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277B1 -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 Google Patents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277B1
KR102615277B1 KR1020220134182A KR20220134182A KR102615277B1 KR 102615277 B1 KR102615277 B1 KR 102615277B1 KR 1020220134182 A KR1020220134182 A KR 1020220134182A KR 20220134182 A KR20220134182 A KR 20220134182A KR 102615277 B1 KR102615277 B1 KR 102615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pp
opp
packaging material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희재
홍석준
조경식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22013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277B1/ko
Priority to PCT/KR2023/011751 priority patent/WO202408539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3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of features
    • B32B7/03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of features using arrangements of stretched films, e.g. of mono-axially stretched films arranged alterna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층간 접착강도를 강화하는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은,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Oriented Polypropylene)으로 형성되는 제1 OPP필름, 상기 제1 OPP필름 일면에 첩합(貼合)되고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Cast Polypropylen)으로 형성되는 제1 CPP필름, 상기 제1 CPP필름 일면에 첩합되고 연신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는 제2 OPP필름, 및 상기 제2 OPP필름 일면에 첩합되고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는 제2 CPP필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Retort Sterilization Film Laminate And Packing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토르트 후에도 층간 접착강도를 유지하는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레토르트 파우치 포장재는 기존의 이종 소재(예를 들면, PET, Al, Ny, PP 등)에 의한 적층필름의 층구조를 PP(Polypropylene)단일소재에 의한 적층필름의 층구조로 구성한다.
PP단일소재의 적층필름은 PP소재가 가지고 있는 딱딱하고 깨지기 쉬운 특성 때문에 고중량물을 유통하는데 한계점을 가진다. 또한 비극성인 PP단일소재를 적층하므로 PP단일소재 적층필름은 레토르트 살균 후 층간 접착강도의 저하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 층간 접착강도 저하는 적층필름의 박리강도 및 충격강도를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층간 접착강도를 강화하는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통 중 파손을 방지하는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을 포함하는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은,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Oriented Polypropylene)으로 형성되는 제1 OPP필름, 상기 제1 OPP필름 일면에 첩합(貼合)되고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Cast Polypropylen)으로 형성되는 제1 CPP필름, 상기 제1 CPP필름 일면에 첩합되고 연신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는 제2 OPP필름, 및 상기 제2 OPP필름 일면에 첩합되고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는 제2 CPP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OPP필름 및 상기 제2 OPP필름 중 적어도 하나는 산소 또는 수분을 차단하는 배리어 OPP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OPP필름은 AlOx의 증착된 투명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OPP필름은 SiOx 타입 무기물의 증착된 투명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CPP필름은 양면 코로나 처리되어 표면 요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CPP필름과 상기 제2 CPP필름은 1:1~1:2.5의 두께 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CPP필름 및 상기 제2 CPP필름은 고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OPP필름, 상기 제1 CPP필름, 상기 제2 OPP필름, 및 상기 제2 CPP필름은 서로의 사이에 드라이 라미네이션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는 상기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을 포함하고, 상기 포장재의 두께 방향 일측을 형성하는 제1 필름 적층물, 상기 포장재의 두께 방향 다른 일측을 형성하는 제2 필름 적층물, 및 상기 제1 필름 적층물과 상기 제2 필름 적층물의 외곽을 형성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는 서로 마주하는 제2 CPP필름으로 접착된다.
상기 실링부에서 상기 제2 CPP필름의 두께는 제1 OPP필름과 제2 OPP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CPP필름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OPP필름과 제2 OPP필름 사이에 제1 CPP필름을 구비하므로 층간 접착강도를 강화하거나 유통 중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제1 CPP필름과 제2 CPP필름을 구비하므로 필름 적층물의 전체 두께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층간 접착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고, 고무성분이 포함된 제2 CPP필름으로 실링부를 형성하여 포장재의 실링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는 제1 CPP필름의 두께보다 제2 CPP필름의 두께를 더 두껍게 형성하므로 포장재의 실링부에서 실링성을 향상 및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을 포함하는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100)은 제1 OPP필름(11), 제1 CPP필름(21), 제2 OPP필름(12) 및 제2 CPP필름(22)을 포함한다.
