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062B1 - 아이피 전송 시스템의 케이블 자동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아이피 전송 시스템의 케이블 자동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062B1
KR102622062B1 KR1020230043228A KR20230043228A KR102622062B1 KR 102622062 B1 KR102622062 B1 KR 102622062B1 KR 1020230043228 A KR1020230043228 A KR 1020230043228A KR 20230043228 A KR20230043228 A KR 20230043228A KR 102622062 B1 KR102622062 B1 KR 102622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meras
main
normal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윈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윈스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윈스컴
Priority to KR1020230043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3Performing the actions predefined by failover planning, e.g. switching to standby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4Presence management, e.g. monitoring or registration for receipt of user log-on information, or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피 전송 시스템의 케이블 자동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2개의 utp 케이블을 PoE 스위칭 허브에서 각각의 아이피 카메라에 전속된 드랍유닛에 루프방식(직렬구조)으로 연결하여 어느 케이블에서 손상이 발생하거나, PoE 스위칭 허브가 현장에서 고장을 일으키게 되면 방재실에 있는 제어 서버를 이용하여 각각의 드랍유닛을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케이블 및 영상이 손상되었을 경우 제어서버에서 판단하여 메인 케이블의 포트인 N1에서 서브 케이블의 포트인 N2로 전환해 주도록 함으로써 PoE 스위칭 허브를 통해 전원, 데이터 및 영상신호를 끊김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이피 전송 시스템의 케이블 자동 전환 방법{The IP transmission system having auto conversion function}
본 발명은 아이피 전송 시스템의 케이블 자동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2개의 utp 케이블을 PoE 스위칭 허브에서 각각의 아이피 카메라에 전속된 드랍유닛으로 연결하고, 각각의 드랍유닛은 루프방식(직렬구조)으로 연결하여 어느 케이블에서 손상이 발생하거나, PoE 스위칭 허브가 현장에서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할 때, 방재실에 있는 제어서버를 이용하여 각각의 드랍유닛을 제어하고, 케이블 및 영상이 손상되었을 경우 제어 서버에서 판단하여 메인 케이블의 포트인 N1에서 서브 케이블의 포트인 N2로 전환해 주도록 함으로써 PoE 스위칭 허브를 통해 전원, 데이터 및 영상신호를 끊김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한 메인 케이블 장애시 서브 케이블로 자동 전환 기능을 내장한 IP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 단지, 빌딩, 테크노타운 등과 같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는 방범을 위해 감시용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이 많이 구축되고 있다.
고층 건물 내에는 보안을 위해 더욱더 많은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고 있으며, 또한, 도로나 골목길에도 감시 카메라가 설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네트워크 카메라(network camera)라고도 불리는 아이피 카메라(이하 'IP 카메라'로 지칭)를 이용하여 영상 시스템, 특히 영상보안 시스템을 구성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상기 IP 카메라는 기존의 카메라와 인터넷 서버, 컴퓨터가 통합된 일체형 카메라로서 외부기기의 도움없이 어느 곳에서든 인터넷을 이용하여 화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네트워크와 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영상보안분야 및 각종 인터넷 사업과 연계되는 추세에 있다.
또한, IP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전화라인이나 XDSL라인, 또는 이더넷(ethernet)과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어서 외부 네트워크에 바로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IP 카메라는 유무선 인터넷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카메라, 카메라 모듈, 디코더, 영상 압축 칩, CPU, 네트워크 전송 칩 등으로 구성되어, 카메라 모듈로부터 받은 아날로그 신호는 디코더를 통해 디지털로 바뀌고, 압축 에서 압축을 거쳐 전송되는 흐름이다
도 1은 종래 IP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의 IP 카메라(40a,…,40n)는 영상신호를 이더넷을 통하여 네트워크선(30)에 연결된 허브 또는 단위 관제시스템(20)으로 전송하는데, 각 IP 카메라(40a,…,40n)와 연결되는 별도의 네트워크선(30)을 통해 영상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각 IP 카메라(40a,…,40n)에 공급되는 전원은 전원선(31)을 통하여 공급된다.
