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689B1 -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689B1
KR102619689B1 KR1020230084725A KR20230084725A KR102619689B1 KR 102619689 B1 KR102619689 B1 KR 102619689B1 KR 1020230084725 A KR1020230084725 A KR 1020230084725A KR 20230084725 A KR20230084725 A KR 20230084725A KR 102619689 B1 KR102619689 B1 KR 102619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ent
creator
job
platform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4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빈
Original Assignee
박수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빈 filed Critical 박수빈
Priority to KR1020230084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4Query execution
    • G06F16/3344Query execution using 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ina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업로드하는 크리에이터 단말,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출력하고, 포트폴리오를 업로드한 크리에이터 단말로 구직 제안을 전송하는 구인 단말 및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업로드받는 수집부, 포트폴리오를 가진 크리에이터를 구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인 단말을 타겟으로 마케팅을 진행하는 마케팅부, 구인 단말에서 크리에이터 단말의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부, 구인 단말에서 크리에이터 단말로 구직 제안을 전송하는 경우 크리에이터 단말로 구직 제안을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JOB SEARCH PLATFORM SERVICE}
본 발명은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크리에이터의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제공하고, 콘텐츠가 재생될 때 입력되는 제스처를 통하여 구직 제안을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예체능 분야 및 영상미디어의 입직구조는 인력선발요건으로 경력직 선호, 포트폴리오의 우위성, 비공식적인 구직경로우세, 취약한 취업중개기관의 미성숙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폐쇄적인 노동시장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지식을 갖고 있는 신규 진입자의 흐름을 막아 그 콘텐츠가 정체될 수 있다. 사실상 경력이 없고 비공식적 인맥이 적은 신규 진입자에 대해서는 노동시장이 매우 높은 진입 장벽을 갖고 있음을 뜻한다. 이직 구조 차원에서도 현재 자신이 속한 산업에서 동일 직무를 수행하기를 원하지만 다른 사람보다 이직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시장의 높은 진입장벽과 개별화된 학습생태계는 신규 진입자의 유입을 막고 아이디어와 기술의 체계적인 확산을 힘들게 하여, 장기적으로 노동시장의 폐쇄성 강화와 산업의 침체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학습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 형성 지원, 전문고용서비스 기관 육성, 정보접근성 강화 등을 통하여 인재의 신규 진입 촉진과 집단화된 학습생태계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때,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구인구직을 매칭하는 플랫폼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995839호(2019년07월03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9-0052984호(2019년05월17일 공개)에는, 구인 단말 및 구직 단말로부터 모집정보 및 구직정보를 수집하고, 모집정보와 구직정보 간 유사도를 산출한 후,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구인 단말로 제공하는 구성과, 사용자 단말에서 업로드된 포트폴리오를 데이터마이닝으로 분석한 후 사용자 정보로 생성하고, 구인정보와 매칭하여 일치순으로 사용자 정보를 구인 단말로 제공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사용자로부터 포트폴리오를 받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모집정보와 구직정보가 얼마나 유사한지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의미하는 것으로 용어만 동일하고 그 뜻은 전혀 다르다. 후자의 경우에도 구인정보와 포트폴리오를 텍스트 기반으로 매칭하여 제공한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포트폴리오가 콘텐츠 기반인 경우 이를 분석 및 매칭하는 방법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예체능 분야 및 영상미디어 분야와 같은 경우 포트폴리오가 우선시되지만, 안타깝게도 포트폴리오를 구인담당자가 모두 볼 시간이 없다. 구인담당자가 구인을 하기 위해 후보자를 탐색하는 탐색비용(Search Cost)이 일반적인 텍스트로 된 이력서를 볼 때보다 훨씬 높아진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다. 또, 탐색비용 뿐만 아니라 거래비용(Transaction Cost), 인위적 비용(Contractual Cost) 및 심리적 비용(Psychological Cost)까지 고려하면 구인담당자가 구직자의 포트폴리오를 모두 볼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 이에, 구직자인 크리에이터의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업로드받고, 구인자가 숏폼 형태로 된 포트폴리오를 검토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업로드하면, 구인 단말에서 콘텐츠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형태로 포트폴리오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자인 크리에이터는 구직의 기회를 얻고, 구인기업에서는 적은 탐색비용으로 구직자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구인 단말에서 자동으로 플레이되는 콘텐츠 중 마음에 드는 크리에이터가 존재한다면 화면에서 스와이프(Swipe)하는 동작과 같은 제스처를 입력만 하면 구직 제안이 크리에이터 단말(400)로 제공됨으로써 탐색비용, 거래비용, 인위적 비용 및 심리적 비용을 모두 낮춰줄 수 있고,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승낙 또는 거절의 의사표시를 발함에 따라 이력서의 공개여부가 결정되므로 크리에이터가 원하는 상대방에게만 이력서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정보의 과도한 노출을 막을 수 있으며, 구인 단말 뿐만 아니라 광고주 단말에서도 크리에이터의 콘텐츠를 자동으로 플레이하고, 스와이프를 통해 광고제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주의 탐색비용도 낮춰줄 수 있으면서도 신규 진입자의 유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업로드하는 크리에이터 단말,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출력하고, 포트폴리오를 업로드한 크리에이터 단말로 구직 제안을 전송하는 구인 단말 및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업로드받는 수집부, 포트폴리오를 가진 크리에이터를 구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인 단말을 타겟으로 마케팅을 진행하는 마케팅부, 구인 단말에서 크리에이터 단말의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부, 구인 단말에서 크리에이터 단말로 구직 제안을 전송하는 경우 크리에이터 단말로 구직 제안을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업로드하면, 구인 단말에서 