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901B1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901B1
KR102618901B1 KR1020230087000A KR20230087000A KR102618901B1 KR 102618901 B1 KR102618901 B1 KR 102618901B1 KR 1020230087000 A KR1020230087000 A KR 1020230087000A KR 20230087000 A KR20230087000 A KR 20230087000A KR 102618901 B1 KR102618901 B1 KR 102618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hole
cover
generating device
aerosol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2380A (ko
Inventor
안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7482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42305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ublication of KR20230142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디의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삽입공간; 상기 바디에 내장되고, 상기 삽입공간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공간을 둘러싸는 히터;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간의 개구와 대향되는 상기 바디의 타측의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은, 선택적 투과성을 지닐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내부와 외부 간 기압차를 개선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방수 성능이 향상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내구성이 향상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디의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삽입공간; 상기 바디에 내장되고, 상기 삽입공간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공간을 둘러싸는 히터;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간의 개구와 대향되는 상기 바디의 타측의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은, 선택적 투과성을 지닐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기압차를 개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0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2), 제어부(4), 히터(6) 중 적어도 하나는 바디(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 제어부(4) 및 히터(6)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8) 및 히터(6)는 서로 마주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내부 구조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삽입공간(12)을 제공할 수 있다. 삽입공간(12)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스틱(200)은 삽입공간(12)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6)는 바디(10)에 결합될 수 있다. 히터(6)는 삽입공간(12)의 주변 또는 삽입공간(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6)는 삽입공간(12) 및/또는 삽입공간(12)에 삽입된 스틱(200)을 가열할 수 있다. 히터(6)는 스틱(200)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히터(6)는 전기 저항성 발열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히터(6)는 전도성을 가진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히터(6)는 삽입공간(12)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삽입공간(12)의 개구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히터(6)는 길게 연장된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터(6)는 상단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틱(200)은 삽입공간(12)에 삽입되고, 히터(6)는 스틱(2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6)는 배터리(2)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직접 발열될 수 있다. 히터(2)는 삽입공간(12)을 가열할 수 있다.
히터(6)는 삽입공간(12)을 둘러쌀 수 있다. 히터(6)는 삽입공간(12)에 삽입된 스틱(200)의 하부를 둘러쌀 수 있다. 히터(6)는 삽입공간(12)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히터(6)는 링 형상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2)는, 제어부(4), 히터(6), 및 카트리지(8)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작하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2)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미도시), 센서(미도시), 모터(미도시)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4)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는 배터리(2), 히터(6), 및 카트리지(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는 히터(6)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4)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가(100)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카트리지(8)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다. 카트리지(8)는 저장된 액체를 통해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카트리지(8)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삽입된 스틱(200)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기도로 이동될 수 있다.
스틱(200)의 하단은 삽입공간(12)에 삽입되고, 상단은 삽입공간(12)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출된 스틱(200)의 상단을 입에 물고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내부로 유입되어, 에어로졸을 동반한 다음 사용자의 기도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바디(10)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pipe)의 형상일 수 있다. 바디(10)는 내부의 중공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개구부(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는 상기 바디(10)의 일측과, 상기 일측과 대향되는 상기 바디(10)의 타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간(12)은 바디(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디(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간(12)은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공간(12)은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다.
키 어셈블리(14)는 바디(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버튼키(142)는 바디(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홀(144)은 바디(10)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버튼키(142)는 버튼홀(144)에 삽입될 수 있다. 버튼키(142)를 누르면, 버튼키(142)는 바디(10)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버튼키(142)는 제어부(4)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키(142)를 눌러 제어부(4)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키(142)를 누르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가 작동되거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헤드 케이스(11)는 바디(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바디(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헤드 케이스(11)는 일측이 개방되어 삽입공간(12)과 연통될 수 있다. 헤드 케이스(11)는 삽입공간(12)을 개폐하는 캡(13)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30)는 바디(10)의 개구된 타측을 덮을 수 있다. 커버(30)는 바디(10)의 타측을 덮도록 상기 바디(10)의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는 원형, 직사각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바디(10)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홀(42)과, 상기 관통홀(42)을 커버하는 멤브레인(50)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바디(10)의 타측을 형성하는 베이스(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42)은 삽입공간(12)이 형성된 바디(10)의 일측과 대향되는 상기 바디(1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2)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2)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2)을 통하여 바디(10)의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는 교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내부와 외부 간 기압차가 개선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삽입공간(12)이 형성된 바디(10)의 일측과 대향되는 상기 바디(10)의 타측을 형성하는 베이스(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0)는 바디(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40)는 바디(10)의 타측을 폐쇄할 수 있다.
