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896B1 - 타이머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 Google Patents

타이머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896B1
KR102621896B1 KR1020170085009A KR20170085009A KR102621896B1 KR 102621896 B1 KR102621896 B1 KR 102621896B1 KR 1020170085009 A KR1020170085009 A KR 1020170085009A KR 20170085009 A KR20170085009 A KR 20170085009A KR 102621896 B1 KR102621896 B1 KR 102621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spring
timer
gear
unit
spu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581A (ko
Inventor
현창환
이정래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085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896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3/00Apparatus which can be set and started to measure-off predetermined or adjustably-fixed time intervals with driving mechanisms, e.g. dosimeters with clockwork
    • G04F3/02Apparatus which can be set and started to measure-off predetermined or adjustably-fixed time intervals with driving mechanisms, e.g. dosimeters with clockwork with mechanical driving mechanisms
    • G04F3/025Apparatus which can be set and started to measure-off predetermined or adjustably-fixed time intervals with driving mechanisms, e.g. dosimeters with clockwork with mechanical driving mechanisms mechan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는, 용기에서 내용물을 배출하는 펌핑수단의 펌핑에 의해 작동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에 의해 감기는 태엽이 구비되는 태엽기어부; 및 상기 태엽기어부의 상기 태엽이 풀리면 알림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이머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Timer and vesse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타이머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타이머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샴푸나 린스, 샤워용 세제, 주방용 세제, 화장품, 손세정제, 세안용품, 치약 등과 같은 액상 또는 점성을 갖는 액상물질은 용기에 저장된 상태로 유통된다. 이러한 용기는 액상물질이 수용되는 용기몸체와, 용기몸체의 입구 측에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한다.
그리고 용기는 액상물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용기몸체의 입구에 펌핑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펌핑수단을 누름에 따라 액상물질이 일정한 양씩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용기에 수용된 액상물질의 종류에 따라 권장 사용 시간이 상이하기 때문에 액상물질을 사용하는 적정 사용 시간을 파악하기 위하여 별도의 타이머를 이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타이머는 전원이 공급되어야 작동되기 때문에 어댑터와 같은 전기시설이 필요하거나, 배터리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펌핑수단을 누르는 동작에 더하여 타이머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작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서 타이머를 사용하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펌핑 용기에 타이머가 장착된 상태에서 펌핑수단의 펌핑에 의해 타이머의 버튼부가 눌리면서 작동될 수 있는 타이머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타이머의 작동이 시작된 후 일정 시간이 되거나, 타이머가 작동되는 동안 소리 등의 알림으로 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적정 사용 시간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타이머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머에 구비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용기에 타이머를 착탈 가능함에 따라 용기 내의 내용물을 소진한 경우 타이머를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타이머가 수동식으로 구비될 수 있는 타이머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는, 용기에서 내용물을 배출하는 펌핑수단의 펌핑에 의해 작동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에 의해 감기는 태엽이 구비되는 태엽기어부; 및 상기 태엽기어부의 상기 태엽이 풀리면 알림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부는, 일단이 상기 태엽기어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펌핑수단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엽기어부는, 상기 버튼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승강 작동되는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에 맞물리며 회전되는 스퍼 기어와. 상기 스퍼 기어의 회전에 연동되어 작동되는 상기 태엽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엽은, 나선형으로 구비되며, 중앙에 위치된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타단이 상기 랙 기어에 고정되어, 상기 랙 기어의 승강 작동에 따라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퍼 기어는, 일측에 상기 태엽이 풀리는 방향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탈진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람부는,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태엽이 감길 때부터 상기 태엽이 풀릴 때까지 계속해서 소리를 발생시켜서 알림을 제공하는 오르골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람부는, 상기 태엽이 다 풀리는 순간부터 소리를 발생시켜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엽기어부를 감싸는 하우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는 계기판 및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계기판의 눈금을 가리키는 바늘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부에는 절곡된 부분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ㄱ자 형상의 힌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힌지부재의 일단 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늘이 회전되다가 상기 계기판의 0 눈금을 가리키는 경우, 상기 바늘의 끝단이 상기 힌지부재의 타단과 접촉되면서 상기 힌지부재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힌지부재의 일단이 상기 알람부를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부재의 타단은 상기 바늘이 회전되다가 상기 계기판의 0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엽기어부는, 상기 