콘텐츠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형태로 포트폴리오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자인 크리에이터는 구직의 기회를 얻고, 구인기업에서는 적은 탐색비용으로 구직자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구인 단말에서 자동으로 플레이되는 콘텐츠 중 마음에 드는 크리에이터가 존재한다면 화면에서 스와이프(Swipe)하는 동작과 같은 제스처를 입력만 하면 구직 제안이 크리에이터 단말(400)로 제공됨으로써 탐색비용, 거래비용, 인위적 비용 및 심리적 비용을 모두 낮춰줄 수 있고,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승낙 또는 거절의 의사표시를 발함에 따라 이력서의 공개여부가 결정되므로 크리에이터가 원하는 상대방에게만 이력서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정보의 과도한 노출을 막을 수 있으며, 구인 단말 뿐만 아니라 광고주 단말에서도 크리에이터의 콘텐츠를 자동으로 플레이하고, 스와이프를 통해 광고제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주의 탐색비용도 낮춰줄 수 있으면서도 신규 진입자의 유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100),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구인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구인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구인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100),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구인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100)은,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제작하여 업로드하는 크리에이터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크리에이터는 구인 기업과 매칭을 원하는 구직자일 수도 있고, 광고주와 매칭을 원하는 크리에이터일 수도 있으며, 이 밖의 목적이 있거나 또는 어떤 목적을 가지지 않은 일반인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크리에이터 단말(100)로부터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업로드받고, 적어도 하나의 구인 단말(400)에서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구인 단말(400)에서 프리미엄 서비스를 구독하거나 포인트를 결제하는 경우 구인 단말(400)의 채용공고에 대응하는 크리에이터의 콘텐츠만 숏폼 또는 릴스로 자동재생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구인 단말(400)에서 콘텐츠를 출력하다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스와이프하거나, 우측에서 좌측으로 스와이프 하는 등의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재생되는 콘텐츠를 업로드한 크리에이터 단말(100)로 구직 제안을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크리에이터 단말(100)에서 승낙의 의사표시를 하는 경우 이력서를 구인 단말(400)로 공개되도록 구인 단말(400)로 엑세스권을 부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광고주 단말(500)에서 크리에이터 단말(100)의 콘텐츠를 출력하다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스와이프하거나, 우측에서 좌측으로 스와이프 하는 등의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광고제안을 크리에이터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크리에이터 단말(100)에서 승낙의 의사표시를 한 경우 이를 광고주 단말(500)로 전달하고, 광고계약 및 광고집행 후 정산을 할 때 플랫폼 이용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이 크리에이터 단말(100)로 정산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인 단말(400)은,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구인기업의 담당자 단말일 수 있다. 구인 단말(400)은 각 크리에이터의 포트폴리오를 콘텐츠 형식으로 재생하고, 기 설정된 제스처를 콘텐츠가 출력되는 화면에서 입력하여 구직 제안을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 구인 단말(400)은, 크리에이터 단말(100)에서 구직 제안에 응하여 승낙의 의사표시를 하는 경우 크리에이터의 이력서에 엑세스권을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부여받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구인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구인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인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단말(500)은,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광고주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광고주 단말(500)은, 각 크리에이터의 포트폴리오를 콘텐츠 형식으로 재생하고, 기 설정된 제스처를 콘텐츠가 출력되는 화면에서 입력하여 광고제안을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 광고주 단말(500)은, 크리에이터 단말(100)에서 광고제안에 응하여 승낙의 의사표시를 하는 경우 크리에이터와 광고계약을 맺을 수 있도록 연결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집부(310), 마케팅부(320), 출력부(330), 전달부(340), 제안전송부(350), 엑세스권부여부(360), 숏폼제공부(370), MAU증진부(380), 광고주매칭부(390), 상세정보제공부(391), 의사표시부(393), 제안수수료부(395) 및 컨설팅부(39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구인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단말(500)로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구인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단말(500)은,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나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구인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집부(310)는, 크리에이터 단말(100)로부터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업로드받을 수 있다. 크리에이터 단말(100)은,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크리에이터는 예체능 분야의 구직자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업로드하는 자라면 그 누구든 가능할 수 있다.
마케팅부(320)는, 포트폴리오를 가진 크리에이터를 구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인 단말(400)을 타겟으로 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구인 단말(400) 외에도 후술하는 광고주 단말(500)을 타겟으로 마케팅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때, 구인 단말(400) 또는 광고주 단말(500)을 타겟으로 마케팅을 진행할 때에는 마케팅부(320)의 구직자 또는 크리에이터의 광고 메시지가 목표로 하는 타겟에게 정확히 도달되지 않으면 그 메시지는 외면당하게 되고, 마케팅부(320)에서 투입한 광고 비용은 낭비된다. 따라서 대부분 마케팅의 승패는 타겟팅의 정밀함에 달려 있다. 크리에이터의 학력, 경력, 직무경험, 기술 및 자격증을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를 이력서로부터 추출하고, 매칭을 위하여 수집된 프로필 정보는 정제한 후 키워드를 도출하고, 문서 유사도를 통하여 [프로필 정보-구인 정보] 간 매칭 정도를 살펴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구인 정보 뿐만 아니라 프로필 정보도 전처리(정제) 후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해야 한다.
