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578B1 -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 - Google Patents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578B1
KR101727578B1 KR1020160112553A KR20160112553A KR101727578B1 KR 101727578 B1 KR101727578 B1 KR 101727578B1 KR 1020160112553 A KR1020160112553 A KR 1020160112553A KR 20160112553 A KR20160112553 A KR 20160112553A KR 101727578 B1 KR101727578 B1 KR 101727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desk
upper plate
casing
di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호
Original Assignee
김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호 filed Critical 김은호
Priority to KR1020160112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70Coupl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03Drawer slides being extractable on two or more sides of the cabin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07Adjustably or detachably mount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2Leg supports, e.g. cup-shaped, also under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70Coupled drawers
    • A47B88/75Coupled drawers the secondary drawer being in or above the primary drawer
    • A47B2088/76Coup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이는, 작업면을 제공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서 상판을 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다리와; 상기 다수의 다리 중 선택된 다리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다리를 회동축으로 삼아 회동 가능한 철제 서랍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은, 책상의 다리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판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사용할 때에만 상판 외부로 빼내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공간활용도가 뛰어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위아래로 분리된 다수의 단위서랍통으로 적층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단위서랍통의 적용 개수를 증감시킬 수 도 있어 개별 소비자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고, 단위서랍통의 내부에 시크릿함을 설치하여 중요한 물건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DIY desk with stacked drawers}
본 발명은 DIY형 철제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책상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는 사용자가 반제품을 구입하여 직접 조립하는 이른바 DIY형 책상도 있다. 이러한 DIY형 책상은 상판과 다리와 책꽂이와 서랍통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다양한 형태로 결합 및 분해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DIY형 책상에서의 서랍통은, 그 형태가 박스형으로 획일화 되어 있고 부피 또한 커서 책상의 하부공간을 크게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테면, 상판의 하부로 뻣은 다리를 좌우로 운신할 공간이 좁아 답답함을 느낄 경우가 많고, 또한 의자를 상판 하부로 밀어넣기도 곤란할 때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 즉 서랍통이 상판의 하부에 있어야 하는 이유로, 상판은 실제 필요한 사이즈 보다 더욱 넓게 제작되어 책상의 전체 크기가 커지게 한다.
한편,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69477호(조립용 책상의 소물 수납장치)에는 책상 하부의 일측에 장식장을 설치하고 장식장의 내부에 수납장치를 설치한 기술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수납장치는 수직의 지지봉에 지지된 다수의 독립적 수납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책상에서의 수납장치는, 각 수납통 자체의 용적이 작아 비실용적이며 조잡하고 특히 장식장의 도어를 열어야 수납통을 사용할 수 있다는 불편함을 갖는다. 아울러 장식장의 경우 획일화된 박스의 구조에서 벗어나긴 하였지만, 책상 상판의 하부에서 어느 이상의 공간을 차지한다는 종전의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책상의 다리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판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사용할 때에만 상판 외부로 빼내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공간활용도가 뛰어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아래로 분리된 다수의 단위서랍통으로 적층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단위서랍통의 적용 개수를 증감시킬 수 도 있는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위서랍통의 내부에 시크릿함을 설치하여 중요한 물건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은, 작업면을 제공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서 상판을 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다리와; 상기 다수의 다리 중 선택된 다리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다리를 회동축으로 삼아 회동 가능한 철제 서랍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랍통은, 상호 분리되며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한 다수의 단위서랍통으로 적층 구성되며, 상기 단위서랍통은; 상기 다리를 통과시키는 수직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에 일체를 이루며 측방향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박스형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서랍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리는 일정직경을 가지는 수직의 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며, 그 하단부에는 서랍통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걸림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일부 단위서랍통의 케이싱의 측부에는, 내부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되 서랍본체를 케이싱내에 완전히 삽입한 상태에서 차단되는 사이드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에 끼워지는 서랍본체의 양측판은, 서랍본체가 