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029B1 -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 - Google Patents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029B1
KR102622029B1 KR1020220027530A KR20220027530A KR102622029B1 KR 102622029 B1 KR102622029 B1 KR 102622029B1 KR 1020220027530 A KR1020220027530 A KR 1020220027530A KR 20220027530 A KR20220027530 A KR 20220027530A KR 102622029 B1 KR102622029 B1 KR 102622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pulverized coal
steel pipe
ammonia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0399A (ko
Inventor
박상빈
이종민
박정극
지준화
김동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27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029B1/ko
Publication of KR20230130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7/00Burners for combustion conjointly or alternatively of gaseous or liquid or pulverulent fuel
    • F23D17/005Burners for combustion conjointly or alternatively of gaseous or liquid or pulverulent fuel gaseous or pulverulent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Combustion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of two or more kinds of fuel simultaneously or alternately, at least one kind of fuel being either a fluid fuel or a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12Combustion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of two or more kinds of fuel simultaneously or alternately, at least one kind of fuel being either a fluid fuel or a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gaseous and pulverulent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4/00Burners adapted for simultaneous or alternative combustion having more than one fuel supply
    • F23D2204/20Burners adapted for simultaneous or alternative combustion having more than one fuel supply gaseous and pulverulent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노벽의 외측에 마련되고, 노벽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며, 노벽의 내측에 마련된 노 내부로 미분탄이 포함된 공기가 공급되는 연료공급관과, 연료공급관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연료공급관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암모니아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노 내부를 향하도록 휘어지는 암모니아 공급부 및 연료공급관의 전단부에 설치되며, 분사구를 통해 노 내부로 분사되는 암모니아의 분사 위치가 조정되도록 암모니아 공급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BURNER APPARATUS FOR PULVERIZED COAL COMBUSTION}
본 발명은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모니아를 혼소하여 온실가스의 배출을 저감시킬 수 있는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석탄발전소는 노벽에 설치된 버너를 통해 노 내부로 미분탄과 공기를 공급하면서 노 내부에서 미분탄을 연소시켜 발생되는 열 에너지를 이용해 물을 끓여 고압의 증기를 생성하고, 이 증기로 터빈을 회전시켜 회전력을 얻은 후, 터빈 축에 연결된 발전기로 전력을 생산한다.
석탄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연소 생성물은 온실가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소 생성물에 포함되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전체 온실가스 양의 약 60%를 차지하는 이산화탄소를 감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암모니아를 혼소하여 석탄화력발전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암모니아 혼소 방식의 석탄화력발전은 암모니아에 포함된 질소 성분으로 인해 노 내부의 고온 환경에서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다.
공기와 함께 미분탄이 공급되어 연소되는 노 내부에는 온도와 기류에 따른 화염 영역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화염 영역들 중에는 질소산화물의 생성이 최소화되는 화염 영역이 존재한다. 이러한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염 영역은 미분탄과 공기의 공급 조건에 따라 노 내부에서의 형성 위치가 변경된다.
종래에는 온실가스의 배출을 저감하기 위해 암모니아를 노 내부로 단순 투입하는 기술들만 제시되어 있을 뿐, 노 내부에서 형성 위치가 변경되는 질소산화물 저감 영역에 대응하여 암모니아를 집중 투입하는 기술이 전무하여 이에 따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11431호(2021년 02월 01일 공개, 발명의 명칭: 버너 및 연소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암모니아를 혼소하여 온실가스의 배출을 저감시킬 수 있고,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로서, 노벽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노벽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며, 상기 노벽의 내측에 마련된 노 내부로 미분탄이 포함된 공기가 공급되는 연료공급관, 상기 연료공급관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연료공급관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암모니아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상기 노 내부를 향하도록 휘어지는 암모니아 공급부 및 상기 연료공급관의 전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구를 통해 상기 노 내부로 분사되는 암모니아의 분사 위치가 조정되도록 상기 암모니아 공급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공급관은 상기 미분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와 마주하는 타측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미분탄이 포함된 공기가 상기 노 내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제1 강관 및 상기 제1 강관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강관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강관의 길이 방향과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제1 강관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2 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모니아 공급부는 상기 제2 강관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 