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069B1 - 악기를 위한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 Google Patents

악기를 위한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069B1
KR102619069B1 KR1020227002171A KR20227002171A KR102619069B1 KR 102619069 B1 KR102619069 B1 KR 102619069B1 KR 1020227002171 A KR1020227002171 A KR 1020227002171A KR 20227002171 A KR20227002171 A KR 20227002171A KR 102619069 B1 KR102619069 B1 KR 102619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dovetail
block
shim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2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0983A (ko
Inventor
프레데릭 이. 그린
티모시 에이. 틸
라민 제이. 샤예간
데미안 비. 왈크
나탄 제이. 호프먼
Original Assignee
드레드너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레드너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드레드너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20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6Necks; Fingerboards, e.g. fret boar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6Necks; Fingerboards, e.g. fret boards
    • G10D3/095Details of removable or collapsible necks, e.g. suitable for transport or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부, 본체 및 프렛보드를 갖는 현악기를 위한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이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는, 목부 안으로 직접 들어가는 스크류를 피하면서, 스크류 조절 가능한 장력을 갖는 내부 도브테일을 이용한다.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에 의해, 접착제가 필요 없이, 프렛보드의 상부 레지스터에서 프렛 접근성이 극히 좋아지고(목부 상에 힐이 없기 때문에), 목부 높이 조절과 억양 교정이 더 쉬워지며 또한 핸드 릴리프를 갖는 특유의 전방 블럭 구성이 가능하다.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에 의해, 목부 상의 힐에 대한 필요 없이 실용적이고 심미적으로 보기 좋은 목부-본체 조인트가 얻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쉽게 조절 가능하고 서비스 가능한 목부-본체 조인트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악기를 위한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본 출원은 2020년 2월 20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16/796,010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미국 특허 출원은 2019년 6월 2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62/864,770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의 내용은 본 출원에 참조로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기타와 같은 현악기에 있는 목부 조인트, 더 구체적으로, 목부 조인트로 연결되는 악기의 목부와 본체 사이의 선형 조절 및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해주는 목부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음악은 우리의 일상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회의 조직으로 짜여져 있다. 많은 사람이 오락, 취미 또는 직업으로서 음악을 한다. 많은 종류의 악기 중의 하나인 현명(chordophone) 악기는, 2개의 지점 사이에서 신장되어 있는 진동 줄 또는 줄들을 통해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현명 악기, 특히, 현악기는 다용도적이고 상이한 장르의 음악에 적합하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인기가 매우 많다. 가장 인기 있는 현악기는, 음향적으로 소리를 내는 보통 기타 및 전기적 증폭을 통해 소리는 내는 전기 기타를 포함하여, 아마도 현대의 기타이다. 통상적인 보통 기타와 전기 기타는 본체 및 조인트를 통해 그 본체에 부착되는 목부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기다란 가요적인 줄이 프렛보드(fretboard)를 따라 본체와 목부의 원위 단부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원위" 또는 "원위 단부" 라는 용어는 사용자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되어 있는 표면의 일부분 또는 요소를 규정하기 위해 사용됨).
현악기에 사용되고 있는 3개의 일반적인 종류의 목부 조인트가 있다. "목부 관통" 악기는, 악기를 완전히 통과해 연장되고 거의 항상 제위치에 영구적으로 접착되는 목부를 갖는다. "세트-목부" 악기는 제위치에 영구적으로 접착되는 목부를 가지며, 본체가 목부와 만나는 테넌(tenon) 또는 도브테일 조인트를 갖는다. 이들 악기는 일반적으로 본체의 바로 앞에 있는 목부 힐을 가지며, 이 목부 힐은 아래로 본체의 후방부까지 연장되어 지지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목부가 본체와 겹치는 개구를 본체에서 갖는 "볼트-온" 악기가 있으며(스크류드-온이 실제로 더 정확할 것임), 목부를 본체에 연결하는 볼트(또는 스크류)가 그 개구에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악기에서, 목부 조인트는 견고하게 만들어져, 목부와 본체 사이의 움직임이 악기의 사용 중에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볼트는 느슨하게 될 수 있어, 목부가 본체로부터 제거되거나 그 본체에 재위치될 수 있다.
보통 기타는 전통적으로 세트-목부 악기이며, 본체의 바로 앞에 목부 힐이 있고 이 힐은 아래로 본체의 후방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본체에 인접하여 목부 아래에 있는 이 전방 돌출부는 연주 중에 프렛보드의 최고 영역에 대한 접근을 제한한다. 전기 기타는 통상적으로 세트-목부 악기 또는 볼트-온 악기이다. 통상적인 볼트-온 악기는 만들고 수리하기가 경제적이다. 기존 볼트-온 설계의 단점은, 조인트는 접척된 목부 보다 더 작은 측방 강성을 가지며, 본체의 근처에서 프렛보드의 전방부의 최고 영역에 대한 접근은 목부의 겹침부 아래에서 연장되어 있는 본체 부분에 의해 제한된다. 볼트-온 설계의 단점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통상적인 보통 기타 및 전기 기타는, 기타의 제조 및 조립 동안에 목부를 기타의 본체에 영구적으로 고정시킨다. 그러한 영구적인 고정 기구의 공통적인 단점은, 기타의 특징의 편리한 조절을 위해 목부는 본체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없다는 것이다.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기타의 주된 품질 특징은 음색(즉, 음량, 밝기, 균일성, 음조, 분리 등을 포함하는 악기의 들을 수 있는 특질), 연주 가능성(즉, 연주자의 기량에 대한 악기의 응답성), 및 내구성 또는 지속성(즉, 악기가 음색과 연주 가능성을 수년 및 수 십년에 걸쳐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다. 목부 조인트는 이들 3개의 기타 특징에 중요하다. 목부 조인트가 기타의 음색, 지속성 및 연주 가능성 특징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간략한 논의가 아래에 주어진다.
음색에 대해, 진동의 전달은 기타의 음색 또는 소리에 중요하다. 목부와 본체가 만나는 교차부(즉, 목부 조인트)는 일종의 "음파 교차로"를 형성한다. 그래서, 목부 조인트는 트레블, 베이스, 중간 범위, 밑음 및 모든 형태의 배음이 오프-램프(off-ramp)를 지나거나 취하는 기타 내의 소리 트래픽 패턴의 중요한 부분이다. 목부 조인트의 종류에 따라, 이 물리적 피동 필터링 시스템의 결과는 어느 정도 기타의 음색을 규정한다.
"지속성" 이라는 용어는 시간에 따른 음악적 소리의 척도를 의미한다. 더 구체적으로, 지속성은 기타의 소리가 들을 수 없게 될 때까지 계속되는 시간 기간을 말한다. 기타의 지속성은 기타 목부와 본체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기구에 의해 감소된다. 일반적으로, 목부와 기타의 본체 사이의 기계적 연결이 더 강성적일 수록 기타의 지속성은 더 길게 된다. 추가로, 목부와 기타의 본체 사이의 강성적인 기계적 연결이 기타에 의해 발생되는 음악 소리의 음색의 질과 일관성을 개선한다. 그러므로, 목부와 기타의 본체 사이의 실질적으로 강성적인 기계적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바람직함이, 오늘날 만들어진 기타의 대부분이 기타의 본체 안으로 타이트하게 끼워맞춤되고 접착되는 목부를 갖도록 만들어지는(즉, 세트-목부 기타) 이유를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연주 가능성을 고려한다. 줄이 목부 위쪽에 있는 거리는 현악기의 연주 가능성에 중요하다. 목부와 프렛보드에 대한 줄의 높이를 일반적으로 줄의 "작용" 이라고 한다. 전형적으로, 기타에 대한 요구되는 작용은 각 사용자의 개인 선호에 따른다. 어떤 음악가는 프렛보드와 줄 사이의 더 작은 거리 또는 "낮은" 작용을 선호하고, 다른 음악가는 높은 작용을 요구한다. 작용이 너무 높으면, 연주가 어렵고 불쾌하며 또한 극단적인 경우에는 반복적인 스트레스 부상을 야기할 수 있다. 작용이 너무 낮으면, 줄은 프렛 상에서 "윙윙 소리를 내거나" 실제로 프렛상에 안착되어, 악기가 일반적으로 연주 불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줄이 목부 위쪽에 있는 높이의 미세한 차이는 아마추어와 전문 음악가의 기량의 큰 차이를 비슷하게 할 수 있다. 작용에 대한 허용 가능한 범위는 상당히 작은데, 아마도 2.5 mm(1인치의 0.1) 등이다.
이러한 작은 범위를 고려하여, 기타는 목부 조인트에 대해 매우 정밀하게 만들어져야 하고 또한 줄 장력의 180 파운드 까지의 응력 하에서 시간 전체에 걸쳐 그 중요한 기하학적 구조를 유지해야 한다. 전통적인 기타에서, 악기의 작용은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설정되고 작용에 대한 변경은 유경험 기술자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더욱이, 전통적인 기타는 통상적으로 매우 제한된 운동 범위를 가지며, 악기의 작용에 대한 큰 변경은 악기의 본체 또는 목부의 구조를 수정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종류의 수정은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들 수 있고, 기타의 장기간 성능에 심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악기에 대한 작용을 빠르게 또한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해주는 악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러 공지된 현악기는 목부가 기타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악기의 작용을 변경한다. 이 악기는, 목부와 본체 사이의 각도가 증가되면 작용이 낮아지고 그 각도가 감소되면 작용은 높아지는 원리를 이용한다. 기타의 목부와 본체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면 작용은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다. 그러나, 본체에 대한 목부의 각도의 변경은 억양, 음색 특성 및 기타 줄의 스케일 길이에도 영향을 준다. 이들 설계의 단점은, 사용자는 기타의 억양과 소리를 변경하지 않고서는 목부의 작용을 조절할 수 없다는 것이다.
예컨대, 미국 특허 6,051,766에는, 가변적인 폭을 갖는 심(shim)을 기타 공동부(이 공동부에서 목부가 기타 본체에 고정됨) 안으로 배치하여 기타 본체에 대한 목부 각도가 변경되는 기타가 개시되어 있다. 다른 조절 가능한 목부는 미국 특허 6,265,648에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목부가 스프링 장착 클램핑 장치를 통해 기타 본체에 고정되며, 그 클램핑 장치는 본체에 대한 어떤 각도로 목부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피봇점이 된다. 이들 장치 중 어떤 것도 사용자가 본체에 대한 목부의 각도를 변경함이 없이 목부의 선형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해주지 못한다. 더욱이, '766 특허의 경우에, 사용자는 기타 줄의 작용을 조절하기 위해 기타 본체로부터 목부를 분해할 필요가 있다. 또한, '648 특허는 목부를 제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스프링의 편향력을 이용한다. 이 스프링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되어 목부를 불안정하게 할 수 있다.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힘은 또한 목부-본체 조인트에 상향력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 상향력은 기타의 다양한 구성품에 대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목부가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각도에 영향을 줌이 없이 선형 방향으로 숩게 조절될 수 있는 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성적인 기타 구조는 일반적으로 과도하게 무거운 경향이 있고 또한 음색을 악화시킬 수 있다. 더 가벼운 기타 구조는 소리를 더 잘 내는 경향이 있지만, 목부가 결국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위로 끌어 당겨져, 목부가 결국 리셋되어야 하고 그래서 결국 수백만 달러의 비싼 수리가 동반되는 정도로 줄의 작용이 변하게 되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기타의 음색, 연주 가능성 및 내구성 또는 지속성은 기본적으로 서로 상충되고 설계시에 종종 절충이 요구된다. 일부 현악기 제작자는 3가지 특성의 균형을 바람직한 것으로 본다.
