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800B1 - Fire damper - Google Patents

Fire dam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800B1
KR102618800B1 KR1020230001869A KR20230001869A KR102618800B1 KR 102618800 B1 KR102618800 B1 KR 102618800B1 KR 1020230001869 A KR1020230001869 A KR 1020230001869A KR 20230001869 A KR20230001869 A KR 20230001869A KR 102618800 B1 KR102618800 B1 KR 102618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blocking
duct
passag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18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홍범
Original Assignee
최홍범
아그니코리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홍범, 아그니코리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호성 filed Critical 최홍범
Priority to KR1020230001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8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8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62C2/14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 A62C2/16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multi-vane roll or fold-up ty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1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 A62C2/242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with fusible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어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발생 시 화염, 유독성 연기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수직으로 설치된 덕트의 적용되어, 비화재시 쓰레기나 기타 각종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어 댐퍼는, 덕트의 내벽면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화재 발생 시, 회동작동에 의해 전개되어 양측면 및 서로 마주하는 끝단이 서로 접촉되는 형태로 상기 덕트의 통로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amper, which can prevent the spread of flames, toxic smoke, etc. in the event of a fire. In particular, by applying a vertically installed duct, it can minimize the trapping of garbage or other foreign substances in the event of a fire. The purpose is to
The fire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distance along the inner wall of the duct, and when a fire occurs, it is deployed through a rotational action to block the passage of the duct in such a way that both sides and the ends facing each othe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t includes a blocking part that does.

Description

파이어 댐퍼{FIRE DAMPER}Fire Damper {FIRE DAMPER}

본 발명은 파이어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발생 시 화염, 유독성 연기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수직으로 설치된 덕트의 적용되어, 비화재시 쓰레기나 기타 각종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파이어 댐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amper,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prevent the spread of flames and toxic smoke in the event of a fire. In particular, by applying a vertically installed duct, it prevents garbage and various other foreign substances from getting caught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about a fire damper that can be minimized.

일반적으로 건물 건축시에는 건물의 실내에서 발생되는 고열, 다습, 악취, 먼지, 유해가스 또는 연기 등을 건물 외부로 배출하여 건물 실내의 거주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건물 내부에 배기설비를 시공하게 된다.In general,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exhaust facilities are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to maintain a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inside the building by discharging high heat, high humidity, bad odor, dust, harmful gases, or smoke generated inside the building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do.

배기설비는 배기덕트와, 방화격벽의 일측과 타측의 배기덕트를 연결해 주기 위해 방화격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기덕트연결구 및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브로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건물의 실내에서 발생되는 고열, 다습, 악취, 먼지, 유해가스 또는 연기 등을 흡기하여 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설비이다.Exhaust equipment consists of an exhaust duct, an exhaust duct connector installed through the fire partition to connect the exhaust ducts on one side of the fire partition and the other side, and a blower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eliminating the high heat generated inside the building. This is an exhaust system installed inside a building to absorb moisture, bad odors, dust, harmful gases or smoke, and discharge them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배기덕트는 건물 실내의 내벽에 단부가 인출되어 인출된 단부를 통하여 또는 인출된 단부에 연결된 플렉시블덕트를 통하여 흡기되는 건물의 각 실내에서 발생되는 고열, 다습, 악취, 먼지, 유해가스 또는 연기 등의 이동 통로가 된다.Exhaust ducts have an end drawn out from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s interior, and are used to remove high heat, humidity, odor, dust, harmful gases, or smoke generated in each room of the building, which is sucked in through the drawn end or through a flexible duct connected to the drawn end. It becomes a passageway for movement.

또한, 배기덕트연결구는, 상기 배기덕트 인접 배기덕트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이다.Additionally, the exhaust duct connector is a connector for connecting exhaust ducts adjacent to the exhaust duct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브로워는, 건물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덕트(a)를 통해 건물의 실내에서 발생되는 고열, 다습, 악취, 먼지, 유해가스 또는 연기 등을 흡기하여 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흡기팬이다.In addition, the blower is an intake fan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to suck in high heat, humidity, bad odor, dust, harmful gases, or smoke generated inside the building through the exhaust duct (a)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물의 배기설비(A)는, 평상시에는 건물의 실내에서 발생되는 고열, 다습, 악취, 먼지, 유해가스 또는 연기 등을 흡기하여 건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건물 각 실내의 거주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하게된다.The building's exhaust system (A),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normally absorbs high heat, humidity, odor, dust, harmful gases, or smoke generated inside the building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reby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inside each building. It plays a role in keeping you comfortable.

그러나, 상기 배기설비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배기덕트를 통해 침투되는 고열의 화염이 배기덕트를 통해 빠른 속도로 이동하며 건물 내의 방화격벽을 넘나들며 전파되어 화재 확산의 통로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However, when a fire breaks out in a building, the exhaust equipment functions as a passage for fire spread by allowing high-temperature flames penetrating through the exhaust duct to move at high speed through the exhaust duct and spread across the fire partition walls in the building. do.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배기덕트연결구로써 철재로 된 방화댐퍼(철재의 통체 중간에 차단판이 설치된 공지의 종래 방화댐퍼를 말함, 이하 '종래 방화댐퍼'라 함)를 건물의 방화격벽에 설치함으로써 화재가 건물의 방화격벽을 넘나들며 확산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conventional fire dampers made of steel (refers to known conventional fire dampers with a blocking plat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steel body,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ventional fire dampers') as exhaust duct connectors are installed on the fire partition wall of the building to prevent fire. This prevents it from spreading across the building's fire barrier.