따라서, 하나의 IP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해 네트워크선(30) 및 전원선(31)의 두 개의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 별도의 배선 및 배관 공사를 해야 하고, 포설된 케이블을 유지 및 보수하는데 따른 번거로움이 있으며 그만큼 비용(재료비, 설치비, 인건비, 유지보수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2012년 10월 23일자 특허등록 제10-1195703호(중계기능을 갖는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가 제안되었으며,
이는 도 2에 게략적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다수의 IP 카메라(80, 80a ... 80n);
상기 다수의 IP 카메라(80, 80a ... 80n)에 전원과 데이터를 동시에 공급하게 하는 PoE 기능을 지원하는 PoE(Power over Ethernet) 모듈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다수의 IP 카메라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SMPS(60)를 포함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와 상기 다수의 IP 카메라(80, 80a ... 80n)를 직렬 연결하고, 상기 단자부와 상기 IP 카메라(80, 80a ... 80n) 사이 및 상기 각 IP 카메라(80, 80a ... 80n) 사이에서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비상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전원을 동시에 공급하는 LAN선(70);을 포함하되,
상기 각 IP 카메라(80, 80a ... 80n)는 직렬 연결되는 상기 LAN선(70)을 통해 전원과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중에 다음 IP 카메라(80n)나 이전 IP 카메라(80)에 전원과 데이터를 중계하도록 하고,
상기 각 IP 카메라(80, 80a ... 80n)는 IP 카메라(80, 80a ... 80n)의 작동 여부를 정기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도록 타임 테이블에 따라 주기적인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작동여부 및 고장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작동여부 및 고장여부를 LAN선(70)을 통해 허브 또는 단위 관제시스템(50)에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IP 카메라(80a)가 고장인 경우, 해당 IP 카메라(80a)는 LAN선(70)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과 데이터를 바이패스시켜 다음 IP 카메라(80n)나 이전 IP 카메라(80)에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 SMPS(60)는 비상벨과 경고등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LAN선(70)을 통해 공급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중계기능을 갖는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에 의하여서는 1:1로 카메라에 utp 케이블을 설치하는 대신 루프방식(직렬구조로)으로 케이블을 포설해서 전원, 데이터 및 영상신호를 1개의 라인으로 전송하도록 하였으나, 각 IP 카메라(80, 80a ... 80n)의 고장이 아니라 LAN선(70)의 불량으로 인한 장애인 경우 이를 감지하지 못하여 해당 IP 카메라의 불량으로 잘못 판단하거나 불량의 원인을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2개의 utp 케이블을 PoE 스위칭 허브에서 각각의 아이피 카메라에 전속된 드랍유닛으로 연결하고, 각각의 드랍유닛은 루프방식(직렬구조)으로 연결하여 어느 케이블에서 손상이 발생하거나, PoE 스위칭 허브가 현장에서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할 때, 방재실에 있는 제어서버를 이용하여 각각의 드랍유닛을 제어하고, 케이블 및 영상이 손상되었을 경우 제어서버에서 판단하여 메인 케이블의 포트인 N1에서 서브 케이블의 포트인 N2로 전환해 주도록 함으로써 PoE 스위칭 허브를 통해 전원, 데이터 및 영상신호를 끊김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아이피 전송 시스템의 케이블 자동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아이피 전송 시스템의 케이블 자동 전환 방법은 케이블의 전환 접속과 녹화와 관련한 동작을 제어하는 방재실, 디지털 케이블TV와 초고속 인터넷과 인터넷 전화와 같이 적어도 3가지의 서비스 동작을 제어하는 TPS(Triple Play Service) 그리고 각각의 IP 카메라와 접속되어 메인 케이블의 접속이나 서브 케이블의 접속으로 전환하는 드랍유닛으로 구성하되,
메인 허브의 제어에 의해 상기 IP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녹화하면서 필요에 따라 데이터로 저장하는 CCTV 녹화기인 NVR(Network Video Recorder)과,
상기 IP 카메라를 통하여 감시활동을 수행하는 중에 영상신호와 데이터를 상기의 NVR에 녹화하도록 전달하면서 방재 활동에 따른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방재실의 메인 허브와,
상기 방재실의 메인 허브에 접속되어 케이블의 손상이 발생하면 메인 케이블의 접속 상태에서 서브 케이블의 접속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케이블 제어 서버와,
