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173B1 - Bems를 위한 건물 실내 환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Bems를 위한 건물 실내 환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173B1
KR102620173B1 KR1020230046042A KR20230046042A KR102620173B1 KR 102620173 B1 KR102620173 B1 KR 102620173B1 KR 1020230046042 A KR1020230046042 A KR 1020230046042A KR 20230046042 A KR20230046042 A KR 20230046042A KR 102620173 B1 KR102620173 B1 KR 102620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s
ventilation
indoor
control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6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용
박현태
박온숙
성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카이저솔루션
주식회사 모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카이저솔루션, 주식회사 모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카이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30046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6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8Rad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 환기 시스템으로서, 무선으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통신부에서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복수의 인버터들과, 복수의 인버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팬(FAN)그룹 및 건물의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팬그룹은 각각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공기를 환기하고, 복수의 센서부는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를 센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통신부는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며, 제어부는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팬그룹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Description

BEMS를 위한 건물 실내 환기 시스템 및 방법{Building indoor ventilation system for BEM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를 위한 건물 실내 환기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원격으로 실험실 건물의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건물 내 각 실험실 별 환기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험실에서는 다양한 목적의 연구가 수행될 수 있으며, 해당 연구의 내용에 따라 실험실 내부의 공기 질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물질을 다루는 실험의 경우, 화학물질의 변환 과정에 의하여 유독 가스가 생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실험실 내 재실 중인 인원에게 유해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리고, 실험실 별 수행되는 실험에 따라 유해한 성분의 종류와 발생 빈도가 다르고, 실험이 수행되지 않는 실험실의 경우에는 별도의 환기 시스템 제어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통상의 건물의 환기 시스템은 각 실(또는, 방) 별 개별적인 제어가 불가능하고 일률적으로 환기 시스템을 가동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특히 실험을 목적으로 다양한 실험실이 구비된 건물의 경우, 환기의 필요 여부 및 요구되는 환기 성능은 실험실마다 편차가 매우 크지만, 일률적으로 동일한 환기 성능을 제공할 수 밖에 없어 에너지 사용의 비효율성이 큰 실정이다. 따라서, 실험실들을 포함하는 건물에 적합한 환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23598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건물 실내 환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실(또는, 방) 별 공기 질의 변동 요건이 상이한 건물에 대하여 원격으로 실 별 환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양한 실험이 수행되는 실험실에 적절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 실 별 환기를 제어함으로써 에너지의 효율성을 높인 환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환기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의 목적은 전술한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아래에 기재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다양한 목적이 있을 수 있다.
건물의 실내 환기 시스템으로서, 무선으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통신부에서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복수의 인버터들과, 복수의 인버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팬(FAN)그룹들 및 건물의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부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팬그룹들은 각각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공기를 환기하고, 복수의 센서부들은 상기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를 센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통신부는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며, 제어부는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팬그룹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인원 수에 대한 정보와, 온도, 습도, 압력, 이산화탄소, 또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미세먼지, 폼알데하이드, 총부유세균, 일탄화탄소, 이상화질소, 또는 라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센서부는 건물의 제1 실내 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 재실 인원 수를 센싱하고, 제어부는 이산화탄소 농도 및 재실 인원 수를 기반으로 제1 인버터의 주파수를 제어하며, 제1 인버터와 대응하는 제1 팬그룹은 제1 실내 공간을 환기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이산화탄소 농도 및 재실 인원 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팬그룹에 속하는 팬(FAN)들 중 동작하는 팬(FAN)들의 개수를 제어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팬그룹에 속하는 팬(FAN)들은 각각 대응하는 ID 값이 부여되고, 제어부는 제1 팬그룹에 속하는 팬(FAN)들을 ID 값에 기반하여 제어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환기 타입 정보에 따라 제1 팬그룹에 속하는 팬(FAN)들 중 특정 인덱스(Idx) 값을 가지는 팬(FAN)들을 가동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환기 타입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된 환기 동작 수행 결과를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는 환기 동작 수행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기 동작 수행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환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실내 공간의 환기를 위한 에너지의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환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실험실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목적의 실험에 대하여 공기질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에 기반하여 환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환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한 장소에서 원격으로 복수의 실내 공간에 대한 환기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관리 편의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건물 실내 환기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건물 환기 시스템의 수신단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건물 환기 시스템의 수신단과 송신단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및 재실 인원 수에 따른 인버터 주파수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5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및 재실 인원 수에 따른 가동 팬의 개수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6는 제1 실내 공간에 배치된 팬(fan)들을 나타내는 예시이다.