<텍스트 마이닝>
텍스트 마이닝은 이하 표 1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정보수집→ 전처리→ 텍스트분석→ 의미있는 정보
┌→ 정보추출 →┐
범주화 문서요약
일정한 규칙이 없는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를 정제하여 정형화된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 전처리 작업은 텍스트 분석 기법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인데, 전처리 과정을 거친 정보들을 토대로 정보추출, 범주화, 문서요약 등 다양한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의미있는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목적에 맞는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경로를 탐색하고, 데이터 크롤링 등의 방법을 통해 문서를 수집한다. 둘째, 텍스트 분석에 앞서 수행되는 전처리 과정은 일반적으로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를 컴퓨터가 이해하기 쉽도록 변환해주는 작업이다. 이 과정은 문서의 유용한 정보를 도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마이닝 알고리즘의 성능을 결정짓는 중요한 과정이다. 셋째, 문서가 가지고 있는 의미있는 정보를 도출해내는 과정으로 전처리 과정을 거친 데이터(키워드)를 활용하여 군집 분석, 분류 분석 등 다양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데이터 정제 및 정규화>
취업 포털 사이트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의 경우 통일된 형식이 없는 비정형 자료이기 때문에 문서 유사도를 계산하기에 앞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키워드를 도출할 수 있다. ①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해야 하는데, 구인기업 데이터와 구직자 데이터는 각각 입력하는 주체가 다르기 때문에 수많은 불용어와 특수문자들이 혼용되어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분석에 불필요한 것이므로 정제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는 ② 형태소 분석이다. 구인기업 공고에서 요구하는 업무능력은 주로 명사로 이루어져 있다. 텍스트를 형태소로 분리하여 명사를 추출할 수 있다. 분야의 특성상 영어로 작성되는 기술은 명사로 인식하지 못하므로, 이러한 키워드는 품사부착기 사전에 명사로 지정해줄 수 있다. 세 번째 단계는, ③ 불용어 제거인데, 구인 데이터 및 구직 데이터의 경우 업무 능력을 나타내주는 키워드 이외에 [모집], [채용], [경력], [신입], [및] 등의 단어가 사용된다. 이러한 단어들은 실제로 구인 및 구직을 위해 흔히 사용되고 있지만 업무 능력을 나타내주는데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해당 단어들은 여러 번에 걸쳐 정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네 번째 단계는 ④ 데이터 정규화인데 추출된 키워드의 경우 같은 의미의 단어임에도 표현이 다르게 입력되거나 철자가 틀리게 입력된 경우 하나의 대표 키워드로 표준화시키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다섯 번째 단계는 ⑤ 명사 추출인데, 업무능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대체적으로 명사 또는 명사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형태소 가운데 명사를 대상으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형태소 분석 후 명사로 분류되지 않은 키워드 중 업무능력을 표현하는 용어는 사전에 명사로 변경해줄 수 있다. 이렇게 구인 단말(400)의 구인 기업을 타겟팅하기 위해 크리에이터 단말(100)의 프로필 정보와의 유사도를 데이터 마이닝을 통하여 산출하고, 미스매칭이 없도록, 또 마케팅이 타겟팅되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출력부(330)는, 도 4a를 참조하면, 구인 단말(400)에서 크리에이터 단말(100)의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구인 단말(400)은,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출력하고, 포트폴리오를 업로드한 크리에이터 단말(100)로 구직 제안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숏폼이나 릴스와 같이 구인 단말(400)의 채용공고에 맞는 포트폴리오에 대한 콘텐츠가 계속하여 자동으로 재생되거나 하부에서 상부로 스와이프 등의 제스처를 하여 재생되는 수동 릴(Reel) 포맷일 수 있다. 이때, 구인 단말(400)의 구인 담당자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이를 재생하기 위해 재생을 누르고, 또 다음 콘텐츠를 검색하여 재생을 누르는 번거로움 없이, 자동으로 재생되는 콘텐츠 중 마음에 드는 포트폴리오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있다면,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에서 오른쪽으로 스와이프하기만 하면 구직 제안이 전송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스와이프 외에도 다양한 제스처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제스처는 스와이프에 한정하지 않고 방향도 오른쪽에 한정하지 않는다.
전달부(340)는, 구인 단말(400)에서 크리에이터 단말(100)로 구직 제안을 전송하는 경우 크리에이터 단말(100)로 구직 제안을 전달할 수 있다. 구직 제안을 받은 크리에이터 단말(100)은 어떠한 기업에서 구직 제안을 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채용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이때, 도 4c와 같이 전달부(340)는, 크리에이터 단말(100)에서 이에 응하는 경우 서류심사 및 면접 등의 채용 프로세스를 진행하도록 연결해줄 수 있다.
제안전송부(350)는, 구인 단말(400)에서 구직 제안을 전송할 때,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재생하는 도중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스와이프(Swipe)하는 제스쳐가 구인 단말(400)에서 입력된 경우, 구인 단말(400)에서 크리에이터 단말(100)로 구직 제안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가 출력되는 화면 내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스와이프하는 경우 구직 제안이 전송될 수 있는데, 상술한 제스처의 종류는 스와이프 외에, 예를 들어, 탭(Tap), 더블탭(Double Tap), 드래그(Drag), 플리크(Flick), 핀치(Pinch), 스프레드(Spread), 프레스(Press), 프레스 앤 탭(Press and Tap), 프레스 앤 드래그(Press and Drag), 로테이트(Rotate) 등 다양한 제스처가 이용될 수 있다.
엑세스권부여부(360)는, 크리에이터 단말(100)에서 구직 제안을 수신한 경우, 크리에이터 단말(100)에서 승낙의 의사표시를 전송하는 경우 구인 단말(400)에서 크리에이터 단말(100)의 크리에이터의 이력서를 열람가능하도록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이때, 구인 단말(400)에서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 상에서 스와이프를 하고, 스와이프에 대응하는 구직 제안을 받은 크리에이터 단말(100)에서 승인한 경우에만 구인 단말(400)에서 크리에이터의 이력서에 엑세스할 수 있다. 만약, 크리에이터 단말(100)에서 승인하기 이전에 구인 단말(400)에서 이력서를 보고자 하는 경우 기 설정된 비용을 지급하여 열람할 수 있다. 다만, 크리에이터 단말(100)에서 비승인시 이력서 열람불가 옵션에 체크를 해둔 경우에는 불가할 수 있다.
