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488B1 - 누룽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누룽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488B1
KR102617488B1 KR1020210090844A KR20210090844A KR102617488B1 KR 102617488 B1 KR102617488 B1 KR 102617488B1 KR 1020210090844 A KR1020210090844 A KR 1020210090844A KR 20210090844 A KR20210090844 A KR 20210090844A KR 102617488 B1 KR102617488 B1 KR 102617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unit
lower plate
discharge 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0371A (ko
Inventor
한윤경
이재문
Original Assignee
(주)대한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식품 filed Critical (주)대한식품
Priority to KR1020210090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488B1/ko
Publication of KR20230010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누룽지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는, 누룽지의 원료를 공급받아 교반하며 교반된 원료를 압출 이송하여 원료 토출구를 통해 공급하는 원료 공급유닛; 원료 토출구의 하부에 배치되고 원료 토출구에서 토출된 원료를 공급받는 하판과 하판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하판에 공급된 원료를 가압하는 상판을 구비하여 누룽지를 성형하는 복수의 성형판과, 복수의 성형판에 연결되어 복수의 성형판을 원료 공급유닛에 교차되고 연속되게 이동시키는 성형판 이동부를 구비한 성형유닛; 및 원료 공급유닛에 연결되되, 하판이 이동되는 동안 하판에 원료를 공급하도록 원료 토출구의 하부에 하판이 배치되게 하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하판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원료 공급유닛을 이동시켜 하판에 원료를 공급한 후 차순위 하판에 원료를 공급하도록 원료 공급유닛을 복귀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누룽지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SCORCHED RICE}
본 발명은 누룽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룽지는 밥을 할 때 밥솥의 바닥면의 온도차이에 따라 생성되는 것으로, 맛이 고소하고 독특하여 간식 대용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누룽지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별도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누룽지는 된밥으로 구워만든 끓임용 곡류가공품 누룽지와, 진밥으로 구워 만든 즉석조리용 즉석조리식품 누룽지 두 가지 식품유형으로 나뉘어 생산된다.
특히 즉석조리식품 누룽지는 제품에 뜨거운 물만 부어 바로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누룽지를 성형하는 하판과 상판을 구비한 성형판에 투입 전 충분히 호화를 시켜야 하므로 수분함량이 높은 진밥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즉석조리식품 누룽지는 곡류가공품 누룽지와 달리 성형판에서 굽는 시간도 길고 높은 온도에서 구워야 하므로 곡류가공품 누룽지와 대비하여 제품수율이 저하되며 수분함량이 높은 진밥을 사용하므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되지 못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즉석조리식품 누룽지는 수작업으로 뜨거운 성형판에 원료(진밥)을 투입하므로 작업자들이 지속적인 열기에 노출되어 빈번하게 저온 화상을 입는 문제가 있으며, 뜨거운 열기로 인해 작업자들이 어지러움, 두통 등을 지속적으로 호소하는 경우기 비일비재하여 작업자들의 피로도 상승으로 인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0333호(2009.10.07.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품품질 및 제품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누룽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누룽지의 원료를 공급받아 교반하며 교반된 상기 원료를 압출 이송하여 원료 토출구를 통해 공급하는 원료 공급유닛; 상기 원료 토출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원료 토출구에서 토출된 상기 원료를 공급받는 하판과 상기 하판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판에 공급된 상기 원료를 가압하는 상판을 구비하여 누룽지를 성형하는 복수의 성형판과, 복수의 상기 성형판에 연결되어 복수의 상기 성형판을 상기 원료 공급유닛에 교차되고 연속되게 이동시키는 성형판 이동부를 구비한 성형유닛; 및 상기 원료 공급유닛에 연결되되, 상기 하판이 이동되는 동안 상기 하판에 원료를 공급하도록 상기 원료 토출구의 하부에 상기 하판이 배치되게 상기 하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하판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원료 공급유닛을 이동시켜 상기 하판에 원료를 공급한 후 차순위 상기 하판에 원료를 공급하도록 상기 원료 공급유닛을 복귀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누룽지 제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원료 공급유닛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원료 공급유닛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하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1 LM 가이드레일; 및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측이 복수의 상기 제1 LM 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복수의 상기 제1 LM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운동가능하게 하는 제1 LM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LM 구동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LM 가이드레일에 결합된 복수의 제1 LM 블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볼스크류; 및 상기 볼스크류에 연결되어 상기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료 공급유닛과 상기 이동유닛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판의 