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543B1 - 승용형 예초기 - Google Patents

승용형 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543B1
KR102617543B1 KR1020230035354A KR20230035354A KR102617543B1 KR 102617543 B1 KR102617543 B1 KR 102617543B1 KR 1020230035354 A KR1020230035354 A KR 1020230035354A KR 20230035354 A KR20230035354 A KR 20230035354A KR 102617543 B1 KR102617543 B1 KR 102617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housing
driven pulley
guide
peripher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5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경
Original Assignee
바우컴퍼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우컴퍼니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우컴퍼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5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01D34/77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actuated by advance of the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6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two or mor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4Cutting-heigh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1/00Lawn-mowers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벨트를 통해 블레이드로 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 벨트의 전측 부위와 후측 부위에 편마모가 발생될 우려가 없어 상기 벨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승용형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주행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입력축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축과 함께 회전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입력축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축과 함께 회전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주행부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상기 출력축과 함께 회전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에 감겨져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풀리로 전달하는 벨트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따라 상기 벨트가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구동풀리의 상하폭과 상기 종동풀리의 상하폭이 상기 벨트의 상하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용형 예초기{a riding lawn mower}
본 발명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벨트를 통해 블레이드로 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 벨트의 전측 부위와 후측 부위에 편마모가 발생될 우려가 없어 상기 벨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승용형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초기는 곡식, 풀, 어린 잡목 등의 초목을 절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러한 예초기는 사용 용도와 형태 등에 따라 여러가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전에는 풀을 베기 위한 수단으로 오로지 인력에 의한 낫과 같은 농기구에 의존해 제초작업을 하였으므로 작업에 많은 힘이 들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며, 작업효율이 떨어졌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 예리한 날에 손을 베이거나 심지어는 손가락이 잘리는 등의 인명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후 과학이 발달하게 되면서 농기계의 기계화가 실현되었으며, 대표적으로는 경운기나 관리기 등의 농기계에 부착하는 작업기 형태의 예초기가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하지만, 경운기나 관리기 등에 예초기를 부착함에 있어, 많은 힘이 들고 구조가 복잡하여 효용가치가 떨어져 사용을 기피하게 됨에 따라, 예초작업을 전문적으로 할 수 있는 엔진이 탑재된 승용식 예초기가 개발되기에 이르렀으며, 특히 풀베기 장치의 승강이 가능한 승용형 예초기가 일본특허공보 특허 제5033151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특허공보 특허 제5033151호의 경우, 풀베기 장치(3)가 하강하는 과정 중에 상기 풀베기 장치(3)의 커터 블레이드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벨트(5)의 전측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풀베기 장치(3)를 따라 점차 하강하면서 하향경사(α)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벨트(5)의 전측부위와 후측부위에 편마모가 발생되면서 상기 벨트(5)가 상기 풀베기 장치(3)의 커터 블레이드로 불안정하게 동력을 전달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벨트(5)의 수명 단축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특허공보 특허 제503315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벨트를 통해 블레이드로 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 벨트의 전측 부위와 후측 부위에 편마모가 발생될 우려가 없어 상기 벨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승용형 예초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행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입력축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축과 함께 회전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입력축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축과 함께 회전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주행부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상기 출력축과 함께 회전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에 감겨져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풀리로 전달하는 벨트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따라 상기 벨트가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구동풀리의 상하폭과 상기 종동풀리의 상하폭이 상기 벨트의 상하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예초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종동풀리와 구동풀리는 타이밍풀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트는 타이밍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의 벨트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종동풀리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한 상기 입력축에 각각 결합되는 일측종동풀리 및 타측종동풀리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벨트 중 상기 일측종동풀리에 감겨진 벨트 부위의 외주면에 타측 내주면이 접하는 일측상부안내몸체와, 상기 일측상부안내몸체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안착구비되는 일측하부몸체로 구성되는 일측안내부재와; 상기 벨트 중 상기 타측종동풀리에 감겨진 벨트 부위의 외주면에 일측 내주면이 접하는 타측상부안내몸체와, 상기 타측상부안내몸체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 타측에 안착구비되는 타측하부몸체로 구성되는 타측안내부재와; 상기 벨트 중 상기 구동풀리에 감겨진 벨트 부위의 외주면에 전측 내주면이 접하는 후측하부안내몸체와, 상기 후측하부안내몸체의 상부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풀리가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브라켓의 후측 하부에 구비되는 후측상부몸체로 구성되는 후측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종동풀리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한 상기 입력축에 각각 