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397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397B1
KR102619397B1 KR1020180166906A KR20180166906A KR102619397B1 KR 102619397 B1 KR102619397 B1 KR 102619397B1 KR 1020180166906 A KR1020180166906 A KR 1020180166906A KR 20180166906 A KR20180166906 A KR 20180166906A KR 102619397 B1 KR102619397 B1 KR 102619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outside air
outside
air condition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735A (ko
Inventor
배상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6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397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감지오류를 최소화하는 한도내에서 차속과 엔진열에 관계없이 외기온도를 감지하여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속과 엔진열에 구애받지 않고 실질적인 외기온도 변화를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조장치의 제어 정확도를 높여 차실내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기센서에서 감지된 외기온도를 반영하여, 에어컨과 히터와 템프도어와 인테이크 도어와 모드 도어들을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외기센서에서 감지된 외기온도가 이전에 비해 상승하는 조건일 시에, 공조장치 제어에 실제 반영되는 외기온도값을,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한한다. 특히, 제어부는, 외기센서의 외기온도가 상승하는 조건일 시에, 공조장치 제어에 실제 반영되는 외기온도값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이전에 반영된 외기온도에 대해 미리 설정된 온도만큼 씩만 상승하도록 제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지오류를 최소화하는 한도내에서 차속과 엔진열에 관계없이 외기온도를 감지하여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속과 엔진열에 구애받지 않고 실질적인 외기온도 변화를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조장치의 제어 정확도를 높여 차실내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용 공조장치는 자동제어방식으로 개선되고 있다.
자동제어방식 공조장치(이하 공조장치라 약칭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센서(1)와 인카센서(In-Car Sensor)(3)와 일사센서(5) 등을 통해 "외기온도"와 "내기온도"와 "일사량" 등이 감지되면, 감지된 각각의 데이터들을 제어부(7)가 처리하여 최적의 "제어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최적의 "제어값"에 따라 에어컨(9)과 히터(11)와 템프도어(13)와 인테이크 도어(15)와 모드 도어(17) 등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차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와 풍량과 토출방향 등을, 차실내외의 온도 조건에 맞춰 자동으로 조절한다. 이로써, 차실내의 온도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한편, "차실외 온도"를 감지하는 외기센서(1)는, 차실외의 공기와 접촉하기 쉬운 위치, 예를 들면, 차량 전면의 라디에이터 그릴(Radiator Grill)(도시하지 않음)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며, 이렇게 설치된 외기센서(1)는, 차량의 전면으로부터 불어오는 주행풍과 접촉하면서 "외기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외기온도" 데이터를 제어부(7)에 입력시킨다.
여기서, 제어부(7)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기준차속" 미만의 "저차속" 조건일 경우에는, 예를 들면, 25㎞/h 미만의 "저차속" 조건일 경우에는, 외기센서(1)에서 "감지 오류"가 난 것으로 판단하고, 외기센서(1)에서 입력된 "외기온도"를 무시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25㎞/h 미만의 "저차속" 조건일 경우, 차량의 엔진룸측으로부터 역류하는 엔진의 열기 때문에 외기센서(1)가 정확한 "외기온도"를 감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7)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상승되어 "기준차속" 이상의 "고차속" 조건으로 진입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25㎞/h 이상의 "고차속" 조건에 진입하였을 경우에는,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 데이터를 곧바로 인식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기준 지연시간"을 지연시킨 후,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 데이터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고차속" 조건으로 진입했더라도,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는 엔진의 열기가 여전히 외기센서(1)에 작용하여 "감지오류"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제어부(7)에 내장된 "기준 지연시간"은, "1분"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제어부(7)는, "고차속" 조건에 진입한 시점, 즉, 25㎞/h 이상으로 상승된 시점으로부터 "1분"이 경과한 후,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 데이터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저차속" 조건일 경우에는,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 