상기 방재실의 메인 허브 및 이를 통한 케이블 제어 서버의 제어를 받으면서 케이블을 통하여 데이터 및 영상신호를 전달할 때 전원도 동시에 전달되도록 스위칭하며 디지털 케이블TV, 초고속 인터넷, 인터넷 전화와 같은 3가지 장치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TPS(Triple Play Service)의 PoE(power over ethernet)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와,
다수의 IP 카메라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PoE 스위칭 허브의 제어를 받는 2개의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 중, 메인 케이블은 N1 포트에 접속하고, 서브 케이블은 N2 포트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IP 카메라에 루프 방식(직렬 구조)으로 접속된 드랍유닛으로 구성함으로써 어느 케이블에서 손상이 발생하거나, PoE 스위칭 허브가 현장에서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하면, 방재실의 케이블 제어 서버를 이용하여 각각의 드랍유닛을 제어하면서 케이블 및 영상이 손상되었을 경우 메인 케이블의 포트인 N1에서 서브 케이블의 포트인 N2로 전환해 주도록 하여 PoE 스위칭 허브를 통해 전원, 데이터 및 영상신호를 끊김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아이피 전송 시스템의 케이블 자동 전환 방법에 의하여서는 2개의 utp 케이블을 PoE 스위칭 허브에서 각각의 아이피 카메라에 전속된 드랍유닛에 루프방식(직렬구조)으로 연결하여 어느 케이블에서 손상이 발생하거나, PoE 스위칭 허브가 현장에서 고장을 일으키게 되면 방재실에 있는 제어 서버를 이용하여 각각의 드랍유닛을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케이블 및 영상이 손상되었을 경우 제어서버에서 판단하여 메인 케이블의 포트인 N1에서 서브 케이블의 포트인 N2로 전환해 주도록 함으로써 PoE 스위칭 허브를 통해 전원, 데이터 및 영상신호를 끊김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IP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중계기능을 갖는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 IP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피 전송 시스템의 케이블 자동 전환 방법은 케이블의 전환 접속과 녹화와 관련한 동작을 제어하는 방재실(A), 디지털 케이블TV와 초고속 인터넷과 인터넷 전화와 같이 적어도 3가지의 서비스 동작을 제어하는 TPS(Triple Play Service)(B) 그리고 각각의 IP 카메라와 접속되어 메인 케이블의 접속이나 서브 케이블의 접속으로 전환하는 드랍유닛의 로컬(C)로 구성하되,
메인 허브(1)의 제어에 의해 상기 IP 카메라(7a)(7b)(7c)...(7n)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녹화하면서 데이터도 저장하는 CCTV 녹화기인 NVR(Network Video Recorder)(2)과,
상기 IP 카메라(7a)(7b)(7c)...(7n)를 통하여 감시활동을 수행하는 중에 영상신호와 데이터를 상기의 NVR(2)에 녹화하도록 전달하면서 방재 활동에 따른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방재실(A)의 메인 허브(1)와,
상기 방재실(A)의 메인 허브(1)에 접속되어 메인 케이블(4)의 손상이 발생하면 메인 케이블(4)의 접속 상태에서 서브 케이블(5)의 접속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케이블 제어 서버(3)와,
상기 방재실(A)의 메인 허브(1) 및 이를 통한 케이블 제어 서버(3)의 제어를 받으면서 메인 케이블(4)을 통하여 데이터 및 영상신호를 전달할 때 전원도 동시에 전달되도록 스위칭하며 디지털 케이블TV, 초고속 인터넷, 인터넷 전화와 같은 3가지 장치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TPS(Triple Play Service)(B)의 PoE(power over ethernet)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6)와,
다수의 IP 카메라(7a)(7b)(7c)...(7n)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PoE 스위칭 허브(6)의 제어를 받으면서 2개의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4)(5)을 메인 케이블(4)은 N1 포트에 접속하면서 서브 케이블(5)은 N2 포트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IP 카메라(7a)(7b)(7c)...(7n)에 접속되어 전원과 데이터 및 영상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며 각각 루프 방식(직렬 구조)으로 연결된 드랍유닛(8a)(8b)(8c)...(8n)으로 구성함으로써 루프 방식(직렬 구조)으로 연결된 어느 케이블(4)(5)에서 손상이 발생하거나, PoE 스위칭 허브(6)가 현장에서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하면, 방재실(A)의 케이블 제어 서버(1)를 이용하여 각각의 드랍유닛(8a)(8b)(8c)...(8n)을 제어하면서 메인 케이블(4)의 포트인 N1에서 서브 케이블(5)의 포트인 N2로 전환해 주도록 함으로써 PoE 스위칭 허브(6)를 통해 전원, 데이터 및 영상신호를 끊김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IP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7a)(7b)(7c)...(7n)는 촬영부(11), 네트워크 연결부(12) 및 제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11)는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영상정보의 생성을 위한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부(12)는 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업링크(13) 및 다운링크(14)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업링크(13)를 통해 NVR(Network Video Recorder)(2) 또는 드랍유닛(8a)(8b)(8c)...