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916B1 - Automatic Strap Device With Improved Ease Of Use - Google Patents

Automatic Strap Device With Improved Ease Of 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916B1
KR102619916B1 KR1020230082541A KR20230082541A KR102619916B1 KR 102619916 B1 KR102619916 B1 KR 102619916B1 KR 1020230082541 A KR1020230082541 A KR 1020230082541A KR 20230082541 A KR20230082541 A KR 20230082541A KR 102619916 B1 KR102619916 B1 KR 102619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ver
link
tension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25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근철
Original Assignee
장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철 filed Critical 장근철
Priority to KR1020230082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9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91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2Means for controlling tension of bin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거치부가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거치부와 축 결합되며, 밴드와 접촉된 상태로 회동하여 밴드를 당기는 텐션휠부를 통해 밴드에 텐션이 발생되도록 하는 텐션모듈 및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부를 통해 상기 텐션모듈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레버유닛을 포함한다.An automatic strapping device with improved us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on which a mounting portion is formed, a tension wheel portion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and rotates in contact with the band to pull the band, thereby providing tension to the band. It includes a tension module that causes the tension module to be generated and a lever unit that causes the tension modul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through a lever operated by the user.

Description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 스트래핑 장치{Automatic Strap Device With Improved Ease Of Use}Automatic Strap Device With Improved Ease Of Use}

본 발명은 자동 스트래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밴드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자동 스트래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trapp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atic strapping device that improves convenience of use by allowing the band to be easily mounted.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휴대 가능한 툴(tool)의 형태로 플라스틱 밴드를 통해 상자 등의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스트래핑은 먼저 플라스틱 재질의 밴드로 루프가 만들어지도록 물품을 감싼 후, 자동 스트래핑 장치에 플라스틱 밴드를 장착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이때,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플라스틱 밴드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플라스틱 밴드가 장착되면 일정한 텐션이 발생될 때까지 밴드를 당기고, 밴드의 겹친 부분을 용접하여 일정한 텐션을 갖는 루프를 생성한다.An automatic strapping device is a portable tool used to pack items such as boxes using plastic bands. Strapping requires the process of first wrapping an item with a plastic band to create a loop, and then installing the plastic band on an automatic strapping device. At this time, the automatic strapping device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apart so that the plastic band can be mounted. Meanwhile, when a plastic band is installed, the automatic strapping device pulls the band until a certain tension is generated and creates a loop with a certain tension by welding the overlapping parts of the band.

종래의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사용자가 플라스틱 밴드를 장착하는 동안 한 손으로는 자동 스트래핑 장치를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플라스틱 밴드를 장착하는 중에 하강하거나 동작하여 손끼임 등의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automatic strapping device had the inconvenient problem that the user had to hold the automatic strapping device with one hand while attaching the plastic band. In addition, this automatic strapping device had a problem in that it lowered or operated while the plastic band was being mounted, causing safety accidents such as hands being caugh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3715호 에너지 저장 수단을 갖는 스트래핑 디바이스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653715 Strapping device with energy storage mean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02086호 스트래핑 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302086 Strapping devic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5003호 기어 시스템 디바이스를 갖는 스트래핑 디바이스Strapping device with gear system devic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675003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텐션모듈을 이격시킨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자동 스트래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re intended to provide an automatic strapping device that can secure tension modules in a spaced apart state.

또한, 텐션모듈이 이격된 상태에서 작동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occur when the tension module is operated while spaced apart.

또한, 사용자의 간단한 동작으로 텐션모듈을 이격하거나 이격을 해제할 수 있는 자동 스트래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we would like to provide an automatic strapping device that can separate or release tension modules with a simple action by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거치부가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거치부와 축 결합되며, 밴드와 접촉된 상태로 회동하여 밴드를 당기는 텐션휠부를 통해 밴드에 텐션이 발생되도록 하는 텐션모듈; 및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부를 통해 상기 텐션모듈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레버유닛;을 포함하는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 스트래핑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on which a mounting portion is formed; A tension module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and rotates in contact with the band to generate tension in the band through a tension wheel portion that pulls the band; and a lever unit that separates the tension module from the base plate through a lever operated by a user.