버튼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 스퍼 기어와, 상기 제1 스퍼 기어의 회전에 연동되어 작동되는 상기 태엽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엽은, 나선형으로 구비되며, 중앙에 위치된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타단이 상기 버튼부에 고정되며, 상기 버튼부가 작동됨에 따라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퍼 기어는, 일측에 상기 태엽이 풀리는 방향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탈진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퍼 기어에 맞물리며 회전되는 제2 스퍼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의 일단은 상기 제2 스퍼 기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몸체; 상기 용기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펌핑수단; 및 상기 타이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이머의 일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목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목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홀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는, 끝단이 두 가닥으로 갈라져 상기 목부의 둘레를 집는 클립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는, 펌핑 용기에 타이머가 장착된 상태에서 펌핑수단의 펌핑에 의해 타이머의 버튼부가 눌리면서 타이머가 작동될 수 있음으로써, 타이머 작동을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음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타이머의 버튼부가 펌핑수단보다 하부에 위치되어 내용물의 반복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는, 타이머의 작동이 시작된 후 일정 시간이 되거나, 타이머가 작동되는 동안 소리 등의 알림으로 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적정 사용 시간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음으로써, 세정이 필요한 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는, 타이머에 구비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용기에 타이머를 착탈 가능함에 따라 용기 내의 내용물을 소진한 경우 타이머를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타이머가 수동식으로 구비될 수 있음으로써, 배터리 교체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를 구비하는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내부의 태엽기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타이머의 버튼부 작동에 따른 태엽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태엽기어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에서 알람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내부의 태엽기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내부의 태엽기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가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를 구비하는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100)는 버튼부(40), 태엽기어부(30) 및 알람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머(100)는 펌핑수단(12)이 구비된 용기(200)에 고정되어, 펌핑수단(12)의 펌핑에 의해 버튼부(40)가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용기(200)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몸체(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펌핑수단(12)은 용기몸체(10)의 일측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머(100)의 일 영역으로부터 고정부재(23)가 연장되어, 용기(200)의 목부(1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부재(23)는 목부(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머(100)는 용기(200)의 목부(11)에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타이머(100)가 용기(200)에 고정되는 방식에 대하여는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처럼 타이머(100)가 용기(200)에 고정되어, 내용물의 토출을 위하여 펌핑수단(12)을 펌핑함에 의해 타이머(100)의 버튼부(40)가 눌려지므로, 내용물의 토출과 동시에 타이머(10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용기(200)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샴푸나 린스, 샤워용 세제, 주방용 세제, 화장품, 손세정제, 세안용품, 치약 등으로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내용물은 액상물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권장되는 사용 시간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약의 경우 3분 정도의 사용 시간이 권장되고, 손 씻기의 경우 30초 정도의 사용 시간이 권장될 수 있다.
하지만,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200)만 구비되는 경우, 권장 사용 시간에 맞추어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용기(200)와 별도로 타이머(10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번거로워서 사용을 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100)는 용기(200)에 고정되어 내용물의 토출과 동시에 타이머(100)가 작동되므로, 타이머(100)의 작동을 위한 추가의 동작을 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에 따라 상이한 권장 사용 시간을 타이머(100)를 통하여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용기(200)에 수용된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설정 시간을 갖는 타이머(100)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버튼부(40)는 일단이 태엽기어부(30, 도 2 참조)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이 펌핑수단(12)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버튼부(40)의 일단은 태엽기어부(30)의 랙 기어(31)에 연결되고, 타이머(100)의 일단으로부터 타이머(100)의 측면을 따라 하부로 연장된 버튼부(40)의 타단은 고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버튼부(40)의 타단에는 펌핑수단(12)이 걸쳐진 상태로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내용물의 배출을 위하여 펌핑수단(12)을 펌핑함에 따라 버튼부(40)가 함께 눌려지며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부(4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펌핑수단(12)의 펌핑에 의해 버튼부(40)가 작동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겠지만, 버튼부(40)가 눌려서 작동되는 경우, 타이머(100)의 종료 시간이 될 때까지 버튼부(40)가 서서히 상부로 올라오게 되어 버튼부(40)와 펌핑수단(12)은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튼부(40)가 펌핑수단(12)의 하부에 위치되므로, 내용물을 추가로 토출시키기 위하여 펌핑수단(12)을 반복적으로 펌핑이 가능하다.