관통홀(42)은 베이스(40)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2)은 베이스(40)의 두께 방향, 즉 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4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40)는 관통홀(42) 주위에서 함몰된 리세스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부(44)는 관통홀(42)로부터 이격되어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44)는 관통홀(42)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리세스부(44)의 크기는 관통홀(42)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관통홀(42)과 리세스부(44)는 원의 형상이다.
멤브레인(50)은 리세스부(44)에 안착될 수 있다. 리세스부(44)는 멤브레인(50)의 설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리세스부(44)는 멤브레인(50)이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멤브레인(50)은 베이스(40)의 관통홀(42) 주위에서 함몰된 리세스부(44)에 안착될 수 있다.
베이스(40)는 바디(10)의 개구된 타측을 폐쇄하는 그라운드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부(45)는 바디(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라운드부(45)는 양단부가 일측으로 벤딩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라운드부(45)는 바디(10)의 길이 방향으로 양단부가 벤딩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40)는 파운데이션(46)을 포함할 수 있다. 파운데이션(46)은, 상기 베이스(40)로부터 상승되어, 후술되는 가스켓(50)이 안착되는 평탄면(460)을 구비할 수 있다. 파운데이션(46)은 그라운드부(45)로부터 상승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파운데이션(46)의 측면과 바디(10)의 내면 사이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운데이션(46)의 측면과 바디(10)의 내면 사이로 테이퍼 유로(82)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40)는 바디(10)의 길이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도록 벤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40)는 라운딩되어 연장된 베이스 사이드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사이드부(48)는 바디(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사이드부(48)는 바디(10)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베이스 사이드부(48)는 중심부가 외측으로 연장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되는 돌기(362, 도 6 참조)가 삽입되는 홈(482)은 베이스 사이드부(48)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362)는 베이스 사이드부(48)에 수직하여, 바디(1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40)는 곡면을 형성하도록 라운딩된 베이스 라운딩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라운딩부(47)는 베이스(40)의 그라운드부(45)와 베이스 사이드부(4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라운딩부(47)는 그라운드부(45)와 베이스 사이드부(48)를 연결할 수 있다. 베이스 라운딩부(47)는 그라운드부(45)와 베이스 사이드부(48)를 곡면의 형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베이스 라운딩부(47)는 중심부가 외측으로 연장된 곡면의 형상일 수 있다. 후술되는 가이드 리브(342, 도 6 참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472)은 베이스 라운딩부(47)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472)은 바디(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472)은 베이스(40)에 수직하여, 바디(1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472)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배터리(2)를 충전시키는 충전모듈(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모듈(16)은 충전단자(164)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단자(164)는 배터리(2)에 연결될 수 있다. 충전단자(164)는 베이스(4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베이스(40)에는 충전단자(164)가 관통되는 충전홀(452)이 형성될 수 있다. 충전홀(452)은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홀(452)은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멤브레인(50)은 관통홀(42)의 입구 또는 출구에 배치될 수 있다. 멤브레인(50)은 관통홀(4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멤브레인(50)은 베이스(40)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멤브레인(50)은 바디(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멤브레인(50)은 막(film)일 수 있다. 멤브레인(50)은 기능성 막일 수 있다. 멤브레인(50)은 유체를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멤브레인(50)은 액체를 투과시키지 않을 수 있다. 멤브레인(50)은 기체를 투과시킬 수 있다. 멤브레인(50)은 기체는 양 방향으로 투과시키고, 액체는 일 방향으로만 투과시킬 수 있다. 멤브레인(50)은 바디(10)의 외부에서 내부로 흐르는 액체를 투과시키지 않고, 상기 바디(10)의 내부에서 외부로는 흐르는 액체를 투과시킬 수 있다. 멤브레인(50)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내부의 액체는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의 액체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내부로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내부와 외부 간 기압차를 개선할 수 있다.
