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983B1 - 인공 지능 자연어 처리 기반의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요구사항 검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 지능 자연어 처리 기반의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요구사항 검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983B1
KR102620983B1 KR1020230101200A KR20230101200A KR102620983B1 KR 102620983 B1 KR102620983 B1 KR 102620983B1 KR 1020230101200 A KR1020230101200 A KR 1020230101200A KR 20230101200 A KR20230101200 A KR 20230101200A KR 102620983 B1 KR102620983 B1 KR 102620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user terminal
information
adjustmen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1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현
김홍범
김범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웨이
Priority to KR1020230101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10Requirements analysis; Specific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06F21/445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by mutual authentication, e.g. between devices or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구사항을 전송받아 저장하는 입력부; 입력부에 저장된 요구사항을 인식하고 분석하여 검증 정보로 생성하는 인식부; 품질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검증 정보를 검증하고 품질 점수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품질 정보 및 산출된 품질 점수에 따라 제공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 지능 자연어 처리 기반의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System for verifying system requirements and software requirem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본 발명은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거나 유지 보수할 때 요구사항에 대한 품질 및 적합성을 검증하여 요구사항에 따른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 지능 자연어 처리 기반의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자 산업, 통신기기 산업, 자동차 산업, 항공 산업, 의료 산업 등과 같은 다양한 산업 분야는 4차 산업 혁명의 영향으로 전자 제어 장치 및 소프트웨어의 개발 비중이 높아지고 전자 제어 장치 및 소프트웨어의 복잡도도 증대되고 있다. 이로 인해, 신뢰성 높은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신뢰성 높은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서 설계 및 시험의 기반이 되는 요구사항의 품질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 산업 표준에 따른 요구사항의 검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요구사항은 자연어로 작성되기에 작성자(예를 들어, 관리자, 엔지니어 등)의 역량에 따라 모호함, 불명확함 등의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검토자는 작성된 요구사항을 수작업 리뷰 방식으로 검토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요구사항의 검증에 따른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요구사항을 검증하고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거나 유지 보수할 때 요구사항에 대한 품질 및 적합성을 검증하여 개발자에게 적절한 요구사항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개발 또는 유지 보수에 대한 요구사항의 검증에 따른 시간 및 노력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요구사항의 오류로 인한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오류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신뢰성 높은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구사항을 전송받아 저장하는 입력부; 입력부에 저장된 요구사항을 인식하고 분석하여 검증 정보로 생성하는 인식부; 품질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검증 정보를 검증하고 품질 점수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품질 정보 및 산출된 품질 점수에 따라 제공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요구사항은 자연어로 이루어지고, 인식부는 요구사항을 거대 언어 모델 기반의 인공 지능 자연어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인식하고 분석하며,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검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품질 정보는 요구사항의 형식에 대한 품질 규칙 및 산업 관련 표준 규칙의 내용에 대한 품질 규칙을 포함하고, 처리부는 검증 정보에 대한 품질 규칙의 내용 및 품질 규칙의 충족 정도에 따라 상이하게 품질 규칙별로 수치값인 품질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공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결과 정보를 포함하고, 결과 정보는 품질 규칙의 내용, 품질 규칙에 대응하는 품질 점수 및 품질 점수에 따른 조치 내용을 포함하고, 결과 정보는 품질 규칙 및 품질 규칙에 대응하는 품질 점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유도부는 복수 개의 결과 정보를 저장하며, 처리부에 의한 품질 규칙 및 품질 점수에 대응되는 결과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 정보를 제공 정보에 포함시켜 제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유도부는 제공 정보를 대시보드 형태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는 케라스(Keras) 또는 텐서플로(Tensorflow)를 이용한 머신 러닝 프레임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부에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입력부로부터 요청 정보에 따른 인증 정보를 전송받으며, 인증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부로 전송하고, 입력부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된 인증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정보가 일치할 때,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받은 요구사항을 입력부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의 일면에 