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725B1 - 데이터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725B1
KR102621725B1 KR1020160112542A KR20160112542A KR102621725B1 KR 102621725 B1 KR102621725 B1 KR 102621725B1 KR 1020160112542 A KR1020160112542 A KR 1020160112542A KR 20160112542 A KR20160112542 A KR 20160112542A KR 102621725 B1 KR102621725 B1 KR 102621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sensing element
unit
axis
unit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5631A (ko
Inventor
서윤재
박근주
김성호
김준석
류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2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725B1/ko
Priority to US15/600,135 priority patent/US10649544B2/en
Publication of KR2018002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38Details making use of sensor-related data, e.g. for identification of sensor or optical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28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rrangements with two or more detectors, e.g. for sensitivity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87Phased arr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2001/4446Type of detector
    • G01J2001/448Array [CC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데이터 출력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센싱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이벤트 어레이에 대하여, 복수의 이벤트 식별부가 각각과 접속된 센싱 엘리먼트에서 검출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엘리먼트 정보를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이벤트 출력부가 엘리먼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을 지시하는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출력 장치{DATA OUTPUT DEVICE}
이하, 데이터 출력과 관련된 기술이 제공된다.
복수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센서는 각각의 엘리먼트마다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검출 소자, 검출 소자에서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아날로그 회로, 및 증폭된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회로(digital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센서는 일정한 위치의 엘리먼트에서 데이터가 균일하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사용 조건, 환경 및 상황 등에 따라 무작위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 때 각 엘리먼트를 전부 탐색하게 될 경우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할 수 있고, 디지털 회로에서의 신호 처리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장치는, 복수의 센싱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이벤트 어레이; 상기 복수의 센싱 엘리먼트들 중 제1 센싱 엘리먼트(sensing element)와 접속되고, 상기 제1 센싱 엘리먼트에 의해 이벤트(event)가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센싱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제1 엘리먼트 정보를 식별하는 제1 이벤트 식별부; 상기 복수의 센싱 엘리먼트들 중 제2 센싱 엘리먼트와 접속되고, 상기 제2 센싱 엘리먼트에 의해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센싱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제2 엘리먼트 정보를 식별하는 제2 이벤트 식별부; 및 상기 제1 엘리먼트 정보 및 상기 제2 엘리먼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이벤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벤트 식별부는, 상기 제1 센싱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제1 위치 정보(first location information)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이벤트 식별부는, 상기 제2 센싱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정보(second location information)를 출력하며, 상기 이벤트 출력부는,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지점(event point)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출력부는, 상기 제1 이벤트 식별부와 접속된 복수의 제1 센싱 엘리먼트들 중에서 상기 이벤트가 검출되는 제1 센싱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제1 위치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이벤트 식별부와 접속된 복수의 제2 센싱 엘리먼트들 중에서 상기 이벤트가 검출되는 제2 센싱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출력부는, 상기 제1 이벤트 식별부로부터 제1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벤트 식별부로 확인 신호(acknowledge signal)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이벤트 식별부로부터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위치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이벤트 식별부로 확인 신호(acknowledge signal)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벤트 식별부 및 상기 제2 이벤트 식별부의 각각은, 상기 이벤트가 검출된 센싱 엘리먼트의 제1 축 상의 위치를 식별하는 제1 위치 결정부(first location determiner); 및 상기 이벤트가 검출된 센싱 엘리먼트의 제2 축 상의 위치를 식별하는 제2 위치 결정부(second location determin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결정부는, 상기 이벤트가 검출된 센싱 엘리먼트가 상기 제1 위치 결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축 상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위치 결정부는, 상기 이벤트가 검출된 센싱 엘리먼트가 상기 제2 위치 결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축 상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1 위치 결정부와 i번째로 연결된 센싱 엘리먼트에 의해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에 응답하여, i번째 센싱 엘리먼트에 지정된 위치를 상기 제1 축 상의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2 위치 결정부와 j번째로 연결된 센싱 엘리먼트에 의해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에 응답하여, j번째 센싱 엘리먼트에 지정된 위치를 상기 제2 축 상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결정부는, 동일한 제2 축을 따라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된 센싱 엘리먼트들에 대한 제1 축 상의 위치들은 제1 축 상에서 동일한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위치 결정부는, 동일한 제1 축을 따라 제1 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센싱 엘리먼트들에 대한 제2 축 상의 위치들은 제2 축 상에서 동일한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엘리먼트는, 상기 이벤트 어레이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제1 세로 축(longitudinal axis) 및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제1 가로 축(lateral axis)이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센싱 엘리먼트는, 상기 이벤트 어레이 내에서 상기 제1 세로 축에 대해 평행한 제2 세로 축 및 상기 제1 가로 축에 대해 평행한 제2 가로 축이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센싱 엘리먼트는 제1 축에 대해 서로 번갈아가면서 나열되고, 상기 제1 센싱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센싱 엘리먼트는 제2 축에 대해 서로 번갈아가면서 나열되며, 상기 제1 축은 상기 제2 축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벤트 식별부는, 사이클(cycle) 동안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상기 이벤트 출력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이벤트 식별부는, 상기 사이클 동안 제2 위치 정보를 상기 이벤트 출력부로 출력하며, 상기 이벤트 출력부는, 상기 사이클의 적어도 일부 구간 동안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 어드레스를 외부로 출력하고, 나머지 구간 동안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 어드레스(event coordinate)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벤트 식별부는, 제1 사이클 동안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출력하고, 제2 사이클 동안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제2 이벤트 식별부는, 상기 제1 사이클 동안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제2 사이클 동안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이벤트 출력부는, 상기 제1 사이클 동안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를 외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사이클 