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002B1 -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 - Google Patents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002B1
KR102620002B1 KR1020210008732A KR20210008732A KR102620002B1 KR 102620002 B1 KR102620002 B1 KR 102620002B1 KR 1020210008732 A KR1020210008732 A KR 1020210008732A KR 20210008732 A KR20210008732 A KR 20210008732A KR 102620002 B1 KR102620002 B1 KR 102620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customer
firm
financial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858A (ko
Inventor
박석근
김재희
조덕
황규현
김수현
윤상준
이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페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페이
Priority to KR1020210008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002B1/ko
Priority to US18/262,220 priority patent/US20240112256A1/en
Priority to PCT/KR2022/001127 priority patent/WO2022158901A1/ko
Publication of KR20220105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858A/ko
Priority to KR1020230191219A priority patent/KR20240005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06Q20/02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the neutral party being a clearing ho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기술은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자금을 유치하여 고객 금융사계좌를 운용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제1 모계좌들을 포함하는 제1 모계좌 시스템을 포함하는 간편결제사 서버; 하나 이상의 제2 모계좌들을 포함하는 제2 모계좌 시스템을 포함하는 금융사 서버; 상기 고객 연결계좌와 상기 제1 모계좌 시스템간 자금 이체 처리나, 고객이 지정한 고객 지정계좌와 상기 제1 모계좌 시스템간 자금 이체 처리를 관장하는 뱅크펌 시스템; 및 상기 제2 모계좌 시스템과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간 자금 이체 처리를 관장하는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포함하며, 고객의 잔액변동 요청시, 상기 뱅크펌 시스템 및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통하여 처리하여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변동시킨다. 본 기술에 따르면, 선불전지지급수단 방식과 증권종합계좌 방식이 연동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System for providing financial services and simple payment server therefor}
본 발명은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불전자지급수단 방식과 증권종합계좌 방식이 연동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에 관한 것이다.
선불전자지급수단은 이전 가능한 금전적 가치가 전자적 방법으로 저장돼 발행된 증표 또는 그 증표에 관한 정보로서 발행인 외의 제3자로부터 재화, 용역을 구입하고 그 대가를 지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말한다.
핀테크 시장의 성장함에 따라 기업들도 자사의 선불전자지급수단 서비스를 속속 출시하고 있다. 카카오페이머니, 토스머니, 티머니 등이 그러하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노력은 치열하다.
선불전자지급수단은 이용한도가 정해져 있다. 관련 법률에 따르면 현재 200만원이다. 송금시 200만원이 넘는 금액을 송금하지 못하고 보유한도도 200만원을 넘지 못한다. 최근 이 한도를 증액하는 논의도 진행 중이나 한도가 정해져 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한편 한도가 늘어나더라도 소비자 입장에서는 예금자보호법에 의한 보호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거액의 금액을 유치해놓는 것에 대한 부담이 있다. 또한 선불전자지급수단에 유치해놓은 돈에는 이자가 발생하지도 않는다. 이른바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는 선불전자지급수단으로 소비자를 유인하지 못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된다.
한편, 증권종합계좌를 생각할 수 있다.
증권종합계좌는 상술한 선불전자지급수단이 갖는 여러 문제점들을 해소시킬 수 있다. 증권종합계좌는 종합금융회사가 고객으로부터 예탁받은 금전을 어음 및 채무증서 등에 운용하고, 그 수익을 고객에게 지급하는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금융상품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위와 같은 한도 제한도 없고 예금자보호법 적용도 받는다. 예탁금 수수료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증권종합계좌는 그 사용이 선불전자지급수단만큼 간편하지 못하다. 간편한 결제 방식에 관한 니즈를 해소하지 못한다. 통상의 은행 거래처럼 공인인증서를 통해 로그인하여 정해진 절차를 따라 이체 서비스가 제공되는 까닭이다. 절차가 복잡하고 사용이 불편하여 세계적인 핀테크 시장의 흐름에 부합하지 못한다.
선불전자지급수단의 결제의 편리함과 증권종합계좌와 같은 현금 흐름 운용의 이익을 모두 누릴 수 있는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한계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불전지지급수단 방식과 증권종합계좌 방식이 연동된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자금을 유치하여 고객 금융사계좌를 운용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제1 모계좌들을 포함하는 제1 모계좌 시스템을 포함하는 간편결제사 서버; 하나 이상의 제2 모계좌들을 포함하는 제2 모계좌 시스템을 포함하는 금융사 서버; 상기 고객 연결계좌와 상기 제1 모계좌 시스템간 자금 이체 처리나, 고객이 지정한 고객 지정계좌와 상기 제1 모계좌 시스템간 자금 이체 처리를 관장하는 뱅크펌 시스템; 및 상기 제2 모계좌 시스템과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간 자금 이체 처리를 관장하는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포함하며, 고객의 잔액변동 요청시, 상기 뱅크펌 시스템 및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통하여 처리하여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변동시킬 수 있다.
고객의 잔액증가 요청시, 상기 뱅크펌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자금을 인출해오는 처리와, 상기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증가시키는 처리를 수행하는 잔액증가 처리부; 및 고객의 잔액차감 요청시, 상기 뱅크펌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고객 지정계좌로 자금을 송금해주는 처리와, 상기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차감시키는 처리를 수행하는 잔액차감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계좌들은 출금펌 모계좌, 집금모계좌 및 입금펌 모계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계좌들은 금융사모계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액증가 처리부는, 잔액증가 요청 관련 전문을 발생시키는 전문 발생부; 상기 전문을 기초로 상기 뱅크펌 시스템을 실행시켜서 상기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상기 출금펌 모계좌로 자금의 이체를 진행시키는 뱅크펌 실행부; 및 상기 전문을 기초로 상기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실행시켜서 상기 금융사모계좌와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간 대체거래를 통해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증가시키는 시큐리티스펌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액증가 처리부는, 상기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뱅크펌-리퀘스트 로그에 요청을 기록하는 제1 요청 기록부; 상기 뱅크펌 시스템의 실행에 따른 자금 이체 처리결과를 수신하는 제1 처리결과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처리결과를 상기 뱅크펌-리퀘스트 로그에 반영하는 제1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액증가 처리부는, 상기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시큐리티스펌-리퀘스트 로그에 요청을 기록하는 제2 요청 기록부; 상기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의 실행에 따른 잔액 증가 처리결과를 수신하는 제2 처리결과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처리결과를 상기 시큐리티스펌-리퀘스트 로그에 반영하는 제2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액증가 처리부는, 상기 시큐리티스펌-리퀘스트 로그 중에서 상기 처리결과가 실패로 기록된 요청을 탐색하는 실패건 탐색부; 및 상기 실패건에 대해 상기 제2 요청 기록부, 상기 제2 처리결과 수신부 및 상기 제2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에 의한 재처리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재처리 프로세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액증가 처리부는, 상기 시큐리티스펌-리퀘스트 로그 중에서 상기 처리결과가 반영되지 않은 요청을 탐색하는 미반영건 탐색부; 및 상기 미반영건에 대해 상기 시큐리티스펌 실행부에 의한 상기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의 실행에 따른 잔액의 증가가 이루어진 것인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잔액의 증가가 이루어진 것인 경우 상기 미반영건에 대해 성공으로 상태를 변경하고, 확인 결과 잔액의 증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인 경우 상기 미반영건에 대해 실패로 상태를 변경하는 미반영건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액차감 처리부는, 잔액차감 요청 관련 전문을 발생시키는 전문 발생부; 상기 전문을 기초로 상기 뱅크펌 시스템을 실행시켜서 상기 입금펌 모계좌로부터 상기 고객 지정계좌로 자금의 이체를 진행시키는 뱅크펌 실행부; 및 상기 전문을 기초로 상기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실행시켜서 상기 금융사모계좌와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간 대체거래를 통해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차감시키는 시큐리티스펌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액차감 처리부는, 상기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시큐리티스펌-리퀘스트 로그에 요청을 기록하는 제1 요청 기록부; 상기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의 실행에 따른 잔액 차감 처리결과를 수신하는 제1 처리결과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처리결과를 상기 시큐리티스펌-리퀘스트 로그에 반영하는 제1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액차감 처리부는, 상기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뱅크펌-리퀘스트 로그에 요청을 기록하는 제2 요청 기록부; 상기 뱅크펌 시스템의 실행에 따른 자금 이체 처리결과를 수신하는 제2 처리결과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처리결과를 상기 뱅크펌-리퀘스트 로그에 반영하는 제2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액차감 처리부는, 상기 뱅크펌-리퀘스트 로그 중에서 상기 처리결과가 실패로 기록된 요청을 탐색하는 실패건 탐색부; 및 상기 실패건에 대해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의 차감된 잔액을 복구시키는 복구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복구 프로세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액차감 처리부는, 상기 뱅크펌-리퀘스트 로그 중에서 상기 처리결과가 반영되지 않은 요청을 탐색하는 미반영건 탐색부; 및 상기 미반영건에 대해 상기 뱅크펌 실행부에 의한 상기 뱅크펌 시스템의 실행에 따른 자금의 이체가 진행된 것인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자금의 이체가 진행된 것인 경우 상기 미반영건에 대해 성공으로 상태를 변경하고, 확인 결과 자금의 이체가 진행되지 않은 것인 경우 상기 미반영건에 대해 실패로 상태를 변경하는 미반영건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계좌 시스템은 각기 다른 금융사에 의해 발급된 다수의 출금펌 모계좌들을 포함하되, 상기 뱅크펌 시스템은 상기 다수의 출금펌 모계좌들 중 상기 고객 연결계좌와 동일한 금융사에 의해 발급된 출금펌 모계좌를 이용해 자금 이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자금을 유치하여 고객 금융사계좌에 예탁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편결제사 서버는, 하나 이상의 제1 모계좌들을 포함하는 제1 모계좌 시스템;을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제2 모계좌들을 포함하는 제2 모계좌 시스템;을 포함하는 금융사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고객의 잔액변동 요청시, 상기 고객 연결계좌와 상기 제1 모계좌 시스템간 자금 이체 처리나, 고객이 지정한 고객 지정계좌와 상기 제1 모계좌 시스템간 자금 이체 처리를 관장하는 뱅크펌 시스템 및 상기 제2 모계좌 시스템과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간 자금 이체 처리를 관장하는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변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자금을 유치하여 고객 금융사계좌에 예탁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사 서버는, 하나 이상의 제1 모계좌들을 포함하는 제1 모계좌 시스템;을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제2 모계좌들을 포함하는 제2 모계좌 시스템;을 포함하는 간편결제사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고객의 잔액변동 요청시, 상기 고객 연결계좌와 상기 제1 모계좌 시스템간 자금 이체 처리나, 고객이 지정한 고객 지정계좌와 상기 제1 모계좌 시스템간 자금 이체 처리를 관장하는 뱅크펌 시스템 및 상기 제2 모계좌 시스템과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간 자금 이체 처리를 관장하는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변동시킬 수 있다.