종래 방화댐퍼는 덕트의 정중앙에 90도 각도로 회동되는 구조로 적용되어, 비화재시 덕트의 내부공간을 개방하고, 화재시 90도 각도로 회동되어 가장지리면이 덕트의 내벽면에 밀착되면서 덕트의 내부공간을 폐쇄하게 된다.Conventional fire dampers are applied in a structure that rotates at a 90-degree angle in the exact center of the duct, open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duct in the event of a non-fire, and rotating at a 90-degree angle in the event of a fire, so that the geographic edg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duct, The internal space of the is closed.

이러한 방화댐퍼는 덕트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구조에서는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덕트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경우 덕트의 내부로 유입된 쓰레기, 각종 이물질 등이 방화댐퍼에 걸리게 되며, 결국 화재발생시 쓰레기, 각종 이물질 등에 의해 방화댐퍼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These fire dampers can be easily us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duct is installed horizontally, but when the duct is installed vertically, trash and various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duct become caught in the fire damper, and eventually, when a fire occurs, trash and various foreign materials are trapped in the fire damp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re damper does not work due to etc.

따라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덕트에 적용되어 화재발생 시 화염, 유독성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면서, 비화재시에는 쓰레기, 각종 이물질들이 걸리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product that can be applied to vertically installed ducts to prevent the spread of flames and toxic smoke in the event of a fire, while minimizing the phenomenon of garbage and various foreign substances becoming caught in the event of a non-fire.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13618호(2022.08.16.)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113618 (2022.08.1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재발생 시 화염, 유독성 연기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수직으로 설치된 덕트의 적용되어, 비화재시 쓰레기나 기타 각종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파이어 댐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can prevent the spread of flames and toxic smoke in the event of a fire. In particular, by applying a vertically installed duct,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possible to collect waste and other various substance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ire damper that can minimize the trapping of foreign substan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는, 덕트의 내벽면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화재 발생 시, 회동작동에 의해 전개되어 양측면 및 서로 마주하는 끝단이 서로 접촉되는 형태로 상기 덕트의 통로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Fire damp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distance along the inner wall of the duct, and when a fire occurs, they are deployed through a rotational operation so that both sides and the ends facing each oth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ncludes a blocking portion that blocks the passage.

그리고, 상기 차단부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And, the blocking portion is formed in a fan shape.

또한, 상기 차단부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는 장착구; 및 상기 내벽면에 고정되고,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상기 내벽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장착구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8각형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동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Additionally, mounting hole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locking unit; and a rotation guide fixed to the inner wall, including a bracket formed in an 'L'-shaped cross-sectional shap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each of the attachments being rotatably mounted, and formed in an octagonal frame shape. Includes more wealth.

그리고, 상기 덕트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팔면체 형상의 내벽면을 갖는 중공의 연결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연결몸체의 각 내벽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몸체의 각 내벽면은 상기 차단부가 전개될 시 지지할 수 있도록 단차진 구조로 형성된다.And, it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uct and further includes a hollow connection body having an octahedral-shaped inner wall, wherein the blocking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each inner wall of the connection body, and is rotatably coupled to each inner wall of the connection body. The wall surface is formed in a stepped structure to support the blocking portion when it is deployed.

또한, 상기 차단부가 통로를 미폐쇄 하도록 각각 고정하고, 화재 시 화염에 의해 용단되면서 상기 차단부에 대한 고정력이 각각 해제되는 복수개의 퓨즈부; 및 상기 퓨즈부가 용단될 시 차단부가 상기 내벽면에 대해 직각으로 펼쳐지는 형태로 전개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use units are each fixed so that the blocking unit does not close the passage, and the fixing force for the blocking unit is released when the blocking unit is blown by a flame in the event of a fire; And it further includes an elastic support part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blocking part to unfold in a shape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inner wall surface when the fuse part is blown.

그리고, 상기 덕트에는 화재발생 시 전개된 차단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홀이 차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Additionally, an exhaust hole is formed in the duct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blocking portion to discharge air passing through the blocking portion deployed in the event of a fire to the outdoors.

또한, 상기 배출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개폐도어;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덕트의 통로에 배치되며, 에어포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화재발생 시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통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유도하는 중량부; 상기 덕트의 외부에서 상기 개폐도어에 부착되어 배출홀에 대한 폐쇄상태를 유지시키는 자석부; 상기 덕트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화재발생 시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중량부 및 자중에 의해 통로 측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자석부를 상승시켜서 상기 개폐도어에서 이탈시키는 실린더; 상기 덕트의 외부에서 상기 배출홀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일측이 건축물의 외벽을 관통하여 실외로 돌출되는 배출배관; 및 상기 배출배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덕트의 통로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팬을 더 포함한다.Additionally, an opening/closing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hole and made of a metal material; A weight portion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disposed in the passage of the duct, formed in an airfoil shape, and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the passage when a fire occurs; A magnet part attached to the opening/closing door from the outside of the duct to maintain the discharge hole in a closed state; A cylinder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uct and lifting the magnet unit to separate from the opening/closing door so that the opening/closing door rotates toward the passage side by the weight portion and its own weight in the event of a fire; a discharge pipe disposed outside the duct to face the discharge hole, one side of which penetrates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protrudes to the outdoors; and an intake fan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discharge pipe and sucking in air existing in the passage of the duct.

