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226B1 - 보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및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보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및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226B1
KR102615226B1 KR1020230032378A KR20230032378A KR102615226B1 KR 102615226 B1 KR102615226 B1 KR 102615226B1 KR 1020230032378 A KR1020230032378 A KR 1020230032378A KR 20230032378 A KR20230032378 A KR 20230032378A KR 102615226 B1 KR102615226 B1 KR 102615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connection
panel
round bar
pip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2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Priority to KR1020230032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05Connecting; Fastening of roof covering supported directly by the roof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8Connecting; Fastening by forcing together the marginal portions of adjacent slabs o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구조적 안정성이 강화된 보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및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붕 구조물은, 지붕 판넬 및 상기 지붕 판넬의 전측 하단 및 후측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붕 판넬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보강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및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ROOF STRUCTURE WITH REINFORCEMENT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OF ROOF STRUCTURE}
본 발명은 보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및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 안정성이 강화된 보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및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러스 구조를 이용한 아치 형태의 지붕 구조물은, 상현재, 하현재 및 상현재와 하현재를 연결하면서 상현재 및 하현재와 트러스 구조를 이루는 웨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하현재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트러스 구조를 이용하여 아치 형태의 지붕 구조물의 골격을 형성하게 되면, 상현재의 자중에 의해 상현재 자체에 가해지는 압축응력이 웨브재로 분산될 수 있어, 지붕 구조물 전체의 안전계수가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트러스 구조는 내진 설계가 요구되는 아치 형태의 지붕 구조물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아치 형태의 지붕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보강 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구조적 안정성이 강화된 보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및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붕 구조물은, 지붕 판넬 및 상기 지붕 판넬의 전측 하단 및 후측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붕 판넬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보강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붕 판넬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 및 상기 보강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은, 지면에 배치된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어셈블리는, 상기 지붕 판넬에 연결되는 판넬 연결 트러스와,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붕 판넬의 하부에 위치한 보강 파이프에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 트러스와, 일측이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에 결합되는 제 1 환봉 트러스 및 일측이 상기 파이프 연결 트러스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 1 환봉 트러스에 연결되는 제 2 환봉 트러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는, 상기 지붕 판넬에 연결되는 제 1 트러스 부재 및 상기 제 1 트러스 부재의 전후 방향 양측에 결합되는 제 2 트러스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이프 연결 트러스는,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와 마주보도록 구성된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파이프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환봉 트러스의 일측은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에 상방 절곡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제 2 환봉 트러스의 일측은 상기 파이프 연결 트러스에 하방 절곡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지붕 판넬 및 상기 지붕 판넬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보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으로서, 상기 지붕 판넬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지붕 판넬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을 지면에 배치된 지지부에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지붕 판넬의 전측 하단 및 후측 하단에 상기 보강 어셈블리를 조립하여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을 상기 지지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어셈블리를 조립하여 결합하는 단계는, 판넬 연결 트러스를 조립하여 상기 지붕 판넬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의 하부에 위치하고, 보강 파이프에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 트러스를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에 결합된 제 1 환봉 트러스 및 상기 파이프 연결 트러스에 결합된 제 2 환봉 트러스를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 연결 트러스의 파이프 연결부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를 조립하여 상기 지붕 판넬에 연결하는 단계는, 제 1 트러스 부재에 상기 제 1 환봉 트러스를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트러스 부재의 전후 방향 양측에 제 2 트러스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트러스 부재를 상기 지붕 판넬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의 하부에 위치하고, 보강 파이프에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 트러스를 조립하는 단계는,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 및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 2 환봉 트러스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 사이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어셈블리를 조립하여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보강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 연결 트러스의 파이프 연결부에 연결한 후에, 상기 파이프 연결부 사이를 연결 파이프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붕 판넬의 전후 방향 전체 영역에 대해 보강 어셈블리가 배치되지 않고, 지붕 판넬의 전측 하단 및 후측 하단에만 보강 어셈블리가 배치될 수 있으므로, 보강 어셈블리의 소요를 최소화하여 지붕 구조물의 제작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붕 판넬과 보강 파이프를 연결하는 제 1 환봉 트러스 및 제 2 환봉 트러스가 각각, 판넬 연결 트러스 및 파이프 