동안 상기 제2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어레이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M/√2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1 세로 축들 및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N/√2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1 가로 축들이 교차하는 지점들에 위치되는 제1 센싱 엘리먼트들; 및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M/√2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2 세로 축들 및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N/√2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2 가로 축들이 교차하는 지점들에 위치되는 제2 센싱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어레이는, 서로 평행한 M/2 개의 제1 세로 축들 및 서로 평행한 N/2 개의 제1 가로 축들이 교차하는 지점들에 위치되는 제1 센싱 엘리먼트들; 및 서로 평행한 M/2개의 제2 세로 축들 및 서로 평행한 N/2 개의 제2 가로 축들이 교차하는 지점들에 위치되는 제2 센싱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싱 엘리먼트들의 각각은,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이벤트 감지부; 상기 입력 신호를 증폭하는 차분 증폭기(difference amplifier); 및 상기 증폭된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증폭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이벤트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빛의 수신에 응답하여, 수신된 빛의 세기 변화에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하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및 상기 전류를 전압 형태의 상기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출력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센싱 엘리먼트들 중 제3 센싱 엘리먼트(sensing element)와 접속되고, 상기 제3 센싱 엘리먼트에 의해 이벤트(event)가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센싱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제3 엘리먼트 정보를 식별하는 제3 이벤트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출력부는, 상기 제3 엘리먼트 정보에 더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장치는, 복수의 센싱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엘리먼트들은 n개의 그룹들로 분류되는 이벤트 어레이; 상기 n개의 그룹들 중 하나로 분류된 센싱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엘리먼트 정보를 식별하는 n개의 이벤트 식별부들; 및 상기 엘리먼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이벤트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n개의 이벤트 식별부들의 각각은, 상기 n개의 그룹 중 m번째 그룹에 속하는 센싱 엘리먼트에 의해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이벤트가 검출된 센싱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엘리먼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장치의 개괄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엘리먼트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어레이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장치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검출에 따른 이벤트 어드레스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출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다른 이벤트 출력부의 동작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어레이에 포함된 센싱 엘리먼트의 개수에 따른 이벤트 식별부의 해상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장치의 개괄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데이터 출력 장치(100)는 이벤트 어레이(110) 및 이벤트 처리부(120)를 포함한다.
이벤트 어레이(110)는 복수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어레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어레이(110)는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복수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어레이(110)는 행 방향에 대해 M개의 센싱 엘리먼트(element)를 포함할 수 있고, 열 방향에 대해 N개의 센싱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행 방향은 예를 들어 가로 방향을 나타낼 수 있고, 열 방향은 예를 들어, 세로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N 및 M은 1이상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벤트 어레이(110)를 구성하는 센싱 엘리먼트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단위 유닛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어레이(110)는 이벤트에 기반한 비전 센서일 수 있다. 이벤트 어레이(110)가 이벤트에 기반한 비전 센서인 경우, 센싱 엘리먼트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여 이벤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빛의 세기가 변하는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는 외부 물체를 촬영하는 이벤트에 기반한 비전 센서로 감지되고 출력될 수 있다. 다만, 이벤트를 상술한 바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음향, 가속도, 및 전기신호 등과 같은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적, 및 전기적 요소 등이 변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고, 이벤트 어레이(110)를 이벤트에 기반한 비전 센서로 한정하는 것도 아니다.
이벤트 처리부(120)는 이벤트 어레이(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른 장치, 모듈, 유닛, 및 기기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처리부(120)는 이벤트 어레이(110)로부터 비동기적으로 발생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처리부(120)는 이벤트 어레이(110)의 전체가 아닌 데이터가 발생한 부분으로부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벤트 처리부(120)는 수신된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전달하거나, 인코딩 없이 수신된 데이터 자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처리부(120)는 이벤트 어레이(110)에서 검출된 이벤트 신호 및 이벤트 신호가 검출된 센싱 엘리먼트의 위치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엘리먼트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벤트 어레이(110)는 복수의 센싱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센싱 엘리먼트(200)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여 이벤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벤트에 기반한 비전 센서는 입사되는 빛 세기 변화를 감지함에 따라 시간 비동기적으로 이벤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에 기반한 비전 센서는 특정 센싱 엘리먼트(200)에서 빛의 세기가 증가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 해당 센싱 엘리먼트(200)는 온 이벤트(ON event)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에 기반한 비전 센서는 특정 센싱 엘리먼트(200)에서 빛의 세기가 감소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 해당 센싱 엘리먼트(200)는 오프 이벤트(OFF event)를 출력할 수 있다.
이벤트에 기반한 비전 센서는 프레임 기반 비전 센서와 달리 각 픽셀의 포토 다이오드(211)의 출력을 프레임 단위로 스캔하지 않고, 빛의 세기 변화가 있는 부분의 센싱 엘리먼트(200)에서만 이벤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벤트에 기반한 비전 센서로 입사되는 빛의 세기 변화는 외부 물체 또는 이벤트에 기반한 비전 센서의 움직임에 기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광원이 실질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외부 물체는 스스로 발광하지 않는 경우, 이벤트에 기반한 비전 센서로 입사되는 빛은 광원에서 발생되어 외부 물체에 의해 반사된 빛이다. 외부 물체, 광원, 및 이벤트에 기반한 비전 센서 모두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 움직임이 없는 상태의 외부 물체에 의해 반사되는 빛은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으므로, 이벤트에 기반한 비전 센서에 입사되는 빛의 세기 변화도 발생되지 않는다. 반면, 외부 물체가 움직이는 경우, 움직이는 외부 물체에 의해 반사되는 빛은 외부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변하므로, 이벤트에 기반한 비전 센서에 입사되는 빛의 세기 변화가 발생될 수 있다.
외부 물체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출력되는 이벤트 신호는 시간 비동기적으로 생성된 정보로 인간의 망막으로부터 뇌로 전달되는 시신경 신호와 유사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신호는 정지된 사물에 대하여는 발생되지 않고, 움직이는 사물이 감지되는 경우에 한하여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이벤트에 기반한 비전 센서는 빛의 세기가 변화한 센싱 엘리먼트(200)의 어드레스 및/또는 시간 정보만을 활용하므로 일반 이미지 카메라보다 처리되는 정보량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엘리먼트(200)는 이벤트 감지부(210), 차분 증폭기(220), 및 이벤트 신호 생성부(230)를 포함한다.