제1 OPP필름(11), 제1 CPP필름(21), 제2 OPP필름(12) 및 제2 CPP필름(22)은 서로의 사이에서 드라이 라미네이션층(DL, dry lamination)으로 첩합(貼合)된다. 제1 OPP필름(11)은 인쇄층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OPP필름(11), 제1 CPP필름(21), 제2 OPP필름(12) 및 제2 CPP필름(22)은 단일 소재로 형성되어 우수한 재활용성을 가지게 하며, 열처리 공정으로 인하여 소재의 사용에 제한이 있고, 대체가 어려운 레토르트용으로 적합한 필름 적층물(100)을 형성한다.
제1 OPP필름(11)과 제2 OPP필름(12)은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Oriented Polypropylene)으로 형성된다. 일례를 들면, 제1 OPP필름(11)과 제2 OPP필름(12)은 15~3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최상층을 형성하는 1급지인 제1 OPP필름(11)은 인쇄를 가능하게 하는 성질을 제공하며, 열손상 방지를 위한 내열성을 제공한다. 위에서 3번째층을 형성하는 3급지인 제2 OPP필름(12)은 강도를 보강하여 강도를 유지하게 한다.
제1 OPP필름(11) 및 제2 OPP필름(12) 중 적어도 하나는 산소 또는 수분을 차단하는 배리어 OPP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를 들면, 제1 OPP필름(11)과 제2 OPP필름(12)은 15~3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1급지인 제1 OPP필름(11)이 배리어 OPP필름으로 형성되는 경우, 배리어 OPP필름은 산소 또는 수분에 대한 차단성을 가지며, 인쇄를 가능하게 하는 성질을 제공하며, 레토르트 살균 및 실링 시 열손상 방지를 위한 내열성을 제공한다.
일례로써, 배리어 OPP필름은 AlOx의 증착된 투명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리어 OPP필름은 SiOx 타입 무기물의 증착된 투명필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배리어 OPP필름은 무기물들이 딱딱하여 깨지기 쉬운 특성을 개선하여 AlOx나 SiOx와 함께 유기합성물을 조합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증착된 투명필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배리어 OPP필름은 나노클레이 같은 판상의 물질을 혼합하여 차단성을 올리거나 베리어성 코팅방식의 차단성 소재를 포함하는 투명필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배리어 OPP필름은 OPP 베이스(OPP base) 차단성 필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CPP필름(21) 및 제2 CPP필름(22)은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Cast Polypropylen)으로 형성된다. 일례를 들면, 제1 CPP필름(21) 및 제2 CPP필름(22)은 레토르트용으로 60~120㎛의 합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CPP필름(21) 및 제2 CPP필름(22)은 레토르트용으로 사용되고, 충격보강을 위해서 고무성분을 포함한다.
위에서 2번째층을 형성하는 2급지인 제1 CPP필름(21)은 고무성분을 포함하여 충격강도를 보강한다. 위에서 4번째층을 형성하는 4급지인 제2 CPP필름(22)은 실링성과 내오렌지필성을 향상시킨다. 즉 제2 CPP필름(22)은 실링 접착성이 중요하므로 낮은 온도에서 실링을 원활히 구현할 수 있는 고무성분을 제1 CPP필름(21)에서보다 더 많이 포함할 수 있다.
필름 적층물을 레토르트 살균처리(일반적으로 121℃)하고 나면 필름 적층물의 내열성이 떨어지고, 내열성이 떨어지면 필름 적층물의 내용물이 필름 적층물에 침투해서 필름 적층물이 오렌지껍질처럼 울퉁불퉁하게 되어 필름 적충물 제품의 외관의 품질이 많이 떨어져 보인다.
내오렌지필성은 포장이나 필름업계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서 필름 적층물의 외관 질이 떨어지지 않는 성능을 의미한다. 제2 CPP필름(22)은 고무성분으로 인하여 실링성을 향상시키면서 또한 내오렌지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CPP필름(21)은 양면 코로나 처리되어 양면에 표면 요철을 가지고, 그 일면으로 제1 OPP필름(11)의 일면에 첩합(貼合)되고, 다른 일면으로 제2 OPP필름(12)의 일면에 첩합된다.
