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567B1 - 탐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탐폰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567B1
KR102619567B1 KR1020187002508A KR20187002508A KR102619567B1 KR 102619567 B1 KR102619567 B1 KR 102619567B1 KR 1020187002508 A KR1020187002508 A KR 1020187002508A KR 20187002508 A KR20187002508 A KR 20187002508A KR 102619567 B1 KR102619567 B1 KR 102619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tampon
woven material
distal end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1855A (ko
Inventor
하랄드 렌헤르
Original Assignee
루글리 프로젝츠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글리 프로젝츠 아게 filed Critical 루글리 프로젝츠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021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82Apparatu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 A61F13/2085Catamenial tampons
    • A61F13/2094Catamenial tampons rolling a web material to form a tamp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51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structure of the inner absorbing core
    • A61F13/206Tampons made of rolled-up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71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structure of the out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74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impregnated with hydrophobic, hydrophilic, skin enhancers, medicinal et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34Means for withdrawing tampons, e.g. withdrawal st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성 재료(6)로 제조된 흡수체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탐폰(1)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탐폰(1)은 근위 단부(2), 원위 단부(3) 및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중간 부분, 그리고 흡수체에 연결되고 원위 단부(3)에 위치되는 취출 수단(5)을 구비하며, 탐폰은 취출 수단(5)을 위한 관통 개구(13)를 제외하고 적어도 원위 단부(3)를 완전히 덮는, 부직 재료(4)로 제조된 커버를 구비하여, 원위 단부(3)에서 섬유가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고, 추가적으로 커버는 유체 누출에 대한 방지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탐폰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탐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i)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의 일부가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의 협소부를 지나 돌출하도록,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을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 위에 위치설정 하는 단계,
ii)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을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에 연결하는 단계,
iii)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에 취출 수단을 위치시키는 단계,
iv)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과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을 롤로 감되,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이 롤의 측방향 셸 표면(lateral shell surface)의 섹션 일부를 덮도록 감는 단계,
v)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의 돌출부를, 부직 재료로 된 스트립 중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에 연결되어 있는 섹션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탐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흡수체를 구비하는 탐폰에 관한 것으로, 탐폰은 근위 단부(proximal end)와 원위 단부(distal end), 그리고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중간 부분을 구비하며, 흡수체에 연결되고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취출 수단을 구비한다.
흡수성 재료로 제조되고, 감긴(rolled) 스트립으로 제조되는 공지된 탐폰에서는, 재료가 압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 중에 취출 단부에서 흡수성 재료로 된 섬유가 원치 않게 분리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원위 단부로부터 취출 수단을 손가락으로 분리할 때 발생한다. 탐폰은 제조 과정에서 권취되기 때문에, 탐폰의 사용 후 또는 (끈을 잡아당겨) 탐폰을 제거하는 중에, 종래의 탐폰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신체 외부로 "텔레스코핑"될 위험성도 있으며, 대개의 경우, 예를 들어 솜과 같은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의 일부가 신체 내에 남아 있을 수 있다.
EP1677722B1호에는 소수성 재료 또는 수밀성 재료로 제조된 슬리브가 탐폰의 대부분에 제공되는 탐폰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유체 흡입이 감소된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탐폰에는, 유체에 대한 통과 시간, 즉 탐폰에 유체가 포화되었을 때 원위 단부에서 유체 방울이 떨어질 때까지의 시간이 더욱 짧다는 추가적인 단점이 있다. 이 통과 시간은, 예를 들어 EDANA 표준 시험 WSP 350.1.R3(12)에 따른 측정 절차의 도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탐폰을 통과하는 유체의 통과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서두에 언급된 형태의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 방법의 단계 i)에서는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이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의 길이 방향 에지를 지나 돌출하는 방식으로 위치설정 되는데,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 중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의 길이 방향 에지를 지나 돌출하는 섹션은 롤의 단부 면이 돌출부에 의해 완전히 덮일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선택되며, 단계 iv)의 다음 단계에서는, 취출 수단이 돌출하는 롤의 원위 단부가, 취출 수단을 위한 하나의 관통 개구를 제외하고는 부직 재료로 된 돌출 섹션에 의해 완전히 덮이고, 부직 재료로 된 돌출 섹션은 관통 개구를 제외하고 원위 단부를 완전히 덮는 폐쇄형 슬리브를 형성하도록 연결되고, 부직 재료는 단위 면적당 중량이 적어도 6g/m2, 특히 12 내지 30g/m2이거나, 또는 부직 재료 대신에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유체 투과성 포일이 사용된다.