데이터를 무시하는 구조이므로, "저차속" 조건인 상태에서 실질적인 "외기온도"의 변화가 있더라도, 이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여름철, 지하주차장에 주차시켜 놓은 차량을 주행시킬 경우, 외기센서(1)는 지하주차장의 낮은 "외기온도"를 먼저 감지한 다음, 이후, 도로상의 높은 "외기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게 되는데, 이때, 지하주차장에서 빠져나온 차량이, "기준차속" 미만의 "저차속"으로 도로주행중일 경우,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 데이터를 무시하는 바, 지하주차장에서의 "외기온도"와 도로주행중에서의 "외기온도" 간에 실질적인 "온도 상승"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기센서(1)에서 감지된 "외기온도" 데이터를 무시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실질적인 "외기온도 상승"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실질적인 "외기온도 상승"을 감지하지 못한다. 이로써, 실질적인 "외기온도 상승"이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되지 못하여, 정확한 차실내 온도 제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결과, 차실내의 쾌적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고차속" 진입 시에 "기준 지연시간"이 경과된 후,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 데이터를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가 실제의 외기온도보다 높게 감지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외기센서(1)에 엔진의 열이 계속 작용하여 외기센서(1)에서 감지된 외기온도가 여전히 높게 나타나거나, 또는 차량의 특성과 외기센서(1)의 설치 위치에 따라 외기센서(1)에서 감지된 외기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될 경우, "고차속" 조건에 진입한 후, "기준 지연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여전히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가 실제의 외기온도보다 높게 감지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기준 지연시간"의 경과 후, 높게 감지된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 데이터를 "실제 외기온도" 데이터로 잘못 인식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결과, 잘못 감지된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 데이터를 근거로 공조장치가 제어된다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점 때문에 정확한 차실내 온도 제어가 어려워 차실내의 쾌적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기온도"의 감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감지오류를 최소화하는 한도내에서 차속과 엔진열에 관계없이 외기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지오류를 최소화하는 한도내에서 차속과 엔진열에 관계없이 외기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저차속"으로 주행하고 있는 상태라도 실질적인 "외기온도" 변화가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차실내온도 제어에 반영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차속"으로 주행하고 있는 상태라도 실질적인 "외기온도" 변화가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차실내온도 제어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공조장치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고, 이로써, 차실내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지오류를 최소화하는 한도내에서 차속과 엔진열에 관계없이 외기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저차속"에서 "고차속"으로의 진입 시에, 엔진열에 관계없이 외기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차속"에서 "고차속"으로의 진입 시에, 엔진열에 관계없이 외기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저차속"에서 "고차속"으로의 진입 시에, 실질적인 외기온도를 반영하여 공조장치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외기센서에서 감지된 외기온도를 반영하여, 에어컨과 히터와 템프도어와 인테이크 도어와 모드 도어들을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센서에서 감지된 외기온도가 이전에 비해 상승하는 조건일 시에, 상기 공조장치 제어에 실제 반영되는 외기온도값을,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센서의 외기온도가 상승하는 조건일 시에, 상기 공조장치 제어에 실제 반영되는 외기온도값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이전에 반영된 외기온도에 대해 미리 설정된 온도만큼 씩만 상승하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센서의 외기온도가 상승하는 조건일 시에, 상기 외기센서의 외기온도 감지 시점에서부터 설정시간을 지연시킨 후, 이전에 반영된 외기온도에 대해 설정온도만큼 상승된 온도를 현재의 외기온도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외기온도를 상기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센서의 외기온도가 상승하는 조건일 시에, 상기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되는 외기온도값을 설정시간 간격으로 설정온도만큼 씩만 상승시키되, 설정온도만큼 상승한 외기온도값을 미리 설정된 필터링 로직으로 2차 필터링하여,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센서에서 