본 발명에 따른 파이어 댐퍼는, 화재발생 시 화염, 유독성 연기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수직으로 설치된 덕트의 적용되어, 비화재시 쓰레기나 기타 각종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ire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spread of flames and toxic smoke in the event of a fire, and in particular, by applying a vertically installed duct, i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trapping of trash or other foreign substances in the event of a fire.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에 적용된 차단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에 적용된 차단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단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적용된 차단부 및 연결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 내지 도 8의 내용에 자석부와, 실린더와, 배출관 및 흡기팬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e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e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re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locking portion applied to the fire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Figure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locking portion applied to the fire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re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locking portion in an open stat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e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locking portion and connection body applied to Figure 7.
Figure 9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gnet part, cylinder, discharge pipe, and intake fan are applied to the contents of Figures 6 to 8.
Figure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ure 9.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에 적용된 차단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에 적용된 차단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단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적용된 차단부 및 연결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6 내지 도 8의 내용에 자석부와, 실린더와, 배출관 및 흡기팬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e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e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fire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amper, Figure 4 is a plan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locking portion applied to the fire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and Figure 5 is a fire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locking portion applied to the damper in an open state,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re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fire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locking part in an open stat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amper,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locking part and the connection body applied to Figure 7, Figure 9 is a magnet part in the contents of Figures 6 to 8, It is a side view showing the cylinder, discharge pipe, and intake fan applied, and FIG.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A of FIG. 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1)는, 화재발생 시 화염, 유독성 연기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수직으로 설치된 덕트(2)의 적용될 시 각종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제품이다.The fire damp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spread of flames, toxic smoke, etc. in the event of a fire, and can minimize the trapping of various foreign substances, especially when applied to the vertically installed duct (2). This is a product that can be us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1)는, 차단부(10)와, 장착구(30)와, 회동가이드부(40)와, 퓨즈부(50) 및 탄성지지부(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e damp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ing portion 10, a mounting portion 30, a rotation guide portion 40, a fuse portion 50,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60.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차단부(10)는 덕트(2)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며, 화재 발생 시 덕트(2)의 내벽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전개되어 통로를 폐쇄함으로써, 화염, 유독성 연기 등의 확산을 차단하는 구성이다.The blocking portion 10 maintains the passage formed inside the duct 2 open, and in the event of a fire, expands to form a right angle to the inner wall of the duct 2 to close the passage, thereby preventing flame, toxic smoke, etc. It is a composition that blocks the spread of .

이를 위해 차단부(10)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덕트(2)의 내벽면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For this purpose, the blocking portions 10 are applied in plural numbers and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duct 2.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10)들은 비 화재시에는 후술되는 퓨즈부(50)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통로를 개방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in the event of a fire, the blocking units 10 are maintained in a vertical position by the fuse unit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open the passage.

이때, 차단부(10)들은 내벽면과 약 1cm 내지 3cm 정도 이격되도록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blocking portions 1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by about 1 cm to 3 cm.

즉, 차단부(10)들은 세워진 상태에서는 통로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blocking units 10 are placed at the edge of the passage in the upright state to allow smooth air flow.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10)들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화재 발생 시, 자중에 의해 회동작동 되면서 전개되어 양측면 및 서로 마주하는 끝단 등이 서로 접촉되는 형태로 통로를 폐쇄함으로써, 화염, 유독성 연기 등이 통로를 통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And, as shown in Figure 2, the blocking portions 10 ar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and are roughly fan-shaped, so that when a fire occurs, they rotate and unfold due to their own weight, so that both sides and the ends facing each other contact each other. By closing the passage in such a way that flames, toxic smoke, etc. are prevented from spreading through the passage.

즉, 차단부(10)들은 전개될 시 상호 조합에 의해 통로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blocking portions 10 are deployed, they can be formed into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passage by combining them with each other.

도면에는 통로가 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 하였는 바, 차단부(10)들은 전개될 시 덕트(2)에 대해 직각으로 펼쳐 하나의 원판을 형성하면서 통로를 폐쇄하게 된다.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assag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when the blocking portions 10 are deployed, they are expanded at right angles to the duct 2 to form a disk and close the passage.

도 2를 기준으로 차단부(10)의 내부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14)이 매립될 수 있다.With reference to FIG. 2 , magnets 14 having different polarities may be embedded inside the blocking portion 10 .

자석(14)은 차단부(10)들이 통로를 폐쇄하도록 전개되었을 경우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차단부(10)들이 수평상태 즉, 통로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When the blocking parts 10 are deployed to close the passage, the magnets 14 are attach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so that the blocking parts 10 remain in a horizontal state, that is, in a closed state.

이때, 차단부(10)의 상면에 홈이 형성되고, 홈에 자석(14)이 수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a groov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ing portion 10, and the magnet 14 may be accommodated in the groove.

도면에는 8개의 차단부(10)가 1개 세트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차단부(10)의 적용 개수는 8개 이하 또는 8개 이상일 수 있다.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eight blocking units 10 are applied as one set, but the number of blocking units 10 applied may be 8 or less or 8 or more.

아울러, 차단부(10)는 여러 세트로 적용되어 덕트(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the blocking units 10 may be applied in multiple sets and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2.

장착구(30)는 차단부(10)가 전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저면에 각각 결합된다.The mounting holes 30 are each coupled to the bottom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blocking portion 10 is deployed.

장착구(30)는 저면과 양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회동가이드부(40)가 수용되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The mounting port 30 has an open bottom and both sides, and an empty space in which the rotation guide part 40 is accommodated is formed.

이러한 장착구(30)는 회동가이드부(40)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된 상태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This mounting tool 30 can be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while being mounted in a way that surrounds the rotation guide unit 40.

회동가이드부(40)는 댐퍼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브라켓(41)을 포함한다.The rotation guide unit 40 includes a plurality of brackets 41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damper.

브라켓(41)은 회동가이드부(40)의 저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된다.The brackets 41 ar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rotation guide unit 40 so that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distance.