멤브레인(50)은 패브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50)은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합성 수지는 선택적 투과성을 지닐 수 있다.
멤브레인(50)은 격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과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50)은 관통홀(4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50)의 크기는 리세스부(44)의 크기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50)은 관통홀(4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멤브레인(50)의 크기는 상기 관통홀(42)의 내경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바디(10)의 타측을 덮는 커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커버(30)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가스켓(7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30)는 바디(10)의 타측을 덮는 커버 플레이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30)는 바디(10)의 길이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도록 벤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
바디(10)는 커버(30)가 장착되도록, 상기 바디(10)의 측면의 일부가 절개될 수 있다. 바디(10)는 커버(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다. 커버(30)가 바디(10)에 결합되면, 베이스(4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커버(30)는 라운딩되어 연장된 커버 사이드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사이드부(36)는 바디(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사이드부(36)의 내측에는 돌기(362)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362)는 베이스(40)에 형성된 홈(482)에 삽입되어, 커버(30)가 베이스(40)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돌기(362)는 바디(10)의 내측을 향하여 커버 사이드부(36)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돌기(362)는 바디(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는 곡면을 형성하도록 라운딩된 커버 라운딩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라운딩부(34)의 내측에는 가이드 리브(34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342)는 바디(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342)는 베이스(40)에 형성된 가이드 홈(472)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30)에는 충전모듈(16)의 충전단자(164)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충전슬롯(322)이 형성될 수 있다. 충전슬롯(322)은 충전단자(16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슬롯(322)은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스켓(70)은 베이스(40)와 커버(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스켓(70)은 베이스(40) 및/또는 커버(30)에 접촉될 수 있다. 가스켓(70)은 베이스(40)의 파운데이션(46)에 접촉될 수 있다. 가스켓(70)의 크기는 베이스(40)의 크기보다는 작을 수 있다. 가스켓(70)은 파운데이션(46)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7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70)은 멤브레인(50)이 배치되는 가스켓 홀(7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 홀(72)은 멤브레인(5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멤브레인(50)과 가스켓 홀(72)은 원의 형상이다. 가스켓 홀(72)의 크기는 멤브레인(50)의 크기보다는 클 수 있다.
가스켓(70)은 가스켓 홀(72)로부터 상기 가스켓(70)의 엣지까지 절개된 절개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74)는 가스켓 홀(72)로부터 소정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74)는 가스켓 홀(72)로부터 바디(10)와 커버(30)가 형성하는 갭(20)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절개부(74)는 가스켓 홀(72)로부터, 가장 짧은 유로를 형성하도록 인접하는 바디(10)와 커버(30)가 형성하는 갭(20)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가스켓(70)은 서로 이격된 절개부(74) 사이에 형성된 절개유로(86)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유로(86)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관통홀(42)을 통해 출입될 수 있다. 절개유로(86)의 폭은 가스켓 홀(72)의 폭보다는 좁을 수 있다. 절개유로(86)는 가스켓 홀(72)과 바디(10)와 커버(30)가 형성하는 갭(20)을 연결할 수 있다. 가스켓(70)과 바디(10)와 커버(30)가 형성하는 갭(20) 사이의 거리는 가스켓 홀(72)로부터 멀어지면서 점점 커질 수 있다. 가스켓(70)은 절개부(74)가 형성된 방향으로 일부가 연장된 돌출부(76)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76)는 바디(10)와 커버(30)가 형성하는 갭(20)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돌출부(76)와 바디(10)의 내면 사이에는 모세유로(84)가 형성될 수 있다. 모세유로(84)는 절개유로(86)와 연결될 수 있다.
테이퍼 유로(82)는 가스켓(70)의 절개부(74)가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부(76)가 연장되지 않은 상기 가스켓(70)의 나머지 일부와 바디(10)의 내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 유로(82)의 폭은 가스켓 홀(72)로부터 멀어지면서 점점 커질 수 있다. 테이퍼 유로(82)의 폭은 모세유로(84)와 가까워질수록 점점 좁아질 수 있다. 테이퍼 유로(82)는 커버 라운딩부(34)와 베이스 라운딩부(47) 사이에 형성된 갭(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테이퍼 유로(82)는 모세유로(84)와 연결될 수 있다. 모세유로(84)는 테이퍼 유로(82)와 절개유로(86)를 연결할 수 있다.