결합되는 일측종동풀리 및 타측종동풀리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벨트 중 상기 일측종동풀리에 감겨진 벨트 부위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에서 구름운동하는 일측롤러부재와, 상기 일측롤러부재가 타측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일측상부안내몸체와, 상기 일측상부안내몸체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안착구비되는 일측하부몸체로 구성되는 일측안내부재와; 상기 벨트 중 상기 타측종동풀리에 감겨진 벨트 부위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에서 구름운동하는 타측롤러부재와, 상기 타측롤러부재가 일측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타측상부안내몸체와, 상기 타측상부안내몸체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 타측에 안착구비되는 타측하부몸체로 구성되는 타측안내부재와; 상기 벨트 중 상기 구동풀리에 감겨진 벨트 부위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에서 구름운동하는 후측롤러부재와, 상기 후측롤러부재가 전측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후측하부안내몸체와, 상기 후측하부안내몸체의 상부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풀리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브라켓의 후측 하부에 구비되는 후측상부몸체로 구성되는 후측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기 일측안내부재와 상기 타측안내부재를 위치고정하는 일측위치고정부재 및 타측위치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브라켓의 후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기 후측안내부재를 위치고정하는 후측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위치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측하부몸체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 및 상기 타측하부몸체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각각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후측상부몸체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부의 상기 일측위치고정부재와 상기 타측위치고정부재 및 상기 후측위치고정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 및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 후측에 각각 수직형성되어 상기 일측하부몸체의 가이드슬릿과 상기 타측하부몸체의 가이드슬릿 및 상기 후측상부몸체의 가이드슬릿을 수직관통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일측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일측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사이에 위치한 상기 벨트 부위의 외측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사이에 위치한 상기 벨트 부위에 접하는 고정형 텐션풀리와, 상기 타측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사이에 위치한 상기 벨트 부위의 외측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타측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사이에 위치한 상기 벨트 부위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타측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사이에 위치한 상기 벨트 부위를 가압하는 이동형 텐션풀리와, 상기 고정형 텐션풀리와 상기 이동형 텐션풀리 사이의 상기 하우징에 중간부가 축결합되고 전측에 상기 이동형 텐션풀리가 축결합되며 상기 이동형 텐션풀리와 함께 전측이 상기 타측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사이에 위치한 상기 벨트 부위로 회전이동하는 회전이동판과, 상기 회전이동판의 후측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후측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과 연결되기 상부에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이 통과하는 개방구가 형성되는 연결링과, 상기 연결링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의 후측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후측에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타측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사이에 위치한 상기 벨트 부위를 가압하는 이동형 텐션풀리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이동축을 포함하는 텐션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일측상부안내몸체의 타측 내주면, 상기 타측상부안내몸체의 일측 내주면 및 상기 후측하부안내몸체의 전측 내주면에 각각 슬립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측롤러부재의 외주면, 상기 타측롤러부재의 외주면 및 상기 후측롤러부재의 외주면에 각각 슬립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형 텐션풀리의 외주면과 상기 이동형 텐션풀리의 외주면에 각각 슬립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승강과정 중에 벨트가 종동풀리와 구동풀리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하면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벨트가 상기 하우징의 입력축에 결합된 블레이드로 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벨트의 전측 부위와 후측 부위에 편마모가 발생될 우려가 없어 상기 벨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승용형 예초기의 풀베기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가 하향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승용형 예초기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하우징과 동력전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A - A선에 따른 일부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하우징의 승강하는 과정 중에 벨트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일예의 안내부의 일측안내부재와 타측안내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일예의 안내부의 후측안내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3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7은 일예의 안내부의 일측안내부재와 타측안내부재에 각각 형성된 슬립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일예의 안내부의 후측안내부재에 형성된 슬립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9는 다른예의 안내부의 일측안내부재와 타측안내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0은 다른예의 안내부의 후측안내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1은 다른예의 안내부의 일측안내부재와 타측안내부재에 각각 형성된 슬립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2는 다른예의 안내부의 후측안내부재에 각각 형성된 슬립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승용형 예초기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승용형 예초기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 블레이드(20) 및 동력전달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은 경운기, 관리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주행부(9)의 전측 하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주행부(9)에 구비된 승강레버(6)에 의해 승강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블레이드(20)는 곡식, 풀, 어린 잡목 등의 초목 등을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블레이드(2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수직구비되는 입력축(11)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구비되어 상기 입력축(1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4는 하우징과 동력전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동력전달부(30)는 상기 블레이드(20)의 회전을 위해 상기 블레이드(20)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종동풀리(310), 구동풀리(320) 및 벨트(330)로 구성된다.