본 기술은 선불전자지급수단 방식과 증권종합계좌 방식이 연동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기존의 선불전자지급수단에 존재하는 이용한도의 제한을 받지 않는 간편 결제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기존의 선불전자지급수단과 같은 간편 결제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송금, 이체 등 계좌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고 예탁을 통한 자금운용 수익을 낼 수 있는 새로운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모계좌 시스템과 제2 모계좌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현금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액증가 처리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액증가 처리부의 동작을 뱅크펌을 중심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액증가 처리부의 동작을 시큐리티스펌을 중심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액증가 처리부에 의해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이 증가 처리되는 과정의 전체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액차감 처리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액차감 처리부의 동작을 시큐리티스펌을 중심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액차감 처리부의 동작을 뱅크펌을 중심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액차감 처리부에 의해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이 차감 처리되는 과정의 전체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큐리티스펌-리퀘스트 로그에 대해 미반영건 탐색부 및 미반영건 처리부의 동작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뱅크펌-리퀘스트 로그에 대해 미반영건 탐색부 및 미반영건 처리부의 동작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패건 탐색부 및 재처리 프로세스부의 동작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간편결제사 영역(EP)과 금융사 영역(MP)을 포함한다.
EP를 통해 기존의 선불전자지급수단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법령이 정하는 선불전자지급수단의 이용한도 내에서 간편하게 결제하고 송금, 이체하는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EP는 고객 연결계좌(10)와 간편결제사 서버(100)를 포함한다. 간편결제사 서버는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자금을 끌어오고, 또한 고객 연결계좌로 자금을 송금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고객 연결계좌만을 도시하였지만, 고객이 송금을 요청한 지정계좌로 자금을 송금할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금융사 서버(200)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간편결제사 서버와 금융사 서버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고객 연결계좌(10)는 고객이 이용 중인 시중은행 계좌이다.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결제사 서버로 자금이 유치된다.
MP를 통해 기존의 증권종합계좌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선불전자지급수단과 같은 이용한도 없이, 계좌기반의 송금, 이체하는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MP는 고객 금융사계좌(20)와 금융사 서버(200)를 포함한다. 금융사 서버는 고객 금융사계좌로 입금 및 고객 금융사계좌로부터 출금을 담당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간편결제사 서버(100)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고객 금융사계좌(20)는 고객이 이용 중인 시중금융사 계좌이다. 일례로, 금융사가 증권사인 경우 증권사에서 개설한 증권계좌일 수 있다. 또는 금융사가 은행인 경우 은행에서 개설한 은행계좌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용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불전자지급수단에서와 같은 한도의 제한을 받지 않는 계좌이면 된다. 고객 금융사계좌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자금이 예탁되어 운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EP와 MP간 연동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기존의 선불전자지급수단이 갖는 보유한도 및 이체한도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결제의 편리함을 유지한다. 기존의 증권종합계좌처럼 송금, 이체, 펌뱅킹 등 계좌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운용수익을 제공한다. 또한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간편결제사 영역과 금융사 영역을 연동하는 방식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1) 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모계좌 시스템과 제2 모계좌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융 서비스 제공시스템(1)(이하, 간단히 '금융 시스템'이라 함)은 간편결제사 서버(100), 금융사 서버(200), 뱅크펌 시스템(BS), 시큐리티스펌 시스템(SS), 고객 연결계좌(10)및 고객 금융사계좌(20)를 포함한다.
간편결제사 서버(100)는 제1 모계좌 시스템(110), 잔액 증가 처리부(120) 및 잔액 차감 처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잔액 증가 처리부 및 잔액 차감 처리부를 간편결제사 서버가 포함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들은 금융 시스템에 포함된 것일 수도 있다.
금융사 서버(200)는 제2 모계좌 시스템(2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편결제사 서버의 제1 모계좌 시스템(110)은 출금펌 모계좌(112), 집금모계좌(114) 및 입금펌 모계좌(1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융사 서버의 제2 모계좌 시스템(210)은 금융사모계좌(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계좌 시스템은 금융사예수금모계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출금펌 모계좌(112)는 고객 연결계좌(10)로부터 자금을 출금해와서 보유한다. 국내 금융사별 다수의 출금펌 모계좌가 존재한다. 24개의 금융기관이 국내에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면, 24개의 출금펌 모계좌가 존재할 수 있다. 각 금융기관(예를 들어, 은행)에서 발급한 계좌일 수 있다. 금융사별 다수의 출금펌 모계좌는 이체 수수료를 줄이고, 보안성과 안정성을 높인다. 출금펌 모계좌의 명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시스템을 운영하는 회사의 명의일 수 있다. 만약, 금융 시스템 운용사가 간편결제사라면, 간편결제사 명의일 수도 있다. 금융 시스템 운용사가 금융사라면, 금융사 명의일 수도 있다.
출금펌 모계좌(112)가 자금을 출금해오는 시점은 고객의 잔액증가요청과 동시에 내지는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집금모계좌(114)는 출금펌 모계좌(112)에 모인 자금을 끌어와서 보유한다. 상기 출금펌 모계좌가 다수의 계좌임에 비해 집금모계좌는 그 수가 하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결제사와 협약을 맺은 금융사(예를 들어, 은행)에서 발급한 계좌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복수개가 마련될 수도 있으나, 단일의 집금모계좌는 예수금 관리의 효율성을 높인다. 집금모계좌의 명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결제사 서버를 운영하는 회사(즉, 간편결제사)의 명의일 수 있다.
집금모계좌(114)가 출금펌 모계좌(112)로부터 자금을 끌어오는 시점은 고객의 잔액증가요청 시점과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집금모계좌는 상시 잔고를 보유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 이체 동작과는 무관하게, 고객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으로 잔액증가 또는 잔액차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집금모계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예수금 계좌 역할을 한다. 집금모계좌는 금융 시스템의 선불전자지급수단 역할을 위한 예수금 계좌라 볼 수 있다.
입금펌 모계좌(116)는 고객이 송금을 받을 것으로 지정한 고객 지정계좌로 입금한다. 국내 금융사별 다수의 입금펌 모계좌가 존재한다. 다만, 본 발명의 간편결제사 서버의 지시를 받아 입금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펌뱅킹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사에서 발급한 계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결제사와 협약을 맺은 금융사(즉, 은행)에서 발급한 계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입금펌 모계좌가 존재할 수 있다. 금융사별 다수의 입금펌 모계좌는 이체 수수료를 줄이고, 보안성과 안정성을 높인다. 입금펌 모계좌의 명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결제사의 명의일 수 있다.
입금펌 모계좌(116)가 자금을 입금하는 시점은 고객의 잔액차감요청과 동시에 내지는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입금펌 모계좌가 집금모계좌로부터 자금을 끌어오는 시점은 고객의 잔액차감요청 시점과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금융사모계좌(212)는 집금모계좌(114)에 모인 자금을 끌어와서 보유한다. 금융사모계좌는 그 수가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사 서버를 운영하는 회사(즉, 금융사)에서 발급한 계좌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복수개가 마련될 수도 있으나, 단일의 금융사모계좌는 예수금 관리의 효율성을 높인다. 금융사모계좌의 명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결제사의 명의일 수 있다. 집금모계좌와 금융사모계좌의 명의가 동일함에 주목한다.