(8n)의 포트(N1)(N2)와 연결되거나 다운링크(14)를 통해 다른 IP 카메라(7a)(7b)(7c)...(7n)의 드랍유닛(8a)(8b)(8c)...(8n)의 포트(N1)(N2)와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메인 케이블 장애시 서브 케이블로 자동 전환하는 방법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방재실(A)의 메인 허브(1)에서 전원과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의 데이터를 IP 카메라(7a)(7b)(7c)...(7n)로 전달하면서 감시활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중에 촬영된 영상신호 및 데이터를 NVR(2)에 녹화하도록 전달하면서 방재 활동에 따른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의 방재 활동을 수행하는 중에 메인 허브(1)에서 각각의 IP 카메라(7a)(7b)(7c)...(7n)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달받는 중에 정상적인 신호의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적이면, 상기 방재실(A)의 메인 허브(1)로부터의 제어를 받으면서 메인 케이블(4)을 통하여 데이터 및 영상신호를 전달할 때 전원도 동시에 전달되도록 스위칭하는 TPS(Triple Play Service)(B)의 PoE(power over ethernet)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6)를 통해 디지털 케이블TV, 초고속 인터넷, 인터넷 전화와 같은 3가지 장치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 IP 카메라(7a)(7b)(7c)...(7n)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NVR(Network Video Recorder)(2)에 녹화하면서 데이터도 저장하도록 하는 과정과,
그리고 상기의 방재 활동을 수행하는 중에 메인 허브(1)에서 각각의 IP 카메라(7a)(7b)(7c)...(7n)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달받는 중에 정상적인 신호의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어느 IP 카메라(7a)(7b)(7c)...(7n)가 비정상인가를 검사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정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의 IP 카메라(7a)(7b)(7c)...(7n)에서 정상 여부를 자체 검사하는 과정에서 IP 카메라(7a)(7b)(7c)...(7n) 중 하나로부터 정상 여부의 신호가 전달되면, IP 카메라(7a)(7b)(7c)...(7n) 또는 PoE 스위칭 허브(6)의 불량이므로 불량 IP 카메라를 제외한 정상 IP 카메라를 가동하면서 A/S를 진행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의 IP 카메라(7a)(7b)(7c)...(7n)에서 정상 여부를 자체 검사하는 과정에서 IP 카메라(7a)(7b)(7c)...(7n) 중 하나로부터 정상 여부의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이를 인식한 메인 허브(1)에서 이에 접속된 케이블 제어 서버(3)를 통해 어느 메인 케이블(4)에서 손상이 발생하였는 가를 판단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의 메인 허브(1)에서 손상된 메인 케이블(4)의 접속 상태에서 서브 케이블(5)의 접속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데, 이때에는 TPS(Triple Play Service)(B)의 PoE(power over ethernet)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6)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각각의 드랍유닛(8a)(8b)(8c)...(8n)을 제어하면서 메인 케이블(4)의 포트인 N1에서 서브 케이블(5)의 포트인 N2로 전환해 주도록 하는 과정으로 구성함으로써 PoE 스위칭 허브(6)를 통해 전원, 데이터 및 영상신호를 끊김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아이피 전송 시스템의 케이블 자동 전환 방법은,
방재실(A)의 메인 허브(1)에서 전원과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의 데이터를 IP 카메라(7a)(7b)(7c)...(7n)로 전달하면서 감시활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중에 촬영된 영상신호 및 데이터를 NVR(2)에 녹화하도록 전달하면서 방재 활동에 따른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의 방재 활동을 수행하는 중에 메인 허브(1)에서 각각의 IP 카메라(7a)(7b)(7c)...(7n)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달받는 중에 정상적인 신호의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적이면, 상기 방재실(A)의 메인 허브(1)로부터의 제어를 받으면서 메인 케이블(4)을 통하여 데이터 및 영상신호를 전달할 때 전원도 동시에 전달되도록 스위칭하는 TPS(Triple Play Service)(B)의 PoE(power over ethernet)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6)를 통해 디지털 케이블TV, 초고속 인터넷, 인터넷 전화와 같은 3가지 장치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IP 카메라(7a)(7b)(7c)...