태엽기어부(30)는 버튼부(40)가 작동됨에 의해 감기는 태엽(50, 도 2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태엽기어부(30)는 하우징(20)에 감싸진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 버튼부(40)의 일단에 연결된 랙 기어(31)의 일부만 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외부면에 초 또는 분 단위로 눈금이 표시된 계기판(21)이 구비될 수 있으며, 버튼부(40)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어 계기판(21)의 눈금을 가리키는 바늘(2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100)는 태엽(50)에 의해 수동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타이머(100)는 태엽(50)을 구동원으로 하며, 초기 구동력은 펌핑수단(12)을 누르는 힘에 의해 버튼부(40)가 하강될 수 있다. 그리고, 버튼부(40)의 일단에 연결된 랙 기어(31)가 구동됨에 의해 태엽(50)이 감기면서 태엽기어부(30)가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타이머(100)는 수동식의 태엽기어부(30)가 구비됨에 따라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배터리를 교체함에 따른 번거로움이나 비용 증가 없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알람부(80, 도 5 참조)는 태엽기어부(30)의 태엽(50)이 풀리면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알람부(80)는 버튼부(40)의 작동에 의해 태엽(50)이 감길 때부터 태엽(50)이 다 풀릴 때까지 계속해서 소리를 발생시켜서 사용 시간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람부(80)는 오르골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알람부(80)는 태엽(50)이 다 풀리는 순간부터 소리를 발생시켜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80)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100)에서 알람부(80)는 상기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에 의해 내용물의 종류에 따른 권장 사용 시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내부의 태엽기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타이머의 버튼부 작동에 따른 태엽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태엽기어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태엽기어부(30)는 랙 기어(31)와, 스퍼 기어(32) 및 태엽(50)을 포함할 수 있다.
랙 기어(31)는 버튼부(40)의 일단에 연결되어, 버튼부(40)의 작동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스퍼 기어(32)는 랙 기어(31)에 맞물리며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버튼부(40)가 눌려져서 랙 기어(31)가 하강되는 경우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버튼부(40)에 힘이 가해지지 않아 랙 기어(31)가 상승되는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태엽(50)은 얇은 금속판체를 권취시켜서 회전력을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한 스프링으로서, 스프링이 감기면 회전력이 저장되고, 스프링이 풀리면 저장된 회전력이 방출되며 원상복귀되는 방식일 수 있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감긴 나선형의 태엽(50)은 중앙에 위치된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타단이 랙 기어(31)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버튼부(40)가 작동되지 않은 경우 태엽(50)은 케이스(51) 내부에서 풀려있는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튼부(40)가 작동되는 경우 태엽(50)은 케이스(51)의 내부에서 중앙에 감겨있는 상태일 수 있다.
태엽(50)의 타단이 랙 기어(3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랙 기어(31)의 하강 작동에 따라 스퍼 기어(3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태엽(50)이 감길 수 있다. 이에 의해 태엽(50)은 회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반대로, 랙 기어(31)의 상승 작동에 따라 스퍼 기어(3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태엽(50)이 풀릴 수 있다. 즉, 태엽(50)의 복원력에 의해 랙 기어(31)가 상승됨에 따라 저장된 회전력이 방출되며 원상복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랙 기어(31)의 승강 작동에 연동되어 태엽(50)이 감기거나 풀릴 수 있으며, 랙 기어(31)가 버튼부(40)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버튼부(40)의 작동에 의해 태엽(50)이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태엽(50)은 시계 방향으로 감겨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타이머(100)는 버튼부(40)가 눌려짐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작동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태엽(50)이 풀리는 방향의 회전력, 즉 태엽(50)의 복원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랙 기어(31)의 승강 작동에 연동되어 스퍼 기어(32)가 회전되므로, 랙 기어(31)가 상승될 때 스퍼 기어(32)의 회전력을 적절하게 제어함에 의해 타이머(100)의 설정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랙 기어(31)가 상승되는 경우 스퍼 기어(3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스퍼 기어(32)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제어하도록 스퍼 기어(32)의 일측에는 탈진기(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탈진기(60)는 태엽(50)이 풀리는 방향의 회전력을 적절한 속도로 구속할 수 있다.
