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644B1 - 유아용품 수납함 - Google Patents

유아용품 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644B1
KR102616644B1 KR1020210025133A KR20210025133A KR102616644B1 KR 102616644 B1 KR102616644 B1 KR 102616644B1 KR 1020210025133 A KR1020210025133 A KR 1020210025133A KR 20210025133 A KR20210025133 A KR 20210025133A KR 102616644 B1 KR102616644 B1 KR 102616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hinged
closing
hinged storag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1110A (ko
Inventor
김준태
Original Assignee
김준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태 filed Critical 김준태
Priority to KR1020210025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644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60Tiltably- or pivotally-arrang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개시되는 유아용품 수납함은, 한 쌍의 베이스 부재; 상하로 중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부재 사이에 체결되는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를 중심으로 여닫이 방식이로 회동하여,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부재 사이의 잉여공간에 위치하는 닫힌상태와 상기 잉여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는 열린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여닫이 수납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아용품 수납함{Toddler Product Container}
본 발명(Disclosure)은,
유아용품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
유아용품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최근 생활수준은 향상됨에 반해서 출산율은 저조하여 자녀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 보다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자녀의 성장 시기중 3 ~ 5세의 유아는, 신체 크기와 근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단계로서, 실내에서도 행동범위가 확장되는 시기이다.
그러나, 아직 육아자의 보살핌이 극히 중요한 시기로서, 대부분의 일상 생활에 있어서, 육아자의 도움이 조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건강 유지등에 있어서도, 육아자의 각별한 관심과 확인이 요구된다.
유아기에 있는 자녀들을 생활과 건강을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용품들은, 동일한 용도의 성인용품과 다르며 서로 분리해서 보관할 필요가 있다.
손톱 정리기와 같은 용품을 성인용품과 함께 보관할 경우에, 아직 면역력이 발달하지 못한 유아들에게 자칫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아들은 이미 자력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가정내 어디에서라도 다양한 유아용품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유아용 연고나 로션은 물론이고, 유아는 표현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발열등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체온계나 유아용 경구 또는 좌식 해열제등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이동이 용이한 유아용품 수납함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아용품 수납함은, 호기심 많은 유아의 인근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다양한 위험요소 사용을 배제하여야 하며, 육아자가 빠르고 쉽게 수납된 용품을 꺼내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단순한 바구니 형태로서 서로 적층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바구니류를 유아용품 수납함으로 사용하거나, 통상적인 가구의 서랍 일부에 유아용품을 분리 수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소개되고 있는 일반적인 유아용품 수납함은, 상하방향으로 바구니를 배치하고 이를 상하로 연결하는 기둥을 이용하여 적층된 바구니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유아용품 수납함은, 상측이 노출된 바구니 구조를 상하 방향으로 단순 연결하여 적층한 구조로서, 내부에 먼지가 쌓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용도의 다양한 용품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수납함의 높이가 높아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681648호
본 발명(Disclosure)은, #
유아용품 수납함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아용품 수납함은, 한 쌍의 베이스 부재; 상하로 중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부재 사이에 체결되는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를 중심으로 여닫이 방식이로 회동하여,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부재 사이의 잉여공간에 위치하는 닫힌상태와 상기 잉여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는 열린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여닫이 수납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아용품 수납함에서 상기 기둥부재는,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 부재를 관통하여 인접하는 또 다른 상기 기둥부재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아용품 수납함은,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 부재를 관통한 상기 기둥부재에 체결되어 이동성을 제공하는 캐스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아용품 수납함은, 상기 여닫이 수납함을 닫힌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닫힘 유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아용품 수납함에서, 상기 닫힘 유지수단은, 서로 다른 상기 기둥부재에 체결되고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서로 다른 상기 여닫이 수납함의 마주하는 외면에 고정되어 자력으로 서로를 당기는 닫힘자석;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아용품 수납함에서,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서로 다른 상기 여닫이 수납함중 어느 하나를 열림상태로 회동시키면 또 다른 상기 여닫이 수납함도 자동으로 열림상태로 회동시키는 열림 동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아용품 수납함에서 상기 열림 동기수단은, 상기 여닫이 수납함의 외면에 고정되고 상기 여닫이 수납함의 회동방향으로 상기 닫힘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닫힘자석의 극성과 반대 극성을 가지는 열림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닫이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 여닫이 수납함을 구비함으로써, 청결을 유지하여야 하는 각종 유아용품을 수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품 수납함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아용품 수납함의 여닫이 수납함이 열린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영역 A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여닫이 수납함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품 수납함을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품 수납함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아용품 수납함의 여닫이 수납함이 열린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아용품 수납함은, 한 쌍의 베이스 부재(100), 기둥부재(200) 및 여닫이 수납함(300)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100)는, 상하로 다수개가 중첩되어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이 바구니 형태로서 유아용품을 담을 수 있는 수납함 구조의 형상이다.