브라켓(41)은 대략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이 회동가이드부(40)의 저면에 결합되고, 하측이 댐퍼의 내벽면에 고정된다.The bracket 41 is formed in a roughly 'ㄴ' cross-sectional shape, with the upper sid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rotation guide portion 40 and the lower side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damper.

회동가이드부(40)는 브라켓(41)에 의해 댐퍼의 내벽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고정된다.The rotation guide portion 40 is fixed by a bracket 4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wall of the damper.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가이드부(40)는 복수개의 차단부(10)를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다각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rotation guide portion 40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frame shape to rotatably support a plurality of blocking portions 10 at the same time.

회동가이드부(40)는 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축 기능을 수행한다.The rotation guide portion 40 is formed in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performs an axial function.

즉, 장착구(30)가 회동가이드부(40)를 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단부(10)가 수직 또는 수평 형태가 되도록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mounting device 30 can be rotated around the rotation guide portion 40, and as a result, the blocking portion 10 can be rotated to be in a vertical or horizontal form.

이때, 차단부(10)의 엣지 영역(11)은 내벽면과 회동가이드의 사이 공간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고, 나머지 영역(12)은 회동가이드의 내부공간과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하 회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dge area 11 of the blocking portion 10 rotat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rotating guide, and the remaining area 12 rotates in a direction closer to or away from the inner space of the rotating guide. It can be rotated up and down.

그리고, 차단부(10)는 수직 상태에서는 통로를 개방하고, 수평 상태에서는 통로를 폐쇄한다.Additionally, the blocking unit 10 opens the passage in a vertical state and closes the passage in a horizontal state.

부가적으로, 차단부(10) 중 엣지영역의 양측 일부분은 절개되어 절개홀(10a)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edge area of the blocking portion 10 may be cut to form a cut hole 10a.

엣지영역의 양측을 절개함에 따라, 차단부(10)가 화재 발생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동될 시 차단부(10)들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cutting both sides of the edge are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locking units 10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when the blocking units 10 are rotated horizontally due to a fire.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절개홀(10a)을 매꾸는 매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 damp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 3, and may include a filling portion 130 that fills the cut hole 10a.

매꿈부(130)는 차단부(10)와 동일한 두께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ugg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of the same thickness and material as the blocking portion 10.

차단부(10)가 8개로 적용되는 바, 매꿈부(130)는 7개로 적용되어 모든 절개홀(10a)을 각각 매꾼다.As the number of blocking portions 10 is applied to 8, the number of plugging portions 130 is applied to 7 to fill all the cut holes 10a.

이때, 매꿈부(130)는 약 1/2 영역이 어느 하나의 차단부(10)에 형성된 절개홀(10a)을 매꾸고, 나머지 1/2 영역이 다른 하나의 차단부(10)에 형성된 절개홀(10a)을 매꾼다.At this time, about 1/2 of the filling part 130 fills the cut hole 10a formed in one blocking part 10, and the remaining 1/2 area fills the cutting hole 10a formed in the other blocking part 10. Fill the hole (10a).

즉, 매꿈부(130)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차단부(10)에 각각 형성된 절개홀(10a)을 공동으로 매꾼다.That is, the filling portion 130 jointly fills the cut holes 10a formed in the two adjacent blocking portions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1)는 차단부(10)가 수평 방향으로 회동될 시 매꿈부(130)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매꿈부(130)가 차단부(10)와 약 1mm 내지 5mm 정도 이격되도록 설계된다.In the fire damp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ement portion 130 is approximately in contact with the blocking portion 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engagement portion 130 when the blocking portion 10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designed to be spaced about 1mm to 5mm apart.

부가적으로 회동가이드부(40)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전개된 차단부(10)들의 저면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편(미도시)이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support pieces (not shown) that support the bottom surfaces of the deployed blocking portions 10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a certain length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rotation guide portions 40 facing each other.

지지편은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개된 차단부(1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support piece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square plate shape, and is formed to have a length capable of supporting the deployed blocking portion 10 to remain horizontal.

지지편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8쌍으로 적용된다.The support piece consists of two pairs and is applied in eight pairs.

즉, 2개의 지지편 마다 하나의 차단부(80)의 저면을 지지한다.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one blocking portion 80 is supported for each two support pieces.

퓨즈부(50)는 차단부(10)가 통로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수직으로 고정하며, 화재발생 시 수직으로 접혀있는 차단부(10)를 수평으로 펼쳐주는 구성이다.The fuse unit 50 is fixed vertically so that the blocking unit 10 maintains the passage open, and in the event of a fire, the vertically folded blocking unit 10 is horizontally unfolded.

퓨즈부(50)는 차단부(10)와 동일한 개수로 적용되어, 차단부(10)를 각각 수직으로 고정한다.The fuse units 50 are applied in the same number as the blocking units 10, and each of the blocking units 10 is fixed vertically.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부(50)는 내벽면에 설치되는 제1 퓨즈유닛(51) 및 제1 퓨즈유닛(51)과 결합되고 차단부(10)의 상측에 고정되는 제2 퓨즈유닛(52)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use unit 50 includes a first fuse unit 51 installed on the inner wall and a second fuse unit coupled to the first fuse unit 51 and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blocking unit 10. (52) may be included.

이러한 제1 퓨즈유닛(51)과 제2 퓨즈유닛(52)은 화염에 의한 열에 의해 녹아 용단될 수 있도록 납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use unit 51 and the second fuse unit 52 may be made of lead material so that they can be melted and blown by heat from a flame.

제1 퓨즈유닛(51)과 제2 퓨즈유닛(52)은 비화재시 차단부(10)가 통로를 개방하도록 하고, 화재발생 시 용단되어 차단부(10)에 대한 고정력이 해제된다.The first fuse unit 51 and the second fuse unit 52 allow the blocking unit 10 to open the passage in the event of a fire, and are blown in the event of a fire to release the fixing force to the blocking unit 10.