상부에 상기 원료 토출구가 위치되게 정렬시키는 정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렬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제1 LM 가이드레일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LM 가이드레일; 및 일측이 상기 원료 공급유닛에 연결되고 타측이 복수의 상기 제2 LM 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원료 공급유닛을 복수의 상기 제2 LM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운동가능하게 하는 제2 LM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료 공급유닛은, 상기 원료를 공급받아 교반하는 교반부; 및 상기 교반부에서 공급된 상기 원료를 압출 이송하되 끝단부에 상기 원료를 토출하는 상기 원료 토출구가 형성된 압출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는, 상기 원료가 투입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원료를 교반하여 상기 압출 이송부에 공급하는 교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기는,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원료가 유입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회전축에 이격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축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이 상기 회전축에 나란한 "T"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교반날개; 및 상기 몸체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복수의 상기 교반날개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출 이송부는,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된 상기 원료가 유입되며 끝단부에 상기 원료 투입구가 형성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마련되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원료를 상기 원료 토출구방향으로 압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이송스크류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료 공급유닛은, 상기 실린더에 마련되되, 상기 원료 토출구에서 상기 하판으로 토출되는 상기 원료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토출량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량 조절부는,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되, 상기 원료 토출구의 하부에 배치되는 결합블록; 상기 결합블록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원료 토출구의 하부에 배치되며, 왕복운동함에 따라 상기 원료 토출구를 개폐하되 상기 원료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상기 원료를 커팅하는 커팅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블록에 결합되되, 상기 커팅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커팅 플레이트를 왕복운동가능하게 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량 조절부는, 상기 결합블록에 결합되되, 상기 원료가 상기 커팅 플레이트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팅 플레이트의 상면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성형판과 원료 공급유닛의 이동속도를 동기화시켜 하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원료 공급유닛을 이동시키는 동안 하판에 원료를 공급한 후 차순위 하판에 원료를 공급하도록 원료 공급유닛을 복귀시키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작업자가 열기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료를 압출 이송하고 성형판을 이루는 하판에 원료를 자동으로 정량을 공급하여 제품 품질향상과 제품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 조절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판들의 이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유닛에 의한 원료 공급유닛의 이동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출량 조절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판들의 이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유닛에 의한 원료 공급유닛의 이동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100)는 누룽지의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 토출구(132)를 구비한 원료 공급유닛(110)과, 성형판(151)을 구비하되 원료 공급유닛(110)으로부터 원료를 공급받아 누룽지를 성형하는 성형유닛(150)과, 성형판(151)과 원료 공급유닛(110)을 동기화시켜 성형판(151)의 이동방향을 따라 원료 공급유닛(110)을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유닛(160)과, 성형판(151)의 상부에 원료 토출구(132)가 위치되게 정렬시키는 정렬유닛(170)과, 원료 공급유닛(110)과 성형유닛(150)과 이동유닛(160)과 정렬유닛(170)에 연결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료 공급유닛(110)은 누룽지의 원료를 공급받아 교반하며 교반된 원료를 압출 이송하여 성형유닛(15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누룽지 원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누룽지의 맛, 영양, 소비자의 기호도 등을 고려한 여러가지 식품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누룽지 원료는 예를 들어 쌀, 콩, 보리, 녹두, 깨, 견과류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잡곡)을 포함하는 곡물을 익힌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누룽지 원료는 곡물 외에 비타민, 미네랄 등의 영양성분 및/또는 소금, 설탕 등의 조미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된밥, 진밥 등 밥에 포함된 수분함량에 관계없이 누룽지의 원료로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원료 공급유닛(110)은 원료를 공급받아 교반하는 교반부(120)와, 교반부(120)에 공급된 원료를 압출 이송하는 압출 이송부(130)를 포함한다.