현악기 제작자가 기타의 제작을 완료한 후에도, 사용자는 그 기타의 특성을 변경하고 싶어할 수 있다. 음악가는 종종 다양한 이유로 상이한 특성을 갖는 기타를 사용하고자 한다. 기타에 의해 발생되는 음색 또는 소리 뿐만 아니라 연주의 용이함과 편안함도 목부 조인트의 특성에 크게 의존한다. 현재, 기타의 특성을 변경하는 유일한 실용적인 방법은 상이한 구성(목부 조인트의 종류를 포함하여)을 갖는 다른 기타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이한 구성을 갖는 다수의 기타를 사용하는 것은, 비용 외에도, 보관 및 운반의 문제도 악화시킨다.
기타는 대개 목재로 만들어지고, 목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의 장력 하에서 그리고 매일의 습도 변화에 응하여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텍사스 휴스턴에 있는 편안하게 낮은 작용을 갖는 기타는 겨울 중에 미네소타 미네아폴리스로 이동된다면 충분히 수축될 수 있어, 일반적으로 연주 불가능 상태로 된다. 현악기 제작자는, 기타는 낮은 습도에서 얼마간의 시간을 보낼 수 있음을 예상해야 하고, 그래서 현악기는 모든 예측 가능한 상황 하에서도 연주 가능 상태로 유지되도록 충분히 높은 작용을 가져야 한다. 불행하게도, 습도가 더 높으면 작용은 일반적으로 최적화되지 않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기타는 통상적으로 현악기가 결국 저습도 환경을 경험할 가능성에 대해 바람직한 경우 보다 더 높은 작용을 갖는 경향이 있다. 줄의 장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목재 구조를 점점 변형시킴에 따라, 작용은 증가하고 점진적으로 더 악화될 수 있다. 음악가, 소유자, 기술자 또는 수리공 중의 누구에 의한 것인지는 관계 없이 현악기의 작용의 수정은 일반적으로 방해를 받게 되는데, 왜냐하면, 많은 기타는 줄 작용의 비교적 쉬운 조절의 범위를 제한하는 고정된 목부를 가지기 때문이다.
고정된 목부를 갖는 기타의 작용을 수정하고자는 한 방안은, 기타의 줄을 풀고 그런 다음에 새들(saddle)을 깎는 것이다. 새들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줄 작용에 실제적인 효과를 주기 위해서는 그 새들은 상당히 깎여야 한다. 추가로, 새들 높이의 조절은 문제를 일시적으로만 해결할 수 있다. 더욱이, 짧은 새들은 줄이 기타 본체의 정상 표면을 진동시키기 위해 갖는 레버리지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는데, 그래서 일반적으로 기타의 음색과 음량이 어느 정도 훼손된다.
더 종종, 음악가, 소유자, 기술자 또는 수리공은 트러스 로드를 조절하고자 한다. 트러스 로드는 일반적으로 너트가 단부에 위치되는 나사 로드로 이루어지며, 이 나사 로드는 다른 로드 또는 바아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나사 로드를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트러스 로드가 결국 휘어지기 시작하고 그래서 목부 및 관련된 프렛 보드도 대응적으로 휘어지게 된다. 미세한 양 이상의 릴리프를 보상하기 위해 트러스 로드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나쁜 옵션임을 알 것인데, 왜냐하면, 그러한 조절로 인해 빈번히 트러스 로드가 파손되고 또한 그래서 전형적으로 기타는 결국 소유자에 의해 버려지게 되기 때문이다.
어떤 현악기 제작자는 목부 조인트의 기하학적 구조를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기구를 포함시키고 있다. 일 세기 이상 전에, 현악기 제작자는 조절 가능한 목부 조인트를 시도하였다. 많은 현악기 제작자는 오늘날 한 방식 또는 다른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는 목부 조인트를 사용한다. 그러나, 단점이 있기 때문에, 모든 기타 중의 단지 작은 부분만이 그러한 목부 조절 시스템을 갖고 있다.
가장 통상적인 방안은 목부의 헤드스톡 단부가 본체에 대해 약간 "경사"질 수 있게 하여, 예컨대 목부 힐이 본체와 접촉하는 곳에서 회전하게 하는 것이다. 회전은 목부 힐을 통해 피봇점의 아래에서 본체 안으로 연장되는 스크류에 의해 제어된다. 스크류를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힐이 본체로부터 더 멀리 밀리고, 또한 헤드스톡 뒤로 효과적으로 밀려, 줄과 프렛보드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고 줄 작용이 낮아지게 된다. 미국 특허 7,157,634에는 이 방안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피봇점은 줄의 면의 충분히 아래에 있기 때문에, 그러한 경사에 의해 너트와 새들 사이의 거리가 증가된다. 상당한 힘이 조절 기구에 의해 가해져야 하는데, 왜냐하면, 줄은 이미 대략 180 파운드의 장력을 받기 때문이며, 그래서 조절을 시도하기 전에 기타의 줄을 풀어야 한다. 아무튼, 줄을 신장시키거나 이완시키면, 줄의 피치가 변하게 되고 그래서 연주자는 조절 후에 기타를 재튜닝할 필요가 있다. 큰 조절은, 새로운 유효 스케일 길이가 프렛의 레이아웃에 더 이상 맞지 않고 악기가 가락이 맞지 않을 수 있을 정도로 너트와 새들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한 원리를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조절 가능한 범위는 양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그의 잠재적인 트래블의 중간에서 제조자에 의해 설정되어야 한다.
다른 방안은 예컨대 슬라이딩 장부 구멍 및 테넌 조인트를 사용하여 전체 목부를 기타 본체에 대해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미국 특허 7,557,281에 개시되어 있는데, 하지만, 다른 "엘리베이터" 시스템도 이용 가능하고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주어진 작용 변화에 대해 줄을 신장시키거나 이완시키지만, 전형적으로, 전술한 경사 시스템 보다는 덜 그러하다. 그러나, 트래블의 방향이 줄 면에 정밀하게 수직인 상태에 매우 가깝더라도, 줄의 어느 정도의 신장 또는 이완이 전형적으로 기하학적 구조 때문에 일어날 것이며, 이에 의해 줄의 피치가 변하게 된다.
목부와 본체 부분은 단일의 일체적인 유닛으로 형성되지만, 목부와 본체 부분이 함께 부착되어 악기를 형성하는 개별적인 부분들로 형성되는 다양한 기타가 만들어졌다. 많은 목부 및 본체 부착물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기존의 부착물 각각은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특히, 기존의 부착물은 조립하기가 어렵고 또한 비용이 많이 들고,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않으며 심미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개선된 목부 및 본체 부착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 당업계에 있다. 특히 본체의 정면의 면에서 목부 위치의 간단한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아주 실용적이고 대량 생산 가능한 목부 장착 또는 조인트 기구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들 및 다른 요구 사항을 만족하고 기존 목부 조인트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악기를 위한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줄의 작용 및 억양이 사용자 또는 음악가에 의해 쉽게 수정될 수 있도록 현악기의 본체에 대한 목부의 상대적인 높이 및 각도의 신속하고 쉬운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관련된 목적은, 목부가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각도에 영향을 줌이 없이 선형 방향으로 쉽게 조절될 수 있는 목부를 갖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강성적인 기계적 연결로 목부를 본체에 고정시키는 목부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악기의 음악적 음색 또는 소리, 연주 가능성 또는 지속성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목부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그리고 그의 목적을 감안하여, 본 개시는 목부, 본체 및 프렛보드를 갖는 악기를 위한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를 제공한다.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는, 목부 안으로 직접 들어가는 스크류를 피하면서, 스크류 조절 가능한 장력을 갖는 내부 도브테일을 이용한다.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에 의해, 접착제가 필요 없이, 프렛보드의 상부 레지스터에서 프렛 접근성이 극히 좋아지고(목부 상에 힐이 없기 때문에), 목부 높이 조절과 억양 교정이 더 쉬워지며 또한 핸드 릴리프를 갖는 특유의 전방 블럭 구성이 가능하다.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에 의해, 목부 상의 힐에 대한 필요 없이 실용적이고 심미적으로 보기 좋은 목부-본체 조인트가 얻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쉽게 조절 가능하고 서비스 가능한 목부-본체 조인트가 얻어진다.
더 구체적으로, 악기를 위한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는 장부 구멍을 갖는 바닥 표면을 갖는 목부를 포함한다. 블럭은, 이 블럭이 본체에 체결될 때 악기의 본체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윤곽 표면, 악기의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고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정상 플랫폼, 및 창을 갖는 후방 표면을 갖는다. 심 슬리브가 블럭의 후방 표면에 있는 창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심이 심 슬리브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심은 정상 부분을 가지며, 이 정상 부분은,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가 완전히 조립될 때 목부의 바닥 표면이 정상 부분에 안착됨에 따라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에 의해 목부가 블럭으로부터 분리되는 거리를 규정하는 높이를 갖는다. 도브테일 키이는 목부의 장부 구멍과 적어도 간접적으로 결합하고 정상부, 바닥부 및 정상부로부터 바닥부까지 도브테일 키이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개구를 갖는다. 개구는 블럭의 구멍과 정렬되며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체결구가 개구 안에서 회전하면, 그 체결구는 도브테일 키이를 목부와 함께 아래로 블럭의 정상 플랫폼 쪽으로 끌어 당기고 또한 도브테일 키이와 목부가 블럭에 부착된다.
더 구체적으로,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는 2개의 주 구성품, 즉 수정된 목부 및 블럭이 본체에 체결될 때 본체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윤곽 표면을 갖는 블럭을 갖는다. 억양 설정 스크류가 목부를 본체에 대해 움직이고 악기의 억양을 조절한다. 목부는 트러스 로드(truss rod)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통로를 갖는 정상 표면 및 장부 구멍과 적어도 2개의 슬롯을 갖는 바닥 표면을 갖는다. (ⅰ) 블럭이 본체에 체결될 때 그 본체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윤곽 표면에 추가로, 블럭은 (ⅱ) 저부, (ⅲ) 오목부, 정상 플랫폼으로부터 저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고 본체의 후방 플레이트에 있는 제 3 구멍과 정렬되며 악기의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고 또한 제 1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1 구멍, 정상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윤곽 표면을 통해 연장되어 있고 악기의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며 또한 제 2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2 구멍, 및 적어도 2개의 정렬 오리피스를 갖는 정상 플랫폼(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가 완전히 조립되면 한 정렬 오리피스는 목부의 바닥 표면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슬롯 각각과 정렬되고 그 슬롯에 대응함), 및 (ⅳ) 창, 억양 설정 스크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구멍, 및 목부의 정상 표면에 있는 통로와 정렬되고 트러스 로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접근부를 갖는 후방 표면을 갖는다.
적어도 2개의 정렬 핀이 제공된다.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가 완전히 조립되면, 한 정렬 핀은 블럭의 정상 플랫폼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정렬 오리피스 각각의 안으로 또한 목부의 바닥 표면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슬롯 중의 정렬된 대응하는 슬롯 안으로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정렬 핀은 목부를 블럭과 정렬시키고 목부의 측방향 움직임을 방지한다.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는 목부와 블럭의 주 구성품에 추가로 많은 분리 가능한 구성품을 포함한다. 이들 분리 가능한 구성품 중에는 심 슬리브, 하나 이상의 심, 도브테일 키이, 스프링 케이지 및 도브테일 슬라이드가 있다. 이들 구성품 각각은 이것들이 목부, 블럭 및 다른 분리 가능한 구성품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 가를 참조하여 요약된다.