금융사모계좌(212)가 집금모계좌(114)로부터 자금을 끌어오는 시점은 고객의 잔액증가요청 또는 잔액차감요청 시점과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금융사모계좌는 상시 잔고를 보유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 이체 동작과는 무관하게, 고객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으로 잔액증가 또는 잔액차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금융사모계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예수금 계좌 역할을 한다. 금융사모계좌는 금융 시스템의 증권종합계좌 역할을 위한 예수금 계좌라 볼 수 있다.
한편, 제2 모계좌 시스템은 금융사 영역인만큼 금융사예수금모계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금융사예수금모계좌는 금융사 자체의 예수금 베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금융사예수금모계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사와 협약을 맺은 금융사(예를 들어, 은행)에서 발급한 계좌일 수 있다. 집금모계좌를 발급한 금융사와 같은 금융사에서 발급한 계좌일 수 있다. 수수료 절감 및 보안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금융사예수금모계좌는 금융사 명의일 수 있다. 한편, 금융 시스템 운용사가 간편결제사라면, 간편결제사 명의일 수도 있다.
뱅크펌 시스템(BS)은 이체 처리를 관장하는 시스템이다. 뱅크펌 시스템은 고객 연결계좌(10)와 제1 모계좌 시스템(110)간 자금 이체 처리나, 고객이 지정한 고객 지정계좌와 제1 모계좌 시스템(110)간 자금 이체 처리에 관여하는 통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고객 연결계좌(10)와 출금펌 모계좌(112)간 자금 이체 처리 또는 입금펌 모계좌(116)와 고객 지정계좌간 자금 이체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뱅크펌 시스템은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제1 모계좌 시스템으로 자금을 끌어오거나, 제1 모계좌 시스템으로부터 고객 지정계좌로 자금을 보내주는 기능을 관장한다.
시큐리티스펌 시스템(SS)도 이체 처리를 관장하는 시스템이다. 시큐리티스펌 시스템(SS)은 제2 모계좌 시스템(210)과 고객 금융사계좌(20)간 자금 이체 처리에 관여하는 통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2 모계좌 시스템(210)과 고객 금융사계좌(20)간 자금 이체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은 제2 모계좌 시스템으로부터 고객 금융사계좌로 자금을 보내주거나, 고객 금융사계좌로부터 제2 모계좌 시스템으로 자금을 끌어오는 기능을 관장한다.
계속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잔액증가 처리부(120)는 고객의 잔액증가 요청시 상술한 뱅크펌 시스템 및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증가시키는 처리를 한다.
잔액차감 처리부(130)는 고객의 잔액차감 요청시 상술한 뱅크펌 시스템 및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차감시키는 처리를 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잔액증가 처리부와 잔액차감 처리부가 뱅크펌 시스템 및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이용해 잔액증가와 잔액차감을 처리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한편, 고객의 잔액차감 요청은 타계좌로 송금하기나 이체하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어느 경우나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이 차감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고객의 다양한 요청에 대해 잔액차감에 주목하여 잔액차감 요청이라 참조한다. 마찬가지로, 고객의 잔액증가 요청은 충전하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어느 경우나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이 증가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고객의 다양한 요청에 대해 잔액증가에 주목하여 잔액증가 요청이라 참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현금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잔액증가 처리 과정을 살펴본다.
잔액증가는 고객의 연결계좌로부터 자금을 인출하여 고객 금융사계좌에 넣는 것을 의미한다. 즉, 충전을 의미한다. 충전된 잔액은 고객에게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해 보여진다. 즉,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이 사용자에게 보여진다.
잔액증가 요청을 위해 고객은 스마트폰 앱을 통해 구현되는 충전 GUI를 이용할 수 있다.
잔액증가 요청시 관련해서 전문이 생성된다. 전문은 스마트폰 앱에서 생성되어 간편결제사 서버로 전송되거나, 스마트폰 앱을 관장하는 간편결제사 서버가 관련 정보를 받아 직접 생성할 수도 있다. 전문은 거래내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고객계좌번호, 충전요청일자, 충전요청번호, 충전금액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객의 잔액증가 요청시, 그와 실시간으로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출금펌 모계좌로 실시간 출금이 이루어진다(A1, 출금)(뱅크펌 시스템 실행). 또한 그와 실시간으로 금융사모계좌와 고객 금융사계좌간 대체 처리가 이루어진다(A2, 대체)(시큐리티스펌 시스템 실행).
A1 내지 A2 과정을 통해 고객의 잔액증가 요청과 실시간으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고객의 잔액증가 요청 이후에 순차적으로, 내부정산과정이 이루어진다. 즉, 출금펌 모계좌로부터 집금모계좌로 현금 흐름이 발생하고(B1, 이체), 집금모계좌로부터 금융사모계좌로 현금 흐름이 발생하며(B2, 이체), 금융사모계좌로부터 고객 금융사계좌로 현금 흐름이 발생한다(B3, 정산). 이로써 잔액증가 처리 과정이 완료된다. B1 내지 B3 상호간 순서는 무방하다. 출금펌 모계좌, 집금모계좌 및 금융사모계좌는 예수금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즉, 항시 잔고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잔액차감 처리 과정을 살펴본다.
잔액차감은 고객 금융사계좌로부터 자금을 인출하여 고객 지정계좌로 송금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송금을 의미한다. 다양한 원인에 의한 송금(타행이체, 결제 등)을 포함한다. 차감된 잔액은 고객에게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해 보여진다. 즉,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이 사용자에게 보여진다.
잔액차감 요청을 위해 고객은 스마트폰 앱을 통해 구현되는 송금 GUI를 이용할 수 있다.
잔액차감 요청시 관련해서 전문이 생성된다. 전문은 스마트폰 앱에서 생성되어 간편결제사 서버로 전송되거나, 스마트폰 앱을 관장하는 간편결제사 서버가 관련 정보를 받아 직접 생성할 수도 있다. 전문은 거래내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고객계좌번호, 이체요청일자, 이체요청번호, 이체금액, 이체금융기관코드, 이체금융기관계좌번호, 수취인명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객의 잔액차감 요청시, 그와 실시간으로 금융사모계좌와 고객 금융사계좌간 대체 처리가 이루어진다(X1, 대체)(시큐리티스펌 시스템 실행). 또한 그와 실시간으로 입금펌 모계좌로부터 고객 지정계좌로 실시간 입금이 이루어진다(X2, 입금)(뱅크펌 시스템 실행).
X1 내지 X2 과정을 통해 고객의 잔액차감 요청과 실시간으로 송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고객의 잔액차감 요청 이후에 순차적으로, 내부정산과정이 이루어진다. 즉, 고객 금융사계좌로부터 금융사모계좌로 현금 흐름이 발생하고(Y1, 정산), 금융사모계좌로부터 집금모계좌로 현금 흐름이 발생하며(Y2, 이체), 집금모계좌로부터 입금펌 모계좌로 현금 흐름이 발생한다(Y3, 이체). 이로써 잔액차감 처리 과정이 완료된다. Y1 내지 Y3 상호간 순서는 무방하다. 입금펌 모계좌, 집금모계좌 및 금융사모계좌는 예수금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즉, 항시 잔고를 유지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전문생성/대체거래 및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잔액증가 처리부와 잔액차감 처리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액증가 처리부(12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액증가 처리부의 동작을 뱅크펌(BankFirm)을 중심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액증가 처리부의 동작을 시큐리티스펌(SecuritiesFirm)을 중심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액증가 처리부(120)는 전문 발생부(121), 뱅크펌 실행부(122), 시큐리티스펌 실행부(123), 제1 요청 기록부(124), 제1 처리결과 수신부(125), 제1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126), 제2 요청 기록부(127), 제2 처리결과 수신부(128), 제2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129), 실패건 탐색부(1291), 재처리 프로세스부(1292), 미반영건 탐색부(1293) 및 미반영건 처리부(1294)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전문 발생부(121)는 고객의 잔액증가 요청시 관련 전문을 발생시킨다. 뱅크펌 실행부(122)는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뱅크펌 시스템을 실행시켜서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출금펌 모계좌로 자금의 이체를 진행시킨다. 그리고, 시큐리티스펌 실행부(123)는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실행시켜서 금융사모계좌와 고객 금융사계좌간 대체거래를 통해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증가시킨다.
이하 도 6을 함께 참조한다.
도 6은 잔액증가 처리시 뱅크펌 중심의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고객 연결계좌(일례로 은행)로부터 제1 모계좌 시스템(일례로 머니)으로 돈을 끌어온다는 점에서 도면에서 머니 충전(은행->머니)이라는 용어로 참조된다.
제1 요청 기록부(124)는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뱅크펌 리퀘스트 로그(bank_firm_request_log)에 요청을 기록한다(S11). 도면에서 머니 충전 요청 기록으로 도시된다.
