 함유하므로, 자연 분해 과정에서 유독성 침출수가 생성되고, 강우시 다량의 우수가 매립지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침출수의 발생량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환경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매립 지반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폐기물 매립장에서 생성된 과량의 침출수는 집수정을 통해 수집되어 침출수 처리시설로 보내져 정화된 다음 배출되거나 재이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침출수의 생성량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집수정에서의 침출수의 수위, 즉 침출수위를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0439호에는 침출수위 측정기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출수의 표면에 부유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하우징(5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한 쌍의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의 전도성에 따라 접촉 신호를 생성하는 접촉식 센서(60); 및 상기 접촉식 센서의 슬라이딩 이동 경로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식 센서를 구동시킴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대한 접촉식 센서의 상대적인 이동을 검출하는 센서 구동 수단(7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침출수위 측정기가 하강하여 침출수 수면에 도달하면, 하우징(50)은 부력에 의하여 침출수면에 머무르는 반면, 접촉식 센서(60)는 추가적으로 하강하고, 그에 따라 제1 및 제2 전극이 서로 연결되어 접촉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측정자가 침출수위 측정기의 하강을 정지시키고 하강 거리를 읽음으로서 침출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으나, 제1전극과, 제1 및 제2전극을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부식 발생 등에 의해 내구성이 떨어지고, 접촉 신호에 의해 침출수 표면을 감지하므로 제1 및 제2전극 사이의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제1 및 제2전극으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수단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집수정 또는 수직배제정의 내부에 이물질이 존재하여 하우징의 하단부가 이물질에 의해 하강이 제한되는 경우와 침출수 수직재제정 내부의 혐기성발효 온도에 따르는 수분포화기체에도 제1 및 제2전극 사이의 접촉 신호가 발생되므로 침출수위 측정이 불가능함은 물론 잘못된 측정결과를 침출수위로 오인할 위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은 침출수위의 하강 거리를 읽는 방식에 의해 침출수위를 측정하므로, 집수정 또는 수직배제정의 바닥면에 이물질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 정확한 침출수위를 측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침출수 수직배제정의 수위 측정을 위한 바닥면을 확인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0439호(2008. 07. 30.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폐기물 매립장과 같은 혐기성 소화 구역의 집수정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수위를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감지방식에 의해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을 단순화시키면서도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침출수위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접촉 감지방식을 이용하여 침출수 표면과 바닥면을 모두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출수 표면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 차에 의해 침출수위를 측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침출수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침출수위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침출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한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침출수위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영구자석과 리드스위치를 이용한 비접촉 감지 방식에 의해 침출수 표면과 바닥면을 각각 감지하여 침출수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센서부는,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드스위치가 고정 설치되는 중공 형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영구자석이 고정 설치되는 중공의 플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플로트의 하부에 위치되는 지지부재의 외측에 구비되어 바닥면을 감지하는 바닥감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감지 프레임이 바닥면과 접촉한 후 발생되는 영구자석의 위치 변화에 의한 리드스위치의 신호 변화에 의해 바닥면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감지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바닥감지 프레임이 바닥면에 수직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에는 플로트 및 바닥감지 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냅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로트의 상부에 위치되는 지지부재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은 플로트의 부력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과 신호출력부의 사이에는 외주면에 눈금이 형성된 중공 형상의 연결부재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는 리드스위치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신호출력부로 전달하기 위한 전선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기물 매립장과 같은 혐기성 소화 구역의 집수정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수위를 서로 비접촉 밀폐 상태로 존재하는 영구자석과 리드스위치를 이용한 비접촉 감지방식에 의해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측정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접촉 감지방식을 이용하여 침출수 표면과 바닥면을 모두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침출수 표면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 차에 의해 침출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출수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침출수위 측정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위 측정장치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센서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침출수위를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의 (a) ~ (c)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침출수위 측정장치의 위치에 따른 센서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위 측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위 측정장치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센서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침출수위를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의 (a) ~ (c)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침출수위 측정장치의 위치에 따른 센서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폐기물 매립장과 같은 혐기성 소화 구역의 집수정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수위를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면서도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감지방식에 의해 수위 및 바닥면을 감지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침출수위 측정장치(10)(이하, '측정장치(10)'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0), 센서부(200) 및 신호출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에 침출수의 수위(이하, '침출수위'라 한다) 및 집수정 등 침출수가 수용되어 있는 수용부의 바닥면(이하, '바닥면'이라 한다)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200)를 수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부 또는 상,하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의 횡단면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침출수에 대해 강한 내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 드레인(130)이 형성되어 하우징(100) 내,외부의 공기가 공기 