연결 트러스에 절곡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보강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다 안정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제 1 환봉 트러스 및 제 2 환봉 트러스의 일측은,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안정적으로 보강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의하여, 여러 다른 추가적인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여러 효과들에 대해서는 각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거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효과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보강 어셈블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보강 어셈블리에 구비된 판넬 연결 트러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판넬 연결 트러스에 구비된 제 1 트러스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5의 판넬 연결 트러스에 구비된 제 2 트러스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의 보강 어셈블리에 구비된 파이프 연결 트러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보강 어셈블리에 구비된 환봉 트러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도 1의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어셈블리(10)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1)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은 후술되는 보강 어셈블리(10)의 전후 방향, Y축 방향은 X축 방향과 수평면(XY평면)상에서 수직된 보강 어셈블리(10)의 길이 방향, Z축 방향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해 모두 수직된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붕 구조물(1)은, 지붕 판넬(P) 및 보강 어셈블리(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붕 판넬(P)은, 전체적으로 아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지붕 판넬(P)은, 일정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강철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어셈블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판넬(P)의 전측 하단 및 후측 하단에 구비되어 지붕 판넬(P)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지붕 판넬(P)에 대한 보강 어셈블리(10)의 시공은, 별도의 작업 크레인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보강 어셈블리(10)는, 지붕 판넬(P)의 전측 하단 및 후측 하단에 각각, 3개 내지 5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보강 어셈블리(1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관련 설명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지붕 판넬(P)의 길이 방향(Y축 방향)에서의 양단 및 보강 어셈블리(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에서의 양단은, 지면에 배치된 지지부(N)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이러한 지지부(N)는, H-Beam(미도시)을 포함하는 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지붕 판넬(P)의 전후 방향(X축 방향) 전체 영역에 대해 보강 어셈블리(10)가 배치되지 않고, 지붕 판넬(P)의 전측 하단 및 후측 하단에만 보강 어셈블리(10)가 배치될 수 있으므로, 보강 어셈블리(10)의 소요를 최소화하여 지붕 구조물(1)의 제작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보강 어셈블리(10)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보강 어셈블리(10)는, 판넬 연결 트러스(100),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 환봉 트러스(300) 및 연결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100)는, 지붕 판넬(P)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서, 판넬 연결 트러스(100)는, 용융아연도금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는, 판넬 연결 트러스(1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는, 지붕 판넬(P)의 하부에 위치한 보강 파이프(50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서,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는, 용융아연도금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 파이프(500)는, 보강 어셈블리(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성되며, 아치형 지붕 판넬(P)의 형상에 대응되게 밴딩(bending)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봉 트러스(300)는, 제 1 환봉 트러스(300a) 및 제 2 환봉 트러스(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환봉 트러스(300a)는, 일측이 판넬 연결 트러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 1 환봉 트러스(300a)의 일측은, 판넬 연결 트러스(100)에 상방 절곡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환봉 트러스(300b)는, 일측이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 1 환봉 트러스(300a)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 2 환봉 트러스(300b)의 일측은,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에 하방 절곡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붕 판넬(P)과 보강 파이프(500)를 연결하는 제 1 환봉 트러스(300a) 및 제 2 환봉 트러스(300b)가 각각, 판넬 연결 트러스(100) 및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에 절곡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보강 어셈블리(10)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다 안정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제 1 환봉 트러스(300a) 및 제 2 환봉 트러스(300b)의 일측은,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안정적으로 보강 어셈블리(1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보강 어셈블리(10)에 구비된 판넬 연결 트러스(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판넬 연결 트러스(100)는, 제 1 트러스 부재(110) 및 제 2 트러스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러스 부재(110)는, 지붕 판넬(P)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러스 부재(120)는, 제 1 트러스 부재(110)의 전후 방향(X축 방향)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환봉 트러스(300)는, 일측이 제 1 트러스 부재(1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지붕 판넬(P)의 하측에 위치한 보강 파이프(5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환봉 트러스(300)는, 전술한 제 1 환봉 트러스(300a) 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판넬 연결 트러스(100)를 복수의 부재가 중첩 결합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보강 어셈블리(10)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판넬 연결 트러스(100)에 구비된 제 1 트러스 부재(1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1 트러스 부재(110)는,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는, 접힘부(A)를 통해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1 트러스 부재(110)는, 접힘부(A)를 기준으로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와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는, 환봉 트러스(300, 상세하게는 제 1 환봉 트러스(300a))의 일측이 상방 절곡된 상태로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는 후술되는 제 1 트러스 부재(110)의 제 1 절곡홈부(130)일 수 있다.