심 슬리브는 블럭의 후방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창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심 슬리브는 전방면, 정확한 배향을 보장하기 위해 직립 리브를 갖는 바닥부, 및 각각의 슬롯을 갖는 측벽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심은 심 슬리브 안으로 삽입되고 또한 그 심 슬리브와 딱 맞는 마찰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심은 정상 부분을 가지며, 정상 부분은,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가 완전히 조립될 때 목부의 바닥 표면이 정상 부분에 안착됨에 따라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에 의해 목부가 본체부터 분리되는 거리를 규정하는 높이를 가지며, 심은 또한 심 슬리브의 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트랙을 갖는 바닥부, 및 각각의 가요적인 스프링형 랫치를 갖는 측벽을 갖는다. 각 랫치는, 심이 심 슬리브에 완전히 안착될 때 심 슬리브의 측벽의 각각의 슬롯에 스냅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 1 돌출부를 갖는다. 제 2 돌출부가, 심이 심 슬리브에 완전히 안착될 때 심 슬리브의 전방면을 넘어 짧은 거리 만큼 연장되어 있고 또한 목부 포켓 안으로 돌출한다.
도브테일 키이는 정상부, 바닥부 및 중심 길이방향 축선을 가지며, 제 1 개구와 제 2 개구 각각이 중심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정렬되고 정상부로부터 바닥부까지 도브테일 키이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제 1 개구는 블럭의 제 1 구멍과 정렬되고 제 1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 2 개구는 블럭의 제 2 구멍과 정렬되고 제 2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체결구가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개구 안에서 회전하면, 그 체결구들은 도브테일 키이를 아래로 블럭의 정상 플랫폼 쪽으로 끌어 당기며 또한 도브테일 키이를 블럭에 부착한다.
스프링 케이지는 평평한 정상 표면을 갖는 기부를 갖다. 기부는 블럭의 정상 플랫폼의 오목부에 딱 맞게 끼워 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 케이지는, 기부의 평평한 표면 위에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도브테일 키이의 바닥부에 상향력을 가하여 체결구의 하향 끌어당김에 대항하여 도브테일 키이를 위치 고정시키는 복수의 스프링을 더 갖는다. 이 상향력은 또한 필요시에 목부 조인트의 해제를 용이하게 해준다.
마지막으로, 도브테일 슬라이드는 목부의 장부 구멍 내부에 딱 맞게 끼워맞춤되어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목부가 블럭에 부착되면 도브테일 슬라이드는 도브테일 키이와 결합하고 목부와 블럭 사이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해준다. 도브테일 슬라이드는 또한 재료의 적절한 경도 또는 템퍼링을 통해 양 표면의 변형을 방지한다.
앞의 전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지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읽을 때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통상적인 관례에 따라, 도면의 다양한 부분은 축척에 따르지 않음을 강조한다. 반대로, 다양한 부분의 치수는 명료성을 위해 임의로 확대 또는 축소되어 있다. 도면에는 이하의 도가 포함된다:
도 1은 통상적인 기타의 도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기타의 도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기타 목부의 저부 사시도로,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목부의 구성품을 부각시킨다.
도 4a는 기타 블럭의 후방 사시도로,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블럭의 구성품을 부각시킨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나 있는 블럭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목부와 본체가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기타를 나타내며, 제 1 구멍과 제 2 구멍의 위치를 부각시킨다.
도 6은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심 슬리브의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심의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심이 완전히 심 슬리브에 위치되어 있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도브테일 키이의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블럭에 부착되는 도브테일 키이를 나타낸다.
도 11은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스프링 케이지의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블럭의 정상 플랫폼의 오목부에 위치되어 있는 스프링 케이지를 도시한다.
도 13은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도브테일 슬라이드의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위치에 있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심 슬리브, 심, 도브테일 키이, 스프링 케이지 및 도브테일 슬라이드를 나타낸다.
본체에 대한 목부의 위치가 선형 방향 및 각도 방향 모두로 쉽게, 신속하게, 정확하게 또한 반복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악기의 목부를 악기 본체에 장착하기 위한 개선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또한 사용자가 본체에 대한 목부의 각도의 변화 없이 너트와 새들 사이의 선형 거리를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속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기타의 작용을 변화시키고 또한 기타의 억양 또는 스케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는 보통 기타, 중실체 전기 기타, 및 음향 전기 기타와 같은 기타를 포함할 수 있지만, 예컨대, 밴조, 만돌린, 바이올린, 류트 및/또는 다른 유사한 악기와 같은 다른 현악기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원리는 기타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개시된 원리는 악기 본체 및 줄이 신장되어 따르는 기다란 목부를 갖는 다른 현악기에도 적용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이 도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도면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 전체에 걸쳐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제, 먼저 도1 및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의 다양한 구성품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간략히 하도록 한다. 이들 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타(1)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목부(4)에 연결되는 기타 본체(2)를 갖는다. 이 본체(2)는 원형 소리 구멍(28)을 갖는 전반 플레이트(18a), 이 전방 플레이트(18a)와 대면하는 후방 플레이트(18b), 및 서로 이격되도록 전방 플레이트(18a) 및 후방 플레이트(18b)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측방 플레이트(18c)로 구성된다. 전방 플레이트(18a), 후방 플레이트(18b) 및 측방 플레이트(18c)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서 소리 공명이 발생된다. 더욱이, 본체(2)의 한 측에는, 목부(4)가 삽입되는 구멍이 있다.
목부(4)는 상당한 두께를 갖는 비임(3)의 형태로 되어 있고, 이 비임은 정상 표면(5a)과 바닥 표면(5b)을 갖는다. 목부(4)는 전형적으로 목재 또는 다른 유사한 또는 통상적인 재료를 포함하고, 이러한 재료는 뒤틀림 또는 비틀림 없이 지속적인 줄의 당김을 견디기에 적합하다. 목부(4)는 일체형 헤드스톡(6)을 가지며, 이 헤드스톡은 다수의 개별적인 튜닝 페그(peg)(8)(전형적으로 6개 또는 아마도 12개의 튜닝 페그)를 유지하며, 각 페그는 요구되는 줄(10)의 자유 단부를 통상적인 방식으로 각각 구속시킨다. 줄(10)은 실질적인 장력(예컨대, 줄당 약 30 파운드의 장력)으로 매여 있고, 제 1 고정점 또는 축(12)(기타 본체(2)의 전방 플레이트(18a)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브리지(16)로 지지되는 새들(14)로 형성됨)으로부터 제 2 고정 축(20)(헤드스톡(6)에 인접해 위치되어 목부(4)의 정상 표면(5a)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너트(22)로 형성됨)까지 연장되어 있다. 더욱이, 목부(4)의 비임(3)의 내부에는, 목부(4)가 기타 줄(10)의 장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절 로드(나타나 있지 않음)가 설치된다.
지판(프렛(fret) 악기에서 프렛보드(24)로도 알려져 있음)은 대부분의 현악기에서 중요한 구성품이다. 프렛보드(24)는 단단한 재료(통상적으로, 자단(rosewood) 또는 흑단(ebony)과 같은 보강 폴리머 또는 목재)의 얇고 긴 스트립이며, 이는 목부(4)의 나머지와 줄(10) 사이에 위치되고 그 나머지를 줄로부터 이격시키도록 목부(4)의 정상 표면(5a)과 짝을 이루 그 정상 표면 상에 형성된다. 프렛보드(24)가 제조되는 재료는 금속 프렛(9)(프렛보드(24)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됨)을 지지하고 유지시키고 또한 수년의 사용 기간 동안 연주를 견디기에 충분하게 강하고, 내구적이고 또한 안정적이어야 한다. 줄(10)은 프렛보드(24) 위에서 너트(22)와 브리지(16) 사이에 걸쳐 있다. 통상적인 기타(1)의 경우에, 힐(26)이 목부(2)의 나머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목부(4)의 바닥 표면(5b)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기타(1)를 사용할 때, 음악가는 줄(10)이 퉁겨지거나 튀겨지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여기됨에 따라 그 줄(10)을 짧게 하고 다양한 피치를 생성하도록 줄을 누르면서 손가락을 목부(4)를 따라 위아래로 이동시킨다. 전형적으로, 프렛보드(24) 상의 프렛(9)은 짧아진 줄(10)의 단부를 명확한 또는 요구되는 위치에 연결하는 장소를 제공하도록 목부(4)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다.
보통 기타(1)와 같은 음향 악기의 경우에, 본체(2)는 공명 소리 챔버를 에워싼다. 줄(10)을 퉁기거나 튀기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여기시키면 그 줄(10)이 진동하게 된다. 이 진동에 의해, 줄(10)이 위에 연장되어 있는 브리지(16)가 또한 진동하게 된다. 사실, 브리지(16)는 연주되는 모든 음표에 대해 줄(10)의 진동하는 끝점을 형성한다. 브리지(16)의 진동에 의해, 음향 악기의 전방 플레이트(18a)(사운드보드라고도 함)도 진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소리 챔버 안에 갖혀 있는 공기가 움직여 악기의 연주시에 소리 구멍(28)을 통해 들리는 소리를 발생시킨다.
통상적으로, 줄(10)은, 튜닝 페그(8)가 각 줄(10)의 장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목부(4) 또는 헤드스톡(6)의 정상부에서 피치하기 위해 튜닝된다. 사용자는 목부(4) 위에서 이 목부(4)의 정상 표면(5a)에 부착되어 있는 프렛보드(24) 상으로 연장되는 줄(10)을 누르면서 기타 본체(2)의 중간 부분 근처에서 줄(10)을 퉁겨 요구되는 음표를 표현한다. 발현되는 음표의 음색은 줄(10)의 장력 및 줄(10)이 목부(4) 상으로 눌리는 프렛(9)과 하측 앵커점 사이의 거리에 달려 있다. 뉼려지는 줄(10)과 브리지(16) 사이의 거리가 작을 수록, 결과적인 음색은 더 높게 피칭할 것이다. 줄(10)의 장력을 증가시키면, 더 높은 피치를 갖는 음조가 나타날 것이다.
도 3은 목부(4)의 저부 사시도인데,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목부(4)의 구성품을 부각시킨다. 목부(4)의 바닥 표면(5b)은 이 바닥 표면(5b) 안으로 절삭되어 있는 장부 구멍(30)을 가지며, 이 구멍은 반드시 사다리꼴 단면과 직사각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다. 장부 구멍(30)의 사다리꼴 단면의 측면은 수직에 대해 약 28도의 각도로 절삭될 수 있다. 장부 구멍(30)의 폭, 길이 및 높이는 약 1 인치(2.5 cm), 3.35 인치(8.5 cm) 및 0.55 인치(1.4 cm)일 수 있다. 이들 치수는 물론 단지 예이다. 장부 구멍(30)의 양측에는 한쌍의 슬롯(32)이 있고, 이 슬롯의 크기와 형상은 정렬 핀(34)(도 14 참조)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목부(4)의 정상 표면(5a)에는 통로(36)가 제공되어 있다(전형적으로 정상 표면(5a) 안으로 절삭되어 있음).