태엽(50)은 수십 또는 수백의 기어비를 가지면서 rpm을 비약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으며, 스퍼 기어(32)에 탈진기(60)가 구비됨에 의해 태엽(50)이 한 번에 풀리지 않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탈진기(60)는 스퍼 기어(32)에 맞물려 회전되는 휠(61)과, 이러한 휠(61)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지렛대 형상의 이동부재(63)의 양단부(62) 및 이동부재(63)의 이동 반경을 제어하는 스토퍼(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휠(61)의 톱니 모양이 비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스퍼 기어(3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동부재(63)의 양단부(62)가 번갈아가며 스퍼 기어(32)의 회전을 잠시 멈추게 된다. 이러한 탈진기(60) 구조로 인하여 태엽(50)은 본래 가진 복원력에 비하여 천천히 풀릴 수 있으며, 태엽(50)이 풀리는 힘을 이용하여 오르골 장치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탈진기(6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태엽(50)이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탈진기(60)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태엽기어부(30)는 하우징(20, 도 1 참조)의 내부에서 장착부재(33)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늘(22)은 스퍼 기어(32)의 회전에 연동 작동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에서 알람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100)는 태엽기어부(30, 도 4 참조)를 감싸는 하우징(20)의 외측에 알람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알람부(80)는 타이머(100)의 종료 시간에 맞추어 소리를 발생시켜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알람부(80)는 태엽(50)이 다 풀리는 순간부터 알림이 발생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하우징(20)의 외부면에는 눈금이 표시된 계기판(21) 및 버튼부(40, 도 2 참조)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어 계기판(21)의 눈금을 가리키는 바늘(2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바늘(22)은 태엽기어부(30)의 스퍼 기어(32)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스퍼 기어(32)의 회전이 멈추는 순간 바늘(22)이 계기판(21)의 0 눈금을 가리킬 수 있다.
하우징(20)에서 계기판(21)의 외측 상부에는 ㄱ자 형상의 힌지부재(7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힌지부재(70)는 절곡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2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알람부(80)는 힌지부재(70)의 일단 측에 구비되어 하우징(2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펌핑수단(12, 도 1 참조)이 펌핑됨에 의해 버튼부(40)가 작동되면, 태엽(50)의 회전력을 구속하는 탈진기(60)에 의해 스퍼 기어(32)의 회전 속도가 제어되면서 바늘(22) 역시 일정한 속도로 계기판(21)의 0 눈금을 향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바늘(22)이 회전되다가 계기판(21)의 0 눈금을 가리키게 되는 경우, 바늘(22)의 끝단은 힌지부재(70)의 타단과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부재(70)의 타단은 바늘(22)이 회전되다가 계기판(21)의 0 눈금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바늘(22)의 끝단이 힌지부재(70)의 타단과 접촉되면, 바늘(22)이 경사진 힌지부재(70)의 타단을 따라 이동되면서 힌지부재(70)가 도 5의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늘(22)이 0 눈금을 가리키는 순간, 힌지부재(70)의 일단은 알람부(80)를 가압하게 되면서 소리 등의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알람부(80)는 가압에 의해 온/오프 작동되는 벨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벨을 다시 한번 가압함에 의해 알림이 해제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100)는 내용물의 권장 사용 시간이 종료되는 시점부터 알림을 발생할 수 있도록 알람부(80)를 구현함으로써, 적절한 시간 동안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알람부(8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에 의해 사용자에게 용기(200)에 담긴 내용물의 권장 사용 시간을 인지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내부의 태엽기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100)에서 앞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태엽기어부(30)는 제1 스퍼 기어(32a) 및 태엽(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퍼 기어(32a)는 버튼부(4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버튼부(40)의 타단을 하강시킴에 따라 제1 스퍼 기어(32a)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태엽(50)은 나선형으로 구비되며, 중앙에 위치된 일단이 장착부재(33)에 고정되고, 타단이 버튼부(40)의 일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버튼부(40)의 타단을 하강시킴에 따라 제1 스퍼 기어(32a)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태엽(50)이 감기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스퍼 기어(32a)의 일측에는 태엽(50)이 풀리는 방향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탈진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탈진기가 제1 스퍼 기어(32a)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에 따라 태엽(50)의 복원력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태엽(50)이 가진 복원력보다 태엽(50)이 천천히 풀릴 수 있다.