코로나 처리는 비극성인 제1 CPP필름(21) 표면에 물리적인 요철을 주기도 하지만 전기방전에 의하여 표면을 산화시키고 극성화시킨다. 따라서 제1 CPP필름(21)은 제1 OPP필름(11)과 제2 OPP필름(12) 사이에서 부착 성능을 향상시키며, 표면 요철을 통하여 물리적인 부착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1 OPP필름(11)과 제2 OPP필름(12)은 연신에 의해서 표면이 매우 매끄럽고 평활도가 높아서 코로나 처리를 해도 극성화는 가능하지만 물리적인 요철 형성이 어려우므로 낮은 접착력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제1 CPP필름(21)은 제1 OPP필름(11)과 제2 OPP필름(12) 사이에 개재되어 양면에서 상호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제1 CPP필름(21)은 요구되는 충격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1 OPP필름(11)과 제2 OPP필름(12)의 부착 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최소의 두께로 사용될 수 있다. 최소의 두께로 제공된 제1 CPP필름(21)은 양면 코로나 처리된 표면 요철과 젖음 장력(wetting tension)에 의해서 우수한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접착제의 층간 접착강도가 요구 수준 이상으로 나오려면 필름의 젖음장력이 최소 36dyne 이상은 되어야 한다. 제1 CPP필름(21)은 양면 코로나 처리를 통하여 37~42dyne의 젖음장력을 가지므로 층간 접착강도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즉 제1 CPP필름(21)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함으로써 표면에 라디컬/이온 등을 발생시켜 극성화 함으로써 접착제의 접착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코로나 처리는 제1 CPP필름(21)의 표면을 거칠게 만들어 표면에 요철을 만들어 줌으로써 접착제가 더 잘 달라붙게 하는 물리적인 접착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제1 CPP필름(21)은 레토르트 CPP필름의 강한 충격강도로 인해서 제1 OPP필름(11)과 제2 OPP필름(12)의 딱딱하고 파열되기 쉬운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1급지인 제1 OPP필름(11)과 3급지인 제2 OPP필름(12) 사이에 제1 CPP필름이 위치하는 샌드위치 구조는 1차적으로 1급지인 제1 OPP필름(11)이 낙하 또는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여, 전체적인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10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CPP필름(22)은 필름 적층물(100)을 사용하는 포장재(200)에서 실링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CPP필름(21) 및 제2 CPP필름(22)의 합 두께에서 제1 CPP필름(21)의 두께를 제외한 범위의 두께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CPP필름(21)과 제2 CPP필름(22)은 1:1~1:2.5의 두께 비를 가진다. 일례로써, 제1 CPP필름(21)의 두께가 30~50㎛일 때, 제2 CPP필름(22)은 30~7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할된 제1 CPP필름(21)과 제2 CPP필름(22)은 종래에 하나의 CCP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동일한 양 즉 동일한 두께의 CCP필름을 사용하여 두께를 증가를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제1 OPP필름(11)과 제2 OPP필름(12) 부착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제1 OPP필름(11)의 두께보다 제2 CPP필름(22)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므로 실링성을 향상 및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을 포함하는 포장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포장재(200)는 도 1의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100)을 포함한다.
포장재(200)는 자립형(예, 스탠딩 파우치) 및 비자립형(예, 3면 실링 파우치)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여기서는 편의상 자립형으로 도시한다.
포장재(200)에서 일측을 형성하는 제1 필름 적층물(110)과 다른 일측을 형성하는 제2 필름 적층물(120)은 내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상하의 제2 CPP필름(22)의 부착으로 실링부(300)를 형성한다. 편의상, 도 3은 인쇄층과 드라이 라미메니이션층을 생략하여 도시한다.
즉 실링부(300)는 제1 필름 적층물(110)과 제2 필름 적층물(120)을 대칭 배치하여, 마주하는 2장의 제2 CPP필름(22)으로 부착되어 형성된다. 마주하는 2장의 제2 CPP필름(22)은 포장재(200)의 실링부(300)에 충분한 실링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의 필름 적층물(100)과 비교예의 필름 적층물을 들어서 실시예의 우수한 성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교예의 필름 적층물은 실시예의 제1 OPP필름, 제2 OPP필름, 및 하나의 CPP필름(실시예의 제2 CPP필름에 해당하고, 제1 CPP필름에 해당하는 구성이 없음)를 구비한다.