기둥부재(200)는 상하로 중첩되어 배치되고 한 쌍의 베이스 부재(100) 사이에 체결된다. 기둥부재(200)는 베이스 부재(10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하측에 배치되는 수납함구조의 베이스 부재(100)에 유아용품을 담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한다.
여닫이 수납함(300)은, 기둥부재를 중심으로 여닫이 방식이로 회동하도록 기둥부재(200)와 체결된다.
이에 따라 여닫이 수납함(300)은 한 쌍의 베이스 부재(100) 사이의 잉여공간에 위치하는 닫힌상태와 잉여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는 열린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바구니형의 수납함 구조를 가지는 베이스 부재(100) 적층된 형태는 그 자체로 유아용품 수납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러나 적층된 베이스 부재(100) 사이의 공간이 불필요하게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부가 개방된 바구니형태의 수납함 구조는, 수납공간에 먼지가 쌓이거나 외부의 다양한 오염물질로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별도의 뚜껑을 사용할 경우에는 뚜껑 사용의 번거로움 뿐만 아니라 그 자체도 세척의 대상이 된다. 이는 안그래도 육아독박이라는 신조어가 나올 정도로 극한 육체노동중에 하나인 육아 노동을 더욱 어렵게 할 뿐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아용품 수납함은, 적층된 베이스 부재(100) 사이에, 여닫이 수납함(300)을 배치함으로써, 하측의 베이스 부재(100) 뿐만 아니라 여닫이 수납함(300)을 외부로 부터 보호할 수 있어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상측에 배치되는 바구니형 베이스 부재(100)에는 물티슈와 같은 사용량이 많고 수시로 사용하는 소모품을 수납함으로써, 별도의 덮개를 사용하지 않아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닫이 수납함(300)은 닫힌상태에서 하측의 바구니형 베이스 부재(100)의 개방된 상부를 닫아 오염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여닫이 수납함(300)이 열린상태에서는 각각의 여닫이 수납함(300) 자체의 상면이 개방될 수 있으며, 하측의 바구니형 베이스 부재(100) 역시 상면이 개방되어 유아용품을 쉽게 꺼내거나 수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여닫이 수납함(300) 및 하측의 베이스 부재(100) 는 필요에 따라 닫힌상태와 열린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닫힘-열림 수납공간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수납공간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접근 경로를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아용품 수납함은, 베이스 부재(100) 사이에 형성되는 잉여공간에 여닫을 수 있는 여닫이 수납함(300)을 형성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다양한 용도와 종류의 수납용품을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먼지나 다양한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닫힘-열림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아용품 수납함에서 기둥부재(200)는, 상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100)를 관통하여 인접하는 또 다른 기둥부재(20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210)를 가진다.