한편, 뱅크펌 실행부(122)가 전문 발생부(121)에 의해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뱅크펌 시스템(BS)을 실행시켜서 고객 연결계좌(10)로부터 출금펌 모계좌(112)로 자금의 이체를 진행시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면 하단에 Van 시스템/은행과 출금요청으로 도시된다.
이어서, 제1 처리결과 수신부(125)는 뱅크펌 시스템의 실행에 따른 자금 이체 처리결과(성공/실패)를 수신한다(S12).
제1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126)는 수신한 처리결과를 뱅크펌 리퀘스트 로그에 반영한다(S13). 수신한 처리결과가 성공인 경우, 해당 기록에 대해 상태를 성공으로 반영한다. 도면에서 머니 충전 성공으로 도시된다. 수신한 처리결과가 실패인 경우, 해당 기록에 대해 상태를 실패로 반영한다. 도면에서 머니 충전 실패로 도시된다.
한편, 처리결과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는 어떠한 문제로 인해 송신이 실패하거나 수신이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송신측 문제, 수신측 문제, 스마트폰 오류, 애플리케이션 작동 오류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그러한 문제로 인해 자금 이체 처리결과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면에서 타임아웃으로 도시된다. 이 경우, 무한정 대기할 수는 없으며, 후속 처리를 위해, 성공 또는 실패로 간주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머니 충전 실패로 간주할 수 있다. 절차상 되돌릴만한 어떠한 프로세스도 진행되지 않았으므로, 실패로 간주함으로써 전체 절차를 간소화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머니 충전 실패인 경우에는 더 이상 잔액증가 프로세스가 수행되지 못하고 종료된다. 고객 연결계좌(일례로 은행)로부터 출금에 실패한 경우이므로 잔액증가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것이다.
반대로 머니 충전 성공인 경우에 잔액증가 프로세스가 계속하여 수행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한다.
도 7은 잔액증가 처리시 시큐리티스펌 중심의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2 모계좌 시스템(일례로 증권 시스템)으로부터 돈을 끌어와 고객 금융사계좌(일례로 증권계좌)의 잔액을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도면에서 증권 잔액증가 프로세스라는 용어로 참조된다.
제2 요청 기록부(127)는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시큐리티스펌 리퀘스트 로그(securities_firm_request_log)에 요청을 기록한다(S21). 도면에서 증권 잔액증가 요청 기록으로 도시된다.
한편, 시큐리티스펌 실행부(123)가 전문 발생부(121)에 의해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시큐리티스펌 시스템(SS)을 실행시켜서 금융사모계좌(212)와 고객 금융사계좌(20)간 대체거래를 통해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증가시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면 하단에 증권 시스템과 잔액증가요청으로 도시된다.
이어서, 제2 처리결과 수신부(128)는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의 실행에 따른 잔액 증가 처리결과를 수신한다(S22).
제2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129)는 수신한 처리결과를 시큐리티스펌 리퀘스트 로그에 반영한다(S23). 수신한 처리결과가 성공인 경우, 해당 기록에 대해 상태를 성공으로 반영한다. 도면에서 증권 잔액증가 성공으로 도시된다. 수신한 처리결과가 실패인 경우, 해당 기록에 대해 상태를 실패로 반영한다. 도면에서 증권 잔액증가 실패로 도시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어떠한 문제로 인해 잔액 증가 처리결과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면에서 타임아웃으로 도시된다. 이 경우, 후속 처리를 위해, 성공 또는 실패로 간주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증권 잔액증가 성공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들(S11 내지 S13)에서는 타임아웃시 실패로 처리되는 것과 반대임을 주목한다. 전자의 경우 되돌릴만한 어떠한 프로세스도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인데, 후자의 경우 이미 머니 충전 과정이 수행되었으므로 일단 증권 잔액증가 성공으로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하는 결과(즉, 충전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를 신속히 리턴해주기 위함이다. 다만, 해당 요청에 어떠한 처리결과도 반영되지 않은 바, 이를 처리하기 위한 내부 절차는 필요하며, 이는 미반영건 탐색부(1293) 및 미반영건 처리부(129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3에서 후술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증권 잔액증가 실패인 경우에는 재처리 프로세스가 진행된다. 이미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출금을 해온 상태이므로 절차를 종료시키지 않고 재처리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이다. 재처리 프로세스는 이미 가져온 돈을 증권계좌에 반영하기 위한 과정에 해당한다.
반대로 증권 잔액증가 성공인 경우에 충전성공으로서 절차가 종료된다.
이하 상술한 도 6의 과정 및 도 7의 과정을 포함하는 전체 흐름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액증가 처리부에 의해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이 증가 처리되는 과정의 전체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고객 연결계좌(일례로 은행)에서 돈을 인출하여 제1 모계좌 시스템(일례로 머니)을 거쳐 고객 금융사계좌(일례로 증권계좌)에 입금하는 프로세스라는 점에서 도면에서 충전이라는 용어로 참조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일례로, 거래 가능한 사용자인지 체크하는 단계(S31)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계좌가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일례로, 고객 연결계좌와 연결된 은행의 점검여부, 고객 금융사계좌와 연결된 증권사의 점검여부, 고객 연결계좌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S32)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유효 및 계좌 유효는 미리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전문은 전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거래가능여부를 판단한다(S33).
판단 결과, 거래가능한 경우 상술한 도 6의 머니 충전 과정 및 도 7의 증권 잔액증가 프로세스 과정을 포함하는 단계로 진행된다. 판단 결과, 거래불가능한 경우 거래가 종료된다. 도면 상단에서 충전실패로 도시된다. 이는 충전실패의 제1 실시예로서, 고객 은행계좌에서 출금 실패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머니 충전 과정이 수행된다(S34). 도면에서 머니 충전(은행->머니)으로 도시된다. 단계(S34)는 상술한 도 6의 머니 충전 과정에 해당한다. 즉, 상술한 단계들(S11 내지 S13)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34)는 뱅크펌 실행부(12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들(S11 내지 S13)은 제1 요청 기록부(124), 제1 처리결과 수신부(125) 및 제1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12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머니 충전 결과를 판단한다(S35).
판단 결과, 머니 충전 성공인 경우 거래가 계속 진행된다. 판단 결과, 머니 충전 실패인 경우 거래가 종료된다. 도면 상단에서 충전실패로 도시된다. 이는 충전실패의 제2 실시예로서, 고객 은행계좌로부터 출금 실패에 해당한다.
계속하여, 증권 잔액증가 프로세스 과정이 수행된다(S36). 단계(S36)는 상술한 도 7의 증권 잔액증가 프로세스 과정에 해당한다. 즉, 상술한 단계들(S21 내지 S23)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36)는 시큐리티스펌 실행부(12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들(S21 내지 S23)은 제2 요청 기록부(127), 제2 처리결과 수신부(128) 및 제2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129)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증권 잔액증가 결과를 판단한다(S37).
판단 결과, 증권 잔액증가 성공인 경우 충전성공으로 거래가 종료된다. 이때, 잔액증가거래기록 단계(S38)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판단 결과, 증권 잔액증가 실패인 경우 충전실패로 거래가 종료된다. 다만, 재처리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후술하는 재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성공시키므로, 사용자로의 안내는 충전 성공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출금을 해온 상태이므로 거래를 바로 종료시키지 않고 재처리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이다. 이는 충전실패의 제3 실시예로서, 고객 은행계좌에서 출금했지만 증권계좌 반영에는 실패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 상태로 끝날 경우 증권계좌 입금에 성공할 때까지 재처리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 FAIL_TRY_AGAIN 배치 FLOW로 도시된다. 재처리 프로세스는 후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액차감 처리부(13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액차감 처리부의 동작을 시큐리티스펌을 중심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액차감 처리부의 동작을 뱅크펌을 중심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술한 도 6 및 도 7과 다르게, 시큐리티스펌이 먼저 도시됨을 주목한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액차감 처리부(130)는 전문 발생부(131), 뱅크펌 실행부(132), 시큐리티스펌 실행부(133), 제1 요청 기록부(134), 제1 처리결과 수신부(135), 제1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136), 제2 요청 기록부(137), 제2 처리결과 수신부(138), 제2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139), 실패건 탐색부(1391), 복구 프로세스부(1392), 미반영건 탐색부(1393) 및 미반영건 처리부(1394)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전문 발생부(131)는 고객의 잔액차감 요청시 관련 전문을 발생시킨다. 뱅크펌 실행부(132)는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뱅크펌 시스템을 실행시켜서 입금펌 모계좌로부터 고객 지정계좌로 자금의 이체를 진행시킨다. 그리고, 시큐리티스펌 실행부(133)는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실행시켜서 금융사모계좌와 고객 금융사계좌간 대체거래를 통해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차감시킨다.
이하 도 10을 함께 참조한다.
도 10은 잔액차감 처리시 시큐리티스펌 중심의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2 모계좌 시스템(일례로 증권 시스템)으로 돈을 보내줌으로써 고객 금융사계좌(일례로 증권계좌)의 잔액을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도면에서 증권 잔액감소 프로세스라는 용어로 참조된다.