도 4a 및 4b는 블럭(40)을 도시하며,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블럭(40)의 구성품을 부각시킨다. 도 4a는 블럭(40)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4b는 전방 사시도이다. 블럭(40)은 전체 측벽(44a), 후방 벽(44c) 및 부분 측벽(44b)에 의해 규정되는 정상 플랫폼(42)을 갖는다. 전체 측벽(44a)은 정상 플랫폼(42)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부분 측벽(44b)은 정상 플랫폼(42)의 길이의 1/3만 따라 연장되어 있다. 후방 벽(44c)은 전체 측벽(44a)과 부분 측벽(44b)을 연결한다. 블럭(40)의 전방부는, 블럭(40)이 기타 본체(2)에 체결될 때(전형적으로는 접착됨) 그 기타 본체(2)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윤곽 표면(46)에 의해 규정된다. 블럭(40)의 후방부는, 블럭(40)이 기타 본체(2)에 체결될 때 그 기타 본체(2)의 내부에 있게 되는 평평한 표면(48)에 의해 규정된다. 블럭(40)은 하나의 일체형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형"은 다른 추가적인 부분 없이 그 자체로 완성되는 단일 부분 또는 단일 단위체 부분을 의미하는데, 즉 그 부분은 일 유닛으로 형성되는 하나의 단일체형 부분이다. 대안적으로, 블럭(40)은 부분들을 함께 체결하여(전형적으로 접착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블럭(40)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블럭(40)은 바람직하게는 목재로 만들어진다. 목재 블럭(40)을 갖는 기타(1)의 성능을 플라스틱 블럭(40)을 갖는 것과 비교하는 시험을 수행했다. 그 시험의 결과로, 목재 블럭(40)을 갖는 기타(1)는 밑음에서 약간 더 높은 진폭을 가지며, 중간 범위에서 약간 더 높은 진폭을 가지며, 높은 중간 범위에서 약간 더 작은 진폭을 가지며, 그리고 고 진동수 범위에서는 다시 더 높은 진폭을 갖는다. 모든 결과는 6 dB 이하 정도였다. 균형, 명료성 및 하모니에 있어서는 목재 블럭(40)이 플라스틱 블럭(40) 보다 우수했다. 플라스틱 블럭(40)을 갖는 기타(1)는 더 둔탁한 무차원 음색 질을 내었고 조화파, 소리의 깊이 및 배음은 덜 발생되었다. 플라스틱 블럭(40)을 갖는 기타(1)는 거친 날카로운 음색을 내었다. 지속성은 플라스틱 블럭(40)의 경우에 약간 더 길었지만, 이는 제조 및 셋업의 자연적인 편차 때문일 수 있다.
블럭(40)의 정상 플랫폼(42)은 그 안에 오목부(50)(전형적으로 절취부)를 갖는다. 이 오목부(50)는 바람직하게는 약 1.44 인치(3.65 cm) x 0.875 인치(2.22 cm)의 치수와 약 0.930 인치(2.36 cm)의 깊이를 갖는 직사각형이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한쌍의 구멍, 즉 제 1 구멍(52a)과 제 2 구멍(52b)이 정상 플랫폼(42)에서 오목부(50)의 짧은 변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다. 제 1 구멍(52a)과 제 2 구멍(52b)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둥글고 약 0.32 인치(0.80 cm)의 직경을 갖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제 1 구멍(52a)은 정상 플랫폼(42)으로부터 블럭(40)의 저부까지 또한 이를 통과해 연장되어 있고, 기타(1)의 본체(2)의 후방 플레이트(18b)에 있는 대응하는 제 3 구멍(52c)을 통해 기타(1)의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고, 제 2 구멍(52b)은 정상 플랫폼(42)으로부터 블럭(40)의 윤곽 표면(46)까지 또한 이를 통과해 연장되어 있고, 기타(1)의 외부에서 직접 접근 가능하다.
도 5는 목부(4)와 본체(2)가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기타(1)를 나타내며, 블럭(40)에서 제 1 구멍(52a)과 제 2 구멍(52b)의 위치를 부각시키고 있다. 제 2 구멍(52b)은, 제 1 구멍(52a) 보다 목부-본체 조인트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블럭(40)의 노출된 부분 안으로(구체적으로, 윤곽 표면(46) 안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외부에서 보이고 또한 접근 가능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현악기가 완전히 조립되면 제 1 구멍(52a)은 보이지 않는다. 제 1 구멍(52a)은 기타(1)의 본체(2)의 후방 플레이트(18b)에 있는 정확히 정렬된 대응하는 제 3 구멍(52c)을 통해 접근 가능하고, 이는 사용자가 기타(1)의 소리 구멍(28) 안으로 들어갈 필요 없이 (제 3 구멍(52c)을 통해) 제 1 구멍(52a)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제 3 구멍(52c)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보호 또는 장식용 그로밋(나타나 있지 않음)으로 보강될 수 있다. 제 1 구멍(52a)과 제 2 구멍(52b)은 나사 볼트(54a, 54b)와 같은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들 볼트 각각은 슬롯을 갖는 헤드를 갖는다. 통상적인 공구(예컨대, 알렌 렌치)가 사용되어 슬롯과 결합하여 체결구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블럭(40)은 대략 본체(2)의 중심에서 기타(1)의 본체(2)에 고정된다.
도 4a 및 4b를 다시 참조하면, 블럭(40)의 정상 플랫폼(42)은 또한 제 1 정렬 오리피스(56a)와 제 2 정렬 오리피스(56b)(전형적으로 절취부)를 갖는다. 제 1 정렬 오리피스(56a)와 제 2 정렬 오리피스(56b)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둥글고 약 0.12 인치(0.30 cm)의 직경을 갖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제 1 정렬 오리피스(56a)와 제 2 정렬 오리피스(56b)는 블럭(40)의 본체에 블라인드 구멍을 형성하고, 이 블라인드 구멍 안으로 정렬 핀(34)이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정렬 핀(34)이 정렬 오리피스(56a, 56b) 안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각 정렬 핀(34)의 일부분이 정렬 오리피스(56a, 56b)로부터 외측으로(그리고 정상 플랫폼(42) 위로) 돌출한다.
블럭(40)의 제 1 정렬 오리피스(56a)와 제 2 정렬 오리피스(56b) 안으로 삽입될 때, 정렬 핀(34)은, 목부(4)가 블럭(40)과 결할 때 사용자가 목부(4)를 블럭(40)에 정렬시키는 것을 도와준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목부(4)에 있는 한쌍의 슬롯(32)을 정렬 오리피스(56a, 56b) 외부에서 연장되어 있는 정렬 핀(34)의 일부분과 정렬시키고, 목부(4)를 블럭(40) 쪽으로 밀어 그 부분을 슬롯(32) 안으로 삽입한다. 정렬 핀(34)은,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가 완전히 조립되었을 때 목부(4)와 블럭(40) 사이의 원치 않는 횡방향 움직임을 방지한다.
선반(58)이 블럭(40)에 형성되어 있고 정상 플랫폼(42)으로부터 평평한 표면(48)으로 후방 벽(44c) 아래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각 전체 측벽(44a) 및 부분 측벽(44b) 안으로 연장되어 있다. 선반(58)은 평평한 표면(48)에 형성되어 있는 창(window)(60)에서 평평한 표면(48)에서 끝난다. 창(60)은 노치(62)로 둘러싸여 있다. 창(60)은, 예컨대, 약 2.33 인치(5.92 cm)의 폭 및 약 0.375 인치(0.95 cm)의 높이를 규정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또는 타원형인 형상을 갖는다.
평평한 표면(48)은 또한 억양 설정 스크류(68)(도 14 참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구멍(64)을 갖는다. 억양 설정 스크류(68)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헤드를 가질 수 있고 또는 헤드가 없을 수 있다. 구멍(64)은 바람직하게는 둥글고 약 0.275 인치(0.70 cm)의 직경을 갖는다. 구멍(64)은 평평한 표면(48)에서부터 개방 영역("목부 포켓")(전체 측벽(44a), 후방 벽(44c), 부분 측벽(44b), 선반(58) 및 정상 플랫폼(42)에 의해 규정됨)까지 후방 벽(44c)을 완전히 통과해 연장되어 있다. 사용자는 소리 구멍(28)을 통해 억양 설정 스크류(68)에 접근할 수 있다.
억양을 설정하는 과정은 목부(4)를 앞뒤로 움직여 줄(1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체 스케일 길이를 줄이고 둔탁한 억양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형적으로 작은 스크류 드라이버의 도움으로 억양 설정 스크류(68)를 느슨하게 한다. 전체 스케일 길이를 길게 하고 또한 날카로운 억양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자는 억양 설정 스크류(68)를 조인다. 억양 설정 스크류(68)는 목부(4)를 블럭(40)에 대해(또한 그래서 본체(2)에 대해) 움직여, 새들(14)과 너트(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그렇게 해서 기타(1)의 억양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억양 설정 스크류(68)를 사용하여, 억양 및 전체 스케일 길이, 즉 기타(1)의 줄(10)의 진동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목부(4)는 줄의 장력 하에서 베이스측 또는 트레블측으로 경사지는 것이 정렬 핀(34)에 의해 방지되며(즉, 목부(4)의 측방향 움직임이 방지됨), 정렬 핀은 기타(1)의 브리지(16)에 대한 중심 맞춤 위치를 유지하면서 (선형) 억양 축을 따른 조절을 가능하게 해준다.
평평한 표면(48)은 또한 오목부(66)를 갖는다. 이 오목부(66)는 후방 벽(44c)의 정상부에 형성되고(전형적으로 절삭됨), 구멍(64)과 유사하게, 평평한 표면(48)에서부터 목부 포켓까지 후방 벽(44c)을 완전히 통과해 연장되어 있다. 블럭(40)의 오목부(66)는, 구성품이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될 때 목부(4)의 통로(36)와 정렬 및 결합되도록 성형된다. 전형적으로, 오목부(66)는 U-형이고, 다리는 약 0.385 인치(1 cm)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고 약 0.192 인치(0.5 cm)의 곡률 반경을 갖는다. 오목부(66)와 통로(36)는, 기타(1)가 완전히 조립되면 통상적인 트러스 로드(86)를 함께 수용한다(도 14 참조). 트러스 로드(86)는 전형적으로 강 또는 티타늄으로 만들어지고 약 0.16 인치(4 mm)의 직경을 갖는다.
도 4a는 오목부(66)의 좌측에서 구멍(64)을 도시하고 도 4b는 오목부(66)의 우측에서 구멍(64)을 도시하지만, 그 구멍(64)은 오목부(66)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구멍(64)은 도 4a에서 오목부(66)의 우측에 도시될 것이고 또한 도 4b에서는 오목부(66)의 좌측에 도시될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 형태는 왼손 잡이 또는 오른손 잡이 음악가를 각각 수용할 수 있다.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목부(4)는 통상적인 힐(도 2에 나타나 있는 힐(26)과 유사함)을 갖지 않고 또한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블럭(40)은 윤곽 표면(46)을 갖는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힐이 없고 윤곽 표면(46)이 존재하면, 사용자는 통상적인 음향 악기로 가능한 경우 보다 기타(1)의 상부 프렛(9)에 더 잘 접근할 수 있다. 통상적인 보통 기타 깊이(3+인치 또는 7.6+인치)를 갖는 악기에서도 프렛보드(24)의 상부 레지스터에서 프렛 접근성이 극히 좋게 되는 이점이 얻어진다.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는 목부(4)와 블럭(40)의 주 구성품에 추가로 다수의 분리 가능한 구성품을 더 포함한다. 그 분리 가능한 구성품 중에는 심(shim) 슬리브(70), 하나 이상의 심(90), 도브테일 키이(110), 스프링 케이지(130), 및 도브테일 슬라이드(140)가 있다. 심 슬리브(70), 하나 이상의 심(90), 도브테일 키이(110), 스프링 케이지(130), 및 도브테일 슬라이드(140) 각각은 개별적인 견고한 일체형 구성품이다. 그 구성품 각각은 목부(4), 블럭(40) 및 다른 분리 가능한 구성품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부각된다.