이벤트 감지부(210)는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감지부(210)는 포토 다이오드(211) 및 변환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211)는 빛의 수신에 응답하여, 수신된 빛의 세기 변화에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변환부(212)는 포토 다이오드(211)에서 출력된 전류를 전압 형태의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입력 신호는 차분 증폭기(220)로 전달될 수 있다.
차분 증폭기(220)는 이벤트 감지부(210)로부터 전달 받은 입력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이벤트 신호 생성부(230)는 증폭된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증폭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신호 생성부(230)는 이벤트 결정부(231) 및 이벤트 전달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결정부(231)는 상술한 증폭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이벤트의 발생 여부 및 이벤트의 종류 등을 결정하여 그에 대응하는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결정부(231)는 증폭된 입력 신호 및 미리 정한 임계값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발생된 경우에 응답하여 발생된 이벤트의 종류(예를 들어, 온 이벤트 및 오프 이벤트)를 결정하며,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결정부(231)는 결정된 이벤트의 종류(예를 들어, 온 이벤트 및 오프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 신호(예를 들어, 온 이벤트에 대해 1, 오프 이벤트에 대해 -1)를 생성할 수 있다.
이벤트 전달부(232)는 이벤트 결정부(231)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 신호를 이벤트 어레이(11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데이터 출력 장치(100)는 이벤트 어레이(110) 및 이벤트 처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어레이(110)는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센싱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엘리먼트(200)는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이벤트 처리부(120)는 제1 이벤트 식별부(321), 제2 이벤트 식별부(322), 및 이벤트 출력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처리부(120)는 이벤트 어레이(110)로부터 비동기적으로 이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AER (Address Event Representation)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센싱 엘리먼트(200)의 위치를 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AER 프로토콜은 이벤트 신호를 정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동기 핸드 세이킹 프로토콜(asynchronous handshaking protocol)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AER 프로토콜에 기초한 센싱 엘리먼트(200)의 위치 식별은 하기 도 4 내지 도 11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이벤트 식별부(321)는 복수의 센싱 엘리먼트들 중 제1 센싱 엘리먼트(sensing element)와 접속되고, 제1 센싱 엘리먼트에 의해 이벤트(event)가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제1 센싱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제1 엘리먼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엘리먼트 정보는 제1 센싱 엘리먼트의 위치를 지시하는 제1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 정보는 제1 센싱 엘리먼트의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센싱 엘리먼트는 제1 이벤트 식별부(321)로 제1 엘리먼트 정보를 출력하는 센싱 엘리먼트를 나타낼 수 있고, 제1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벤트 식별부(321)는 제1 그룹에 속하는 제1 센싱 엘리먼트와만 전기적으로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벤트 식별부(321)는 제1 센싱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제1 위치 정보(first location information)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위치 정보는 이벤트 어레이(110) 내에서 제1 센싱 엘리먼트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제1 축 상의 위치를 지시하는 열 어드레스 및 제2 축 상의 위치를 지시하는 행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열 어드레스는 복수의 열들(columns) 중 하나의 열을 지시할 수 있고, 행 어드레스는 복수의 행들(rows) 중 하나의 행을 지시할 수 있다.
제2 이벤트 식별부(322)는 복수의 센싱 엘리먼트들 중 제2 센싱 엘리먼트와 접속되고, 제2 센싱 엘리먼트에 의해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제2 센싱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제2 엘리먼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제2 엘리먼트 정보는 제2 센싱 엘리먼트의 위치를 지시하는 제2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 센싱 엘리먼트는 제2 이벤트 식별부(322)로 제2 엘리먼트 정보를 출력하는 센싱 엘리먼트를 나타낼 수 있고, 제2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벤트 식별부(322)는 제2 그룹에 속하는 제2 센싱 엘리먼트와만 전기적으로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벤트 식별부(322)는, 제2 센싱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정보(second location information)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위치 정보는 이벤트 어레이(110) 내에서 제2 센싱 엘리먼트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제1 축 상의 위치를 지시하는 열 어드레스(column address) 및 제2 축 상의 위치를 지시하는 행 어드레스(row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센싱 엘리먼트의 위치는 제2 센싱 엘리먼트의 위치와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제1 센싱 엘리먼트의 제1 축 상의 위치는 모든 제2 센싱 엘리먼트의 제1 축 상의 위치와 다를 수 있다. 또한, 모든 제1 센싱 엘리먼트의 제2 축 상의 위치는 모든 제2 센싱 엘리먼트의 제2 축 상의 위치와 다를 수 있다. 각 센싱 엘리먼트와 제1 이벤트 식별부(321) 및 제2 이벤트 식별부(322)와의 연결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벤트 출력부(323)는 제1 엘리먼트 정보 및 제2 엘리먼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출력부(323)는, 제1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지점(event point)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지점은 이벤트 어레이(110)에 포함된 복수의 센싱 엘리먼트들 중 이벤트가 검출된 센싱 엘리먼트의 2차원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센싱 엘리먼트의 2차원 위치는 예를 들어, 이벤트 어레이(110)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서 제1 축 상의 위치를 지시하는 어드레스와 제2 축 상의 위치를 지시하는 어드레스가 조합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출력부(323)는, 제1 이벤트 식별부(321)와 접속된 복수의 제1 센싱 엘리먼트들 중에서 이벤트가 검출되는 제1 센싱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제1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출력부(323)는 제2 이벤트 식별부(322)와 접속된 복수의 제2 센싱 엘리먼트들 중에서 이벤트가 검출되는 제2 센싱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 정보는 이벤트가 검출된 제1 센싱 엘리먼트의 2차원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제2 위치 정보는 이벤트가 검출된 제2 센싱 엘리먼트의 2차원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벤트 지점은 제1 위치 정보에 기초한 지점, 제2 위치 정보에 기초한 지점, 또는 제1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정보의 조합에 기초한 지점일 수 있다.
