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216B1 -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 - Google Patents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216B1
KR102621216B1 KR1020200180198A KR20200180198A KR102621216B1 KR 102621216 B1 KR102621216 B1 KR 102621216B1 KR 1020200180198 A KR1020200180198 A KR 1020200180198A KR 20200180198 A KR20200180198 A KR 20200180198A KR 102621216 B1 KR102621216 B1 KR 102621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mark
worn
center
socks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501A (ko
Inventor
김명화
Original Assignee
김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화 filed Critical 김명화
Priority to KR1020200180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216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1Decoration; Mar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6Hosiery; Panti-hose with interchangeable foo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을 넣을 수 있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발에 착용할 수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전면 또는 후면의 중심, 또는 전면과 후면 사이의 중심에서 상기 몸체부와 구별되는 색으로 형성되는 센터마크;를 포함하여, 상기 센터마크가 발등의 중심선 또는 복숭아 뼈의 중심선에 위치되도록 착용하는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SOCKS HAVING CENTER MARK PATTERN}
본 발명은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은 발에 착용하는 것으로, 발을 외부에서 발생되는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착용자의 발에서 생성되는 땀을 흡수하며, 발을 따뜻하게 하기 위한 보온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실내에서 활동을 하거나 외출시 양말을 착용한다.
이와 같이 발에 착용하는 양말은 기본적으로 착용자의 발가락을 수용하는 발가락부와, 발바닥과 발등 및 발뒤꿈치를 수용하는 몸통부와, 발목을 수용하는 발목부와, 발목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양말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밴드부로 이루어진다.
최근 건조기의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건조기 사용 가정이 많아지고 있다. 세탁 건조 후 양말과 같은 작은 빨랫감들은 뒤틀려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양말을 신을 때, 뒤틀린 양말을 신음으로써, 양말 착용 시에 양말을 모양에 맞춰서 바르게 신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컬러와 다양한 무늬의 패션 양말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패션 양말을 의상과 매치하는 것이 어려워 디자인이 예쁜 패션 양말 구매를 망설이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753호(2016.02.26)
본 발명은 양말의 중심에 센터마크를 형성하여, 양말 착용시 센터마크가 중심으로 오도록 착용하여, 양말을 비틀림 없이 신을 수 있는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에 관한 것이다.
또한, 센터마크는 양말의 컬러와 구별되는 컬러로 이루어져, 센터마크를 보고 양말 선택 시 도움을 주는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을 넣을 수 있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발에 착용할 수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전면 또는 후면의 중심, 또는 전면과 후면 사이의 중심에서 상기 몸체부와 구별되는 색으로 형성되는 센터마크;를 포함하여, 상기 센터마크가 발등의 중심선 또는 복숭아 뼈의 중심선에 위치되도록 착용하는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센터마크는, 상기 몸체부의 색상과 구별되는 의상의 색상으로 형성되는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마크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색상이 배열되는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복숭아뼈 아래까지만 착용되도록 형성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몸통부가 착용되는 부분 이외의 발목 부분에 착용되는 발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와 상기 발목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필요에 따라 상기 몸통부만 착용하거나, 상기 몸통부에 상기 발목부를 부착하여 착용할 수 있는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양말의 중심에 센터마크를 형성하여, 양말 착용시 센터마크가 중심으로 오도록 착용하여, 양말을 비틀림 없이 신을 수 있다.
또한, 센터마크는 양말의 컬러와 무늬와 구별되는 컬러로 이루어져, 양말 선택 시 의상과 구별되는 양말을 착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마크와 무늬가 형성된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을 착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보호패드가 설치된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에 온도 센서와 열선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따른 구성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착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마크(20)를 포함하는 양말(1)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마크(20)와 무늬(30)가 형성된 센터마크(20)를 포함하는 양말(1)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센터마크(20)를 포함하는 양말(1)을 착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센터마크(20)를 포함하는 양말(1)은 몸체부(10) 및 센터마크(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에는 무늬(3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무늬(30)가 형성되지 않은 몸체부(10)에 센터마크(20)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무늬(30)가 형성된 몸체부(10)에 센터마크(20)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몸체부(10)는 발을 넣을 수 있는 삽입부(100)가 형성되어, 발에 착용될 수 있다. 즉, 몸체부(10)는 착용자의 발을 감싸 보호할 수 있는 일반적인 양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몸체부(10)는 발목까지 올라오는 양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발목 아래까지 착용되는 양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센터마크(20)는 몸체부(10)의 전면 또는 후면의 중심, 전면과 후면 사이의 중심에서 몸체부(10)와 구별되는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0)의 전면은 착용자의 발에 몸체부(10)가 착용되었을 때, 착용자의 발등과 발목 앞 부분에 위치하는 면을 전면, 착용자의 발바닥과 발목 뒷 부분에 위치하는 면을 후면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센터마크(20)는 몸체부(10)와 함께 일체로 재봉 및 가공되되, 색상만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센터마크(20)는 몸체부(10)와 별도로 제작되어 몸체부(10)의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센터마크(20)가 몸체부(10)의 전면 또는 후면의 중심에 형성되거나, 전면과 후면 사이의 중심에 형성되어, 양말 착용시 센터마크(20)가 중심에 위치되도록 착용하여 양말을 비틀림 없이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전면 중심에 센터마크(20)가 형성된 경우, 발목과 발등의 중심선에 센터마크(20)가 위치되도록 양말을 착용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양말을 비틀림 없이 신을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몸체부(10)의 전면과 후면 중심에 센터마크(20)가 형성된 경우, 센터마크(20)가 복숭아 뼈의 중심선을 따라 위치되도록 착용할 수 있다.