상기 종동풀리(310)는 상기 블레이드(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입력축(11)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입력축(11)과 함께 회전되는 일측종동풀리(311) 및 타측종동풀리(312)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풀리(320)는 상기 주행부(9)의 엔진의 출력축(9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출력축(9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엔진의 출력축(91)의 상부는 고정브라켓(7)의 중간부를 수직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브라켓(7)은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엔진의 출력축(91)을 덮는 출력축 커버의 내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벨트(330)의 후측이 상기 구동풀리(320)의 외주면에 감겨지고, 상기 벨트(330)의 전측이 상기 종동풀리(310)의 외주면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벨트(330)는 상기 구동풀리(320)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풀리(310)로 전달한다.
상기 벨트(330)는 상기 하우징(10)을 따라 승강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벨트(330)가 상기 하우징(10)을 따라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벨트(330)가 상기 구동풀리(320)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풀리(310)로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종동풀리(310)와 상기 구동풀리(320)는 타이밍풀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트(330)는 타이밍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벨트(330)가 상기 구동풀리(320)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풀리(310)로 더욱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벨트(330)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텐션조절부(60)는 일예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형 텐션풀리(610), 이동형 텐션풀리(620), 회전이동판(630), 탄성부재(640), 연결링(650) 및 이동축(6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형 텐션풀리(610)는 상기 일측종동풀리(311)와 상기 구동풀리(3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 위치변동없이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형 텐션풀리(610)는 상기 일측종동풀리(311)와 상기 구동풀리(320) 사이에 위치한 상기 벨트(330)부위의 외측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종동풀리(311)와 상기 구동풀리(320) 사이에 위치한 상기 벨트(330)부위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텐션풀리(620)는 상기 타측종동풀리(312)와 상기 구동풀리(320) 사이에 위치한 상기 벨트(330) 부위의 외측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타측종동풀리(312)와 상기 구동풀리(320) 사이에 위치한 상기 벨트(330) 부위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타측종동풀리(312)와 상기 구동풀리(320) 사이에 위치한 상기 벨트(330) 부위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판(630)의 후측은 상기 하우징(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고, 상기 회전이동판(630)의 전측은 상기 하우징(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판(630)의 중간부는 상기 고정형 텐션풀리(610)와 상기 이동형 텐션풀리(620) 사이의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판(630)의 전측 상부에 상기 이동형 텐션풀리(620)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텐션풀리(620)와 함께 상기 회전이동판(630)의 전측은 상기 타측종동풀리(312)와 상기 구동풀리(320) 사이에 위치한 상기 벨트(330) 부위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640)의 일측이 상기 회전이동판(630)의 축결합 또는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640)는 상기 하우징(10)의 후측 중간부에 수평배치되는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링(650)의 내측에 상기 탄성부재(640)의 타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640)의 타측과 연결되기 위해 상기 연결링(650)의 상부에 상기 탄성부재(640)의 타측이 통과하는 개방구(6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축(660)의 일측에 상기 연결링(65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이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이동축(660)의 일측에 상기 연결링(6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전측면의 반대측인 후측면 타측에는 상기 이동축(660)의 타측과 나사결합되는 고정프레임(12)이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연결링(650)과 함께 상기 이동축(660)이 정역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연결링(650)과 함께 상기 이동축(660)이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 및 상기 