파운데이션(46)은 베이스(40)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들어간 덴트부(462)를 포함할 수 있다. 덴트부(462)의 측면과 바디(10)의 내면 사이에는 테이퍼 유로(82)가 형성될 수 있다.
파운데이션(46)은 가스켓(70)의 절개부(74)가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디(10)의 내측에 접하도록 형성된 데크부(464)를 포함할 수 있다. 데크부(464)에는 가스켓(70)의 돌출부(76)가 배치될 수 있다. 데크부(464) 상에는 모세유로(84)가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70)은 커버(30)와 베이스(4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30)를 상기 베이스(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스켓(70)은 접착 부재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가스켓(70)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양면 접착 부재일 수 있다.
가스켓(70)은 유체를 투과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바디(10)와 커버(30)가 형성하는 갭(20)을 포함할 수 있다. 갭(20)은 바디(10)와 커버(30)가 접하는 엣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갭(20)을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교환될 수 있다. 갭(20)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테이퍼 유로(82), 모세유로(84), 절개유로(8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관통홀(42)로 이동할 수 있다. 갭(20)을 통하여 유입된 액체는 멤브레인(50)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내부로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바디(10)와 커버(30)가 형성하는 갭(20)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는, 상기 커버(30)의 엣지에 인접하고, 바디(10)를 마주하는 경사면(38)을 구비할 수 있다. 커버(30)의 경사면(38)은, 가스켓(70)의 절개부(74)와 연결된 갭(20)을 형성하는 커버(30)의 엣지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의 경사면(38)은 커버(30)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는, 커버(30)의 경사면(38)과 마주하는 경사면(18)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의 경사면(18)은, 가스켓(70)의 절개부(74)와 연결된 갭(20)을 형성하는 바디(10)의 엣지에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의 경사면(18)은 바디(10)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갭(20)은 커버(30)의 경사면(38)과 바디(10)의 경사면(18)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베이스(40)와 바디(10)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실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러(60)는 베이스(40)와 바디(10)의 내면 사이를 따라 배치되는 루프의 형상일 수 있다. 실러(60)는 바디(10)의 내면에 접하도록 상기 실러(60)의 길이를 따라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리브(미부호)와, 상기 리브 사이의 그루브(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0)에는 실러(60)가 장착될 수 있는 홈(미부호)이 구비될 수 있다. 홈은 바디(10)의 내면에 마주하는 베이스(40)의 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베이스(40)가 장착되는 브라켓(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90)은 바디(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90)은 베이스(40)를 지지하는 돌출벽(92)이 구비될 수 있다. 돌출벽(92)은 베이스(40)가 바디(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여 배치되게 한다. 브라켓(90)은 베이스(40)의 관통홀(42)과 연통되도록, 돌출벽(92)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중공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0)와 접하는 브라켓(90)의 일측과 대향되는 상기 브라켓(90)의 타측에는 배터리(2)가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90)은 배터리(2)와 베이스(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으로 개구된 삽입공간;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공간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바디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의 타측은 상기 바디의 일측과 대향되고, 상기 바디의 타측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상기 관통홀 주위에서 함몰된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리세스부에서, 상기 관통홀을 덮을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세스부의 크기는 상기 관통홀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멤브레인의 크기는 상기 관통홀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리세스부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멤브레인은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의 타측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엣지에 인접하고, 상기 바디를 마주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커버의 경사면과 마주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의 경사면은 상기 바디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경사면은 상기 바디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를 지닐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와 커버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가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멤브레인이 배치되는 가스켓 홀과, 상기 가스켓 홀로부터 상기 가스켓의 엣지까지 절개된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가스켓 홀로부터 상기 바디와 상기 커버가 형성하는 갭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스켓은, 상기 가스켓의 엣지와 상기 바디와 상기 커버가 형성하는 갭 사이의 거리가, 상기 가스켓 홀로부터 멀어지면서 점점 커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방향으로 일부가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디와 상기 커버가 형성하는 갭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승되어 상기 가스켓이 안착되는 평탄면을 구비하는 파운데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운데이션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 들어간 덴트부와, 상기 가스켓의 절개부가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디의 내측에 접하도록 형성된 데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스켓은 상기 커버와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와 커버는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도록 벤딩되어 연장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커버가 장착되도록, 상기 바디의 측면의 일부가 절개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는 각각 라운딩되어 연장된 베이스 사이드부와 커버 사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사이드부의 내측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사이드부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와 커버는 곡면을 형성하도록 라운딩된 베이스 라운딩부와 커버 라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라운딩부의 내측에는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라운딩부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4)