상기 텐션모듈은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동하며, 상기 텐션휠부의 출력 조건을 결정하는 구동기어부; 상기 구동기어부에 의해 회동하며, 밴드를 마찰력으로 감아 당기는 텐션휠부; 및 상기 모터부와 상기 텐션휠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기어부를 수용하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ension module includes a motor unit; a driving gear unit rotated by the motor unit and determining output conditions of the tension wheel unit; A tension wheel unit that rotates by the drive gear unit and winds and pulls the band with frictional force; and a body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motor portion and the tension wheel portion and accommodating the driving gear portion.

상기 바디부의 일 측 하단에는 상기 레버유닛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제1지지홈 및 제2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support groove and a second support groove are formed at a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o be supported by the lever unit.

상기 레버유닛은 일단이 분기되며, 분기되는 일단 중 어느 하나에는 레버축과 결합되는 레버축홀이 형성되는 레버부; 및 상기 레버부에 사용자에 의한 당김 동작이 가해지면, 상기 레버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텐션모듈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일정 각도로 경사지면서 이격되도록 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ver unit includes a lever portion having a branched end and a lever shaft hole coupled to a lever shaft formed on one of the branched ends; and a link part that causes the tension module to be inclined and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at a certain angle as the lever part rotates when a pulling operation by the user is applied to the lever part.

상기 링크부는 상기 레버부의 회동에 따라 직선 운동하며, 상기 텐션모듈의 하단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1지지롤러가 형성되는 수평이동링크; 및 상기 거치부와 축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수평이동링크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2지지롤러가 형성되는 릴리즈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nk unit moves linearl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ever unit, and includes a horizontal movement link formed with a first support roller that moves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tension module; and a release link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and has a second support roller at one end that mov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ovable link.

상기 링크부는 일단에 상기 릴리즈링크와 결합되는 장형의 축홀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에 사용자에 의한 당김 동작이 해제되면, 타측 일부가 상기 텐션모듈과 톱니 결합되는 기어락(lock)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nk part has a long shaft hole coupled to the release link at one end, and when a user pulls the lever part, a gear lock link on the other side of which is toothed and engaged with the tension module. It is desirable to include it.

상기 레버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레버부가 당겨진 상태에서, 걸림쇠부를 통해 고정되도록 하는 레버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lever fixing unit tha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ver unit and is fixed through a lock unit when the lever unit is pull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iscuss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to be achie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텐션모듈을 이격시킨 상태로 고정하여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utomatic strap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ease of installation by fixing the tension modules in a spaced apart state.

또한, 본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내부 부품을 모듈 단위로 형성하여 생산성,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is automatic strapping device can improve productivity and assembly by forming internal parts in module units.

또한, 본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텐션모듈이 이격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작동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automatic strapping device can effectively prevent safety accidents by operating only when the tension module is not separated.

또한, 본 자동 스트래핑 장치는 사용자의 간단한 동작으로 텐션모듈을 이격하거나 이격을 해제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is automatic strapping device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by allowing the tension module to be spaced or released through a simple user a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트래핑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베이스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바디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레버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링크부가 레버부에 의해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고정유닛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strapp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ase plate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body part of Figure 1 as seen from the sid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ever unit of Figure 1.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link part of Figure 4 operates by the lever part.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lever f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various changes may be made.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func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nterpreted as meanings common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트래핑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베이스플레이트(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100), 텐션모듈(200), 레버유닛(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플레이트(100)는 본 발명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베이스플레이트(100)에는 거치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텐션모듈(200)은 거치부(110)와 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텐션모듈(200)은 밴드와 접촉된 상태로 회동하여 밴드를 당기는 텐션휠부(230)를 통해 밴드에 텐션이 발생되도록 한다. 한편, 레버유닛(300)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부(320)를 통해 텐션모듈(200)이 베이스플레이트(100)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Figure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strap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ase plate 100 of Figure 1.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se plate 100, a tension module 200, a lever unit 300, etc. In one embodiment, the base plate 100 is a part that forms the bottom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unt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on the base plate 100. The tension module 200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110. In addition, the tension module 200 rotates in contact with the band to generate tension in the band through the tension wheel unit 230, which pulls the band. Meanwhile, the lever unit 300 allows the tension module 20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100 through the lever unit 320 operated by the user.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100)의 바닥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스트래핑할 물품의 어느 일 면에 면접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0)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모듈 및 유닛이 안정적으로 배치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치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플레이트(100)는 거치부(110), 마운트부(120), 슬라이드홈(130), 리미트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formed as a flat surface so that it can be placed on any side of the article to be strapped. Additionally, the base plat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mounting element so that the modules and uni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ably placed and fixed. In one embodiment, the base plate 100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110, a mount portion 120, a slide groove 130, a limit pin 140, etc.