심 슬리브(70)는 블럭(40)의 평평한 표면(48)에 형성되어 있는 창(60)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사실,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심 슬리브(70)의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전방 사시도인 도 6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심 슬리브(70)의 전방면(72)은 창(60)의 노치(62)에 위치되는 플랜지(74)로 형성되며, 그래서, 심 슬리브(70)가 창(60) 안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심 슬리브(70)의 전방면(72)은 블럭(40)의 평평한 표면(48)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 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창(60)과 유사하게, 심 슬리브(70)의 전방면(72)은, 예컨대, 창(60)과 유사한 치수를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또는 타원형인 형상을 갖는다. 심 슬리브(70)는 마찰 끼워맞춤을 통해 창(70)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그래서 심 슬리브(70)가 창(70)으로부터 제거되어 교체될 수 있지만, 심 슬리브(70)는 더 전형적으로 창(70) 내부의 위치에 고정된다(예컨대, 접착됨).
심 슬리브(70)는 정상부(76), 바닥부(78), 및 한쌍의 측벽(80a, 80b)을 갖는다. 정상부(76)는, 전방면(72)으로부터 측벽(80a, 80b)을 부분적으로만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평평한 표면을 규정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바닥부(78)는 전방면(72)으로부터 완전히 측벽(80a, 80b)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평평한 표면을 규정한다. 바닥부(78)는 바닥부(78)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직립 리브(84)를 갖는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리브(84)는 바닥부(78)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을 수 있지만, 리브(84)는 바닥부(78)를 따라, 정상부(76)가 끝나는 정상부(76) 아래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각 측벽(80a, 80b)은 측벽(80a, 80b)과 플랜지(74) 사이의 이음부 근처에서 플랜지(74) 뒤로 짧은 거리에 위치되는 각각의 슬롯(82a, 82b)을 갖는다.
심 슬리브(70)가 블럭(40)의 창(60) 안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정상부(76)는 후방벽(44c)의 저부와 접촉하고, 바닥부(78)는 선반(58)과 접촉하며, 그리고 측벽(80a, 80b)은 블럭(40)의 전체 측벽(44a) 및 부분 측벽(44b)과 각각 접촉한다. 이들 다양한 접촉점은 심 슬리브(70)를 그의 완전 삽입 위치에 접착하기에 적합한 위치를 제공한다. 그 위치에서, 심 슬리브(70)의 바닥부(78)는 심(90)의 높이를 수용하기 위해 블럭(40)의 정상 플랫폼(42) 보다 낮다(즉, 선반(58)에 오목하게 되어 있고 그 정상 플랫폼과 동일 면내에 있지 않음).
심 슬리브(70)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사출 성형되거나 3D 프린팅의 사용으로 부가 제조될 수 있다("부가 제조"라는 용어는 3D 프린팅과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음). "3D 프린팅" 이라는 용어는, 3차원("3D") 물체를 만들기 위해 재료가 컴퓨터 제어 하에서 결합되거나 고화되는 다양한 공정을 포함하고, 재료는 전형적으로 층층이 함께 부가된다(예컨대, 액체 분자 또는 분말 입자가 함께 융접됨). 3D 프린팅에서, 3차원 물체는 컴퓨터 보조 설계(CAD) 모델로 만들어진다. 3D 프린팅의 주요 이점 중의 하나는 복잡한 형상 또는 기하학적 구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심 슬리브(70)는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적절한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7은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심(90)의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전방 사시도이다. 심(90)은 심 슬리브(70)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심(90)은 심 슬리브(70) 안으로 해제 가능하게 삽입되고 또한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심(90)의 기하학적 구조는 심 슬리브(70)의 기하학적 구조와 충분히 유사하여, 심(90)은 딱 맞는 마찰 끼워맞춤 방식으로 심 슬리브(70)에 결합한다. 심(90)은 인디시아(91)가 나타날 수 있는 전방면(92)을 갖는다. 인디시아(91)는 특히 심(90)의 크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심 슬리브(70)와 유사하게, 심(90)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사출 성형되거나 3D 프린팅의 사용으로 부가 제조될 수 있다.
일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심(90)은 액체 금속 기술을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액체 금속은 일련의 또는 의 일 부류의 비정질(비결정질) 금속 합금의 멤버이며, 이 금속 합금은 그 재료가 유리와 가장 밀접히 관련된 일부 특정을 공유하기 때문에 가끔 벌크 금속 유리로 알려져 있다. 액체 금속은, 높은 인장 강도, 우수한 내부식성, 매우 높은 회복 계수 및 우수한 내마모성을 포함하여 많은 바람직한 재료 특징을 함께 가지고 있으며, 또한 열가소성 재료와 유사한 공정으로 열성형될 수 있다. 비정질 금속의 원자 구조로 인해, 몰딩 중에 수축은 작고(0.4%) 또한 고정밀의(±0.0008 인치 또는 0.02 mm) 복잡한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액체 금속은 플라스틱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많은 용례를 위한 잠재적인 대체물이다. 플라스틱은 가요적이지만 강하지 않고, 금속은 플라스틱 보다 강하지만 그 만큼 가요적이지 않다. 액체 금속은 유리한 절충을 제공하는데, 통상적인 강 합금 보다 3배의 강도를 갖는 비정질 강의 뱃치가 제조되었다.
심(90)은 더 높은 정상 부분(96a)과 더 낮은 정상 부분(96b)을 갖는 단차형 정상부, 바닥부(98), 및 한쌍의 측벽(100a, 100b)을 더 갖는다. 심(90)의 더 높은 정상 부분(96a)은, 측벽(100a, 100b)을 따라서 부분적으로만 전방면(92)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평평한 표면을 규정하고, 이 표면은, 심(90)이 심 슬리브(70) 안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심 슬리브(70)의 정상부(76)의 저부에 결합하도록 크기 결정되고 성형되어 있다. 심(90)의 더 낮은 정상 부분(96b)은, 측벽(100a, 100b)의 길이의 나머지에 걸쳐 더 높은 정상 부분(96a)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평평한 표면을 규정한다. 더 낮은 정상 부분(96b)의 높이는 심(90)의 크기(인디시아(91)에 나타나 있음)와,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에 의해 목부(4)가 블럭(40) 및 기타(1)의 본체(2)로부터 분리되는 거리(아래에서 논의됨) 둘 다를 규정한다.
바닥부(98)는, 전방면(92)으로부터 완전히 측벽(100a, 100b)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평평한 표면을 규정한다. 바닥부(98)의 중심에는 트랙(104)이 형성되어(예컨대, 절삭되어) 있다. 도 7에서 대시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트랙(104)은 전방면(92)의 근처로부터 완전히 측벽(100a, 100b)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트랙(104)은 전방면(92)의 뒤로 짧은 거리에서(예컨대, 약 0.065 인치 또는 1.65 mm) 시작한다. 트랙(104)은 슬라이딩 마찰 끼워맞춤을 통해 심 슬리브(70)의 리브(84)를 수용하도록 크기 결정되고 성형되어 있다(예컨대, 약 0.1 인치 또는 2.5 mm의 폭을 가짐). 그러므로, 사용자가 심(90)을 심 슬리브(70) 안으로 삽입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트랙(104)을 리브(84)와 정렬시키고 심(90)을 앞으로 심 슬리브(70) 안으로 밀어 넣으면 된다. 사용자가 심(90)을 계속 밀음에 따라 리브(84)는 트랙(104)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심 슬리브(70)의 리브(84)와 심(90)의 트랙(104) 사이의 결합은 심(90)이 삽입될 때 적절한 정렬과 배향을 보장해 주고 또한 사용자가 심(90)을 부적절한 배향으로 심 슬리브(70) 안으로 삽입하는 것을 방지한다(즉, 그 결합은 삽입을 실질적으로 누구나 할 수 있게 해줌). 따라서, 심(90)은 심 슬리브(70)와의 일방향 적합성을 포함하여, 심(90)이 정확한 배향으로만 설치되는 것을 보장한다.
각 측벽(100a, 100b)은 측벽(100a, 100b)과 전방면(92) 사이의 이음부 근처에 위치되는 각각의 랫치(94a, 94b)를 갖는다. 각 랫치는 전방면(92) 바로 뒤에 위치되는 제 1 돌출부(93) 및 전방면(92)의 바로 앞에 위치되는 제 2 돌출부(95)를 갖는다. 제 1 돌출부(93)와 제 2 돌출부(95) 각각은 심(90)의 각각의 측벽(100a, 100b)을 넘어 옆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돌출부(95)도 전방면(92)을 넘어 연장되어 있고, 심(90)이 심 슬리브(70) 안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사용자에 의해 잡힐 수 있다. 제 2 돌출부(95)는 사용자가 잡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해 복수의 리지(ridge)를 갖는다. 랫치(94a, 94b)는 가요적이고 측벽(100a, 100b)에서 스프링형 요소를 형성한다.
사용자가 심(90)의 트랙(104)을 심 슬리브(70)의 리브(84)와 정렬시키고 심(90)을 앞으로 심 슬리브(70) 안으로 밀면, 심(90)의 더 높은 정상 부분(96a)이 심 슬리브(70)의 정상부(76)와 슬라이딩 결합하고, 심(90)의 바닥부(98)는 심 슬리브(70)의 바닥부(78)와 슬라이딩 결합하고, 심(90)의 측벽(100a)은 심 슬리브(70)의 측벽(80a)과 슬라이딩 결합하며, 그리고 심(90)의 측벽(100b)은 심 슬리브(70)의 측벽(80b)과 슬라이딩 결합하게 된다. 제 1 돌출부(93)가 심 슬리브(70)의 전방면(92)와 접촉하여 그 전방면에 의해 차단될 때까지, 사용자는 이들 결합에 의해 생기는 마찰력에 대항하면서 계속 심(90)을 앞으로 심 슬리브(70) 안으로 밀어 넣는다.
그때, 사용자는 랫치(94a, 94b)의 스프링력에 대항하면서 화살표(102)의 방향으로 제 2 돌출부(95)를 서로의 쪽으로 그리고 심(90)의 중심 쪽으로 누른다(스프링력에 의해 랫치(94a, 94b)는 측벽(100a, 100b)에 평행한 위치로 편향됨). 이러한 작용에 의해, 제 1 돌출부(93)는 심 슬리브(70)의 전방면(92)을 넘어 미끄러지고, 제 1 돌출부(93)가 측벽(80a, 80b)의 각각의 슬롯(82a, 82b)에 도달할 때까지 심 슬리브(70)의 측벽(80a, 80b)을 따라 짧은 거리 만큼 슬라이딩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제 1 돌출부(93)는 화살표(102)의 방향에 반대로 작용하는 스프링력에 의해 구동되어 측벽(80a, 80b)의 각각의 슬롯(82a, 82b)에 스냅 결합하게 되며, 그래서 랫치(94a, 94b)는 측벽(100a, 100b)에 평행한 그의 위치로 복귀하고 제 1 돌출부(93)는 슬롯(82a, 82b)을 통해 연장되고 측벽(80a, 80b)에 "걸리게" 된다. 사용자가 심(90)을 제거하고자 할 때까지 또는 제거하고자 하지 않는다면, 심(90)이 심 슬리브(70)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그 걸림에 의해 방지된다.