도 7은 제1 실내 공간에 배치된 팬(fan)들 중 가동된 팬들의 배열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도 8은 제1 실내 공간에 배치된 팬(fan)들 중 가동된 팬들의 배열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도 9는 제1 실내 공간에 배치된 팬(fan)들 중 가동된 팬들의 배열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도 10은 실내 환기 시스템의 환기 방법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건물 실내 환기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건물 실내 환기 시스템(이하 '환기 시스템'이라고 함)은 송신단(120)과 수신단(130)을 포함한다. 수신단(130)은 제1 건물(20)에 위치하며, 송신단(120)으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명령을 전달받아 환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단(120)은 제2 건물(10)에 위치하며, 제1 건물(20)에 위치하는 수신단(130)에 무선 통신으로 명령을 송신하여 수신단(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환기 시스템은 제1 건물(20)과 이격된 제2 건물(10)에서 관리자가 명령을 송신함으로써 제1 건물(20)의 실내 환기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도2는 실시예들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수신단(130)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환기 시스템의 수신단(130)은 무선 통신으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132), 통신부(132)에서 수신한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연산 또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135), 제어부(135)에 의하여 제어되는 복수의 인버터들(133), 복수의 인버터들(133)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팬(fan)그룹들,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부(137), on/off를 제어하는 전원(131), 과 전류 시 전류를 차단하는 차단기(134), 인버터(133) 또는 팬(fan)과 연동되는 스위치(13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2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수신단(130)의 통신부(132)는 송신단(120)으로부터 데이터 또는 명령어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또는 명령어를 제어부(135)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35)는 전달받은 데이터 또는 명령어를 기반으로 인버터(133)들을 제어할 수 있고, 인버터(133)들에 연결된 팬그룹(fan group)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35)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sn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 및 저장 장치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팬(fan)그룹(136)은 복수의 팬(fan)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팬그룹에 포함된 50개의 팬들은 제1 건물(20)의 제1 실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팬그룹에 포함된 50개의 팬들은 제1 건물(20)의 제2 실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팬그룹(136)은 건물 내 하나의 실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건물 내 실내 공간은 연구실/실험실 등 특수한 목적에 의하여 실내 공기질이 크게 변동 가능한 공간일 수 있다. 팬그룹(136)에 포함된 팬들의 개수는 건물 내 실내 공간의 크기 및 구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실내 공간의 용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팬그룹(136)은 하나의 인버터(133)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5)에서 인버터(133)의 주파수 및/또는 전압을 제어하면, 해당 인버터와 연결된 팬그룹(136)이 포함하는 팬들 전체가 제어될 수 있다. 팬그룹(136)은 팬들을 가동하여 각각 대응하는 실내 공간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는, 팬그룹(136)에서 특정한 팬들만 가동될 수도 있다.(후술)
복수의 센서부(137)는 각각 건물의 실내 공간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37)는 대응하는 실내 공간에 재실 중인 인원의 수, 해당 실내 공간의 특정 가스(예를 들면,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등) 농도, 온도, 압력, 습도, 조도, VOC(휘발성 유기화합물), 미세먼지, 폼알데하이드, 총부유세균, 라돈 및/또는 곰팡이 등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부(137)는 다양한 요소들을 센싱할 수 있는 단일 센서 또는 복수의 센서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센서부(137)는 제1 실내 공간의 상태를 센싱하는 제1 센서부, 제2 실내 공간의 상태를 센싱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건물에 포함된 실내 공간의 개수에 따라 각 실내 공간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137)들이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137)들은 각 실내 공간에서 감지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35)로 전달하고,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통신부(132)에 의해서 송신될 수 있다. 