교반부(120)는 원료가 투입되는 호퍼(121)와, 호퍼(121)의 하부에 배치되며 원료를 교반하여 압출 이송부(130)에 공급하는 교반기(1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교반기(122)는 호퍼(121)로부터 원료가 유입되는 몸체(123)와, 몸체(123)의 내부에 배치되며 몸체(123)를 관통한 회전축(125)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된 복수의 교반날개(124)와, 회전축(125)에 연결되어 회전축(125) 및 교반날개(124)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모터(126)를 포함한다.
호퍼(121)와 몸체(123)는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며 호퍼(121)에 투입된 원료는 교반기(122)의 몸체(123)로 유입된다. 그리고 몸체(123)에 유입된 원료는 몸체(123)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교반날개(124)에 의해 교반된다.
교반날개(124)는 몸체(123)를 관통하는 회전축(125)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몸체(123)의 외측에는 회전축(125)에 연결되는 제1 회전모터(126)가 배치된다. 제1 회전모터(126)의 회전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원료의 교반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원료의 교반을 용이하게 하게 하기 위해 교반날개(124)의 형상을 "T"자형(또는 호미형)으로 형성한다. 즉, 교반날개(124)는 일측이 회전축(125)에 결합되고 타측이 회전축(125)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이 회전축(125)에 나란한 "T"자형(또는 호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호퍼(121)에 투입되고 교반기(122)에 의해 교반된 원료는 압출 이송부(130)로 공급된다. 압출 이송부(130)는 교반기(122)에서 공급된 원료를 압출 이송하여 성형유닛(150)에 공급한다.
압출 이송부(130)는 교반기(122)에서 교반된 원료가 유입되며 끝단부에 원료 토출구(132)가 형성된 실린더(131)와, 실린더(131)의 끝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실린더 헤드(133)와, 실린더(131)의 내부에 마련되며 회전됨에 따라 원료를 원료 토출구(132) 방향으로 압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134)와, 실린더(131)의 외측에 배치되고 이송스크류(134)에 연결되어 이송스크류(134)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모터(135)를 포함한다.
실린더(131)는 일단부에 교반기(122)의 몸체(123)와 연통되어 교반기(122)에서 교반된 원료가 공급되는 원료 공급홀(H)이 형성되고, 타단부(즉, 끝단부)에 이송스크류(134)에 의해 이송된 원료가 토출되는 원료 토출구(13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131)는 길게 형성된 하나의 실린더(131)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단위 실린더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실린더(131)에는 원료가 이송되는 동안 실린더(131)의 내벽에 원료가 부착(또는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린더(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 물 공급호스(136)가 연결되어 실린더(131)의 내벽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실린더 헤드(133)는 실린더(131)의 타단부 즉 실린더(131)의 끝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실린더(131)의 끝단부에서 실린더 헤드(133)를 분리한 후 실린더(131) 내에 이송스크류(134)를 장착하거나 실린더(131) 내에 장착된 이송스크류(134)의 분리할 수 있으며, 실린더(131) 내에 이송스크류(134)를 장착한 후 실린더(131)의 끝단부에 실린더 헤드(133)를 결합한다.
이송스크류(134)는 실린더(131)에 공급된 원료를 원료 토출구(132) 방향으로 압출 이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스크류(134)는 길게 형성된 하나의 이송스크류(134)가 도시되었으나 복수의 스크류 엘리먼트가 조합된 스크류 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송스크류(134)는 실린더(131) 내부에 공급된 원료를 압출 이송하며, 이송스크류(134)에 의해 이송되는 원료의 이송속도는 이송스크류(134)의 피치(pitch)를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즉 이송스크류(134)의 피치가 클수록 실린더(131) 내의 원료의 이송속도는 증가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스크류(134)의 피치는 60mm 일 수 있으며, 원료 토출구(132)를 통해 성형유닛(150)에 공급되는 원료의 양을 고려하여 이송스크류(134)의 피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회전모터(135)는 실린더(131)의 외측에 배치되며 이송스크류(134)에 연결된다. 제2 회전모터(135)의 회전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실린더(131) 내의 원료의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압출 이송부(130)는 이송스크류(134)의 피치 및 회전속도 등을 조절하여 실린더(131) 내에서 원료를 원료 토출구(132) 방향으로 압출 이송하여 정량의 원료가 원료 토출구(132)를 통해 성형유닛(150)에 공급되게 한다.