이 시점에서, 롤 및 슬리브를 제조한 후에, 예를 들어 프레스를 사용하여 압착 및 가압하는 자체 공지된 단계가 탐폰의 제조를 위해 이어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취출 수단이 위치되는 단부를 부직 재료로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권취된 탐폰이 텔리스코핑 되거나 분리되는 것 또는 탐폰이 섬유를 잃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원위 단부에서 유체 누출에 대한 방지부가 구현된다. 누출 방지부는 누출 방지부가 없는 것보다 탐폰에 유체를 훨씬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탐폰이 유체에 의해 포화되었을 때, 원위 단부에서 유체가 방출될 때까지의 시간은 커버를 갖지 않은 유사한 탐폰에 비해 적어도 3%만큼 증가된다. 이 경우, 측정 방법으로는 EDANA Standard Test WSP 350.1.R3(1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부직포로도 지칭되는 부직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를 섬유 혼합물에 또는 합성 섬유 및/또는 천연 섬유로 제조된 섬유 부직포에 도포하고, 이어서 건조시킴으로써 생산되는 평평한 섬유 재료인 것으로 이해된다. 하지만, 부직 재료의 경우, 접착제가 부직 재료의 섬유를 결합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부직 재료는 탐폰의 흡수 본체를 생성하는 재료의 섬유에 대해 불침투성이며, 유체 투과적 방식으로 또는 수밀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직 재료는 그물 형상 또는 천공된 호일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 시점에서, 부직 재료라는 용어는 부직포라는 용어와 동의어로 사용된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
흡수성(섬유질) 재료는, 예를 들어 레이온, 면, 셀룰로오스 솜, 티슈 라미네이트, 물이끼, 대나무 또는 화학적으로 강화된, 개질된 또는 상호 결합된 셀룰로오스 섬유와 같은 재료들 중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섬유 재료는 흡습성(hygroscopicity)이 높고, 다량의 유체가 섬유 외부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며, 생물학적으로 중성이다. 하지만, 후속하는 합성 재료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폼 재료, 흡수성 스폰지, 흡수성 폴리머, 모세관 채널 섬유, 합성 섬유, 대부분이 개방된 셀인 유연한 폴리우레탄 폼 또는 섬유, 또는 레이온으로 제조된 또는 결정질 변형 구조 형태의 셀룰로오스 II로 제조된 스레드와 같은 합성 재료 중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는 흡수성(섬유)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탐폰의 길이는, 예를 들어 40mm 내지 70mm일 수 있으며, 직경은 11mm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탐폰은, 특히 월경 주기 사이의 날들을 위한, 0.5g 내지 4g, 바람직하게는 3.5g의 유체 양을 흡입하는 흡수성 재료의 부피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흡수체 길이가 40mm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mm 또는 38 내지 30mm일 수 있다.
또한, 흡수체의 적어도 중간 부분 또는 중간 부분을 봉입하는 봉입체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질 점막에 대한 균일한 접촉이 달성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흡수체의 적어도 중간 부분 또는 중간 부분을 봉입하는 봉입 본체가 원통형 또는 원추대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는데, 이는, 이렇게 함으로써 일상용 탐폰 또는 탐폰들의 삽입이 용이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추가적인 개선에 따르면, 원추 또는 절두체가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그 결과 일상용 탐폰 또는 탐폰들의 추출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체적에서 흡수체의 재료보다 더 적은 유체량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섬유 재료로 제조된 코어 영역이 흡수 본체의 적어도 중간 부분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양한 해부학적 특징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원하는 더 큰 탐폰의 직경에도 불구하고, 특히 흡수 본체에서의 흡수 효과 또는 유체 흡입의 정도가 필요한 치수에 맞춰 보다 쉽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체적에서 흡수체의 재료와 더 적은 유체량을 흡수하도록 구성되거나, 발수성(water-repellent)인 섬유 재료로 제조된 코어 영역이 흡수 본체의 적어도 중간 부분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후속적으로 흡수될 유체의 양은 흡수 본체의 설계 및 체적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다양한 색으로 제조될 수 있는 탐폰은 표면에 표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탐폰은, 예를 들어 빈혈, 당뇨, A형 간염, B형 간염 또는 C형 간염과 같은 특정 질병에 대해 색이 변하는 화학적 인디케이터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탐폰 및/또는 흡수 본체는 40mm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mm, 또는 38 내지 30mm의 길이를 가짐으로써, 자궁에 대한 탐폰의 팽창 및 압력 또한 감소되고, 이러한 이유로 상당히 불편할 수 있는 자궁의 출구 오리피스의 밀봉 및 막힘이 방지된다.
또한, 흡수체가 흡수체의 전체 체적에 걸쳐서 흡수성 재료로 형성되어, 그 결과 직경과 흡수 가능한 유체량의 측정이 최적화될 수 있는 실시예 또한 가능하다.
또 다른 유리하고 추가적인 구체예에 따르면, 흡수 재료가 섬유성 재료로 형성되어, 그 결과 유체의 액적(droplet)이 개별 섬유에 부착될 수 있고, 일상용 탐폰 또는 탐폰의 흡수체의 높은 흡수성이 달성된다.
그러나, 흡수성 재료가 압축된 섬유성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탐폰의 취급, 특히 탐폰의 삽입 및 제거가 용이해지므로, 이 또한 유리하다.
또 다른 유리하고 추가적인 구체예는, 흡수체에 흡수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세스 또는 홈이 제공되고, 및/또는 리세스 또는 홈이 흡수체의 길이 방향 중심축 방향으로 물결 모양 방식으로 연장하되,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높이의 진폭으로 연장하여, 그 결과 탐폰의 표면이 확장되는 것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로 인해 체액 흡수가 증가될 수 있는데, 이는 연속적인 월경 주기들 사이에 신체가 배출하는 체액의 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홈은 일상용 탐폰 또는 탐폰의 삽입 보조제의 사용에 유리하다.
