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702B1 -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702B1
KR102617702B1 KR1020210098019A KR20210098019A KR102617702B1 KR 102617702 B1 KR102617702 B1 KR 102617702B1 KR 1020210098019 A KR1020210098019 A KR 1020210098019A KR 20210098019 A KR20210098019 A KR 20210098019A KR 102617702 B1 KR102617702 B1 KR 102617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ent
companion animal
entrance
unit
inscri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6476A (ko
Inventor
최동환
우효준
Original Assignee
(주)세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림테크 filed Critical (주)세림테크
Priority to KR1020210098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702B1/ko
Publication of KR20230016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7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반려동물이 출입하는 출입구, 상기 반려동물 중, 상기 출입구로 출입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특정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상기 반려동물의 비문을 통하여 인증하는 비문 인증부, 및 상기 비문 인증부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된 경우, 상기 특정 반려동물만 선택적으로 출입하도록, 상기 출입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Automatic door lock system for pe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려동물의 비문을 통하여, 출입구로 출입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특정 반려동물만 선택적으로 출입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국내 연구소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Kb 경영연구소의 ‘2021 한국 반려동물보고서'를 참조함), 2020년 말 기준으로, 한국에서 반려동물(pt)을 양육하는 인구는 604만 가구 1,448만 명인 것으로 추정되어, 2018년 보다 4.6 %P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약 3 가구 또는 4 가구 중 1 가구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수준에 해당되는 수치이다.
이와 같이, 근래는 반려동물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반려동물의 수에 비하여, 반려동물과 관련된 대책은 미흡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특정 반려동물만 선택적으로 출입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출입 시스템이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현재까지의 특정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은, 반려동물에 내장형 마이크로 칩을 삽입하거나, 외장형 인식표를 목걸이와 같은 형태로 채우는 수준에 있다.
다시 말해, 현존하는 반려동물의 인식 방법은, 내장형 마이크로 칩이나 외장형 인식표와 같은 반려동물의 인식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며, 특정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인식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도 미리 정해진 특정 반려동물을 인식하여, 특정 반려동물만 선택적으로 출입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출입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미리 정해진 특정 반려동물만 선택적으로 출입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반려동물의 인식을 위한 별도의 장치 없이도 반려동물을 인식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은, 반려동물이 출입하는 출입구, 상기 반려동물 중, 상기 출입구로 출입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특정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상기 반려동물의 비문을 통하여 인증하는 비문 인증부, 및 상기 비문 인증부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된 경우, 상기 특정 반려동물만 선택적으로 출입하도록, 상기 출입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출입구는, 직경이 가변되는 조리개 형태로 마련된 제1 출입구, 여닫이 또는 미닫이 형태로 마련된 제2 출입구, 상승 및 하강하는 셔터 형태로 마련된 제3 출입구,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미끄럼틀 형태로 마련된 제4 출입구, 힌지 축을 중심으로 바닥을 향하여 눕는 힌지 결합 형태로 마련된 제5 출입구, 및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이동에 따라 폭이 확장되는 고깔 형태로 마련된 제6 출입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반려동물 및 상기 특정 반려동물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게 향기를 제공하여 유도하는 유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도부는, 상기 비문 인증부에 인접하도록 마련되되 제1 향기를 제공하는 제1 향기 제공부, 상기 출입구 내측에 마련되되 제2 향기를 제공하는 제2 향기 제공부, 및 상기 출입구 외측에 마련되되 제3 향기를 제공하는 제3 향기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향기는, 간식 향기,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반려인 향기, 및 놀이도구 향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문 인증부를 통한 비문 인증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향기 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향기가 토출되도록 제1 향기 토출 제어하고, 상기 비문 인증부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되어 상기 출입구가 열린 경우, 상기 제2 향기 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2 향기가 토출되도록 제2 향기 토출 제어하여,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상기 출입구 내측 이동을 유도하고,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출입구에 진입한 경우, 상기 제3 향기 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3 향기가 토출되도록 제3 향기 토출 제어하여, 상기 특정 반려동물 외의 다른 반려동물의 상기 출입구 내측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향기의 제1 농도는, 상기 제2 향기의 제2 농도 보다 낮으며, 상기 제3 향기의 제3 농도는, 상기 제2 향기의 제2 농도 보다 높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제3 향기에 의하여 상기 출입구 외측으로 이동하려는 경우, 상기 제2 향기 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2 향기의 제2 농도가 높아지도록 농도 상승 제어하거나, 상기 제3 향기 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3 향기의 제3 농도가 낮아지도록 농도 하강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3 향기는, 간식 향기 및 놀이도구 향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향기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반려인 향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출입구에는, 상기 출입구에 인접된 반려동물의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비문 인증부의 위치가 조절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신장에 따라 상기 비문 인증부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위치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반려동물이 출입하는 출입구, 상기 반려동물 중, 상기 출입구로 출입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특정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상기 반려동물의 비문을 통하여 인증하는 비문 인증부, 및 상기 비문 인증부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된 경우, 상기 특정 반려동물만 선택적으로 출입하도록, 상기 출입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에 의하면, 비문을 통하여 미리 정해진 특정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된 특정 반려동물만 선택적으로 출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에 의하면, 비문을 통하여 상기와 같은 특정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인증하기 때문에, 종래의 내장형 마이크로 칩이나 외장형 인식표와 같이, 반려동물의 인식을 위한 별도의 장치 없이도 반려동물을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의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사람에게 지문이 있다면, 동물에게는 비문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비문이라 함은, 동물의 코에 형성된 코 주름 무늬를 일컬을 수 있다.