제1 요청 기록부(134)는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시큐리티스펌 리퀘스트 로그(securities_firm_request_log)에 요청을 기록한다(S51). 도면에서 증권 잔액차감 요청 기록으로 도시된다.
한편, 시큐리티스펌 실행부(133)가 전문 발생부(131)에 의해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시큐리티스펌 시스템(SS)을 실행시켜서 금융사모계좌(212)와 고객 금융사계좌(20)간 대체거래를 통해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차감시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면에서 증권 시스템과 잔액감소요청으로 도시된다.
이어서, 제1 처리결과 수신부(135)는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의 실행에 따른 잔액 차감 처리결과를 수신한다(S52).
제1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136)는 수신한 처리결과를 시큐리티스펌 리퀘스트 로그에 반영한다(S53). 수신한 처리결과가 성공인 경우, 해당 기록에 대해 상태를 성공으로 반영한다. 도면에서 증권 잔액차감 성공으로 도시된다. 수신한 처리결과가 실패인 경우, 해당 기록에 대해 상태를 실패로 반영한다. 도면에서 증권 잔액차감 실패로 도시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어떠한 문제로 인해 잔액 차감 처리결과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면에서 타임아웃으로 도시된다. 이 경우, 증권 잔액차감 실패로 간주할 수 있다. 절차상 되돌릴만한 어떠한 프로세스도 진행되지 않았으므로, 실패로 간주함으로써 전체 절차를 간소화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증권 잔액차감 실패인 경우에는 더 이상 잔액차감 프로세스가 수행되지 못하고 종료된다. 고객 금융사계좌(일례로 고객 잔고)로부터 잔고 차감에 실패한 경우이므로 잔액차감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것이다.
반대로 증권 잔액차감 성공인 경우에 잔액차감 프로세스가 계속하여 수행된다.
이하 도 11을 참조한다.
도 11은 잔액차감 처리시 뱅크펌 중심의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1 모계좌 시스템(일례로 머니)으로부터 고객 지정계좌(일례로 은행)로 돈을 보내준다는 점에서 도면에서 머니 계좌송금(머니->은행)이라는 용어로 참조된다.
제2 요청 기록부(137)는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뱅크펌 리퀘스트 로그(bank_firm_request_log)에 요청을 기록한다(S61). 도면에서 머니 계좌송금 요청 기록으로 도시된다.
한편, 뱅크펌 실행부(132)가 전문 발생부(131)에 의해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뱅크펌 시스템(BS)을 실행시켜서 입금펌 모계좌(116)로부터 고객 지정계좌(10)로 자금의 이체를 진행시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면 하단에서 Van 시스템/은행과 송금요청으로 도시된다.
이어서, 제2 처리결과 수신부(138)는 뱅크펌 시스템의 실행에 따른 자금 이체 처리결과(성공/실패)를 수신한다(S62).
제2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139)는 수신한 처리결과를 뱅크펌 리퀘스트 로그에 반영한다(S63). 수신한 처리결과가 성공인 경우, 해당 기록에 대해 상태를 성공으로 반영한다. 도면에서 머니 계좌송금 성공으로 도시된다. 수신한 처리결과가 실패인 경우, 해당 기록에 대해 상태를 실패로 반영한다. 도면에서 머니 계좌송금 실패로 도시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어떠한 문제로 인해 자금 이체 처리결과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면에서 타임아웃으로 도시된다. 이 경우, 머니 계좌송금 성공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들(S51 내지 S53)에서는 타임아웃시 실패로 처리되는 것과는 반대임을 주목한다. 전자의 경우 되돌릴만한 어떠한 프로세스도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인데, 후자의 경우 이미 증권 잔액차감 과정이 수행되었으므로 일단 머니 계좌송금 성공으로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하는 결과(즉, 계좌송금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를 신속히 리턴해주기 위함이다. 다만, 해당 전문에 어떠한 처리결과도 반영되지 않은 바, 이를 처리하기 위한 내부 절차는 필요하며, 이는 미반영건 탐색부 및 미반영건 처리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4에서 후술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머니 계좌송금 실패인 경우에는 복구 프로세스가 진행된다. 머니 계좌송금을 위해 고객 금융사계좌(일례로 증권계좌)에서 차감했던 고객 잔고에 대해 복구를 요청하는 것이다. 복구 프로세스는 차감했던 고객 잔고를 원래대로 되돌리는 과정에 해당한다.
반대로 머니 계좌송금 성공인 경우에 계좌송금 성공으로서 절차가 종료된다.
이하 상술한 도 10의 과정 및 도 11의 과정을 포함하는 전체 흐름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액차감 처리부에 의해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이 차감 처리되는 과정의 전체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고객 금융사계좌(일례로 증권계좌)에서 돈을 인출하여 제1 모계좌 시스템(일례로 머니)을 거쳐 고객 지정계좌(일례로 고객이 요청한 은행 또는 증권사 계좌)에 입금하는 프로세스라는 점에서 도면에서 계좌송금이라는 용어로 참조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일례로, 거래 가능한 사용자인지 체크하는 단계(S71)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계좌가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일례로, 고객 지정계좌와 연결된 은행의 점검여부, 고객 금융사계좌와 연결된 증권사의 점검여부, 고객 금융사계좌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S72)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유효 및 계좌 유효는 미리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전문은 전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거래가능여부를 판단한다(S73).
판단 결과, 거래가능한 경우 상술한 도 10의 증권 잔액감소 프로세스 과정 및 도 11의 머니 계좌송금 과정을 포함하는 단계로 진행된다. 판단 결과, 거래불가능한 경우 거래가 종료된다. 도면 상단에서 계좌송금 실패로 도시된다. 이는 계좌송금 실패의 제1 실시예로서, 고객 잔고 차감 실패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증권 잔액감소 프로세스 과정이 수행된다(S74). 단계(S74)는 상술한 도 10의 증권 잔액감소 프로세스 과정에 해당한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 내지 S53)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74)는 시큐리티스펌 실행부(13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들(S51 내지 S53)은 제1 요청 기록부(134), 제1 처리결과 수신부(135) 및 제1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13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증권 잔액감소 결과를 판단한다(S75).
판단 결과, 증권 잔액감소 성공인 경우 거래가 계속 진행된다. 판단 결과, 증권 잔액감소 실패인 경우 거래가 종료된다. 도면 상단에서 계좌송금 실패로 도시된다. 이는 계좌송금 실패의 제2 실시예로서, 고객 잔고 차감 실패에 해당한다.
계속하여, 머니 계좌송금 과정이 수행된다(S76). 도면에서 머니 계좌송금(머니->은행)으로 도시된다. 단계(S76)는 상술한 도 11의 머니 계좌송금 과정에 해당한다. 즉, 상술한 단계들(S61 내지 S63)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76)는 뱅크펌 실행부(13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들(S61 내지 S63)은 제2 요청 기록부(137), 제2 처리결과 수신부(138) 및 제2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139)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머니 계좌송금 결과를 판단한다(S77).
판단 결과, 머니 계좌송금 성공인 경우, 계좌송금 성공으로 거래가 종료된다. 이때, 잔액감소거래기록 단계(S78)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판단 결과, 머니 계좌송금 실패인 경우, 계좌송금 실패로 거래가 종료된다. 다만, 복구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고를 차감해놓은 상태이므로 거래를 바로 종료시키지 않고 복구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이다. 이는 계좌송금 실패의 제3 실시예로서, 고객 증권계좌 잔고 차감은 성공했지만, 계좌로 송금은 실패한 경우에 해당한다.
계좌 송금실패로 인한 잔고 복구 처리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계좌송금을 위해 증권계좌에서 차감했던 고객 잔고에 대해 복구를 요청한다. 복구 요청은 비동기 요청으로서, 계좌송금 실패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계좌송금 실패 시점 이후의 임의의 시점에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복구 요청을 기초로 증권 잔액증가 프로세스 과정이 수행된다(S79). 단계(S79)는 상술한 도 7의 증권 잔액증가 프로세스 과정에 해당한다. 즉, 상술한 단계들(S21 내지 S23)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79)는 실패건 탐색부(1391) 및 복구 프로세스부(139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패건 탐색부는 뱅크펌 리퀘스트 로그 중에서 처리결과가 실패로 기록된 요청을 탐색한다. 복구 프로세스부는 상기 실패건 탐색부에 의해 탐색된 실패건에 대해 고객 금융사계좌의 차감된 잔액을 복구시키는 복구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잔액증가 처리부(120)는 미반영건 탐색부(1293) 및 미반영건 처리부(1294)를 포함한다. 이들은 뱅크펌-리퀘스트 로그 및 시큐리티스펌-리퀘스트 로그에 대해 동작한다.
잔액차감 처리부(130) 역시 미반영건 탐색부(1393) 및 미반영건 처리부(1394)를 포함한다. 이들은 시큐리티스펌-리퀘스트 로그 및 뱅크펌-리퀘스트 로그에 대해 동작한다.