위치되고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용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터치된 인증용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의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단말기의 일면에서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이격되고 사용자 단말기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카메라 또는 센서 형태의 디텍터부를 포함하며,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의 상면에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인증용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보조 개구가 형성되고, 각각의 보조 개구의 양측면에는 오목하게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보조 개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이동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하면의 제 1 종단 부분에는 디텍터 마크가 형성된 보조 플레이트; 보조 플레이트의 하면 양측에 보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한 쌍의 결합 가이드; 및 각각 보조 개구에 대응하도록 보조 플레이트에 위치되어 보조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보조 조절부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결합 가이드들 사이에 위치되어 결합 가이드들에 결합되고, 사용자 단말기의 상면에는 보조 플레이트가 위치되며, 디텍터부는 디텍터 마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보조 조절부는 보조 개구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고, 디텍터부가 디텍터 마크를 검출하고 검출된 디텍터 마크가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할 때,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된 인증 정보를 포함한 인증용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인증 정보에 따라 보조 조절부를 조절하여 보조 개구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조절부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되, 보조 개구의 제 1 종단면에 보조 개구의 제 1 종단면을 따라 위치된 조절 몸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보조 개구의 제 1 종단면의 반대편인 제 2 종단면에 인접하도록 보조 플레이트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는 조절 와인더; 막대 형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지되, 보조 개구의 제 1 종단면과 제 2 종단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보조 개구에 위치되고, 양종단 부분이 각각 이동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조절 이동체;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조절 와인더 및 조절 이동체에 연결되고, 조절 와인더로부터 조절 와인더에 감기는 힘을 전달받는 조절 시트; 및 각각 인장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보조 개구의 제 1 종단면과 조절 이동체 사이에 위치되어 보조 개구의 제 1 종단면과 조절 이동체를 연결하고, 사이에는 조절 몸체가 위치되는 한 쌍의 조절 연결체를 포함하되, 보조 조절부가 보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조절 몸체는 조절 이동체와 상이한 극성을 갖고 조절 이동체와의 사이에서 인력을 발생시키며, 조절 몸체와 조절 이동체 사이의 인력 및 조절 이동체를 조절 몸체에 근접하도록 위치시키고자 하는 조절 연결체의 힘의 합은 조절 시트를 감고자 하는 조절 와인더의 힘보다 커서, 조절 시트는 조절 와인더로부터 풀린 상태로 펼쳐져 보조 개구를 폐쇄한 상태로 위치되며, 인증 정보에 포함된 부호에 대응되는 보조 개구의 보조 조절부에서 조절 몸체는 조절 이동체와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조절되고 조절 이동체와의 사이에서 척력을 발생시키고, 조절 몸체와 조절 이동체 사이의 척력 및 조절 시트를 감고자 하는 조절 와인더의 힘의 합은 조절 이동체를 조절 몸체에 근접하도록 위치시키고자 하는 조절 연결체의 힘보다 커서 조절 시트는 조절 와인더에 감기면서 조절 이동체를 조절 와인더에 근접하도록 이동시켜 보조 개구를 개방하며, 조절 연결체는 신장되면서 복원력을 축적하고, 인증 정보에 포함된 부호가 개방된 보조 개구를 통해 노출된 상태에서 보조 개구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의 부호가 터치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되고, 디스플레이부에서 삭제되며,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 정보를 입력부에 전송한 이후에, 사용자 단말기는 개방된 보조 개구들을 폐쇄하도록 보조 조절부를 조절하고, 개방된 복수 개의 보조 개구의 각각에 대응되는 보조 조절부에서 조절 몸체는 조절 이동체와 상이한 극성을 갖도록 조절되고 조절 이동체와의 사이에서 인력을 발생시키며, 조절 몸체와 조절 이동체 사이의 인력 및 조절 연결체의 복원력의 합은 조절 시트를 감고자 하는 조절 와인더의 힘보다 커서, 조절 이동체는 조절 몸체와 조절 연결체에 의해 조절 몸체에 근접하도록 이동되고, 조절 시트는 조절 와인더로부터 풀려 펼쳐져 개방된 보조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거나 유지 보수하는 과정에서, 요구사항에 대한 품질 및 적합성이 검증되어 적절한 요구사항이 개발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2)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개발 또는 유지 보수에 대한 요구사항의 검증에 따른 시간 및 노력이 현저하게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3) 요구사항의 오류로 인한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오류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신뢰성 높은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가 개발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의 실시 흐름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에 적용되는 보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에 적용되는 보조 장치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수행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100)의 실시 흐름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100)의 동작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0)와 네트워크(1)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입력부(101), 인식부(102), 처리부(103) 및 유도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요구사항을 갖고 있는 사람으로써,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의뢰한 사람,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개발자를 관리하는 관리자,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개발자 등일 수 있다.