이로써 종래의 된밥 또는 진밥 등 누룽지의 원료가 되는 밥의 성상에 따라 성형판(151)으로 공급되는 원료의 공급량이 불균일하여 설정된 굽는 시간 및 온도로 성형판(151)에서 원료를 굽는 경우에 원료 공급량에 따라 원료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되지 못하고 일부분이 타버리거나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구워지지 않는 등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압출 이송부(130)를 통해 원료를 압출 이송하고 성형판(151)을 이루는 하판(152)에 원료를 정량 공급하여 제품 품질향상과 제품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원료 공급유닛(110)은 성형유닛(150)에 공급되는 원료의 성상에 관계없이 공급량을 더욱 정밀하게 조절하도록 토출량 조절부(140)를 더 포함한다. 토출량 조절부(140)에 의해 보다 정밀하게 원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어 원료의 공급량에 따라 성형판(151)에서 원료를 굽는 시간 및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제품 품질향상과 제품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토출량 조절부(140)는 실린더(131)에 마련되어 원료 토출구(132)에서 후술할 성형판(151)의 하판(152)으로 토출되는 원료의 토출량(또는 공급량)을 조절한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량 조절부(140)는 실린더(131)에 결합되되 원료 토출구(132)의 하부에 배치되는 결합블록(141)과, 결합블록(141)의 내부에 마련되고 원료 토출구(132)의 하부에 배치되며 왕복운동함에 따라 원료 토출구(132)를 개폐하되 원료 토출구(132)에서 토출되는 원료를 커팅하는 커팅 플레이트(142)와, 결합블록(141)에 결합되되 커팅 플레이트(142)에 연결되어 커팅 플레이트(142)를 전후방향 왕복운동가능하게 하는 액츄에이터(143)와, 결합블록(141)에 결합되되 원료가 커팅 플레이트(142)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팅 플레이트(142)의 상면에 물을 공급하는 제2 물 공급호스(144)를 포함한다.
압출 이송부(130)에 의해 원료는 실린더(131) 내에서 원료 토출구(132) 방향으로 압출 이송된다. 이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판(151)으로 원료를 공급하기 위해서 원료 토출구(132)를 폐쇄한 커팅 플레이트(142)를 후진시켜 원료 토출구(132)를 개방한다.
커팅 플레이트(142)의 전진 및 후진 왕복운동은 커팅 플레이트(142)에 연결된 액츄에이터(143)에 의해 작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143)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143)의 로드에 커팅 플레이트(142)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로드의 신장 및 수축에 따라 커팅 플레이트(142)가 전진 및 후진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커팅 플레이트(142)가 후진되는 경우에 제2 물 공급호스(144)를 통해 커팅 플레이트(142)의 상면에 물을 공급하여 커팅 플레이트(142)의 상면에 원료가 부착 또는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팅 플레이트(142)를 후진시켜 원료 토출구(132)를 개방한 상태에서 압출 이송부(130)에 의해 원료는 원료 토출구(132)를 통해 연속적으로 토출된다. 이때 정량의 원료를 성형판(151)에 공급하기 위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팅 플레이트(142)를 전진시켜 원료 토출구(132)에서 연속으로 토출되는 원료를 커팅하고 원료 토출구(132)를 폐쇄한다. 커팅 플레이트(142)에 의해 커팅된 원료 덩어리는 성형판(151)의 하판(152)으로 낙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성형유닛(150)은 원료 공급유닛(110)으로 원료를 공급받아 원료를 가압하여 누룽지를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유닛(150)은 상호 연속되게 배치되어 누룽지를 성형하는 복수의 성형판(151)과, 복수의 성형판(151)에 연결되어 복수의 성형판(151)을 순차로 원료 공급유닛(110)에 교차되고 연속되게 이동시키는 성형판 이동부(154)를 포함한다.
성형판(151)은 원료 토출구(132)의 하부에 배치되고 원료 토출구(132)에서 토출된 원료를 공급받는 하판(152)과, 하판(152)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하판(152)에 공급된 원료를 가압하는 상판(153)을 포함한다. 하판(152)에 원료가 공급된 경우에 상판(153)이 하판(152)에 대해 상대 회전하여 하판(152)에 공급된 원료를 가압 및 압착한다.