하우징(1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좌우이동 및 상기 탄성부재(640)가 탄성력에 의해 신축되면서 상기 회전이동판(630)의 전측과 함께 상기 이동형 텐션풀리(620)가 상기 벨트(33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타측종동풀리(312)와 상기 구동풀리(320) 사이에 위치한 상기 벨트(330) 부위를 가압하는 이동형 텐션풀리(620)의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A - A선에 따른 일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0)을 따라 승강운동하는 상기 벨트(330)의 원활한 승강운동을 위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형 텐션풀리(610)의 외주면과 상기 이동형 텐션풀리(620)의 외주면에 각각 슬립층(70)이 코팅형성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립층(70)은 슬립성 실리콘 수지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하우징의 승강하는 과정 중에 벨트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하우징(10)을 따라 상기 벨트(330)가 승강가능하도록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풀리(320)의 상하폭(W1)과 상기 종동풀리(310)의 상하폭(W2)은 상기 벨트(330)의 상하폭(W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을 따라 상기 벨트(330)가 승강하는 과정 중에 상기 종동풀리(310)의 상기 벨트(330)의 전측 사이 및 상기 구동풀리(320)와 상기 벨트(330)의 후측 사이에 발생되는 슬립현상에 의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히, 상기 하우징(10)이 하강하는 과정 중에 상기 벨트(330)의 전측은 상기 종동풀리(310)의 외주면 상부방향으로 점차 상승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벨트(330)의 후측은 상기 구동풀리(320)의 외주면 하부방향으로 점차 하강하면서 상기 벨트(330)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이 상승하는 과정 중에 상기 벨트(330)의 전측은 상기 종동풀리(310)의 외주면 하부방향으로 점차 하강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벨트(330)의 후측은 상기 구동풀리(320)의 외주면 상부방향으로 점차 상승하면서 상기 벨트(330)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승강과정 중에 상기 벨트(330)가 상기 종동풀리(310)와 상기 구동풀리(32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하면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벨트(330)가 상기 하우징(10)의 입력축(11)에 결합된 상기 블레이드(20)로 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벨트(330)의 전측 부위와 후측 부위에 편마모가 발생될 우려가 없어 상기 벨트(33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1은 일예의 안내부의 일측안내부재와 타측안내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일예의 안내부의 후측안내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3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종동풀리(310)의 상기 벨트(330)의 전측 사이 및 상기 구동풀리(320)와 상기 벨트(330)의 후측 사이에 들뜸 현상 없이 상기 벨트(330)가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벨트(330)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40)는 일예로, 도 11 내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안내부재(410), 타측안내부재(420) 및 후측안내부재(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안내부재(410)는 도 12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상부안내몸체(412)와 일측하부몸체(4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안내몸체(412)의 타측 내주면은 상기 벨트(330) 중 상기 일측종동풀리(311)에 감겨진 상기 벨트(330) 부위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일측 상부안내몸체(412)의 타측 내주면의 밀착세기는 상기 벨트(330)의 승강운동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밀착세기면 족하다.
상기 일측하부몸체(413)는 상기 일측상부안내몸체(412)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안내부재(420)는 도 12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측상부안내몸체(422)와 타측하부몸체(4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부안내몸체(422)의 일측 내주면은 상기 벨트(330) 중 상기 타측종동풀리(312)에 감겨진 상기 벨트(330) 부위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접할 수 있다.
상기 타측상부안내몸체(422)의 일측 내주면의 밀착세기는 상기 벨트(330)의 승강운동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밀착세기면 족하다.
상기 타측하부몸체(423)는 상기 타측상부안내몸체(422)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타측에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안내부재(430)는 도 13, 도 14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측하부안내몸체(432)와 후측상부몸체(4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하부안내몸체(432)의 전측 내주면은 상기 벨트(330) 중 상기 구동풀리(320)에 감겨진 상기 벨트(330) 부위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접할 수 있다.