스냅 결합에 의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들을 수 있는 "클릭" 및 촉각적인 확인이 나타나게 되며, 각각은 심(90)이 그의 위치에 완전히 안착되었고 또한 심 슬리브(70) 내부에 고정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그 위치에서, 심(90)이 심 슬리브(70)에 완전히 안착되어 있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사시도인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심(90)의 전방면(92)은 심 슬리브(70)의 전방면(72)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 내에 있게 되며 심(90)의 제 2 돌출부(95)는 심 슬리브(70)의 전방면(72) 뒤에서 짧은 거리 만큼 연장되어 있고, 그 거리는 사용자가 심(90)을 심 슬리브(70)로부터 제거하고자 할 때 그 사용자가 제 2 돌출부(95)와 접촉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하다. 제거를 이루기 위해(이 제거는 사용자가 제 1 높이의 더 낮은 정상 부분(96b)을 갖는 한 심(90)을 다른 제 2 높이의 더 낮은 정상 부분(96b)을 갖는 다른 심(90)으로 교체하고 싶어 할 때 요구될 수 있음), 사용자는 제 2 돌출부(95)를 끌어당김과 동시에, 화살표(102)의 방향으로 다시 제 2 돌출부(95)를 서로의 쪽으로 또한 심(90)의 중심 쪽으로 누른다. 이들 작용의 결합에 의해, 제 1 돌출부(93)가 측벽(80a, 80b)의 각각의 슬롯(82a, 82b)에의 결합으로부터 해제되고 또한 심(90)이 심 슬리브(70) 밖으로 슬라이딩 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심(90)의 더 낮은 정상 부분(96b)의 높이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에 의해 목부(4)의 단부가 블럭(40)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목부 포켓의 바닥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거리를 규정하고, 그래서, 목부(4)와 기타(1)의 본체(2) 사이의 각도를 규정한다. 구체적으로,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가 완전히 조립되면, 목부(4)의 바닥면(5b)의 선두 가장자리는 심(90)의 더 낮은 정상 부분(96b)에 안착된다. 심(90)의 더 낮은 정상 부분(96b)의 최소 높이("제로" 높이라고 할 수 있음)는, 심(90)이 심 슬리브(70) 안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정상 플랫폼(42)과 접하면 면 심(90)의 더 낮은 정상 부분(96b)을 블럭(40)의 정상 플랫폼(42)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 내에 있게 하거나 그와 평평하게 한다. 따라서, "제로" 높이의 심(90)에 대해, 목부(4)의 바닥면(5b)은 심(90)의 더 낮은 정상 부분(96b) 및 블럭(40)의 정상 플랫폼(42) 둘 모두에 안착된다.
심(90)의 더 낮은 정상 부분(96b)은 어떤 원하는 높이도 가질 수 있지만, 사용자는 복수의 상이한 크기의 심(90)을 수중에 가질 것이며(아마도 한 팩의 심(90)을 구매했을 것임), 각 심은 상이한 높이를 갖는 더 낮은 정상 부분(96b)을 갖는다. 따라서, 심(90)의 더 낮은 정상 부분(96b)은, 심(90)이 심 슬리브(70) 안으로 완전히 삽입되고 제로의 거리, 0.025 인치(0.6 mm), 0.04 인치(1 mm) 또는 당업자의 지식 내의 다른 적절한 거리로 정상 플랫폼(42)과 접하면 더 낮은 정상 부분(96b)이 블럭(40)의 정상 플랫폼(42) 위쪽에 연장되도록 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예시적인 심(90)을 위한 인디시아(91)는 물론 "제로 심", ".025 인치 심" 및 ".040 인치 심"일 수 있다. 이들 예시적인 심(90)을 위한 인디시아(91)는 또한 "제로", ".025 인치", 및 ".040 인치"일 수 있다. "제로" 높이 이외의 높이를 갖는 심(90)의 경우에, 목부(4)의 바닥면(5b)은 심(90)의 더 낮은 정상 부분(96b)에만 안착되고 블럭(40)의 정상 플랫폼(42)에는 안착되지 않는다(위쪽에 있기 때문에).
"제로" 심 보다 큰 높이를 갖는 심(90)이 사용되면, 줄 작용은 프렛(9)에 더 가깝게 있게 된다. 그 결과, 연주 가능성이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상호 교환 가능한 목부 상승 심(90)은 줄 높이(기타 작용)에 대한 연주자의 선호에 따라 어떤 범위에서의 목부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목부 상승 심(90)은 취향에 맞게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데, 왜냐하면, 심은 최적화된 현악기 작용 설정에 근거하여, 변하는 높이로 제조될 것이기 때문이다.
심(90)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다양한 목부 각도에 맞도록 쐐기형일 수 있다.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는 복수의 심 높이, 예컨대 3개의 상이한 심 높이, 6개의 상이한 심 높이 또는 다른 적절한 수의 심 높이를 허용 또는 수용할 수 있다. 일부 통상적인 설계는 심이 박힐 2개의 개별적인 표면을 필요로 하지만, 단지 하나의 표면이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에서 상호 교환 가능한 심(90)을 사용한다.
도 9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도브테일 키이(110)의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전방 사시도이다. 바람직하게는, 도브테일 키이(110)는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도브테일 키이(110)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정상부(116), 바닥부(118) 및 정상부(116)와 바닥부(118) 사이에 있는 측면부(120)를 갖는다. 정상부(116)와 측면부(120) 사이 및 바닥부(118)와 측면부(120) 사이의 가장자리는 경사 처리되어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도브테일 키이(110)는 다수의 적절한 형상 중의 어떤 것이라도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거나 타원형인 형상(측면부(120)는 4개의 곡률 반경을 가짐)이 잘 기능한다. 도브테일 키이(110)를 위한 적절한 치수로서, 길이는 약 2.625 인치(6.67 cm), 폭은 약 0.95 인치(2.41 cm)이며 그리고 높이는 약 0.350 인치(0.90 cm) 이다. 바람직하게는, 도브테일 키이(110)는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다.
도브테일 키이(110)는 2개의 나사 개구, 즉 제 1 개구(112a) 및 제 2 개구(112b)를 갖는다. 제 1 개구(112a)와 제 2 개구(112b)는 도브테일 키이(110)의 중심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정렬되며, 도브테일 키이(110)의 폭의 중심에 위치되며, 그리고 각기 정상부(116)에서부터 바닥부(118)까지 도브테일 키이(110)의 높이를 완전히 통과해 연장된다. 제 1 개구(112a)는, 도브테일 키이(110)가 블럭(40)에 부착될 때 블럭(40)의 제 1 구멍(52a)과 정렬되도록 구성되며, 제 2 개구(112b)는, 도브테일 키이(110)가 블럭(40)에 부착될 때 블럭(40)의 제 2 구멍(52b)과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도브테일 키이(110)는, 도 10, 12 및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나사 볼트(54a, 54b)를 사용하여 볼럭(40)에 부착된다.
더 구체적으로, 나사 볼트(54a)는 블럭(40)의 정상 플랫폼(42) 위로 어떤 거리 만큼 위쪽으로 연장될 때까지 블럭(40)의 제 1 구멍(52a)을 통해 삽입된다. 나사 볼트(54b)는 유사하게 블럭(40)의 정상 플랫폼(42) 위로 어떤 거리 만큼 위쪽으로 연장될 때까지 블럭(40)의 제 2 구멍(52b)을 통해 삽입된다. 그런 다음에, 제 1 개구(112a)가 제 1 구멍(52a)과 정렬되고 나사 볼트(54a)를 수용하고 제 2 개구(112b)는 제 2 구멍(52b)과 정렬되고 나사 볼트(54b)를 수용하도록, 도브테일 키이(110)는 정상 플랫폼(42) 위쪽에 위치된다. 나사 볼트(54a, 54b)가 대응하는 제 1 및 2 나사 개구(112a, 112b) 안에서 회전하면, 그 나사 볼트(54a, 54b)는 도브테일 키이(110)를 아래로 정상 플랫폼(42) 쪽으로 끌어 당기고 도브테일 키이(110)를 블럭(40)에 부착시킨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통상적인 공구(예컨대, 알렌 렌치)를 이용하여 각 나사 볼트(54a, 54b)의 헤드에 있는 슬롯에 결합하고 나사 볼트(54a, 54b)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1은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스프링 케이지(130)의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전방 사시도이다. 스프링 케이지(130)의 그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평평한 정상 표면(134)을 규정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기부(132)를 갖는다. 각기 기부(132)와 일체적으로 되어 있는 복수의 스프링(136)이 기부(132)의 평평한 표면(134) 위쪽에서 동일한 양 만큼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프링 케이지(130)는 블럭(40)의 정상 플랫폼(42)의 오목부(50)에 딱 맞게 마찰 끼워맞춤 되도록 크기 결정되고 성형(즉, 구성)되어 있다. 필요하지는 않지만, 스프링 케이지(130)는 블럭(40)에 고정(예컨대, 접착)될 수 있다. 도 12는 블럭(40)의 정상 플랫폼(42)의 오목부(50) 내에 위치되어 있는 스프링 케이지(130)를 도시한다.
스프링 케이지(130)의 스프링(136)의 기능은, 도브테일 키이(110)가 나사 볼트(54a, 54b)의 작용 하에서 아래로 정상 플랫폼(42) 쪽으로 끌어 당겨질 때 도브테일 키이(110)의 바닥부(118)에 접하게 위쪽으로 미는 것(즉, 도브테일 키이(110)이 들어올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상향력은 또한 요구시에 목부 조인트의 해제를 용이하게 해준다. 도브테일 키이(110)의 바닥부(118)에 대한 스프링(136)의 힘은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그리고 대칭적으로 분산되어야 하며, 그래서 힘은 평형을 이루고 도브테일 키이(110)에 대해 분산되고 또한 스프링(136)은 나사 볼트(54a, 54b)의 하향 끌어당김에 대항하여 도브테일 키이(110)를 위치 고정시키기에 충분한 상향 저항을 제공해야 한다. 단일 스프링(136) 및 2개의 스프링(136)은 이들 요건을 만족하기에 불충분하다. 대조적으로, 스프링 케이지(130)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3개의 스프링(136)이 잘 기능하는데, 3개의 스프링(136) 중의 하나는 제 1 길이 방향으로 향하고 다른 2개의 스프링(136)은 반대 길이 방향으로 향한다. 스프링 케이지(130)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한 3D 프린팅을 사용하여 부가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스프링 케이지(130)는 액체 금속 기술을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3은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도브테일 슬라이드(140)의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브테일 슬라이드(140)의 그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헤드(142) 및 2개의 다리(144a, 144b)를 갖는다. 도브테일 슬라이드(140)는 목부(4)에 있는 장부 구멍(30)에 딱 맞게 끼워맞춤 되도록 크기 결정되고 성형(즉, 구성)된다. 따라서, 장부 구멍(30)과 유사하게, 도브테일 슬라이드(140)는 바람직하게는 사다리꼴 단면과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데, 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도브테일 슬라이드(140)의 다리(144a, 144b)는 수직에 대해 약 28도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브테일 슬라이드(140)의 폭, 길이 및 높이는 장부 구멍(30)의 대응하는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브테일 슬라이드(140)는 마찰 끼워맞춤으로 장부 구멍(30)에 유지될 수 있고 또는 장부 구멍(30)에 고정(예컨대, 접착)될 수 있다. 도브테일 슬라이드(140)의 한 기능은 장부 구멍(30)을 보강하여, 도브테일 키이(110)로부터 주어지는 하향 압력으로 인해 목부(4)에 균열이 생기는 위험을 줄여주는 것이다.
도브테일 슬라이드(140)의 다른 기능은 목부(4)와 블럭(40) 사이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도브테일 슬라이드(140)는 목부(4)에 있는 장부 구멍(30)에 가이드를 형성한다.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목부(4)를 블럭(40)에 고정할 때 도브테일 키이(110)는 도브테일 슬라이드(140)와 결합한다(즉, 그 안으로 슬라이딩함)(도 14는 또한 제위치에 있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의 심 슬리브(70), 심(90) 및 스프링 케이지(130)를 나타냄). 도브테일 슬라이드(140)는, 그렇지 않으면 장부 구멍(30) 안으로 들어가는 도브테일 키이(110)의 슬라이딩 운동을 억제할 수 있는 마찰을 최소화한다. 도브테일 슬라이드(140)는 금속(특히 도브테일 키이(110)가 금속으로 만들어질 때, 선호됨)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두 짝이룸 표면 사이의 마손을 방지하기 위해 도브테일 슬라이드(140)는 도브테일 키이(110)와는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다(둘 다 금속이더라도). 블럭(40)에서 목부(4)의 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브테일 슬라이드(140)는 윤활될 수 있다. 그러나, 금속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자기 활주(self-gliding) 재료로, 블럭(40)에 대한 목부(4)의 움직임에 최적인 표면을 제공하기 위한 윤활은 필요 없다.