실시예의 필름 적층물(100)과 비교예의 필름 적층물의 전체의 두께는 동일하고, 실시예의 제1 CPP필름(21)과 제2 CPP필름(22)의 합 두께는 비교예의 CPP필름의 두께와 동일하다. 즉 전체 재료의 사용량은 동일하다. 비교예의 1급지는 OPP필름, 2급지는 OPP필름, 및 3급지는 CPP필름이다.
필름별 층간 접착강도(gf/15㎟) 레토르트 전 레토르트 후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비교예
1급지/2급지 310 190 275 205
2급지/3급지 225 205 230 230
3급지/4급지 240 없음 250 없음
실시예는 레토르트 전에 1급지/2급지의 층간 접착강도가 310gf/15㎟이고, 2급지/3급지의 층간 접착강도가 225gf/15㎟이며, 3급지/4급지의 층간 접착강도가 240gf/15㎟이다. 비교예는 레토르트 전에 1급지/2급지의 층간 접착강도가 190gf/15㎟이고, 2급지/3급지의 층간 접착강도가 205gf/15㎟이다.
실시예는 2급지의 양면에서 각각 310, 225gf/15㎟의 층간 접착강도를 가진다. 비교예는 2급지의 양면에서 각각 190, 250gf/15㎟의 층간 접착강도를 가진다. 레토르트 전에, 실시예의 접착강도는 비교예의 접착강도에 비하여 크게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는 레토르트 후에 1급지/2급지의 층간 접착강도가 275gf/15㎟이고, 2급지/3급지의 층간 접착강도가 230gf/15㎟이며, 3급지/4급지의 층간 접착강도가 250gf/15㎟이다. 비교예는 레토르트 전에 1급지/2급지의 접착강도가 205gf/15㎟이고, 2급지/3급지의 층간 접착강도가 230gf/15㎟이다.
실시예는 2급지의 양면에서 각각 275, 230gf/15㎟의 층간 접착강도를 가진다. 비교예는 2급지의 양면에서 각각 205, 340gf/15㎟의 층간 접착강도를 가진다. 레토르트 후에도, 실시예의 층간 접착강도는 비교예의 층간 접착강도에 비하여 크게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제1 CPP필름(21)과 제2 CPP필름(22)을 적용한 실시예는 하나의 CPP필름을 가지는 비교예에 비하여 레토르트 전과 레토르트 후 모두에서 층간 접착강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재질별 층간 강도를 비교해 보면, OPP필름/OPP필름 간의 첩합 구조를 가지는 비교예에 비하여 OPP필름/OPP필름 사이에 CPP필름를 구비한 실시예는 CPP필름의 표면 요철로 인하여 젖음성, 및 젖음성에 기인한 앵커리지 효과로 인하여 층간 접착강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재질별 층간 접착강도
(gf/15㎟)
OPP필름/OPP필름 OPP필름/CPP필름
평균 180 301
최소 최대 170 190 225 430
재질별 층간 접착강도를 보면, OPP필름과 OPP필름은 평균 180(gf/15㎟)이고, OPP필름과 CPP필름은 평균 301(gf/15㎟)이다. OPP필름과 CPP필름의 층간 접착강도는 OPP필름과 OPP필름의 층간 접착강도보다 휠씬 크다. 실시예는 제1 CPP필름(21)을 통하여 제1 OPP필름(11)과의 사이 및 제2 OPP필름(12)과의 사이에서 비교예에 개시되지 않은 강한 층간 접착강도를 구현한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의 필름 적층물(100)을 적용한 포장재(200)와 비교예의 포장재를 들어서 실시예의 우수한 성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름 적층물(100)을 포장재에 적용시 가열효율을 위하여, 전체 두께 대비 각 층이 차지하는 두께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필름 적층물(100)의 상단, 즉 포장재(200)의 외측은 강도가 높은 소재층인 제1, 제2 OPP필름(11, 12)을 제1, 제2 CPP필름(21, 22)에 비하여 두껍게 형성한다. 필름 적층물(100)의 하단, 즉 포장재(200)의 내측은 가열 효율에 더 영향을 미치는 레토르트 층으로 구성된다. 레토르트층 중 중간에 배치되는 제1 CPP필름(21)보다 내면에 배치되는 제2 CPP필름(22)은 더 두껍게 형성된다.