(7n)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PoE(power over ethernet)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6)를 통해 전달받는 메인 허브(1)에서 NVR(Network Video Recorder)(2)에 녹화하면서 데이터도 저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IP 카메라(7a)(7b)(7c)...(7n)에서 정상 여부를 자체 검사하는 과정에서 IP 카메라(7a)(7b)(7c)...(7n) 중 하나로부터 정상 여부의 신호가 전달되면, IP 카메라(7a)(7b)(7c)...(7n) 또는 PoE 스위칭 허브(6)의 불량이므로 불량 IP 카메라를 제외한 정상 IP 카메라를 가동하면서 A/S를 진행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의 방재 활동을 수행하는 중에 메인 허브(1)에서 각각의 IP 카메라(7a)(7b)(7c)...(7n)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달받는 중에 정상적인 신호의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어느 IP 카메라(7a)(7b)(7c)...(7n)가 비정상인가를 검사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정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상기의 IP 카메라(7a)(7b)(7c)...(7n)에서 정상 여부를 자체 검사하는 과정에서 IP 카메라(7a)(7b)(7c)...(7n) 중 하나로부터 정상 여부의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IP 카메라(7a)(7b)(7c)...(7n)와 PoE 스위칭 허브(6)는 정상인데, 영상신호 및/또는 제어신호의 데이터가 메인 케이블(4)을 통해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므로 메인 케이블(4)의 비정상 상태임을 이를 인식한 메인 허브(1)에서 이에 접속된 케이블 제어 서버(3)를 통해 어느 메인 케이블(4)에서 손상이 발생하였는 가를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의 메인 허브(1)에서 손상된 메인 케이블(4)의 접속 상태에서 서브 케이블(5)의 접속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데, 이때에는 TPS(Triple Play Service)(B)의 PoE(power over ethernet)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6)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각각의 드랍유닛(8a)(8b)(8c)...(8n)을 제어하면서 메인 케이블(4)의 포트인 N1에서 서브 케이블(5)의 포트인 N2로 전환해 주도록 함으로써 PoE 스위칭 허브(6)를 통해 전원, 데이터 및 영상신호를 끊김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메인 허브 2 : NVR
3 : 케이블 제어 서버 4 : 메인 케이블
5 : 서브 케이블 6 : PoE 스위칭 허브
7a, 7b, 7c ... 7n : IP 카메라 8a, 8b, 8c ... 8n : 드랍유닛
A : 방재실 B : TPS
C : 로컬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방재실(A)의 메인 허브(1)에서 전원과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의 데이터를 IP 카메라(7a)(7b)(7c)...(7n)로 전달하면서 감시활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의 IP 카메라(7a)(7b)(7c)...(7n)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달받는 메인 허브(1)는 영상신호와 데이터를 NVR(2)에 녹화하도록 전달하면서 방재 활동에 따른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의 방재 활동을 수행하는 중에 메인 허브(1)에서 각각의 IP 카메라(7a)(7b)(7c)...(7n)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달받는 중에 정상적인 신호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IP 카메라(7a)(7b)(7c)...(7n)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NVR(Network Video Recorder)(2)에 녹화하면서 데이터도 저장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의 IP 카메라(7a)(7b)(7c)...(7n)에서 정상 여부를 자체 검사하는 과정에서 IP 카메라(7a)(7b)(7c)...(7n) 중 하나로부터 정상 여부의 신호가 전달되면, IP 카메라(7a)(7b)(7c)...(7n) 또는 PoE 스위칭 허브(6)의 불량이므로 불량 IP 카메라를 제외한 정상 IP 카메라를 가동하면서 A/S를 진행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의 IP 카메라(7a)(7b)(7c)...(7n)에서 정상 여부를 자체 검사하는 과정에서 IP 카메라(7a)(7b)(7c)...(7n) 중 하나로부터 정상 여부의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이를 인식한 메인 허브(1)에서 이에 접속된 케이블 제어 서버(3)를 통해 어느 메인 케이블(4)에서 손상이 발생하였는 가를 판단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의 메인 허브(1)에서 손상된 메인 케이블(4)의 접속 상태에서 서브 케이블(5)의 접속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허브(1)에서 TPS(Triple Play Service)(B)의 PoE(power over ethernet)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6)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각각의 드랍유닛(8a)(8b)(8c)...