일 실시예에서, 거치부(11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110)에는 텐션모듈(200) 및 레버유닛(300)의 일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마운트부(120)는 베이스플레이트(100) 중 후술할 텐션휠부(2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마운트부(120)의 상면에는 밴드가 장착된다. 이때, 마운트부(120)의 상면에는 일정 패턴으로 요철이 형성되어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운트부(120)의 상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unt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0. At least one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110 to enable coupling with the tension module 200 and a portion of the lever unit 300. Meanwhile, the mount portion 120 may be disposed in a position of the base plate 100 corresponding to the tension wheel portion 2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 band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 unit 120. At this time, irregularities are formed in a certain patter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 unit 120 to increase friction. In one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 unit 120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 일 측에는 슬라이드홈(130)이 일정 구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드홈(130)은 후술할 수평이동링크(332)의 하면과 면접할 수 있다. 한편, 리미트핀(140)은 슬라이드홈(13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리미트핀(140)은 수평이동링크(332)의 이동범위를 제한하여 수평이동링크(332)가 슬라이드홈(130)을 이탈하지 않고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미트핀(140)은 슬라이드홈(130)에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리미트핀(140)은 수평이동링크(332)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A slide groove 130 may be formed in a certain sec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0. In one embodiment, the slide groove 130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ovable link 3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eanwhile, the limit pin 140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slide groove 130. The limit pin 140 can limit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able link 332 so that the horizontal movable link 332 slides without leaving the slide groove 130. To this end, the limit pin 14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lide groove 130 by a predetermined height. At this time, the limit pin 140 may b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horizontal movement link 332.

일 실시예에서, 텐션모듈(200)은 제어부(미도시), 모터부(210), 구동기어부(220), 텐션휠부(230), 바디부(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210)는 바디부(24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부(210)는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텐션휠부(23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때, 모터부(210)의 회전 방향은 텐션휠부(230)가 밴드를 감아 당기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부(21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은 구동기어부(220)를 거쳐 텐션휠부(230)로 전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nsion module 2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a motor unit 210, a driving gear unit 220, a tension wheel unit 230, a body unit 240, etc. The motor unit 21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unit 240. The motor unit 210 rotates in one direction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tension wheel unit 23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unit 210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nsion wheel unit 230 winds and pulls the band.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unit 210 may be transmitted to the tension wheel unit 230 via the driving gear unit 220.

한편,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모터부(210)의 회전 속도, 텐션 강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텐션 강도는 모터부(210)에 의해 텐션휠부(230)가 회동되는 시간 또는 속도에 따라 단계별로 조절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can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and control the rotation speed and tension strength of the motor unit 210. For example, the tension strength may be adjusted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time or speed at which the tension wheel unit 230 is rotated by the motor unit 210.

구동기어부(220)는 모터부(210)에 의해 회동하며, 텐션휠부(230)의 출력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구동기어부(220)의 일 측은 모터부(210)와 결합되고, 타 측은 텐션휠부(230)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기어부(220)는 메인링기어(221), 유성기어세트(2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링기어(221)의 내주면은 유성기어세트(222)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메인링기어(221)의 외주면 일부에는 톱니가 형성되며, 이는 레버유닛(300)과 톱니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driving gear unit 220 is rotated by the motor unit 210 and can determine the output conditions of the tension wheel unit 230. One side of the driving gear unit 220 may be coupled to the motor unit 210, and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to the tension wheel unit 230. 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gear unit 220 may include a main ring gear 221, a planetary gear set 222, etc.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ring gear 221 may be gear-coupled with the planetary gear set 222. In addition, teeth are formed on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ring gear 221, and the teeth are engaged with the lever unit 300 so that they can be fixed.

구동기어부(220)는 메인링기어(221)의 고정 여부에 따라 텐션휠부(230)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링기어(221)가 레버유닛(300)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 유성기어세트(222)는 메인링기어(221)의 내주면을 따라 회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기어부(220)는 순차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텐션휠부(230)가 회동하도록 한다. 이때, 유성기어세트(222)는 감속 회동하여 텐션휠부(230)의 회전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성기어세트(222)는 적어도 두 개 이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ing gear unit 220 may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tension wheel unit 230 depending on whether the main ring gear 221 is fixed. For example, when the main ring gear 221 is fixed by the lever unit 300, the planetary gear set 222 may rotate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ring gear 221. Through this, the driving gear unit 220 sequentially transmits rotational force so that the tension wheel unit 230 rotates. At this time, the planetary gear set 222 may rotate at a reduced speed to increase the rotational torque of the tension wheel unit 230.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wo planetary gear sets 222 are disposed.