사람의 지문이 저마다 다르게 형성되어, 신분 확인 등에 활용되는 것처럼, 동물의 비문 또한 저마다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동물의 비문은 동물의 나이와 관계 없이 다시 말해, 동물이 나이가 들어도 변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동물 마다 다르게 형성된 비문을 이용하여 특정 동물을 인증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하에서 동물은 반려동물 즉, 사람(즉, 반려인)이 기르는 동물인 것을 상정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반려동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물의 경우에는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하에서, 반려동물은 개(dog)인 것을 상정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와 같이 코에 비문이 형성된 동물의 경우에는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이 설명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1000)은, 반려동물의 비문을 통하여 특정 반려동물의 출입을 인증하기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람의 지문이 저마다 다르게 형성되어, 신분 확인 등에 활용되는 것처럼, 반려동물 예를 들어, 개의 비문 또한 저마다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동물의 나이와 관계없이 변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반려동물의 비문을 통하여 사람의 신분 확인과 같이 특정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특정 반려동물만 선택적으로 출입하도록 마련된,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출입이라 함은, 제1 공간에서 제2 공간, 예를 들어, 실외에서 실내로 이동하는 것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인증이라 함은, 상기와 같은 반려동물의 출입에 있어서, 출입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특정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밝히는 것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특정 반려동물의 출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려동물의 비문을 통하여 반려동물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반려동물이 특정 반려동물인지를 인증하는 모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1000)은, 출입구(100), 센서부(200), 비문 인증부(300), 복합 인증부(400), 유도부(500), 카메라부(600), 및 제어부(70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이 설명된다.
출입구(100)
상기 출입구(100)는, 반려동물이 출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입구(100)는, 후술되는 비문 인증부(300)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되는 경우에, 후술되는 제어부(700)를 통하여 개폐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출입구(100)는, 예를 들어, 상기 반려동물의 신장(높이), 바디 폭 등을 포함하는 바디 프로파일이 고려되어, 상기 반려동물이 출입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출입구(1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공간에서 제2 공간, 예를 들어, 실외에서 실내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공간 및 제2 공간 사이에 개폐되도록 설치된 시설 예를 들어, 문(dr)의 일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이때의 출입구(100)는, 상기 문(dr)과는 다른 개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문(dr)은, 주로 사람이 출입하도록 마련된 시설인 한편, 상기 출입구(100)는 상기 반려동물이 출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출입구(100)는, 상기와 같은 문(dr)과는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입구(100)는, 건축물 벽면의 일 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 출입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dr)의 일 영역에 마련된 것을 상정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문(dr)과는 별도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출입구(100)는, 직경이 가변되는 조리개 형태로 마련된 제1 출입구, 여닫이 또는 미닫이 형태로 마련된 제2 출입구, 상승 및 하강하는 셔터 형태로 마련된 제3 출입구,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미끄럼틀 형태로 마련된 제4 출입구, 힌지 축을 중심으로 바닥을 향하여 눕는 힌지 결합 형태로 마련된 제5 출입구, 및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이동에 따라 폭이 확장되는 고깔 형태로 마련된 제6 출입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출입구(100)를 통하여, 상기 특정 반려동물만 선택적으로 출입하도록 고려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제1 출입구를 통하여 출입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조리개 형태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제1 출입구를 지나는 경우에만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신장(높이), 바디 폭 등을 포함하는 바디 프로파일에 따라 직경이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이는,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된 것을 상정한 것이다.
즉, 상기 특정 반려동물 외의 다른 반려동물의 관점에서, 상기 제1 출입구의 상기와 같은 조리개 형태는 직경이 가변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특정 반려동물만 선택적으로 출입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제2 출입구를 통하여 출입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여닫이 또는 미닫이 형태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제2 출입구를 지나는 경우에만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한편, 이는,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된 것을 상정한 것이다.
즉, 상기 특정 반려동물 외의 다른 반려동물의 관점에서, 상기 제2 출입구의 상기와 같은 여닫이 또는 미닫이 형태는 열리거나 닫히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특정 반려동물만 선택적으로 출입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제3 출입구를 통하여 출입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셔터 형태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제3 출입구를 지나는 경우에만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한편, 이는,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된 것을 상정한 것이다.
즉, 상기 특정 반려동물 외의 다른 반려동물의 관점에서, 상기 제3 출입구의 상기와 같은 셔터 형태는 상승 및 하강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특정 반려동물만 선택적으로 출입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제4 출입구를 통하여 출입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미끄럼틀 형태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제4 출입구를 지나는 경우에만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경사질 수 있다. 한편, 이는,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된 것을 상정한 것이다.
즉, 상기 특정 반려동물 외의 다른 반려동물의 관점에서, 상기 제4 출입구의 상기와 같은 미끄럼틀 형태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거나 경사지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특정 반려동물만 선택적으로 출입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제5 출입구를 통하여 출입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힌지 결합 형태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제5 출입구를 지나는 경우에만 바닥을 향하여 누울 수 있다. 한편, 이는,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된 것을 상정한 것이다.
즉, 상기 특정 반려동물 외의 다른 반려동물의 관점에서, 상기 제5 출입구의 상기와 같은 힌지 결합 형태는 바닥을 향하여 눕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5 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특정 반려동물만 선택적으로 출입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제6 출입구를 통하여 출입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고깔 형태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제6 출입구를 지나는 경우에만 폭이 확장될 수 있다. 한편, 이는,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된 것을 상정한 것이다.
즉, 상기 특정 반려동물 외의 다른 반려동물의 관점에서, 상기 제6 출입구의 상기와 같은 고깔 형태는 폭이 확장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6 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특정 반려동물만 선택적으로 출입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출입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 즉, 제1 공간에서 제2 공간, 예를 들어, 실외에서 실내를 향하여 연장되는 통로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출입구(100) 통로의 일 단,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 사이의 경계에는 개폐되도록 마련된 개폐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비문 인증부(300)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되어, 후술되는 제어부(700)를 통하여 상기 출입구(100)가 열림 제어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110)가 열리고(도 9, 도 10의 도면 부호 op 참조), 상기 특정 반려동물은 상기 통로를 통하여 실내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후술되는 제어부(700)를 통하여 상기 출입구(100)가 닫힘 제어될 수 있고, 이때에는 상기 개폐부(110)가 닫힌 상태(도 1, 도 4, 도 5, 도 7, 도 8, 도 11의 도면 부호 cl 참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100)가 상술된 바와 같은 통로 형태로 마련된 것을 상정하며, 상기 통로의 일 단에는 상기와 같은 개폐부(110)가 형성된 것을 상정하기로 한다.
