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203B1 - 열감지 대응 기능의 배전반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감지 대응 기능의 배전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203B1
KR102619203B1 KR1020230140770A KR20230140770A KR102619203B1 KR 102619203 B1 KR102619203 B1 KR 102619203B1 KR 1020230140770 A KR1020230140770 A KR 1020230140770A KR 20230140770 A KR20230140770 A KR 20230140770A KR 102619203 B1 KR102619203 B1 KR 102619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emergency
unit
processing uni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종희
Original Assignee
(주)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성 filed Critical (주)거성
Priority to KR1020230140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05B15/656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whereby the flow conduit length is chang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pray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반 내부에 구비된 전력설비에 의해 비상상황이 발생되면, 비상상황이 발생된 위치로 냉기 또는 소화액을 분사시킬 수 있는 열감지 대응 기능의 배전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시스템은, 상단면, 하단면, 제1 측면, 제2 측면 및 배면을 가지며, 전력설비가 구비되는 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정면을 커버하는 도어; 상기 케이스의 상단면, 하단면, 제1 측면, 제2 측면 및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비상처리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전력설비에서 발생되는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비상처리부로 공급될 냉기 및 소화액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분석한 결과, 비상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비상처리부를 비상상황이 발생된 비상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비상처리부가 상기 저장부로부터 공급된 냉기 또는 소화액을 상기 비상위치로 분사하도록 상기 비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감지 대응 기능의 배전반 시스템{Distributing board system with high-temperature response function}
본 발명은 내부 전력설비의 과열 및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에 능동적으로 자체 조치할 수 있는 열감지 대응 기능의 배전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배전반 운용시, 배전반 내의 전력설비의 부품들의 자체 결함, 전력설비의 각 전선 및 접점 결함 등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적 요인과 외부 충격, 지진, 비바람, 태풍과 같은 외부적 요인, 배전반 설치자의 설치 미숙, 전력설비의 지속적인 사용에 의한 성능 저하 등에 의해, 전력설비의 특정 부품이 과열되거나 특정 부품의 절연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과열, 쇼트 및 단전 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종래의 배전반은 열감지 카메라나 열화상 카메라 등에 의해 감지된 이상 고온 및 이상 과열과 같은 비상상황을 모니터링하여, 비상상황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비상상황 정보를 수신한 관리자는 비상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각종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설비에 의한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배전반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순히 비상상황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수동적인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비상상황 정보를 즉시 확인하지 못하거나, 관리자가 비상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조치를 즉각적으로 취하지 못하면, 화재 등의 대형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1. 등록특허 10-1964898호 : 열화상을 이용한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기록매체 2. 등록특허 10-2555156호 : 고정 열화상 카메라와 이동 열화상 카메라에 기반한 수배전반용 열화상 감시 진단 시스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반 내부에 구비된 전력설비에 의해 과열 및 화재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되면, 비상상황이 발생된 위치로 냉기 또는 특수 소화액을 분사시켜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열감지 대응 기능의 배전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시스템은, 상단면, 하단면, 제1 측면, 제2 측면 및 배면을 가지며, 전력설비가 구비되는 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정면을 커버하는 도어; 상기 케이스의 상단면, 하단면, 제1 측면, 제2 측면 및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비상처리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전력설비에서 발생되는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비상처리부로 공급될 냉기 및 소화액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분석한 결과, 비상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비상처리부를 비상상황이 발생된 비상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비상처리부가 상기 저장부로부터 공급된 냉기 또는 소화액을 상기 비상위치로 분사하도록 상기 비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배전반 내부에 장착된 전력설비의 비정상 구동에 의한 이상 고온 및 이상 과열, 그리고, 전력설비 배선의 쇼트에 의한 화재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 조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전반 내부의 전력설비가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반 내부에서 과열, 고온, 화재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되면, 비상상황이 발생된 위치로 분사기를 이동시켜 분사기를 통해 냉기 또는 특수 소화액을 분사시켜 비상상황이 발생된 위치의 온도를 하강시킴으로써, 단전, 감전 및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설비에 의한 사고가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투입되는 관리자의 노동력 및 작업 시간이 절감될 수 있고, 관리자의 업무가 경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상의 배전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분사기가 배전반의 상하좌우, 배면 모두 장착될 수 있으며, 가장 가까운 해당 분사기가 신속하게 비상상황이 발생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비상상황에 대한 대응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설비의 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 질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비상위치가 단수개가 아닌 복수개로 여러 군데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하게 될 시, 각 비상상황 처리부를 이동시켜 동시 대응을 통해 다수의 비상상황을 동시에 진압하는 데에 있어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전반 시스템의 케이스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x축 지지부 및 제1 x축 이동부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전반 시스템의 