다만, 도 3에서는 이벤트 어레이(110)에 포함되는 복수의 센싱 엘리먼트들이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만 구분되는 것을 가정하여, 제1 이벤트 식별부(321) 및 제2 이벤트 식별부(322)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처리부(120)는 제3 이벤트 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3 이벤트 식별부는 복수의 센싱 엘리먼트들 중 제3 센싱 엘리먼트(sensing element)와 접속되고, 제3 센싱 엘리먼트에 의해 이벤트(event)가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제3 센싱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제3 엘리먼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출력부(323)는, 제3 엘리먼트 정보에 더 기초하여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각각의 이벤트 식별부는 서로 독립된 회로 내지 블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벤트 어레이(110)가 복수의 센싱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센싱 엘리먼트들은 n개의 그룹들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1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데이터 출력 장치는 n개의 그룹들 중 하나로 분류된 센싱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엘리먼트 정보를 식별하는 n개의 이벤트 식별부들; 및 엘리먼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이벤트 출력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개의 이벤트 식별부들의 각각은, n개의 그룹 중 m번째 그룹에 속하는 센싱 엘리먼트에 의해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이벤트가 검출된 센싱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엘리먼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m은 1이상 n이하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이벤트 출력부(323)는 n개의 엘리먼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어레이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어레이(110) 내에서 센싱 엘리먼트들은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어레이(110)는 제1 센싱 엘리먼트(410) 및 제2 센싱 엘리먼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제1 센싱 엘리먼트(410) 및 제2 센싱 엘리먼트(420)가 서로에 대해 엇갈려서 배치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1 센싱 엘리먼트(410) 및 제2 센싱 엘리먼트(420)는 제1 축에 대해 서로 번갈아가면서 나열되고, 제1 센싱 엘리먼트(410) 및 제2 센싱 엘리먼트(420)는 제2 축에 대해 서로 번갈아가면서 나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싱 엘리먼트(410)는 짝수번째 열, 짝수번째 행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센싱 엘리먼트(420)는 홀수번째 열, 홀수번째 행에 위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제1 축은 임의의 축을 나타낼 수 있고, 제2 축은 제1 축과 구분되는 축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축 및 제2 축은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 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축은 가로 축, 제2 축은 세로 축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축 방향(491)은 제1 축이 향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4에서는 가로 축 방향으로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축 방향(492)은 제2 축이 향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4에서는 세로 축 방향으로서 아래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제1 축 방향(491) 및 제2 축 방향(492)을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더 나아가 축 방향의 개수를 2개로 한정하는 것도 아니다. 예를 들어, 센싱 엘리먼트가 3차원적으로 배치될 경우, 제3 축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나열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싱 엘리먼트(410) 및 제2 센싱 엘리먼트(420)는 제1 축 방향(491) 및 제2 축 방향(492)으로 나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축 방향(491)은 가로 방향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을 나타낼 수 있고, 제2 축 방향(49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싱 엘리먼트(410)는, 이벤트 어레이(110)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제1 세로 축(longitudinal axis)(472) 및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제1 가로 축(lateral axis)(471)이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싱 엘리먼트(420)는, 이벤트 어레이(110) 내에서 제1 세로 축(472)에 대해 평행한 제2 세로 축(482) 및 제1 가로 축(471)에 대해 평행한 제2 가로 축(481)이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세로 축(472) 간의 간격 및 제1 가로 축(471) 간의 간격은 서로 동일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세로 축(482) 간의 간격 및 제2 가로 축(481) 간의 간격은 서로 동일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센싱 엘리먼트는 제2 축 방향(492)에 대해서 복수의 제2 축 중 어느 하나의 제2 축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동일한 제2 축에 배치된 센싱 엘리먼트들은 제1 축 상에서 동일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각 센싱 엘리먼트는 제1 축 방향(491)에 대해서 복수의 제1 축 중 어느 하나의 제1 축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동일한 제1 축에 배치된 센싱 엘리먼트들은 제2 축 상에서 동일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싱 엘리먼트(410)는 제2 축 방향(492)에 대해서는 제1 세로 축(472)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제1 센싱 엘리먼트(410)는 제1 축 방향(491)에 대해서는 제1 가로 축(471)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싱 엘리먼트(420)는 제2 축 방향(492)에 대해서는 제2 세로 축(482)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제2 센싱 엘리먼트(420)는 제1 축 방향(491)에 대해서는 제2 가로 축(481)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세로 축(472) 및 제2 세로 축(482)은 제1 축을 따라 임의의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고, 제1 가로 축(471) 및 제2 가로 축(481)은 제2 축을 따라 임의의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장치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출력 장치의 이벤트 처리부는 제1 이벤트 식별부(321) 및 제2 이벤트 식별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벤트 식별부(321)는 제1 위치 결정부(511) 및 제2 위치 결정부(51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이벤트 식별부(322)는 제1 위치 결정부(521) 및 제2 위치 결정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위치 결정부(511, 521)는 이벤트가 검출된 센싱 엘리먼트의 제1 축 상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 결정부(511, 521)는 동일한 제2 축을 따라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된 센싱 엘리먼트들에 대한 제1 축 상의 위치들을 제1 축 상에서 이벤트 어레이(110) 내의 동일한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 결정부(511, 521)는 열 어드레스(column address)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이벤트 식별부(321)의 제1 위치 결정부(511)는 이벤트가 검출된 제1 센싱 엘리먼트로부터 요청 신호(REQ)를 수신할 수 있다. 