강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강관에는 상기 제1 강관 내부에서 유동되는 기류가 난류되도록 상기 제2 강관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스월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모니아 공급부는 플랙시블 재질로 이루어지고 암모니아가 이송되는 이송라인, 상기 이송라인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암모니아가 분사되는 노즐 팁 및 상기 노즐 팁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노즐 팁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상기 노즐 팁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노즐 팁이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구비하는 레일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레일부재의 외측면 사이에 마련되는 기류 유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 팁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직선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의 후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전단부는 상기 노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료공급관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노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기 공급부 및 상기 제1 공기 공급부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노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료공급관의 외측면을 통해 연료공급관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연료공급관의 중심부에서 노 내부를 향해 휘어지는 암모니아 공급부의 구성을 통해 기존 버너 장치의 개조를 최소화하면서 암모니아를 효율적으로 혼소시킴으로써 연소생성물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공급관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암모니아 공급부의 구성을 통해 노 내부를 향해 암모니아를 분사하는 노즐 팁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암모니아 분사 위치가 유동적으로 조정되어 연료와 공기의 공급 조건에 따라 노 내부에서 형성 위치가 변경되는 질소산화물 저감 영역에 대응하여 암모니아를 효율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에서 암모니아 공급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에서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에서 노즐 팁이 삽입된 가이드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에서 암모니아 공급부의 노즐 팁이 노 내부를 향해 위치가 조정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에서 암모니아 공급부의 노즐 팁이 노벽을 향해 위치가 조정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에서 암모니아 공급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에서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에서 노즐 팁이 삽입된 가이드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에서 암모니아 공급부의 노즐 팁이 노 내부를 향해 위치가 조정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에서 암모니아 공급부의 노즐 팁이 노벽을 향해 위치가 조정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는 연료공급관(100), 암모니아 공급부(200) 및 가이드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석탄발전소에는 화력발전을 위해 석탄 등과 같은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한 장치인 노(furnace)(10)가 마련된다. 노(10)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된다. 노(10)에는 노(10) 내부를 차폐하기 위한 노벽(11)이 마련되고, 노벽(11)에는 노(10) 내외부를 관통하는 개구부(11a)가 형성된다.
연료공급관(100)은 노벽(11)의 외측에 마련되며, 노벽(11)의 내측에 마련된 노(10) 내부로 미분탄(C)이 포함된 공기가 공급된다. 연료공급관(100)은 노벽(11)에 형성된 개구부(11a)에 설치된다. 연료공급관(100)은 수직으로 마련된 노벽(11)과 직교하여 수평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는 제1 공기 공급부(410)와 제2 공기 공급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공기 공급부(410)는 속이 빈 중공의 형태로써 연료공급관(100)의 외측면에 구비된다. 제1 공기 공급부(410)는 안정적인 연소를 위해 연료공급관(100)을 통해 노(10) 내부로 공급되는 미분탄(C)이 포함된 1차 공기와 달리 노벽(11)에 형성된 개구부(11a)를 통해 노(10) 내부로 2차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제1 공기 공급부(410)의 내측에는 노(1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공기 공급부(420)는 속이 빈 중공의 형태로써 제1 공기 공급부(410)의 외측면에 구비된다. 제2 공기 공급부(420)는 안정적인 연소를 위해 제1 공기 공급부(410)를 통해 노(10) 내부로 공급되는 2차 공기와 달리 노벽(11)에 형성된 개구부(11a)를 통해 노(10)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제2 공기 공급부(420)의 내측에는 노(1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공기 공급부(420)의 지름은 제1 공기 공급부(410)의 지름 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연료공급관(100)은 제1 강관(110)과 제2 강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강관(110)은 연료공급관(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속이 빈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강관(110)의 일측(도 1의 좌측 하단부)에는 미분탄(C)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된다. 노벽(11)에 형성된 개구부(11a)와 마주하는 제1 강관(110)의 타측(도 1의 우측)에는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미분탄(C)이 포함된 공기가 노(10) 내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제2 강관(120)은 속이 빈 중공의 형태로 제1 강관(110)의 지름 보다 더 작은 지름으로 이루어진다. 제2 강관(120)은 제1 강관(110)의 후단부(도 1의 좌측)를 관통하여 제1 강관(110)의 내측에 삽입된다. 제2 강관(120)은 제1 강관(110)과 평행하도록 제1 강관(1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히 배치된다.
제2 강관(120)은 제1 강관(110)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제2 강관(120)의 후단부(도 1의 좌측)는 제1 강관(110)에서 노출되고, 제2 강관(120)의 전단부(도 1의 우측)는 개구된 형태를 가지며 제1 강관(110)의 배출구(112) 내측에 위치한다. 제2 강관(120)의 내측에는 노(10)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도록 연료의 점화를 위한 오일 버너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강관(120)의 외측면에는 제1 강관(110)의 유입구(11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어 배출구(112)로 유동되는 기류가 난류되도록 하는 스월러(121)가 설치될 수 있다.