또한, 입력부(101), 인식부(102), 처리부(103) 및 유도부(104)는 프로세서, 메모리, 데이터 송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100)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0)에서 구동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웹 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한 후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100)에 접속하도록 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에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100)에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네트워크(1)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탑(Desktop), 랩탑(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는, 복수의 단말기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부(101)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요구사항을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S101). 여기서, 요구사항은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에서 적용되어야 할 내용,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고려하거나 주의하여야 할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은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과 같은 자연어로 이루어질 수 있고, 텍스트 또는 음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요구사항을 사용자 단말기(10)에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요구사항을 입력부(101)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01)는 음성으로 이루어진 요구사항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인식부(102)는 요구사항을 인식하고 분석하여 검증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S102). 여기서, 인식부(102)는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과 같은 자연어로 이루어진 요구사항을 자연어 처리 방식으로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고, 요구사항을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변환시킴으로써 검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검증 정보는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요구사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식부(102)는 거대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 기반의 인공 지능 자연어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으로 이루어진 요구사항을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처리부(103)는 품질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검증 정보를 검증하고 품질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S103). 여기서, 품질 정보는 요구사항의 내용 및 형식에 대한 규칙을 의미할 수 있고, 복수 개의 품질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품질 정보는 요구사항의 형식에 대하여, '요구사항은 2개 이상의 의미를 갖는 문장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즉, 요구사항은 접속사(예를 들어, 그리고, 그러나 등)을 포함하지 않는다)', '요구사항은 불명확한 단어(예를 들어, 빠른, 깨끗한 등)를 포함하지 않는다', '요구사항은 수치와 단위를 함께 포함한다' 등의 품질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품질 정보는 요구사항의 내용에 대하여, 산업 관련 표준 규칙의 내용에 대응되는 품질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산업 관련 표준 규칙은 ISO 26262, IEC 61508, INCOSE에서 발행한 "Guide for Writing Requirements" 등일 수 있다.
또한, 처리부(103)는 품질 정보를 저장하되, 품질 규칙을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처리부(103)는 검증 정보에 대하여 품질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검증 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103)는 검증 정보의 각각에 대하여 '요구사항은 2개 이상의 의미를 갖는 문장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요구사항은 불명확한 단어(예를 들어, 빠른, 깨끗한, 큰 등)를 포함하지 않는다', '요구사항은 수치와 단위를 함께 포함한다' 등을 포함한 품질 규칙의 각각을 적용하여 품질 규칙의 충족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103)는 검증 정보에 대한 검증을 통해 품질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품질 점수는 검증 정보에 대한 품질 규칙의 내용 및 품질 규칙의 충족 정도에 따라 상이하게 품질 규칙별로 수치값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의미만을 포함하는 검증 정보의 품질 점수는 2개 이상의 의미를 포함하고 접속사를 포함한 검증 정보의 품질 점수보다 높을 수 있고, 불명확한 단어를 포함하지 않는 검증 정보의 품질 점수는 불명확한 단어를 포함한 검증 정보의 품질 점수보다 높을 수 있으며, 수치와 단위를 함께 포함한 검증 정보의 품질 점수는 수치만을 포함한 검증 정보의 품질 점수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불명확한 단어를 포함하지 않는 검증 정보의 품질 점수는 수치와 단위를 함께 포함한 검증 정보의 품질 점수보다 높을 수 있다. 여기서, 품질 점수가 높을수록 요구사항의 품질 및 적합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할 수 있고, 품질 점수가 낮을수록 요구사항의 품질 및 적합성이 열등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처리부(103)는 품질 규칙별 품질 점수의 만점을 합산하여 기준 점수를 산출할 수 있고, 품질 규칙별로 산출된 품질 점수를 합산하여 합산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부(103)는 합산 점수를 기준 점수로 나누어 품질 달성율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품질 달성율은 품질 정보에 대한 검증 정보의 충족 정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품질 달성율이 1에 근접할수록 요구사항의 품질 및 적합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할 수 있고, 품질 달성율이 0에 근접할수록 요구사항의 품질 및 적합성이 열등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103)는 케라스(Keras) 또는 텐서플로(Tensorflow)를 이용한 머신 러닝 프레임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부(103)는 품질 정보에 포함된 품질 규칙을 학습하여 저장할 수 있고, 검증 정보를 검증하고 품질 점수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학습할 수 있다.