송신단(120)은 수신단(130)에서 송신한 실내 공간 상태에 대한 정보를 받아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부에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통신부에서 제어 명령을 수신단(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수신단(130)은 제어부(135)에서 센서부(137)들의 정보를 기반으로 직접 환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137)에서 측정하는 실내 공간들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인원 수에 대한 정보와, 온도, 습도, 압력, 이산화탄소, 또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미세먼지, 폼알데하이드, 총부유세균, 일탄화탄소, 이상화질소, 또는 라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수신단(130)의 제어부(135)는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팬그룹(136)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5)는 제1 실내 공간의 상태에 대한 정보와 제2 실내 공간의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팬그룹의 팬들을 가동하고, 제2 팬그룹의 팬들은 가동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어부(135)는 복수의 팬그룹(136)마다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실험 건물 내에 마련된 복수의 실험실(또는, 실내 공간)에서 수행되는 실험의 종류와 실험 여부 등에 기반하여 팬그룹들을 개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환기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도3은 건물 환기 시스템의 수신단과 송신단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에서 도시하였듯이, 수신단(130)은 환기 동작이 수행되는 건물에 위치하고, 송신단(120)은 해당 건물과 이격된 다른 건물에 위치할 수 있다. 송신단(120)은 데이터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를 포함하고, 데이터의 연산 및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환기 시스템의 관리자는 다른 건물에서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환기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환기 시스템은 센서부(137)에서 감지된 실내 공간의 상태에 따라 인버터(133)의 주파수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도4는 이산화탄소의 농도(ppm) 및 재실 인원 수(명)에 따른 인버터 주파수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4의 표를 참조하면, 재실 인원 수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인버터의 주파수가 높아진다. 인버터의 주파수가 높아지면, 팬(fan)의 회전수가 증가하고 팬의 환기 속도가 증가한다.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0 내지 400ppm, 400ppm 내지 1000ppm, 1000ppm 내지 2000ppm, 2000ppm 이상 등으로 농도의 범위에 따라 구간을 분리하여 인버터의 주파수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센서부는 건물의 실내 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 재실 인원 수를 센싱하고, 제어부는 이산화탄소 농도 및 재실 인원 수를 기반으로 인버터의 주파수를 제어하며, 해당 인버터와 대응하는 팬그룹은 실내 공간을 환기할 수 있다.
오염 물질의 농도 구간 설정 및 인버터 주파수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적절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환기 시스템은 하나의 팬그룹에 포함된 팬(fan)들 중 전부 또는 일부의 팬들을 가동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5)는 조건에 따라 실내 공간의 환기를 위해 가동하는 팬의 개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센서부는 건물의 실내 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 재실 인원 수를 센싱하고, 제어부는 이산화탄소 농도 및 재실 인원 수를 기반으로 실내 공간에 대응하는 팬그룹에 속하는 팬(FAN)들 중 동작하는 팬(FAN)들의 개수를 제어할 수 있다.
도5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및 재실 인원 수에 따른 가동 팬의 개수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5의 표를 참조하면, 재실 인원 수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가동하는 팬들의 개수가 증가할 수 있다. 오염 물질의 농도 구간 설정 및 가동하는 팬의 개수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적절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4 및 도5는 이산화탄소 농도 및 재실 인원 수에 기반하여 인버터의 주파수 또는 팬그룹에서 가동하는 팬들의 개수를 제어하는 내용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들로서, 인버터의 주파수 또는 가동하는 팬들의 개수는 다른 요건에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 농도(μg/m^3), 폼알데하이드 농도(μg/m^3), 총부유세균(CFU/m^3), 일산화탄소(ppm), 이산화질소(ppm), 휘발성유기화합물(μg/m^3), 곰팡이(CFU/m^3) 등 다른 유해성 물질의 농도 및 재실 인원 수 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의 공기질과 외부 공기질의 차이, 온도, 압력, 습도 등의 요건들에 기반하여 인버터의 주파수 또는 가동하는 팬들의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환기 시스템은 실내 공간에 배치된 팬(fan)들을 특정한 환기 타입에 따라 일부 팬들만을 가동할 수 있다.