특히,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에 의해 형성된 수용부는, 환봉 트러스(300, 상세하게는 제 1 환봉 트러스(300a))의 일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봉 트러스(300)의 절곡된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보강 어셈블리(10)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는, 수용부(제 1 절곡홈부(13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교차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는, 보강 어셈블리(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에서 볼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트러스 부재(110)가 지붕 판넬(P)과 연결되는 지붕 판넬(P)의 하단부에 대해,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의 상단부는 지붕 판넬(P)의 서로 다른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의 상단부는, 상기 교차 구성에 의해 지붕 판넬(P)의 보다 넓은 면적을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는, 일부가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지붕 판넬(P)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교차시켜 지붕 판넬(P)의 보다 넓은 면적을 지지하면서도,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를 중첩되게 구성함으로써 판넬 연결 트러스(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상기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의 중첩되는 부분의 면적은, 수용부(제 1 절곡홈부(130))에서 멀어질수록 감소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의 중첩되는 부분의 면적은, 수용부(제 1 절곡홈부(130))에 가까워질수록 증가되고, 수용부(제 1 절곡홈부(130))로부터 멀어질수록(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를 중첩되게 구성하여 제 1 트러스 부재(110)의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하면서도, 수용부(제 1 절곡홈부(130))로부터 지붕 판넬(P)에 가까워질수록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의 중첩 면적을 감소시켜 제 1 트러스 부재(110)에 의해 지붕 판넬(P)의 보다 넓은 면적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의 높이는,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지붕 판넬(P)이 전체적으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이러한 아치 형상의 지붕 판넬(P)에 대응하여 제 1 트러스 부재(110)가 지붕 판넬(P)을 지지할 때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붕 판넬(P)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제 1 트러스 부재(110)가 지붕 판넬(P)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5의 판넬 연결 트러스(100)에 구비된 제 2 트러스 부재(1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도 5 및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트러스 부재(120)는,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가 중첩된 부분 및 수용부(제 1 절곡홈부(13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트러스 부재(120)는, 제 1 트러스 부재(110)의 전후 방향(X축 방향)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2 트러스 부재(12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 2 트러스 부재(120)는, 각각,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를 지지함으로써, 환봉 트러스(300, 상세하게는 제 1 환봉 트러스(300a))가 수용되는 수용부(제 1 절곡홈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제 2 트러스 부재(120)가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에 추가적으로 중첩 결합됨으로써 판넬 연결 트러스(1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붕 판넬(P)을 지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8 내지 도 10을 다시 참조하면, 제 2 트러스 부재(120)는, 제 1 지지 플레이트(120a) 및 제 2 지지 플레이트(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한 쌍의 제 2 트러스 부재(120)는, 제 1 지지 플레이트(120a) 및 제 2 지지 플레이트(120b)일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120a)는,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가 중첩된 부분의 전후 방향(X축 방향)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 플레이트(120b)는,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00b)가 중첩된 부분의 전후 방향(X축 방향)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트러스 부재(120)는, 돌출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22)는, 제 1 지지 플레이트(120a) 및 제 2 지지 플레이트(120b)에서, 수용부(제 1 절곡홈부(130))의 형상에 대응되게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제 2 트러스 부재(120)가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에 추가적으로 중첩 결합되면서도, 제 2 트러스 부재(120)에 의해 환봉 트러스(300, 상세하게는 제 1 환봉 트러스(300a))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 보강 어셈블리(10)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제 1 트러스 부재(110)는, 제 1 연장부(112) 및 제 2 연장부(114)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112)는,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로부터 연장되고, 지붕 판넬(P)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114)는,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로부터 연장되고, 지붕 판넬(P)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연장부(112) 및 제 2 연장부(114)는, 각각, 전술한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의 상단부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의 상단부일 수 있다. 제 1 연장부(112) 및 제 2 연장부(114)는, 지붕 판넬(P)의 서로 다른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연장부(112) 및 제 2 연장부(114)는 서로 중첩되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연장부(112) 및 제 2 연장부(114)는, 각각,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로부터 지붕 판넬(P)의 전후 방향(X축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붕 구조물(1)의 경우, 제작 비용 절감을 위해 지붕 판넬(P)의 전후 방향(X축 방향) 전체 영역에 대해 보강 어셈블리(10)가 배치되지 않고, 지붕 판넬(P)의 전측 하단 및 후측 하단에만 보강 어셈블리(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지붕 판넬(P)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제 1 연장부(112) 및 제 2 연장부(114)가 지붕 판넬(P)의 전후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지붕 판넬(P)을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보다 안정적인 지붕 구조물(1)이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지지 플레이트(120a)는,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가 중첩된 부분의 전후 방향(X축 방향)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가 중첩된 부분의 전후 방향 일측은, 지붕 판넬(P)의 전후 방향에서의 내측을 향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 플레이트(120b)는,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00b)가 중첩된 부분의 전후 방향(X축 방향)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가 중첩된 부분의 전후 방향 타측은, 지붕 판넬(P)의 전후 방향에서의 외측을 향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 때, 제 2 트러스 부재(120)는, 제 1 지지 플레이트(120a)로부터 연장되는 수평연장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연장부(124)는, 제 1 지지 플레이트(120a)로부터 지붕 판넬(P)의 전후 방향(X축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 1 연장부(112) 및 제 2 연장부(114)는, 수평연장부(124)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에 추가적으로 중첩 결합되는 제 2 트러스 부재(120)의 제 1 지지 플레이트(120a)의 