유도부(104)는 품질 정보 및 산출된 품질 점수에 따라 제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04). 여기서, 제공 정보는 품질 정보의 품질 규칙과 품질 점수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결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과 정보는 품질 규칙 및 품질 규칙에 대응하는 품질 점수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각각 품질 규칙의 내용, 품질 규칙에 대응하는 품질 점수, 품질 점수에 따른 조치 내용 등을 포함하고 텍스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치 내용은 요구사항에서 수정해야 한 내용, 앞으로 주의하거나 고려해야 할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품질 점수가 설정치 이하인 경우에, 결과 정보는 품질 점수에 따른 조치 내용을 포함할 수 있고, 품질 점수가 설정치보다 큰 경우에, 결과 정보는 품질 점수에 따른 조치 내용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요구사항의 품질 및 적합성이 열등한 경우에만 결과 정보는 조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도부(104)는 복수 개의 결과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처리부(103)에 의한 품질 규칙 및 품질 점수에 대응되는 결과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결과 정보를 제공 정보에 포함시켜 제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유도부(104)는 텍스트 형태의 제공 정보를 대시 보드(dashboard)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대시 보드는 제공 정보를 표, 그래프 등을 포함한 형태로 표시한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유도부(104)는 제공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할 수 있다(S105). 사용자 단말기(10)에는 제공 정보가 출력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제공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공 정보는 대시 보드(dashboard)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용이하게 제공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제공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품질 정보의 품질 규칙에 맞도록 용이하게 자신의 요구사항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100)은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거나 유지 보수하는 과정에서의 요구사항을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고, 자연어 형태로 이루어진 요구사항을 인식부(102)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검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검증 정보는 처리부(103)를 통해 품질 정보의 품질 규칙을 바탕으로 하여 검증되고, 처리부(103)는 검증 정보에 대한 품질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품질 점수는 품질 규칙과 조합하여 유도부(104)를 통해 제공 정보로 생성되고, 제공 정보는 유도부(104)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제공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제공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자신에 의한 요구사항의 품질 및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고 요구사항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요구사항은 제공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품질 규칙에 맞도록 사용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100)은 요구사항에 대한 검증에 따른 시간 및 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공 정보를 이용하여 품질 규칙에 맞도록 요구사항을 수정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품질 규칙을 고려한 적절한 요구사항을 생성하여 개발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100)은 적절한 요구사항을 생성할 수 있어, 요구사항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요구사항의 오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오류가 감소될 수 있어,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는 양호한 품질 및 적합성을 갖는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개발되어 높은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100)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적용되는 보조 장치(10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100)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적용되는 보조 장치(1000)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는 보조 장치(1000)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입력부(101)에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입력부(101)로부터 요청 정보에 따른 인증 정보를 전송받아 인증 정보에 따라 보조 장치(1000)를 작동시켜 인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받은 인증 정보를 입력부(101)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정보는 복수 개의 부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부호는 숫자, 문자, 기호 등일 수 있다. 입력부(101)에서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된 인증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정보가 일치할 때, 입력부(101)는 인증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10)에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0)는 알림 신호를 전송받은 후에 요구사항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요구사항을 입력부(101)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스마트폰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사용자 단말기(10)의 일면에 위치되고 인증 정보를 포함한 인증용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인증용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10)에 입력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의 디스플레이부(11) 및 사용자 단말기(10)의 일면에서 디스플레이부(11)로부터 이격되고 사용자 단말기(10)의 제 1 종단 부분(도 4의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상단 부분 참조)에 위치되는 카메라 또는 센서 형태의 디텍터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용 데이터는 인증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10)에 결합되고, 사용자 단말기(10)에 대응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된 인증 정보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보조 장치(1000)가 작동될 때, 사용자 단말기(10)는 보조 장치(100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에 디스플레이된 인증용 데이터에서 인증 정보만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보조 장치(1000)는 보조 플레이트(1100), 결합 가이드(1200) 및 보조 조절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플레이트(110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상면에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조 플레이트(1100)에는 보조 개구(1001) 및 이동 가이드홈(1002)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개구(100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사용자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에 디스플레이되는 하나의 인증용 데이터에 대응되는 크기로 보조 플레이트(1100)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개구(100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플레이트(1100)가 사용자 단말기(10)의 상면에 위치될 때, 보조 개구(1001)들은 각각 인증용 데이터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동 가이드홈(1002)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보조 개구(1001) 각각의 양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가이드홈(1002)은 보조 플레이트(1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플레이트(1100)의 하면의 제 1 종단 부분(도 4의 보조 플레이트(1100)에서 상단 부분 참조)에는 디텍터 마크(M)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텍터 마크(M)는 QR 코드, 바 코드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플레이트(1100)가 사용자 단말기(10)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디텍터 마크(111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디텍터부(12)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디텍터부(12)는 디텍터 마크(M)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된 디텍터 마크(M)가 사용자 단말기(10)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할 때, 사용자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는 인증 정보를 포함한 인증용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0)는 보조 장치(1000)에 연결되어, 인증 정보에 따라 보조 장치(1000), 특히, 구체적으로 후술될 보조 조절부(1300)를 조절할 수 있다.