도브테일 키이(110)가 도브테일 슬라이드(140) 안으로(그래서 목부(4)의 장부 구멍(30)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프링 케이지(130)의 상향력에 대항하여 기타(1)의 외부로부터 볼트(54a, 54b)를 조여 도브테일 키이(110)를 아래로 블럭(40) 쪽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동시에 목부(4)가 아래쪽으로 끌려 블럭(40) 및 기타(1)의 본체(2)와 결합하게 된다. 목부(4)가 블럭(40) 내의 위치로 타이트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끌릴 때까지 사용자는 계속 볼트(54a, 54b)를 조인다. 조임이 일어남에 따라 목부(4)는 정렬 핀(34)에 인덱싱한다. 반대로 작용하면(즉, 볼트(54a, 54b)를 풀면), 목부(4)가 본체(2)로부터 분리되고 결국 목부(4)가 본체(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스프링 케이지(130)의 상향력은 그러한 분리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해준다.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에 의해, 사용자는 목부(4)와 본체(2) 사이의 높이, 이들 악기 구성품 사이의 각도 또는 둘 모두를 변경할 수 있다. 도브테일 키이(110)와 결합하는 두 볼트(54a, 54b)는, 한 볼트(예컨대, 볼트(54a))를 다른 볼트(예컨대, 볼트(54b))와는 다른 양으로 조절하면 각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암시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목부(4)와 본체(2)가 적절히 결합하도록 볼트(54a, 54b) 둘 모두를 동일한 토크 설정으로 조여야 한다.
따라서,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는 스크류 조절 가능한 장력을 갖는 내부 도브테일을 사용하여 기타(1)의 본체(2)에 목부(4)를 체결하는 기능을 한다. 목부(4)를 본체(2)에 직접 결속하는 볼트 또는 영구 접착제는 없다. 사실, 체결구 또는 나사 인서트는 목부(4) 안으로 직접 들어가거나 나사 결합되지 않는다. 목부(4)는 간접 연결로 본체(2)에 체결되고,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는 균일하고 조절 가능한 하향 장력을 목부(4)에 가한다.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에서는, 기타(1)의 본체(2)에 대한 목부(4)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목부(4)를 블럭(40)으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목부(4)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를 사용하여 본체(2)로부터 제거될 수 있어, 사용자는 그 목부(4)를 조절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에 의해 사용자는 기타(1)의 목부(4)를 쉽게 교환할 수 있다.
더욱이, 통상적인 설계에서는, 목부 조절을 위해 심에 접근하기 위해 목부(4)를 본체(2)로부터 완전히 제거할 필요가 있다.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로, 심(90)은 그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를 느슨하게 하고 필요시에 다른 심(90)을 제위치로 클릭함으로써 간단히 교환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제조 및 최종 소비자에게 훨씬 더 편리한 것이다. 제조시에, 이러한 특징에 의해, 여러 개(예컨대, 3개)의 상이한 브리지와 많은(예컨대, 5개) 상이한 새들 높이의 통상적인 조합에 대비되는 하나의 균일한 크기의 현악기 브리지(16)와 새들(14)이 정확한 기하학적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이제 정확한 기하학적 구조가, 반복적인 분해가 필요 없이 심(90)의 사용을 통해 목부 조인트에서 신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에 의해, 접착제가 필요 없이, 프렛보드(24)의 상부 레지스터에서 프렛 접근성이 극히 좋아지고, 목부 조절과 억양 교정이 더 쉬워지며 또한 핸드 릴리프를 갖는 특유의 전방 블럭 구성이 가능하다. 본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에 의해, 목부(4) 상의 힐(26)에 대한 필요 없이 실용적이고 심미적으로 보기 좋은 목부-본체 조인트가 얻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쉽게 연주 가능하고 조절 가능하며 또한 서비스 가능한 목부-본체 조인트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와 예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타나 있는 상세점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청구 범위 및 등가물의 범위 내에서 그리고 본 발명의 정신에서 벗어남이 없이 상세점에 있어서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문헌에 넓게 언급된 모든 범위는 그의 범위 내에서 그 넓은 범위에 속하는 모든 더 좁은 범위를 포함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20)

  1. 본체를 갖는 악기를 위한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로서,
    장부 구멍(mortise)을 갖는 바닥 표면을 갖는 목부;
    블럭이 상기 본체에 체결될 때 그 본체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윤곽 표면, 악기의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고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정상 플랫폼, 및 창을 갖는 후방 표면을 갖는 블럭;
    상기 블럭의 창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심(shim) 슬리브;
    상기 심 슬리브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각져 있고 정상 부분을 갖는 심 - 상기 정상 부분은, 상기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가 완전히 조립될 때 목부의 바닥 표면이 상기 정상 부분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에 의해 상기 목부가 블럭으로부터 분리되는 거리를 규정하는 높이를 가짐 -; 및
    상기 목부의 장부 구멍과 적어도 간접적으로 결합하고 정상부, 바닥부 및 상기 정상부로부터 바닥부까지 도브테일 키이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개구를 갖는 도브테일 키이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블럭의 구멍과 정렬되며 상기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구가 상기 개구 안에서 회전하면, 그 체결구는 상기 도브테일 키이를 목부와 함께 아래로 블럭의 정상 플랫폼 쪽으로 끌어 당기고 또한 도브테일 키이와 목부가 상기 블럭에 부착되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에는, 상기 목부 또는 그 목부 상의 힐(heel) 안으로 직접 들어가는 스크류가 없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3. 제 1 항에 따른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를 포함하는 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는 기타인, 악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정상 플랫폼은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는 평평한 정상 표면을 갖는 기부를 갖는 스프링 케이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부는 상기 블럭의 정상 플랫폼의 오목부에 딱 맞게 끼워 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스프링이 상기 기부의 평평한 표면 위에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도브테일 키이의 바닥부에 상향력을 가하여 상기 체결구의 하향 끌어당김에 대항하여 상기 도브테일 키이를 위치 고정시키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는 상기 목부의 장부 구멍 내부에 딱 맞게 끼워맞춤되어 보강하도록 구성된 도브테일 슬라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부가 블럭에 부착되면 상기 도브테일 슬라이드는 도브테일 키이와 결합하고 목부와 블럭 사이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해주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후방 표면은 구멍을 가지며,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는, 상기 목부를 본체에 대해 움직이고 악기의 억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구멍에 수용되는 억양 설정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바닥 표면은 적어도 2개의 슬롯을 가지며, 상기 블럭의 정상 플랫폼은 적어도 2개의 정렬 오리피스를 가지며, 상기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가 완전히 조립되면 한 정렬 오리피스는 목부의 바닥 표면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슬롯 각각과 정렬되고 그 슬롯에 대응하며,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는 적어도 2개의 정렬 핀을 더 포함하고,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가 완전히 조립되면, 한 정렬 핀은 블럭의 정상 플랫폼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정렬 오리피스 각각의 안으로 또한 목부의 바닥 표면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슬롯 중의 정렬된 대응하는 슬롯 안으로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정렬 핀은 목부를 블럭과 정렬시키고 목부의 측방향 움직임을 방지하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는 트러스 로드(truss rod)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통로를 갖는 정상 표면을 가지며, 상기 블럭은, 상기 목부의 정상 표면에 있는 통로와 정렬되고 상기 트러스 로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접근부를 갖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 3 구멍을 가지며, 상기 블럭은 저부를 가지며, 상기 블럭의 정상 플랫폼은, 정상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저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제 2 구멍을 가지며, 이 구멍은 상기 본체의 제 3 구멍과 정렬되고 악기의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며 또한 제 2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브테일 키이는, 정상부로부터 바닥부까지 상기 도브테일 키이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제 2 개구, 및 상기 개구와 제 2 개구가 각각 정렬되는 중심 길이 방향 축선을 가지며, 제 2 개구는 블럭의 제 2 구멍과 정렬되고 또한 제 2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체결구가 대응하는 제 2 개구 안에서 회전하면 그 제 2 체결구는 도브테일 키이를 아래로 블럭의 정상 플랫폼 쪽으로 끌어 당기고 도브테일 키이를 상기 블럭에 부착하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 슬리브는 전방면, 직립 리브를 갖는 바닥부, 및 각각의 슬롯을 갖는 측벽을 갖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또는 각진 심은 상기 심 슬리브와 딱 맞는 마찰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하고, 심은 심 슬리브의 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트랙을 갖는 바닥부 및 각각의 가요적인 스프링형 랫치를 갖는 측벽을 가지며, 상기 랫치는, 심이 심 슬리브에 완전히 안착될 때 심 슬리브의 측벽의 각각의 슬롯에 스냅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 1 돌출부 및 심이 심 슬리브에 완전히 안착될 때 심 슬리브의 전방면을 넘어 짧은 거리 만큼 연장되어 있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는 너트, 새들(saddle) 및 상기 너트와 새들 사이의 선형 거리를 가지며, 상기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는 상기 본체에 대한 목부의 각도의 변화 없이 상기 너트와 새들 사이의 선형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목재로 만들어져 있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16. 제 1 항에 있어서,
    각기 상이한 크기를 갖는 복수의 심을 더 포함하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 각각은 심의 크기를 표시하는 인디시아(indicia)를 나타내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18. 본체를 갖는 악기를 위한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로서, 상기 본체는 제 3 구멍을 갖는 후방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는,
    트러스 로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통로를 갖는 정상 표면, 및 장부 구멍과 적어도 2개의 슬롯을 갖는 바닥 표면을 갖는 목부;
    상기 목부를 본체에 대해 움직이고 악기의 억양을 조절하기 위한 억양 설정 스크류;
    (ⅰ) 블럭이 상기 본체에 체결될 때 그 본체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윤곽 표면, (ⅱ) 저부, (ⅲ) 오목부, 정상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저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고 본체의 후방 플레이트에 있는 제 3 구멍과 정렬되며 악기의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고 또한 제 1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1 구멍, 정상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윤곽 표면을 통해 연장되어 있고 악기의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며 또한 제 2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2 구멍, 및 적어도 2개의 정렬 오리피스를 갖는 정상 플랫폼 - 상기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가 완전히 조립되면 한 정렬 오리피스는 목부의 바닥 표면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슬롯 각각과 정렬되고 그 슬롯에 대응함 -, 및 (ⅳ) 창(window), 억양 설정 스크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구멍, 및 상기 목부의 정상 표면에 있는 통로와 정렬되고 트러스 로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접근부를 갖는 후방 표면을 갖는 블럭;
    적어도 2개의 정렬 핀 - 상기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가 완전히 조립되면, 한 정렬 핀은 블럭의 정상 플랫폼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정렬 오리피스 각각의 안으로 또한 목부의 바닥 표면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슬롯 중의 정렬된 대응하는 슬롯 안으로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정렬 핀은 목부를 블럭과 정렬시키고 목부의 측방향 움직임을 방지함 -;
    상기 블럭의 창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전방면, 직립 리브를 갖는 바닥부, 및 각각의 슬롯을 갖는 측벽을 갖는 심 슬리브;
    상기 심 슬리브 안으로 삽입되고 또한 상기 심 슬리브와 딱 맞는 마찰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정상 부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또는 각져 있는 심 - 상기 정상 부분은, 상기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가 완전히 조립될 때 목부의 바닥 표면이 상기 정상 부분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에 의해 상기 목부가 블럭으로부터 분리되는 거리를 규정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심은 또한 심 슬리브의 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트랙을 갖는 바닥부, 및 각각의 가요적인 스프링형 랫치를 갖는 측벽을 가지며, 상기 랫치는, 심이 심 슬리브에 완전히 안착될 때 심 슬리브의 측벽의 각각의 슬롯에 스냅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 1 돌출부 및 심이 심 슬리브에 완전히 안착될 때 심 슬리브의 전방면을 넘어 짧은 거리 만큼 연장되어 있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함 -;
    정상부, 바닥부 및 중심 길이방향 축선을 갖는 도브테일 키이 - 제 1 개구와 제 2 개구 각각이 상기 중심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정렬되고 상기 정상부로부터 바닥부까지 도브테일 키이를 통해 연장되어 있으며, 제 1 개구는 블럭의 제 1 구멍과 정렬되고 제 1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 2 개구는 블럭의 제 2 구멍과 정렬되고 제 2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체결구가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개구 안에서 회전하면, 그 체결구들은 도브테일 키이를 아래로 블럭의 정상 플랫폼 쪽으로 끌어 당기며 또한 도브테일 키이를 블럭에 부착함 -;
    평평한 정상 표면을 갖는 기부를 갖는 스프링 케이지 - 상기 기부는 상기 블럭의 정상 플랫폼의 오목부에 딱 맞게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스프링이 상기 기부의 평평한 표면 위에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도브테일 키이의 바닥부에 상향력을 가하여, 상기 체결구의 하향 끌어당김에 대항하여 상기 도브테일 키이를 위치 고정시킴 -; 및
    상기 목부의 장부 구멍 내부에 딱 맞게 끼워맞춤되어 보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목부가 블럭에 부착되면 도브테일 키이와 결합하고 목부와 블럭 사이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해주는 도브테일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19. 제 18 항에 따른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를 포함하는 악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는 기타인, 악기.