스월러(121)를 통과하는 기류는 소용돌이치면서 제1 강관(110)의 유입구(111)를 통해 제1 강관(110)의 내부로 함께 유입되는 미분탄(C)과 공기를 서로 균일하게 혼합시킴으로써 착화 상태와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암모니아 공급부(200)는 연료공급관(100)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연료공급관(10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암모니아 공급부(200)는 암모니아가 분사되는 분사구(201)가 노(10) 내부를 향하도록 휘어지게 구비된다.
암모니아 공급부(200)는 수평으로 배치된 연료공급관(100)과 직교하여 제1 강관(110)의 외측면과 제2 강관(120)의 외측면을 차례로 관통하여 제2 강관(12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제2 강관(120)의 내측에서 분사구(201)가 노(10) 내부를 향하도록 휘어지게 마련된다.
암모니아 공급부(200)는 이송라인(210), 노즐 팁(220) 및 가이드 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송라인(210)은 암모니아가 이송되는 부재로써, 유연한 플랙시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송라인(210)은 제1 강관(110)의 외측면과 제2 강관(120)의 외측면을 차례로 관통하여 제2 강관(12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제2 강관(120)의 내측에서 분사구(201)가 노(10) 내부를 향하도록 휘어진다.
이송라인(210)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하면, 유연하게 휘어지는 테프론 소재로 이루어진 내관의 외측면에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 성분이 코팅되거나 증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테프론 소재로 이루어진 내관을 감싸는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의 외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암모니아 공급부(200)는 제2 강관(1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오일 버너의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오일 버너에 이송라인(210)이 비간섭되며, 오일 버너의 작동시에는 이송라인(210)을 제2 강관(120)에서 빼내어 암모니아 공급부(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노즐 팁(220)은 이송라인(210)의 단부에 마련된 분사구(201)에 결합된다. 이송라인(210)을 통해 이송되는 암모니아가 노즐 팁(220)을 통해 분사된다.
가이드 부재(230)는 노즐 팁(220)의 외측면에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 부재(230)는 노즐 팁(2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십자 형태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즉, 가이드 부재(230)는 노즐 팁(220)을 중심으로 방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연료공급관(100)의 전단부에 설치된다. 가이드부(300)의 후단부(도 1의 좌측)는 노벽(11)에 형성된 개구부(11a)의 내측에 위치하고, 가이드부(300)의 전단부(도 1의 우측)는 노(10) 내부에 위치한다. 부연하면, 가이드부(300)의 전단부는 노(10) 내부의 화염 영역에 위치한다.
가이드부(300)는 고온의 열을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부(300)는 암모니아 공급부(200)의 분사구(201)를 통해 노(10) 내부로 분사되는 암모니아(A)의 분사 위치가 조정되도록 암모니아 공급부(2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부(300)는 하우징(310), 레일부재(320) 및 기류 유동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양단이 개방되고 속이 빈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레일부재(320)는 하우징(310)의 내측에서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레일부재(320)는 삽입부(321)와 거치부(322)를 구비한다.
삽입부(321)는 하우징(310)의 중앙부위에 형성된다. 삽입부(321)는 하우징(310)의 개방된 일단부(도 1의 좌측)를 통해 하우징(310)의 내측으로 노즐 팁(220)이 삽입된다.
거치부(322)는 삽입부(321)를 중심으로 하우징(310)의 내측면을 향해 십자 형태로 형성되어 삽입부(321)에 삽입된 노즐 팁(220)이 하우징(310)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노즐 팁(220)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230)가 거치된다.