케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210), 하단면(220), 제1 측면(230), 제2 측면(240) 및 배면(250)을 가지며, 전력설비(600)가 구비되는 공간을 갖는 케이스(200), 상기 케이스의 정면을 커버하는 도어(900), 상기 케이스의 상단면, 하단면, 제1 측면, 제2 측면 및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비상처리부(110, 120, 130, 140),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전력설비에서 발생되는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700), 상기 비상처리부로 공급될 냉기 및 소화액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500), 및 상기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분석한 결과, 비상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비상처리부를 비상상황이 발생된 비상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비상처리부가 상기 저장부로부터 공급된 냉기 또는 소화액을 상기 비상위치로 분사하도록 상기 비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우선,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에는 전력설비(600)가 구비된다. 전력설비는 변압기, 개폐기, 차단기, 전선 및 스위치, 각종 접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에 구비된 전력설비(600)는 외부로부터 전송된 전력을 다양한 크기의 전력으로 변환시켜 분전반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케이스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를 구성하는 상단면(210), 하단면(220), 제1 측면(230), 제2 측면(240) 및 배면(25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비상처리부(110 to 140)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 케이스의 정면은 오픈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정면은 도어(9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즉, 케이스의 정면에는 케이스의 정면을 개폐시킬 수 있는 도어(900)가 장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케이스의 상단면, 하단면, 제1 측면, 제2 측면 및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비상처리부(110, 120, 130, 140)가 장착될 수 있다.
비상처리부는 전력설비(600)가 다양한 원인에 의해 과열되거나 쇼트되어, 케이스 내부에서 화재 또는 연기 등이 발생될 때, 화재 또는 연기가 발생된 지점에 냉기 또는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때의 소화액은 내부 절연 및 전기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특수 소화액이 준비된다.
다음,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전력설비에서 발생되는 비상상황을 감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700)가 케이스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을 감지하는 센서,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 및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가 케이스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은 화재 및 연기 등의 발생을 감지하기 위해 현재 이용되는 다양한 종류이 센서들에서 선택될 수 있다.
다음, 저장부(500)는 상기 비상처리부로 공급될 냉기 및 소화액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냉기는 과열된 전력설비에 분사되어 과열된 전력설비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 및 쇼트 등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고, 과열 및 고온 상태의 전력설비를 정상 온도로 복원시킨다.
소화액은 화재가 발생된 전력설비에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분석한 결과, 비상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비상처리부를 비상상황이 발생된 비상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비상처리부가 상기 저장부로부터 공급된 냉기 또는 소화액을 상기 비상위치로 분사하도록 상기 비상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비상상황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화재, 연기 및 과열 들이 발생된 상황을 의미한다.
비상위치는 비상상황이 발생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비상위치는 전력설비 중 화재가 발생된 위치가 될 수 있고, 전력설비 중 연기가 발생된 위치가 될 수 있으며, 전력설비 중 온도가 급격하게 증가된 위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시스템에 적용되는 비상처리부의 다양한 예들이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x축 지지부 및 제1 x축 이동부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비상처리부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상단면(210), 하단면(220), 제1 측면(230), 제2 측면(240) 및 배면(250)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단면(210)에 인접된 위치에 장착된 비상처리부는 제1 비상처리부(110)라 하고, 하단면에 인접된 위치에 장착되는 비상처리부는 제2 비상처리부라 하고, 제1 측면에 인접된 위치에 장착되는 비상처리부는 제3 비상처리부라 하고, 제2 측면에 인접된 위치에 장착되는 비상처리부는 제4 비상처리부라 하며, 배면에 인접된 위치에 장착되는 비상처리부는 제5 비상처리부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단면(220)에 인접된 위치에 장착되는 제1 비상처리부는(11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측면에 인접되게 구비되며, 상기 상단면,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는 제1a y축 랙기어(111a), 상기 제2 측면에 인접되게 구비되며, 상기 상단면,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는 제1b y축 랙기어(111b), 상기 제1a y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제1a y축 피니언 이동기어(112a), 상기 제1b y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제1b y축 피니언 이동기어(112b), 상기 제1a y축 피니언 이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a y축 구동부(113a), 상기 제1b y축 피니언 이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b y축 구동부(113b), 상기 제1a y축 랙기어(111a)와 상기 제1b y축 랙기어(111b)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a y축 구동부(113a)와 상기 제1b y축 구동부(113b)가 장착되는 제1 x축 지지부(114), 상기 제1 x축 지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a y축 구동부와 상기 제1b y축 구동부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1 x축 이동부(116), 상기 제1 x축 이동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기 또는 소화액을 배출하는 스위칭기(117), 및 상기 스위칭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냉기 또는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기(1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y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정면(또는 도어(900))으로부터 배면(250)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x축은 제1 측면(230)으로부터 제2 측면(240)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z축은 상단면(210)으로부터 하단면(220)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우선, 제1a y축 랙기어(111a)는 상기 제1 측면에 인접된 위치에서, 상기 상단면,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제1a y축 랙기어(111a)는 케이스의 정면과 배면(250) 사이에 장착되며, 특히, 제1 측면에 인접된 위치에 장착된다.