감지된 외기온도가 이전에 비해 하강하는 조건일 시에, 상기 외기센서에서 감지된 외기온도를 상기 공조장치 제어에 직접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센서의 외기온도가 하강하는 조건일 시에, 상기 외기센서의 외기온도를 공조장치 제어에 직접 실시간으로 반영하되, 미리 내장된 필터링 로직으로 필터링하여, 상기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외기센서의 외기온도가 상승하는 조건일 시에,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되는 "외기온도값"을, 미리 설정된 로직으로 제한하는 구조이므로, "저차속"조건에서 엔진열의 영향으로 외기센서에 감지오류가 발생할 경우, 발생된 외기온도의 감지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차속"조건에서 엔진열의 영향에 의해 발생된 외기센서의 감지오류를 최소화하는 구조이므로, "저차속"조건에서 엔진열의 영향에 의해 발생된 외기센서의 감지오류가 공조장치 제어에 직접적으로 반영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차속"조건과 엔진열의 영향에 의해 발생된 외기센서의 감지오류가 공조장치 제어에 직접적으로 반영되지 않게 하므로, 외기온도의 감지오류로 인한 공조장치의 작동오류와, 그로 인한 차실내의 쾌적성 저하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차속"조건에서 엔진열의 영향으로 외기센서에 감지오류가 발생할 경우라도, 미리 설정된 로직을 통해 외기온도 감지오류를 최소화시키고, 이를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하는 구조이므로, "저차속" 조건에서 외기센서의 외기온도를 무시하여, "저차속" 조건에서 실질적인 외기온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할 수 없는 종래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종래에는 "저차속"조건일 시에는, 외기센서의 외기온도를 무시하여, 실질적인 "온도 상승"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은 "저차속"조건에서 엔진열의 영향으로 외기센서에 감지오류가 발생할 경우라도, 미리 설정된 로직을 통해 외기온도 감지오류를 최소화시켜,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하므로, "저차속"과 엔진열에 구애받지 않고 실질적인 외기온도 변화를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할 수 있고, 이로써, 공조장치의 제어 정확도를 높여 차실내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차속"에서 "고차속"으로의 진입 시에, 엔진열 의 영향으로 외기센서에 감지오류가 발생할 경우라도, 외기온도 감지오류를 최소화시켜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하므로, "저차속"에서 "고차속"으로의 진입 시에, "기준 지연시간"을 지연시킨 후, 외기센서의 외기온도를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하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저차속"에서 "고차속"으로의 진입 시에, "기준 지연시간"없이 실질적인 외기온도 변화를 공조장치 제어에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차속"에서 "고차속"으로의 진입 시에, "기준 지연시간"없이 실질적인 외기온도 변화를 공조장치 제어에 즉각 반영할 수 있으므로, "저차속"에서 "고차속"으로의 진입 시에, 차속과 엔진열에 관계없이 공조장치의 제어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외기센서의 외기온도를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하기 위해 필터링하는 사례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자동제어방식의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자동제어방식의 공조장치는, 외기센서(1)와 인카센서(3)와 일사센서(5) 등을 통해 "외기온도"와 "내기온도"와 "일사량" 등이 감지되면, 감지된 각각의 데이터들을 제어부(7)가 처리하여 최적의 "제어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최적의 "제어값"에 따라 에어컨(9)과 히터(11)와 템프도어(13)와 인테이크 도어(15)와 모드 도어(17) 등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차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와 풍량과 토출방향 등을, 차실내외의 온도 조건에 맞춰 자동으로 조절한다. 이로써, 차실내의 온도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제어부(7)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7)는, 비교부(7a)를 구비한다.
비교부(7a)는, 외기센서(1)로부터 외기온도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입력되면, 현재 입력된 외기온도가, 미리 설정된 시간 전에 입력된 이전의 외기온도에 비해 상승하였는지 또는 하강하였는지를 비교 판단한다.
한편, 제어부(7)는, 비교부(7a)에서의 비교 결과, 외기센서(1)로부터 입력된 현재의 외기온도가, 이전의 외기온도에 비해 상승하는 조건인 것으로 나타나면, 상기 외기센서(1)에서 입력된 현재의 외기온도를 공조장치 제어에 곧바로 반영하지 않는다.
대신에,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 입력 시점에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α)을 지연시킨 후,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되는 외기온도 상승을 미리 설정된 온도(β) 만큼 제한하도록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센서(1)로부터 입력된 현재의 외기온도가 상승하는 조건(A)인 것으로 나타나면, 제어부(7)는,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 입력 시점에서부터 설정시간(α) 지연시킨다. 예를 들면, "10초"를 지연시킨다.
그리고 "10초" 지연 후, 제어부(7)는,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되는 외기온도를 상승시키되, 상승된 외기온도를 설정온도(β)만큼, 예를 들면, "0.5℃"만큼 제한한다.