이처럼, 센터마크(20)가 몸체부(10)에 형성됨으로써, 세탁 과정, 보관 등에서 비틀려 있는 양말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센터마크(20)는 몸체부(10)의 색상과 구별되는 의상의 색상과 대응되는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0)가 보라색 양말인 경우, 센터마크(20)는 보라색과 잘 구별되는 청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몸체부(10)의 색상이 베이지 색 의상과 구별되는 경우 센터마크(20)가 베이지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의 색상과 구별되는 의상의 색상이 복수개일 경우, 센터마크(2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색상이 배열될 수 있다.
특히, 도 2와 같이 몸체부(10)에는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무늬(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센터마크(20)는 몸체부(10)의 컬러와 무늬(30)에 따라 잘 어울리는(구별되는) 의상 컬러로 이루어져, 양말 선택 시 의상과 양말을 매칭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보호패드(40)가 설치된 센터마크(20)를 포함하는 양말(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센터마크(20)를 포함하는 양말(1)은 미끄럼방지부(11), 걸이부(12) 및 발바닥보호패드(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0)에는 미끄럼방지부(11) 및 걸이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11)는 몸체부(1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바닥과 마찰이 형성되도록 하여 미끄럼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미끄럼방지부(11)는 몸체부(10)의 발바닥이 위치되는 바닥면에 형성되며, 미끄럼방지부(11)는 고무,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12)는 몸체부(10)의 발등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12)는 후술할 발바닥보호패드(40)의 돌출편(421)이 걸리도록 고정할 수 있다.
발바닥보호패드(40)는 몸체부(10)에 체결되어, 착용자가 신발 대신 양말을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평평한 바닥이 아닌 요철이 있는 바닥을 걸을 때 착용자의 발바닥과 발가락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발바닥보호패드(40)는 면이나 원단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탄성력을 가져 플렉시블하면서도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발바닥보호부(41)는 바닥보호부(41), 발가락보호부(42) 및 뒤꿈치보호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보호부(41)는 몸체부(10)의 발바닥에 해당하는 면적 이상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0)의 발바닥에 해당하는 면적이 바닥보호부(41) 상면내에 위치될 수 있다.
바닥보호부(41)의 상면에는 논슬립부재(41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보호부(41)의 상면에 몸체부(10)가 위치될 경우, 바닥보호부(41)의 논슬립부재(411)와 몸체부(10)의 미끄럼방지부(11)가 서로 밀착되며 고정될 수 있다.
발가락보호부(42)는 바닥보호부(41)의 전면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며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가락 전방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발가락보호부(42)의 단부에는 돌출편(42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편(421)은 몸체부(10)의 걸이부(12)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편(421)은 걸이부(12)에 삽입된 후 절곡되어 고정되거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걸이부(12)에 걸리는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뒤꿈치보호부(43)는 바닥보호부(41)의 후면에서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 뒤꿈치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발 뒤꿈치를 보호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뒤꿈치보호부(43)도 돌출편(421)을 포함하여 몸체부(10)의 후면에 형성된 걸이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발바닥보호패드(40)를 몸체부(10)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당이 있는 주택에서 생활에서, 테라스가 있는 마당, 잔디 마당과 주방이나 거실을 이동할 때, 발바닥보호패드(40)를 몸체부(10)에 착용하여 간편하게 신발을 벗었다 신었다 하지 않고 마당과 주방을 이동할 수 있다.
또는, 바닥이 고르지 않은 상태의 실내에서 이동이 필요한 경우 발바닥보호패드(40)를 몸체부(10)에 체결하여 발을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마크(20)를 포함하는 양말(1)에 온도 센서와 열선(60)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센터마크(20)를 포함하는 양말(1)은 온도센서(50), 열선(60), 제어부(70) 및 습도센서(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50)는 몸체부(10)의 발등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50)는 몸체부(10)의 발등 부분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발 체온과, 외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센서(50)는 외부온도감지부(51) 및 내부온도감지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온도감지부(51)는 외부 온도를 감지하고, 내부온도감지부(52)는 몸체부(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착용자의 발 체온을 감지할 수 있다.