그리고 성형판 이동부(154)는 성형판(151)을 연속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성형판(151)을 원료 공급유닛(110)에 대해 교차되고 연속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복수의 성형판(151)은 성형판 이동부(154)에 의해 순환 이동될 수 있으며, 순환이동되는 동안 하판(152)과 상판(153)은 가열수단(미도시)에 의해 가열되며 하판(152)과 상판(153)에 의해 가압 및 압착된 원료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되어 누룽지가 형성된다. 한편 성형판(151)의 이동속도 및 가열온도를 제어하여 누룽지를 형성함에 있어 가열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100)는 하판(152) 및 상판(153)에 부착 또는 달라붙은 누룽지 또는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기(미도시)와, 완성된 누룽지가 회수되고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건조벨트(미도시)와, 누룽지가 제거된 하판(152)에 남아 있는 찌꺼기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회전 브러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160)은 성형유닛(150)에 원료를 공급함에 있어서 성형판(151)의 이동속도와 원료 공급유닛(110)의 이동속도를 동기화시켜 성형판(151)이 이동되는 동안에 성형판(151)의 하판(152)에 원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유닛(160)은 원료 공급유닛(110)에 연결되며 하판(152)이 이동되는 동안 하판(152)에 원료를 공급하도록 원료 토출구(132)의 하부에 하판(152)이 배치되게 하판(152)의 이동방향을 따라 하판(152)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원료 공급유닛(110)을 이동시키면서 하판(152)에 원료를 공급한다. 그리고 이동유닛(160)은 해당 하판(152)에 원료를 공급한 후, 차순위 하판(152)에 원료를 공급하도록 원료 공급유닛(110)을 복귀시킨다.
이동유닛(160)을 이용하여 원료 공급유닛(110)을 반복하여 왕복이동시켜 복수의 하판(152)에 순차로 원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공수를 절감하고 작업자가 열기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유닛(160)은 원료 공급유닛(1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원료 공급유닛(110)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61)와, 베이스 플레이트(161)의 하부에 하판(152)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1 LM 가이드레일(162)과, 일측이 베이스 플레이트(161)에 연결되고 타측이 복수의 제1 LM 가이드레일(162)에 연결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61)를 복수의 제1 LM 가이드레일(162)을 따라 왕복운동가능하게 하는 제1 LM 구동부(16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LM 구동부(163)는 일측이 베이스 플레이트(161)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1 LM 가이드레일(162)에 결합된 복수의 제1 LM 블록(164)과, 베이스 플레이트(161)의 하부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볼스크류(미도시)와, 제1 볼스크류에 연결되어 제1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하판(152)에 원료를 공급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팅 플레이트(142)를 후진시켜 원료 토출구(132)를 개방하면 압출 이송부(130)에 의해 원료가 압출 이송되면서 원료 토출구(132)에서 토출된다. 이때 성형판 이동부(154)에 의해 복수의 성형판(151)이 연속적으로 우측으로 이동되므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 토출구(132)를 통해 하판(152)에 원료를 공급하는 동안 원료 토출구(132)의 하부에 하판(152)이 위치되도록 하판(152)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제1 볼스크류를 회전시켜 베이스 플레이트(161)를 제1 LM 가이드레일(162)들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 토출구(132)를 통해 정량의 원료가 토출된 경우에 커팅 플레이트(142)를 전진시켜 원료 토출구(132)에서 연속으로 토출되는 원료를 커팅하여 커팅된 원료 덩어리가 성형판(151)의 하판(152)으로 낙하시킨다. 원료 토출구(132)에서 토출되는 원료를 커팅한 경우에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순위 하판(152)에 원료를 공급하기 위해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제1 볼스크류를 회전시켜 베이스 플레이트(161)를 제1 LM 가이드레일(162)들을 따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원료 토출구(132)가 차순위 하판(152)의 상부에 위치되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정렬유닛(170)은 원료 공급유닛(110)과 이동유닛(160) 사이에 마련되어 원료 토출구(132)가 하판(15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원료 공급유닛(110)을 성형판(15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정렬유닛(170)은 원료 토출구(132)를 통해 하판(152)에 원료를 공급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이전에 원료 토출구(132)와 하판(152)의 위치를 상호 정렬시킨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렬유닛(170)은 원료 공급유닛(110)을 성형판(151)에 접근되는 방향 또는 성형판(15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전후진 동작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정렬유닛(170)은 베이스 플레이트(161)의 상부에 제1 LM 가이드레일(162)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LM 가이드레일(171)과, 