따라서, 외기센서(1)로부터 감지된 외기온도 데이터가 급격하게 상승하더라도, 공조장치 제어에 실제 반영되는 "외기온도값"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시간(α)(10초) 간격으로, 이전에 반영된 외기온도에 대해 설정온도(β)(0.5℃)만큼 씩만 상승하도록 제한한다.
이로써, 엔진열 등과 같은 영향으로 외기센서(1)에 감지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발생한 외기온도의 감지오류가 공조장치에 직접적으로 반영되지 않게 한다.
특히, "저차속"으로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엔진열 등과 같은 영향으로 외기센서(1)에 감지오류가 발생할 경우, 발생된 외기온도의 감지오류가 공조장치 제어에 직접적으로 반영되지 않게 한다.
그 결과, 외기온도의 감지오류로 인한 공조장치의 작동오류와, 그로 인한 차실내의 쾌적성 저하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차속"으로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엔진열 등과 같은 영향으로 외기센서(1)에 감지오류가 발생할 경우라도, 위에서와 같이, 공조장치에 대한 외기온도의 반영시간과 상승정도를 지연 및 제한하여 외기온도 감지오류를 최소화시키고, 이를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과 같이, "저차속" 조건에서 외기센서(1)에서 감지된 외기온도 데이터를 무시하여, "저차속" 조건에서 실질적인 외기온도가 있더라도, 이를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할 수 없는 구조와는 달리, 저차속 조건에서 실질적인 외기온도 변화가 있을 시에, 이를 공조장치 제어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특히, 여름철, 지하주차장의 차량을 지상으로 주행시키는 과정에서 차속이 저차속일 경우, 종래에는 외기센서(1)에서 감지된 외기온도 데이터를 무시하여, 지하주차장과 지상과의 실질적인 "온도 상승"을 반영할 수 없는데 반해, 본 발명은 "저차속"으로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엔진열 등과 같은 영향으로 외기센서(1)에 감지오류가 발생할 경우라도, 공조장치에 대한 외기온도의 반영시간과 상승정도를 지연 및 제한하여 외기온도 감지오류를 최소화시키고, 이를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한다.
따라서, "저차속"과 엔진열이 외기온도 감지에 영향을 끼침에도 불구하고 공조장치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고, 이로써, 차실내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은, "저차속"에서 "고차속"으로의 진입 시에, 엔진열 등과 같은 영향으로 외기센서(1)에 감지오류가 발생할 경우라도, 상기와 같은 로직을 통해, 외기온도 감지오류를 최소화시키고, 이를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저차속"에서 "고차속"으로의 진입 시에, "기준 지연시간"을 지연시킨 후,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를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하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저차속"에서 "고차속"으로의 진입 시에, "기준 지연시간"없이 실질적인 외기온도 변화를 공조장치 제어에 즉각 반영할 수 있다.
이로써, "저차속"에서 "고차속"으로의 진입 시에, 공조장치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7)는,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 상승(A) 시에,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되는 "외기온도값"을 설정시간(α) 간격으로, 설정온도(β)만큼 씩만 상승시키되, 설정온도(β)만큼 상승한 "외기온도값"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필터링 로직"으로 처리한 후, 필터링 처리한 외기온도값을 공조장치 제어에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어부(7)는,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 상승(A) 시에,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되는 "외기온도값"을 설정시간(α) 간격으로, 설정온도(β)만큼 씩만 상승시킴으로써,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를 1차로 필터링한 다음, 1차 필터링한 "외기온도값"을 미리 설정된 "필터링 로직"으로 2차로 필터링한 후, 2차로 필터링 처리한 온도값을 가지고 공조장치 제어에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를 1,2차에 걸쳐 필터링함으로써,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 감지오류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어부(7)에 내장된 "필터링 로직"은, 이전의 반영된 외기온도와, 새롭게 감지된 외기온도를 특정 비율로 감안한 계산식으로서, 이전의 반영된 외기온도와, 새롭게 감지된 외기온도를 감안하여 최적의 외기온도를 산출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비교부(7a)에서의 비교 결과, 외기센서(1)로부터 입력된 현재의 외기온도가, 이전의 외기온도에 비해 하강하는 조건인 것으로 나타나면, 상기 제어부(7)는, 외기센서(1)에서 입력된 현재의 외기온도를 공조장치 제어에 직접 실시간으로 반영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센서(1)로부터 입력된 현재의 외기온도가 하강하는 조건(B)인 것으로 나타나면, 제어부(7)는, 외기온도의 상승 조건(A)과 달리, 외기온도 반영시간 지연과 제한없이, 외기센서(1)로부터 입력된 현재의 외기온도를 공조장치 제어에 직접 실시간으로 반영한다.