결합 가이드(12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보조 플레이트(1100)의 하면 양측에 보조 플레이트(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가 결합 가이드(1200)들 사이에 위치될 때, 사용자 단말기(10)는 결합 가이드(1200)들에 결합되고, 사용자 단말기(10)의 상면에는 보조 플레이트(1100)가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에 디스플레이되는 인증용 데이터는 보조 플레이트(1100)의 보조 개구(1001)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0)의 디텍터부(12)는 보조 플레이트(1100)의 디텍터 마크(M)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보조 조절부(130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보조 개구(1001)에 대응하도록 보조 플레이트(1100)에 위치되어 보조 개구(1001)를 개폐할 수 있다. 특히, 보조 조절부(1300)는 보조 개구(1001)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고 보조 장치(1000)에 결합된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된 인증 정보에 따라 보조 개구(1001)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조절부(1300)는 조절 몸체(1301), 조절 와인더(1302), 조절 이동체(1303), 조절 시트(1304) 및 조절 연결체(1305)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 몸체(1301)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되, 보조 개구(1001)의 제 1 종단면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조절 몸체(1301)는 보조 개구(1001)의 제 1 종단면을 따라 위치되고 보조 개구(1001)의 제 1 종단면에 삽입되어 보조 개구(1001)의 제 1 종단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조절 몸체(1301)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기(10)에 의해 조절되어, 극성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조절 몸체(1301)는 N극을 가질 수도 있고 S극을 가질 수도 있다.
조절 와인더(1302)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보조 개구(1001)의 제 1 종단면의 반대편인 제 2 종단면에 인접하도록 보조 플레이트(11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 와인더(1302)는 보조 개구(1001)의 제 2 종단면을 따라 위치되고 후술될 조절 시트(1304)를 감고자 하는 힘을 조절 시트(1304)에 전달할 수 있다.
조절 이동체(1303)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보조 개구(1001)의 제 1 종단면과 제 2 종단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보조 개구(1001)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 이동체(1303)의 양종단 부분은 각각 이동 가이드홈(100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절 이동체(1303)는 이동 가이드홈(1002)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또한, 조절 이동체(1303)는 일정한 극성을 갖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조절 이동체(1303)는 변경되는 극성을 가질 수 있는 조절 몸체(1301)와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거나, 상이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조절 시트(1304)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조절 와인더(1302) 및 조절 이동체(1303)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 시트(1304)는 조절 이동체(1303)의 길이에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종단은 조절 이동체(1303)에 연결되고, 제 1 종단의 반대편인 제 2 종단은 조절 와인더(130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조절 와인더(1302)는 조절 시트(1304)를 감으면서 조절 이동체(1303)를 조절 와인더(1302)를 향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조절 시트(1304)는 보조 개구(1001)를 점점 개방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조절 연결체(1305)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인장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절 연결체(1305)는 각각 보조 개구(1001)의 제 1 종단면과 조절 이동체(1303) 사이에 위치되어 보조 개구(1001)의 제 1 종단면과 조절 이동체(1303)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 몸체(1301)는 조절 연결체(1305)들 사이에 위치되고, 조절 연결체(1305)는 조절 이동체(1303)를 조절 몸체(1301)에 근접하도록 위치시키고자 할 수 있다. 또한, 조절 이동체(1303)가 조절 몸체(1301)로부터 이격될수록 조절 연결체(1305)는 신장되고 원래 형태로 복원되고자 하는 복원력을 축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조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적용되어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우선, 보조 장치(1000)가 사용자 단말기(1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는 결합 가이드(1200)들 사이에 위치되어 보조 장치(10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플레이트(110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상면에 위치되고, 보조 조절부(1300)는 보조 플레이트(1100)의 보조 개구(1001)를 폐쇄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보조 조절부(1300)가 보조 개구(1001)를 폐쇄한 상태에서, 조절 몸체(1301)는 조절 이동체(1303)와 상이한 극성을 갖고, 조절 이동체(1303)와의 사이에서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 이동체(1303)는 S극을 갖고 조절 몸체(1301)는 N극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조절 몸체(1301)와 조절 이동체(1303) 사이의 인력 및 조절 이동체(1303)를 조절 몸체(1301)에 근접하도록 위치시키고자 하는 조절 연결체(1305)의 힘의 합은 조절 시트(1304)를 감고자 하는 조절 와인더(1302)의 힘보다 클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절 시트(1304)는 조절 와인더(1302)로부터 풀린 상태로 펼쳐져 보조 개구(1001)를 폐쇄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도 5(a) 참조).