제1a y축 랙기어(111a)의 상단면에는 제1a y축 피니언 이동기어(112a)와 맞물리는 기어들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제1b y축 랙기어(111b)는 상기 제2 측면에 인접되게 구비되며, 상기 상단면,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제1b y축 랙기어(111b)는 케이스의 정면과 배면(250) 사이에 장착되며, 특히, 제2 측면에 인접된 위치에 장착된다.
제1b y축 랙기어(111b)의 상단면에는 제1b y축 피니언 이동기어(112b)와 맞물리는 기어들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제1a y축 피니언 이동기어(112a)는 상기 제1a y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되도록, 제1a y축 랙기어의 상단면에 구비된다.
다음, 제1b y축 피니언 이동기어(112b)는 상기 제1b y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되도록, 제1b y축 랙기어의 상단면에 구비된다.
다음, 제1a y축 구동부(113a)는 상기 제1a y축 피니언 이동기어를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제1a y축 구동부(113a)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제1a y축 피니언 이동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a y축 피니언 이동기어는 y축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다음, 제1b y축 구동부(113b)는 상기 제1b y축 피니언 이동기어를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제1b y축 구동부(113b)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제1b y축 피니언 이동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b y축 피니언 이동기어는 y축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다음, 제1 x축 지지부(114)는 상기 제1a y축 랙기어와 상기 제1b y축 랙기어 사이에 구비된다. 제1 x축 지지부(114)에는 상기 제1a y축 구동부(113a)와 상기 제1b y축 구동부(113b)가 장착된다.
즉, 제1 x축 지지부(114)는 y축 방향과 수직한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스위칭기(117)는 상기 제1 x축 이동부(116)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기 또는 소화액을 배출할 수 있다.
다음, 분사기(118)는 상기 스위칭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냉기 또는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다.
즉, 제1 비상처리부는, 냉기 또는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기(118)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기 또는 소화액을 상기 분사기로 공급하는 스위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1 x축 이동부(116)는 상기 제1 x축 지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a y축 구동부와 상기 제1b y축 구동부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x축 이동부(116)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기(117)가 장착된 본체(116a), 상기 본체의 제1 측면에 장착되는 제1a x축 피니언 이동기어(116b), 상기 본체의 제2 측면에 장착되는 제1b x축 피니언 이동기어(116c), 및 상기 제1a x축 피니언 이동기어(116b)와 상기 제1b x축 피니언 이동기어(116c)를 회전시키는 제1 x축 구동부(116d)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a x축 피니언 이동기어는 상기 제1 x축 지지부에 x축 방향으로 구비된 제1a x축 랙기어(115a)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b x축 피니언 이동기어는 상기 제1 x축 지지부에 x축 방향으로구비된 제1b x축 랙기어(115b)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분사기(118)는 상기 제1a x축 랙기어 및 상기 제1b x축 랙기어 사이의 홀(115c)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단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분사기(118)는 상기 스위칭기와 연결된 실린더부(118a) 및 상기 실린더부 끝단에 장착된 헤더(118b)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y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의 실린더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헤더에는 상기 냉기 또는 소화액이 분사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헤더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더(118b)는 구형으로 360도 회전가능하게 지지 구비되어 360도 다양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는 헤더홀을 통해 사방으로 분사가능하게 설치된다.
