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516B1 - 차량용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516B1
KR102620516B1 KR1020160158194A KR20160158194A KR102620516B1 KR 102620516 B1 KR102620516 B1 KR 102620516B1 KR 1020160158194 A KR1020160158194 A KR 1020160158194A KR 20160158194 A KR20160158194 A KR 20160158194A KR 102620516 B1 KR102620516 B1 KR 102620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bracket
housing
connector
vehicl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060A (ko
Inventor
이혁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51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1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cameras with adjustable captur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커넥터의 연결단자가 외부로 노출되게 커넥터를 인서트 사출하여 구비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내부공간에 상기 커넥터와 연성기판에 의해 연결되는 회로기판이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커넥터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면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되는 브라켓의 방향과 경사진 방향을 향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차량에 장착하는 카메라 모듈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카메라 모듈 {CAMERA MODU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자동차에는 전방 및 후방 카메라뿐만 아니라 SVM(Sur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 등 AS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용으로 카메라가 많이 장착되고 있고, 향후에는 여러 기능을 하는 다양한 카메라들이 자동차에 다수 장착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재 개발되어 시판되는 차량용 카메라는 모바일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카메라보다 크기가 크고 가격이 비싼 실정이며, 이는 모바일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카메라에 비해 소형화의 요구가 많지 않았고, 이보다는 작동 신뢰성이 더욱 중시되어 신뢰성 측면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는 제한된 활용 용도에 따라 외형이 사각 형상으로 획일화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최근 차량 1대에 사용되는 카메라의 수가 많아지고 있고, 차량의 외관을 고려한 디자인에 의해 카메라의 소형화 및 형상 다양화뿐만 아니라 가격 경쟁력도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936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형이 사각이 아닌 틸트된 형상을 갖으면서도 제조가 용이한 차량용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커넥터의 연결단자가 외부로 노출되게 커넥터를 인서트 사출하여 구비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내부공간에 상기 커넥터와 연성기판에 의해 연결되는 회로기판이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커넥터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면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되는 브라켓의 방향과 경사진 방향을 향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차량에 장착하는 카메라 모듈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의 브라켓이 향하는 방향과 경사지게 광축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차량에 장착하는 카메라 모듈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100)은 커넥터(111)가 구비되는 브라켓(110), 브라켓(110)에 고정되는 하우징(120) 및 상기 하우징(120)에 구비되는 렌즈모듈(130)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모듈(130)이 구비되는 하우징(120)이 브라켓(110)에 장착되며, 브라켓(110)에는 커넥터(111)가 구비되어 차량과 연결되어 전원 및 제어신호를 렌즈모듈(130)에 공급할 수 있다.
브라켓(110)은 카메라 모듈(100)이 차량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면서 차량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단자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브라켓(110)은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이하, 설명하는 걸림후크(113a))과 카메라 모듈(100)과 차량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이하, 설명하는 커넥터(111))이 구비된다.
브라켓(110)은 커넥터(111)의 연결단자(111a)가 외부로 노출되게 커넥터(111)를 인서트 사출하여 구비될 수 있다. 차량용 카메라 모듈(100)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므로 외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가장 기본적으로 비나 눈 등 습기에 의한 내부 전자장치의 훼손이 가장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111)를 매개로 인서트 사출에 의해 브라켓(110)을 형성함으로써 커넥터(111)가 브라켓(110)에 고정장착되는 부분이 단단히 밀폐되어 비나 눈 등의 습기가 카메라 모듈(100)의 내부로 침투할 수 없는 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서, 브라켓(110)은 일단에는 연결단자(111a)를 타단에는 공급단자(111b)를 갖는 긴 형상의 커넥터(111)를 감싸면서 내부에 중공부(113b)를 형성하여 커넥터(111)를 보호하면서 연결단자(111a)의 커넥팅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커버(113)와 커버(113)의 일단에서 이하 설명하는 하우징(120)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넓은 면적을 갖는 판형으로 구비되는 본체(11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111)의 공급단자(111b)는 본체(112)의 대략 중앙 부분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공급단자(111b)에는 연성기판(FPC)이 연결된다.