이때, 이력서 전체를 보여주는 것은 채용기업에 크리에이터의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오픈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크리에이터 단말(100)의 이력서를 모두 보여주지 않고, 구인 단말(400)의 채용정보에 포지션, 지원자격, 수행업무 및 우대사항에 대응하는 이력서 내 정보만을 추출하여, 구인 단말(400)의 구인기업에서 원하는 정보만을 모아 최적화된(Optimized) 이력서를 새로이 생성한 후 구인 단말(4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인기업에서 지원자격, 수행업무 및 우대사항을 [A-B-C-D-E-F]로 기재해두었다면, [A-B-C-D-E-F]에 대응하는 정보만을 크리에이터의 이력서로부터 추출하여 이력서를 최적화시킨 후 구인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 최적화 모듈은 우선, 구인기업의 구인광고 및 채용공고를 수집하여 스프레드시트에 저장하고, 구인광고 및 채용공고를 텍스트 마이닝함으로써 기업별 및 직무별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분류하며, 분류된 핵심역량에 대응하는 이력서 항목을 추출함으로써, 이력서를 조회할 때 보여줄 수 있도록 선정할 수 있다.
또, 최적화 모듈 중 역량분석모듈은 직무별로 선호하는 역량이 무엇인지 분류할 수 있다. 역량분석모듈은 특정 직무를 목표로 직업을 구하는 사람들이 더 쉽게 핵심역량을 개발하고, 역량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작성할 수 있게 한다. 역량분석모듈은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할 수 있다. 역량분석모듈은 회사가 필요한 인재의 역량들을 입력으로 사용하여, 구직에 필요한 직무별 역량이 무엇인지 분석한다. 우선 역량분석모듈은 여러 회사가 인터넷상에 등록한 구인광고들을 수집한다. 다음으로 역량분석모듈은 수집한 광고들에 전처리과정을 적용하여 유의미한 데이터로 정규화한다. 마지막으로 역량분석모듈은 전처리과정을 완료한 텍스트들을 분석하여 현재 직무별로 요구되는 역량 중 어떤 역량이 중요한지 알아낸다. 역량분석모듈이 분석한 결과는 구직자인 크리에이터에게 전달되고, 크리에이터는 역량분석모듈의 결과를 언제든 조회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는 역량분석모듈의 결과를 사용하여 취업에 필요한 역량과 관련된 포트폴리오를 작성하거나, 이력서를 온라인에 등록할 수 있다.
역량분석모듈은 텍스트를 분리하고, 분리된 단어들이 어떤 단어인지 판단하는 데이터 전처리과정을 진행한다. 역량분석모듈은 KoNLP 패키지를 사용하여 광고들에 존재하는 텍스트 중 명사를 추출할 수 있다. 구인 광고의 텍스트들이 전부 명사로 분리되었다면, 역량분석모듈은 Attribute Table을 사용하여 각 명사에 대한 속성을 결정한다. Attribute Table이란, 각 명사가 어떤 속성을 지니는지 결정하는 테이블이며, 개발자가 미리 작성해 두어야 하는 테이블이다. 역량분석모듈이 충분히 많은 Capability Table을 생성했다면, 역량분석모듈은 Capability Table들을 사용하여 각 직무에서 핵심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 계산한다. 이는 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비슷하다. 역량분석모듈이 직무별 핵심역량을 분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분석모듈은 여러 Capability Table에서 직무가 같은 튜플들을 하나의 쿼리로 만든다. 둘째, 역량분석모듈은 만들어진 쿼리에서 각 역량의 발생 빈도를 계산한다. 셋째. 발생 빈도가 가장 많이 등장한 역량이 해당 직무의 핵심역량이라고 판단하고, 각 역량이 등장한 비중을 원형 혹은 막대 그래프로 시각화한다. 현재 직무별로 중요하게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그것을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직무에 맞춰 자신의 역량을 관리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도울 수도 있다.
숏폼제공부(370)는, 크리에이터 단말(100)의 이력서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여 크리에이터 단말(100)과 매핑하여 저장하고, 구인 단말(400)의 채용분야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저장하며, 구인 단말(400)의 채용분야의 키워드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의 콘텐츠가 숏폼(Short-Form) 또는 릴(Reel) 형태로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콘텐츠를 배열할 수 있다. 이때, 구인 단말(400)에서 구인 기업의 채용공고에 적합한 콘텐츠를 주로 보고자 하는 경우 프리미엄 서비스를 구독 또는 구매하면 이에 대응하는 콘텐츠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술한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할 수도 있고, 최근 추천 알고리즘에 자주 이용되는 협업 필터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추천 알고리즘>
추천 알고리즘은 크게 Collaborative Filtering과 Contents Based Filtering으로 분류된다. Collaborative Filtering은 사용자의 과거 패턴을 분석해 유사한 성향의 사용자에게 아이템을 추천하는 방법이다. Collaborative Filtering은 사용자의 로그 기록과 과거 패턴 같은 데이터를 많이 가지고 있을수록 성능이 높아지지만, 신규 사용자의 경우에는 관찰된 데이터가 거의 없어서, 추천의 정확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Cold Start 문제가 발생한다. Contents Based Filtering은 아이템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사용자가 아이템을 조회했을 때 유사한 아이템을 추천해주는 방법이다. Contents Based Filtering은 Collaborative Filtering의 문제점인 Cold Start 문제가 없으므로, 아이템에 대한 평가가 없는 신규 사용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Contents Based Filtering은 사용자 간의 유사도를 기준으로 하는 User-Based와 아이템 간의 유사도를 기준으로 하는 Item-Based로 구분된다. User-Based는 프로필이 비슷한 다른 구인기업이 선호하는 구직자를 추천해주는 방식이다. Item-Based는 구직자의 포트폴리오나 이력서의 이미지와 텍스트 같은 정보를 활용해 유사한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맞춤형 추천 알고리즘은, Collaborative Filtering을 사용해 구현하고 유사 콘텐츠 추천 시스템은 Item Based Contents Filtering을 적용해 구현하며, 분야별 콘텐츠 추천 시스템은 User-Based Contents Filtering을 적용해 구현할 수 있다.
