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018B1 -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018B1
KR102618018B1 KR1020230055227A KR20230055227A KR102618018B1 KR 102618018 B1 KR102618018 B1 KR 102618018B1 KR 1020230055227 A KR1020230055227 A KR 1020230055227A KR 20230055227 A KR20230055227 A KR 20230055227A KR 102618018 B1 KR102618018 B1 KR 102618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gas
management system
fire prevention
switchboard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이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철 filed Critical 이승철
Priority to KR102023005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0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by using a detection device for specific gases, e.g. combustion products, produced by the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6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or the display, e.g. intermittent measurement or digital display
    • G01N33/0063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or the display, e.g. intermittent measurement or digital display using a threshold to release an alarm or display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금속함으로 구성된 배전반; 상기 금속함 내부에 설치된 타겟가스 센서유닛; 상기 금속함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타겟가스 센서유닛의 신호를 분석하는 모니터링 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분석된 타겟가스의 농도 및 타겟가스의 발생위치에 따라 단계별로 경보하고 신호하며 설치된 기기의 차단을 유도하고 이상상태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Fire prevention 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ion board}
본 발명은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타겟(target)가스를 감지하여 농도 및 센싱 위치에 따라 단계별로 경보하거나 제어하는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은 전기 공급자로부터 특고압 또는 고압 전력을 공급받아 수용기관에 적합한 전기로 변성하는 설비로 외함 내부에 각종 개폐기, 차단기, 변압기, 변류기, 보호계전기 등의 전력설비가 탑재되고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등으로 활용된다.
배전반이 다수 설치되는 병원, 발전소, 변전소, 공장 등에서는 상시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중요하기 때문에 배전반에서는 도체나 절연체의 열화에 따른 누전, 방전, 화재, 결로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엄중한 감시가 요구된다.
전기화재는 전체화재의 20%이상 차지하며 전기화재의 80% 이상 대부분은 전기설비의 도체나 절연체의 열화에 의하여 단선, 단락이나 접촉 불량 등으로 화재가 발생한다.
과전류에 의한 화재를 감시하기 위하여 정해진 용량 이상의 전류를 차단하는 계전기가 있으나, 계전기는 설치 용량이내의 전류에서 발생하는 화재전조를 감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차단기는 허용 전류 이내에서는 도체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화재전조를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배전반 화재방지를 위한 종래의 기술은 배전반 내부에 카메라, 아크 감지기, 초음파 감지기, 전자기파 감지기 등을 설치하여 모니터링하는 방식이었으나, 배전반 구조상 좁은 공간에 수많은 설비가 설치되기 때문에 빛 또는 전자파 전파에 장애물로 작용하거나 간섭되어 정확한 화재 전조증상을 감지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6659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허용 용량이외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설치된 기기의 간섭환경에 관계없이 발화온도 이전의 타겟가스를 감지하여 단계별로 경보하거나 제어하는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금속함으로 구성된 배전반; 상기 금속함 내부에 설치된 타겟가스 센서유닛; 상기 금속함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타겟가스 센서유닛의 신호를 분석하는 모니터링 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분석된 타겟가스의 농도 및 타겟가스의 발생위치에 따라 단계별로 경보하고 신호하며 설치된 기기의 차단을 유도하고 이상상태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겟가스 센서유닛은 제1 발생위치의 타겟가스가 유입되는 제1 위치 가스유입부와 제2 발생위치 타겟가스가 유입되는 제2 위치 가스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겟가스 센서유닛은 공기를 강제 순환시켜 검지된 잔류 타겟가스를 배출시키고 실시간 새롭게 유입되는 가스를 실시간 감지할 수 있는 공기 주입부와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겟가스 센서유닛은 하나의 금속함 내에 동일한 타겟가스 확산거리로 복수 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겟가스 센서유닛의 감지 회로는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저항히터를 장착하여 센싱저항에 부착된 타겟가스를 휘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경광등이나 부저 등으로 경고하는 제1 단계; 옥내소화전의 비상벨과 연동하여 비상알람하는 제2 단계; 관리자 및 소방서 등에 문자통보하는 제3 단계; 설비 전원을 강제로 차단하는 제4 단계 및 소화기를 작동시키는 제5 단계로 심각도를 판단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타겟가스 센서유닛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타겟가스 발생위치는 타겟가스 센서유닛의 맥주소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타겟가스 센서유닛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타겟가스 발생위치는 타겟가스 센서유닛의 ID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열감지, 아크감지 또는 전자기파 감지에 의한 화재예방 관리시스템은 배전반 내부에 위치한 수많은 기기장치가 설치되어 장애물로 작용하여 정확하게 감지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은 발화전에 발생하는 타겟가스의 확산으로 감지하기 때문에 장애물에 의한 간섭 영향을 덜 받아 실시간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화재를 발화 이전에 관리할 수 있다.
종래의 하나의 센서에 하나의 모니터링장치로 모니터링하는 방식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모든 배전반 센서를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로 모니터링하는 알고리즘을 제공함으로써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센서유닛을 사용해도 맥주소나 ID를 사용하여 타겟가스 발생위치와 가스 농도를 조합하여 수많은 경우의 화재 발생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전선에 사용된 피복의 열분해 가스크로마토그라피이다.