센서부 (200)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에 인접하였는지 여부를 감지(ss)할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제어부(700)에서, 후술되는 비문 인증부(300)를 통한 비문 인증 및/또는 후술되는 복합 인증부(400)를 통한 복합 인증에 앞서, 상기 비문 인증부(300) 및/또는 상기 복합 인증부(400)의 작동 개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또는, 후술되는 제어부(700)에서, 후술되는 카메라부(600)의 작동 개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센서부(200)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에 비-인접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각 부 즉, 비문 인증부(300), 복합 인증부(400), 카메라부(600)의 작동을 미 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에너지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센서부(200)는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온도 센서, 압력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비문 인증부(300)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비문 인증부(300)는, 상기 반려동물 중,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로 출입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특정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상기 반려동물의 비문을 통하여 인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비문 인증부(300)는, 상기 반려동물의 비문을 인식할 수 있는 정전식 센서, 광학식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문 인증부(300)에는, 자체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미 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비문 인증부(300)의 상기와 같은 자체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과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과 관련된 데이터(이하, 비문 데이터)라 함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코 주름 무늬를 포함하되 나아가, 예를 들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코가 빛에 반사되어 형성되는 굴곡 형태, 상기 특정 반려동물 코의 기름진 상태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데이터에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콧구멍 형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는, 반려동물 마다 비문이 다를 뿐 아니라, 상기와 같은 코가 빛에 반사되어 형성되는 굴곡 형태, 코의 기름진 상태, 콧구멍 형태가 다름을 상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비문 인증부(300)는, 상기 반려동물의 비문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자체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서 저장 및 관리된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데이터와 대비하여, 상기 인식한 반려동물의 비문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과 매칭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매칭되는지 판단하는 것은, 상기 비문의 매칭 정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서 저장 및 관리된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과 상기 인식한 반려동물의 비문의 매칭 정도가 상기 반려인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려인이 상기 기준 범위를 매칭률 80% 이상으로 정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서 저장 및 관리된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과 상기 인식한 반려동물의 비문의 매칭 정도가 80% 이상인 경우에 매칭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는 달리, 상기와 같이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는, 상기 비문 인증부(300)와는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비문 인증부(300)에서, 상기 반려동물의 비문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인식된 비문 정보는 후술되는 제어부(7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제어부(700)에서는, 상기 비문 인증부(300)에서 인식된 반려동물의 비문과 상기와 같이 별도로 마련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서 저장 및 관리된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데이터를 대비하여, 상기 인식한 반려동물의 비문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데이터베이스와 매칭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 비문 매칭 판단은,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비문 인증부(300)를 통하여 자체적으로 수행되거나, 후술되는 제어부(700)를 통하여 수행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은, 상기 비문 인증부(300)를 통한 비문 인증은, 후술되는 제어부(700)를 통하여, 제1 차 인증 제어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비문 인증부(300)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문 인증부(300)는, 후술되는 제어부(700)에 의해, 상기 반려동물의 신장에 따라 위치가 조절되도록 위치 제어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동물 마다 신장이 다른 것에 의하여, 반려동물 마다 코가 위치한 높이가 다를 수 있고, 이에 따라, 비문 위치가 다를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이와는 달리, 비문 인증부의 위치가 조절되지 않는 경우, 비문 인증부가 마련된 위치 보다 신장이 작은 반려동물의 비문을 인증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반대로, 비문 인증부가 마련된 위치 보다 신장이 큰 반려동물의 비문을 인증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비문 인증부(300)의 위치가 상기 반려동물의 신장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반려동물의 신장에 따라 비문 인증이 용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합 인증부(400)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복합 인증부(400)는, 상기 비문 인증부(300)와 복합되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을 인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 인증부(400)는, 상기 반려동물 중, 상기 출입구로 출입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특정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상기 반려동물의 호흡 프로파일, 바디 프로파일, 머리 프로파일, 발바닥 프로파일, 및 냄새 프로파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복합 인증 정보를 통하여 인증할 수 있다.