  1.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디의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삽입공간;
    상기 바디에 내장되고, 상기 삽입공간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공간을 둘러싸는 히터;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간의 개구와 대향되는 상기 바디의 타측의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홀;
    선택적 투과성을 지니며,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멤브레인; 및
    상기 베이스 상에 접착되고, 상기 멤브레인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바디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를 마주하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베이스에 접착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내장되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모듈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는 충전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충전홀에 대응하고, 상기 커버를 관통하는 충전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충전홀 및 상기 충전슬롯은,
    상기 충전단자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멤브레인의 크기는,
    상기 관통홀의 크기보다 큰 에어로졸 생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버튼홀; 그리고
    상기 버튼홀에 삽입되는 버튼키;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간을 개폐하는 캡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30087000A 2022-04-01 2023-07-05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18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123 2022-04-01
KR20220041123 2022-04-01
KR1020220074824A KR20230142305A (ko) 2022-04-01 2022-06-20 에어로졸 생성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824A Division KR20230142305A (ko) 2022-04-01 2022-06-20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380A KR20230142380A (ko) 2023-10-11
KR102618901B1 true KR102618901B1 (ko) 2023-12-28

Family

ID=88203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7000A KR102618901B1 (ko) 2022-04-01 2023-07-05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8901B1 (ko)
WO (1) WO2023191581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88362T3 (es) * 2011-12-08 2018-11-02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tivo generador de aerosol con tobera de flujo de aire
KR102628155B1 (ko) * 2015-02-27 2024-01-23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한 피드백 제어 rtd 조정
KR20200028337A (ko) * 2017-07-10 2020-03-1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환기 기류를 갖는 카트리지 조립체
KR102138245B1 (ko) * 2017-10-30 2020-07-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10750787B2 (en) * 2018-01-03 2020-08-25 Cqens Technologies Inc. Heat-not-burn device and method
KR102274248B1 (ko) * 2018-04-24 2021-07-07 주식회사 아모센스 궐련형 전자담배장치용 히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궐련형 전자담배장치
KR102135804B1 (ko) * 2018-06-05 2020-07-20 주식회사 이엠텍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발생기용 카토마이저
BR112021008572A2 (pt) * 2018-12-07 2021-08-03 Philip Morris Products S.A. atomizador e sistema gerador de aerossol compreendendo um atomizador
KR102355185B1 (ko) * 2019-12-19 2022-01-25 주식회사 이엠텍 에어로졸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581A1 (en) 2023-10-05
KR20230142380A (ko) 202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39375A1 (en) Power supply section configuration for an electronic vaping device and electronic vaping device
EP3616538B1 (en) Heating assembly, atomizer and electronic atomizing device
EP3750430A1 (en) Electronic cigarette having double-cavity double-air-channel atomizer
US20220409832A1 (en)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and atomization assembly
CN104602552B (zh) 带密封的筒的电子香烟
JP2023508125A (ja) 電子霧化装置及びそのアトマイザー
KR10261890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3040837A1 (zh) 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器
KR20230142305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210248376U (zh) 一种可更换雾化芯的烟弹及电子烟
CN218126946U (zh) 气溶胶产生装置
WO2023283961A1 (zh) 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器和雾化组件
KR10250116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212754255U (zh) 烟弹及电子烟
KR10265958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210611027U (zh) 电池组件及电子烟
CN216568321U (zh) 电子雾化装置及其主机
CN218650279U (zh) 电子雾化装置
CN214340089U (zh) 加热雾化装置及电子设备
CN216568320U (zh) 电子雾化装置及其主机和导气架
CN216568319U (zh) 电子雾化装置及其主机
CN215455378U (zh) 电子雾化装置
KR102657026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3008253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214340093U (zh) 供电装置及双烟弹电子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