<Matrix Factorization>
Matrix Factorization은, Collaborative Filtering 기법의 하나이다. Matrix Factorization은 사용자-콘텐츠 행렬을 두 개의 낮은 차원의 직사각형 행렬의 곱으로 분해한다. 콘텐츠 Latent Vector는 (차원×콘텐츠 수)이며 사용자 Latent Vector는 (차원×사용자 수)이다. 차원은 개발자가 조정 가능한 파라미터이며 보통 50에서 200 사이로 설정한다. 각 Latent Vector의 초깃값은 랜덤하게 설정되며 연산을 통해 최적화된다. 최적화는 콘텐츠 Latent Vector와 사용자 Latent Vector를 행렬 곱한다. 사용자 Latent Vector를 전치하면 (사용자×차원)이 되고 콘텐츠 Latent Vector와 행렬 곱을 하면 (사용자×콘텐츠 수) 형태가 된다. 예측행렬은 사용자 콘텐츠 행렬과 형태가 같으며 Loss Function을 사용해 연산 후 사용자-콘텐츠 행렬값과 같아지도록 최적화한다. Loss Function는 이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23072155234-pat00001
Matrix Factorization의 장점은 평점, 구직 제안 등과 같은 선호도를 직접 나타내는 로그뿐만 아니라 검색 패턴, 콘텐츠 재생 패턴, 콘텐츠 넘김(Skip) 또는 출력시간 패턴 등과 같은 간접 로그를 사용해 추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Word Representation>
Word Representation이란 텍스트를 구성하는 단어 하나를 벡터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Word Representation의 전통적인 방법은 빈도수 기반 단어 표현(Count Based Word Representation)이며, 대표적으로 Bag of Words와 TF-IDF가 있다. 빈도수 기반 단어 표현 방법은 문장에서 단어의 빈도수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문장을 벡터로 변환한다. 빈도수 기반 방법의 단점은 문장을 표현하는데 불필요하게 큰 벡터가 필요하다는 것과 단어 사이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어를 밀집 벡터(Dense Vector)로 표현하는 단어 임베딩(Word Embedding) 방법이 개발됐다. 단어 임베딩은 단어를 밀집 벡터로 표현하기 때문에 문장을 표현하는데 큰 벡터가 필요하지 않고 단어 사이의 연관성을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단어 임베딩 방법 중 Sentence BERT를 사용해 콘텐츠의 텍스트를 밀집 벡터로 표현할 수 있다.
<Sentence BERT>
Sentence BERT는 사전 훈련된 BERT 구조를 Siamese 네트워크 구조로 수정하여 STS(Semantic Textual Similarity) 및 NLI(Natural Language Inference) 데이터로 학습한 문장 임베딩 모델이다. 이런 네트워크 구조는 문장의 의미를 임베딩에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해주며, 코사인 유사도를 통해 쉽게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Sentence BERT는 딥러닝 구조이며 768개의 은닉층과 110,000,000개의 파라미터로 구성되어 있다. Sentence BERT의 Batch Size는 16이며 Optimizer는 Adam을 사용한다. Sentence BERT는 104개 언어를 지원하는 사전 학습된 BERT(BERT-Base, Multilingual Cased) 모델을 사용했다. BERT는 Google에서 만든 단어 임베딩 기법으로 NLP 11개 Task에 SOTA(State of the Arts)를 기록했으며, SQuAD v1.1에서는 인간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보여 주목을 받고 있다.
<맞춤형 추천>
구인 단말(400)의 로그에 Matrix Factorization을 적용해 사용자(구인기업 담당자)가 선호를 반영해 콘텐츠를 추천한다. 전체 흐름은 첫째, 사용자 로그를 수집한 후, 각 사용자가 출력한 콘텐츠를 정리한다. 사용자 로그는 Python Dictionary 자료형으로 변환한다. Dictionary의 Key는 회원코드가 되고 Value는 콘텐츠 코드 리스트가 된다. 둘째, 콘텐츠 코드 리스트를 사용자-콘텐츠 벡터로 변환한다. 사용자-콘텐츠 벡터는 2차원 행렬이며 행은 회원코드를 의미하고 열은 콘텐츠 코드가 된다. 그 후, Matrix Factorization을 적용하기 위해 사용자 Latent Vector와 콘텐츠 Latent Vector를 생성한다. 각 Latent Vector의 차원은 200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셋째, 사용자와 콘텐츠 Latent Vector를 행렬 곱해 예측행렬을 생성한 후, 손실 함수를 사용해 최적화한다. 콘텐츠 Latent Vector를 전치시킨 후, 사용자 Latent Vector와 행렬 곱셈을 한다. 사용자와 전치시킨 콘텐츠 Latent Factor를 행렬 곱셈하면 사용자-콘텐츠 벡터 차원과 같다. 그 후 상술한 Loss Function을 반복해 예측행렬 안 요소가 사용자-콘텐츠 Vector 값이 되도록 최적화한다. 마지막으로 예측행렬을 반복해서 최적화하면 0이 없는 밀집 행렬이 생성된다. 행은 사용자를 의미하며 열은 각 콘텐츠를 의미한다. 행렬의 요소는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선호하는지를 반영한 값이며 높을수록 사용자가 선호할 확률이 높다. 해당 행렬에서 사용자가 보지 않은 콘텐츠 중 점수가 높은 콘텐츠를 추출해 사용자에게 추천한다.