탄성지지부(60)는 화재발생 시 제1 퓨즈유닛(51)과 제2 퓨즈유닛(52)이 용단될 경우, 차단부(10)가 내벽면에 대해 직각으로 펼쳐져 전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elastic support portion 60 is configured to allow the blocking portion 10 to unfold at a right angle to the inner wall surface when the first fuse unit 51 and the second fuse unit 52 are blown during a fire.

탄성지지부(60)는 차단부(10)와 동일한 개수로 적용되어, 차단부(10)를 각각 탄성적으로 지지한다.The elastic support parts 60 are applied in the same number as the blocking parts 10 and elastically support the blocking parts 10, respectively.

이를 위해 탄성지지부(60)는 토션스프링,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토션스프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To this end, the elastic support portion 60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torsion spring, a coil spring, and a leaf spring, and an example formed of a torsion spring is shown in the drawing.

비 화재시 차단부(10)가 수직으로 세워져 통로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탄성지지부(60)는 내벽면과 차단부(10)의 사이에서 접혀져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In the event of a fire, while the blocking portion 10 is standing vertically and opening the passage, the elastic support portion 60 is folded between the inner wall surface and the blocking portion 10 and maintains a compressed state.

따라서, 탄성지지부(60)는 차단부(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Therefore, the elastic support portion 60 elastically supports the blocking portion 10.

이와 같이 차단부(10)들은 비 화재시 통로에 수직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화재발생 시 제1 퓨즈유닛(51)과 제2 퓨즈유닛(52)이 화염에 의해 용단되면, 각각의 탄성지지부(60)가 차단부(10)를 각각 수평으로 펼쳐 전개시킨다. 차단부(10)들은 전개될 시 대략 원판을 형성하면서 통로를 폐쇄하여 화염, 유독성 연기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In this way, the blocking portions 10 maintain a vertically folded state in the passage in the event of a fire. Also, when a fire occurs and the first fuse unit 51 and the second fuse unit 52 are blown out by flame, each elastic support part 60 unfolds the blocking part 10 horizontally. When deployed, the blocking portions 10 form approximately a disk and close the passage to prevent flames, toxic smoke, etc. from spreading.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1)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Meanwhile,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e damp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몸체(20)와, 차단부(10)와, 지지부와, 퓨즈부(50)와, 탄성지지부(60)와, 개폐도어(70)와, 중량부(80)와, 자석부(90) 및 실린더(100)와, 배출배관(110) 및 흡기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body 20, the blocking portion 10, the support portion, the fuse portion 50, the elastic support portion 60, the opening/closing door 70, the weight portion 80, and the magnet.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unit 90, the cylinder 100, the discharge pipe 110, and the intake fan 120.

연결몸체(20)는 덕트(2)와 동일하게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ody 20 may be formed in the same cylindrical shape as the duct 2.

연결몸체(20)는 턱트의 내부공간에 설치된다.The connection body 2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tuft.

이때, 연결몸체(20)의 외주연은 덕트(2)의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ng body 20 is fix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duct (2).

연결몸체(20)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덕트(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ody 20 may be applied in plural numbers and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2.

연결몸체(20)는 내벽면이 팔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inner wall of the connection body 20 is formed in an octahedral shape.

또한, 연결몸체(20)는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nection body 20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그리고, 내벽면은 상,하 방향으로 단차진 구조로 형성되어, 차단부(10)들이 전개되었을 경우,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ner wall surface is formed in a stepped structure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so that when the blocking portions 10 are deployed, they are maintained in that state.

즉, 단차부(21)의 받침면(22)이 차단부(10)의 엣지 영역(11) 저면을 지지하여, 차단부(10)들이 원판 형상으로 조합되면서 통로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supporting surface 22 of the step portion 21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area 11 of the blocking portion 10, and the blocking portions 10 are combined into a disk shape to block the passage.

받침면(22)의 상면에는 차단부(10)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blocking portion 1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surface 22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이를 위해, 받침면(22)의 상면 중앙부분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힌지편(23)이 형성되고, 차단부(10)의 하측 중앙부분은 절개되며, 절개된 부분에는 힌지편(23)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회전축(13)이 형성된다.For this purpose, a cylindrical hinge piece 23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surface 22,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blocking portion 10 is cut, and the hinge piece 23 is formed in the cut portion. A pair of rotation shafts 13 are formed, respectively inserted in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따라서, 차단부(10)는 힌지편(23)과 회전축(13)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blocking portion 10 can be rota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rough the hinge piece 23 and the rotation axis 13.

부가적으로, 받침면(22)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전개된 차단부(10)들의 저면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편(미도시)이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support pieces (not shown) that support the bottom surfaces of the deployed blocking portions 10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a certain length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supporting surfaces 22 facing each other.

지지편은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개된 차단부(1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support piece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square plate shape, and is formed to have a length capable of supporting the deployed blocking portion 10 to remain horizontal.

지지편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8쌍으로 적용된다.The support piece consists of two pairs and is applied in eight pairs.

즉, 2개의 지지편 마다 하나의 차단부(80)의 저면을 지지한다.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one blocking portion 80 is supported for each two support pieces.