상기 후측하부안내몸체(432)의 전측 내주면의 밀착세기는 상기 벨트(330)의 승강운동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밀착세기면 족하다.
상기 후측상부몸체(433)는 상기 후측하부안내몸체(432)의 상부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풀리(32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고정브라켓(7)의 후측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하부몸체(413)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되고, 상기 타측하부몸체(423)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타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되며, 상기 후측상부몸체(433)가 상기 고정브라켓(7)의 후측 하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단,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330)의 승강운동에 방해되지 않을 정도로 상기 벨트(330)에 각각 밀착되는 상기 일측 상부안내몸체(412)의 타측 내주면의 밀착세기, 상기 타측상부안내몸체(422)의 일측 내주면의 밀착세기 및 상기 후측하부안내몸체(432)의 전측 내주면의 밀착세기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상기 일측하부몸체(413)와 상기 타측하부몸체(423)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 및 상기 하우징(1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작업자에 의해 좌우이동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7)의 후측 하부에 상기 후측상부몸체(433)가 상기 하우징(10)의 전후방향으로 작업자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일측안내부재(410)와 상기 타측안내부재(420)를 좌우위치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 및 상기 고정브라켓(7)의 후측 하부에 상기 후측안내부재(430)를 전후위치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50)는 도 12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위치고정부재(510), 타측위치고정부재(520) 및 후측위치고정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위치고정부재(51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 안착되어 좌우이동된 상태로 위치조절된 상기 일측안내부재(410)를 위치고정할 수 있다.
상기 타측위치고정부재(52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타측에 안착되어 좌우이동된 상태로 위치조절된 상기 타측안내부재(420)를 위치고정할 수 있다.
상기 후측위치고정부재(530)는 상기 고정브라켓(7)의 후측 하부에 구비되어 전후이동된 상태로 위치조절된 상기 후측안내부재(430)를 위치고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하부몸체(413)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슬릿(4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하부몸체(423)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도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슬릿(42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상부몸체(433)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하우징(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4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50)의 일측위치고정부재(510), 타측위치고정부재(520) 및 후측위치고정부재(530)는 도 12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부재(501, 502, 503)와 체결부재(504, 505, 50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501)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안내부재(410)의 하부방향의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하우징(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어 상기 일측안내부재(410)의 일측하부몸체(413)의 가이드슬릿(414)을 수직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부재(502)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안내부재(420)의 하부방향의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타측에 상기 하우징(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어 상기 타측안내부재(420)의 타측하부몸체(423)의 가이드슬릿(424)을 수직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부재(503)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7)의 하부 후측에 상기 고정브라켓(7)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어 상기 후측안내부재(430)의 후측상부몸체(433)의 가이드슬릿(434)을 수직관통할 수 있다.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체결부재(504)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안내부재(410)의 일측하부몸체(413)의 가이드슬릿(414)을 수직관통한 상기 축부재(501)의 상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체결부재(505)는 상기 타측안내부재(420)의 타측하부몸체(423)의 가이드슬릿(424)을 수직관통한 상기 축부재(502)의 상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체결부재(506)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안내부재(430)의 후측상부몸체(433)의 가이드슬릿(434)을 수직관통한 상기 축부재(503)의 하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17은 일예의 안내부의 일측안내부재와 타측안내부재에 각각 형성된 슬립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일예의 안내부의 후측안내부재에 형성된 슬립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벨트(330)의 원활한 승강운동을 위해,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상부안내몸체(412)의 타측 내주면, 상기 타측상부안내몸체(422)의 일측 내주면 및 상기 후측하부안내몸체)432)의 전측 내주면에도 상기 슬립층(70)이 각각 코팅형성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다른예의 안내부의 일측안내부재와 타측안내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0은 다른예의 안내부의 후측안내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부(40)는 다른예로, 일예처럼 도 19 및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일측안내부재(410), 상기 타측안내부재(420) 및 상기 후측안내부재(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일측안내부재(410)는 일측롤러부재(4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타측안내부재(420)는 타측롤러부재(42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측안내부재(430)는 후측롤러부재(4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롤러부재(411)는 상기 벨트(330) 중 상기 일측종동풀리(311)에 감겨진 상기 벨트(330) 부위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에서 구름운동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안내몸체(412)의 타측 내부에는 상기 일측롤러부재(411)가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롤러부재(421)는 상기 벨트(330) 중 상기 타측종동풀리(312)에 감겨진 상기 벨트(330) 부위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에서 구름운동할 수 있다.