케이싱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통로를 차단함과 동시에 서랍본체의 후방에 서랍본체의 수납공간과 격리된 뒷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뒷공간에는, 서랍본체를 인출하여 상기 사이드통로가 개방되었을 때 사이드통로를 통해 외부로 인출가능한 시크릿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은, 사각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귀퉁이부 하부에 고정되어 상판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일정직경을 갖는 수직의 파이프의 형태를 취하고 그 하단부 외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네 개의 다리와; 상기 네 개의 다리 중, 두 개의 다리에, 다리를 회동축으로 삼아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것으로서, 상호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한 다수의 단위서랍통으로 적층구성되고, 사용시에는 상판의 외부로 인출되고 비사용시에는 상판의 하부로 수납되는 철제 서랍통을 포함하며, 상기 각 단위서랍통은; 다리를 통과시키는 수직구멍을 가지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에 일체를 이루며 측방향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서랍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단위서랍통 중 일부 서랍통의 케이싱의 측부에는, 내부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되 서랍본체를 케이싱내에 완전히 삽입한 상태에서 차단되는 사이드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에 끼워지는 서랍본체의 양측판은, 서랍본체가 케이싱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통로를 차단함과 동시에 서랍본체의 후방에 서랍본체의 수납공간과 격리된 뒷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뒷공간에는, 서랍본체를 인출하여 상기 사이드통로가 개방되었을 때 사이드통로를 통해 외부로 인출가능한 시크릿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은, 책상의 다리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판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사용할 때에만 상판 외부로 빼내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공간활용도가 뛰어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아래로 분리된 다수의 단위서랍통으로 적층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단위서랍통의 적용 개수를 증감시킬 수 도 있어 개별 소비자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위서랍통의 내부에 시크릿함을 설치하여 중요한 물건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DIY책상을 사용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서랍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서랍통 중 일부 서랍통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할 본 실시예예 따른 DIY책상(11)은, 책상의 상판(13)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서랍통(17)을 책상의 다리(1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시킴으로써, 책상(11)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서랍통(17)을 상판(13) 하부에 밀어 넣고, 사용할 때에만 상판(13) 외부로 돌려 노출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판(13) 하부의 공간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서랍통(17)이 다수의 단위서랍통(17a)으로 적층 구성되므로, 단위서랍통(17a)의 개수를 필요에 따라 가감할 수 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11)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DIY책상을 사용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DIY 책상(11)은, 사각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는 상판(13)과, 상기 상판(13)의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상판(13)을 지지하는 다수의 다리(15)와, 상기 다리(15)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적층구조를 이루는 서랍통(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판(13)은 평평한 작업면을 제공하는 판상부재로서, 철제가 목재로 제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상판(13) 위에 책꽂이나 조명스탠드를 포함하여 다양한 소품 등을 고정할 수 도 있다.
상기 다리(15)는 상판(13)의 저면 귀퉁이부에 고정되어 상판(13)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일정직경을 갖는 수직의 파이프의 형태를 취한다.
도 4를 통해 상기 다리(15)의 구조를 보다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다리(15)는 상판(13)의 저면에 다수의 나사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기둥부(15d)와, 상기 고정기둥부(15d)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고정기둥부(15d)와 동축상에 위치하는 주기둥부(15a)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기둥부(15d)의 하단 중심축부에는 수나사부(15e)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나사부(15e)는 그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봉형부재로서 고정기둥부(15d)와 일체를 이룬다.
아울러, 상기 주기둥부(15a)의 상단에는 암나사구(15c)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암나사구(15c)가 고정기둥부(15d)의 수나사부(15e)와 나사 결합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고정기둥부(15d)에 주기둥부(15a)를 나사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고정기둥부(15d)로부터 주기둥부(15a)를 분리할 수 있음도 당연하다.
상기 주기둥부(15a)의 하단 외주면에는 걸림턱(15b)이 위치한다. 상기 걸림턱(15b)은 서랍통(17)을 지면으로부터 띄우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턱(15b)이 없다면 서랍통(17)이 바닥면으로 내려 앉아 회동시킬 수 없게 된다.
상기 서랍통(17)은 네 개의 다리 중 선택된 다리(15)에 적층 구성할 수 있다. 가령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앞쪽 두 개의 다리에 설치하거나 아니면 한쪽 다리(15)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여하튼, 도 1 및 도 2의 경우에는, 도면상 앞쪽 좌우측 다리(15)에 서랍통(1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서랍통(17)은 하나 짜리 단위서랍통(17a)을 다수 적층한 구조체이다. 도면상 좌측 다리(15)에는 세 개의 단위서랍통(17a)이 적층되어 있고, 우측 다리에는 두 개의 단위서랍통(17a)이 적용되어 있다.
상기 단위서랍통(17a)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자세히 후술된다.