본 실시예의 차단부(10)는 연결몸체(20)에 각각 적용되되, 전술한 차단부(10)와 동일하게 비 화재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연결몸체(20)의 통로를 개방하고, 화재 발생 시 자중에 의해 회동작동 되면서 전개되어 양측면 및 서로 마주하는 끝단 등이 서로 접촉되는 형태로 연결몸체(20)의 통로를 폐쇄함으로써, 유독성 연기 등이 통로를 통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blocking portion 10 of this embodiment is applied to each of the connecting bodies 20, and, like the aforementioned blocking portion 10, maintains a vertically erected state in the event of a fire to open the passage of the connecting body 20, In the event of a fire, it rotates and unfolds due to its own weight, closing the passage of the connecting body 20 in such a way that both sides and the ends facing each other contact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toxic smoke, etc. from spreading through the passage.

본 실시예의 차단부(10)의 기능은 전술한 다른 실시예의 차단부(10)와 동일함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function of the blocking unit 10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blocking unit 10 of the other embodiments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연결몸체(20)의 일측에는 배출홀(2a)이 형성된다.A discharge hole (2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body (20).

배출홀(2a)은 차단부(1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화재발생 시 유독성 가스가 차단부(10) 들의 사이 공간이나 내화성충전재를 통과하더라도 배출홀(2a)과 배출배관(110)을 통해 연결몸체(2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The discharge hole (2a) is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blocking portion (10). Therefore, in the event of a fire, even if toxic gas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locking parts 10 or the fire-resistant filler,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body 20 through the discharge hole 2a and the discharge pipe 110.

퓨즈부(50)는 연결몸체(20)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제1 퓨즈유닛(51) 및 제1 퓨즈유닛(51)과 결합되고 차단부(10)의 상측에 고정되는 제2 퓨즈유닛(5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use unit 50 is coupled to the first fuse unit 51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nnection body 20 and the second fuse unit (51) and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blocking unit 10. 52) may be included.

본 실시예의 제1 퓨즈유닛(51)과 제2 퓨즈유닛(52) 역시 화염에 의한 열에 의해 녹아 용단될 수 있도록 납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비화재시 차단부(10)가 통로를 개방하도록 하고, 화재발생 시 용단되어 차단부(10)에 대한 고정력이 해제된다.The first fuse unit 51 and the second fuse unit 52 of this embodiment may also be made of lead material so that they can be melted and blown by heat from the flame, and the blocking unit 10 may open the passage in the event of a fire. And, in the event of a fire, it melts and the fixing force on the blocking portion 10 is released.

탄성지지부(60)는 화재발생 시 제1 퓨즈유닛(51)과 제2 퓨즈유닛(52)이 용단될 경우, 차단부(10)가 내벽면에 대해 직각으로 펼쳐져 전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차단부(10)와 동일한 개수로 적용되어, 차단부(10)를 각각 탄성적으로 지지한다.The elastic support portion 60 i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blocking portion 10 to unfold at a right angle to the inner wall surface when the first fuse unit 51 and the second fuse unit 52 are blown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applied in the same number as (10), and elastically supports each blocking portion (10).

비 화재시 차단부(10)가 수직으로 세워져 통로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탄성지지부(60)는 연결몸체(20)의 내벽면과 차단부(10)의 사이에서 접혀져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In the event of a fire, while the blocking portion 10 is standing vertically and opening the passage, the elastic support portion 60 is folded betwee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nnecting body 20 and the blocking portion 10 and maintains a compressed state.

그리고, 화재발생 시 제1 퓨즈유닛(51)과 제2 퓨즈유닛(52)이 화염에 의해 용단되면, 각각의 탄성지지부(60)가 차단부(10)를 각각 수평으로 펼쳐 전개시켜 화염, 유독성 연기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when a fire occurs and the first fuse unit 51 and the second fuse unit 52 are blown out by flame, each elastic support part 60 unfolds the blocking part 10 horizontally, thereby reducing the flame and toxicity. Prevents smoke, etc. from spreading.

부가적으로, 차단부(10)가 전개된 상태를 기준으로 차단부(10)의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내화충전재가 부착될 수 있다.Additionally, a fireproof filler may be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ocking portion 10 based on the deployed state of the blocking portion 10.

내화충전재는 차단부(10)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The fireproof filler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blocking portion (10).

내화충전재는 내화성 재질로 이루어져 녹지 않는 대신, 화염에 의해 소정 온도 이상으로 주변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부풀어지면서 대략 20배 정도로 부피가 팽창된다.The fire-resistant filler is made of a fire-resistant material and does not melt, but when the surrounding temperature rises above a certain temperature due to a flame, it swells and expands approximately 20 times in volume.

따라서, 화재발생 시 차단부(10)가 전개되면서 통로를 막고, 차단부(10)의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된 내화충전재가 발포되면서 층간으로 번지는 화염을 차단하게 된다.Therefore, when a fire occurs, the blocking portion 10 is deployed to block the passage, and the fire-resistant filler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ocking portion 10 is foamed to block flames spreading between floors.

개폐도어(70)는 배출홀(2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The opening/closing door 7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hole 2a.

개폐도어(70)의 하부 양측면에는 축(71)이 각각 형성되고, 연결몸체(20)에는 축(71)이 설치되는 설치홀(2b)이 형성될 수 있다.Shafts 71 are form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opening/closing door 70, and an installation hole 2b in which the shaft 71 is installed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ng body 20.

축(71)은 설치홀(2b)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shaft 71 can be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in the installation hole 2b.

따라서, 개폐도어(70)는 배출홀(2a)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중량부(80) 및 실린더(100)의 작용에 의해 연결몸체(20)의 통로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ning/closing door 70 can maintain the discharge hole 2a in a closed state and then rotate in the direction of the passage of the connecting body 20 by the action of the weight portion 80 and the cylinder 100.

개폐도어(70)는 후술되는 자석부(90)가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자석부(90)와 반대극성을 갖는 자석(14)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door 7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o that the magnet portion 9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magnetically attached, or may be made of a magnet 14 material that has an opposite polarity to the magnet portion 90.