해당 요청 신호(REQ)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위치 결정부(511)는 이벤트가 검출된 제1 센싱 엘리먼트의 제1 축 상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제1 센싱 엘리먼트에 의해 출력되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1 위치 결정부(511)는 이벤트가 검출된 제1 센싱 엘리먼트의 위치가 식별된 경우에 응답하여, 해당 제1 센싱 엘리먼트로 확인 신호(ACK)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이벤트 식별부(322)의 제1 위치 결정부(521)는 이벤트가 검출된 제2 센싱 엘리먼트로부터 요청 신호(REQ)를 수신할 수 있다. 해당 요청 신호(REQ)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위치 결정부(521)는 이벤트가 검출된 제2 센싱 엘리먼트의 제1 축 상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제2 센싱 엘리먼트에 의해 출력되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1 위치 결정부(521)는 이벤트가 검출된 제2 센싱 엘리먼트의 위치가 식별된 경우에 응답하여, 해당 제2 센싱 엘리먼트로 확인 신호(ACK)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위치 결정부(512, 522)는 이벤트가 검출된 센싱 엘리먼트의 제2 축 상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위치 결정부(512, 522)는 동일한 제1 축을 따라 제1 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센싱 엘리먼트들에 대한 제2 축 상의 위치들은 제2 축 상에서 이벤트 어레이(110) 내의 동일한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위치 결정부(512, 522)는 행 어드레스(row address)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이벤트 식별부(321)의 제2 위치 결정부(512)는 이벤트가 검출된 제1 센싱 엘리먼트로부터 요청 신호(REQ)를 수신할 수 있다. 해당 요청 신호(REQ)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2 위치 결정부(512)는 이벤트가 검출된 제1 센싱 엘리먼트의 제2 축 상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제2 이벤트 식별부(322)의 제2 위치 결정부(522)는 이벤트가 검출된 제2 센싱 엘리먼트로부터 요청 신호(REQ)를 수신할 수 있다. 해당 요청 신호(REQ)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2 위치 결정부(522)는 이벤트가 검출된 제2 센싱 엘리먼트의 제2 축 상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도 5에서 제1 이벤트 식별부(321)에 포함되는 제1 위치 결정부(511) 및 제2 이벤트 식별부(322)에 포함되는 제1 위치 결정부(521)는 서로 구분되어 도시되고, 제1 이벤트 식별부(321)에 포함되는 제2 위치 결정부(512) 및 제2 이벤트 식별부(322)에 포함되는 제2 위치 결정부(522)는 서로 구분되어 도시되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 결정부(511)에 포함된 단위 셀(unit cell) 및 제1 위치 결정부(521)에 포함된 단위 셀이 동일한 공간에 제1 축을 따라 서로 번갈아가면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위치 결정부(512)에 포함된 단위 셀 및 제2 위치 결정부(522)에 포함된 단위 셀이 동일한 공간에 제2 축을 따라 서로 번갈아가면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이벤트 식별부(321)의 제1 위치 결정부(511) 및 제2 이벤트 식별부(322)의 제1 위치 결정부(521)는 2차원 상의 위치가 서로 동일한 다른 레이어(예를 들어, 제3 축 상의 위치가 다른 레이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이벤트 식별부(321)의 제2 위치 결정부(512) 및 제2 이벤트 식별부(322)의 제2 위치 결정부(522)는 2차원 상의 위치가 서로 동일하면서 다른 레이어에 배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센싱 엘리먼트가 제3 축 방향에 대해서도 배치되는 경우, 제1 이벤트 식별부(321) 및 제2 이벤트 식별부(322)의 각각은 각 센싱 엘리먼트의 제3 축 상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3 위치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벤트 출력부(323)는 제1 이벤트 식별부(321) 및 제2 이벤트 식별부(322)로부터 이벤트가 검출된 센싱 엘리먼트들의 위치와 연관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지점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검출에 따른 이벤트 어드레스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이벤트 식별부는 제1 위치 결정부 및 제2 위치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벤트 어레이(110) 내에 배치되는 센싱 엘리먼트들의 각 축 상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축 상에서 동일한 위치를 가지는 센싱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전기적 연결(예를 들어, 배선)을 통해 제1 위치 결정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위치 결정부는, 이벤트가 검출된 센싱 엘리먼트가 제1 위치 결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순서에 기초하여 제1 축 상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축 상에서 동일한 위치를 가지는 센싱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전기적 연결(예를 들어, 배선)을 통해 제2 위치 결정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위치 결정부는, 이벤트가 검출된 센싱 엘리먼트가 제2 위치 결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순서에 기초하여 제2 축 상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690)이 제1 센싱 엘리먼트(610) 및 제2 센싱 엘리먼트(620) 에 의해 검출된 경우를 도시한다.
우선, 제1 센싱 엘리먼트(610) 의 위치를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1 이벤트 식별부의 제1 위치 결정부는, 제1 위치 결정부와 i번째로 연결된 제1 센싱 엘리먼트(610)에 의해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에 응답하여, i번째 제1 센싱 엘리먼트(610)에 지정된 위치(예를 들어, 어드레스)를 제1 축 상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i는 1이상의 정수로서, i의 최대값은 제1 축 방향(491)으로 배치된 제1 센싱 엘리먼트(610)의 개수일 수 있다. i번째로 연결된 제1 센싱 엘리먼트(610)는 제1 축 상에서 기준 축(예를 들어, 가장 왼쪽 축)으로부터 제1 축 방향(491)으로 제1 위치 결정부에 대해 i번째 전기적 연결이 형성된 센싱 엘리먼트를 나타낼 수 있다. i번째 제1 센싱 엘리먼트(610)에 지정된 위치는 제1 축 상에서 해당 제1 센싱 엘리먼트(610)에 지정된 이벤트 어레이(110) 내의 어드레스를 나타낼 수 있다.