도6는 제1 실내 공간에 배치된 팬(fan)들을 나타내는 예시이다.
도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서, 제1 팬그룹에 속하는 25개의 팬(136a)들의 위치가 도시된다. 도6에서는, 5 x 5 배열에 따라 25개의 팬들이 일정한 가로 또는 세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다만, 하나의 팬그룹에 속하는 팬들의 총 개수와 실내 공간에서 배치되는 팬들의 위치 또는 배열은 실시예들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팬그룹에 속하는 각각의 팬(136a)들은 인덱스(ID)를 부여받아 식별될 수 있다. 또한, 팬그룹(136)은 그룹 인덱스가 부여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5)는 인덱스를 기반으로 특정 팬그룹에서 특정한 위치의 팬을 가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5)는 그룹 인덱스가 1인 제1 팬그룹에서 인덱스가 20인 팬을 선택적으로 가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팬그룹에 속하는 팬(FAN)들은 각각 대응하는 ID 값이 부여되고, 제어부(135)는 제1 팬그룹에 속하는 팬(FAN)들을 ID 값에 기반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5)는 환기 타입에 따라 팬그룹 중 일부 팬들을 특정 배열에 따라 가동할 수 있다.
도7 내지 도9는 환기 타입에 따라 가동되는 팬들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제1 환기 타입에서의 가동 팬들의 배열을 나타낸다.
도7을 참조하면, 인덱스가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및 25인 팬들이 가동된다. 즉, 인덱스가 짝수인 팬들만 가동되거나, 인덱스가 홀수인 팬들만 가동될 수 있다. 이는, 다음의 언어로 표현될 수 있다.
a. Idx가 짝수인 팬들만 가동
for(idx = 1 ; idx = n ; idx ++) {
If(Idx % 2 == 0) {
팬 가동
}}
b. Idx가 홀수인 팬들만 가동
for(idx = 1 ; idx = n ; idx ++) {
If((Idx + 1) % 2 == 0) {
팬 가동
}}
도 8은 제2 환기 타입에서의 가동 팬들의 배열을 나타낸다.
도8을 참조하면, 제1 실내 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된 팬들만 가동된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인덱스가 1, 2, 3, 4, 5, 6, 10, 11, 15, 16, 20, 21, 22, 23, 24 및 25인 팬들이 가동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제어부는 팬그룹에 속하는 팬들 중 실내 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팬들을 가동할 수 있다. 가동되는 팬들의 인덱스는 팬그룹에 속하는 팬들의 개수 및 배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도9는 제3 환기 타입에서의 가동 팬들의 배열을 나타낸다.
도9를 참조하면, 실내 공간의 네 꼭지점에 위치하는 팬들과 꼭지점을 대각선으로 잇는 선상에 위치하는 팬들이 가동된다. 예를 들어, 도9에서 인덱스가 1, 5, 7, 9, 13, 17, 19, 21 및 25인 팬들이 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복수의 환기 타입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팬그룹을 가동할 수 있다. 환기 시스템은 복수의 팬그룹들마다 실내 공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적절한 환기 타입을 설정하여 팬그룹들을 가동할 수 있다. 제어부는 환기 타입 정보에 따라 팬그룹에 속하는 팬(FAN)들 중 특정 인덱스(Idx) 값을 가지는 팬(FAN)들을 가동할 수 있다.
특정 실험이 수행되는 실내 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의 밀도가 공기보다 큰 경우, 낮은 위치에서 공기를 환기시키는 팬들을 집중적으로 가동할 수 있다. 반대로 실내 공간에 발생하는 오염 물질의 밀도가 공기보다 낮은 경우, 높은 위치에서 공기를 환기시키는 팬들을 집중적으로 가동할 수 있다. 즉, 환기 시스템은 실험 공간의 목적에 따라 최적화된 환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10은 실내 환기 시스템의 환기 방법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방법은 환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100), 환기 동작 수행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10),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기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S120) 및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환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S110에서 제어부(135)는 환기 타입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된 환기 동작의 수행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환기 동작의 수행 결과 정보는 환기 시작 시간(t_1), 환기 종료 시간(t_2), 특정 가스(예를들면, 이산화탄소)의 환기 시작 전 농도(P_1)와 환기 종료 후 농도(P_2) 및/또는 환기 수행 시간동안 소모된 에너지량(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기반하여 단위 에너지 당 오염 물질 농도 감소량(△P/E), 단위 시간 당 오염 물질 농도 감소량(△P/△t) 등이 산출될 수 있고, 저장될 수 있다. 이때, △P = P_1 - P_2 이고, △t = t_2 - t_1 이다.