상기 서랍통(17)은 도 1의 경우 상판(13)의 하부 공간으로 수납되어 있다. 이와같이 서랍통(17)이 상판(13)의 하부에 위치하므로서 DIY 책상(11)의 주변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서랍통(17)이 상판(13)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서랍통(17)을 화살표 a 방향으로 90도 만큼 회동시키면, 서랍통(17)이 상판(13)의 외부로 인출되며 도 2의 상태가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판(13)의 하부공간이 완전히 비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상판(13)의 하부에 넓은 공간이 확보되므로 사용자는 다리를 편하게 움직이거나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서랍통(17)을 도 1의 상태에서 180도 만큼 회동시킬 수 도 있는데, 이와같이 180도 회동시킬 경우 상판(13)의 양단부에 사람이 앉을 수 있다. 가령 두 사람이 하나의 상판(13)을 이용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서랍통(17)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서랍통(17)을 구성하는 단위서랍통(17a)은, 측방향으로 개방된 내부공간(17c)을 제공하는 케이싱(17b)과, 상기 케이싱(17b)의 입구부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수직구멍(17g)을 갖는 홀더부(17e)와, 상기 케이싱(17b)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서랍본체(17k)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17b)은 일반적인 철제 서랍통에서와 마찬가지로 금속판을 절곡 및 용접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박스의 형태를 취한다. 또한 상기 서랍본체(17k)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17n)을 갖는다. 도면부호 17d는 손잡이이다.
상기 홀더부(17e)는 케이싱(17b)의 외측에 고정된 것으로서 특히 그 내부영역에 베어링(17h)를 갖는다. 상기 베어링(17h)은 수직구멍(17g)의 내주면에 고정된 부재로서 주기둥부(15a)와 접한다. 상기 베어링(17h)의 작용에 의해 단위서랍통(17a)은 다리(15)를 회동축으로 삼아 부드럽게 회동운동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단위서랍통(17a) 중 일부 단위서랍통(17a)의 내부에는 시크릿함(17q)이 내장된다. 상기 시크릿함(17q)은 서랍본체(17k)의 뒤쪽에 뒷공간(17r)을 마련하고 뒷공간(17r)에 보관하는 상자이다. 상기 시크릿함(17q)에는 사용자가 감추고 싶은 물건을 넣을 수 있다.
상기 시크릿함(17q)이 적용된 단위서랍통(17a)의 서랍본체(17k)는 수납공간(17n) 이외에 뒷공간(17r)을 제공한다.
상기 뒷공간(17r)을 확보하기 위하여, 서랍본체(17k)의 양쪽 측판(17p)을 연결하는 격판(17s)이 앞쪽으로 이동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격판(17s)이 앞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기본 수납공간(17n)이 좁아지긴 하지만, 수납공간(17n) 뒤쪽에 뒷공간(17r)이 만들어진다.
상기 뒷공간(17r)은 두 개의 측판(17p)만으로 구획된 공간으로서 바닥판은 없다.
아울러 상기 케이싱(17b)의 양측벽 뒤쪽에는 사이드통로(17m)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통로(17m)는 시크릿함(17q)을 케이싱(17b) 내부로 넣거나 빼기 위한 통로이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시크릿함(17q)이 설치된 단위서랍통(17a)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케이싱(17b)에 서랍본체(17k)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사이드통로(17m)가 측판(17p)에 의해 차단된다. 서랍본체(17k)가 닫혀있는한 시크릿함(17q)을 꺼내거나 넣을 수 없는 것이다.
상기 상태에서 서랍본체(17k)를 앞으로 당겨 인출하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같이, 측판(17p)이 사이드통로(17m)로부터 벗어나 사이드통로(17m)가 개방된다. 사이드통로(17m)를 통해 시크릿함(17q)을 외부로 인출하거나, 케이싱(17b)내부로 넣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서랍통(17)을 구성하는 단위서랍통(17a)은 서로에 대해 분리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독립적으로 회동가능하다.