상기 타측상부안내몸체(422)의 일측 내부에는 상기 타측롤러부재(421)가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롤러부재(431)는 상기 벨트(330) 중 상기 구동풀리(320)에 감겨진 상기 벨트(330) 부위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에서 구름운동할 수 있다.
상기 후측하부안내몸체(432)의 전측 내부에는 상기 후측롤러부재(431)가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도 21은 다른예의 안내부의 일측안내부재와 타측안내부재에 각각 형성된 슬립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2는 다른예의 안내부의 후측안내부재에 각각 형성된 슬립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벨트(330)의 원활한 승강운동을 위해, 도 21 및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롤러부재(411)의 외주면, 상기 타측롤러부재(421)의 외주면 및 상기 후측롤러부재(431)의 외주면에도 상기 슬립층(70)이 각각 코팅형성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10; 하우징, 20; 블레이드,
30; 동력전달부.

Claims (11)

  1. 주행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한 입력축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축과 함께 회전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한 상기 입력축에 결합되는 일측종동풀리 및 타측종동풀리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축과 함께 회전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주행부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상기 출력축과 함께 회전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에 감겨져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풀리로 전달하는 벨트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따라 상기 벨트가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구동풀리의 상하폭과 상기 종동풀리의 상하폭이 상기 벨트의 상하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벨트 중 상기 일측종동풀리에 감겨진 벨트 부위의 외주면에 타측 내주면이 접하는 일측상부안내몸체 및 상기 일측상부안내몸체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안착구비되는 일측하부몸체로 구성되는 일측안내부재와, 상기 벨트 중 상기 타측종동풀리에 감겨진 벨트 부위의 외주면에 일측 내주면이 접하는 타측상부안내몸체 및 상기 타측상부안내몸체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 타측에 안착구비되는 타측하부몸체로 구성되는 타측안내부재와, 상기 벨트 중 상기 구동풀리에 감겨진 벨트 부위의 외주면에 전측 내주면이 접하는 후측하부안내몸체 및 상기 후측하부안내몸체의 상부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풀리가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브라켓의 후측 하부에 구비되는 후측상부몸체로 구성되는 후측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의 벨트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예초기.
  2. 주행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한 입력축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축과 함께 회전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한 상기 입력축에 결합되는 일측종동풀리 및 타측종동풀리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축과 함께 회전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주행부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상기 출력축과 함께 회전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에 감겨져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풀리로 전달하는 벨트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따라 상기 벨트가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구동풀리의 상하폭과 상기 종동풀리의 상하폭이 상기 벨트의 상하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벨트 중 상기 일측종동풀리에 감겨진 벨트 부위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에서 구름운동하는 일측롤러부재 및 상기 일측롤러부재가 타측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일측상부안내몸체 및 상기 일측상부안내몸체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안착구비되는 일측하부몸체로 구성되는 일측안내부재와, 상기 벨트 중 상기 타측종동풀리에 감겨진 벨트 부위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에서 구름운동하는 타측롤러부재 및 상기 타측롤러부재가 일측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타측상부안내몸체 및 상기 타측상부안내몸체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 타측에 안착구비되는 타측하부몸체로 구성되는 타측안내부재와, 상기 벨트 중 상기 구동풀리에 감겨진 벨트 부위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에서 구름운동하는 후측롤러부재 및 상기 후측롤러부재가 전측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후측하부안내몸체 및 상기 후측하부안내몸체의 상부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풀리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브라켓의 후측 하부에 구비되는 후측상부몸체로 구성되는 후측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의 벨트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예초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종동풀리와 구동풀리는 타이밍풀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트는 타이밍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예초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기 일측안내부재와 상기 타측안내부재를 