적어도 두 개의 실린더들은 실린더 구동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실린더 구동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실린더들을 구동하여 실린더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더(118b)의 위치는 비상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비상처리부(110)의 동작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비상위치의 xyz 좌표를 산출한다.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분석한 결과, 비상상황이 발생되지 않았으며, 비상위치가 발생되지 않으며, 따라서, 제어부는 특별한 조취를 취하지 않는다.
즉, 제어부는 비상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비상위치의 xyz 좌표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센서(70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내부의 8곳에 장착되어 있고, 8개의 센서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분석한 결과 비상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비상상황이 발생된 센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비상위치의 xyz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비상위치의 xyz 좌표는 센서가 위치된 좌표에 대응될 수 있으며, 또는 센서가 감시하는 영역의 좌표에 대응될 수 있다.
다음, 제어부는 상기 분사기(118)의 끝단의 xyz 좌표가 상기 비상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비상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제1a y축 구동부(113a) 및 제1b y축 구동부(113b)를 구동하여, 제1 x축 이동부(116)를 y축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비상위치의 y좌표에 대응되는 위치로 분사기(118)의 끝단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a y축 구동부(113a) 및 제1b y축 구동부(113b)에 의해 제1a y축 피니언 이동기어(112a)와 제1b y축 피니언 이동기어(112b)가 상기 제1a y축 랙기어와 상기 제1b y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면, 제1 x축 지지부(114)가 제1a y축 피니언 이동기어(112a) 및 제1b y축 피니언 이동기어(112b)와 함께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x축 지지부에 구비된 제1 x축 이동부와 제1 x축 이동부에 장착된 분사기 역시 y좌표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 x축 구동부(116d)를 구동하여, 제1 x축 이동부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상위치의 x좌표에 대응되는 위치로 분사기(118)의 끝단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실린더 구동부를 구동하여 실린더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헤더(118b)의 위치는 비상위치의 z좌표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 제어부는 헤더가 비상위치의 xyz 좌표로 이동되면, 스위칭기(117)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냉기 또는 소화액은 저장부(500)로부터 플렉서블한 연결관(119)을 통해 스위칭기 및 분사기를 통해 비상위치로 분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비상상황의 특성에 따라 냉기 또는 소화액 중 어느 하나를 분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는 냉기를 저장하는 냉기 저장부 및 소화액을 저장하는 소화액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과열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스위칭기를 냉기 저장부에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냉기 저장부로부터 스위칭기 및 분사기를 통해 냉기가 비상위치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스위칭기를 소화액 저장부에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화액 저장부로부터 스위칭기 및 분사기를 통해 소화액이 비상위치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비상조치에 의해, 화재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으며, 보다 큰 화재 및 폭발 등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는 비상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기 설정되어 있는 관리자의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로 비상상황이 발생되었다는 정보(비상상황 발생정보라 함)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비상조치는 비상상황 발생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동작과는 별도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비상상황 발생정보를 즉시 확인하지 못하더라도, 상기한 바와 같은 비상조치는 정상적으로 자동 자체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비상상황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관리자에게 비상상황 종료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설비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정상온도 이하로 떨어지거나,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비상상황 종료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상황 발생정보를 확인 후 아직 현장에 방문하지 못한 관리자는 비상상황이 종료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후, 현장에 직접 방문하여 비상조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제1 비상처리부(11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었으나,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내부에는 제1 비상처리부(110) 이외에도 제2 비상처리부 내지 제5 비상상황 처리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제1 비상처리부(110) 내지 제5 비상상황 처리부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해당 비상위치에 가장 근접한 비상처리부가 신속하게 이동하여 비상상황을 제압하고 종료할 수 있도록 처리 대응할 비상위치에 할당되어 각각 배정되도록 구비된다.