이때,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100)를 관통한 기둥부재(200)에 체결되어 이동성을 제공하는 캐스터 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아용품은 유아가 위치한 곳에서 즉시 손쉽게 유아용품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손잡이부(210)를 형성하고, 캐스터 부재(220)를 구성함으로써, 손쉬운 이동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바구니형 베이스 부재(100)의 내측 벽면에는, 세로방향으로 정렬되는 파티션 레일(110)을 가진다. 크로스 방식의 파티션(111)을 설치함으로써, 공간을 구획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여닫이 수납함(300)은, 벽면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함몰되는 손잡이 함몰부(310)를 가질 수 있다.
손잡이 함몰부(310)는 육아자가 여닫이 수납함(300)을 닫거나 열 때, 여닫이 수납함(300)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영역 A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여닫이 수납함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아용품 수납함에서, 여닫이 수납함(300)을 닫힌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닫힘 유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닫힘 유지수단은, 서로 다른 기둥부재(200)에 체결되고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서로 다른 여닫이 수납함(300)의 마주하는 외면에 고정되어 자력으로 서로를 당기는 닫힘자석(321)을 포함한다.
여닫이 수납함(300)은 기둥부재(200)가 관통하는 관통홀(301) 가진다. 관통홀과 기둥부재(200)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여닫이 수납함(3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는 여닫이 수납함(300)이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닫히거나 열릴 수 있다.
특히 닫힌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면, 여닫이 수납함(300)을 사용하지 않는 장시간 동안 열린상태를 유지하여, 상술한 닫힘-열림 수납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닫힘 유지수단은, 여닫이 수납함(300)이 닫힌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없을 경우, 닫힌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닫힘 유지수단은 닫힘자석(321)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별도의 기계적 장치 또한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아용품 수납함은 열림 동기수단을 더 포함한다.
열림 동기수단은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서로 다른 여닫이 수납함(300)중 어느 하나를 열림상태로 회동(302)시키면 또 다른 여닫이 수납함(300)도 자동으로 열림상태로 회동시킨다.
이때 열림 동기수단은, 여닫이 수납함(300)의 외면에 고정되고 여닫이 수납함(300)의 회동방향으로 닫힘자석(321)이 배치되고, 닫힘자석(321)의 극성과 반대 극성을 가지는 열림자석(32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아용품 수납함은, 서로 마주보고 서로 다른 기둥부재에 체결된 여닫이 수납함(300)중 어느 하나를 회동시켜 열면, 다른 여닫이 수납함(300)도 자동으로 열릴 수 있다.
여닫이 수납함(300)의 열림자석(322)은 다른 여닫이 수납함(300)의 닫힘자석과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사용자가 여닫이 수납함(300)중 어느 하나를 열면, 해당 여닫이 수납함(300)의 회동함에 따라 다른 여닫이 수납함(300)의 닫힌자석(321)과 근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척력이 다른 여닫이 수납함(300)을 회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서로 마주하는 여닫이 수납함(300) 각각에 설치된 열림자석(322)은, 또한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므로, 닫힘자석(321)의 닫힘 유지기능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열림자석(322)은, 여닫이 수납함(300)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모서리 열림자석(323)을 더 포함하여, 열림 동기를 더욱 원활히 할 수도 있다.