이벤트 어레이(110) 내의 어드레스에 대해 좌측 최상단이 기준점(origin point)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벤트 어레이(110) 내의 중심점이 기준점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제1 이벤트 식별부의 제2 위치 결정부는, 제2 위치 결정부와 j번째로 연결된 제1 센싱 엘리먼트(610)에 의해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에 응답하여, j번째 제1 센싱 엘리먼트(610)에 지정된 위치를 제2 축 상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j는 1이상의 정수로서, j의 최대 값은 제2 축 방향(492)으로 배치된 제1 센싱 엘리먼트(610)의 개수일 수 있다. j번째로 연결된 제1 센싱 엘리먼트(610)는 제2 축 상에서 기준 축(예를 들어, 가장 위쪽 축)으로부터 제2 축 방향(492)으로 제2 위치 결정부에 대해 j번째 전기적 연결이 형성된 센싱 엘리먼트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센싱 엘리먼트(620)도 상술한 제1 센싱 엘리먼트(610) 와 유사한 과정을 통해 위치가 식별될 수 있다. 제2 이벤트 식별부의 제1 위치 결정부는, 제1 위치 결정부와 k번째로 연결된 제2 센싱 엘리먼트에 의해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에 응답하여, k번째 제2 센싱 엘리먼트에 지정된 위치를 제1 축 상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k는 1이상의 정수로서, k의 최대값은 제1 축 방향(491)으로 배치된 제2 센싱 엘리먼트의 개수일 수 있다. k번째로 연결된 제2 센싱 엘리먼트(620)는 제1 축 상에서 기준 축(예를 들어, 가장 왼쪽 축)으로부터 제1 축 방향(491)으로 제1 위치 결정부에 대해 k번째 전기적 연결이 형성된 센싱 엘리먼트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이벤트 식별부의 제2 위치 결정부는, 제2 위치 결정부와 l번째로 연결된 제2 센싱 엘리먼트에 의해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에 응답하여, l번째 제2 센싱 엘리먼트에 지정된 위치를 제2 축 상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l은 1이상의 정수로서, l의 최대 값은 제2 축 방향(492)으로 배치된 제2 센싱 엘리먼트의 개수일 수 있다. l번째로 연결된 제2 센싱 엘리먼트(620)는 제2 축 상에서 기준 축(예를 들어, 가장 위쪽 축)으로부터 제2 축 방향(492)으로 제2 위치 결정부에 대해 l번째 전기적 연결이 형성된 센싱 엘리먼트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출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벤트 출력부(323)는, 제1 이벤트 식별부로부터 제1 엘리먼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이벤트 식별부로부터 제2 엘리먼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1 엘리먼트 정보 및 제2 엘리먼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벤트 정보(OUT)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출력부(323)는 이벤트가 제1 센싱 엘리먼트에서만 검출된 경우에는 제1 엘리먼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벤트 출력부(323)는 이벤트가 제2 센싱 엘리먼트에서만 검출된 경우에는, 제2 엘리먼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벤트가 제1 센싱 엘리먼트 및 제2 센싱 엘리먼트 둘 다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는, 이벤트 출력부(323)는 제1 엘리먼트 정보 및 제2 엘리먼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출력부(323)는 제1 이벤트 식별부로부터 제1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위치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이벤트 식별부로 확인 신호(acknowledge signal)(ACK)를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이벤트 출력부(323)는 제2 이벤트 식별부로부터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위치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2 이벤트 식별부로 확인 신호(acknowledge signal)(ACK)를 송신할 수 있다.
이벤트 정보(event information)(OUT)는 이벤트와 연관된 정보로서, 이벤트가 감지된 센싱 엘리먼트의 위치를 지시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정보(OUT)는 각 센싱 엘리먼트에서 생성된 이벤트 신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다른 이벤트 출력부의 동작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이벤트 출력부가 시간 인터리빙(time-interleaving)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이벤트 식별부가 사이클(cycle) 동안 제1 위치 정보를 이벤트 출력부로 출력할 수 있고, 제2 이벤트 식별부가 동일한 사이클 동안 제2 위치 정보를 이벤트 출력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벤트 출력부는, 상술한 사이클의 적어도 일부 구간 동안 제1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 어드레스(event address)를 외부로 출력하고, 나머지 구간 동안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제2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 어드레스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술한 사이클의 절반에 대응하는 구간일 수 있고, 나머지 구간은 나머지 절반에 대응하는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첫번째 사이클에서 제1 이벤트 식별부는 제1 위치 정보(예를 들어, DA0)를 출력할 수 있고, 제2 이벤트 식별부는 제2 위치 정보(예를 들어, DB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벤트 출력부는 사이클을 인터리빙함으로써, 사이클의 일부 구간 동안 제1 위치 정보(예를 들어, DA0)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고, 나머지 구간 동안 제2 위치 정보(예를 들어, DB0)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벤트 출력부는 매 사이클마다, 각 사이클을 인터리빙한 구간에 기초하여, 제1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정보를 번갈아가면서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 출력 장치가 n개의 이벤트 식별부를 포함하는 경우, 이벤트 출력부는 각 사이클을 n개의 구간으로 인터리빙하여 n개의 이벤트 식별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n개의 위치 정보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1이상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9는 이벤트 출력부가 파이프라이닝(pipelining)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이벤트 식별부가 제1 사이클 동안 제1 위치 정보를 출력하고, 제2 사이클 동안 제1 위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이벤트 식별부는, 제1 사이클 동안 제2 위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고, 제2 사이클 동안 제2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벤트 식별부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안 제2 이벤트 식별부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고, 반대로 제1 이벤트 식별부가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 제2 이벤트 식별부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벤트 출력부는, 제1 사이클 동안 제1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를 외부로 출력하고, 제2 사이클 동안 제2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 출력 장치가 n개의 이벤트 식별부를 포함하는 경우, n개의 사이클 동안 제m 이벤트 식별부는 m번째 사이클마다 제m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m은 1이상 n 이하의 정수일 수 있다. 이벤트 출력부는 m번째 사이클에서 제m 위치 정보를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n개의 이벤트 식별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n개의 위치 정보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어레이에 포함된 센싱 엘리먼트의 개수에 따른 이벤트 식별부의 해상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축 방향에 대해 M개의 센싱 엘리먼트가 나열되고, 제2 축 방향에 대해 N개의 센싱 엘리먼트가 나열되는 구조의 이벤트 어레이(110)를 도시한다. 