따라서, 노즐 팁(220)은 하우징(310)의 중심부에서 거치부(322)에 의해 거치된 상태로 하우징(3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직선 이동된다. 즉, 노(10) 내부를 향해 암모니아가 분사되는 노즐 팁(220)이 레일부재(32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직선 이동되어 암모니아의 분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기류 유동부(330)는 하우징(310)의 내측면과 레일부재(320)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기류 유동부(330)는 기류가 하우징(310)의 개방된 양단을 관통하도록 기류의 유동을 가이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는, 연료공급관(100)의 외측면을 통해 연료공급관(10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연료공급관(100)의 중심부에서 노(10) 내부를 향해 휘어지는 암모니아 공급부(200)의 구성을 통해 기존 버너 장치의 개조를 최소화하면서 암모니아를 효율적으로 혼소시킴으로써 연소생성물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는, 연료공급관(100)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300)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암모니아 공급부(200)의 구성을 통해 노(10) 내부를 향해 암모니아를 분사하는 노즐 팁(2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암모니아 분사 위치가 유동적으로 조정되어 연료와 공기의 공급 조건에 따라 노(10) 내부에서 형성 위치가 변경되는 질소산화물 저감 영역에 대응하여 암모니아를 효율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노 11: 노벽
11a: 개구부 100: 연료공급관
110: 제1 강관 111: 유입구
112: 배출구 120: 제2 강관
121: 스월러 200: 암모니아 공급부
201: 분사구 210: 이송라인
220: 노즐 팁 230: 가이드 부재
300: 가이드부 310: 하우징
320: 레일부재 321: 삽입부
322: 거치부 330: 기류 유동부
410: 제1 공기 공급부 420: 제2 공기 공급부
C: 미분탄

Claims (9)

  1. 노벽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노벽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며, 상기 노벽의 내측에 마련된 노 내부로 미분탄이 포함된 공기가 공급되는 연료공급관;
    상기 연료공급관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연료공급관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암모니아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상기 노 내부를 향하도록 휘어지는 암모니아 공급부; 및
    상기 연료공급관의 전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구를 통해 상기 노 내부로 분사되는 암모니아의 분사 위치가 조정되도록 상기 암모니아 공급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암모니아 공급부는,
    플랙시블 재질로 이루어지고 암모니아가 이송되는 이송라인;
    상기 이송라인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암모니아가 분사되는 노즐 팁; 및
    상기 노즐 팁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노즐 팁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관은,
    상기 미분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와 마주하는 타측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미분탄이 포함된 공기가 상기 노 내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제1 강관; 및
    상기 제1 강관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강관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강관의 길이 방향과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제1 강관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2 강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니아 공급부는 상기 제2 강관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 강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강관에는 상기 제1 강관 내부에서 유동되는 기류가 난류되도록 상기 제2 강관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스월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상기 노즐 팁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노즐 팁이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구비하는 레일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레일부재의 외측면 사이에 마련되는 기류 유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팁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직선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후단부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전단부는 상기 노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관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노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기 공급부; 및
    상기 제1 공기 공급부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노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 공기 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
KR1020220027530A 2022-03-03 2022-03-03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 KR102622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530A KR102622029B1 (ko) 2022-03-03 2022-03-03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530A KR102622029B1 (ko) 2022-03-03 2022-03-03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399A KR20230130399A (ko) 2023-09-12
KR102622029B1 true KR102622029B1 (ko) 2024-01-10

Family

ID=8802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530A KR102622029B1 (ko) 2022-03-03 2022-03-03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0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9406A1 (en) * 2003-06-13 2010-06-24 Higgins Brian S Combustion Furnace Humidification Devices, Systems & Methods
CN209511995U (zh) * 2018-08-29 2019-10-18 赫普科技发展(北京)有限公司 一种氨混配煤粉锅炉燃烧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6098B2 (ja) * 1995-07-14 1998-05-2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微粉炭バー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9406A1 (en) * 2003-06-13 2010-06-24 Higgins Brian S Combustion Furnace Humidification Devices, Systems & Methods
CN209511995U (zh) * 2018-08-29 2019-10-18 赫普科技发展(北京)有限公司 一种氨混配煤粉锅炉燃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399A (ko)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0562A (en) Recirculating burner
KR101254928B1 (ko) 저녹스형 버너
JPH0777316A (ja) 液状及び又はガス状の燃料のための燃料ランス及びそれを運転する方法
KR101278280B1 (ko) 저녹스형 버너
GB2449267A (en) Cool diffusion flame combustion
EP15432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 treatment
KR20190077017A (ko) 연소 장치 및 가스 터빈
CN111442270A (zh) 一种烟气内循环低氮燃气燃烧器
KR200448947Y1 (ko) 저녹스형 버너
CN216953044U (zh) 一种全预混烟气内循环低氮燃烧器
CN108603659B (zh) 低NOx燃烧器装置和方法
US3540821A (en) Flue gas recirculation burner
CN113983495A (zh) 一种适用于天然气掺氢燃烧的旋转爆震燃烧室
RU158820U1 (ru) Газомазутная горелка
KR102622029B1 (ko) 미분탄 연소용 버너 장치
TW200928234A (en) Burner pilot with virtual spinner
KR102481132B1 (ko) 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CN112413590A (zh) 一种烟气内循环低氮燃烧器
CN109297018B (zh) 一种低氮气体燃烧器
CN211176782U (zh) 燃烧器
KR20120082647A (ko) 저녹스형 버너
JP2008209112A (ja) 放射加熱装置
RU215037U1 (ru) Газомазутная горелка с нарезными каналами для интенсификации перемешивания
JP2009014241A (ja) 温風発生装置
KR102541210B1 (ko) 질소산화물 저감형 가스터빈용 마이크로 수소화염 연소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