KR1020227002171A 2019-06-21 2020-06-05 악기를 위한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KR102619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64770P 2019-06-21 2019-06-21
US62/864,770 2019-06-21
US16/796,010 2020-02-20
US16/796,010 US10803840B1 (en) 2019-06-21 2020-02-20 Linear dovetail neck joint for musical instrument
PCT/US2020/036421 WO2020256970A1 (en) 2019-06-21 2020-06-05 Linear dovetail neck joint for musical 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983A KR20220020983A (ko) 2022-02-21
KR102619069B1 true KR102619069B1 (ko) 2023-12-27

Family

ID=7274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171A KR102619069B1 (ko) 2019-06-21 2020-06-05 악기를 위한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03840B1 (ko)
KR (1) KR102619069B1 (ko)
CN (1) CN114072871A (ko)
DE (1) DE112020002978T5 (ko)
GB (1) GB2600313B (ko)
MX (1) MX2021016028A (ko)
WO (1) WO20202569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1101S1 (en) * 2019-10-18 2021-06-01 Shenzhen Ai Tai Technology Co., Ltd. Hanger base for guitar
US11482198B2 (en) 2021-03-15 2022-10-25 Vaccaro Guitar Llc Interchangeable head assembly for musical instrum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5712A1 (en) 2002-01-11 2003-08-07 Steinberger R. Ned Stringed musical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0496A (en) 1969-07-14 1970-12-29 Columbia Broadcasting Syst Inc Tiltable guitar neck incorporating thrust-absorbing,pivot and locking element
US4027570A (en) 1975-05-12 1977-06-07 Norlin Music, Inc. Neck-body joint for guitar-like instruments
US4207688A (en) 1977-10-11 1980-06-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ilot training simulator
US4638708A (en) 1986-03-24 1987-01-27 Benjelloun Kamal Stringed instrument
US4803906A (en) 1986-09-15 1989-02-14 Fender C Leo Neck for guitar
US5235891A (en) 1986-10-22 1993-08-17 Klein Matthew L Lightweight solid body guitar
US4793236A (en) 1987-06-24 1988-12-27 Albert J. Carness Self-aligning neck joint
US4982640A (en) 1989-09-19 1991-01-08 Buscarino John R Guitar with improved releasable neck joint construction
US5305819A (en) 1991-01-16 1994-04-26 Fender Muscial Instruments Corporation Guit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uitars
US5125311A (en) 1991-01-16 1992-06-30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Guit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uitars
JP2736856B2 (ja) 1993-11-10 1998-04-02 後藤ガット有限会社 弦楽器におけるネック矯正器の調整機構
US5549027A (en) 1994-01-10 1996-08-27 Steinberger; Richard N. Stringed acoustic musical instrument
US5511455A (en) 1994-05-27 1996-04-30 Steinberger; Ned Curved top solid body guitar
US5886272A (en) 1996-12-06 1999-03-23 M-Tec Corporation Guitar with captive neck joint
US6051765A (en) 1996-12-06 2000-04-18 M-Tec Corp. Guitar with controlled neck flex
US5965830A (en) 1997-05-30 1999-10-12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Guitar neck incorporating combination lever and tension-compression adjustment system
US5864073A (en) 1997-05-30 1999-01-26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 Laminated neck for guitars, and combination thereof with adjustment system
US5945614A (en) 1998-08-06 1999-08-31 White; Timothy P. Modular guitar system
US6265648B1 (en) 1999-05-17 2001-07-24 Richard Ned Steinberge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6051766A (en) 1999-05-27 2000-04-18 Taylor-Listug, Inc. Adjustable guitar neck
AU3885000A (en) 1999-05-27 2000-12-18 Taylor-Listug, Inc. Adjustable guitar neck
US6262353B1 (en) 1999-12-17 2001-07-17 Patrick Murray Stringed instrument with improved neck and body attachment
US6888055B2 (en) 2002-07-08 2005-05-03 Fender Musical Instruments Guitar neck support rod
US6759581B2 (en) 2002-09-30 2004-07-06 Taylor-Listug, Inc. Acoustic stringed instrument body with relief cut
AU2003902087A0 (en) 2003-05-01 2003-05-22 Australian Native Musical Instruments Accoustic guitar
US7157634B1 (en) 2003-07-30 2007-01-02 Babicz Jeffrey T String instrument
JP2006047713A (ja) 2004-08-05 2006-02-16 Yamaha Corp 弦楽器のネック取付構造
US7208664B1 (en) 2005-07-22 2007-04-24 Regenberg Richard F Acoustic stringed instrument with improved cutaway and neck-body joint
US7189907B1 (en) 2005-08-30 2007-03-13 117506 Canada Inc. Neck assembly for an acoustic guitar
WO2007047731A2 (en) 2005-10-17 2007-04-26 Patrick Murray Improved neck and body attachment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7465859B2 (en) 2006-06-01 2008-12-16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Headblock and fingerboard support
US7476790B2 (en) 2006-10-20 2009-01-13 Taylor-Listug, Inc. Musical instrument neck joint
US7838750B2 (en) 2007-03-22 2010-11-23 Gibson Guitar Corp. Musical instrument sloped neck joint
US7659464B1 (en) 2007-11-29 2010-02-09 Victor Nickolas Kokodis Neck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GB2460245B (en) 2008-05-21 2010-07-21 Ibc Trading Ltd An adjustable neck mounting assembly for a stringed instrument
US7816592B2 (en) 2008-06-16 2010-10-19 Babicz Jeffrey T Stringed instrument string action adjustment
KR100999249B1 (ko) 2008-08-04 2010-12-07 김종훈 네크각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기타
US7932448B1 (en) 2008-10-08 2011-04-26 Bochar Jr Joseph Keyway neck joint for a stringed instrument
US7893328B1 (en) 2009-03-27 2011-02-22 Robert Joseph Rigaud Neck and body joint for a musical instrument
US7705224B1 (en) 2009-08-13 2010-04-27 John Ward Portable travel guitar
US7932449B1 (en) 2009-10-30 2011-04-26 Yamaha Corporation Neck joint structur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20120312142A1 (en) 2010-02-02 2012-12-13 Eko Music Group S.P.A. Guitar with handle fixed with fast-fixing means
IT1398037B1 (it) 2010-02-12 2013-02-07 Eko Music Group S P A Chitarra con manico fissato con mezzi di arresto rapido.
JP5879135B2 (ja) 2012-01-18 2016-03-08 有限会社 フリーダム カスタムギターリサーチ ギターのネックボディ接合装置
US8835730B2 (en) 2012-01-18 2014-09-16 Voyage-Air Guitar Inc. Latch for travel guitar with hinged neck
US8975501B2 (en) * 2013-03-14 2015-03-10 FretLabs LLC Handheld musical practice device
CN103915082A (zh) 2014-03-31 2014-07-09 广州市尚律曼森乐器制造有限公司 吉他柄桶榫位结构
US9368092B2 (en) 2014-07-24 2016-06-14 Stuart A. HOOKER Neck adjustment mechanism for string instrument
CN105225656B (zh) 2015-10-08 2018-11-13 广州市威柏乐器制造有限公司 一种分体组装的吉他及其制作方法
US9454947B1 (en) 2016-01-04 2016-09-27 Philip Hart Guitar having detachable neck
JP6856261B2 (ja) 2016-03-11 2021-04-07 株式会社セッショナブル 電気ギター
CN206340330U (zh) 2016-12-16 2017-07-18 曹正樑 一种吉他
ES2675826B1 (es) 2017-01-12 2018-12-11 Llevinac, S.L. Instrumento musical de cuerda
JP6820760B2 (ja) 2017-02-01 2021-01-27 直之 穴澤 エレキギタ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5712A1 (en) 2002-01-11 2003-08-07 Steinberger R. Ned Stringed musical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6970A1 (en) 2020-12-24
GB202200780D0 (en) 2022-03-09
MX2021016028A (es) 2022-04-07
DE112020002978T5 (de) 2022-03-03
CN114072871A (zh) 2022-02-18
US10803840B1 (en) 2020-10-13
KR20220020983A (ko) 2022-02-21
GB2600313A (en) 2022-04-27
GB2600313B (en)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24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lly adjusting and providing tempered intonation for stringed, fretted musical instruments, and making adjustments to the rule of 18
US54047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lly adjusting and intonating an acoustic guitar
US7638697B2 (en) Apparatus for coupling strings to the body of a stringed instrument and related methods
KR102619069B1 (ko) 악기를 위한 선형 도브테일 목부 조인트
US10586517B2 (en) Intonation system for stringed instruments
US6706957B1 (en) Intonation system for fretted instruments
US7659464B1 (en) Neck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20030145712A1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20070107579A1 (en) String instrument
US7157634B1 (en) String instrument
US6037532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ith removable fingerboard
US9520109B1 (en) Modular adjustable fretboard apparatus
US58147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lly adjusting and intonating stringed, fretted musical instruments, and making adjustments to the rule of 18
US11158293B1 (en) Musical instrument with interchangeable parts
US7208664B1 (en) Acoustic stringed instrument with improved cutaway and neck-body joint
US20130145919A1 (en) Tone control device for use with a musical instrumen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59556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lly adjusting and providing tempered intonation for stringed, fretted musical instruments, and making adjustments to the rule of 18
US9881593B2 (en) Modular adjustable fretboard apparatus
US6693233B1 (en) Neckless lap guitar
US20120090444A1 (en) Fingerboard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3523479A (en) Shell violin with floating sound board
US20170249928A1 (en) Tailpiece for a string instrument
WO2009029128A1 (en) Fret and fingerboard for stringed instruments
US82940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nut of stringed instrument
US6750385B1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