홈 또는 리세스가 나선형(spiral/helical)으로 연장되어, 유체 흡수를 위한 더 큰 표면이 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홈 또는 리세스가 흡수체 상에 원주 방향으로 분포되도록 배치된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이점이 달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탐폰의 표면이 확장되고, 이는 연속적인 월경 주기들 사이에 신체가 배출하는 체액의 양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체액의 흡수를 증가시킨다. 배출량이 증가된 여성에게는 팬티라이너보다 향상된 위생이 제공된다. 또한, 이러한 홈은 일상용 탐폰 또는 탐폰의 삽입 보조기구의 사용에 유리하다. 홈은 탐폰 프레스에서 롤을 가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취출 수단이 돌출하는 롤의 원위 단부는 취출 수단이 길게 늘어져 있을 때 부직 재료의 돌출 섹션에 의해 덮이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취출 수단이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슬리브의 외부에 위치설정되고, 돌출 섹션에 의해 원위 단부가 덮이는 동안 취출 수단이 슬리브의 생산을 방해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또 다른 구체예는,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의 돌출 섹션의 원주 에지 영역이 취출 수단을 향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폐쇄형 슬리브를 생성하고, 돌출 섹션의 서로 접촉하는 섹션들은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의 돌출 섹션은 폐쇄형 슬리브를 생성하기 위해, 측방향 셸 표면을 덮는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의 섹션에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의 돌출 섹션은 용접에 의해 슬리브에 연결된다. 용접에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접착 본딩, 재봉 등의 다른 연결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은 하한이 150mm이고 상한이 400mm인 값 범위에 속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은 하한이 50mm이고 상한이 250mm인 값 범위에 속하는 크기의 길이를 가지며, 단계 i)에서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은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이, 단계 iv)에서 생산되는 롤의 반경 또는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의 길이 방향 에지를 지나 돌출하도록 위치설정 된다.
게다가,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의 폭은 흡수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의 폭보다 크며, 단계 i)에서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은,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이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의 폭의 적어도 3/4을 덮도록 하는 방식으로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 위에 위치설정 된다. 이 실시예에서, 부직 재료는 롤의 측방향 셸 표면의 큰 부분 위에서 연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질의 점막과 탐폰의 외부 표면 사이의 마찰이 감소됨이 보장될 수 있고, 탐폰의 적어도 중간 부분에서의 섬유 손실 또한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물론,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은, 탐폰이 부직 재료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도록,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예에 따르면, 탐폰의 원위 단부는 수밀 코팅 또는 소수성 코팅으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탐폰의 원위 단부에 수밀성 재료 또는 소수성 재료로 제조된 커버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제공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된 목적은 서론에서 언급된 유형의 탐폰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는데, 이 탐폰은, 취출 수단을 위한 관통 개구를 제외하고 적어도 원위 단부를 완전히 덮는 커버로, 단위 면적당 중량이 적어도 6g/m2 이상, 특히 12 내지 30g/m2인 부직 재료로 폐쇄형 슬리브 형태로 제조된 커버를 구비하거나, 또는 원위 단부에서 섬유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유체 투과성 포일을 구비하며, 추가적으로 커버는 유체 누출에 대한 방지부를 형성한다.
탐폰의 원위 단부가 수밀성 코팅 또는 소수성 코팅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탐폰의 원위 단부는 바람직하지 못한 유체 유입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게다가, 탐폰의 원위 단부는 수밀성 재료 또는 소수성 재료로 제조된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이 커버에 대해서는 후속하는 도면들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각 대단히 단순화된 도면들로,
도 1은 취출 수단을 잡아당길 때 종래의 롤형 탐폰이 텔레스코핑 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탐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탐폰 제조를 위한 제조 단계에 따른, 흡수성 재료 및 부직 재료의 조립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조립체의 감긴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부직 재료에 의해 폐쇄된 원위 단부를 갖는 도 5의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수밀성 재료 또는 소수성 재료로 코팅되거나 덮인 원위 단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탐폰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먼저, 다양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도면 부호 또는 동일한 구성요소 명칭이 제공되고, 전체 설명에 포함되는 개시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 및 동일한 구성 요소 명칭을 갖는 동일한 