드레인(130)을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센서부(200)는 하우징(100)에 구비되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종래의 경우 한 쌍의 전극 사이의 전도성에 따라 접촉 신호를 생성하는 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침출수의 표면만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것임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영구자석(230)의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감지방식에 의해 침출수의 표면과 바닥면을 모두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침출수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센서부(200)는 지지부재(210), 플로트(float)(220), 영구자석(230) 및 리드스위치(24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지지부재(210)는 하우징(100)의 내측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구성으로, 그 외주면에는 후술할 플로트(2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상부에는 제1 및 제2패킹부재(110,120)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하우징(100)의 상단부를 통해 침출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210)의 상단부는 너트 등의 고정수단(212)에 의해 제1패킹부재(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10)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지지부재(210)의 내측에는 후술할 리드스위치(24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10)의 상단부에는 마찬가지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400)가 연결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연결부재(400)는 지지부재(210)와 후술할 신호출력부(30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부재(210)와 연결부재(400)의 내측에는 리드스위치(240)의 신호를 신호출력부(300)로 전달하기 위한 전선(420)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플로트(220)는 지지부재(210)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부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트(220)의 중심부에는 지지부재(210)가 삽입되는 관통홀(222)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플로트(220)가 지지부재(210)의 외측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222)의 내경은 지지부재(210)의 외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측정장치(10)의 하강에 의해 플로트(220)가 침출수의 표면에 도달한 경우 부력에 의해 지지부재(210)를 따라 상승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플로트(220)의 하부에 위치되는 지지부재(210)의 외측면에는 플로트(220)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여 플로트(2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260)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영구자석(230)은 플로트(22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후술할 리드스위치(24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신호, 즉 자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영구자석(230)은 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플로트(22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플로트(220)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영구자석(230)과 리드스위치(240) 사이의 상대위치 변화에 의해 리드스위치(240)가 작동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리드스위치(reed switch)(240)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21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영구자석(230)으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침출수의 표면 및 바닥면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작동관계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센서부(2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감지 프레임(25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바닥감지 프레임(250)은 플로트(220)의 하부에 위치되는 지지부재(210)의 외측에 구비되어 바닥면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플로트(220)와 마찬가지로 지지부재(210)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닥감지 프레임(250)의 하단부에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252)가 형성되어, 바닥감지 프레임(250)이 바닥면에 수직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바닥면의 깊이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감지 프레임(250) 또한 플로트(220)와 마찬가지로 지지부재(2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스냅링(260)에 의해 하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지지부재(21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220)의 상부에 위치되는 지지부재(210)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27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탄성부재(270)는 지지부재(210)의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어 부력에 의한 플로트(220)의 상승을 제한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측정장치(10)가 바닥면에 맞닿는 경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70)의 길이는 플로트(220)의 상단과 지지부재(210)의 상단 사이의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고, 탄성부재(270)의 탄성력, 즉 복원력은 플로트(220)의 부력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신호출력부(300)는 센서부(200), 즉 리드스위치(240)의 구동에 의한 침출수 표면 및 바닥면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신호출력부(300)와 지지부재(210)의 사이에는 중공 형상의 연결부재(400)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210)와 연결부재(400)의 내측에는 리드스위치(240)와 신호출력부(300)를 연결하는 전선(420)이 구비되어 리드스위치(24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가 상기 전선(420)을 통해 신호출력부(300)로 전송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출력부(300)를 통해 발생되는 신호로는 경보음 신호, LED 신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00)의 외측면에는 눈금(410)이 형성되어 상기 신호출력부(300)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에서의 눈금(410) 확인을 통해 침출수 표면의 깊이와 바닥면의 깊이를 각각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두 깊이의 차를 연산함으로써 침출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10)를 이용한 침출수위 측정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측정자는 연결부재(400)를 파지한 상태로 측정장치(10)를 집수정 내부로 투입시킨다.
이때, 상기 센서부(200)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트(220)와 바닥감지 프레임(250)이 자중에 의해 지지부재(2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스냅링(26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플로트(22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영구자석(230)은 지지부재(21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된 리드스위치(240)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리드스위치(240)는 리드가 분리된 열림상태(open)에 있게 된다.
상기 측정장치(10)의 지속적인 하강에 의해 플로트(220)가 수면, 즉 침출수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면,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트(220)는 부력에 의해 지지부재(210)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플로트(22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영구자석(230)과 지지부재(2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리드스위치(240)는 동일한 높이의 가장 인접한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영구자석(230)으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리드스위치(240)의 리드가 접촉되면서 닫힘상태(closed)가 된다.