도 3은 단자대에 사용된 튜브의 열분해 가스크로마토그라피이다.
도 4는 타겟가스 발생 위치에 따라 센서유닛의 가스유로 절환부를 사용하여 감지하는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유닛의 감지회로도이다.
도 6은 모니터링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5단계로 제어하는 픽토그램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5단계 제어로직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로서, 복수의 금속함으로 구성된 배전반(1), 상기 금속함 내부에 설치된 타겟가스 센서유닛(2), 상기 금속함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타겟가스 센서유닛의 신호를 분석하는 모니터링부(3)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분석된 타겟가스의 농도와 타겟가스의 발생위치에 따라 단계별로 경보 또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4)를 포함한다.
상기 배전반은 전기 공급자로부터 특고압 또는 고압 전력을 공급받아 수용기관에 적합한 전기로 변성하는 설비로 외함 내부에 각종 개폐기, 차단기, 변압기, 변류기, 보호계전기 등의 전력설비가 탑재되고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등으로 활용된다.
배전반의 열화와 화재원인은 배전반에 사용되는 도체의 튜브나 절연 피복 등에서 온도가 올라가면 발화점 이전에 타겟가스가 발생하고 무게가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도 2는 전선에 사용된 피복의 열분해 가스크로마토그라피로 프탈레이트(phthalate) 계열의 타겟 가스가 발생한다,
도 3은 단자대에 사용된 튜브의 열분해 가스크로마토그라피로 카복실레이트(carboxlate)계열의 타겟가스가 발생한다. 프탈레이트나 카복실레이트는 가소제나 활제로 사용되는 첨가제이다. 본 발명은 프탈레이트나 카복실레이트를 타겟가스로 삼아 발화 화재가 발생하기 전에 경고하는 등 화재예방 관리를 한다.
금속함이 작아 센서유닛 하나로 모든 공간을 충분히 감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센서유닛만을 사용한다. 하나의 센서유닛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센서유닛의 가스 선택 절환부(23)를 사용하여 제1 위치 가스유입부(21)와 제2 위치 가스유입부(22)를 주기적으로 개폐하여 타겟가스 발생 위치나 거리에 따라 타겟가스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가스선택 절환부는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고 수동으로도 가능하다.
타겟가스는 상온에서는 공기보다 다소 무거워 확산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센서유닛에 팬을 장착하여 센서유닛에 신속하게 흡입시킨다. 제1 발생위치 가스는 센서유닛에서 가까운 주변에서 발생한 타겟가스로 배전반의 전력 공급 장치와 주 도체 이외의 계전기와 기기의 특정부위의 내부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2 발생위치 가스는 수중모터와 같이 센서유닛으로부터 떨어진 먼거리에서 발생하는 타겟가스를 튜브나 관을 통해 유입되는 타겟가스일 수 있다.
센서 유닛의 감지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포획된 타겟가스는 센서내에 잔류하지 않도록 환풍팬을 이용하여 강제로 배출시키고, 정화공기 주입부로 새로운 공기인 정화가스를 주입하여 리프레시함으로써 실시간 감시가 지속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금속함이 넓어 감시영역이 큰 경우, 온도상승으로 인한 발생가스를 대류의 확산에 의한 감지가 어려운 구석이나 원거리에서 발생하는 타겟가스는 감지될 때까지 시간이 지연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의 금속함 내에 동일한 타겟가스 확산거리로 센서유닛을 복수 개 배치할 수 있다.
도 4는 센서유닛의 감지회로로 가스농도에 따라 센싱저항(Rs)이 가변되어 부하(RL)에 전압(Vout)으로 출력된다. 감지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저항히터(RH)를 장착하여 센싱저항에 부착된 타겟가스를 휘발시킨다.
도 5는 모니터링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5단계로 제어하는 픽토그램이고, 도 6은 5단계 제어로직 회로도이다. 센서유닛에 감지된 저항값은 타겟가스 농도에 따라 5단계로 심각도를 판단하여 제어한다. 제1단계는 경광등이나 부저 등으로 경고하는 단계이고, 제2단계는 옥내소화전의 비상벨과 연동한 비상알람 단계이고, 제3단계는 관리자 소방서 등에 문자통보하는 단계이고, 제4 단계는 설비 전원을 강제로 차단하는 단계이고, 제5 단계는 소화기를 작동시키는 단계이다.
복수의 센서유닛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센서유닛의 맥주소(MAC address)나 ID를 사용하여 센싱 위치를 파악하여 디스플레이하고 관리자나 소방서에 문자로 통보할 수 있다.