여기에서 호흡 프로파일이라 함은, 상기 반려동물의 호흡 패턴 예를 들어, 들숨 및 날숨, 호흡 소리 톤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바디 프로파일이라 함은, 상기 반려동물의 전체 몸무게, 신장(높이), 바디 폭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복합 인증부(400)는, 상기와 같은 바디 프로파일 중 반려동물의 전체 몸무게(wt)를 통하여 인증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한편, 여기에서 머리 프로파일이라 함은, 상기 반려동물의 머리 크기, 귀 모양, 귀 색상, 혀 길이, 혀 모양, 혀 색상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발바닥 프로파일이라 함은, 상기 반려동물의 4족에 대한 발바닥 형태, 4족에 대한 무게 분포(예를 들어, 좌측 앞발, 좌측 뒷발, 우측 앞발, 우측 뒷발의 무게 분포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냄새 프로파일이라 함은, 상기 반려동물의 고유 체취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복합 인증부(400)는, 소리 감지 센서, 압력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온도 센서, 냄새 감지 센서, 바디 인식 모듈, 머리(얼굴) 인식 모듈, 발바닥 인식 모듈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합 인증부(400)에는, 앞서 상기 비문 인증부(300)를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자체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미 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합 인증부(400)의 상기와 같은 자체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복합 인증과 관련된 데이터(이하, 복합 인증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합 인증부(400)는, 상기 반려동물의 복합 인증 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자체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서 저장 및 관리된 특정 반려동물의 복합 인증 데이터와 대비하여, 상기 인식한 반려동물의 복합 인증 정보가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복합 인증 데이터와 매칭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상기와 같이 특정 반려동물의 복합 인증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는, 상기 복합 인증부(400)와는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복합 인증부(400)에서, 상기 반려동물의 복합 인증 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인식된 복합 인증 정보는 후술되는 제어부(7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제어부(700)에서는, 상기 복합 인증부(400)에서 인식된 반려동물의 복합 인증 정보와 상기와 같이 별도로 마련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서 저장 및 관리된 특정 반려동물의 복합 인증 데이터를 대비하여, 상기 인식한 반려동물의 복합 인증 정보가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와 매칭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 복합 인증 매칭 판단은,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복합 인증부(400)를 통하여 자체적으로 수행되거나, 후술되는 제어부(700)를 통하여 수행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은, 상기 복합 인증부(400)를 통한 복합 인증은, 후술되는 제어부(700)를 통하여, 제2 차 인증 제어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2 차 인증 제어는, 상기 제1 차 인증 제어 결과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매칭 정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에 미달된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유도부(500)
상기 유도부(500)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인증을 위하여, 상기 특정 반려동물에게 향기를 제공하여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유도부(500)는, 제1 향기 제공부(530), 제1a 향기 제공부(540), 제2 향기 제공부(550), 및 제3 향기 제공부(56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는, 상기 비문 인증부(300)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에서 제공하는 제1 향기(sm1)는, 간식 향기,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반려인 향기, 및 놀이도구 향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향기(sm1)는 상술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관심을 이끌 수 있는 향기이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문 인증부(300)를 통한 비문 인증의 요청이 있는 경우, 후술되는 제어부(700)에 의하여,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로부터 상기 제1 향기(sm1)가 토출되도록 제1 향기 토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를 통하여 제1 향기(sm1)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특정 반려동물은 상기 제1 향기(sm1)로부터 관심이 유발될 수 있고, 상기 제1 향기(sm1)에 이끌려,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에 다가갈 수 있다(D1).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는, 상기 비문 인증부(300)에 인접하도록 마련된 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은,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에서 제공하는 상기 제1 향기(sm1)에 이끌려,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를 향하여(D1)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에 코를 맞대고 냄새를 맡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에 인접되도록 마련된 상기 비문 인증부(300)에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코가 닿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문 인증부(300)에서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이 인식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은,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를 통한 제1 향기 토출은, 후술되는 제어부(700)를 통하여, 제1 향기 토출 제어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향기 제공부(530)를 통한 제1 향기 토출 제어는, 후술되는 제어부(700)를 통하여, 앞서 설명된 비문 인증부(300)에서의 제1 차 인증 제어 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a 향기 제공부(540)는, 상기 복합 인증부(400)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a 향기 제공부(540)에서 제공하는 제1a 향기(sm1a)도,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간식 향기,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반려인 향기, 및 놀이도구 향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합 인증부(400)를 통한 복합 인증의 요청이 있는 경우, 후술되는 제어부(700)에 의하여, 상기 제1a 향기 제공부(540)로부터 상기 제1a 향기(sm1a)가 토출되도록 제1a 향기 토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a 향기 제공부(540)는, 상기 복합 인증부(400)에 인접하도록 마련된 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은, 상기 제1a 향기 제공부(540)에서 제공하는 상기 제1a 향기(sm1a)에 이끌려, 상기 제1a 향기 제공부(54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복합 인증부(4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전체 몸무게(wt)를 통하여 인증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a 향기 제공부(540)에 인접되도록 마련된 상기 복합 인증부(400)에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 인증부(400)에서는 상기 특정 반련동물의 전체 몸무게(wt)가 측정되어 인식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은, 상기 제1a 향기 제공부(540)를 통한 제1a 향기 토출은, 후술되는 제어부(700)를 통하여, 제1a 향기 토출 제어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a 향기 제공부(540)를 통한 제1a 향기 토출 제어는, 후술되는 제어부(700)를 통하여, 앞서 설명된 복합 인증부(400)에서의 제2 차 인증 제어 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향기 제공부(550)는, 상기 출입구(100) 내측, 앞서 상정한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100)가 상기와 같은 통로 형태로 마련된 경우, 상기 통로 내측 일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향기 제공부(550)에서 제공하는 제2 향기(sm2)도,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간식 향기,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반려인 향기, 및 놀이도구 향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상기 비문 인증부(300)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가 열린 경우(op),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제어부(700)에 의하여, 상기 제2 향기 제공부(550)로부터 상기 제2 향기(sm2)가 토출되도록 제2 향기 토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출입구(100) 즉, 상기 통로 내측 이동(D3)이 유도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가 열렸으나(op),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출입구(100) 즉, 상기 통로 내측으로 이동(D2)하지 않는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이때의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에서 제공되는 제1 향기(sm1)의 제1 농도 및 상기 제1a 향기 제공부(540)에서 제공되는 제1a 향기(sm1a)의 제1a 농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향기 제공부(550)에서 제공하는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 보다 낮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향기 제공부(550)에서 제공되는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는,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에서 제공하는 제1 향기(sm1)의 제1 농도 및 상기 제1a 향기 제공부(540)에서 제공되는 제1a 향기(sm1a)의 제1a 농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보다 높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여기에서, 상기 제1 향기(sm1)의 제1 농도 및 상기 제1a 향기(sm1a)의 제1a 농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 보다 낮은 것의 의미는,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에서 상기 제1 향기(sm1)를 제공하지 않거나, 상기 제1a 향기 제공부(540)에서 상기 제1a 향기(sm1a)를 제공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제어부(700)에 의하여, 상기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가 상기 제1 향기(sm1)의 제1 농도 및 상기 제1a 향기(sm1a)의 제1a 농도 보다 높도록 제어됨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가 열린 상황에서(op),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출입구(100) 즉, 상기 통로 내측 이동(D3)이 유도되도록 고려한 것이다.