즉, 배전반 내에서 상하좌우와 배면 위치 중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제1 비상처리부(110) 내지 제5 비상상황 처리부 중 센서에 의해 얻어진 비상위치의 해당 좌표에 가장 가까운 비상상황 처리부가 이동되어 과열, 고온 및 화재 등의 상황을 민첩하고 신속하게 진압하게 된다. 제1 비상처리부(110) 내지 제5 비상상황 처리부가 모두 구비되는 실시예는 비상위치가 단수개가 아닌 복수개로 여러 군데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하게 될 시, 여러 각 비상상황 처리부를 이동시켜 동시 대응을 통해 여러 다수의 비상상황을 동시에 진압하는 데에 있어 매우 유용하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하단면에 인접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 비상처리부(120)의 구조 및 동작방법은 케이스의 상단면에 인접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1 비상처리부(110)의 구조 및 동작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의 하단면에 인접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 비상처리부(120)는, 상기 제1 측면에 인접되게 구비되며, 상기 하단면,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는 제2a y축 랙기어, 상기 제2 측면에 인접되게 구비되며, 상기 하단면,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는 제2b y축 랙기어, 상기 제2a y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제2a y축 피니언 이동기어, 상기 제2b y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제2b y축 피니언 이동기어, 상기 제2a y축 피니언 이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a y축 구동부, 상기 제2b y축 피니언 이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b y축 구동부, 상기 제2a y축 랙기어 및 상기 제2b y축 랙기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a y축 구동부 및 상기 제2b y축 구동부가 장착되는 제2 x축 지지부, 상기 제2 x축 지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a y축 구동부 및 상기 제2b y축 구동부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2 x축 이동부, 상기 제2 x축 이동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기 또는 소화액을 배출하는 스위칭기, 및 상기 스위칭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냉기 또는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x축 이동부는, 상기 스위칭기가 장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제1 측면에 장착되는 제2 x축 피니언 이동기어, 상기 본체의 제2 측면에 장착되는 제2 x축 피니언 이동기어, 및 상기 제2a x축 피니언 이동기어와 상기 제2b x축 피니언 이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 x축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a x축 피니언 이동기어는 상기 제2 x축 지지부에 x축 방향으로 구비된 제2a x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2b x축 피니언 이동기어는 상기 제2 x축 지지부에 x축 방향으로구비된 제2b x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분사기는 상기 제2a x축 랙기어 및 상기 제2b x축 랙기어 사이의 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단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제1 측면, 제2 측면 및 배면에 구비되는 제3 비상처리부(130), 제4 비상처리부(140) 및 제5 비상처리부의 구조 및 동작방법은 제1 비상처리부(110)의 구조 및 동작방법과 동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의 제1 측면에 인접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3 비상처리부(130)는, 상기 정면에 인접되게 구비되며, 상기 상단면, 상기 하단면,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는 제3a z축 랙기어, 상기 배면에 인접되게 구비되며, 상기 상단면, 상기 하단면,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는 제3b z축 랙기어, 상기 제3a z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제3a z축 피니언 이동기어, 상기 제3b z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제3b z축 피니언 이동기어, 상기 제3a z축 피니언 이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3a z축 구동부, 상기 제3b z축 피니언 이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3b z축 구동부, 상기 제3a z축 랙기어 및 상기 제3b z축 랙기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3a z축 구동부 및 상기 제3b z축 구동부가 장착되는 제3 y축 지지부, 상기 제3 y축 지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3a z축 구동부 및 상기 제3b z축 구동부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3 y축 이동부, 상기 제3 y축 이동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기 또는 소화액을 배출하는 스위칭기, 및 상기 스위칭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냉기 또는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y축 이동부는, 상기 스위칭기가 장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제1 측면에 장착되는 제3 y축 피니언 이동기어, 상기 본체의 제2 측면에 장착되는 제3 y축 피니언 이동기어, 및 상기 제3a y축 피니언 이동기어와 상기 제3b y축 피니언 이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 y축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a y축 피니언 이동기어는 상기 제3 y축 지지부에 y축 방향으로 구비된 제3a y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3b y축 피니언 이동기어는 상기 제3 y축 지지부에 y축 방향으로구비된 제3b y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분사기는 상기 제3a y축 랙기어 및 상기 제3b y축 랙기어 사이의 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단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제2 측면에 인접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4 비상처리부(140)는, 상기 정면에 인접되게 구비되며, 상기 상단면, 상기 하단면,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는 제4a z축 랙기어, 상기 배면에 인접되게 구비되며, 상기 상단면, 상기 하단면,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는 제4b z축 랙기어, 상기 제4a z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제4a z축 피니언 이동기어, 상기 제4b z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제4b z축 피니언 이동기어, 상기 제4a z축 피니언 이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4a z축 구동부, 상기 제4b z축 피니언 이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4b z축 구동부, 상기 제4a z축 랙기어 및 상기 제4 z축 랙기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4a z축 구동부 및 상기 제4b z축 구동부가 장착되는 제4 y축 지지부, 상기 제4 y축 지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4a