또한, 환기 동작의 수행 정보는 온도, 압력, 습도, 환기 타입, 재실 인원, 가동 팬의 개수, 인버터의 주파수/전압 및/또는 실외와 실내의 오염 물질 농도의 차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5)는 환기 동작을 수행할 때마다 환기 동작 수행과 관련된 변수 정보 및 결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변수 정보는 온도, 압력, 습도, 환기 타입, 재실 인원, 가동 팬의 개수 및/또는 실외와 실내의 오염 물질 농도의 차이 정보를 포함하고, 결과 정보는 단위 에너지 당 오염 물질 농도 감소량(△P/E), 단위 시간 당 오염 물질 농도 감소량(△P/△t)을 포함할 수 있다.
S120에서 제어부(135)는 환기 동작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환기 동작 수행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환기 동작 수행 옵션은 단위 에너지 당 오염 물질 농도 감소량(△P/E) 또는 단위 시간 당 오염 물질 농도 감소량(△P/△t)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에너지 소비 효율을 최우선 순위로 할 경우, 저장된 데이터 중 에너지 소비 효율이 가장 높은 설정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온도, 압력, 습도, 재실 인원, 실내 공간 및 실내외 오염 물질의 농도 차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유사도가 특정 임계치 이상인 환기 동작 수행 정보를 탐색한다. 이때, 유사도 산출 시 각 변수의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유사도 산출 방법은 평균제곱차이 유사도, 코사인 유사도 및/또는 피어슨 유사도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그 다음, 탐색된 정보들을 단위 에너지 당 오염 물질 농도 감소량(△P/E)에 기반하여 정렬한다. 그리고, 정렬된 정보들 중 단위 에너지 당 오염 물질 농도 감소량(△P/E)이 상위인 임의 개수의 정보를 참조하여 환기 동작 수행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환기 동작 수행 옵션은 환기 타입, 가동 팬의 개수, 인버터 주파수/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환기 속도를 최우선 순위로 하는 경우, 유사도 기반으로 환기 동작 수행 정보를 탐색한 뒤, 담색된 정보들을 단위 시간 당 오염 물질 농도 감소량(△P/△t)에 기반하여 정렬한다. 그리고, 정렬된 정보들 중 단위 시간 당 오염 물질 농도 감소량(△P/△t)이 상위인 임의 개수의 정보를 참조하여 환기 동작 수행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참조는 탐색된 정보들의 변수들의 평균값, 중간값 또는 정렬된 순위나 유사도에 기반한 가중 평균값 등을 산출하여 참조할 수 있다.
S130은 설정된 옵션에 따라 환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환기 동작 수행 후, 변수 정보 및 결과 정보는 다시 저장되고, 다음 환기 동작을 위한 참조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환기 방법은 수신단의 제어부 또는 송신단의 제어부에서 명령어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환기 시스템 또는 환기 방법에 의하면, 원격에 의해 관리자가 환기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각 실내 공간에 특성에 적합하도록 개별적으로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환기에 따른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내 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의 종류에 따른 효율적인 환기가 가능하다.