한편, 이때의 상기 제1 향기(sm1) 및 제1a 향기(sm1a)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간식 향기 및 놀이도구 향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향기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반려인 향기일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가 열린 상황에서(op),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출입구(100) 즉, 상기 통로 내측 이동(D3)이 유도되도록 고려한 것이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3 향기 제공부(560)는, 상기 출입구(100)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 향기 제공부(560)에서 제공하는 제3 향기(sm3)도,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간식 향기,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반려인 향기, 및 놀이도구 향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상기 비문 인증부(300)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가 열리고(op), 상기 센서부(200)에 의하여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출입구(100)의 개폐부(110) 진입이 감지된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제어부(700)에 의하여, 상기 제3 향기 제공부(560)로부터 상기 제3 향기(sm3)가 토출되도록 제3 향기 토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반려동물 외의 다른 반려동물의 상기 출입구(100) 즉, 상기 통로 내측 이동(D3)이 방지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되어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가 열린 상황에서(op), 상기 특정 반려동물 외의 다른 반려동물이 상기 열린 개폐부(110)를 따라 상기 통로 내측으로 이동(D3)할 수도 있는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이때의 상기 제3 향기 제공부(560)에서 제공되는 제3 향기(sm3)의 제3 농도는, 상기 제2 향기 제공부(550)에서 제공하는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제어부(700)에 의하여, 상기 제3 향기(sm3)의 제3 농도가 상기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 보다 높도록 제어됨으로써, 상기 특정 반려동물 외의 다른 반려동물의 상기 통로 내측 이동(D3)이 방지되도록 고려한 것이다.
한편, 이와는 달리 상기 제3 향기(sm3)의 제3 농도가 상기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 보다 높은 것에 의하여,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제3 향기를 따라 상기 출입구(100) 외측으로 이동하려는 경우, 후술되는 제어부(700)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향기 제공부(550)를 통하여 상기 제2 향기(sm2) 제2 농도가 높아지도록 농도 상승 제어하거나, 상기 제3 향기 제공부(560)를 통하여 상기 제3 향기(sm3) 제3 농도가 낮아지도록 농도 하강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농도 상승 제어는, 상기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가 상기 제3 향기(sm3)의 제3 농도 보다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따.
또한, 여기에서 농도 하강 제어는, 상기 제3 향기(sm3)의 제3 농도가 상기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 보다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이때의 상기 제3 향기(sm3)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간식 향기 및 놀이도구 향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향기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반려인 향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출입구(100)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통로 내측으로 이동(D3)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술되는 제어부(700)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은 상황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향기 제공부(530~560)에서 제공하는 제1 내지 제3 향기(sm1~ sm3)의 제1 내지 제3 농도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카메라부 (600)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부(600)는,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에 인접된 반려동물의 모습을 촬영(pt)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부(600)는, 상기 센서부(200)와 연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부(6000는, 상기 센서부(200)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에 인접된 것으로 감지(ss)하는 경우, 후술되는 제어부(700)에 의하여 작동이 개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술되는 제어부(700)에서는 상기 카메라부(600)를 통하여 촬영(pt)된 반려동물의 모습을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반려인에게 전송하도록 촬영 전송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반려인은, 상기 카메라부(600)를 통하여 촬영(pt)된 반려동물의 모습을 관측하고,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맞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카메라부(600)는, 상기 반려인의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피시(tablet PC) 등과 연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70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 보다 구체적으로, 앞서 상정한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100)가 상술된 바와 같은 통로 형태로 마련된 것을 상정하며, 상기 통로의 일 단에는 상기와 같은 개폐부(110)가 형성된 것을 상정한 경우, 상기 개폐부(11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된 경우에,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상기 출입구(100)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D2)을 위하여, 상기 개폐부(110)가 열리도록(op) 열림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된 경우에,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상기 출입구(100)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을 위하여, 상기 개폐부(110)가 열리도록 열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인증된 특정 반려동물의 상기 출입구(100)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또는 상기 출입구(100)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이동 후에는 상기 개폐부(110)가 닫히도록(cl, 도 11 참조) 닫힘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반려동물의 상기 출입구(100)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또는 상기 출입구(100)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이동 차단을 위하여, 상기 개폐부(110)가 열리지 않도록(cl, 도 11 참조)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문 인증부(300)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인증하도록 제1 차 인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 차 인증 제어에 있어서, 상기 비문 인증부(300)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위치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반려동물의 신장에 따라 상기 비문 인증부(300)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위치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 마다 신장이 다른 것에 의하여, 반려동물 마다 코가 위치한 높이가 다를 수 있고, 이에 따라, 비문 위치가 다를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이와는 달리, 비문 인증부의 위치가 조절되지 않는 경우, 비문 인증부가 마련된 위치 보다 신장이 작은 반려동물의 비문을 인증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반대로, 비문 인증부가 마련된 위치 보다 신장이 큰 반려동물의 비문을 인증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비문 인증부(300)의 위치가 상기 반려동물의 신장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반려동물의 신장에 따라 비문 인증이 용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 차 인증 제어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로부터 상기 제1 향기(sm1)가 토출되도록 제1 향기 토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 차 인증 결과,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매칭 정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110)가 열리도록 열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라 함은, 상기 반려인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려인이 상기 기준 범위를 매칭률 80% 이상으로 정한 경우, 앞서 설명된 비문 인증부(300)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서 저장 및 관리된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데이터와 상기 비문 인증부(300)에서 인식한 반려동물의 비문의 매칭 정도가 80% 이상인 경우에 매칭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 차 인증 결과,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매칭 정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에 미달된 경우, 상기 비문 인증부(300)와 복합하여 상기 복합 인증부(400)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인증하도록 제2 차 인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에 미달된 경우라 함은, 앞서 설명된 비문 인증부(300)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서 저장 및 관리된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데이터와 상기 인식한 반려동물의 비문의 매칭 정도가 상기 반려인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 보다 미달된 경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려인이 상기 기준 범위를 매칭률 80% 이상으로 정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에서 저장 및 관리된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데이터와 상기 인식한 반려동물의 비문의 매칭 정도가 80% 미만인 경우에 비 