<유사 콘텐츠 추천>
유사 콘텐츠 추천은 콘텐츠의 텍스트를 사용해 의미상으로 가까운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시스템이다. TF-IDF와 Sentence BERT를 사용해 텍스트를 벡터로 변환시킨 후, 각각의 벡터들에 대해 코사인 유사도를 적용해 유사한 게시물을 찾는다. TF-IDF를 적용해 찾아낸 유사한 콘텐츠와 Sentence BERT를 적용해 찾아낸 관련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한다. 유사 콘텐츠 추천은 개인화 맞춤 추천과 다르게 모든 사용자에게 똑같이 추천될 수 있다. TF-IDF를 이용한 유사 콘텐츠 추천 시스템의 구현 방법은 첫째로, 콘텐츠 텍스트에 형태소 분석을 적용해 문장을 형태소라는 토큰으로 분리한다. 형태소는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를 의미한다. 문장을 형태소로 분리 후, 조사와 동사 같은 불필요한 품사를 제외한다. 둘째로 형태소로 분리된 단어 집합에 TF-IDF를 적용해 2차원 행렬로 구성된 벡터를 만든다. 행렬의 행은 콘텐츠를 의미하며 열은 단어들을 의미한다. 2차원 행렬에 코사인 유사도를 적용하면 각 콘텐츠 중 가장 유사한 콘텐츠를 알 수 있다. 셋째로, 2차원 행렬에 코사인 유사도를 적용해 문서 집합의 상관관계를 담은 행렬을 구성한다. 각 콘텐츠 당 유사도 점수가 가장 높은 콘텐츠를 추출한다. Sentence BERT를 이용한 유사 콘텐츠 추천 시스템의 구현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콘텐츠 텍스트를 Sentence BERT에 입력해 1 차원 행렬로 구성된 벡터를 생성한다. 콘텐츠 설명을 Sentence BERT에 입력하면 벡터 형태로 변환된다. 해당 벡터는 콘텐츠의 정보가 압축되어 숫자로 표현된 형태이다. 각각의 콘텐츠 벡터를 합치면 2차원 벡터가 된다. 둘째로, 해당 벡터에 코사인 유사도를 적용하면 TF-IDF와 마찬가지로 콘텐츠 간의 유사도 점수를 가진 2차원 벡터가 생성된다. 콘텐츠 중 가장 점수가 높은 3개를 유사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한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구인기업의 채용공고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가지는 콘텐츠만을 제공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MAU(Monthly Active User)증진부(38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User) 단말(미도시)에서 크리에이터 단말(100)에서 업로드한 콘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콘텐츠의 썸네일을 클릭하거나 영상 시청 중 하부에서 상부로 스와이프 하는 등의 제스처를 통해 크리에이터의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 내 프로필 사진 아이콘을 클릭하여 크리에이터 단말(100)의 채널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의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본 발명의 플랫폼을 이용하는 유저의 의미로, 크리에이터가 될 수도 있고, 일반 사용자일 수도 있으며, 구인 기업의 담당자일 수도 있고, 광고주일 수도 있다. MAU는 한 달동안 제품 또는 서비스를 활성화한 유저를 의미하는데 활성화의 기준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개념으로는 한 달 동안 제품 또는 서비스에 방문한 것을 기준으로 합니다. 하지만 유저들의 방문 자체가 수익화되는 것은 아니기에, 기업 내부에서는 MAU에서 Active(활성화) 기준을 단순 방문이 아닌, 구매 또는 서비스 예약과 같은 특정한 액션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우선, 초기 플랫폼의 구축 및 사용자의 유입을 위해 유명 콘텐츠를 공급하는 인플루언서를 포함한 콘텐츠 공급자와 계약을 맺을 수도 있고, 플랫폼에 충분한 콘텐츠가 업로드된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여 각 크리에이터, 구인기업 및 광고주로부터 서비스 이용료를 청구하여 수익화를 할 수 있다.
광고주매칭부(390)는, 광고주 단말(500)에서 크리에이터의 콘텐츠를 출력하고, 크리에이터에게 광고를 의뢰하고자 하는 경우 콘텐츠의 재생화면 상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스와이프에 대응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크리에이터 단말(100)로 광고제안을 전송할 수 있다. 구인 단말(400)과 대부분의 프로세스가 겹치지만, 다른 점은 광고제안 후 이력서를 열람하는 것이 아니라 광고계약을 위한 절차를 진행한다는 점에서 다를 수 있다.
상세정보제공부(391)는, 광고주 단말(500)에서 크리에이터의 콘텐츠의 다음 콘텐츠를 보고자 하는 경우,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 내에서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크리에이터의 콘텐츠의 다음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쇼츠나 릴스의 경우, 오토플레이를 설정하면 콘텐츠 플레이리스트가 자동으로 재생되는데, 이때 더 이상 보고싶지 않은 경우 또는 다음 콘텐츠를 보고자 하는 경우 플레이되는 콘텐츠를 하부에서 상부로 스와이프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도 크리에이터의 다음 콘텐츠를 보고싶거나 다음 크리에이터의 콘텐츠를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와이프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크리에이터의 더욱 더 많은 정보를 보기 위한 뎁스(Depth)를 주거나, 넘기는(Skipping) 것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의사표시부(393)는, 크리에이터 단말(100)에서 광고주 단말(500)의 광고제안을 수신한 후 광고제안에 대한 승낙의 의사표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를 입력하면, 광고주 단말(500)로 크리에이터의 승낙의 의사표시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도 4d와 같은 항목을 광고주 단말(500)에서 기재하는 경우 광고제안이 크리에이터 단말(100)로 전달될 수 있고, 크리에이터 단말(100)에서 승낙을 하는 경우 광고계약이 진행될 수 있도록 연락처를 공개하거나 관련 내용을 논의할 수 있다.