이를테면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단위서랍통(17a)의 회동 각도을 달리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단위서랍통(17a)의 회동각도를 달리할 수 있으므로, 각 서랍본체(17k)를 얼마간 인출하여 모든 단위서랍통(17a)의 수납공간(17n)을 동시에 개방시킬 수 도 있는 것이다. 모든 서랍통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DIY 책상 13:상판
15:다리 15a:주기둥부
15b:걸림턱 15c:암나사구
15d:고정기둥부 15e:수나사부
17:서랍통 17a:단위서랍통
17b:케이싱 17c:내부공간
17d:손잡이 17e:홀더부
17g:수직구멍 17h:베어링
17k:서랍본체 17m:사이드통로
17n:수납공간 17p:측판
17q:시크릿함 17r:뒷공간
17s:격판

Claims (5)

  1. 작업면을 제공하는 상판(13)과;
    상기 상판(13)의 하부에서 상판(13)을 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다리(15)와;
    상기 다수의 다리(15) 중 선택된 다리(15)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다리를 회동축으로 삼아 회동 가능한 철제 서랍통(17)을 포함하되,
    상기 서랍통(17)은, 상호 분리되며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한 다수의 단위서랍통(17a)으로 적층 구성되며,
    상기 단위서랍통(17a)은;
    상기 다리(15)를 통과시키는 수직구멍(17g)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부(17e)와,
    상기 홀더부(17e)에 일체를 이루며 측방향으로 개방된 내부공간(17c)을 갖는 박스형 케이싱(17b)과,
    상기 케이싱(17b)의 내부공간(17c)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서랍본체(17k)를 포함하고,
    일부 단위서랍통(17a)의 케이싱(17b)의 측부에는, 내부공간(17c)을 외부로 개방하되 서랍본체(17k)를 케이싱내에 완전히 삽입한 상태에서 차단되는 사이드통로(17m)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통로(17m)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에 끼워지는 서랍본체(17k)의 양 측판(17p)은, 서랍본체(17k)가 케이싱(17b)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통로(17m)를 차단함과 동시에 서랍본체(17k)의 후방에 서랍본체의 수납공간(17n)과 격리된 뒷공간(17r)을 제공하며,
    상기 뒷공간(17r)에는, 서랍본체(17k)를 인출하여 상기 사이드통로(17m)가 개방되었을 때 사이드통로(17m)를 통해 외부로 인출가능한 시크릿함(17q)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15)는 일정직경을 가지는 수직의 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며, 그 하단부에는 서랍통(17)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걸림턱(15b)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
  4. 삭제
  5. 삭제
KR1020160112553A 2016-09-01 2016-09-01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 KR101727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553A KR101727578B1 (ko) 2016-09-01 2016-09-01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553A KR101727578B1 (ko) 2016-09-01 2016-09-01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578B1 true KR101727578B1 (ko) 2017-04-17

Family

ID=5870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553A KR101727578B1 (ko) 2016-09-01 2016-09-01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5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639A (ko) * 2018-01-19 2019-07-29 정미영 재난 안전 디스펜서 테이블 장치
KR20220121110A (ko) * 2021-02-24 2022-08-31 김준태 유아용품 수납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130Y1 (ko) * 1999-11-29 2000-04-15 김일선 다용도 책상
KR200334987Y1 (ko) * 2003-08-25 2003-12-03 (주)아트박스 서랍식 보관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130Y1 (ko) * 1999-11-29 2000-04-15 김일선 다용도 책상
KR200334987Y1 (ko) * 2003-08-25 2003-12-03 (주)아트박스 서랍식 보관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639A (ko) * 2018-01-19 2019-07-29 정미영 재난 안전 디스펜서 테이블 장치
KR102029280B1 (ko) * 2018-01-19 2019-10-07 정미영 재난 안전 디스펜서 테이블 장치
KR20220121110A (ko) * 2021-02-24 2022-08-31 김준태 유아용품 수납함
KR102616644B1 (ko) 2021-02-24 2023-12-27 김준태 유아용품 수납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578B1 (ko) 적층형 철제 서랍통을 갖는 diy 책상
US20110037360A1 (en) Adaptable bi-fold workstation
US3285685A (en) Furniture
US20160135586A1 (en) Furniture stand with reversible configuration
US10443281B2 (en) Dresser 2.0
US10219622B1 (en) Compact desk and chair ensemble
KR200452483Y1 (ko) 콤비네이션 가구세트
US10092096B1 (en) Recipe and accessories system for the kitchen
KR101767823B1 (ko) 다용도 전시대
CN209106477U (zh) 一种多功能办公桌
CN213074981U (zh) 一种分体式经济学图书书柜
CA3056566A1 (en) Multi-use desk-cabinet
JP3208174U (ja) ラック
KR101284086B1 (ko) 인출식 테이블이 구비된 수납 가구
JP6508885B2 (ja) 組み合わせ家具
US3617104A (en) Convertible picnic box
JP4943252B2 (ja) デスク装置
US1458449A (en) Combined bench and music cabinet
US20220312962A1 (en) Double Sided Armoire Assembly
JP6380518B2 (ja) 収納付きヘッドボード
KR101026700B1 (ko) 텔레비젼 수납겸용 물품 수납대
WO2010078677A1 (zh) 储物柜组
KR200486255Y1 (ko) 인출 서랍
JPH0354603Y2 (ko)
JP2018183488A (ja) 組み合わせデ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