또한, 보조 플레이트(1100)가 사용자 단말기(10)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보조 플레이트(1100)의 디텍터 마크(M)는 사용자 단말기(10)의 디텍터부(12)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디텍터부(12)는 디텍터 마크(1110)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디텍터 마크(M)가 사용자 단말기(10)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할 때, 사용자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된 인증 정보를 포함한 인증용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0)는 보조 장치(1000)에 연결되어, 인증 정보에 따라 보조 조절부(1300)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부(11)에 디스플레이된 인증용 데이터에서 인증 정보에 포함된 첫번째 부호에 대응되는 보조 개구(1001)를 개방하도록 보조 조절부(1300)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정보에 포함된 첫번째 부호에 대응되는 보조 개구(1001)의 보조 조절부(1300)에서 조절 몸체(1301)는 조절 이동체(1303)와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조절되고, 조절 이동체(1303)와의 사이에서 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 이동체(1303)는 S극을 갖고 조절 몸체(1301)는 S극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몸체(1301)와 조절 이동체(1303) 사이의 척력 및 조절 시트(1304)를 감고자 하는 조절 와인더(1302)의 힘의 합은 조절 이동체(1303)를 조절 몸체(1301)에 근접하도록 위치시키고자 하는 조절 연결체(1305)의 힘보다 클 수 있다. 이로 인해, 인증 정보에 포함된 첫번째 부호에 대응되는 보조 개구(1001)의 보조 조절부(1300)에서 조절 시트(1304)는 조절 와인더(1302)에 감기면서 조절 이동체(1303)를 조절 와인더(1302)에 근접하도록 이동시켜, 인증 정보에 포함된 첫번째 부호에 대응되는 보조 개구(1001)는 점점 개방될 수 있다(도 5(b) 참조). 조절 연결체(1305)는 신장되고 원래 형태로 복원되고자 하는 복원력을 축적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에 디스플레이된 인증 정보에 포함된 첫번째 부호는 보조 개구(1001)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보조 개구(1001)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의 인증 정보에 포함된 첫번째 부호를 터치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 입력할 수 있고, 터치된 인증 정보에 포함된 첫번째 부호는 디스플레이부(11)에서 삭제될 수 있다.
인증 정보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11)의 첫번째 부호가 사용자 단말기(10)에 입력된 이후에, 인증 정보에 포함된 두번째 부호에 대응되는 보조 개구(1001)의 보조 조절부(1300)에서 조절 몸체(1301)는 조절 이동체(1303)와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조절되고, 조절 이동체(1303)와의 사이에서 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조절 몸체(1301)와 조절 이동체(1303) 사이의 척력 및 조절 시트(1304)를 감고자 하는 조절 와인더(1302)의 힘의 합은 조절 이동체(1303)를 조절 몸체(1301)에 근접하도록 위치시키고자 하는 조절 연결체(1305)의 힘보다 클 수 있다. 이로 인해, 인증 정보에 포함된 두번째 부호에 대응되는 보조 개구(1001)의 보조 조절부(1300)에서 조절 시트(1304)는 조절 와인더(1302)에 감기면서 조절 이동체(1303)를 조절 와인더(1302)에 근접하도록 이동시켜, 인증 정보에 포함된 두번째 부호에 대응되는 보조 개구(1001)는 점점 개방될 수 있다. 조절 연결체(1305)는 복원력을 축적하면서 신장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에 디스플레이된 인증 정보에 포함된 두번째 부호는 보조 개구(1001)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보조 개구(1001)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의 인증 정보에 포함된 두번째 부호를 터치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 입력할 수 있고, 터치된 인증 정보에 포함된 두번째 부호는 디스플레이부(11)에서 삭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증 정보에 따른 보조 개구(1001)를 개방하기 위한 보조 조절부(1300)의 작동 및 개방된 보조 개구(1001)를 통한 인증 정보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의 터치가 인증 정보에 포함된 부호의 순서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보조 개구(1001)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의 인증 정보에 포함된 마지막 부호를 터치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 입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1)의 인증 정보에 포함된 마지막 부호는 디스플레이부(11)에서 삭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인증 정보를 입력부(101)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가 인증 정보를 입력부(101)에 전송한 이후에, 사용자 단말기(10)는 개방된 보조 개구(1001)들을 폐쇄하도록 보조 조절부(1300)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개방된 복수 개의 보조 개구(1001)의 각각에 대응되는 보조 조절부(1300)에서 조절 몸체(1301)는 조절 이동체(1303)와 상이한 극성을 갖도록 조절되고, 조절 이동체(1303)와의 사이에서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 이동체(1303)는 S극을 갖고 조절 몸체(1301)는 다시 N극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조절 몸체(1301)와 조절 이동체(1303) 사이의 인력 및 조절 연결체(1305)의 복원력의 합은 조절 시트(1304)를 감고자 하는 조절 와인더(1302)의 힘보다 클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절 이동체(1303)는 조절 몸체(1301)와 조절 연결체(1305)에 의해 조절 몸체(1301)에 근접하도록 이동되면서 조절 시트(1304)를 조절 와인더(1302)로부터 풀어 펼치고, 개방된 보조 개구(1001)는 점점 폐쇄될 수 있다(도 5(c) 참조). 즉, 보조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데에 이용된 이후에 보조 개구(1001)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10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에 보조 장치(1000)가 적용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된 인증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인증 정보를 포함한 인증용 데이터는 보조 장치(1000)를 이용하여 인증 정보에 따라 순차적으로 확인되고 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인증 정보에 포함된 부호를 하나씩 확인하면서 사용자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를 터치하면서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사용자 단말기(10)에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입력부(101)에 전송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수행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수행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조절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 또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100: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