위치고정하는 일측위치고정부재 및 타측위치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브라켓의 후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기 후측안내부재를 위치고정하는 후측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위치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예초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하부몸체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 및 상기 타측하부몸체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각각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후측상부몸체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부의 상기 일측위치고정부재와 상기 타측위치고정부재 및 상기 후측위치고정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 및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 후측에 각각 수직형성되어 상기 일측하부몸체의 가이드슬릿과 상기 타측하부몸체의 가이드슬릿 및 상기 후측상부몸체의 가이드슬릿을 수직관통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예초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상부안내몸체의 타측 내주면, 상기 타측상부안내몸체의 일측 내주면 및 상기 후측하부안내몸체의 전측 내주면에 각각 슬립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예초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롤러부재의 외주면, 상기 타측롤러부재의 외주면 및 상기 후측롤러부재의 외주면에 각각 슬립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예초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30035354A 2023-03-17 2023-03-17 승용형 예초기 KR102617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5354A KR102617543B1 (ko) 2023-03-17 2023-03-17 승용형 예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5354A KR102617543B1 (ko) 2023-03-17 2023-03-17 승용형 예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543B1 true KR102617543B1 (ko) 2023-12-27

Family

ID=89377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5354A KR102617543B1 (ko) 2023-03-17 2023-03-17 승용형 예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54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6005B2 (ko) * 1974-12-19 1979-11-07
JP2525926Y2 (ja) * 1990-11-08 1997-02-12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芝刈機におけるモーア伝動構造
JP2541651Y2 (ja) * 1992-12-29 1997-07-16 株式会社オーレック 草刈機
KR100486957B1 (ko) * 2002-11-06 2005-05-03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예초(刈草)장치
KR20060025687A (ko) * 2004-09-17 2006-03-22 세메스 주식회사 동력전달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기판 반송 장치
JP6509060B2 (ja) * 2015-07-13 2019-05-08 株式会社クボタ 草刈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6005B2 (ko) * 1974-12-19 1979-11-07
JP2525926Y2 (ja) * 1990-11-08 1997-02-12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芝刈機におけるモーア伝動構造
JP2541651Y2 (ja) * 1992-12-29 1997-07-16 株式会社オーレック 草刈機
KR100486957B1 (ko) * 2002-11-06 2005-05-03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예초(刈草)장치
KR20060025687A (ko) * 2004-09-17 2006-03-22 세메스 주식회사 동력전달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기판 반송 장치
JP6509060B2 (ja) * 2015-07-13 2019-05-08 株式会社クボタ 草刈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14677B1 (en) Grass cutter
EP0603211B1 (en) Mower deck with improved belt drive arrangement
US4244163A (en) Device for reducing the width of windrows formed by a mower
US5682735A (en) Gear driven roller brush
US8425356B2 (en) Retainer for endless drive member and drive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CA2222975C (en) Mounting plate for mower deck
US4201033A (en) Disc mowers
US7334387B2 (en) Adjustable sidekick trimmer device mounted on a tractor or a like vehicle for trimming the edges of a lawn
US7165382B2 (en) Trimmer attachment for lawn mowers and tractors
KR102617543B1 (ko) 승용형 예초기
US7427247B2 (en) Mower incorporating a mule drive
US4196568A (en) Mulching mower
US4291522A (en) Mower mounted on vehicle
EP0630553A1 (de) Geräteantriebs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Geräte-Kombination
JP2016002019A (ja) 草刈り作業機
US20030230065A1 (en) Clutch engagable, in-line, lawn trimmer attachment
JP2005013041A (ja) 農作業機
US5557913A (en) Belt mower
JPS6221473Y2 (ko)
US5706639A (en) Belt mower
JPS6010356Y2 (ja) ミッドマウント作業機の昇降装置
JPS6225050Y2 (ko)
JPH0345556Y2 (ko)
JPS6115702Y2 (ko)
JPH09187140A (ja) 芝刈機のカッタブレード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