여기서, M, N은 1이상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어레이(11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M/√2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1 세로 축들 및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N/√2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1 가로 축들이 교차하는 지점들에 위치되는 제1 센싱 엘리먼트들, 및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M/√2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2 세로 축들 및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N/√2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2 가로 축들이 교차하는 지점들에 위치되는 제2 센싱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2에 대응하는 개수는 M/√2보다 작은 가장 큰 정수로 내린(rounded off) 값을 나타낼 수 있다. N/√2에 대응하는 개수는 N/√2보다 작은 가장 큰 정수로 내린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M/√2에 대응하는 개수는 M/√2의 올림값, 내림값, 및 반올림값 중 하나일 수도 있고, N/√2에 대응하는 개수는 N/√2의 올림값, 내림값, 및 반올림값 중 하나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1 축을 따라서 M/√2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1 센싱 엘리먼트들 및 M/√2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2 센싱 엘리먼트들이 나열될 수 있다. 제2 축을 따라서는 N/√2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1 센싱 엘리먼트들 및 N/√2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2 센싱 엘리먼트들이 나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 이벤트 식별부의 제1 위치 결정부(1021)는 M/√2의 해상도로 이벤트 지점을 식별할 수 있고, 제2 위치 결정부(1022)는 N/√2의 해상도로 이벤트 지점을 식별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이벤트 식별부가 2개인 경우를 도시한 바, 이벤트 출력부(323)는 최종적으로 (M√2×M√2)/2=M×N개의 센싱 엘리먼트를 통해 (2×M/√2) × (2×N/√2)=2× (M×N)의 해상도로 이벤트 지점을 식별할 수 있다.
도 11은 제1 축 방향에 대해 M/√2에 대응하는 개수의 센싱 엘리먼트들이 나열되고, 제2 축 방향에 대해 N/√2에 대응하는 개수의 센싱 엘리먼트들이 나열되는 구조의 이벤트 어레이(110)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어레이(110)는 서로 평행한 M/2 개의 제1 세로 축들 및 서로 평행한 N/2 개의 제1 가로 축들이 교차하는 지점들에 위치되는 제1 센싱 엘리먼트들, 및 서로 평행한 M/2개의 제2 세로 축들 및 서로 평행한 N/2 개의 제2 가로 축들이 교차하는 지점들에 위치되는 제2 센싱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 N은 각각 2의 배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1 축을 따라서 M/2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1 센싱 엘리먼트들 및 M/2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2 센싱 엘리먼트들이 나열될 수 있다. 제2 축을 따라서는 N/2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1 센싱 엘리먼트들 및 N/2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2 센싱 엘리먼트들이 나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 이벤트 식별부의 제1 위치 결정부(1121)는 M/2의 해상도로 이벤트 지점을 식별할 수 있고, 제2 위치 결정부(1122)는 N/2의 해상도로 이벤트 지점을 식별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이벤트 식별부가 2개인 경우를 도시한 바, 이벤트 출력부(323)는 최종적으로 (M×N)/2개의 센싱 엘리먼트를 통해 (M×N)의 해상도로 이벤트 지점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센싱 엘리먼트들을 통해, 이벤트 어레이의 실효 해상도(effective resolution)가 개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교적 적은 개수의 센싱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높은 실효 해상도가 달성될 수 있는 바, 칩 전체의 면적이 감소될 수 있고,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센싱 엘리먼트와 이벤트 처리부 간의 통신이 복수의 이벤트 식별부들로 분산되어 처리됨으로써 이벤트 처리 속도가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장치는, 이벤트 어레이로부터 이벤트 출력부까지 이벤트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데이터 출력 장치
110: 이벤트 어레이
120: 이벤트 처리부

Claims (18)

  1. 제1 레이어에 배치된 제1 단위 셀들을 포함하는 제1 센싱 엘리먼트(sensing element) 그룹 및 제2 레이어에 배치된 제2 단위 셀들을 포함하는 제2 센싱 엘리먼트 그룹을 포함하는 이벤트 어레이;
    상기 제1 센싱 엘리먼트 그룹에 의해 검출된 제1 이벤트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이벤트 신호들에 응답하여 제1 위치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1 이벤트 식별부;
    상기 제2 센싱 엘리먼트 그룹에 의해 검출된 제2 이벤트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이벤트 신호들에 응답하여 제2 위치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2 이벤트 식별부; 및
    상기 제1 이벤트 식별부로부터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이벤트 식별부로부터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이벤트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이벤트 식별부는 복수의 제1 세로 라인들 및 복수의 제1 가로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셀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세로 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제1 가로 라인들 각각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이벤트 식별부는 복수의 제2 세로 라인들 및 복수의 제2 가로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위 셀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2 세로 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가로 라인들 각각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센싱 엘리먼트 그룹은 상기 제2 센싱 엘리먼트 그룹과 독립적이고,
    상기 제1 센싱 엘리먼트 그룹의 상기 제1 단위 셀들 및 상기 제2 센싱 엘리먼트 그룹의 상기 제2 단위 셀들은 제1 축에 대해 서로 번갈아가며 배열되고,
    상기 제1 센싱 엘리먼트 그룹의 상기 제1 단위 셀들 및 상기 제2 센싱 엘리먼트 그룹의 상기 제2 단위 셀들은 상기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에 대해 서로 번갈아가며 배열되고,
    상기 제1 단위 셀들은 상기 이벤트 어레이의 복수 행들 중 홀수 행들 및 상기 이벤트 어레이의 상기 이벤트 어레이의 복수 열들 중 홀수 열들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단위 셀들은 상기 복수 행들 중 짝수 행들 및 상기 복수 열들 중 짝수 열들에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센싱 엘리먼트 그룹의 상기 제1 단위 셀들의 제1 위치들 및 상기 제2 센싱 엘리먼트 그룹의 상기 제2 단위 셀들의 제2 위치들은 겹치지 않는 동적 비전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는 상기 제1 레이어와 다른 동적 비전 센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엘리먼트 그룹의 상기 제1 단위 셀들 각각 및 상기 제2 센싱 엘리먼트 그룹의 상기 제2 단위 셀들 각각은 상기 이벤트 어레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되는 동적 비전 센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벤트 식별부는 상기 제1 이벤트 신호들을 검출하는 상기 제1 센싱 엘리먼트 그룹의 상기 제1 단위 셀들을 나타내는 제1 어드레스를 식별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2 이벤트 식별부는 상기 제2 이벤트 신호들을 검출하는 상기 제2 센싱 엘리먼트 그룹의 상기 제2 단위 셀들을 나타내는 제2 어드레스를 식별하도록 더 구성되는 동적 비전 센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출력부는 2×M×N의 해상도로 상기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단위 셀들은 제1 세로 축들 및 제1 가로 축들이 교차하는 지점들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세로 축들의 개수는 M/√2에 대응하고, 상기 제1 가로 축들의 개수는 N/√2에 대응하고,