매칭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문 인증부(300)와 복합되어, 상기 복합 인증부(400)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인증하도록 제2 차 인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2 차 인증 제어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a 향기 제공부(540)로부터 상기 제1a 향기(sm1a)가 토출되도록 제1a 향기 토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복합 인증부(4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전체 몸무게(wt)를 통하여 인증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a 향기 제공부(540)에 인접되도록 마련된 상기 복합 인증부(400)에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 인증부(400)에서는 상기 특정 반련동물의 전체 몸무게(wt)가 측정되어 인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차 인증 제어 결과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매칭 정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에 미달된 경우, 상기 제2 차 인증 제어를 통하여 상기 비문 인증부(300)를 통한 비문 인증과 함께, 상기 복합 인증부(400)를 통한 복합 인증이 수행되므로, 상기 비문 인증만이 수행되는 경우 보다 명확하게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인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2 차 인증 제어에 앞서, 상기 제1 차 인증 결과,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매칭 정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에 미달된 경우, 상기 카메라부(600)를 통하여 촬영(pt)된 반려동물의 모습을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반려인에게 전송하도록 촬영 전송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제어부(700)에 의한 제1 및 제2 차 인증 제어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제어의 개념이라면,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반려인에 의한 수동 제어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반려인은, 상기 카메라부(600)를 통하여 촬영(pt)된 반려동물의 모습을 관측하고,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맞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려인이 상기 카메라부(600)를 통하여 촬영(pt)된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맞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상기 반려인은 상기 제어부(700)를 통하여 상기 개폐부(110)가 개폐되도록 수동 제어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반려인이 상기 카메라부(600)를 통하여 촬영(pt)된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아닌 것으로 확인한 경우, 상기 반려인은 상기 제어부(700)를 통하여 상기 개폐부(110)가 개폐되지 않도록 수동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이 경우, 상기 반려인은 상기 제어부(700)를 통하여 상기 제2 차 인증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비문 인증부(300)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가 열리도록 열림 제어한 경우(op), 상기 제2 향기 제공부(550)로부터 상기 제2 향기(sm2)가 토출되도록 제2 향기 토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상기 출입구(100) 즉, 상기 통로 내측 이동(D3)이 유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7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가 상기 제1 향기(sm1)의 제1 농도 및 상기 제1a 향기(sm1a)의 제1a 농도 보다 높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110)가 열린 상황에서(op),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출입구(100) 즉, 상기 통로 내측 이동(D3)이 유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비문 인증부(300)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가 열리고(op), 상기 센서부(200)에 의하여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출입구(100)의 개폐부(110) 진입이 감지된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향기 제공부(560)로부터 상기 제3 향기(sm3)가 토출되도록 제3 향기 토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반려동물 외의 다른 반려동물의 상기 출입구(100) 즉, 상기 통로 내측 이동(D3)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7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향기(sm3)의 제3 농도가 상기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 보다 높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 외의 다른 반려동물의 상기 통로 내측 이동(D3)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3 향기(sm3)의 제3 농도가 상기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 보다 높은 것에 의하여,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제3 향기를 따라 상기 출입구(100) 외측으로 이동하려는 경우, 상기 제2 향기 제공부(550)를 통하여 상기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가 높아지도록 농도 상승 제어하거나, 상기 제3 향기 제공부(560)를 통하여 상기 제3 향기(sm3)의 제3 농도가 낮아지도록 농도 하강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농도 상승 제어는, 상기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가 상기 제3 향기(sm3)의 제3 농도 보다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따.
또한, 여기에서 농도 하강 제어는, 상기 제3 향기(sm3)의 제3 농도가 상기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 보다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이때의 상기 제3 향기(sm3)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간식 향기 및 놀이도구 향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향기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반려인 향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출입구(100)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통로 내측으로 이동(D3)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700)는, 상술된 바와 같은 상황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향기 제공부(530~560)에서 제공하는 제1 내지 제3 향기(sm1~ sm3)의 제1 내지 제3 농도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이 설명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의 구현 방법이 설명된다.
도 3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의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의 구현 방법은, 반려동물이 출입구에 인접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110), 제1 향기 토출 제어 단계(S115), 미리 정해진 특정 반려동물인지 판단하는 단계(S120), 출입구 열림 제어 단계(S130), 제2 향기 토출 제어 단계(S145), 제3 향기 토출 제어 단계(S147), 및 출입구 닫힘 제어 단계(S15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가 설명된다. 이하 설명되는 각 단계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각 구성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이 생략된다고 해서, 이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110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110에서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에 인접하였는지 여부를 감지(ss)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어부(700)에서, 상기 비문 인증부(300)를 통한 비문 인증 및/또는 상기 복합 인증부(400)를 통한 복합 인증에 앞서, 상기 비문 인증부(300) 및/또는 상기 복합 인증부(400)의 작동 개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또는, 상기 제어부(700)에서, 상기 카메라부(600)의 작동 개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상기 센서부(200)에 관해서는 중복되는 바,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단계 S115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115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로부터 상기 제1 향기(sm1)가 토출되도록 제1 향기 토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를 통하여 제1 향기(sm1)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특정 반려동물은 상기 제1 향기(sm1)로부터 관심이 유발될 수 있고, 상기 제1 향기(sm1)에 이끌려,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에 다가갈 수 있다(D1).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는, 상기 비문 인증부(300)에 인접하도록 마련된 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은,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에서 제공하는 상기 제1 향기(sm1)에 이끌려,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를 향하여(D1)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에 코를 맞대고 냄새를 맡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에 인접되도록 마련된 상기 비문 인증부(300)에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코가 닿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문 인증부(300)에서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이 인식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에 관해서는 중복되는 바,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단계 S120
단계 S120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반려동물이 미리 정해진 특정 반려동물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을 참조하면, 본 단계 S120은 이하 설명되는 각 세부단계 즉, 제1 차 인증 제어 단계(S121), 비문 매칭 정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3), 및 제2 차 인증 제어 단계(S125)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세부단계가 설명된다.