일측이 원료 공급유닛(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복수의 제2 LM 가이드레일(171)에 연결되어 원료 공급유닛(110)을 복수의 제2 LM 가이드레일(171)을 따라 왕복운동가능하게 하는 제2 LM 구동부(17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LM 구동부(172)는 일측이 원료 공급유닛(11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 LM 가이드레일(171)에 연결된 복수의 제2 LM 블록(173)과, 원료 공급유닛(110)의 하부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볼스크류(미도시)와, 제2 볼스크류에 연결되어 제2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하판(152)의 상부에 원료 토출구(132)를 위치되게 하는 경우에는 제2 볼스크류와 제2 구동모터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정렬유닛(170)은 원료 토출구(132)를 통해 하판(152)에 원료를 공급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이전에 원료 토출구(132)와 하판(152)의 위치를 상호 정렬시키도록 하는 것이나, 하판(152)에 원료를 공급하는 동안에 원료 토출구(132)와 하판(152)의 위치 일치되는 지 여부를 검출하여 원료 토출구(132)와 하판(152)을 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원료 공급유닛(110)과 성형유닛(150)과 이동유닛(160)과 정렬유닛(170)의 동작은 제어유닛(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유닛은 원료 공급유닛(110)과 성형유닛(150)과 이동유닛(160)과 정렬유닛(170)를 제어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들어, 교반기(122)의 교반속도, 이송스크류(134)의 회전속도, 제1 물 공급호스(136) 및 제2 물 공급호스(144)에서 공급되는 물의 양 및 물의 공급주기, 커팅 플레이트(142)를 전후진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143), 하판(152)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원료 공급유닛(110)을 이동시키는 동작 등은 별도로 마련된 제어유닛에 마련된 조작스위치들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누룽지 제조장치 110: 원료 공급유닛
120: 교반부 130: 압출 이송부
140: 토출량 조절부 150: 성형유닛
160: 이동유닛 170: 정렬유닛

Claims (10)

  1. 누룽지의 원료를 공급받아 교반하며 교반된 상기 원료를 압출 이송하여 원료 토출구를 통해 공급하는 원료 공급유닛;
    상기 원료 토출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원료 토출구에서 토출된 상기 원료를 공급받는 하판과 상기 하판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판에 공급된 상기 원료를 가압하는 상판을 구비하여 누룽지를 성형하는 복수의 성형판과, 복수의 상기 성형판에 연결되어 복수의 상기 성형판을 상기 원료 공급유닛에 교차되고 연속되게 이동시키는 성형판 이동부를 구비한 성형유닛; 및
    상기 원료 공급유닛에 연결되되, 상기 하판이 이동되는 동안 상기 하판에 원료를 공급하도록 상기 원료 토출구의 하부에 상기 하판이 배치되게 상기 하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하판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원료 공급유닛을 이동시켜 상기 하판에 원료를 공급한 후 차순위 상기 하판에 원료를 공급하도록 상기 원료 공급유닛을 복귀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원료 공급유닛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원료 공급유닛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하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1 LM 가이드레일; 및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측이 복수의 상기 제1 LM 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복수의 상기 제1 LM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운동가능하게 하는 제1 LM 구동부를 포함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LM 구동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LM 가이드레일에 결합된 복수의 제1 LM 블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볼스크류; 및
    상기 볼스크류에 연결되어 상기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공급유닛과 상기 이동유닛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판의 상부에 상기 원료 토출구가 위치되게 정렬시키는 정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렬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제1 LM 가이드레일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LM 가이드레일; 및
    일측이 상기 원료 공급유닛에 연결되고 타측이 복수의 상기 제2 LM 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원료 공급유닛을 복수의 상기 제2 LM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운동가능하게 하는 제2 LM 구동부를 포함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공급유닛은,
    상기 원료를 공급받아 교반하는 교반부; 및
    상기 교반부에서 공급된 상기 원료를 압출 이송하되 끝단부에 상기 원료를 토출하는 상기 원료 토출구가 형성된 압출 이송부를 포함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원료가 투입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원료를 교반하여 상기 압출 이송부에 공급하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원료가 유입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회전축에 이격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축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이 상기 회전축에 나란한 "T"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교반날개; 및