텐션휠부(230)는 구동기어부(220)에 의해 회동하며, 밴드를 마찰력으로 감아 당길 수 있다. 이때, 텐션휠부(230)는 마운트부(120)에 장착된 밴드에 밀착한 상태로 회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텐션휠부(230)는 모터부(210)와 대향되는 바디부(240)의 타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텐션휠부(230)는 원통 형상이며, 텐션휠부(230)의 외주면은 일정 패턴으로 요철이 형성되는 널링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nsion wheel unit 230 is rotated by the driving gear unit 220 and can be wound and pulled around the band using frictional force. At this time, the tension wheel unit 230 may be rot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nd mounted on the mount unit 120. In one embodiment, the tension wheel unit 23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unit 240 opposite to the motor unit 210. The tension wheel unit 23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ension wheel unit 230 may include a knurled surface in which irregularities are formed in a certain pattern.

한편, 바디부(240)는 모터부(210)와 텐션휠부(230) 사이에 배치되며, 구동기어부(220)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240)의 일 측에는 거치부(110)와 축 결합되도록 바디부(240)를 관통하는 바디축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바디부(240)는 축 회동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Meanwhile, the body portion 240 is disposed between the motor portion 210 and the tension wheel portion 230 and can accommodate the driving gear portion 220. In one embodiment, a body shaft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body portion 24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240 to be axially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110. Through this, the body portion 240 can be rotated on its axis and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100.

도 3은 도 1의 바디부(240)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240)의 일 측 하단에는 레버유닛(3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제1지지홈(241) 및 제2지지홈(24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지지홈(241) 및 제2지지홈(242)은 후술할 지지롤러와 접촉하며, 지지롤러가 지지홈을 이탈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바디부(240)의 일 측 하단에는 지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는 경사면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면구간의 일단은 제2지지홈(242)과 연결될 수 있다.FIG. 3 is a view showing the body portion 240 of FIG. 1 as viewed from the side. In one embodiment, a first support groove 241 and a second support groove 242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240 to be supported by the lever unit 300.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groove 241 and the second support groove 242 contact a support roll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to prevent the support roller from moving away from the support groove. Meanwhile, an inclined section forming a certain angle with the ground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240. At this time, one end of the slope section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groove 242.

도 4는 도 1의 레버유닛(3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레버유닛(300)은 레버부(320), 링크부(3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도 4의 링크부(330)가 레버부(320)에 의해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레버부(320)가 당겨지면서 텐션모듈(200)이 이격되는 과정을 도 5(a)에서 도 5(c) 순으로 확인할 수 있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ever unit 300 of Figure 1. Referring to FIG. 4, the lever unit 300 may include a lever unit 320, a link unit 330, and the like. In addi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link unit 330 of FIG. 4 operates by the lever unit 320. Referring to FIG. 5, the process of the tension module 200 being spaced apart while the lever unit 320 is pulled can be seen in the order of FIG. 5(a) to FIG. 5(c).

일 실시예예서, 레버부(320)는 일단이 분기되며, 분기되는 일단 중 어느 하나에는 레버축(310)과 결합되는 레버축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레버부(320)의 분기되는 일단 중 다른 하나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링크부(330)와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ever unit 320 has one end branched, and a lever shaft hole coupled to the lever shaft 310 may be formed on one of the branched ends. Meanwhile, the other one of the branched ends of the lever unit 320 may extend downward and be connected to the link unit 330.

한편, 링크부(330)는 레버부(320)에 사용자에 의한 당김 동작이 가해지면, 레버부(320)의 회동에 따라 텐션모듈(200)이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일정 각도로 경사지면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링크부(330)는 연결링크(331), 수평이동링크(332), 릴리즈링크(333), 기어락(lock)링크(3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pulling operation by the user is applied to the link unit 330 on the lever unit 320, the tension module 200 is tilted and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100 at a certain angl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ever unit 320. It can be done as much as possible. In one embodiment, the link unit 330 may include a connection link 331, a horizontal movement link 332, a release link 333, a gear lock link 334, etc.