1: 배전반 2: 타겟가스 센서유닛
3: 모니터링부 4: 통신부
21: 제1 위치 가스유입부 22: 제2 위치 가스유입부
23: 가스 선택 절환부

Claims (10)

  1. 복수의 금속함으로 구성된 배전반;
    상기 금속함 내부에 설치된 타겟가스 센서유닛;
    상기 금속함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타겟가스 센서유닛의 신호를 분석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분석된 타겟가스의 농도에 따라 단계별로 경보 또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타겟가스 센서유닛은, 제1 발생위치의 타겟가스가 유입되는 제1 위치 가스유입부와 제2 발생위치 타겟가스가 유입되는 제2 위치 가스유입부를 포함하고,
    가스 선택 절환부로 상기 제2 위치 가스유입부를 개폐하여 타겟가스의 발생위치나 거리에 따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가스는 프탈레이트(phthalate) 계열의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가스는 카복실레이트(carboxlate) 계열의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가스 센서유닛은 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실시간 발생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정화공기 주입부와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가스 센서유닛은 하나의 금속함 내에 동일한 타겟가스 확산거리로 복수 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가스 센서유닛의 감지 회로는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저항히터를 장착하여 센싱 저항에 부착된 타겟가스를 휘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경광등이나 부저 등으로 경고하는 제1 단계;
    옥내소화전의 비상벨과 연동하여 비상 알람하는 제2 단계;
    관리자 및 소방서 등에 문자통보하는 제3 단계;
    설비 전원을 강제로 차단하는 제4 단계 및
    소화기를 작동시키는 제5 단계로 심각도를 판단하여 제어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타겟가스 센서유닛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타겟가스 발생위치는 타겟가스 센서유닛의 맥주소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타겟가스 센서유닛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타겟가스 발생위치는 타겟가스 센서유닛의 ID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
KR1020230055227A 2023-04-27 2023-04-27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 KR102618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227A KR102618018B1 (ko) 2023-04-27 2023-04-27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227A KR102618018B1 (ko) 2023-04-27 2023-04-27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018B1 true KR102618018B1 (ko) 2023-12-22

Family

ID=8930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227A KR102618018B1 (ko) 2023-04-27 2023-04-27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0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100B1 (ko) * 2018-03-26 2018-05-31 주식회사 레딕스 Iot기반 전통시장 화재 확장 예방시스템
KR101966598B1 (ko) 2018-09-28 2019-04-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전반 화재 감지 및 알림 시스템
KR102156751B1 (ko) * 2020-04-01 2020-09-16 주식회사 주왕산업 전기 화재 단계별 감시 시스템
KR102402085B1 (ko) * 2021-11-09 2022-05-25 주식회사 베스텍 열화 진단 및 예방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모터제어반, 분전반)
KR20230021776A (ko) * 2021-08-06 2023-02-14 더블유에스테크 주식회사 전기화재 예방을 위한 배전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100B1 (ko) * 2018-03-26 2018-05-31 주식회사 레딕스 Iot기반 전통시장 화재 확장 예방시스템
KR101966598B1 (ko) 2018-09-28 2019-04-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전반 화재 감지 및 알림 시스템
KR102156751B1 (ko) * 2020-04-01 2020-09-16 주식회사 주왕산업 전기 화재 단계별 감시 시스템
KR20230021776A (ko) * 2021-08-06 2023-02-14 더블유에스테크 주식회사 전기화재 예방을 위한 배전반
KR102402085B1 (ko) * 2021-11-09 2022-05-25 주식회사 베스텍 열화 진단 및 예방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모터제어반, 분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775B1 (ko)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KR101587530B1 (ko) 다수의 안전장치 및 감시장치가 구비되고 원격 관리가 가능한 배전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752219B1 (ko) 배전함의 감시 시스템
KR102057494B1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336317B1 (ko) 유시티(U-city) 등 대규모 도시의 전기설비를 실시간으로 관리 및 운영을 하는 웹감시 기반 유시티 전기안전 통합관리시스템
US7391313B2 (en) Emergency power shutdown management system
KR101064867B1 (ko) 안전관리 및 인공지능형 음성경보장치와 2차원 온도센싱 장치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및 mcc,분전반
KR101286119B1 (ko) 수배전반의 도어 안전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9324527B2 (en) Arc monitor
KR20180106318A (ko) 복합 센서를 이용한 화재방지장치
KR20090020219A (ko) 원격감시 및 제어기능을 갖는 분전반의 제어장치
WO2010083839A1 (en) Fire alarm
JPWO2021095159A1 (ja) デジタルエレクトリックセフティ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US80848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re protection of electrical installations
KR20180003978A (ko) 수배전반 내에서 스스로 정확한 동작 여부를 진단하고 및 동작이 부정확하면 경보를 울리는 자가진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EP1068601B1 (en) Method for switching off a power supply in a dangerous situation and a corresponding safeguarding arrangement
KR101723217B1 (ko) 수배전반 내에서 스스로 정확한 동작 여부를 진단하고 및 동작이 부정확하면 경보를 울리는 자가진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2036311B1 (ko) 변전소 가스절연개폐기의 가스압력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618018B1 (ko) 배전반 화재예방 관리시스템
KR20200025057A (ko) 화재방지용 과열감시장치가 설치된 수배전반
KR20200014118A (ko) 이상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20230165168A (ko) 먼지 자동 제거 및 습온 제어를 통한 화재 방지 기능이 구비된 미래형 수배전반
KR20210001515A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JP5456579B2 (ja) スイッチギヤ
KR102646036B1 (ko) 큐비클 맞춤형 소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