z축 구동부 및 상기 제4b z축 구동부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4 y축 이동부, 상기 제4 y축 이동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기 또는 소화액을 배출하는 스위칭기, 및 상기 스위칭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냉기 또는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4 y축 이동부는, 상기 스위칭기가 장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제1 측면에 장착되는 제4 y축 피니언 이동기어, 상기 본체의 제2 측면에 장착되는 제4 y축 피니언 이동기어, 및 상기 제4a y축 피니언 이동기어와 상기 제4b y축 피니언 이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4 y축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a y축 피니언 이동기어는 상기 제4 y축 지지부에 y축 방향으로 구비된 제4a y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4b y축 피니언 이동기어는 상기 제4 y축 지지부에 y축 방향으로구비된 제4b y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분사기는 상기 제4a y축 랙기어 및 상기 제4b y축 랙기어 사이의 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단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제3 비상처리부(130) 및 제4 비상처리부(140)의 위치에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분사기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3 비상처리부(130) 및 제4 비상처리부(140)의 구조는 제2 비상처리부(120)의 구조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배면에 인접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5 비상처리부는, 제3 비상처리부(130) 및 제4 비상처리부(140)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비상처리부는 비상상황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배전반 내부의 각 공간에 배정 할당되어 각 비상위치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고온 화재 등의 비상 상황에 신속하면서 동시에 대처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120. 130, 140: 비상처리부 200: 케이스
400: 제어부 500: 저장부
600: 전력설비 700: 센서
900: 도어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단면, 하단면, 제1 측면, 제2 측면 및 배면을 가지며, 전력설비가 구비되는 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정면을 커버하는 도어;
    상기 케이스의 상단면, 하단면, 제1 측면 및 제2 측면 및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비상처리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전력설비에서 발생되는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비상처리부로 공급될 냉기 및 소화액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분석한 결과, 비상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비상처리부를 비상상황이 발생된 비상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비상처리부가 상기 저장부로부터 공급된 냉기 또는 소화액을 상기 비상위치로 분사하도록 상기 비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비상처리부는,
    상기 냉기 또는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기;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기 또는 소화액을 상기 분사기로 공급하는 스위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비상위치의 xyz 좌표를 산출하며,
    상기 분사기의 끝단의 xyz 좌표가 상기 비상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비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상단면에 인접된 위치에 장착되는 제1 비상처리부는,
    상기 제1 측면에 인접되게 구비되며, 상기 상단면,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는 제1a y축 랙기어;
    상기 제2 측면에 인접되게 구비되며, 상기 상단면,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배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는 제1b y축 랙기어;
    상기 제1a y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제1a y축 피니언 이동기어;
    상기 제1b y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제1b y축 피니언 이동기어;
    상기 제1a y축 피니언 이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a y축 구동부;
    상기 제1b y축 피니언 이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b y축 구동부;
    상기 제1a y축 랙기어 및 상기 제1b y축 랙기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a y축 구동부 및 상기 제1b y축 구동부가 장착되는 제1 x축 지지부;
    상기 제1 x축 지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a y축 구동부 및 상기 제1b y축 구동부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1 x축 이동부;
    상기 제1 x축 이동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기 또는 소화액을 배출하는 스위칭기; 및
    상기 스위칭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냉기 또는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x축 이동부는,
    상기 스위칭기가 장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제1 측면에 장착되는 제1a x축 피니언 이동기어;
    상기 본체의 제2 측면에 장착되는 제1b x축 피니언 이동기어; 및
    상기 제1a x축 피니언 이동기어와 상기 제1b x축 피니언 이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 x축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a x축 피니언 이동기어는 상기 제1 x축 지지부에 x축 방향으로 구비된 제1a x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b x축 피니언 이동기어는 상기 제1 x축 지지부에 x축 방향으로구비된 제1b x축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분사기는 상기 제1a x축 랙기어 및 상기 제1b x축 랙기어 사이의 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단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분사기는 상기 스위칭기와 연결된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 끝단에 장착된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y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의 실린더들을 포함하며,
    상기 헤더에는 상기 냉기 또는 소화액이 분사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헤더홀이 형성되어 있는 열감지 대응 기능의 배전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처리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면, 하단면, 제1 측면 및 제2 측면 및 배면 모두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감지 대응 기능의 배전반 시스템.