레버부(320)와 링크부(330)는 연결링크(33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링크(331)의 일단은 레버부(320)의 일단과 결합되며, 타단은 수평이동링크(332)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링크(331)의 일단은 레버부(320)가 회동되는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때, 연결링크(331)에 결합되는 수평이동링크(332)는 연결링크(331)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The lever unit 320 and the link unit 330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ng link 331. In one embodiment, one end of the connecting link 331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lever unit 320,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horizontal moving link 332. In one embodiment, one end of the connecting link 331 may be pull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ever unit 320 rotates. At this time, the horizontal movement link 332 coupled to the connection link 331 may slide along the connection link 331.

수평이동링크(332)는 레버부(320)의 회동에 따라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즉, 수평이동링크(332)는 슬라이드홈(130)에 배치된 상태로 왕복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이동링크(332)는 2개의 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1단과 2단은 경사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1단은 리미트핀(140)이 위치하는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rizontal movement link 332 can move linearl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ever unit 320. That is, the horizontal movable link 332 can slide back and forth while placed in the slide groove 130. In one embodiment, the horizontal movement link 332 may be formed to have two stages.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stages may be connected by an inclined plane. Here, the first stage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at which the limit pin 140 is located.

한편, 수평이동링크(332)에는 텐션모듈(200)의 어느 일 하단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1지지롤러(33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레버부(320)에 사용자에 의한 당김 동작이 가해질 때, 제1지지롤러(3321)는 바디부(240)의 경사면구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지지롤러(3321)는 제2지지홈(242)에 접하는 동시에 바디부(240)의 타측을 일정 높이만큼 상승, 이격시킬 수 있다.Meanwhile, a first support roller 3321 that moves along a lower surface of the tension module 200 is formed on the horizontal moving link 332. Referring to FIGS. 5(a) to 5(c), when a pulling operation by the user is applied to the lever unit 320, the first support roller 3321 may move along the inclined surface section of the body unit 240. there is. The first support roller 3321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groove 242 and can simultaneously raise and space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240 by a certain height.

일 실시예에서, 릴리즈링크(333)는 거치부(110)와 축 결합될 수 있다. 릴리즈링크(333)의 상단은 기어락링크(334)와 결합되며, 기어락링크(334)의 축홀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릴리즈링크(333)의 하단에는 돌출부가 배치되어, 회동 시에 거치부(110)의 하단과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lease link 333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110. The upper end of the release link 333 is coupled with the gear lock link 334 and can move along the shaft hole of the gear lock link 334. A protrusion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release link 333 to mainta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mount 110 when rotating.

한편, 릴리즈링크(333)의 일단에는 수평이동링크(332)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2지지롤러(33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롤러(3331)는 레버부(320)에 당김 동작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수평이동링크(332)의 1단에 위치할 수 있다. Meanwhile, a second support roller 3331 that mov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ovable link 332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release link 333. The second support roller 3331 may be located at the first stage of the horizontal movement link 332 when a pulling operation is not applied to the lever unit 320.

도 5를 참조하면, 제2지지롤러(3331)는 레버부(320)에 당김 동작이 가해지면, 수평이동링크(332)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도 5(b)를 참조하면, 제2지지롤러(3331)는 제1지지홈(241)과 접촉될 수 있다. 이때, 릴리즈링크(333)는 제2지지롤러(3331)가 상승하면서 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릴리즈링크(333)의 상단이 외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릴리즈링크(333)의 하단은 거치부(11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릴리즈링크(333)의 상단은 축홀을 따라 이동하여 기어락링크(334)를 상승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a pulling operation is applied to the lever unit 320, the second support roller 3331 may be moved up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orizontal moving link 332.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5(b), the second support roller 3331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support groove 241. At this time, the release link 333 may rotate around its axis as the second support roller 3331 rises. 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release link 333 may be moved outward, and the lower end of the release link 333 may be moved toward the mounting portion 110.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release link 333 can move along the shaft hole to raise the gear lock link 334.