부분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상부, 바닥부, 측부와 같이, 설명에서 선택된 위치 정보는 직접 기술 및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며, 이 위치 정보는 위치가 변경되면 새로운 위치로 적절하게 전환되어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탐폰의 가능한 변형 실시예들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예시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오히려 개별적인 변형 실시예들의 서로 간의 다양한 조합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교시에 기인한 이러한 가능한 변형들은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기술 능력 세트의 일부임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도시 및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의 개별적인 특징들 또는 특징들의 조합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적이고 진보적인 해결책 또는 해결책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개별적인 발명 해결책의 기반이 되는 대상은 설명을 통해 결론지어 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값의 범위에 관한 모든 정보는 이러한 값의 범위들이 임의의, 그리고 모든 하위 범위들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1 내지 10의 열거는 하한 1부터 상한 10까지의 모든 하위 범위, 즉 하한 1 이상으로 시작해 상한 10 이하로 끝나는 모든 하위 범위(예를 들어, 1 내지 1.7, 또는 3.2 내지 8.1 또는 5.5 내지 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탐폰(1)은, 예를 들어 흡수성 면과 같은 흡수성 재료(6)로 제조된 흡수체를 포함한다. 탐폰(1)은 근위 단부(2)와 원위 단부(3), 그리고 근위 단부(2)와 원위 단부(3) 사이에서 연장하는 중간 부분을 갖는다. 근위 단부(2)에서 탐폰(1)은 둥근 방식 또는 경사진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원위 단부(3)에는 흡수체에 연결되는 취출 수단(5)이 위치된다. 취출 수단(5)을 위한 관통 개구(도 6에 도면 부호 13으로 표시됨)를 제외하고 원위 단부(3)를 완전히 덮는 부직 재료의 스트립(4)으로 제조된 커버(covering)가 원위 단부(3)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 개구(13)는 취출 수단(5)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커버는 섬유들이 원위 단부에서 빠져 나오는 탐폰의 텔레스코핑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1은, 취출 수단(5)을 잡아당길 때, 종래의 탐폰이 어떻게(텔레스코핑되어) 당겨져 나오는지를 예시적인 방식으로 도시한다. 이 경우, 취출 수단(5)에 연결되는,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6)이 권취된 것(winding)이 길이 방향으로 당겨져 나오며, 그 결과 종래의 탐폰은 풀릴 수 있다.
탐폰(1)의 중간 부분은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중간 부분이 원추대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원통 또는 원뿔 또는 원추대는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언급된 탐폰(1)의 모든 공간 형상에 대해, 탐폰(1)의 길이에 걸친 임의의 단면 변화, 예를 들어 적어도 원주의 일부 및/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파형 형상 또는 오목부들과 같은 단면변화가 가능하다.
더 유리한 실시예는, 탐폰(1)의 적어도 중간 부분에 중앙 부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오목부들 또는 홈들을 구비하고, 및/또는 오목부들 또는 홈들이 탐폰(1)의 길이 방향 중심축 방향으로 물결 모양 방식으로 연장하되,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높이의 진폭으로 연장하며, 그 결과 탐폰의 표면이 확장되어 체액 흡수를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홈 또는 오목부가 나선형(spiral/helical)으로 연장되어, 보다 큰 유체의 흡수 표면이 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탐폰(1)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은, 스트립(4)의 일 부분(8)이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6)의 협소부(7)를 지나 돌출하도록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6) 위에 위치된다. 또한, 스트립(4)은 스트립(4)이 스트립(6)의 길이 방향 에지(10)를 지나 돌출하도록 스트립(6) 위에 위치된다. 이 경우, 스트립(6)의 종 방향 에지(10)를 지나 돌출하는 스트립(4)의 섹션(11)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들(4, 6)이 롤(9)로 감긴 후에 이 롤(9)의 단부 면(12)이 돌출 섹션(11)에 의해 완전히 덮이도록 하는 크기로 선택된다. 이 경우, 사용된 부직 재료는 적어도 6g/m2 이상, 특히 12 내지 30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갖는다. 부직 재료 대신,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유체 투과성 포일(foil)이 사용될 수 있다. 포일은, 예를 들어 천공을 삽입함으로써 유체 투과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스트립(6)의 흡수 구조는 복수의 크기 및 형태로, 그리고 복수의 유체 흡수성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물론, 제품이 일정 시간 동안 체내에 유지되기 때문에 가용성 이물질을 최소량 포함하는 흡수성 재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된 가용성 이물질은 독성, 자극성 또는 민감성의 원인인 경우, 안전성 위험을 제기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재료의 리스트에는, 예를 들어 레이온, 면,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솜, 티슈 라미네이트, 물이끼, 대나무, 그리고 화학적으로 강화된, 개질된 또는 상호-결합된 셀룰로오스 섬유와 같은 셀룰로오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흡수성 폼으로, 예를 들어 탄력적으로 탄성인 폴리우레탄 폼, 흡수성 스폰지, 극 흡수성 폴리머, 흡수성 겔-형성 물질, 그리고 모세혈관 채널 섬유 및 몇몇 부재를 갖는 섬유와 같은 가공 섬유의 흡수성 폼; 및 합성 섬유 또는 이와 동등한 재료 또는 재료들의 조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이 포함된다.