제안수수료부(395)는, 구인 단말(400)에서 구직 제안을 크리에이터 단말(100)로 전송하는 횟수가 기 설정된 수를 초과하는 경우 구인 단말(400)에서 기 설정된 수수료를 결제한 후 구직 제안을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인기업에서는 매일 N 회만큼 스와이프하여 구직 제안을 전송할 수 있는데, N 회가 초과된 경우 추가적으로 구직 제안을 할 횟수만큼 도 4b와 같이 포인트 등을 구매하도록 할 수 있다.
컨설팅부(396)는, 크리에이터 단말(100)에서 기 설정된 평가비를 결제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미도시)로 크리에이터 단말(100)의 콘텐츠를 전송하고, 평가 및 조언을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로 수신하여 크리에이터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는 자신의 포트폴리오에 대한 평가를 받아볼 수 있는 기회인데, 평론가, 오디션 심사위원 및 비평가로부터 평가를 받고 조언을 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직하는데 이정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크리에이터 단말(100)에서 크리에이터가 원하는 구인기업에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노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크리에이터 단말(100)은 프리미엄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고, 프리미엄 서비스를 구매한 크리에이터 단말(100)의 콘텐츠는 크리에이터가 원하는 구인기업의 구인 단말(400)의 콘텐츠 리스트로 포함되어 재생되게 된다. 또, 채용공고를 홍보하고 싶은 구인 단말(400)은 마케팅 비용을 지급하고 배너 및 인앱 광고를 등록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a)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100)로부터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업로드받고, 크리에이터, 포트폴리오, 콘텐츠 및 키워드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b)와 같이 구인 단말(400)로부터 채용정보를 수집하여 키워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며, (c) 구인기업의 구인 단말(400)을 타겟으로 하여 크리에이터 단말(100)의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한다. 이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구인 단말(400)에서 구직 제안을 하는 경우, 크리에이터 단말(100)로 안내하고 크리에이터 단말(100)에서 승낙을 하는 경우 이력서를 구인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 (d)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MAU를 증가시키기 위해 콘텐츠 공급자와 계약을 할 수도 있다.
또 도 3b의 (a)와 같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크리에이터 단말(100)로부터 콘텐츠를 업로드받고, (b)와 같이 광고주 단말(500)에서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고, 광고주 단말(500)에서 다음 콘텐츠를 보고자 상부방향으로 스와이프를 계속하면서 콘텐츠의 재생을 넘겨보다가 (c)와 같이 마음에 드는 콘텐츠가 있고, 광고제안을 하고자 하는 경우 우측으로 스와이프를 하여 광고제안을 간단히 전송할 수 있다. 광고계약 및 집행 후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플랫폼 이용료를 제외하고 나머지 금액을 크리에이터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랫폼은 예체능계 구직자, 크리에이터, 구인기업 및 광고주를 연결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구인기업의 구인 담당자나 광고주사 담당자가 모든 포트폴리오를 볼 시간이 없고, 구직시장이 폐쇄적이라는 점에서 시작한다. 이에, 구인 담당자나 광고주사 담당자가 유튜브의 쇼츠나 인스타그램의 릴스 등을 보는 것과 같이 각 구직자 및 크리에이터의 포트폴리오를 콘텐츠 형식으로 계속 보다가(상부방향 스와이프), 마음에 드는 포트폴리오(콘텐츠)가 있다면 바로 우측으로 스와이프 하는 것만으로도 구직 제안 및 광고제안을 할 수 있어 복잡한 탐색과정, 탐색비용, 심리적 비용 등을 지불하지 않고도 쇼츠를 보는 것과 같이 편하게 다양한 지원자의 포트폴리오를 볼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업로드한다(S5100).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포트폴리오를 가진 크리에이터를 구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인 단말을 타겟으로 마케팅을 진행하고(S5200), 구인 단말에서 크리에이터 단말의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출력한다(S5300).