열선(60)은 몸체부(10)의 발등 부분과 발 뒤꿈치 부분에 설치되어, 소정의 온도로 발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온도센서(50), 열선(60) 및 습도센서(80)와 연결되어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수족냉증감지부(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습도센서(80)는 몸체부(10)의 발등 부분에 설치되어, 몸체부(1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외부온도감지부(51)와 내부온도감지부(52)에서 측정한 외부 온도와 발 체온을 전송받아, 열선(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 온도가 낮고, 발 체온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 낮게 나오는 경우, 열선(60)을 자동으로 작동시켜, 추운 날씨에도 착용자의 발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외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높게 나올 때, 발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 낮게 나오는 경우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되는 경우 수족냉증감지부(71)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 등으로 수족냉증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습도센서(80)에서 몸체부(10) 내부의 습도가 높아지면 열선(60)의 작동을 off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예로, 습도가 높은 것은 몸체부(10) 내부에 땀이 많이 찬 상태로, 이러한 상태가 계속 유지되면 습진, 무좀 등의 질병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0) 내부에 땀이 차서 습도센서(80)에서 습도가 높게 나타나면 열선(60)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터마크(20)를 포함하는 양말(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몸체부(10)는 몸통부(110)와 발목부(120)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서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몸통부(110)는 복숭아뼈 아래까지만 착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몸통부(110)는 발목 양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발목부(120)는 몸통부(110)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몸통부(110)가 착용되는 부분 이외의 발목 부분에 착용될 수 있다.
몸통부(110)와 발목부(120)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필요에 따라 몸통부(110)만 착용하여 발목 양말 형태로 착용할 수 있다. 또는, 몸통부(110)에 발목부(120)를 부착하여 긴 양말 형태로 착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통부(110)에는 발이 삽입될 수 있는 입구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발목부(120)는 하단과 상단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착용자의 발목을 감싸도록 밴드부(121)가 형성될 수 있고, 하단에는 몸통부(110)의 입구부(111)에 결합되는 결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22)에는 단추(123)가 형성되어, 입구부(111) 내부에 단추고리(미도시)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단추(123)는 결합부(122)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어, 입구부(111) 내부에서 복수의 지점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날씨와 의상에 따라 발목 양말 형태가 필요한 경우 몸통부(110)와 발목부(120)를 분리하여 몸통부(110)만 신을 수 있다. 또는, 긴 양말 형태가 필요한 경우 몸통부(110)와 발목부(120)를 체결하여 신을 수 있다.
또한, 이처럼 몸통부(110)와 발목부(120)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경우, 센터마크(20)는 몸통부(110)와 발목부(120) 각각에서 전면 또는 후면의 중심, 또는 전면과 후면 사이의 중심에서 몸체부와 구별되는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
10: 몸체부 100: 삽입부
11: 미끄럼방지부 12: 걸이부
110: 몸통부 111: 입구부
120: 발목부 121: 밴드부
122: 결합부 123: 단추
20: 센터마크 30: 무늬
40: 발바닥보호패드 41: 바닥보호부
411: 논슬립부재 42: 발가락보호부
421: 돌출편 43: 뒤꿈치보호부
50: 온도센서 51: 외부온도감지부
52: 내부온도감지부 60: 열선
70: 제어부 71: 수족냉증감지부
80: 습도센서

Claims (4)

  1. 발을 넣을 수 있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발에 착용할 수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면 또는 후면의 중심, 또는 전면과 후면 사이의 중심에서 상기 몸체부와 구별되는 색으로 형성되는 센터마크;
    상기 몸체부에 체결되어, 착용자의 발바닥과 발가락을 보호할 수 있도록, 고무나 실리콘 같은 재질의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발바닥보호패드;
    상기 몸체부의 발등 부분에 설치되며,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외부온도감지부와, 착용자의 발 체온을 감지하는 내부온도감지부를 포함하는 온도센서;
    상기 몸체부의 발등 부분과 발 뒤꿈치 부분에 설치되어 소정의 온도로 발열하는 열선; 및
    상기 외부온도감지부에서 측정한 외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보다 낮고, 상기 내부온도감지부에서 측정한 발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보다 낮은 경우, 열선을 작동시켜서 추운 날씨에도 착용자의 발을 보호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온도감지부에서 측정한 외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보다 높고, 상기 내부온도감지부에서 측정한 발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보다 낮은 경우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되는 경우, 수족냉증 상태로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수족냉증 상태를 전송할 수 있는 수족냉증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에는,
    발바닥이 위치되는 바닥면에 형성되어, 바닥과 마찰이 형성되도록 하여 미끄럼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부; 및
    발등 부분에 형성되는 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바닥보호패드는,