이러한 합성 폼을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흡수체의 제조 시 특정 온도를 설정하여 외피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것, 즉 부분적인 온도 효과로 인해 외부 영역에서 폐쇄된 피(closed skin)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폼 구조에 흡수된 유체의 탈출이 추가적으로 더 어려워지거나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탐폰(1)의 근위 단부 영역(4)에서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탐폰(1)의 제조는, 질 및 자궁의 영역에서 우세한 조건하에, 즉 체온에서, 긴 시간에 걸쳐 pH를 약 4로 유지하고, 점막 등에 손상을 주는 독성 물질 또는 독성 용액을 방출하지 않는 광범위한 물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체적 중량이 매우 낮고 대부분이 개방형-셀 구조를 갖는, 예컨대 유연성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재료가 스트립(6) 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흡수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면 유체가 새는 위험이 더욱 감소된다. 이러한 폼 구조의 또 다른 이점은, 전달된 상태에서 또는 질 내로 도입되기 전에, 개방형 셀이 약제 또는 윤활제로 충전되어, 삽입되었을 때 이 약제 또는 윤활제가 질 및 자궁의 점막으로 배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부직 재료에 사용된 재료가 생분해성이고, 예를 들어 PLA 또는 다른 생분해성 플라스틱 재료 또는 플라스틱 화합물로 제조되거나 및/또는 예컨대 R-PP, R-PET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거나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재활용된 필라멘트 또는 섬유로 제조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재료로 다른 혼합물 또는 다층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립(6)은 길이 l을 가지며, 그 크기는 하한이 150mm이고 상한이 400mm인 값의 범위에 속한다. 스트립(4)은 길이 c를 가지며, 그 크기는 하한이 50mm이고 상한이 250mm인 값의 범위에 속한다. 스트립(4)은, 스트립(4)이 스트립(6)의 길이 방향 에지(10)를 적어도 롤(9)의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b)만큼 지나 돌출하는 방식으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립(6)은 길이(l)가 255mm이고, 부분(8)의 길이(a)는 30mm이며, 스트립(4)의 총 길이(c)는 127mm이다. 이 경우, 섹션(11)은 30mm의 폭(b)을 갖는다.
더욱이, 스트립(4)의 전체 폭은 스트립(6)의 전체 폭보다 클 수 있다. 특히, 스트립(4)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4)이 스트립(6)의 폭의 적어도 3/4에 걸쳐 연장하는 방식으로 위치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립(4)을 스트립(6)에 위치설정 한 다음, 스트립(4)은 스트립(6)에 연결된다. 스트립들(4, 6)의 연결은, 예를 들어 용접, 접착 본딩, 봉합 또는 연결에 적합한 다른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 예를 들어 필라멘트 또는 끈과 같은 취출 수단(5)이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6)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립(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 수단(5)에 의해 고리모양으로 감겨진다(looped). 그 다음, 스트립들(4, 6)은 롤(9)로 감겨진다. 이 경우, 권취 방향은,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트립(4)이 롤(9)의 측방향 셸 표면의 섹션을 덮도록 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스트립(4)의 돌출부(8)는, 예를 들어 용접 및/또는 접착 본딩 및/또는 봉합함으로써, 스트립(6)에 연결되는 스트립(4)의 섹션(15)에 의해 폐쇄된 링으로 연결된다.
취출 수단(5)이 돌출하는 롤(9)의 원위 단부는, 스트립(4)의 돌출 섹션(11)에 의해, 취출 수단(5)을 위한 관통 개구(13)를 제외하고 완전히 덮인다. 이어서, 스트립(4)의 돌출 섹션(11)은 연결되어 관통 개구(13)를 제외하고 원위 단부를 완전히 덮는 폐쇄형 슬리브를 형성한다.
취출 수단(5)이 길게 늘어나 있는 동안에, 스트립(4)의 돌출 섹션(11)에 의해 롤(9)의 말단부를 덮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롤(9)의 원위 단부를 덮는 것은 돌출 섹션(11)의 원주 에지 영역(14)을 길게 늘어진 취출 수단(5)을 향하는 방향으로 구부리거나 접음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관통 개구(13)가 가려지지 않도록 유지되거나, 롤의 단부면 상에 접혀지기 전에 취출 수단이 돌출 섹션(11)을 통과한다. 이는, 예를 들어 취출 수단이 고정된 바늘의 도움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돌출 섹션(11)의 서로 접촉하는 부분들은, 예를 들어 용접, 봉합 또는 접착 본딩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폐쇄된 커버가 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섹션(11)이 롤(9)의 반경과 적어도 대략적으로 동일한 것이 유리하다.