제1, 제2 OPP필름(11, 12) 및 제1, 제2 CPP필름(21, 22)의 표면 특성에 의한 층간 접착강도 및 충격강도 상승을 확보하고, 최종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양의 PP 원료를 사용하면서도 유통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제1, 제2 OPP필름(11, 12) 및 제1, 제2 CPP필름(21, 22)의 두께 및 그 비율은 유통 안정성을 위해 유통환경에 따라 층간 접착강도 외에 인장강도 및 실링 강도 등 일반적인 물성의 조절을 위하여 증감될 수 있다.
포장재(200)의 레토르트 효율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층간 접착강도 개선에 따라 충격강도 및 유통 안전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인 다트강도가 사용된다. 다트강도가 비교예에 비하여 실시예에서 상승하였으며, 레토르트 후에도 다트강도가 비교예에 비하여 실시예에서 비슷하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다트강도는 낙하 충격 시험기(Dart Drop Impact Tester)를 사용하여 자유 낙하 다트 방법으로 필름 적층물(100) 및 포장재(200)의 내 충격성을 측정한 강도이다.
다트강도 레토르트 전 레토르트 후
실시예 최대 힘(kgf) 44 42
레토르트 후 변화율 4%
비교예 최대 힘(kgf) 41 33
레토르트 후 변화율 21%
실시예는 레토르트 전에 다트강도의 최대 힘(Peak force)이 44kgf에서 레토르트 후에 42kgf로 감소하여 레토르트 전후 다트강도 최대 힘의 변화율이 4%이다. 이에 비하여, 비교예는 레토르트 전에 다트강도의 최대 힘(Peak force)이 41kgf에서 레토르트 후에 33kgf로 감소하여 레토르트 전후 다트강도 최대 힘의 변화율이 21%이다.
따라서 실시예의 필름 적층물(100) 및 포장재(200)는 비교예에 비하여 레토르트 전후에 있어서 다트강도의 변화율이 훨씬 적을 것을 볼 때, 조리 또는 유통절차에 따라 최적화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1: 제1 OPP필름 12: 제2 OPP필름
21: 제1 CPP필름 22: 제2 CPP필름
100: 필름 적층물 110: 제1 필름 적층물
120: 제2 필름 적층물 200: 포장재
300: 실링부 DL: 드라이 라미네이션층

Claims (10)

  1.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Oriented Polypropylene)으로 형성되는 제1 OPP필름;
    상기 제1 OPP필름 일면에 첩합(貼合)되고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Cast Polypropylen)으로 형성되는 제1 CPP필름;
    상기 제1 CPP필름 일면에 첩합되고 연신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는 제2 OPP필름; 및
    상기 제2 OPP필름 일면에 첩합되고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는 제2 CPP필름
    을 포함하는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
    을 포함하는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살균 필름 적층물로 형성되고 상기 포장재의 두께 방향 일측을 형성하는 제1 필름 적층물;
    상기 살균 필름 적층물로 형성되고 상기 살균 필름 적층물로 형성되고 상기 포장재의 두께 방향 일측을 형성하는 제1 필름 적층물;
    상기 살균 필름 적층물로 형성되고 상기 포장재의 두께 방향 다른 일측을 형성하는 제2 필름 적층물; 및
    상기 제1 필름 적층물과 상기 제2 필름 적층물의 외곽을 형성하는 실링부
    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는 서로 마주하는 1쌍의 상기 제2 CPP필름으로 접착되는 포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PP필름 및 상기 제2 OPP필름 중 적어도 하나는
    산소 또는 수분을 차단하는 배리어 OPP필름으로 형성되는, 포장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OPP필름은
    AlOx의 증착된 투명필름으로 형성되는, 포장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OPP필름은
    SiOx 타입 무기물의 증착된 투명필름으로 형성되는, 포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CPP필름은
    양면 코로나 처리되어 표면 요철을 가지는, 포장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CPP필름과 상기 제2 CPP필름은
    1:1~1:2.5의 두께 비를 가지는, 포장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CPP필름 및 상기 제2 CPP필름은 고무 성분을 포함하는, 포장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PP필름, 상기 제1 CPP필름, 상기 제2 OPP필름, 및 상기 제2 CPP필름은
    서로의 사이에 드라이 라미네이션층을 구비하는, 포장재.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에서 상기 제2 CPP필름의 두께는
    제1 OPP필름과 제2 OPP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CPP필름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포장재.