커버(113)의 외부에는 걸림후크(113a)가 구비되어 커버(113)가 차량 등에의 장착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10)에 구비되는 커넥터(111)는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단자형상을 갖을 수 있으며, 차량용 카메라 분야에 사용되는 단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그 형상에는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전원 공급 또는 제어신호 전달을 위한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활용 가능하다.
또한, 브라켓(110)에는 이하 설명하는 하우징(120)과의 고정을 위해 스크류홀(114)이 구비되며, 브라켓(110)과 하우징(120)은 상호 스크류(141)에 의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스크류(141)에 의한 결합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후크, 벨트 등 부재를 상호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스크류 결합시 고정 위치의 안내를 위해 가이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의 도시에서는 브라켓(110)에 가이드홈(112a, 또는 '가이드홀'도 가능)이 구비되는 형상으로 도시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브라켓(110)에 가이드돌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브라켓(110)과 하우징(120)은 상호 방수가 명확하도록 밀폐된 형상으로 결합되어야 하므로 이들이 결합하는 경우 이들의 사이에는 실링부재(143, 오링 등)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브라켓(110) 또는 하우징(120)에는 실링부재(143)가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의 도시에서는 하우징(120)에만 안착홈(126)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브라켓(110)에만 안착홈이 구비되거나 하우징(120) 및 브라켓(110)에 모두 안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브라켓(110)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내부공간(123)을 구비하고 내부공간(123)에 커넥터(111)의 공급단자(111b)와 연성기판(122, FPC)에 의해 연결되는 회로기판(12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의 내부공간(123)에는 렌즈모듈(130)이 장착될 수 있으며, 렌즈모듈(130)이 장착되고 렌즈모듈(130)을 고정하면서 외부에서 덮어주는 커버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회로기판(121)은 커넥터(11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면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로기판(121)이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렌즈모듈(130)이 향하는 방향도 커넥터(11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111)가 차량의 단자에 끼워지는 길이 방향과 렌즈모듈(130)의 광축이 나란하지 않고 경사(틸드, tilt)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이 차량에 수평 또는 수직하게 장착되더라도 렌즈모듈(130)이 향하는 방향은 하방, 상방, 측면 등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외관을 더욱 수려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경사진 방향으로 카메라 모듈이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모듈 전체를 해당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해야만 했으므로 장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의 특성상 차량의 외관 디자인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회로기판(121)은 하우징(120) 내부공간(121)의 횡단면 형상과 유사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121)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회로기판(121)은 커넥터(111)와 연성기판(122, FPC)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카메라 모듈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 커넥터(111)의 길이 방향과 경사지게 렌즈모듈(130)을 장착해야 한다는 점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꺽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로기판(121)이 하우징(120)의 내부 깊숙한 곳까지 끼워지기 어려우므로 하우징(120)이 꺽이기 전 지점까지 삽입되어 고정되고, 그 사이에 연성기판(122, FPC)이 구비되어 커넥터(111)와 회로기판(121)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121)에는 이미지센서 등 각종 능동 및 수동 칩들이 장착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121)은 몸체에 구비되는 나사홀을 관통하는 고정스크류(미도시)에 의해 하우징(120)의 내부공간(123)에 고정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에는 브라켓(110)과의 고정을 위해 스크류홈(128, 형상에 따라 '스크류홀'도 가능)이 구비되며, 브라켓(110)과 하우징(120)은 상호 스크류(141)에 의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스크류(141)에 의한 결합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후크, 벨트 등 부재를 상호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스크류 결합시 고정 위치의 안내를 위해 가이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의 도시에서는 하우징(120)에 가이드돌기(129)가 구비되는 형상으로 도시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20)에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홀이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브라켓(110)과 하우징(120)은 상호 방수가 명확하도록 밀폐된 형상으로 결합되어야 하므로 이들이 결합하는 경우 이들의 사이에는 실링부재(143, 오링 등)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브라켓(110) 또는 하우징(120)에는 실링부재(143)가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의 도시에서는 하우징(120)에 안착홈(126)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브라켓(110)에만 안착홈이 구비되거나 하우징(120) 및 브라켓(110)에 모두 안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에는 커넥터(111)의 공급단자(111b)가 내부공간(123)으로 노출되도록 연통홀(124)을 구비한다. 연통홀(124)을 통해 연성기판(122)이 커넥터(111)와 연결될 수 있다.