단계 S121
단계 S121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비문 인증부(300)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인증하도록 제1 차 인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 차 인증 제어에 있어서, 상기 비문 인증부(300)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위치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관해서는 중복되는 바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비문 인증부(300)의 위치가 상기 반려동물의 신장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반려동물의 신장에 따라 비문 인증이 용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 차 인증 제어하는 경우,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를 통하여 상기 제1 향기(sm1)가 제공되도록 제1 향기 토출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향기 제공부(530)에 인접되도록 마련된 상기 비문 인증부(300)에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코가 닿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문 인증부(300)에서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이 인식될 수 있는 것이다.
단계 S123
단계 S123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매칭 정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앞선 단계 S121에서 상기 제1 차 인증 결과,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매칭 정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후술되는 단계 S130을 통하여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가 열리도록(op) 열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에 대한 정의는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한편, 이와는 달리, 상기 제어부(700)는, 앞선 단계 S121에서 상기 제1 차 인증 결과,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매칭 정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에 미달된 경우, 후술되는 단계 S125를 통하여 상기 비문 인증부(300)와 복합하여 상기 복합 인증부(400)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인증하도록 제2 차 인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700)는, 앞선 단계 S121에서 상기 제1 차 인증 결과,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매칭 정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에 미달된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600)를 통하여 촬영(pt)된 반려동물의 모습을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반려인에게 전송하도록 촬영 전송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반려인에 의한 수동 제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반려인은, 상기 카메라부(600)를 통하여 촬영(pt)된 반려동물의 모습을 관측하고,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맞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려인이 상기 카메라부(600)를 통하여 촬영(pt)된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맞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상기 반려인은 상기 제어부(700)를 통하여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가 개폐되도록 수동 제어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반려인이 상기 카메라부(600)를 통하여 촬영(pt)된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아닌 것으로 확인한 경우, 상기 반려인은 상기 제어부(700)를 통하여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가 개폐되지 않도록 수동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이 경우, 상기 반려인은 상기 제어부(700)를 통하여 후술되는 단계 S125의 제2 차 인증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단계 S125
단계 S125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문 인증부(300)와 복합되어, 상기 복합 인증부(400)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인증하도록 제2 차 인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2 차 인증 제어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a 향기 제공부(540)를 통하여 제1a 향기(sm1a)가 제공되도록 제1a 향기 토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복합 인증부(4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전체 몸무게(wt)를 통하여 인증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a 향기 제공부(540)에 인접되도록 마련된 상기 복합 인증부(400)에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 인증부(400)에서는 상기 특정 반련동물의 전체 몸무게(wt)가 측정되어 인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차 인증 제어 결과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비문 매칭 정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에 미달된 경우, 상기 제2 차 인증 제어를 통하여 상기 비문 인증부(300)를 통한 비문 인증과 함께, 상기 복합 인증부(400)를 통한 복합 인증이 수행되므로, 상기 비문 인증만이 수행되는 경우 보다 명확하게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인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130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130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가 열리도록(op) 열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앞선 단계 S123 및 단계 S125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된 경우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상기 출입구(100)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D2)을 위하여,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가 열리도록(op) 열림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된 경우에,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상기 출입구(100)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을 위하여,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가 열리도록 열림 제어할 수도 있다.
단계 S145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S145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앞선 단계에서 상기 비문 인증부(300)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되어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가 열리도록 열림 제어한 경우(op), 상기 제2 향기 제공부(550)로부터 상기 제2 향기(sm2)가 토출되도록 제2 향기 토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출입구(100) 즉, 상기 통로 내측 이동(D3)이 유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7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가 상기 제1 향기(sm1)의 제1 농도 및 상기 제1a 향기(sm1a)의 제1a 농도 보다 높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110)가 열린 상황에서(op),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출입구(100) 즉, 상기 통로 내측 이동(D3)이 유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앞서 설명된 단계의 상기 제1 향기(sm1) 및 제1a 향기(sm1a)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간식 향기 및 놀이도구 향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본 단계에서 상기 제2 향기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반려인 향기일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가 열린 상황에서(op),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출입구(100) 즉, 상기 통로 내측 이동(D3)이 유도되도록 고려한 것이다.
상기 제2 향기 제공부(550)에 관해서는 중복되는 바,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단계 S147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147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되어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가 열리고(op), 상기 센서부(200)에 의하여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출입구(100)의 개폐부(110) 진입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3 향기 제공부(560)로부터 상기 제3 향기(sm3)가 토출되도록 제3 향기 토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반려동물 외의 다른 반려동물의 상기 출입구(100) 즉, 상기 통로 내측 이동(D3)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7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향기(sm3)의 제3 농도가 상기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 보다 높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 외의 다른 반려동물의 상기 통로 내측 이동(D3)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때의 상기 제3 향기(sm3)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간식 향기 및 놀이도구 향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향기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반려인 향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출입구(100)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통로 내측으로 이동(D3)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3 향기(sm3)의 제3 농도가 상기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 보다 높은 것에 의하여,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제3 향기를 따라 상기 출입구(100) 외측으로 이동하려는 경우, 상기 제2 향기 제공부(550)를 통하여 상기 제2 향기(sm2) 제2 농도가 높아지도록 농도 상승 제어하거나, 상기 제3 향기 제공부(560)를 통하여 상기 제3 향기(sm3) 제3 농도가 낮아지도록 농도 하강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농도 상승 제어는, 상기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가 상기 제3 향기(sm3)의 제3 농도 보다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따.