    상기 몸체부의 발바닥에 해당하는 면적 이상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상기 몸체부의 발바닥에 해당하는 면적이 위치되고, 상면에는 논슬립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논슬립부재와 상기 미끄럼방지부가 서로 밀착되며 고정되는 바닥보호부;
    상기 바닥보호부의 전면에서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가락 전방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발가락보호부;
    상기 바닥보호부의 후면에서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 뒤꿈치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뒤꿈치보호부; 및
    상기 발가락보호부의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의 걸이부에 걸릴 수 있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편;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마크가 발등의 중심선 또는 복숭아 뼈의 중심선에 위치되도록 착용하는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터마크는,
    상기 몸체부의 색상과 구별되는 색상으로 형성되는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터마크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색상이 배열되어 형성되는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복숭아뼈 아래까지만 착용되도록 형성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몸통부가 착용되는 부분 이외의 발목 부분에 착용되는 발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와 상기 발목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필요에 따라 상기 몸통부만 착용하거나, 상기 몸통부에 상기 발목부를 부착하여 착용할 수 있는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
KR1020200180198A 2020-12-21 2020-12-21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 KR102621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198A KR102621216B1 (ko) 2020-12-21 2020-12-21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198A KR102621216B1 (ko) 2020-12-21 2020-12-21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501A KR20220089501A (ko) 2022-06-28
KR102621216B1 true KR102621216B1 (ko) 2024-01-04

Family

ID=82268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198A KR102621216B1 (ko) 2020-12-21 2020-12-21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2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1225B2 (ja) 1995-06-09 2001-09-25 マックス株式会社 空気圧式釘打機の減音機構
JP2019077972A (ja) * 2017-10-26 2019-05-23 アルケア株式会社 靴下
CN111109693A (zh) * 2020-01-11 2020-05-08 浪莎针织有限公司 一种抗菌耐磨防水针织鞋袜及其加工方法
US20210259328A1 (en) 2020-02-26 2021-08-26 Susan Jones Sloughing skin sock
US20220110374A1 (en) 2020-10-14 2022-04-14 Mauricio Leal Fernández Method to identify the pairs of clothing items for fee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461A (ko) * 2002-11-20 2002-12-26 이재진 오른쪽, 왼쪽 구분이 용이한 문자가 표시된 양말
KR20160027508A (ko) * 2014-08-30 2016-03-10 김경복 양말
KR200479753Y1 (ko) 2014-12-12 2016-03-09 안정후 발가락 양말
JP3211225U (ja) * 2017-04-17 2017-06-29 Dr.C医薬株式会社 ストッキング
KR102033726B1 (ko) * 2017-04-28 2019-11-08 주식회사 스태프프로젝트 당뇨환자를 위한 IoT 발열 양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1225B2 (ja) 1995-06-09 2001-09-25 マックス株式会社 空気圧式釘打機の減音機構
JP2019077972A (ja) * 2017-10-26 2019-05-23 アルケア株式会社 靴下
CN111109693A (zh) * 2020-01-11 2020-05-08 浪莎针织有限公司 一种抗菌耐磨防水针织鞋袜及其加工方法
US20210259328A1 (en) 2020-02-26 2021-08-26 Susan Jones Sloughing skin sock
US20220110374A1 (en) 2020-10-14 2022-04-14 Mauricio Leal Fernández Method to identify the pairs of clothing items for f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501A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8342B2 (en) Infant clothing with traction devices
KR101563440B1 (ko) 애완동물용 의류
KR200474152Y1 (ko) 벗겨짐 방지용 덧버선
KR101642339B1 (ko) 장화
WO2013139280A1 (zh) 宠物袜及其制造方法
US20090241380A1 (en) Boot glove incorporated with boot glove sock
US10342267B2 (en) Dual layer slipper so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2621216B1 (ko) 센터마크를 포함하는 양말
US20140345033A1 (en) Sock construction
US2440563A (en) Storm boot with removable protective lining
US20130227765A1 (en) Mitten and Sock Locks
US3380178A (en) Heel garment and combination footwear and heel garment
WO2015184195A1 (en) Decorative sock stabilizer
US20160353808A1 (en) Sock for use when cleaning
US155968A (en) Improvement in inlays for sandal boots and shoes
US2450968A (en) Stocking protector
TW201936076A (zh)
TWM554271U (zh) 襪體防脫結構
CN217851391U (zh) 一种抗起球防勾丝的运动袜
CN214386119U (zh) 负离子远红外线袜子
CN211483157U (zh) 一种滑雪靴用石墨烯加热鞋套
CN116210992A (zh) 一种具有抗菌防滑压力的多功能袜子
CN213695730U (zh) 一种抗菌船袜
CN220916625U (zh) 一种耐磨护脚袜
CN211211470U (zh) 一种儿童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