렌즈모듈(13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며,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의 환경을 촬영하여 저장하거나 차량에 별도로 구비되는 저장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200)은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100)와 동일하고, 다만, 하우징(120)과 브라켓(110)이 일체로 구비된다는 차이만 있다. 이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말해, 커넥터(111)를 매개로 인서트 사출에 의해 브라켓(11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하우징(120)도 함께 사출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한다면 방수가 중요한 본 발명의 특징상 구성요소의 수를 현저히 줄이면서도 성능은 더욱 뛰어난 카메라 모듈(200)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200: 차량용 카메라 모듈
110: 브라켓
120: 하우징
130: 렌즈모듈

Claims (11)

  1. 커넥터의 연결단자가 외부로 노출되게 커넥터를 인서트 사출하여 구비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내부공간에 상기 커넥터와 연성기판에 의해 연결되는 회로기판이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서 경사지게 절곡되는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2 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터의 공급단자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연통홀을 구비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개재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오링(o-ring)인 차량용 카메라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실링부재의 안착홈이 구비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은 스크류를 이용한 볼팅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는 렌즈모듈이 장착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의 결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브라켓에 구비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상응하게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가이드돌기인 차량용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 렌즈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렌즈모듈을 고정하면서 외부에서 덮어주는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은 일체로 구비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KR1020160158194A 2016-11-25 2016-11-25 차량용 카메라 모듈 KR102620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194A KR102620516B1 (ko) 2016-11-25 2016-11-25 차량용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194A KR102620516B1 (ko) 2016-11-25 2016-11-25 차량용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060A KR20180059060A (ko) 2018-06-04
KR102620516B1 true KR102620516B1 (ko) 2024-01-03

Family

ID=62628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194A KR102620516B1 (ko) 2016-11-25 2016-11-25 차량용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5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7704A (ja) * 2014-03-10 2015-10-29 株式会社デンソー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を備えた車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361A (ko) 2011-11-04 2013-05-1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조립체
KR101416309B1 (ko) * 2012-06-01 2014-07-09 (주)에이엔피 크리비즈 자동차용 커넥터 일체형 카메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7704A (ja) * 2014-03-10 2015-10-29 株式会社デンソー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を備えた車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060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350B1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CN108463771B (zh) 相机模块
KR102280348B1 (ko) 카메라 모듈
JP6926643B2 (ja) 車載カメラ
CN105791642B (zh) 摄像头模块和用于车辆的摄像头
US20200192064A1 (en)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249981B2 (en) High-speed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with high water resistance
US10848649B2 (en) Imaging device having heat radiation structure
EP2876873B1 (en) Grounding part, electronic device, imaging device, and grounding part production method
KR102620540B1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US9723739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protective case
US8672712B2 (en) Shield and circuit board module having the same
US10827105B1 (en)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lens module
US10568219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KR102620516B1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US20060193567A1 (en) Active bulkhead transceiver
JP4959002B2 (ja) 入出力ユニット
US9825401B2 (en) Connector with a biasing elastic member
WO2020038057A1 (zh) 深度采集模组及电子设备
JP5955256B2 (ja) 筐体
US20150214662A1 (en) Connector affixation structure
US11378425B2 (en) Measurement apparatus unit
CN220108112U (zh) 全景镜头模块及全景相机
KR102244153B1 (ko) 카메라 모듈
JP2019142401A (ja) 車載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