101: 입력부
102: 인식부
103: 처리부
104: 유도부

Claims (10)

  1.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구사항을 전송받아 저장하는 입력부;
    입력부에 저장된 요구사항을 인식하고 분석하여 검증 정보로 생성하는 인식부;
    품질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검증 정보를 검증하고 품질 점수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품질 정보 및 산출된 품질 점수에 따라 제공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되,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부에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입력부로부터 요청 정보에 따른 인증 정보를 전송받으며, 인증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부로 전송하고,
    입력부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된 인증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정보가 일치할 때,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받은 요구사항을 입력부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의 일면에 위치되고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용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터치된 인증용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의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단말기의 일면에서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이격되고 사용자 단말기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카메라 또는 센서 형태의 디텍터부를 포함하며,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의 상면에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인증용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보조 개구가 형성되고, 각각의 보조 개구의 양측면에는 오목하게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보조 개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이동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하면의 제 1 종단 부분에는 디텍터 마크가 형성된 보조 플레이트;
    보조 플레이트의 하면 양측에 보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한 쌍의 결합 가이드; 및
    각각 보조 개구에 대응하도록 보조 플레이트에 위치되어 보조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보조 조절부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결합 가이드들 사이에 위치되어 결합 가이드들에 결합되고, 사용자 단말기의 상면에는 보조 플레이트가 위치되며, 디텍터부는 디텍터 마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보조 조절부는 보조 개구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고,
    디텍터부가 디텍터 마크를 검출하고 검출된 디텍터 마크가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할 때,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된 인증 정보를 포함한 인증용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인증 정보에 따라 보조 조절부를 조절하여 보조 개구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요구사항은 자연어로 이루어지고,
    인식부는 요구사항을 거대 언어 모델 기반의 인공 지능 자연어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인식하고 분석하며,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검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품질 정보는 요구사항의 형식에 대한 품질 규칙 및 산업 관련 표준 규칙의 내용에 대한 품질 규칙을 포함하고,
    처리부는 검증 정보에 대한 품질 규칙의 내용 및 품질 규칙의 충족 정도에 따라 상이하게 품질 규칙별로 수치값인 품질 점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제공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결과 정보를 포함하고,
    결과 정보는 품질 규칙의 내용, 품질 규칙에 대응하는 품질 점수 및 품질 점수에 따른 조치 내용을 포함하고,
    결과 정보는 품질 규칙 및 품질 규칙에 대응하는 품질 점수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유도부는 복수 개의 결과 정보를 저장하며, 처리부에 의한 품질 규칙 및 품질 점수에 대응되는 결과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 정보를 제공 정보에 포함시켜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유도부는 제공 정보를 대시보드 형태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처리부는 케라스(Keras) 또는 텐서플로(Tensorflow)를 이용한 머신 러닝 프레임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보조 조절부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되, 보조 개구의 제 1 종단면에 보조 개구의 제 1 종단면을 따라 위치된 조절 몸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보조 개구의 제 1 종단면의 반대편인 제 2 종단면에 인접하도록 보조 플레이트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는 조절 와인더;
    막대 형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지되, 보조 개구의 제 1 종단면과 제 2 종단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보조 개구에 위치되고, 양종단 부분이 각각 이동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조절 이동체;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조절 와인더 및 조절 이동체에 연결되고, 조절 와인더로부터 조절 와인더에 감기는 힘을 전달받는 조절 시트; 및
    각각 인장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보조 개구의 제 1 종단면과 조절 이동체 사이에 위치되어 보조 개구의 제 1 종단면과 조절 이동체를 연결하고, 사이에는 조절 몸체가 위치되는 한 쌍의 조절 연결체를 포함하되,