(8n)을 제어하면서 메인 케이블(4)의 포트인 N1에서 서브 케이블(5)의 포트인 N2로 전환해 주도록 하는 과정으로 구성한 아이피 전송 시스템의 케이블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허브(1)에서의 판단 결과 정상적인 신호이면, 상기 방재실(A)의 메인 허브(1)로부터의 제어를 받으면서 메인 케이블(4)을 통하여 데이터 및 영상신호를 전달할 때 전원도 동시에 전달되도록 스위칭하는 TPS(Triple Play Service)(B)의 PoE(power over ethernet)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6)를 통해 디지털 케이블TV, 초고속 인터넷, 인터넷 전화와 같은 3가지 장치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의 방재 활동을 수행하는 중에 메인 허브(1)에서 각각의 IP 카메라(7a)(7b)(7c)...(7n)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달받는 중에 정상적인 신호의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어느 IP 카메라(7a)(7b)(7c)...(7n)가 비정상인가를 검사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정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과정을 추가하도록 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 전송 시스템의 케이블 자동 전환 방법.
KR1020230043228A 2023-03-31 2023-03-31 아이피 전송 시스템의 케이블 자동 전환 방법 KR102622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228A KR102622062B1 (ko) 2023-03-31 2023-03-31 아이피 전송 시스템의 케이블 자동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228A KR102622062B1 (ko) 2023-03-31 2023-03-31 아이피 전송 시스템의 케이블 자동 전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062B1 true KR102622062B1 (ko) 2024-01-09

Family

ID=89538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228A KR102622062B1 (ko) 2023-03-31 2023-03-31 아이피 전송 시스템의 케이블 자동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0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177B1 (ko) * 2008-04-12 2008-11-21 주식회사 투윈스컴 감시장치의 유지관리 시스템
KR20190083529A (ko) * 2018-01-04 2019-07-12 주식회사 위드아이앤씨 감시카메라 네트워크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177B1 (ko) * 2008-04-12 2008-11-21 주식회사 투윈스컴 감시장치의 유지관리 시스템
KR20190083529A (ko) * 2018-01-04 2019-07-12 주식회사 위드아이앤씨 감시카메라 네트워크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703B1 (ko) 중계기능을 갖는 아이피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US20030202099A1 (en) Security camera system
KR10122088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멀티 관제 시스템
KR101698063B1 (ko) Cctv 카메라 원격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622062B1 (ko) 아이피 전송 시스템의 케이블 자동 전환 방법
KR100586663B1 (ko) 지역/울타리 감시 및 경보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
KR100699332B1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무인 원격감시 보안시스템
KR102046942B1 (ko) 감시카메라 네트워크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0625758B1 (ko) 디브이알 장애처리 장치
JP5005425B2 (ja) 制御装置復帰システム
KR100439021B1 (ko) 대규모 감시를 위한 디지탈 비디오 레코딩 시스템
JPH1116067A (ja) エレベータ乗かご内監視レコーダ装置
US8791819B2 (en) Intercom exchange
KR101632302B1 (ko) 비상 연결 시스템
JP4122634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遠隔監視方法
JP4007328B2 (ja) 集合住宅用監視・通話システム
JP2654697B2 (ja) 計測制御システム
KR100885471B1 (ko) 다채널 영상데이터 처리용 인코더와 디코더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dvr 시스템
KR102597102B1 (ko) 제어모듈과 통신 이중화 기능을 갖고 있는 cctv 카메라시스템
JP2002354458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200423929Y1 (ko) 감시카메라의 영상 및 제어신호 전송시스템
KR100950741B1 (ko)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한 전원중첩영상전송 시스템
KR20060005088A (ko) 엘리베이터카의 영상정보와 운행상태정보 제공시스템 및그를 이용한 정보 표시방법
JPH10304475A (ja) 遠隔監視装置
KR20050118789A (ko) 영상감시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제어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