여기서, 버튼부(40)의 타단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펌핑수단(12, 도 1 참조)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부(40)는 용기(200, 도 1 참조)에서 내용물을 배출하는 펌핑수단(12)을 펌핑함에 의해 작동됨에 따라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타이머(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100)는 버튼부(40)의 타단을 제외하고, 태엽기어부(30)는 하우징(미도시)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앞선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알람부(80)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바늘(22)은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1 스퍼 기어(32a)와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내부의 태엽기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태엽기어부(30)는 제1 스퍼 기어(32a)에 맞물리며 회전되는 제2 스퍼 기어(32b) 및 태엽(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버튼부(40)의 일단은 제2 스퍼 기어(32b)에 연결될 수 있으며, 버튼부(40)의 타단을 하강 작동시킴에 의해 제2 스퍼 기어(32b) 및 제1 스퍼 기어(32a)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버튼부(40)의 하강 작동에 따라 제2 스퍼 기어(32b)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제1 스퍼 기어(32a)는 제2 스퍼 기어(32b)에 맞물리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태엽(50)은 중앙에 위치된 일단이 장착부재(33)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스퍼 기어(32b)에 고정되어, 제2 스퍼 기어(32b)의 회전에 연동되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스퍼 기어(32a)의 일측에는 탈진기가 구비되어, 태엽(50)이 천천히 풀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가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타이머(100)는 용기(200)의 목부(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타이머(100)는 하우징(20)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된 고정부재(23a)를 구비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23a)는 목부(11)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200)의 목부(11)가 원형으로 구비됨에 따라 고정부재(23a) 역시 원형으로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고정부재(23a)는 목부(11)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홀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23a)는 목부(11)에 대응되는 크기의 홀이 구비되어 목부(1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200)의 내용물을 소진하는 경우, 펌핑수단(12)을 제거한 뒤 목부(11)로부터 고정부재(23a)를 제거함에 의해 새로운 용기(200)에 타이머(100)를 장착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고정부재(23b) 역시 용기(200)의 목부(11)에 고정될 수 있으며, 끝단이 두 가닥으로 갈라져 목부(11)의 둘레를 집을 수 있는 클립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기(200)의 목부(11)의 크기나 형상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타이머(100)를 용기(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클립 타입의 고정부재(23b)는 용기(200)의 목부(11)에 탈착이 보다 자유로워, 용기(200)에 수납된 내용물이 소진되면 새로운 용기(200)에 타이머(100)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용기몸체 11 : 목부
12 : 펌핑수단 20 : 하우징
21 : 계기판 22 : 바늘
23 : 고정부재 30 : 태엽기어부
31 : 렉 기어 32 : 스퍼 기어
33 : 장착부재 40 : 버튼부
50 : 태엽 60 : 탈진기
70 : 힌지부재 80 : 알람부
100 : 타이머 200 : 용기

Claims (20)

  1. 용기에서 내용물을 배출하는 펌핑수단의 펌핑에 의해 작동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에 의해 감기는 태엽이 구비되는 태엽기어부; 및
    상기 태엽기어부의 상기 태엽이 풀리면 알림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펌핑수단과 탈착 가능하게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펌핑수단의 펌핑에 의해 하강된 후 상기 태엽이 풀리는 시간 동안 상기 펌핑수단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승되어 펌핑 작동 이전 상태로 원위치되면 상기 펌핑수단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일단이 상기 태엽기어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펌핑수단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엽기어부는,
    상기 버튼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승강 작동되는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에 맞물리며 회전되는 스퍼 기어와.