Claims (7)

  1. 한 쌍의 베이스 부재;
    상하로 중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부재 사이에 체결되는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를 중심으로 여닫이 방식이로 회동하여,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부재 사이의 잉여공간에 위치하는 닫힌상태와 상기 잉여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는 열린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여닫이 수납함;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재는,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 부재를 관통하여 인접하는 또 다른 상기 기둥부재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가지고,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 부재를 관통한 상기 기둥부재에 체결되어 이동성을 제공하는 캐스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여닫이 수납함을 닫힌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닫힘 유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닫힘 유지수단은,
    서로 다른 상기 기둥부재에 체결되고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서로 다른 상기 여닫이 수납함의 마주하는 외면에 고정되어 자력으로 서로를 당기는 닫힘자석;를 포함하고,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서로 다른 상기 여닫이 수납함중 어느 하나를 열림상태로 회동시키면 또 다른 상기 여닫이 수납함도 자동으로 열림상태로 회동시키는 열림 동기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림 동기수단은,
    상기 여닫이 수납함의 외면에 고정되고 상기 여닫이 수납함의 회동방향으로 상기 닫힘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닫힘자석의 극성과 반대 극성을 가지는 열림 자석을 포함하는 유아용품 수납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25133A 2021-02-24 2021-02-24 유아용품 수납함 KR102616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133A KR102616644B1 (ko) 2021-02-24 2021-02-24 유아용품 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133A KR102616644B1 (ko) 2021-02-24 2021-02-24 유아용품 수납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110A KR20220121110A (ko) 2022-08-31
KR102616644B1 true KR102616644B1 (ko) 2023-12-27

Family

ID=83061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133A KR102616644B1 (ko) 2021-02-24 2021-02-24 유아용품 수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6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7677A1 (en) 2001-06-08 2004-11-04 Durand James M Mobile furniture and accessory system
US20120194051A1 (en) * 2009-09-14 2012-08-02 Marvin Penner Storage Chest for Tools or the Like
KR101727578B1 (ko) 2016-09-01 2017-04-17 김은호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
CN211673035U (zh) 2019-11-12 2020-10-16 榆逗(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备空间组合设计的转抽式活动柜
JP2020202890A (ja) * 2019-06-14 2020-12-24 東洋理研株式会社 キャスター付き理美容用ワゴン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4810A (ja) * 1981-12-02 1983-06-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収納家具
KR850002059Y1 (ko) * 1982-08-31 1985-09-21 공병성 온수 보일러
JP3666538B2 (ja) * 1997-06-06 2005-06-29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水平回動式扉付きキャビネット
KR100681648B1 (ko) 2004-12-22 2007-02-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아용 다기능 보관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7677A1 (en) 2001-06-08 2004-11-04 Durand James M Mobile furniture and accessory system
US20120194051A1 (en) * 2009-09-14 2012-08-02 Marvin Penner Storage Chest for Tools or the Like
KR101727578B1 (ko) 2016-09-01 2017-04-17 김은호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
JP2020202890A (ja) * 2019-06-14 2020-12-24 東洋理研株式会社 キャスター付き理美容用ワゴン
CN211673035U (zh) 2019-11-12 2020-10-16 榆逗(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备空间组合设计的转抽式活动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110A (ko)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6644B1 (ko) 유아용품 수납함
EP1552774B1 (en) Bassinet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CN109625543A (zh) 具同步升降的置物盒
KR101194750B1 (ko) 생활용품 소독보관장치
KR20130135811A (ko) 수저통의 내부 커버
KR101679025B1 (ko) 자석 부착형 용기
CN206891003U (zh) 瓶框组件及冰箱门
US20050199625A1 (en) Side-access toy container
KR101372529B1 (ko) 보관용기 거치대
US8056718B2 (en) Apparatus for storing baby bottles
CN208988050U (zh) 一种卧式酒柜
KR100960079B1 (ko) 수납함
JP2001286357A (ja) 引き出し付き収納家具
KR20170129309A (ko) 회전수납부가 구비된 침대
KR200450344Y1 (ko) 내외피의 이중구조로 형성된 상광하협형 상자
KR200468827Y1 (ko) 덮개가 구비된 이동가능한 다단의 수납바구니
KR102582319B1 (ko) 천장 수납부를 구비한 수납장
KR200496371Y1 (ko) 수저통
US20070261987A1 (en) Diaper bag organizer and diaper bag
US380038A (en) Feancis holt
CN215959095U (zh) 一种储物靠背
CN206964389U (zh) 收纳箱及收纳箱组件
CN212325723U (zh) 一种儿童用便携消毒包
KR200196213Y1 (ko) 책상 겸용 다목적 사물함
JP3153347U (ja) 底に蓋が着く高台付密閉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