미반영건 탐색부와 미반영건 처리부는 로그에 대한 동작이 주요하다는 점에서, 로그별로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시큐리티스펌-리퀘스트 로그에서의 이들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큐리티스펌-리퀘스트 로그에 대해 미반영건 탐색부 및 미반영건 처리부의 동작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미반영건 탐색부(1293)는 시큐리티스펌 리퀘스트 로그에서 처리결과가 반영되지 않은 요청을 탐색한다(S91). 도면에서 15~20분 이전 거래건 중 처리 결과 반영이 안 된 건 찾기(find UNKNOWN from securities_firm_reuest_log)로 도시된다. 미반영건 탐색부의 탐색 주기가 15~20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처리결과가 반영되지 않은 요청을 미반영건으로 참조한다.
다음으로, 미반영건 처리부(1294)는 탐색된 미반영건에 대해 상기 시큐리티스펌 실행부(123)에 의한 상기 시큐리티스펌 시스템(SS)의 실행에 따른 잔액의 증가(즉, 증권 잔액증가)가 이루어진 것인지를 확인한다(S92). 도면에서 거래결과 확인 (confirm)으로 도시된다.
확인 결과, 증권 잔액의 증가가 이루어진 것인 경우 해당 미반영건에 대해 성공으로 상태를 변경한다(S93). 도면에서 SUCCESS 상태로 변경으로 도시된다. 상술한 도 7의 단계(S23)에 의해 로그에 반영될 수 있다.
확인 결과, 증권 잔액의 증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인 경우 해당 미반영건에 대해 실패로 상태를 변경한다(S94). 도면에서 FAIL_TRY_AGAIN 상태로 변경으로 도시된다. 상술한 도 7의 단계(S23)에 의해 로그에 반영될 수 있다. 이 경우, 재처리 프로세스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5에서 후술한다.
상술한 단계들(S91 내지 S94)이 잔액차감 처리 과정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차이점을 위주로 후술한다.
미반영건 탐색부(1393)는 시큐리티스펌 리퀘스트 로그에서 처리결과가 반영되지 않은 요청을 탐색한다(S91). 마찬가지로 도면에서 15~20분 이전 거래건 중 처리 결과 반영이 안 된 건 찾기(find UNKNOWN from securities_firm_reuest_log)로 도시된다.
다음으로, 미반영건 처리부(1394)는 탐색된 미반영건에 대해 상기 시큐리티스펌 실행부(133)에 의한 상기 시큐리티스펌 시스템(SS)의 실행에 따른 잔액의 차감(즉, 증권 잔액차감)이 이루어진 것인지를 확인한다(S92). 도면에서 거래결과 확인 (confirm)으로 도시된다.
확인 결과, 증권 잔액의 차감이 이루어진 것인 경우 해당 미반영건에 대해 성공으로 상태를 변경한다(S95). 도면에서 SUCCESS 상태로 변경으로 도시된다. 상술한 도 10의 단계(S53)에 의해 로그에 반영될 수 있다. 이 경우, 복구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실패로 간주하였기 때문에, 실패로 나갔던 사용자로의 안내를 번복하는 일 없이 절차를 간소화한다. 복구 프로세스는 고객 금융사계좌의 차감된 잔액을 복구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구 프로세스는 도 12에서 상술한 바와 대체로 같을 수 있다.
확인 결과, 증권 잔액의 차감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인 경우 해당 미반영건에 대해 실패로 상태를 변경한다(S96). 도면에서 FAIL 상태로 변경으로 도시된다. 상술한 도 10의 단계(S53)에 의해 로그에 반영될 수 있다. 상술한 잔액증가 처리 과정에서 FAIL_TRY_AGAIN 상태인 것과 차이가 있음을 주목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뱅크펌-리퀘스트 로그에 대해 미반영건 탐색부 및 미반영건 처리부의 동작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미반영건 탐색부(1293)는 뱅크펌 리퀘스트 로그에서 처리결과가 반영되지 않은 전문을 탐색한다(S101). 도면에서 15~20분 이전 거래건 중 처리 결과 반영이 안 된 건 찾기(find UNKNOWN from bank_firm_reuest_log)로 도시된다. 본 발명에서 처리결과가 반영되지 않은 전문을 미반영건으로 참조한다.
다음으로, 미반영건 처리부(1294)는 탐색된 미반영건에 대해 상기 뱅크펌 실행부(122)에 의한 상기 뱅크펌 시스템(BS)의 실행에 따른 자금의 이체(즉, 머니 충전)가 진행된 것인지를 확인한다(S102). 도면에서 거래결과 확인 (confirm)으로 도시된다.
확인 결과, 머니 충전이 이루어진 것인 경우 해당 미반영건에 대해 성공으로 상태를 변경한다(S103). 도면에서 SUCCESS 상태로 변경으로 도시된다. 상술한 도 6의 단계(S13)에 의해 로그에 반영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속 단계로 이어질 수 있다. 즉, 증권 잔액증가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도 8의 단계(S36) 이후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확인 결과, 머니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인 경우 해당 미반영건에 대해 실패로 상태를 변경한다(S104). 도면에서 FAIL 상태로 변경으로 도시된다. 상술한 도 6의 단계(S13)에 의해 로그에 반영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들(S101 내지 S104)이 잔액차감 처리 과정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차이점을 위주로 후술한다.
미반영건 탐색부(1393)는 뱅크펌 리퀘스트 로그에서 처리결과가 반영되지 않은 요청을 탐색한다(S101). 마찬가지로 도면에서 15~20분 이전 거래건 중 처리 결과 반영이 안 된 건 찾기(find UNKNOWN from bank_firm_reuest_log)로 도시된다.
다음으로, 미반영건 처리부(1394)는 탐색된 미반영건에 대해 상기 뱅크펌 실행부(132)에 의한 상기 뱅크펌 시스템(BS)의 실행에 따른 자금의 이체(즉, 머니 계좌송금)가 진행된 것인지를 확인한다(S102). 도면에서 거래결과 확인 (confirm)으로 도시된다.
확인 결과, 머니 계좌송금이 이루어진 것인 경우 해당 미반영건에 대해 성공으로 상태를 변경한다(S105). 도면에서 SUCCESS 상태로 변경으로 도시된다. 상술한 도 11의 단계(S63)에 의해 로그에 반영될 수 있다.
확인 결과, 머니 계좌송금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인 경우 해당 미반영건에 대해 실패로 상태를 변경한다(S106). 도면에서 FAIL 상태로 변경으로 도시된다. 상술한 도 10의 단계(S63)에 의해 로그에 반영될 수 있다. 이 경우, 복구 프로세스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2에서 상술한 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잔액증가 처리 과정에서 FAIL과는 달리 복구 프로세스가 수행됨을 주목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패건 탐색부 및 재처리 프로세스부의 동작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잔액증가 처리부(120)는 실패건 탐색부(1291) 및 재처리 프로세스부(1292)를 포함한다. 잔액차감 처리부(130)의 경우 재처리 프로세스부 대신에 복구 프로세스부를 갖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복구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도 12에서 상술한 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실패건 탐색부(1291)는 시큐리티스펌 리퀘스트 로그 중에서 처리결과가 실패로 기록된 요청을 탐색한다(S111). 도면에서 find FAIL_TRY_AGAIN securities_firm_request_log로 도시된다. 즉, FAIL을 찾는 것이 아니라 FAIL_TRY_AGAIN을 찾는다. 재처리 대상을 찾는 것이다.
이어서, 재처리 프로세스부(1292)는 증권 잔액증가 프로세스 과정을 수행한다(S115). 도면에서 맨 아래 call addBalance 증권 잔액 증가 요청으로 도시된다.
단계(S115)는 상술한 도 7의 증권 잔액증가 프로세스 과정에 해당한다. 즉, 상술한 단계들(S21 내지 S23)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들(S21 내지 S23)은 제2 요청 기록부(127), 제2 처리결과 수신부(128) 및 제2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129)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잔액증가 처리 과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출금을 해온 상태이므로 증권 잔액증가 실패인 경우라 하더라도 거래를 바로 종료시키지 않고 재처리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되며, 증권계좌 입금에 성공할 때까지 재처리 프로세스가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115)를 수행하기 이전에 여러 단계들(S112 내지 S114)이 더욱 수행될 수 있다.