    상기 스퍼 기어의 회전에 연동되어 작동되는 상기 태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엽은,
    나선형으로 구비되며, 중앙에 위치된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타단이 상기 랙 기어에 고정되어, 상기 랙 기어의 승강 작동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 기어는,
    일측에 상기 태엽이 풀리는 방향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탈진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태엽이 감길 때부터 상기 태엽이 풀릴 때까지 계속해서 소리를 발생시켜서 알림을 제공하는 오르골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엽기어부를 감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는 계기판; 및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계기판의 눈금을 가리키는 바늘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부에는 절곡된 부분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ㄱ자 형상의 힌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태엽이 다 풀리는 순간부터 소리를 발생시켜서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이 회전되다가 상기 계기판의 0 눈금을 가리키는 경우, 상기 바늘의 끝단이 상기 힌지부재의 타단과 접촉되면서 상기 힌지부재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힌지부재의 일단이 상기 알람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의 타단은 상기 바늘이 회전되다가 상기 계기판의 0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엽기어부는,
    상기 버튼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 스퍼 기어와,
    상기 제1 스퍼 기어의 회전에 연동되어 작동되는 상기 태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태엽은,
    나선형으로 구비되며, 중앙에 위치된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타단이 상기 버튼부에 고정되며, 상기 버튼부가 작동됨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퍼 기어에 맞물리며 회전되는 제2 스퍼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퍼 기어의 일측에는 상기 태엽이 풀리는 방향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탈진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버튼부의 일단은 상기 제2 스퍼 기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16. 삭제
  17.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몸체;
    상기 용기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펌핑수단; 및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타이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일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목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목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홀 타입으로 구비되거나, 끝단이 두 가닥으로 갈라져 상기 목부의 둘레를 집는 클립 타입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0. 삭제
KR1020170085009A 2017-07-04 2017-07-04 타이머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102621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009A KR102621896B1 (ko) 2017-07-04 2017-07-04 타이머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009A KR102621896B1 (ko) 2017-07-04 2017-07-04 타이머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581A KR20190004581A (ko) 2019-01-14
KR102621896B1 true KR102621896B1 (ko) 2024-01-08

Family

ID=65027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009A KR102621896B1 (ko) 2017-07-04 2017-07-04 타이머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8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486A (ko) 2021-01-04 2022-07-12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이머와 led가 구비된 손세정제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8908A1 (en) * 2000-11-20 2005-05-26 Venture Management Alliance, Llc Method of timing hand washing
US20100021349A1 (en) * 2006-12-07 2010-01-28 Brand Gmbh + Co Kg Bottle top dispenser for handling liquids
US20100182879A1 (en) * 2007-05-30 2010-07-22 Omega Sa Lever escapement for a timepiece
US20140259397A1 (en) * 2013-03-15 2014-09-18 China Motors And Component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ing actuators to structures
KR101499633B1 (ko) * 2014-01-13 2015-03-0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티백 타이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878U (ja) * 1993-11-22 1995-06-13 学校法人東海大学 手指消毒用ポンプ付容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8908A1 (en) * 2000-11-20 2005-05-26 Venture Management Alliance, Llc Method of timing hand washing
US20100021349A1 (en) * 2006-12-07 2010-01-28 Brand Gmbh + Co Kg Bottle top dispenser for handling liquids
US20100182879A1 (en) * 2007-05-30 2010-07-22 Omega Sa Lever escapement for a timepiece
US20140259397A1 (en) * 2013-03-15 2014-09-18 China Motors And Component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ing actuators to structures
KR101499633B1 (ko) * 2014-01-13 2015-03-0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티백 타이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581A (ko) 201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4779B2 (ja) 化粧品容器
US5131534A (en) Suture dispenser
US9289736B1 (en) Nail polish mixing apparatus
KR102621896B1 (ko) 타이머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US3543122A (en) Automatic aerosol dispenser
US20120248140A1 (en) Portable hand sanitation dispenser
JP2018512978A (ja) 真空ポンプを具備したクリームタイプ化粧品容器
US5732722A (en) Cap for a toothpaste container having an incorporated spool of dental floss
WO2005112693A3 (en) Liquid dispensing brush
KR20080002958U (ko) 내용물을 쉽게 바를 수 있는 화장품 용기
GB2420383A (en) Spray dispenser activated by sensed light level
US3413049A (en) Toilet tissue holder
US3204824A (en) Dispensers
GB2433020A (en) Waste disposal device including an external actuation mechanism to operate a cartridge
US2080343A (en) Soap dispenser
KR200421167Y1 (ko) 디스펜서
JP2012006618A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5859382B2 (ja) 吐出容器のヘッド操作用アタッチメント
CN111712444A (zh) 湿巾抽出用保护盒
CN109689935B (zh) 具有电化学装置的产品容器
EP3420869A1 (en) Wall-mounted dispenser for liquid soap and the like
KR101996365B1 (ko)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접착테이프 케이스
WO2021156408A9 (en) Hand cleansing and monitoring device
EP3072433A1 (en) Automatic dispenser of detergent for a dishwasher
US2828891A (en) Dispensing device for tooth paste, shaving cream,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158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721

Effective date: 20231122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