    상기 제2 단위 셀들은 제2 세로 축들 및 제2 가로 축들이 교차하는 지점들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세로 축들의 개수는 M/√2에 대응하고, 상기 제1 가로 축들의 개수는 N/√2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위 셀들의 수는 M×N이고, 그리고
    상기 M 및 N 각각은 0보다 큰 정수인 동적 비전 센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세로 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제1 가로 라인들은 상기 제2 단위 셀들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동적 비전 센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세로 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가로 라인들은 상기 제1 단위 셀들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동적 비전 센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60112542A 2016-09-01 2016-09-01 데이터 출력 장치 KR102621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542A KR102621725B1 (ko) 2016-09-01 2016-09-01 데이터 출력 장치
US15/600,135 US10649544B2 (en) 2016-09-01 2017-05-19 Data out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542A KR102621725B1 (ko) 2016-09-01 2016-09-01 데이터 출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631A KR20180025631A (ko) 2018-03-09
KR102621725B1 true KR102621725B1 (ko) 2024-01-05

Family

ID=6124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542A KR102621725B1 (ko) 2016-09-01 2016-09-01 데이터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49544B2 (ko)
KR (1) KR1026217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417B1 (ko) 2018-03-14 2023-09-14 소니 어드밴스드 비주얼 센싱 아게 직접 메모리 제어를 갖는 이벤트-기반 비전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4251B2 (ja) 2002-12-09 2009-05-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とその動作方法
JP4315032B2 (ja) 2004-03-22 2009-08-19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4908067B2 (ja) 2006-06-01 2012-04-0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システム
JP5664270B2 (ja) 2011-01-21 2015-02-0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KR101880998B1 (ko) * 2011-10-14 2018-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기반 비전 센서를 이용한 동작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896666B1 (ko) 2012-07-05 2018-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칩,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50014007A (ko) 2013-07-25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20150020424A (ko) 2013-08-14 2015-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로우 드라이버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와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KR102054774B1 (ko) 2013-09-10 2019-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비전 센서,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 기능을 구비한 이미지 장치
KR20150120124A (ko) 2014-04-17 2015-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이내믹 비전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모션 인식 장치
KR101534282B1 (ko) * 2014-05-07 2015-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방법이 수행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KR102392473B1 (ko) * 2014-07-14 2022-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페이싱 장치 및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631A (ko) 2018-03-09
US20180059805A1 (en) 2018-03-01
US10649544B2 (en)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1141B1 (ko) 이벤트 신호 및 영상의 저장 방법 및 저장 장치, 저장 장치로 이벤트 신호를 전송하는 비전 센서의 동작 방법
KR102523136B1 (ko) 이벤트 기반 센서 및 이벤트 기반 센서의 픽셀
US9886418B2 (en) Matrix operands for linear algebra operations
US9430069B2 (en) Touch scanning method for touch screen, touch scanning control circuit and display device
KR20140056986A (ko) 모션 센서 어레이 장치, 상기 모선 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거리 센싱 시스템, 및 거리 센싱 방법
CN108600659B (zh) 事件检测装置
EP2975558B1 (en) Interfacing apparatus and user input processing method
CN107656284B (zh) 测距装置及测距方法
KR20150120124A (ko) 다이내믹 비전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모션 인식 장치
KR102637105B1 (ko)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901170A (zh) 数据处理装置和用于误差检测与误差校正的方法
KR102621725B1 (ko) 데이터 출력 장치
KR102568410B1 (ko) 유효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한 전처리부를 포함하는 인공 지능 시스템
KR102378086B1 (ko) 이벤트 감지 장치
US7170017B2 (en) Coordinate detecting method and system for touch panel
KR102381862B1 (ko) 데이터 통신 장치
KR102392473B1 (ko) 인터페이싱 장치 및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CN107122084B (zh) 红外触摸屏上触控操作的识别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20160077600A1 (en) Switch operating device,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switch by a non-tactile translational gesture
US10609314B2 (en) High accuracy displacement detection system with offset pixel array
CN102221954B (zh) 缩放显示装置、包括该装置的电子设备和缩放显示方法
WO2018168320A1 (ja) 入力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92999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configured to generate depth map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30050081A1 (en) 3d sensing method and system using a touch panel
US9535551B2 (en)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tive sensing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