따라서, 외기센서(1)에서 감지된 외기온도 대로 공조장치가 제어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어부(7)는,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 하강(B) 시에, 외기센서(1)에서 감지된 외기온도를 공조장치 제어에 직접 실시간으로 반영하되, 내장된 "필터링 로직"으로 필터링한 후, 필터링한 온도값을 가지고 공조장치 제어에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와 도 2를 참조하면, 공조장치가 온(ON)된 상태에서(S101), 외기센서(1)에서 감지된 외기온도가 이전에 감지된 외기온도에 비해 상승하는 조건인지를 판단한다(S103).
판단 결과, 외기센서(1)에 감지된 외기온도가, 상승하는 조건이면, 제어부(7)는,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 입력 시점에서부터 설정시간(α)(10초)을 지연시킨 후, 이전에 반영된 외기온도에 대해 설정온도(β)(0.5℃)만큼 상승된 온도를 현재의"외기온도"로 1차 필터링한다(S105).
그리고 "외기온도"의 1차 필터링이 완료되면, 제어부(7)는, 1차 필터링된 "외기온도"를 미리 설정된 필터링 로직으로 2차로 필터링한 후(S107), 2차로 필터링 처리한 "외기온도값"을 가지고 공조장치를 제어한다(S109).
한편, (S103)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외기센서(1)에서 감지된 외기온도가 상승하는 조건이 아니면(S103-1), 제어부(7)는, 외기센서(1)에서 감지된 외기온도가 이전에 감지된 외기온도에 비해 하강하는 조건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111).
판단 결과, 외기센서(1)에 감지된 외기온도가, 하강하는 조건이면, 제어부(7)는, 외기센서(1)에서 감지된 외기온도를 내장된 "필터링 로직"으로 필터링한다(S113).
그리고 "필터링 로직"을 통한 외기온도의 필터링이 완료되면, 제어부(7)는, 필터링한 "외기온도값"을 가지고 공조장치를 제어한다(S115).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가 상승하는 조건일 시에,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되는 "외기온도값"을, 미리 설정된 로직으로 제한하는 구조이므로, "저차속"조건에서 엔진열의 영향으로 외기센서(1)에 감지오류가 발생할 경우, 발생된 외기온도의 감지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저차속"조건에서 엔진열의 영향에 의해 발생된 외기센서(1)의 감지오류를 최소화하는 구조이므로, "저차속"조건에서 엔진열의 영향에 의해 발생된 외기센서(1)의 감지오류가 공조장치 제어에 직접적으로 반영되지 않게 한다.