일 실시예에서, 기어락링크(334)는 일단에 릴리즈링크(333)와 결합되는 장형의 축홀이 형성될 수 있다. 기어락링크(334)의 타단은 바디부(240)에 축으로 결합,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기어락링크(334)는 릴리즈링크(333)의 상단의 위치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어락링크(334)가 하강하면, 기어락링크(334) 중 특히 타단부(3341)는 텐션모듈(200)과 톱니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기어락링크(334)가 상승하면, 타단부(3341)와 텐션모듈(200) 사이의 톱니 결합은 해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ear lock link 334 may have a long shaft hole formed at one end that is coupled to the release link 333. The other end of the gear lock link 334 is axially coupled and fixed to the body portion 240. Because of this, the gear lock link 334 can rise or fall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upper end of the release link 333. In one embodiment, when the gear lock link 334 is lowered, the other end 3341 of the gear lock link 334 may be tooth-coupled with the tension module 200. In contrast, when the gear lock link 334 rises, the tooth engagement between the other end 3341 and the tension module 200 may be released.

일 실시예에서, 기어락링크(334)의 타단부(3341)는 일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타단부(3341)의 하단면에는 메인링기어(221)와 치합되는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단부(3341)는 메인링기어(221)의 외주면과 톱니 결합되어 메인링기어(22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타단부(3341)는 메인링기어(221)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어락링크(334)의 일측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ther end 3341 of the gear lock link 334 may be formed to have a certain curvature. At this time, teeth that mesh with the main ring gear 22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3341. Through this, the other end 3341 can be tooth-coupled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ring gear 221 to fix the main ring gear 221. At this time, the other end 3341 may be formed to have a wider width than one side of the gear lock link 334 to increase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main ring gear 221.

예를 들면, 레버부(320)에 사용자에 의한 당김 동작이 해제되면, 즉 기어락링크(334)가 하강하면, 타단부(3341)는 텐션모듈(200), 즉 메인링기어(221)과 톱니 결합될 수 있다. 반면, 도 5(b)에서, 레버부(320)가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면, 즉 기어락링크(334)가 상승하면, 타단부(3341)는 메인링기어(221)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메인링기어(221)의 결합,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텐션휠부(230)는 메인링기어(221)의 고정이 해제되면서, 동력이 차단되어 회동할 수 없게 된다. 이를 통해, 텐션휠부(230)가 이격된 상태에서 작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손끼임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s pulling action on the lever unit 320 is released, that is, when the gear lock link 334 is lowered, the other end 3341 is connected to the tension module 200, that is, the main ring gear 221 and Teeth can be combined. On the other hand, in Figure 5(b), when the lever part 320 is pulled by the user, that is, when the gear lock link 334 rises, the other end 3341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main ring gear 221. The coupling and fixation of the main ring gear 221 can be released. At this time, the tension wheel unit 230 cannot rotate as the main ring gear 221 is unfastened and the power is cut off.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hands getting caught when the tension wheel unit 230 is operated while spaced apart.

한편, 본 발명은 레버부(320)가 당겨진 상태에서, 걸림쇠부(341)를 통해 고정되도록 하는 레버고정유닛(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버부(320)의 일단에는 상측으로 개구되는 걸림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고정유닛(34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레버고정유닛(340)은 걸림쇠부(341), 고정해제버튼(3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고정유닛(340)은 레버부(320)의 상측에 위치하는 그립부(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ever fixing unit 340 that secures the lever unit 320 through the latch unit 341 when the lever unit 320 is pulled. In one embodiment, a locking groove 321 opening upward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lever unit 320.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lever fixing unit 3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6, the lever fixing unit 340 may include a lock portion 341, a fixing release button 342, etc. The lever fixing unit 340 may be disposed in a grip portion (not shown)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ver portion 320.

걸림쇠부(341)는 걸림홈(321)에 결합되어 레버부(32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쇠부(341)는 레버부(320)의 일단이 일정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면, 걸림홈(321)에 삽입되어 레버부(32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텐션모듈(200)에 밴드를 장착하는 과정 중에 텐션모듈(20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밴드를 장착하는 동안 레버부(320)를 계속 잡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이는 밴드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The latch part 341 may be coupled to the latch groove 321 so that the lever part 320 is fixed. In one embodiment, the lock portion 341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 groove 321 to fix the lever portion 320 when one end of the lever portion 320 rises to a certain height. This can prevent the tension module 200 from lowering due to its own weight during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band to the tension module 200. Additionally, since the user does not have to keep holding the lever unit 320 while attaching the band, this makes it easier to attach the band.