이러한 리드스위치(240)의 구동은 전선(420)을 통해 신호출력부(300)로 전송되고, 신호출력부(300)에서는 경보음 또는 LED 신호를 발생시켜 측정자가 측정장치(10)가 침출수 표면을 감지하였음을 인지하도록 하고, 측정자는 측정장치(10)의 하강을 중지시키고 연결부재(400)의 표면에 표시된 기준 위치의 눈금(410)을 확인하여 침출수 표면의 깊이를 기록할 수 있다.
그 후, 바닥면 깊이의 확인을 위해 측정자는 다시 측정장치(10)를 하강시키는데, 이때, 플로트(220)의 상부에 위치되는 탄성부재(270)의 반력, 즉 복원력에 의해 플로트(220)의 상승이 제한되므로 플로트(220)는 측정장치(10)가 침출수 내부로 투입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신호출력부(300)에서의 신호 또한 지속적으로 출력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270)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플로트(220)가 가장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플로트(220)의 상단과 지지부재(210) 상단 사이의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되는데, 이때 탄성부재(270)의 상단과 지지부재(210) 상단 사이의 거리는 영구자석(230)과 리드스위치(240) 사이의 높이차와 동일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플로트(220)가 침출수 표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측정장치(10)를 하강시키면, 플로트(220)는 부력에 의해 지지부재(210)를 따라 상승하는데, 플로트(220)의 상승에 의해 영구자석(230)과 리드스위치(240)가 동일 높이에 위치하게 되면, 탄성부재(270)의 상단이 지지부재(210)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어 탄성부재(270)에 의한 반력에 의해 플로트(220)의 상승이 제한되고, 그에 따라 플로트(220)는 동일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측정장치(10)의 지속적인 하강에 의해 바닥감지 프레임(250)의 하단부가 바닥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측정장치(10)를 조금 더 하강시키면,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탄성부재(270)가 압축되면서 바닥감지 프레임(250)과 플로트(220)가 지지부재(210)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영구자석(230)과 리드스위치(240)는 동일 높이에서 벗어나 서로 간의 간격이 멀어지게 된다.
상기 영구자석(230)과 리드스위치(24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면, 영구자석(230)으로부터 리드스위치(240)에 전달되는 자력이 약화되어 리드스위치(240)의 리드가 서로 분리되는 열림상태(open)가 되고, 그에 따라 전선(420)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가 끊기게 되어 신호출력부(300)는 더 이상의 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상기 신호출력부(300)로부터의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측정자는 측정장치(10)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연결부재(400)의 표면에 표시된 기준 위치의 눈금(410)을 확인하여 바닥면의 깊이를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된 바닥면과 침출수 표면의 깊이 차를 연산하면 침출수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집수정의 내부에 침출수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이물질이 존재하여 측정장치(10)가 침출수의 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센서부(200)는 도 5의 (c)에 나타낸 상태, 즉 측정장치(10)가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와 동일한 상태가 되므로, 신호출력부(300)에서는 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되므로, 집수정 내부의 이물질과 침출수의 표면을 혼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위 측정장치(10)에 의하면, 폐기물 매립장과 같은 혐기성 소화 구역의 집수정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수위를 서로 비접촉 밀폐 상태로 존재하는 영구자석(230)과 리드스위치(240)를 이용한 비접촉 감지방식에 의해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측정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접촉 감지방식을 이용하여 침출수 표면과 바닥면을 모두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침출수 표면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 차에 의해 침출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출수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침출수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물 매립장과 같은 혐기성 소화 구역의 집수정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수위를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면서도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감지방식에 의해 침출수의 표면 및 바닥면을 감지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침출수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10 : (침출수위) 측정장치 100 : 하우징
110 : 제1패킹부재 120 : 제2패킹부재
130 : 공기 드레인 200 : 센서부
210 : 지지부재 212 : 고정수단
220 : 플로트 222 : 관통홀
230 : 영구자석 240 : 리드스위치
250 : 바닥감지 프레임 252 : 절곡부
260 : 스냅링 270 : 탄성부재
300 : 신호출력부 400 : 연결부재
410 : 눈금 420 : 전선

Claims (8)

  1. 중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침출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한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침출수위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영구자석과 리드스위치를 이용한 비접촉 감지 방식에 의해 침출수 표면과 바닥면을 각각 감지하여 침출수 표면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 차에 의해 침출수위를 측정하되,
    상기 센서부는,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드스위치가 고정 설치되는 중공 형상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영구자석이 고정 설치되는 중공의 플로트;
    상기 플로트의 하부에 위치되는 지지부재의 외측에 구비되어 바닥면을 감지하는 바닥감지 프레임; 및
    상기 플로트의 상부에 위치되는 지지부재에 구비되어 부력에 의한 플로트의 상승을 제한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플로트가 가장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플로트의 상단과 지지부재 상단 사이의 거리 보다 영구자석과 리드스위치 사이의 높이차 만큼 짧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은 플로트의 부력과 동일한 크기이며,
    상기 센서부는 부력에 의한 플로트의 상승에 따른 영구자석의 위치 변화 및 바닥감지 프레임이 바닥면과 접촉한 후 발생되는 영구자석의 위치 변화로 인한 리드스위치의 신호 변화에 의해 침출수의 표면과 바닥면을 각각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위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감지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바닥감지 프레임이 바닥면에 수직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위 측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에는 플로트 및 바닥감지 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냅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위 측정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과 신호출력부의 사이에는 외주면에 눈금이 형성된 중공 형상의 연결부재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는 리드스위치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신호출력부로 전달하기 위한 전선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위 측정장치.