또,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구인 단말에서 크리에이터 단말로 구직 제안을 전송하는 경우 크리에이터 단말로 구직 제안을 전달한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업로드하는 크리에이터 단말;
    상기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출력하고, 상기 포트폴리오를 업로드한 크리에이터 단말로 구직 제안을 전송하는 구인 단말; 및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업로드받는 수집부, 상기 포트폴리오를 가진 크리에이터를 구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인 단말을 타겟으로 마케팅을 진행하는 마케팅부, 상기 구인 단말에서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의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부, 상기 구인 단말에서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로 상기 구직 제안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로 상기 구직 제안을 전달하는 전달부,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상기 구직 제안을 수신한 경우,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승낙의 의사표시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구인 단말에서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의 크리에이터의 이력서를 열람가능하도록 상태를 전환하는 엑세스권부여부,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의 이력서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여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구인 단말의 채용분야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저장하며, 상기 구인 단말의 채용분야의 키워드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의 콘텐츠가 숏폼(Short-Form) 또는 릴(Reel) 형태로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상기 콘텐츠를 배열하는 숏폼제공부,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기 설정된 평가비를 결제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로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의 콘텐츠를 전송하고, 평가 및 조언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로 수신하여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로 전송하는 컨설팅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마케팅부는,
    크리에이터의 학력, 경력, 직무경험, 기술 및 자격증을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를 이력서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프로필 정보를 정제한 후 키워드를 도출하고, 문서 유사도를 통하여 프로필 정보와 구인 정보 간 매칭 정도를 확인하며,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은,
    상기 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구직 제안에 따라 어떠한 기업에서 구직 제안을 했는지 파악하고, 채용정보를 열람하며,
    상기 엑세스권부여부는,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의 이력서를 모두 보여주지 않고, 상기 구인 단말의 채용정보에서 포지션, 지원자격, 수행업무 및 우대사항에 대응하는 이력서 내 정보만을 추출하여 상기 구인 단말의 구인기업에서 원하는 정보만을 모아 이력서를 새로 생성한 후, 상기 구인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숏폼제공부는,
    상기 구인 단말에서 구인 기업의 채용공고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보고자 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프리미엄 서비스를 구독 또는 구매하며 상기 구인 기업의 채용공고에 대응하는 콘텐츠만을 제공하며,
    상기 컨설팅부는,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크리에이터가 원하는 구인 기업에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노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프리미엄 서비스를 구매하면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의 콘텐츠가 상기 크리에이터가 원하는 구인 기업의 구인 단말의 콘텐츠 리스트로 포함되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구인 단말에서 구직 제안을 전송할 때, 상기 포트폴리오를 콘텐츠로 재생하는 도중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스와이프(Swipe)하는 제스쳐가 상기 구인 단말에서 입력된 경우, 상기 구인 단말에서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로 구직 제안이 전송되도록 하는 제안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업로드한 콘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의 썸네일을 클릭하거나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을 하부에서 상부로 스와이프 하는 제스처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 내의 프로필 사진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의 채널로 이동하도록 하는 MAU(Monthly Active User)증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광고주 단말에서 상기 크리에이터의 콘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크리에이터에게 광고를 의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의 재생화면 상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스와이프에 대응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로 광고제안을 전송하는 광고주매칭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광고주 단말에서 상기 크리에이터의 콘텐츠의 다음 콘텐츠를 보고자 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 내에서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크리에이터의 콘텐츠의 다음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상세정보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상기 광고주 단말의 광고제안을 수신한 후 상기 광고제안에 대한 승낙의 의사표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를 입력하면, 상기 광고주 단말로 상기 크리에이터의 승낙의 의사표시를 전달하는 의사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구인 단말에서 상기 구직 제안을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로 전송하는 횟수가 기 설정된 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인 단말에서 기 설정된 수수료를 결제한 후 상기 구직 제안을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제안수수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삭제
KR1020230084725A 2023-06-30 2023-06-30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19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4725A KR102619689B1 (ko) 2023-06-30 2023-06-30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4725A KR102619689B1 (ko) 2023-06-30 2023-06-30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689B1 true KR102619689B1 (ko) 2023-12-28

Family

ID=8938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4725A KR102619689B1 (ko) 2023-06-30 2023-06-30 콘텐츠 기반 구인구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6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985A (ko) * 2017-06-20 2018-12-28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KR20190075585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함샤우트 인플루언서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개 방법
KR102335780B1 (ko) * 2021-06-21 2021-12-06 하이네이처 주식회사 다수의 플랫폼 서버들을 이용하는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온라인 광고 시스템
KR20220116773A (ko) * 2021-02-15 2022-08-23 이민형 온라인 기반 교육 및 취업 연계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KR102468280B1 (ko) * 2021-12-20 2022-11-17 서명교 인플루언서 커머스 중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985A (ko) * 2017-06-20 2018-12-28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KR20190075585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함샤우트 인플루언서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개 방법
KR20220116773A (ko) * 2021-02-15 2022-08-23 이민형 온라인 기반 교육 및 취업 연계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KR102335780B1 (ko) * 2021-06-21 2021-12-06 하이네이처 주식회사 다수의 플랫폼 서버들을 이용하는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온라인 광고 시스템
KR102468280B1 (ko) * 2021-12-20 2022-11-17 서명교 인플루언서 커머스 중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85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content generation
US11775494B2 (en) Multi-service business platform system having entity resolution systems and methods
Alaei et al. Sentiment analysis in tourism: capitalizing on big data
US20220292525A1 (en) Multi-service business platform system having event systems and methods
US11182432B2 (en) Vertical processing of natural language searches
US20220206993A1 (en) Multi-service business platform system having custom object systems and methods
Liang et al. What in consumer reviews affects the sales of mobile apps: A multifacet sentiment analysis approach
Johnson et al. Wag the blog: How reliance on traditional media and the Internet influence credibility perceptions of weblogs among blog users
US8438124B2 (en) System and method of a knowledge management and networking environment
Golder et al. Usage patterns of collaborative tagging systems
Binali et al. A state of the art opinion mining and its application domains
KR102155342B1 (ko) 다중파라미터 분석 기반 인플루언서 매칭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130243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pinion networks with interactive opinion flows
US202302522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content generation
Wu et al. Are customer reviews just reviews? Hotel forecasting using sentiment analysis
Mostafa An emotional polarity analysis of consumers’ airline service tweets
KR102322668B1 (ko)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창작활동 활성화를 위한 다중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30418793A1 (en) Multi-service business platform system having entity resolution systems and methods
US11494670B2 (en) Unified moderation and analysis of content
Zhang et al. Responsive and responsible: Customizing management responses to online traveler reviews
Maphosa et al. Fifteen years of recommender system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
Dommett The inter-institutional impact of digital platform companies on democracy: A case study of the UK media’s digital campaigning coverage
Sun et al. Tourists’ digital footprint: prediction method of tourism consumption decision preference
Hosseini et al. Social media target marketing: Use of social networks data to target marketing
Labat et al. EmoTwiCS: a corpus for modelling emotion trajectories in Dutch customer service dialogues on Twi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