한편, 레버부(320)는 고정해제버튼(342)을 통해 그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해제버튼(342)의 일단은 그립부에 축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고정해제버튼(342)이 푸시되면, 고정해제버튼(342)의 타측 하단부는 걸림쇠부(341)의 일단을 가압하여 걸림쇠부(341)가 축 회동되도록 한다. 이때, 걸림쇠부(341)는 회전하면서 걸림홈(321)과의 결합이 해제되며, 이에 따라 레버부(320)의 고정도 해제될 수 있다.Meanwhile, the lever unit 320 can be released from its fixation through the fixation release button 342. In one embodiment, one end of the release button 342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grip portion. When the release button 342 is pushed by the user,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release button 342 presses one end of the lock portion 341 so that the lock portion 341 pivots. At this time, the locking portion 341 rotates and is released from its engagement with the locking groove 321, and thus the fixation of the lever portion 320 can also be releas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modified within the scope set forth in the claims.

100: 베이스플레이트
110: 거치부 120: 마운트부
130: 슬라이드홈 140: 리미트핀
200: 텐션모듈 210: 모터부
220: 구동기어부
221: 메인링기어 222: 유성기어세트
230: 텐션휠부 240: 바디부
241: 제1지지홈 242: 제2지지홈
300: 레버유닛 310: 레버축
320: 레버부 321: 걸림홈
330: 링크부 331: 연결링크
332: 수평이동링크 3321: 제1지지롤러
333: 릴리즈링크 3331: 제2지지롤러
334: 기어락링크 3341: 타단부
340: 레버고정유닛
341: 걸림쇠부 342: 고정해제버튼
100: base plate
110: Mounting part 120: Mounting part
130: Slide groove 140: Limit pin
200: Tension module 210: Motor unit
220: Driving gear unit
221: main ring gear 222: planetary gear set
230: Tension wheel part 240: Body part
241: first support groove 242: second support groove
300: Lever unit 310: Lever shaft
320: Lever part 321: Locking groove
330: link unit 331: connection link
332: Horizontal movement link 3321: First support roller
333: Release link 3331: Second support roller
334: Gear lock link 3341: Other end
340: Lever fixing unit
341: latch part 342: fixing release button

Claims (7)

거치부가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거치부와 축 결합되며, 밴드와 접촉된 상태로 회동하여 밴드를 당기는 텐션휠부를 통해 밴드에 텐션이 발생되도록 하는 텐션모듈; 및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부를 통해 상기 텐션모듈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레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유닛은 일단이 분기되며, 분기되는 일단 중 어느 하나에는 레버축과 결합되는 레버축홀이 형성되는 레버부; 및
상기 레버부에 사용자에 의한 당김 동작이 가해지면, 상기 레버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텐션모듈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일정 각도로 경사지면서 이격되도록 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레버부의 회동에 따라 직선 운동하며, 상기 텐션모듈의 어느 일 하단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1지지롤러가 형성되는 수평이동링크; 및
상기 거치부와 축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수평이동링크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2지지롤러가 형성되는 릴리즈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이동링크는 2개의 단을 갖도록 형성되며, 1단과 2단은 경사면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 스트래핑 장치.

A base plate on which a mounting portion is formed;
A tension module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and rotates in contact with the band to generate tension in the band through a tension wheel portion that pulls the band; and
It includes a lever unit that separates the tension module from the base plate through a lever operated by the user,
The lever unit includes a lever portion having a branched end and a lever shaft hole coupled to a lever shaft formed on one of the branched ends; and
When a pulling operation by a user is applied to the lever unit, a link unit that causes the tension module to be inclined and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at a certain angle as the lever unit rotates,
The link section
a horizontal movement link formed with a first support roller that moves linearly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lever unit and moves along a lower surface of the tension module; and
It includes a release link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and has a second support roller at one end that mov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ovable link,
The horizontal moving link is formed to have two stages, and the first and second stages are connected by an inclined surface. An automatic strapping device with improved usabi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모듈은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동하며, 상기 텐션휠부의 출력 조건을 결정하는 구동기어부;
상기 구동기어부에 의해 회동하며, 밴드를 마찰력으로 감아 당기는 텐션휠부; 및
상기 모터부와 상기 텐션휠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기어부를 수용하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 스트래핑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ension module is
motor part;
a driving gear unit rotated by the motor unit and determining output conditions of the tension wheel unit;
A tension wheel unit that rotates by the drive gear unit and winds and pulls the band with frictional force; and
An automatic strapping device with improved usability, including a body part disposed between the motor part and the tension wheel part and accommodating the driving gear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일 측 하단에는 상기 레버유닛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제1지지홈 및 제2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 스트래핑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n automatic strapping device with improved us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support groove and a second support groove are formed at a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o be supported by the lever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단에 상기 릴리즈링크와 결합되는 장형의 축홀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에 사용자에 의한 당김 동작이 해제되면, 타측 일부가 상기 텐션모듈과 톱니 결합되는 기어락(lock)링크;를 더 포함하는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 스트래핑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ink section
At one end, a long shaft hole is formed that is connected to the release link,
An automatic strapping device with improved usability, further comprising a gear lock link in which a portion of the other side is tooth-coupled with the tension module when a pulling operation by the user on the lever portion is relea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레버부가 당겨진 상태에서, 걸림쇠부를 통해 고정되도록 하는 레버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 스트래핑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utomatic strapping device with improved ease of use, further comprising a lever fixing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ver unit and fixed through a lock unit when the lever unit is pulled.
KR1020230082541A 2023-06-27 2023-06-27 Automatic Strap Device With Improved Ease Of Use KR1026199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2541A KR102619916B1 (en) 2023-06-27 2023-06-27 Automatic Strap Device With Improved Ease Of 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2541A KR102619916B1 (en) 2023-06-27 2023-06-27 Automatic Strap Device With Improved Ease Of 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916B1 true KR102619916B1 (en) 2023-12-29