KR1020230140770A 2023-10-19 2023-10-19 열감지 대응 기능의 배전반 시스템 KR102619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0770A KR102619203B1 (ko) 2023-10-19 2023-10-19 열감지 대응 기능의 배전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0770A KR102619203B1 (ko) 2023-10-19 2023-10-19 열감지 대응 기능의 배전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203B1 true KR102619203B1 (ko) 2023-12-29

Family

ID=89334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0770A KR102619203B1 (ko) 2023-10-19 2023-10-19 열감지 대응 기능의 배전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20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538B1 (ko) * 2015-11-19 2016-10-07 (주)효성파워택 수배전반의 화재 제어 장치
KR101868603B1 (ko) * 2017-01-19 2018-06-1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랙크식 창고 자동 소화 살수 시스템
KR101895975B1 (ko) * 2018-03-14 2018-09-06 (주)재원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화재감시와 진압시스템
KR101964898B1 (ko) 2018-02-21 2019-04-09 심완규 열화상을 이용한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기록매체
KR102531142B1 (ko) * 2022-09-19 2023-05-10 (주) 현우이엔씨 배전반 감전 사고 방지 및 화재 대응 시스템
KR102555156B1 (ko) 2022-12-13 2023-07-18 김대호 고정 열화상 카메라와 이동 열화상 카메라에 기반한 수배전반용 열화상 감시 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538B1 (ko) * 2015-11-19 2016-10-07 (주)효성파워택 수배전반의 화재 제어 장치
KR101868603B1 (ko) * 2017-01-19 2018-06-1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랙크식 창고 자동 소화 살수 시스템
KR101964898B1 (ko) 2018-02-21 2019-04-09 심완규 열화상을 이용한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기록매체
KR101895975B1 (ko) * 2018-03-14 2018-09-06 (주)재원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화재감시와 진압시스템
KR102531142B1 (ko) * 2022-09-19 2023-05-10 (주) 현우이엔씨 배전반 감전 사고 방지 및 화재 대응 시스템
KR102555156B1 (ko) 2022-12-13 2023-07-18 김대호 고정 열화상 카메라와 이동 열화상 카메라에 기반한 수배전반용 열화상 감시 진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538B1 (ko) 수배전반의 화재 제어 장치
KR101732436B1 (ko) 태양광발전장치와 에너지저장장치의 스마트 소방방재 시스템
KR102130997B1 (ko) 초고층 건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CN207822339U (zh) 一种全方位多功能智能可伸缩灭火器
JP2022539881A (ja) 耐熱消火ロボットおよびその作業方法
KR101625388B1 (ko) 수배전반의 화재 제어 장치
KR101833981B1 (ko) 수배전반의 스마트 소방방재 시스템
KR102619203B1 (ko) 열감지 대응 기능의 배전반 시스템
US10707869B2 (en) Insulated joystick
CN107275960A (zh) 一种电力故障应急专用机器人
FI13108Y1 (fi) Automaattinen jäähdytys- ja sammutusjärjestelmä
US10273132B2 (en) Isolated electronic backbone architecture for aerial devices
CN111367379A (zh) 一种计算机机箱灭火报警装置及其方法
CN113426051A (zh) 一种智能消防预警系统
JP2846993B2 (ja) 消火装置
KR102436651B1 (ko) 전기 화재 초기 소화 기능과 절연상태 감시가 가능한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102439182B1 (ko) 전기화재 초기 소화장치가 구비된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CN114991850A (zh) 火灾处理系统及隧道
JPH1088996A (ja) トンネル内消火ロボット
CN219440541U (zh) 压裂设备灭火系统及压裂设备
CN117767124B (zh) 一种具有防火监测的高低压配电柜
CN210898051U (zh) 一种温控的干粉自动灭火配电装备
CN113101567B (zh) 一种氢能源有轨电车氢动力系统升温监测装置及方法
KR102574350B1 (ko)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진압 시스템
KR20150084576A (ko) 화재 진압 비행 로봇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