상세하게, 단계(S111) 이후, 잔고 이중지불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12). 도면에서 check 이중지불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내역으로 이미 고객 금융사계좌에 충전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1건의 충전 요청에 대해 동일한 내역으로 2회 충전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단계(S111) 이후, 계좌 유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13). 도면에서 check 증권 가입상태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고객 금융사계좌가 유효한지 여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단계(S111) 이후, 재처리 프로세스 반복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S114). 도면에서 check 실패카운트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전문에 대해 FAIL_TRY_AGAIN가 기록되는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재처리 프로세스를 무한하게 반복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일례로, 반복 최대 횟수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실패카운트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들 중 어느 하나가 만족하지 않는 경우, 최종 실패 처리를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앞선 머니 충전 과정을 통해 이미 가져온 자금은 고객 연결계좌로 환급되도록 하는 복원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잔액증가 과정과 잔액차감 과정을 별개로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병행하여 내지는 선후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잔액차감 요청시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고가 부족한 경우 상술한 충전 과정을 통해 충전시킨 후 잔액차감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례로, 고객의 잔액차감 요청이 150만원이고, 잔고가 50만원인 경우,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100만원을 고객 금융사계좌에 충전한 뒤에(즉, 잔고를 150만원으로 만든 뒤에) 상술한 잔액차감 처리부에 의한 잔액차감 요청 처리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부족분을 산정하고 그렇게 산정된 부족분에 대해 상술한 도 8의 충전 프로세스로 진입시키는 부족분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면 충분하며,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상술한 잔액차감 처리부에 관한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는 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 고객 연결계좌
20 : 고객 금융사계좌
100 : 간편결제사 서버
110 : 제1 모계좌 시스템
112 : 출금펌 모계좌
114 : 집금모계좌
116 : 입금펌 모계좌
200 : 금융사 서버
210 : 제2 모계좌 시스템
212 : 금융사모계좌
BS : 뱅크펌 시스템
SS : 시큐리티스펌 시스템
120, 130 : 잔액증가 처리부, 잔액차감 처리부
121, 131 : 전문 발생부
122, 132 : 뱅크펌 실행부
123, 133 : 시큐리티스펌 실행부
124, 134 : 제1 요청 기록부
125, 135 : 제1 처리결과 수신부
126, 136 :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
127, 137 : 제2 요청 기록부
128, 138 : 제2 처리결과 수신부
129, 139 : 제2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
1291, 1391 : 실패건 탐색부
1292, 1392 : 재처리 프로세스부, 복구 프로세스부
1293, 1393 : 미반영건 탐색부
1294, 1394 : 미반영건 처리부

Claims (16)

  1.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자금을 유치하여 고객 금융사계좌를 운용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제1 모계좌들을 포함하는 제1 모계좌 시스템을 포함하는 간편결제사 서버;
    하나 이상의 제2 모계좌들을 포함하는 제2 모계좌 시스템을 포함하는 금융사 서버;
    상기 고객 연결계좌와 상기 제1 모계좌 시스템간 자금 이체 처리나, 고객이 지정한 고객 지정계좌와 상기 제1 모계좌 시스템간 자금 이체 처리를 관장하는 뱅크펌 시스템; 및
    상기 제2 모계좌 시스템과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간 자금 이체 처리를 관장하는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포함하며,
    고객의 잔액변동 요청시, 상기 뱅크펌 시스템 및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통하여 처리하여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변동시키되,
    상기 제1 모계좌 시스템은 상기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자금을 출금해와서 보유하는 출금펌 모계좌, 상기 출금펌 모계좌에 모인 자금을 끌어와서 보유하는 집금모계좌, 및 고객이 송금을 받을 것으로 지정한 고객 지정계좌로 입금하는 입금펌 모계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계좌 시스템은 상기 집금모계좌에 모인 자금을 끌어와서 보유하는 금융사모계좌;를 포함하며,
    상기 출금펌 모계좌가 상기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자금을 출금해오는 시점(A1), 상기 입금펌 모계좌가 자금을 입금하는 시점(X2), 및 상기 금융사모계좌와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간 대체 처리가 이루어지는 시점(A2, X1)은 상기 고객의 잔액변동 요청과 동시에 내지는 실시간으로 수행되는 반면,
    상기 집금모계좌 및 상기 금융사모계좌는 항시 잔고를 보유하여, 내부정산을 위한 현금흐름으로서, 상기 출금펌 모계좌와 상기 집금모계좌간 현금 흐름(B1), 상기 집금모계좌와 상기 입금펌 모계좌간 현금 흐름(Y3), 상기 집금모계좌와 상기 금융사모계좌간 현금 흐름(B2, Y2), 및 상기 금융사모계좌와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간 현금 흐름(B3, Y1)은 상호간 순서에 무방하게 상기 고객의 잔액변동 요청 이후의 임의의 시점에 수행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고객의 잔액증가 요청시, 상기 뱅크펌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자금을 인출해오는 처리와, 상기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증가시키는 처리를 수행하는 잔액증가 처리부; 및
    고객의 잔액차감 요청시, 상기 뱅크펌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고객 지정계좌로 자금을 송금해주는 처리와, 상기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차감시키는 처리를 수행하는 잔액차감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계좌들은 출금펌 모계좌, 집금모계좌 및 입금펌 모계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계좌들은 금융사모계좌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잔액증가 처리부는,
    잔액증가 요청 관련 전문을 발생시키는 전문 발생부;
    상기 전문을 기초로 상기 뱅크펌 시스템을 실행시켜서 상기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상기 출금펌 모계좌로 자금의 이체를 진행시키는 뱅크펌 실행부; 및
    상기 전문을 기초로 상기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실행시켜서 상기 금융사모계좌와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간 대체거래를 통해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증가시키는 시큐리티스펌 실행부;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잔액증가 처리부는,
    상기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뱅크펌-리퀘스트 로그에 요청을 기록하는 제1 요청 기록부;
    상기 뱅크펌 시스템의 실행에 따른 자금 이체 처리결과를 수신하는 제1 처리결과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처리결과를 상기 뱅크펌-리퀘스트 로그에 반영하는 제1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잔액증가 처리부는,
    상기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시큐리티스펌-리퀘스트 로그에 요청을 기록하는 제2 요청 기록부;
    상기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의 실행에 따른 잔액 증가 처리결과를 수신하는 제2 처리결과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처리결과를 상기 시큐리티스펌-리퀘스트 로그에 반영하는 제2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잔액증가 처리부는,
    상기 시큐리티스펌-리퀘스트 로그 중에서 상기 처리결과가 실패로 기록된 요청을 탐색하는 실패건 탐색부; 및
    상기 실패건에 대해 상기 제2 요청 기록부, 상기 제2 처리결과 수신부 및 상기 제2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에 의한 재처리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재처리 프로세스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잔액증가 처리부는,
    상기 시큐리티스펌-리퀘스트 로그 중에서 상기 처리결과가 반영되지 않은 요청을 탐색하는 미반영건 탐색부; 및
    상기 미반영건에 대해 상기 시큐리티스펌 실행부에 의한 상기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의 실행에 따른 잔액의 증가가 이루어진 것인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잔액의 증가가 이루어진 것인 경우 상기 미반영건에 대해 성공으로 상태를 변경하고, 확인 결과 잔액의 증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인 경우 상기 미반영건에 대해 실패로 상태를 변경하는 미반영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잔액차감 처리부는,
    잔액차감 요청 관련 전문을 발생시키는 전문 발생부;
    상기 전문을 기초로 상기 뱅크펌 시스템을 실행시켜서 상기 입금펌 모계좌로부터 상기 고객 지정계좌로 자금의 이체를 진행시키는 뱅크펌 실행부; 및
    상기 전문을 기초로 상기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실행시켜서 상기 금융사모계좌와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간 대체거래를 통해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차감시키는 시큐리티스펌 실행부;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잔액차감 처리부는,
    상기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시큐리티스펌-리퀘스트 로그에 요청을 기록하는 제1 요청 기록부;
    상기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의 실행에 따른 잔액 차감 처리결과를 수신하는 제1 처리결과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처리결과를 상기 시큐리티스펌-리퀘스트 로그에 반영하는 제1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잔액차감 처리부는,
    상기 발생된 전문을 기초로 뱅크펌-리퀘스트 로그에 요청을 기록하는 제2 요청 기록부;
    상기 뱅크펌 시스템의 실행에 따른 자금 이체 처리결과를 수신하는 제2 처리결과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처리결과를 상기 뱅크펌-리퀘스트 로그에 반영하는 제2 요청 처리결과 반영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잔액차감 처리부는,
    상기 뱅크펌-리퀘스트 로그 중에서 상기 처리결과가 실패로 기록된 요청을 탐색하는 실패건 탐색부; 및
    상기 실패건에 대해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의 차감된 잔액을 복구시키는 복구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복구 프로세스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잔액차감 처리부는,
    상기 뱅크펌-리퀘스트 로그 중에서 상기 처리결과가 반영되지 않은 요청을 탐색하는 미반영건 탐색부; 및
    상기 미반영건에 대해 상기 뱅크펌 실행부에 의한 상기 뱅크펌 시스템의 실행에 따른 자금의 이체가 진행된 것인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자금의 이체가 진행된 것인 경우 상기 미반영건에 대해 성공으로 상태를 변경하고, 확인 결과 자금의 이체가 진행되지 않은 것인 경우 상기 미반영건에 대해 실패로 상태를 변경하는 미반영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계좌 시스템은 각기 다른 금융사에 의해 발급된 다수의 출금펌 모계좌들을 포함하되,
    상기 뱅크펌 시스템은 상기 다수의 출금펌 모계좌들 중 상기 고객 연결계좌와 동일한 금융사에 의해 발급된 출금펌 모계좌를 이용해 자금 이체를 처리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자금을 유치하여 고객 금융사계좌에 예탁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편결제사 서버로서,
    하나 이상의 제1 모계좌들을 포함하는 제1 모계좌 시스템;을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제2 모계좌들을 포함하는 제2 모계좌 시스템;을 포함하는 금융사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고객의 잔액변동 요청시, 상기 고객 연결계좌와 상기 제1 모계좌 시스템간 자금 이체 처리나, 고객이 지정한 고객 지정계좌와 상기 제1 모계좌 시스템간 자금 이체 처리를 관장하는 뱅크펌 시스템 및 상기 제2 모계좌 시스템과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간 자금 이체 처리를 관장하는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변동시키되,
    상기 제1 모계좌 시스템은 상기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자금을 출금해와서 보유하는 출금펌 모계좌, 상기 출금펌 모계좌에 모인 자금을 끌어와서 보유하는 집금모계좌, 및 고객이 송금을 받을 것으로 지정한 고객 지정계좌로 입금하는 입금펌 모계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계좌 시스템은 상기 집금모계좌에 모인 자금을 끌어와서 보유하는 금융사모계좌;를 포함하며,
    상기 출금펌 모계좌가 상기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자금을 출금해오는 시점(A1), 상기 입금펌 모계좌가 자금을 입금하는 시점(X2), 및 상기 금융사모계좌와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간 대체 처리가 이루어지는 시점(A2, X1)은 상기 고객의 잔액변동 요청과 동시에 내지는 실시간으로 수행되는 반면,
    상기 집금모계좌 및 상기 금융사모계좌는 항시 잔고를 보유하여, 내부정산을 위한 현금흐름으로서, 상기 출금펌 모계좌와 상기 집금모계좌간 현금 흐름(B1), 상기 집금모계좌와 상기 입금펌 모계좌간 현금 흐름(Y3), 상기 집금모계좌와 상기 금융사모계좌간 현금 흐름(B2, Y2), 및 상기 금융사모계좌와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간 현금 흐름(B3, Y1)은 상호간 순서에 무방하게 상기 고객의 잔액변동 요청 이후의 임의의 시점에 수행되는, 간편결제사 서버.