각각의 환기 동작 수행에 따른 데이터가 저장되므로, 에너지 소비량이 예측될 수 있다. 또한, 사전에 에너지 소비 계획을 설정한 경우, 설정된 에너지 소비 계획에 따라 환기를 수행하도록 적절한 에너지 효율성에 기해 실내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의 에너지 소비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건물의 실내 환기 시스템으로서,
    무선으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복수의 인버터들;
    복수의 인버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팬(FAN)그룹; 및
    상기 건물의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팬그룹은 각각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공기를 환기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팬그룹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한편, 제1 센서부는 상기 건물의 제1 실내 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 재실 인원수를 센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및 재실 인원 수를 기반으로 제1 인버터의 주파수를 제어하며,
    또한, 상기 제1 인버터와 대응하는 제1 팬그룹은 상기 제1 실내 공간을 환기하고,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 및 재실 인원 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팬그룹에 속하는 팬(FAN)들 중 동작하는 팬(FAN)들의 개수를 제어하고,
    상기 제1 팬그룹에 속하는 팬(FAN)들은 각각 대응하는 ID 값이 부여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팬그룹에 속하는 상기 팬(FAN)들을 상기 ID 값에 기반하여 제어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는,
    환기 타입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팬그룹에 속하는 팬(FAN)들 중 특정 인덱스(Idx) 값을 가지는 팬(FAN)들을 가동할 수 있고,
    환기 타입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된 환기 동작 수행 결과를 저장하며,
    상기 환기 동작 수행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기 동작 수행 옵션을 설정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인원 수에 대한 정보와, 온도, 습도, 압력, 이산화탄소, 또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내 공간들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미세먼지, 폼알데하이드, 총부유세균, 일탄화탄소, 이상화질소, 또는 라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30046042A 2023-04-07 2023-04-07 Bems를 위한 건물 실내 환기 시스템 및 방법 KR102620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042A KR102620173B1 (ko) 2023-04-07 2023-04-07 Bems를 위한 건물 실내 환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042A KR102620173B1 (ko) 2023-04-07 2023-04-07 Bems를 위한 건물 실내 환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173B1 true KR102620173B1 (ko) 2024-01-03

Family

ID=8953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6042A KR102620173B1 (ko) 2023-04-07 2023-04-07 Bems를 위한 건물 실내 환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1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4325A (ko) * 2010-12-09 2012-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JP2013228160A (ja) * 2012-04-26 2013-11-07 Shimizu Corp 電力制御システム
KR20210023598A (ko)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티마이오스 Iot센서를 이용한 자동환기 시스템
KR20210048754A (ko) *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아이자랩 실내 다지점 동시 공기청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4325A (ko) * 2010-12-09 2012-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JP2013228160A (ja) * 2012-04-26 2013-11-07 Shimizu Corp 電力制御システム
KR20210023598A (ko)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티마이오스 Iot센서를 이용한 자동환기 시스템
KR20210048754A (ko) *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아이자랩 실내 다지점 동시 공기청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499B1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및 분석서버
JP6455326B2 (ja) 換気システム
CN109282444B (zh) 空气调节器及其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8191688A2 (en) Thermostat with exhaust fan control for air quality and humidity control
KR102486845B1 (ko) 공기 청정 시스템
CN113091265B (zh) 用于空气调节设备控制的方法和空气调节设备
US202202828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 ventilation of outdoor air
CN202886918U (zh) 封闭空间环境监测控制装置
JP5421319B2 (ja) 連動制御装置
CN112254294A (zh) 用于空调净化控制的方法、装置及空调
KR102620173B1 (ko) Bems를 위한 건물 실내 환기 시스템 및 방법
WO20232880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ir sanitization
KR102281604B1 (ko) 지하공간 환기 시스템의 군집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35057A (ko) 인공지능 공기정화 시스템
JP2020051647A (ja) 換気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
WO2020066495A1 (ja) 空気清浄機
JP2017219298A (ja) 運転マップ作成装置、空調制御装置、運転マップ作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4227591A1 (en) Air purification method, air purify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0066494A1 (ja) 空気清浄機および空気清浄機の制御方法
KR102423612B1 (ko) 공조 설비용 중앙 제어 장치
KR20200109646A (ko) 다수의 공기청정기의 구동 계획 장치
CN108344113B (zh) 一种智能互联空气净化系统及空气净化方法
KR102206134B1 (ko)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한 공조 장치 구동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공조 장치
JP2007110212A (ja) 連動制御装置、連動制御システム及び連動制御方法
JP6351822B2 (ja)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