    상기 몸체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복수의 상기 교반날개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이송부는,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된 상기 원료가 유입되며 끝단부에 상기 원료 투입구가 형성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마련되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원료를 상기 원료 토출구방향으로 압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이송스크류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공급유닛은,
    상기 실린더에 마련되되, 상기 원료 토출구에서 상기 하판으로 토출되는 상기 원료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토출량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량 조절부는,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되, 상기 원료 토출구의 하부에 배치되는 결합블록;
    상기 결합블록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원료 토출구의 하부에 배치되며, 왕복운동함에 따라 상기 원료 토출구를 개폐하되 상기 원료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상기 원료를 커팅하는 커팅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블록에 결합되되, 상기 커팅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커팅 플레이트를 왕복운동가능하게 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량 조절부는,
    상기 결합블록에 결합되되, 상기 원료가 상기 커팅 플레이트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팅 플레이트의 상면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호스를 더 포함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KR1020210090844A 2021-07-12 2021-07-12 누룽지 제조장치 KR102617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844A KR102617488B1 (ko) 2021-07-12 2021-07-12 누룽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844A KR102617488B1 (ko) 2021-07-12 2021-07-12 누룽지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371A KR20230010371A (ko) 2023-01-19
KR102617488B1 true KR102617488B1 (ko) 2023-12-27

Family

ID=85078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844A KR102617488B1 (ko) 2021-07-12 2021-07-12 누룽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4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8145A (ja) 2002-06-10 2004-01-15 Suzumo Machinery Co Ltd 米飯成形装置
KR101182073B1 (ko) 2012-03-05 2012-09-11 조성미 누룽지 제조장치
KR101448930B1 (ko) 2014-07-17 2014-10-13 서정일 누룽지 제조용 밥의 배출장치
KR101862557B1 (ko) 2017-10-19 2018-07-13 농업회사법인 조은농산 주식회사 누룽지 제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822A (ko) 2008-07-04 2010-01-13 서정일 누룽지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8145A (ja) 2002-06-10 2004-01-15 Suzumo Machinery Co Ltd 米飯成形装置
KR101182073B1 (ko) 2012-03-05 2012-09-11 조성미 누룽지 제조장치
KR101448930B1 (ko) 2014-07-17 2014-10-13 서정일 누룽지 제조용 밥의 배출장치
KR101862557B1 (ko) 2017-10-19 2018-07-13 농업회사법인 조은농산 주식회사 누룽지 제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371A (ko)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749C (zh) 用粘状食物完全包裹和密封块状食物以成球形食品的方法和设备
CN110744599B (zh) 一种土豆清洗和切片装置
KR100845330B1 (ko) 떡고물 도포장치
KR102617488B1 (ko) 누룽지 제조장치
KR200384226Y1 (ko)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CN204054140U (zh) 一种面包机的剖缝机构及其应用的面包机
KR101445985B1 (ko) 펠렛기
KR102045266B1 (ko) 누룽지 제조 설비용 취반 정량 공급장치
CN108098977B (zh) 一种板材挤出机
CN113768104B (zh) 一种肉类速冻食品的生产工艺及其装置
US3285200A (en) Processing equipment
KR20060091364A (ko)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CN215430108U (zh) 一种饼干生产用筛面搅拌和面一体机
CN107840686A (zh) 一种豆饼肥生产系统及其生产方法
KR101444797B1 (ko) 냉떡국 제조방법
CN112120214A (zh) 一种粉丝加工生产线
CN112075618A (zh) 一种防堵塞的粉丝机
CN110447860A (zh) 一种原薯制品的制泥成型一体机设备
KR100427084B1 (ko) 강정과자 제조 자동화장치
CN114886083B (zh) 用于阴米生产的自动化控制系统
CN114259077B (zh) 一种食品链式成型方法
JP7029824B2 (ja) 包被食品成形方法及び装置
CN216627464U (zh) 一种食品链式成型系统
KR950003041B1 (ko) 강정 자동 제조기
CN109043298B (zh) 全自动刮肉片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