KR1020220134182A 2022-10-18 2022-10-18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KR102615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182A KR102615277B1 (ko) 2022-10-18 2022-10-18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PCT/KR2023/011751 WO2024085393A1 (ko) 2022-10-18 2023-08-09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182A KR102615277B1 (ko) 2022-10-18 2022-10-18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277B1 true KR102615277B1 (ko) 2023-12-18

Family

ID=89309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182A KR102615277B1 (ko) 2022-10-18 2022-10-18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5277B1 (ko)
WO (1) WO202408539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994A (ko) * 2011-09-20 2013-03-28 씨제이제일제당 (주) 포장용기
KR102286459B1 (ko) * 2020-11-26 2021-08-05 주식회사 유상 용이한 개봉성을 갖는 무연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재
KR102449273B1 (ko) * 2021-12-01 2022-09-30 (주)에이치피엠글로벌 파우치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6885B2 (ja) * 2015-09-08 2020-08-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袋の製造方法
KR102272170B1 (ko) * 2019-06-04 2021-07-05 주식회사 피엔디엔 재활용 가능한 포장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994A (ko) * 2011-09-20 2013-03-28 씨제이제일제당 (주) 포장용기
KR102286459B1 (ko) * 2020-11-26 2021-08-05 주식회사 유상 용이한 개봉성을 갖는 무연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재
KR102449273B1 (ko) * 2021-12-01 2022-09-30 (주)에이치피엠글로벌 파우치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5393A1 (ko)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64100C2 (ru) Пригодный для повтор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легко разрываемый упаковочный многослойный материал с хорошим барьерным действием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RU2600350C2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барьерная пленка, слоистый упаковочный материал, включающий пленку, упаков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изготовленный из слоистого упаков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енки
EP0539047B1 (en) HDPE/polypropylene film laminates
JP4346004B2 (ja) 包装材料用積層体の製造法及び包装材料用積層体
JP6107002B2 (ja) シーラント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包装材及び包装袋
WO2010104026A1 (ja) 多層積層易開封包装体
JP6798967B2 (ja) シーラント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包装材及び包装袋
KR20070063509A (ko) 중합체 필름,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 라미네이트,포장 라미네이트로 만들어진 포장 용기 및 중합체 필름의제조 공정
MXPA04010715A (es) Estructura laminada de barrera para envasado de bebidas.
SK6982001A3 (en) Laminated films as high barrier films and their use in vacuum insulation panels
CN113195217B (zh) 层压结构和合并有其的软包装材料
KR20060059964A (ko) 플라스틱 가스 배리어 패키징 라미네이트
US7972679B1 (en) Ballistic-resistant article including one or more layers of cross-plied uhmwpe tape in combination with cross-plied fibers
JP2018058366A (ja) 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包装体並びに包装物品
JP7455942B2 (ja) 樹脂シート、成形体および包装体
EP2741913B1 (en) Metallized polyethylene laminates
JP2007536140A (ja) プラスチック製ガスバリア包装用積層体
KR102615277B1 (ko) 레토르트 살균 필름 적층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EP1858651B1 (en) Sealabl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for packaging
WO2006088216A1 (ja) 液体紙容器用多層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液体紙容器材料及び液体紙容器
KR101739363B1 (ko) 증착필름이 적층된 포장지 및 이의 제조방법
CA2861378A1 (en) High density unidirectional fabric for soft ballistics applications
JP7316819B2 (ja) 包装材料および包装体
JP2020185802A (ja) シーラント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包装材及び包装袋
KR102514288B1 (ko) 재활용이 용이한 폴리프로필렌(pp)계 단일재질로 구성된 산소 및 수분 차단성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