바로 앞 단락에서 언급한 변형예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폐쇄형 슬리브를 생성하기 위한 스트립(4)의 섹션(11)은 롤의 측면 쉘 표면에 위치되는 부직 재료로 제조된 섹션(15)에 연결될 수도 있다. 섹션(11)의 폭(b)이 롤(9)의 직경보다 약간 큰 경우, 섹션(11)의 영역은 롤(9)의 원위 단부 면(12) 전체의 위로 접혀서 섹션(15)에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섹션(11)의, 롤(9)의 단부 면 위로 접힌 부분이 취출 수단(5)을 관통시키기 위한, 예를 들어 슬롯과 같은 형태의 개구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부직포 또는 부직 재료로 제조된 폐쇄형 슬리브 형태의 원위 단부의 커버를 갖는, 도 6에 도시된 롤(9)은 프리폼(perform)을 나타내며, 이는 그 자체가 공지된 제조 단계에서 후속적으로 프레스에서 가압되고 다져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탐폰(1)으로 더 가공된다. 원위 단부를 부직 재료로 덮는 것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원위 단부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유체 투과성 포일로 덮일 수 있다. 원위 단부를 덮는 것은 누출 방지를 구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탐폰은 종래의 탐폰보다 현저하게 더 긴 유체 통과 시간을 갖는다. 표 1에서, EDANA 표준 시험 WSP 350.1.R3(12)에 따라 결정된, 원위 단부에 커버를 갖거나 갖지 않는 탐폰의 결과들이 서로 비교된다. 비교 가능한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 모든 탐폰에 대해 동일한 시험 요건이 선택되었다. 이 시험에서는, 소위 신지나 유체(Syngina fluid)라고도 하는 시험 유체의 첫 번째 방울이 땅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부직포 14g/m2 부직포 12 g/m2
커버 있음 평균: 14분 59초 평균: 15분 48초
커버 없음 평균: 13분 46초 평균: 15분 02초
누출 방지 향상에 대한 백분율 8.84% 5.1%
도 7에 따르면, 탐폰(1)의 원위 단부에는 수밀성 코팅 또는 소수성 코팅(16)이 제공될 수 있다. 코팅(16)은, 예를 들어 래커, 왁스, 레진 등의 함침 액을 사용하여 탐폰(1)의 원위 단부를 적시거나 담금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코팅(1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단부를 완전히 덮거나,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부를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도 8에서, 코팅은 도면 부호 17로 표시된다. 수밀성 코팅(16) 또는 소수성 코팅(17)에 의한 탐폰(1)의 코팅은, 탐폰(1)의 다른 제조 단계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개별적으로 본 발명의 주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9에 따르면, 말단부는 물에 대해 불침투성인 재료 또는 소수성 재료로 제조된 커버(18)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8)는 탐폰(1)의 측면 영역도 포함하는 슬리브로서 제조될 수 있다. 하지만, 그러나 탐폰의 측면 영역의 대부분은 덮이지 않는다.
도 10에 따르면, 물에 대해 불침투성인 재료 또는 소수성 재료로 제조된 커버(19)는 탐폰(1)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지 않고 단지 원위 단부만을 덮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버(19)는 디스크로서 구현된다.
커버들(18, 19)에 사용되는 재료가 생분해성이고, 예를 들어 PLA 또는 다른 생분해성 플라스틱 재료 또는 플라스틱 화합물로부터 형성되거나 및/또는 예컨대 R-PP, R-PET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제조되거나 재활용된 필라멘트 또는 섬유로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재료로부터 다양한 혼합물로 또는 다층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탐폰(1)에 수밀 커퍼 또는 소수성 커버(18, 19)를 제공하는 것 또한, 탐폰(1)의 다른 제조 단계와 독립적으로 수행되고, 개별적으로 발명의 주제를 구성할 수 있다.
커버(18, 19)는 스트립(4)에 (예를 들어, 용점, 접촉 본딩 또는 봉재에 의해)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스트립(4)은 단계 i) 이전에 또는 이후에 적용될 수 있다.
분명한 것은, 결론적으로 탐폰의 구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탐폰 또는 그 구성 요소는 부분적으로, 축척에 맞춰지지 않은 방식으로 및/또는 확대된 방식 및/또는 축소된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1 탐폰
2 근위 단부
3 원위 단부
4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
5 취출 수단
6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
7 협소부
8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의 부분
9 롤
10 길이 방향 에지
11 돌출 섹션
12 롤의 단부 면
13 관통 개구
14 에지 영역
15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의 섹션
16 코팅
17 코팅
18 커버
19 커버
a 길이
b 폭
c 총 길이
l 길이

Claims (12)

  1. 탐폰(1)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i)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의 일부분(8)이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6)의 협소부(7)를 지나 돌출하도록,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을 흡수성 재료로 된 스트립(6) 위에 위치설정 하는 단계,
    ii)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을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6)에 연결하는 단계,
    iii)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6)에 취출 수단(5)을 위치시키는 단계,
    iv)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6)과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을 롤(9)로 감되,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이 롤(9)의 표면 셸(surface shell)의 일부 섹션을 덮도록 하는 단계,