  16.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자금을 유치하여 고객 금융사계좌에 예탁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사 서버로서,
    하나 이상의 제1 모계좌들을 포함하는 제1 모계좌 시스템;을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제2 모계좌들을 포함하는 제2 모계좌 시스템;을 포함하는 간편결제사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고객의 잔액변동 요청시, 상기 고객 연결계좌와 상기 제1 모계좌 시스템간 자금 이체 처리나, 고객이 지정한 고객 지정계좌와 상기 제1 모계좌 시스템간 자금 이체 처리를 관장하는 뱅크펌 시스템 및 상기 제2 모계좌 시스템과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간 자금 이체 처리를 관장하는 시큐리티스펌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의 잔액을 변동시키되,
    상기 제1 모계좌 시스템은 상기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자금을 출금해와서 보유하는 출금펌 모계좌, 상기 출금펌 모계좌에 모인 자금을 끌어와서 보유하는 집금모계좌, 및 고객이 송금을 받을 것으로 지정한 고객 지정계좌로 입금하는 입금펌 모계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계좌 시스템은 상기 집금모계좌에 모인 자금을 끌어와서 보유하는 금융사모계좌;를 포함하며,
    상기 출금펌 모계좌가 상기 고객 연결계좌로부터 자금을 출금해오는 시점(A1), 상기 입금펌 모계좌가 자금을 입금하는 시점(X2), 및 상기 금융사모계좌와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간 대체 처리가 이루어지는 시점(A2, X1)은 상기 고객의 잔액변동 요청과 동시에 내지는 실시간으로 수행되는 반면,
    상기 집금모계좌 및 상기 금융사모계좌는 항시 잔고를 보유하여, 내부정산을 위한 현금흐름으로서, 상기 출금펌 모계좌와 상기 집금모계좌간 현금 흐름(B1), 상기 집금모계좌와 상기 입금펌 모계좌간 현금 흐름(Y3), 상기 집금모계좌와 상기 금융사모계좌간 현금 흐름(B2, Y2), 및 상기 금융사모계좌와 상기 고객 금융사계좌간 현금 흐름(B3, Y1)은 상호간 순서에 무방하게 상기 고객의 잔액변동 요청 이후의 임의의 시점에 수행되는, 금융사 서버.
KR1020210008732A 2021-01-21 2021-01-21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 KR102620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732A KR102620002B1 (ko) 2021-01-21 2021-01-21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
US18/262,220 US20240112256A1 (en) 2021-01-21 2022-01-21 Financial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simple payment company server therefor
PCT/KR2022/001127 WO2022158901A1 (ko) 2021-01-21 2022-01-21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
KR1020230191219A KR20240005642A (ko) 2021-01-21 2023-12-26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732A KR102620002B1 (ko) 2021-01-21 2021-01-21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1219A Division KR20240005642A (ko) 2021-01-21 2023-12-26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858A KR20220105858A (ko) 2022-07-28
KR102620002B1 true KR102620002B1 (ko) 2023-12-29

Family

ID=825489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732A KR102620002B1 (ko) 2021-01-21 2021-01-21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
KR1020230191219A KR20240005642A (ko) 2021-01-21 2023-12-26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1219A KR20240005642A (ko) 2021-01-21 2023-12-26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12256A1 (ko)
KR (2) KR102620002B1 (ko)
WO (1) WO202215890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9249A (ja) * 2008-04-30 2009-12-10 Fujitsu Frontech Ltd 自動取引装置および電子マネーチャージ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0899A (ja) * 2004-03-04 2005-09-15 Toshihiko Eda プリペイド決済装置、プリペイド決済システム、プリペイド決済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38601B1 (ko) * 2006-03-15 2006-10-27 (주)앤알넷 선불 단말기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KR101533273B1 (ko) * 2008-04-16 2015-07-03 주식회사 하나은행 계좌 이체 방법
KR20100013757A (ko) * 2008-08-01 2010-02-1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이종의 계좌 연결을 통한 캐시 결제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AU2010295188B2 (en) * 2009-09-17 2016-07-07 Royal Canadian Mint/Monnaie Royale Canadienne Asset storage and transfer system for electronic purses
KR101729162B1 (ko) * 2015-12-04 2017-05-02 농협은행(주) 금융 오픈 플랫폼 기반의 선불결제 관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16999B1 (ko) * 2016-07-13 2018-11-08 주식회사 카카오페이 이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체 중계 서버
KR102115400B1 (ko) * 2019-08-30 2020-05-27 주식회사쿠콘 송금중계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9249A (ja) * 2008-04-30 2009-12-10 Fujitsu Frontech Ltd 自動取引装置および電子マネーチャージ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12256A1 (en) 2024-04-04
WO2022158901A1 (ko) 2022-07-28
KR20220105858A (ko) 2022-07-28
KR20240005642A (ko) 2024-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18052A1 (en) Cryptocurrency cash gateway
KR101524957B1 (ko) 빌러의 결제플랫폼을 이용해 고객의 요금을 결제하는 시스템과 방법
US8326757B2 (en) Emerging market banking system
US20110137751A1 (en) Computerized system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between parties on the internet using e-mail
US201300068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execution of non-bank Third Party Services Transactions over Financial Networks through Electronic Terminals utilizing a Non-Depository Virtual Account Management System
US20110055083A1 (en) System and method of funds transfer using a secure financial account
KR101907848B1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이종화폐 송금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WO2013017695A1 (en) Method, system and process for centralized management and control of a budget and electronic mass distribution of funds
CN113421156A (zh) 基于区块链的资产管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
JP2016532201A (ja) 貴金属担保口座を用いて金融取引中に通貨の価値を計算して換算する方法
JP2013033399A (ja) 為替集合取引銀行サーバ、為替集合取引方法及び為替集合取引プログラム
US20040093307A2 (en) [an emerging market banking system]
JP2001243400A (ja) 関連口座を用いた口座管理システム
KR20210034227A (ko)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온라인 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
KR100435854B1 (ko) 기업간 대금결제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업간대금결제 관리 방법
JP4461618B2 (ja) 決済装置及び方法
KR102620002B1 (ko)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
AGABONIFO et al. An Assessment of the Role of ICT in the Readiness of Nigerian Bank Customers for the Introduction of Cashless Transactions.
KR102620003B1 (ko)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간편결제사 서버
JP6738113B1 (ja) 金銭管理システム、金銭管理方法、寄付管理システム、寄付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3067535A1 (en)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KR102092909B1 (ko) 환율을 반영하며 시간 단위로 표현되는 통합 전자화폐 생성 시스템
US202400544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n, secure, encrypted currency exchange and smart contract transactions
JP7392071B1 (ja) トークン移転システム
KR102620004B1 (ko) 자본 이동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