Family

ID=8933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2541A KR102619916B1 (en) 2023-06-27 2023-06-27 Automatic Strap Device With Improved Ease Of 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91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715B1 (en) 2008-04-23 2016-09-02 시그노드 인터내셔널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Strapping device with an energy storage means
KR101675003B1 (en) 2008-04-23 2016-11-10 시그노드 인터내셔널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Strapping device with a gear system device
KR102226589B1 (en) * 2020-10-27 2021-03-12 장근철 Detachable auto packaging tool capable hetero band
KR102302086B1 (en) 2016-09-18 2021-09-14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strapping device
KR102315941B1 (en) * 2021-01-18 2021-10-22 장근철 Auto strapping packaging tool having clamp fixing apparatus
KR102315946B1 (en) * 2021-01-18 2021-10-22 장근철 Inner module structure of auto strapping packaging too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715B1 (en) 2008-04-23 2016-09-02 시그노드 인터내셔널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Strapping device with an energy storage means
KR101675003B1 (en) 2008-04-23 2016-11-10 시그노드 인터내셔널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Strapping device with a gear system device
KR102302086B1 (en) 2016-09-18 2021-09-14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strapping device
KR102226589B1 (en) * 2020-10-27 2021-03-12 장근철 Detachable auto packaging tool capable hetero band
KR102315941B1 (en) * 2021-01-18 2021-10-22 장근철 Auto strapping packaging tool having clamp fixing apparatus
KR102315946B1 (en) * 2021-01-18 2021-10-22 장근철 Inner module structure of auto strapping packaging to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5829C1 (en) Banding machine
EP2489554B1 (en) Object holding apparatus
JP3894431B2 (en) Mobile cable tensioning device
EP3782498B1 (en) Rope adjusting device and article having rope adjusting device
CA2514217A1 (en) Powered rope climbing apparatus
CZ286525B6 (en) Safety belt wind-up mechanism
TW201943605A (en) Bicycle rear derailleur device
EP2759452A1 (en) Seatbelt retractor and seatbelt device provided with same
FR2634705A1 (en) VEHICLE SEAT BELT REEL
KR102619916B1 (en) Automatic Strap Device With Improved Ease Of Use
KR101060300B1 (en) Webbing retractor
JP4758967B2 (en) Seat belt webbing locking prevention device
EP1488069B1 (en) Mechanism for tensioning a compensation spring for a closing or sun protection installation
JPH03551A (en) Safety belt winding device
FR2604134A1 (en) RETURN TENSIONER FOR SEAT BELT STRAP REEL,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
US5364168A (en) Retractor shaft-rotating type seat belt pretensioner
KR102226589B1 (en) Detachable auto packaging tool capable hetero band
EP0989035A3 (en) Coupling device for transmitting torque
US20030071251A1 (en) Belt reel assembly for fastening goods on a truck
EP3452361B1 (en)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a spare wheel of a vehicle, having an improved actuating device
ES2670230T3 (en) Chainsaw
KR200226124Y1 (en) Tools for tighten a rope
WO2000007919A1 (en) Cable lasher
KR102203729B1 (en) Apparatus for fastening wire
JPH04110253A (en) Automatic seat bel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