또한, "저차속"조건에서 엔진열의 영향에 의해 발생된 외기센서(1)에 감지오류가 공조장치 제어에 직접적으로 반영되지 않게 하므로, 외기온도의 감지오류로 인한 공조장치의 작동오류와, 그로 인한 차실내의 쾌적성 저하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차속"조건에서 엔진열의 영향으로 외기센서(1)에 감지오류가 발생할 경우라도, 미리 설정된 로직을 통해 외기온도 감지오류를 최소화시키고, 이를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하는 구조이므로, "저차속" 조건에서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를 무시하여, "저차속" 조건에서 실질적인 외기온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할 수 없는 종래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종래에는 "저차속"조건일 시에는,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를 무시하여, 실질적인 "온도 상승"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은 "저차속"조건에서 엔진열의 영향으로 외기센서(1)에 감지오류가 발생할 경우라도, 미리 설정된 로직을 통해 외기온도 감지오류를 최소화시켜,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하므로, "저차속"과 엔진열에 구애받지 않고 실질적인 외기온도 변화를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조장치의 제어 정확도를 높여 차실내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차속"에서 "고차속"으로의 진입 시에, 엔진열 의 영향으로 외기센서(1)에 감지오류가 발생할 경우라도, 외기온도 감지오류를 최소화시켜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하므로, "저차속"에서 "고차속"으로의 진입 시에, "기준 지연시간"을 지연시킨 후,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를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하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저차속"에서 "고차속"으로의 진입 시에, "기준 지연시간"없이 실질적인 외기온도 변화를 공조장치 제어에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저차속"에서 "고차속"으로의 진입 시에, "기준 지연시간"없이 실질적인 외기온도 변화를 공조장치 제어에 즉각 반영할 수 있으므로, "저차속"에서 "고차속"으로의 진입 시에, 차속과 엔진열에 관계없이 공조장치의 제어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 외기센서(Sensor) 3: 인카센서(In-car Sensor)
5: 일사센서 7: 제어부
7a: 비교부 9: 에어컨(Aircon)
11: 히터(Heater) 13: 템프도어(Temp. Door)
15: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 17: 모드 도어(Mode Door)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외기센서(1)에서 감지된 외기온도를 반영하여, 에어컨(9)과 히터(11)와 템프도어(13)와 인테이크 도어(15)와 모드 도어(17)들을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7)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외기센서(1)에서 감지된 외기온도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의 외기온도에 비해 상승하는 조건일 시에, 상기 공조장치 제어에 실제 반영되는 외기온도값을,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한하고,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가 상승하는 조건일 시에, 상기 공조장치 제어에 실제 반영되는 외기온도값을, 미리 설정된 시간(α) 간격으로, 이전에 반영된 외기온도에 대해 미리 설정된 온도(β)만큼 씩만 상승하도록 제한하며,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가 상승하는 조건일 시에, 상기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 감지 시점에서부터 설정시간(α)을 지연시킨 후, 이전에 반영된 외기온도에 대해 설정온도(β)만큼 상승된 온도를 현재의 외기온도로 1차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외기온도를 상기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하며,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가 상승하는 조건일 시에, 상기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되는 외기온도값을 설정시간(α) 간격으로 설정온도(β)만큼 씩만 상승시키되, 설정온도(β)만큼 상승한 외기온도값을 이전의 반영된 외기온도와 특정 비율로 감안한 계산식으로 2차 필터링하여,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외기센서(1)에서 감지된 외기온도가 이전에 비해 하강하는 조건일 시에, 상기 외기센서(1)에서 감지된 외기온도를 상기 공조장치 제어에 직접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가 하강하는 조건일 시에, 상기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를 공조장치 제어에 직접 실시간으로 반영하되, 이전의 반영된 외기온도와 특정 비율로 감안한 계산식으로 필터링하여, 상기 공조장치 제어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에 내장된 설정시간(α)은 10초이고, 설정온도(β)는 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80166906A 2018-12-21 2018-12-21 차량용 공조장치 KR102619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906A KR102619397B1 (ko) 2018-12-21 2018-12-21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906A KR102619397B1 (ko) 2018-12-21 2018-12-21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735A KR20200077735A (ko) 2020-07-01
KR102619397B1 true KR102619397B1 (ko) 2023-12-29

Family

ID=7160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906A KR102619397B1 (ko) 2018-12-21 2018-12-21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39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6427A (ja) * 1993-01-13 1994-07-26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制御装置
KR19980038825A (ko) * 1996-11-26 1998-08-17 배순훈 외기온 센서의 입력 필터링 방법
KR20170035395A (ko) * 2015-09-22 2017-03-3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735A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71713B (zh) 基于内置温度检测单元的汽车自动空调控制方法及控制器
US200700339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climate control system
KR10261939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9549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035395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39434B1 (ko) 차량용 ir센서 고장 진단장치
KR101427231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KR10206051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6629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1190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9012958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036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61940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5368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60031242A (ko) 차량용 컨트롤러의 외기온도 표시방법
KR100356203B1 (ko) 자동차용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
US20170190234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JP2002165487A (ja) モータ位置検出装置およびモータ制御装置
KR101020928B1 (ko) 차량 속도를 반영하는 외기 온도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2613356B1 (ko) 차량의 블로어 제어방법
KR1022943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10091128A (ko) 자동 온도조절장치의 외기온 인식방법
KR1023379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7405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30049377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