또한, 여기에서 농도 하강 제어는, 상기 제3 향기(sm3)의 제3 농도가 상기 제2 향기(sm2)의 제2 농도 보다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이때의 상기 제3 향기(sm3)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간식 향기 및 놀이도구 향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향기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반려인 향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출입구(100)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통로 내측으로 이동(D3)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700)는, 상술된 바와 같은 상황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향기 제공부(530~560)에서 제공하는 제1 내지 제3 향기(sm1~ sm3)의 제1 내지 제3 농도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3 향기 제공부(560)에 관해서는 중복되는 바,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단계 S150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150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인증된 특정 반려동물의 상기 출입구(100)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의 이동(D3) 후에는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가 닫히도록(cl) 닫힘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반려동물의 상기 출입구(100)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또는 상기 출입구(100)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이동 차단을 위하여,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가 열리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1000)에 의하면, 상기 출입구(100)의 개폐부(110)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특정 반려동물만 선택적으로 출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1000)에 의하면, 종래의 내장형 마이크로 칩이나 외장형 인식표와 같이, 반려동물의 인식을 위한 별도의 장치 없이도 미리 정해진 특정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인증하여, 상기 특정 반려동물만 선택적으로 출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출입구
200: 센서부
300: 비문 인증부
400: 복합 인증부
500: 유도부
530: 제1 향기 제공부
540: 제1a 향기 제공부
550: 제2 향기 제공부
560: 제3 향기 제공부
600: 카메라부
700: 제어부
1000: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

Claims (8)

  1. 반려동물이 출입하는 출입구;
    상기 반려동물 중, 상기 출입구로 출입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특정 반려동물인지 여부를, 상기 반려동물의 비문을 통하여 인증하는 비문 인증부; 및
    상기 비문 인증부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된 경우, 상기 특정 반려동물만 선택적으로 출입하도록, 상기 출입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반려동물 및 상기 특정 반려동물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게 향기를 제공하여 유도하는 유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도부는,
    상기 비문 인증부에 인접하도록 마련되되 제1 향기를 제공하는 제1 향기 제공부, 상기 출입구 내측에 마련되되 제2 향기를 제공하는 제2 향기 제공부, 및 상기 출입구 외측에 마련되되 제3 향기를 제공하는 제3 향기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향기는,
    간식 향기,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반려인 향기, 및 놀이도구 향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는,
    직경이 가변되는 조리개 형태로 마련된 제1 출입구,
    여닫이 또는 미닫이 형태로 마련된 제2 출입구,
    상승 및 하강하는 셔터 형태로 마련된 제3 출입구,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미끄럼틀 형태로 마련된 제4 출입구,
    힌지 축을 중심으로 바닥을 향하여 눕는 힌지 결합 형태로 마련된 제5 출입구, 및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이동에 따라 폭이 확장되는 고깔 형태로 마련된 제6 출입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문 인증부를 통한 비문 인증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향기 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향기가 토출되도록 제1 향기 토출 제어하고,
    상기 비문 인증부를 통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특정 반려동물인 것으로 인증되어 상기 출입구가 열린 경우, 상기 제2 향기 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2 향기가 토출되도록 제2 향기 토출 제어하여,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상기 출입구 내측 이동을 유도하고,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출입구에 진입한 경우, 상기 제3 향기 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3 향기가 토출되도록 제3 향기 토출 제어하여, 상기 특정 반려동물 외의 다른 반려동물의 상기 출입구 내측 이동을 방지하는,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향기의 제1 농도는, 상기 제2 향기의 제2 농도 보다 낮으며,
    상기 제3 향기의 제3 농도는, 상기 제2 향기의 제2 농도 보다 높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이 상기 제3 향기에 의하여 상기 출입구 외측으로 이동하려는 경우,
    상기 제2 향기 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2 향기의 제2 농도가 높아지도록 농도 상승 제어하거나, 상기 제3 향기 제공부를 통하여 상기 제3 향기의 제3 농도가 낮아지도록 농도 하강 제어하는,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향기는, 간식 향기 및 놀이도구 향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향기는, 상기 특정 반려동물의 반려인 향기인,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에는, 상기 출입구에 인접된 반려동물의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문 인증부의 위치가 조절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신장에 따라 상기 비문 인증부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위치 제어하는,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
KR1020210098019A 2021-07-26 2021-07-26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 KR102617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019A KR102617702B1 (ko) 2021-07-26 2021-07-26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019A KR102617702B1 (ko) 2021-07-26 2021-07-26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476A KR20230016476A (ko) 2023-02-02
KR102617702B1 true KR102617702B1 (ko) 2023-12-27

Family

ID=8522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019A KR102617702B1 (ko) 2021-07-26 2021-07-26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70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1428B1 (de) * 2018-06-18 2020-07-15 Ramseier Coatings Ag Vorrichtung zur Identifizierung eines Tieres
KR102141597B1 (ko) * 2018-12-13 2020-08-05 대한민국 반려견의 생체정보 인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476A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5400B1 (en) Appearance based access verification
JP5446227B2 (ja) 入場管理システム
CN112425159A (zh) 用于鉴别动物的设备
JP7075702B2 (ja) 入退室認証システムおよび入退室認証方法
KR102172648B1 (ko) 애완동물 인터랙션 장치
KR101964374B1 (ko)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JP4986233B2 (ja) 不審者入館防止システム
KR102617702B1 (ko) 반려동물용 자동 도어락 시스템
CN112995599A (zh) 一种安防摄像机图像识别模式切换方法及系统
KR101634943B1 (ko) 탑승자 생체인식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증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KR102617703B1 (ko) 반려동물 자동 출입 시스템
JP2010061266A (ja) 使用管理システム及び使用管理方法
JP2010044619A (ja) アクセス対象に対する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およびアクセス制御方法
KR102619956B1 (ko) ToF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안전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06023365A (zh) 一种基于景区安全的人像与身份证比对识别方法及系统
KR101926709B1 (ko) 생체 인증 및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4663838A (zh) 安全防护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4083356A1 (en) Gate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program
KR102611113B1 (ko) 이중 출입문 인터로킹 시스템 및 방법
JP2006152604A (ja) 入退室制御装置
JP5811520B2 (ja) 扉開閉システム、扉開閉装置、および扉開閉方法
EP4095341B1 (en) Door operating system
KR20160116678A (ko) 출입 통제 장치 및 방법
KR20150076795A (ko) 보안 자동 해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410682B1 (ko) 도어용 열감지센서 및 체온표시장치를 포함한 도어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