개폐도어(70)의 저면은 원활한 회동을 위해 곡선 형상으로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The bottom of the opening/closing door 70 may be rounded into a curved shape for smooth rotation.

중량부(80)는 개폐도어(7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연결몸체(20)의 통로에 배치된다.The weight portion 8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closing door 70 and is disposed in the passage of the connecting body 20.

중량부(80)는 비화재시 공기, 냄새 등을 신속하게 배출하도록 에어포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weight portion 80 may be formed in an airfoil shape to quickly discharge air, odor, etc. in the event of a fire.

이때, 중량부(80)는 에어포일 형상 대신 사각블록이나 원형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weight portion 80 may be formed in a square block or circular block shape instead of an airfoil shape.

중량부(80)는 소정의 무게를 갖도록 형성되어 화재발생 시 개폐도어(70)가 연결몸체(20)의 통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유도한다.The weight portion 8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eight and guides the opening/closing door 70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the passage of the connecting body 20 when a fire occurs.

자석부(90)는 연결몸체(20)의 외부에서 개폐도어(70)에 부착된다.The magnet portion 90 is attached to the opening/closing door 70 from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body 20.

이로 인해, 개폐도어(70)는 고정되어 배출홀(2a)을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Due to this, the opening/closing door 70 is fixed and the discharge hole 2a is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실린더(100)는 연결몸체(20)의 외측면에 결합된다.The cylinder 10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20.

실린더(100)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ylinder 100 may be formed as a type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실린더(100)의 피스톤은 자석부(90)에 결합된다.The piston of the cylinder 100 is coupled to the magnet portion 90.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어 댐퍼(1)는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 및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여부를 전송 받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e damp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e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and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there is a fire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화재감지센서는 건축물의 천장이나 벽면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한다.Fire detection sensors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or walls of a building and detect fire occurring inside the building.

화재감지센서는 화재를 감지 시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실린더(100) 및 흡기팬(120)을 작동시킨다.When a fire detection sensor detects a fire, it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cylinder 100 and the intake fan 120.

실린더(100)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피스톤이 상승되고, 이로 인해 자석부(90)도 상승되어 개폐도어(70)로부터 이탈된다.The piston of the cylinder 100 is raised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and as a result, the magnet unit 90 is also raised and separated from the opening/closing door 70.

따라서, 개폐도어(70)는 중량부(80) 및 자중에 의해 통로 측으로 회동되어 배출홀(2a)을 개방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opening/closing door 70 is rotated toward the passage side by the weight portion 80 and its own weight to open the discharge hole 2a.

배출배관(110)은 연결몸체(20)의 외부에서 배출홀(2a)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건축물에 시공된 층간 슬라브(3)에 안착될 수 있다.The discharge pipe 110 is arranged to face the discharge hole 2a on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body 20, and can be seated on the interfloor slab 3 constructed in the building.

배출배관(110)의 일측은 건축물의 외벽을 관통하여 실외로 돌출된다.One side of the discharge pipe 110 penetrates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protrudes outdoors.

흡기팬(120)은 배출배관(110)의 전방 또는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배출홀(2a)과 마주할 수 있다.The intake fan 12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or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discharge pipe 110 and face the discharge hole 2a.

흡기팬(120)은 차단부(10)의 상측으로 통과한 유독성 가스나 연기 등을 흡입한다.The intake fan 120 sucks in toxic gas or smok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blocking unit 10.

따라서, 유독성 가스나 연기 등은 배출배관(110)을 통해 건축물의 외부로 배출된다.Therefore, toxic gases, smoke, etc.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rough the discharge pipe 110.

이로 인해 유독성 가스나 연기가 댐퍼를 통해 다른 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is can more reliably prevent toxic gases or smoke from spreading to other floors through the damper.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interpreted.

1 : 파이어 댐퍼 10 : 차단부
10a : 절개홀 11 : 엣지 영역
12 : 나머지 영역 13 : 회전축
14 : 자석 20 : 연결몸체
21 : 단차부 22 : 받침면
23 : 힌지편 30 : 장착구
40 : 회동가이드부 41 : 브라켓
50 : 퓨즈부 51 : 제1 퓨즈유닛
52 : 제2 퓨즈유닛 60 : 탄성지지부
70 : 개폐도어 71 : 축
80 : 중량부 90 : 자석부
100 : 실린더 110 : 배출배관
120 : 흡기팬 130 : 매꿈부
1: Fire Damper 10: Blocker
10a: cut hole 11: edge area
12: Rest area 13: Rotation axis
14: Magnet 20: Connection body
21: step portion 22: support surface
23: Hinge piece 30: Mounting port
40: rotation guide part 41: bracket
50: Fuse unit 51: First fuse unit
52: second fuse unit 60: elastic support portion
70: opening/closing door 71: axis
80: weight part 90: magnet part
100: cylinder 110: discharge pipe
120: intake fan 130: knot

Claims (5)