    보조 조절부가 보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조절 몸체는 조절 이동체와 상이한 극성을 갖고 조절 이동체와의 사이에서 인력을 발생시키며, 조절 몸체와 조절 이동체 사이의 인력 및 조절 이동체를 조절 몸체에 근접하도록 위치시키고자 하는 조절 연결체의 힘의 합은 조절 시트를 감고자 하는 조절 와인더의 힘보다 커서, 조절 시트는 조절 와인더로부터 풀린 상태로 펼쳐져 보조 개구를 폐쇄한 상태로 위치되며,
    인증 정보에 포함된 부호에 대응되는 보조 개구의 보조 조절부에서 조절 몸체는 조절 이동체와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조절되고 조절 이동체와의 사이에서 척력을 발생시키고, 조절 몸체와 조절 이동체 사이의 척력 및 조절 시트를 감고자 하는 조절 와인더의 힘의 합은 조절 이동체를 조절 몸체에 근접하도록 위치시키고자 하는 조절 연결체의 힘보다 커서 조절 시트는 조절 와인더에 감기면서 조절 이동체를 조절 와인더에 근접하도록 이동시켜 보조 개구를 개방하며, 조절 연결체는 신장되면서 복원력을 축적하고,
    인증 정보에 포함된 부호가 개방된 보조 개구를 통해 노출된 상태에서 보조 개구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의 부호가 터치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되고, 디스플레이부에서 삭제되며,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 정보를 입력부에 전송한 이후에, 사용자 단말기는 개방된 보조 개구들을 폐쇄하도록 보조 조절부를 조절하고,
    개방된 복수 개의 보조 개구의 각각에 대응되는 보조 조절부에서 조절 몸체는 조절 이동체와 상이한 극성을 갖도록 조절되고 조절 이동체와의 사이에서 인력을 발생시키며, 조절 몸체와 조절 이동체 사이의 인력 및 조절 연결체의 복원력의 합은 조절 시트를 감고자 하는 조절 와인더의 힘보다 커서, 조절 이동체는 조절 몸체와 조절 연결체에 의해 조절 몸체에 근접하도록 이동되고, 조절 시트는 조절 와인더로부터 풀려 펼쳐져 개방된 보조 개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사항 검증 시스템.
  10. 삭제
KR1020230101200A 2023-08-02 2023-08-02 인공 지능 자연어 처리 기반의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요구사항 검증 시스템 KR102620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200A KR102620983B1 (ko) 2023-08-02 2023-08-02 인공 지능 자연어 처리 기반의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요구사항 검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200A KR102620983B1 (ko) 2023-08-02 2023-08-02 인공 지능 자연어 처리 기반의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요구사항 검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983B1 true KR102620983B1 (ko) 2024-01-05

Family

ID=8954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1200A KR102620983B1 (ko) 2023-08-02 2023-08-02 인공 지능 자연어 처리 기반의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요구사항 검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9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193A (ko) * 2000-08-17 2002-02-25 이종언 손모양 기반 인증시스템
KR102026839B1 (ko) * 2018-12-07 2019-09-30 (주)투비소프트 소프트웨어 개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22179849A (ja) * 2021-05-24 2022-12-06 日本ナレッジ株式会社 品質情報出力装置、品質情報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193A (ko) * 2000-08-17 2002-02-25 이종언 손모양 기반 인증시스템
KR102026839B1 (ko) * 2018-12-07 2019-09-30 (주)투비소프트 소프트웨어 개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22179849A (ja) * 2021-05-24 2022-12-06 日本ナレッジ株式会社 品質情報出力装置、品質情報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1418B2 (en) Natural question generation via reinforcement learning based graph-to-sequence model
Li et al. Conditional augmentation for aspect term extraction via masked sequence-to-sequence generation
US20240046043A1 (en) Multi-turn Dialogue Response Generation with Template Generation
Shen et al. Blank language models
US202202922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question answering over knowledge graph
US111268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 translation with integrated anticipation and controllable latency (STACL)
JP2023539532A (ja) テキスト分類モデルのトレーニング方法、テキスト分類方法、装置、機器、記憶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00134449A1 (en) Training of machine reading and comprehension systems
JP2021125217A (ja) マルチホップ機械読み取りのための潜在質問再定式化および情報蓄積
CN108549646A (zh) 一种基于胶囊的神经网络机器翻译系统、信息数据处理终端
Wang et al. Towards linear time neural machine translation with capsule networks
US20220366152A1 (en) End-to-end neural word alignment process of suggesting formatting in machine translations
CN108959939A (zh) 一种系统权限开启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KR102620983B1 (ko) 인공 지능 자연어 처리 기반의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요구사항 검증 시스템
US20200279022A1 (en) Method and server for train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translation
CN109447706A (zh) 广告文案生成方法、装置、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Chen et al. Reinforced question rewriting for conversational question answering
Hiraoka et al. Active learning for example-based dialog systems
Arthur et al. Learning coupled policies for simultaneous machine translation using imitation learning
KR102513391B1 (ko) 독서 레벨 테스트 시스템
KR102669591B1 (ko) 연락처 정보 추적을 통한 오픈 마켓 마케팅 시스템
CN109753563B (zh) 基于大数据的标签提取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Zhou et al. Look-ahead attention for generation in neural machine translation
van Hal et al. Generating commit messages from git diffs
Yu et al. Recurrent neural network based rule sequence model for statistical machine trans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