    v)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의 돌출부(8)를,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6)에 연결되어 있는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의 섹션(15)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탐폰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단계 i)에서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은,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이 흡수성 재료로 된 스트립(6)의 길이 방향 에지(10)를 지나 돌출하는 방식으로 위치설정 되고,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 중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6)의 길이 방향 에지(10)를 지나 돌출하는 섹션(11)은 롤(9)의 단부 면(12)이 돌출 섹션(11)에 의해 완전히 덮여질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선택되며, 단계 iv) 에서, 취출 수단(5)이 돌출하는 롤(9)의 원위 단부는 취출 수단(5)을 위한 관통 개구(13)를 제외하고는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의 돌출 섹션(11)에 의해 완전히 덮여지고,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의 돌출 섹션(11)은 관통 개구(13)를 제외하고 원위 단부를 완전히 덮는 폐쇄형 슬리브를 형성하며, 부직 재료는 단위 면적당 중량이 적어도 6g/m2, 또는 12 내지 30g/m2이거나,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유체 투과성 포일이 부직 재료 대신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취출 수단(5)이 돌출하는 롤(9)의 원위 단부는, 취출 수단이 길게 늘어져 있는 동안,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의 돌출 섹션(11)에 의해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의 돌출 섹션(11)의 원주 방향 에지 영역(14)은 폐쇄형 슬리브를 생성하기 위해 취출 수단(5)의 방향으로 굽혀지고, 돌출 섹션(11)의 섹션들 중 서로 접촉하는 섹션들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폐쇄형 슬리브를 생성하기 위해,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의 돌출 섹션(11)은 표면 셸을 덮는 부직 재료로 제조된 섹션(1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 제조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의 돌출 섹션(11)은 용접에 의해 슬리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 제조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6)의 길이(l)는 그 크기가 하한이 150mm이고 상한이 400mm인 값 범위에 속하고,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의 길이(c)는 그 크기가 하한이 50mm이고 상한이 250mm인 값 범위에 속하며, 단계 i)에서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은,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이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6)의 길이방향 에지(10)를 지나 돌출하되, 단계 iv)에서 생성되는 롤(9)의 반경과 동일한 폭(b)만큼 돌출하는 방식으로 위치설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 제조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의 폭은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6)의 폭보다 크고, 단계 i)에서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은, 부직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4)이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6)의 폭의 적어도 3/4만큼을 덮는 방식으로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스트립(6) 위에 위치설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 제조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탐폰(1)의 원위 단부에는 수밀성 코팅 또는 소수성(hydrophobic) 코팅(16, 19)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 제조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탐폰(1)의 원위 단부에는 수밀성 재료 또는 소수성 재료로 제조된 커버(17, 1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 제조 방법.
  10. 흡수성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흡수체를 포함하는 탐폰(1)으로, 근위 단부(2), 원위 단부(3), 그리고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중간 부분뿐만 아니라, 흡수체에 연결되어 원위 단부(3)에 위치되는 취출 수단(5)도 구비하는, 탐폰(1)에 있어서,
    탐폰은 단위 면적당 중량이 적어도 6g/m2 또는 12 내지 30g/m2인 부직 재료로 된 스트립(4)으로 제조되는 폐쇄형 슬리브 형태의 커버로, 취출 수단(5)을 위한 관통 개구(13)를 제외하고 적어도 원위 단부(3)를 완전히 덮는, 커버를 구비하거나, 원위 단부(3)에서 섬유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유체 투과성 포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투과성 포일에 수밀성 코팅 또는 소수성 코팅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수밀성 재료 또는 소수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
KR1020187002508A 2015-06-25 2016-06-22 탐폰 제조 방법 KR102619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554/2015A AT517380A1 (de) 2015-06-25 2015-06-25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ampons
ATA50554/2015 2015-06-25
PCT/EP2016/064462 WO2016207242A1 (de) 2015-06-25 2016-06-22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amp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855A KR20180021855A (ko) 2018-03-05
KR102619567B1 true KR102619567B1 (ko) 2023-12-29

Family

ID=56194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508A KR102619567B1 (ko) 2015-06-25 2016-06-22 탐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2) US10940052B2 (ko)
EP (1) EP3313342B1 (ko)
JP (2) JP2018518309A (ko)
KR (1) KR102619567B1 (ko)
CN (1) CN107809988B (ko)
AT (1) AT517380A1 (ko)
AU (1) AU2016282839B2 (ko)
BR (1) BR112017027732B1 (ko)
CA (1) CA2988238C (ko)
CO (1) CO2017012860A2 (ko)
ES (1) ES2790534T3 (ko)
HK (1) HK1251143A1 (ko)
HU (1) HUE048960T2 (ko)
IL (1) IL256154B (ko)
MX (1) MX366812B (ko)
PL (1) PL3313342T3 (ko)
PT (1) PT3313342T (ko)
RU (1) RU2701400C2 (ko)
SI (1) SI3313342T1 (ko)
WO (1) WO2016207242A1 (ko)
ZA (1) ZA2018002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88190A1 (en) * 2018-12-17 2020-06-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s and methods for making tampons
CN112402107A (zh) * 2019-08-21 2021-02-26 吴静茹 导管式卫生棉条及其伸缩导管组及卫生棉条指套
CH717195A1 (de) * 2020-03-05 2021-09-15 Ruggli Project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knotung eines Fadenendes.