덕트의 내벽면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화재 발생 시, 회동작동에 의해 전개되어 양측면 및 서로 마주하는 끝단이 서로 접촉되는 형태로 상기 덕트의 통로를 차단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가 통로를 미폐쇄 하도록 각각 고정하고, 화재 시 화염에 의해 용단되면서 상기 차단부에 대한 고정력이 각각 해제되는 복수개의 퓨즈부;
상기 퓨즈부가 용단될 시 차단부가 상기 내벽면에 대해 직각으로 펼쳐지는 형태로 전개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
상기 덕트에는 화재발생 시 전개된 차단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홀이 차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개폐도어;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덕트의 통로에 배치되며, 에어포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화재발생 시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통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유도하는 중량부;
상기 덕트의 외부에서 상기 개폐도어에 부착되어 배출홀에 대한 폐쇄상태를 유지시키는 자석부;
상기 덕트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화재발생 시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중량부 및 자중에 의해 통로 측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자석부를 상승시켜서 상기 개폐도어에서 이탈시키는 실린더;
상기 덕트의 외부에서 상기 배출홀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일측이 건축물의 외벽을 관통하여 실외로 돌출되는 배출배관; 및
상기 배출배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덕트의 통로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팬을 포함하는 파이어 댐퍼.
Blocking units that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inner wall of the duct at regular intervals and, in the event of a fire, are deployed through a rotational motion to block the passage of the duct in such a way that both sides and ends facing each oth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fuse units each fixed so that the blocking unit does not close the passage, and each of which is blown by a flame in the event of a fire, thereby releasing the fixing force to the blocking unit;
an elastic support portion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blocking portion to unfold in a form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inner wall surface when the fuse portion is blown;
In the duct, an exhaust hole is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blocking part to discharge air passing through the blocking part deployed in the event of a fire to the outdoors,
An opening/closing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hole and made of a metal material;
A weight portion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disposed in the passage of the duct, formed in an airfoil shape, and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the passage when a fire occurs;
A magnet part attached to the opening/closing door from the outside of the duct to maintain the discharge hole in a closed state;
A cylinder that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uct and lifts the magnet portion so that the opening/closing door rotates toward the passage side by the weight portion and its own weight to separate from the opening/closing door in the event of a fire;
a discharge pipe disposed outside the duct to face the discharge hole, one side of which penetrates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protrudes to the outdoors; and
A fire damper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ischarge pipe and including an intake fan that sucks air existing in the passage of the 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이어 댐퍼.
According to paragraph 1,
A fire damper wherein the blocking portion is formed in a fan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는 장착구; 및
상기 내벽면에 고정되고,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상기 내벽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장착구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8각형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동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파이어 댐퍼.
According to paragraph 1,
Mounting holes each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locking unit; and
A rotation guide part is fixed to the inner wall, includes a bracket formed in an 'L' cross-sectional shape,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each of the mounting fixtures is rotatably mounted,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octagonal frame. Fire damper including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팔면체 형상의 내벽면을 갖는 중공의 연결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연결몸체의 각 내벽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몸체의 각 내벽면은 상기 차단부가 전개될 시 지지할 수 있도록 단차진 구조로 형성되는 파이어 댐퍼.
According to paragraph 1,
It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uct and further includes a hollow connecting body having an octahedral-shaped inner wall,
The blocking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each inner wall of the connecting body,
A fire damper in which each inner wall of the connection body is formed in a stepped structure to support the blocking portion when it is deployed.
삭제delete
KR1020230001869A 2023-01-05 2023-01-05 Fire damper KR1026188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869A KR102618800B1 (en) 2023-01-05 2023-01-05 Fire dam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869A KR102618800B1 (en) 2023-01-05 2023-01-05 Fire dam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800B1 true KR102618800B1 (en) 2023-12-28

Family

ID=8938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1869A KR102618800B1 (en) 2023-01-05 2023-01-05 Fire dam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80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3195U (en) * 1995-09-27 1996-04-12 空調技研工業株式会社 Air volume adjustment plate
KR20100074363A (en) * 2008-12-24 2010-07-02 최창호 Ventilating hole with fire damper
KR20220113618A (en) 2021-02-06 2022-08-16 신승용 The duct pipe connector for the fire diffusion prevention equipped with the fireproof insulation damp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3195U (en) * 1995-09-27 1996-04-12 空調技研工業株式会社 Air volume adjustment plate
KR20100074363A (en) * 2008-12-24 2010-07-02 최창호 Ventilating hole with fire damper
KR20220113618A (en) 2021-02-06 2022-08-16 신승용 The duct pipe connector for the fire diffusion prevention equipped with the fireproof insulation damp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891B1 (en) Water film forming fire protecting door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618800B1 (en) Fire damper
KR101185801B1 (en) Firefighting damper system of high-rise building
JP5382458B2 (en) Mechanical smoke exhaust equipment
JP2016084673A (en) Damper gear having pressure regulating function, and fire door comprising the same
KR100597058B1 (en) Slide type flame spread protecting fireproof plate
JP2003111858A (en) Fire/smoke protection zone formation system
CN207363532U (en) A kind of explosion release window
JP3044021B1 (en) Ventilation structure of middle- and high-rise apartment houses
KR200445006Y1 (en) Device for operating folding horizontal party wall for smoke exclusion
KR20190085751A (en) Smoke air volume control damper system
KR100421806B1 (en) smoke control damper for high building
KR102320354B1 (en) Poisonous gas exhaust system
CN214664963U (en) Automatic smoke exhaust system for fire engineering
KR102198287B1 (en) Window for fire prevention of outer wall
KR101511607B1 (en) Device for shutting and rolling the dometic fire protecting screen shutter
KR102117090B1 (en) Rechargeable smoke exhaust system for fire fighting
KR102301994B1 (en) Window for fire prevention of outer wall
KR102080793B1 (en) Lever damper for smoke control of building and integrated smoke control system using it
KR200405830Y1 (en) A fire of sensing temperature motorized damper
RU2351378C1 (en) Fireproof curtain
KR20030018992A (en) smoke control system of using elevator shaft
KR200441066Y1 (en) Flap Damper Automatic modulator
JP4884794B2 (en) Fire and smoke prevention system
KR100531032B1 (en) Emergency exit protecting spread of fume and f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