KR1020230018599A 2023-02-13 2023-02-13 침출수위 측정장치 KR102622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8599A KR102622631B1 (ko) 2023-02-13 2023-02-13 침출수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8599A KR102622631B1 (ko) 2023-02-13 2023-02-13 침출수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631B1 true KR102622631B1 (ko) 2024-01-09

Family

ID=8953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599A KR102622631B1 (ko) 2023-02-13 2023-02-13 침출수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6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213B1 (ko) * 2007-02-28 2007-09-06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부력에너지를 이용한 친환경적인 하천의 수문개폐장치
KR100850439B1 (ko) 2007-02-13 2008-08-07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침출수위 측정기
KR20100001910U (ko) * 2008-08-13 2010-02-23 주식회사 중원엔지니어링 수중바닥 감지장치
KR101133240B1 (ko) * 2009-10-28 2012-04-05 최희선 물탱크의 무선원격 수위조절장치
KR101611447B1 (ko) * 2015-11-03 2016-04-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상 처분장의 침출수 배출 시스템 및 침출수 배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439B1 (ko) 2007-02-13 2008-08-07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침출수위 측정기
KR100756213B1 (ko) * 2007-02-28 2007-09-06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부력에너지를 이용한 친환경적인 하천의 수문개폐장치
KR20100001910U (ko) * 2008-08-13 2010-02-23 주식회사 중원엔지니어링 수중바닥 감지장치
KR101133240B1 (ko) * 2009-10-28 2012-04-05 최희선 물탱크의 무선원격 수위조절장치
KR101611447B1 (ko) * 2015-11-03 2016-04-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상 처분장의 침출수 배출 시스템 및 침출수 배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1440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saturation of water in soil
CN207209654U (zh) 一种检测电梯底坑进水报警装置
CN201041505Y (zh) 钻井泥浆液位报警装置
KR102622631B1 (ko) 침출수위 측정장치
CN212433149U (zh) 污水水质实时检测装置
US9547106B2 (en) Electronic bucket-type precipitation meter
JP2018096093A (ja) 河川における増水検知装置
CN101819123A (zh) 基于浮力测量原理的矿浆浓度计
CN210375322U (zh) 一种水利工程报警和应急装置
CN209043413U (zh) 一种窨井液位测量装置
CN205175505U (zh) 用于入水式升船机入水深度测量传感器的保护装置
CN108802827B (zh) 一种智能城市下水管网井盖系统压力弹簧信号开关
US6675647B2 (en) Device for sensing the level of liquid, particularly for submersed pumps
JP2011153842A (ja) 冠水検出センサ
CN212133788U (zh) 一种恶劣工况下液位测量装置
CN211121460U (zh) 一种液位检测装置
CN209858014U (zh) 一种地下水位测量装置
CN208270028U (zh) 一种水箱液位检测及控制装置
CN209979444U (zh) 一种路面渗水计量仪器
KR100850439B1 (ko) 침출수위 측정기
CN210268822U (zh) 一种用于户外的新型液位传感器
CN219692941U (zh) 一种液化气瓶的安全装置
CN213453873U (zh) 智能供热管理系统
CN218121101U (zh) 一种排水井室的新型液位指示结构
CN213748641U (zh) 一种地下水多功能检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