DE202020102736U1 (de) 2020-05-14 2020-06-16 Ruggli Projects Ag Vorrichtung zur Verknotung eines Fadenendes
CN111772930B (zh) * 2020-08-20 2022-02-15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天然抑菌棉条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7860A (ja) 2002-09-05 2005-12-1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使用後にクリーンな外観を有するタンポン
JP2014128485A (ja) 2012-12-28 2014-07-10 Uni Charm Corp 生理用タンポン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6667A (en) * 1956-04-09 1960-03-01 Kimberly Clark Co Cellulosic product
JPS4742708Y1 (ko) * 1968-12-04 1972-12-23
US4104127A (en) * 1974-06-12 1978-08-01 Louis Bucalo Article for growing cultures in a body cavity in the presence of gas, and package for the article
SE413979B (sv) * 1977-12-21 1980-07-07 Moelnlycke Ab Menstruationstampong
US4374522A (en) * 1981-03-16 1983-02-22 Kimberly-Clark Corporation Tampon with central reservoir
DE3519514A1 (de) * 1985-05-31 1986-12-04 Vereinigte Papierwerke Schickedanz & Co, 8500 Nürnber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mit vliesstoff umhuellten wickeltampons und danach hergestellter wickeltampon
DE3634704A1 (de) * 1986-10-11 1988-04-14 Ver Papierwerke Ag Gepresster staebchenfoermiger tampon fuer die frauenhygiene
US5185010A (en) * 1992-01-31 1993-02-09 Tambrands Inc. Spirally wound tampon with overwrap
CA2085923A1 (en) * 1992-09-23 1994-03-24 Donald Albert Sheldon Tampon having a liquid-permeable cover
DE9217228U1 (ko) * 1992-12-17 1993-03-18 Corovin Gmbh, 3150 Peine, De
DE19753665C2 (de) * 1997-12-03 2000-05-18 Johnson & Johnson Gmbh Tampon für die Frauenhygiene oder medizinische Zweck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S6860874B2 (en) * 2001-02-15 2005-03-01 Johnson & Johnson Gmbh Tampon, particularly for feminine hygiene
DE10163114B4 (de) * 2001-12-24 2005-03-31 Johnson & Johnson Gmbh Tampon, insbesondere für die Frauenhygiene
US20040225272A1 (en) * 2003-05-07 2004-11-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with joined skirt portion
US20050096620A1 (en) 2003-10-31 2005-05-05 Bernhard Awolin Tampon having liquid-resistant base
BRPI0520364B1 (pt) * 2005-06-28 2016-02-10 Sca Hygiene Prod Ab tampão compreendendo fibras de viscose multi-ramificadas
JP5566617B2 (ja) * 2009-02-27 2014-08-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タンポン
US9610201B2 (en) * 2011-05-05 2017-04-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ampon having multiple absorbent regions
DE202012011679U1 (de) * 2012-12-05 2013-02-06 Rauscher Consumer Products Gmbh Tampo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Tampons
AT515255B1 (de) * 2014-01-07 2015-10-15 Ruggli Project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amp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7860A (ja) 2002-09-05 2005-12-1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使用後にクリーンな外観を有するタンポン
JP2014128485A (ja) 2012-12-28 2014-07-10 Uni Charm Corp 生理用タンポ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09988A (zh) 2018-03-16
AU2016282839B2 (en) 2019-01-17
RU2018102632A3 (ko) 2019-07-25
BR112017027732A2 (pt) 2018-09-11
EP3313342A1 (de) 2018-05-02
AT517380A1 (de) 2017-01-15
MX2017016377A (es) 2018-03-02
KR20180021855A (ko) 2018-03-05
CA2988238C (en) 2023-11-14
US20210154054A1 (en) 2021-05-27
BR112017027732B1 (pt) 2022-09-20
EP3313342B1 (de) 2020-02-12
RU2701400C2 (ru) 2019-09-26
ZA201800245B (en) 2019-10-30
JP2018518309A (ja) 2018-07-12
IL256154A (en) 2018-02-28
AU2016282839A1 (en) 2018-01-04
IL256154B (en) 2021-12-01
CN107809988B (zh) 2020-12-29
SI3313342T1 (sl) 2020-07-31
CA2988238A1 (en) 2016-12-29
PT3313342T (pt) 2020-05-18
MX366812B (es) 2019-07-23
US10940052B2 (en) 2021-03-09
JP2022008564A (ja) 2022-01-13
RU2018102632A (ru) 2019-07-25
US20180185202A1 (en) 2018-07-05
ES2790534T3 (es) 2020-10-28
CO2017012860A2 (es) 2018-03-20
HK1251143A1 (zh) 2019-01-25
HUE048960T2 (hu) 2020-09-28
WO2016207242A1 (de) 2016-12-29
PL3313342T3 (pl)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9567B1 (ko) 탐폰 제조 방법
AU2004284851B2 (en) A hygienic tampon and an absorbent body used in the formation of a tampon
US7192421B2 (en) Tampon with an overwrap or overwraps having both masking and wicking properties
RU2239402C2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нтерлабиальное изделие
EP1481656A1 (en) Tampon having differentiated expansion capacity
JP2005537860A (ja) 使用後にクリーンな外観を有するタンポン
KR100940223B1 (ko) 의료용 및 생리용 흡수체.
JP2007537022A (ja) 柔軟性パネルを備えたタンポン
RU2629872C2 (ru) Тампон для межменструальных дней
JP2018518309A5 (ko)
KR101760825B1 (ko) 세이프티 홀이 형성된 삽입형 생리대용 흡수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8148396A2 (en) Tampon
US5688257A (en) Menstruation tamp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161928A1 (de) Tampon, insbesondere für die Frauenhygiene oder medizinische Zwecke
US20150157511A1 (en) Feminine hygiene device with withdrawal member
KR20130134155A (ko) 면부직포를 이용한 원주형 흡수체 삽입형 생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