일부(수평연장부(124))가 제 1 연장부(112) 및 제 2 연장부(114)와 같은 방향(지붕 판넬(P)의 전후 방향(X축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보강 어셈블리(10)의 구조가 구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제 1 트러스 부재(110)는, 제 3 연장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연장부(116)는, 제 1 연장부(112) 및 제 2 연장부(114)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3 연장부(116)는, 제 1 연장부(112) 및 제 2 연장부(114)의 하부에 위치한 수평연장부(124)를 향하여 하향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제 1 연장부(112) 및 제 2 연장부(114)와 수평연장부(124)의 구조 및 제 제 1 연장부(112) 및 제 2 연장부(114)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제 3 연장부(116) 구조에 의해 보다 안정적인 보강 어셈블리(10)의 구조가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 트러스 부재(110) 및 제 2 트러스 부재(120)는, 복수의 체결 포인트(T)에서 체결부재(F)에 의해 밀착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체결 포인트(T)는, 대략 역삼각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F)는, 볼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때, 수용부(제 1 절곡홈부(130))의 일부는, 복수의 체결 포인트(T)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1 환봉 트러스(300a)가 수용되는 수용부(제 1 절곡홈부(130))의 일부는, 역삼각형 구조의 체결 포인트(T)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절곡홈부(130)에서 절곡의 정도가 가장 큰 부분이 복수의 체결 포인트(T)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제 1 환봉 트러스(300a)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보강 어셈블리(10)의 구조가 구성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의 보강 어셈블리(10)에 구비된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는, 파이프 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 연결부(230)는, 보강 파이프(50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보강 어셈블리(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에서 볼 때,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서, 파이프 연결부(230)의 직경은 보강 파이프(500)의 직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 때, 환봉 트러스(300)는, 일측이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에 하방 절곡된 상태로 결합되고, 타측이 보강 파이프(500)의 상측에 위치한 지붕 판넬(P)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환봉 트러스(300)는, 전술한 제 2 환봉 트러스(300b) 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어셈블리(10)가 지붕 판넬(P)의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되는 경우, 서로 다른 보강 어셈블리(10)의 보강 파이프(50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연결 파이프(600)를 통해 지붕 판넬(P)의 전후 방향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파이프(600)는, 보강 어셈블리(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보강 어셈블리(10) 사이가 연결될 수 있어, 복수 개의 보강 어셈블리(10)가 지붕 판넬(P)의 전측 하단 및 후측 하단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는,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10) 및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20)는,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10)와 마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20)는, 보강 어셈블리(10)의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10)와 마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20)는, 파이프 연결부(230)를 통해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1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10) 및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20)는, 환봉 트러스(300, 상세하게는 제 2 환봉 트러스(300b))의 일측이 하방 절곡된 상태로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는 후술되는 파이프 연결 부재(200)의 제 2 절곡홈부(240)일 수 있다.
특히,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10) 및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20)에 의해 형성된 수용부(제 2 절곡홈부(240))는, 환봉 트러스(300, 상세하게는 제 2 환봉 트러스(300b))의 일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봉 트러스(300)의 절곡된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보강 어셈블리(10)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10) 및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20)는, 파이프 연결부(23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볼 때, 반경 방향(X축 방향)으로 대칭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10)와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20) 사이에는 보강 어셈블리(10)의 전후 방향(X축 방향)에서 볼 때,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외부의 충격이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에 가해지는 경우,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10)와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의 충격을 일정 범위 내에서 흡수할 수 있다.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10) 및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20)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10) 및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20)에 의해 형성된 수용부(제 2 절곡홈부(240))는,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의 상단부 모서리에 단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절곡홈부(240)는, 보강 어셈블리(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에서의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의 상단부 모서리에 단부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제 2 절곡홈부(240))의 상측으로 갈수록, 보강 어셈블리(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에서의 수용부(제 2 절곡홈부(240))와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의 모서리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제 2 절곡홈부(240))에 환봉 트러스(300, 상세하게는, 제 2 환봉 트러스(300b))의 절곡된 부분이 보다 더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10) 및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20)는, 복수의 체결 포인트(T)에서 체결부재(F)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체결 포인트(T)는, 대략 삼각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F)는, 볼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때, 수용부(제 2 절곡홈부(240))의 일부는, 복수의 체결 포인트(T)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2 환봉 트러스(300b)가 수용되는 수용부(제 2 절곡홈부(240))의 일부는, 삼각형 구조의 체결 포인트(T)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4 및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절곡홈부(240)에서 절곡의 정도가 가장 큰 부분이 복수의 체결 포인트(T)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제 2 환봉 트러스(300b)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보강 어셈블리(10)의 구조가 구성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의 보강 어셈블리(10)에 구비된 환봉 트러스(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보강 어셈블리(10)는, 연결 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400)는, 제 1 환봉 트러스(300a)와 제 2 환봉 트러스(300b)를 연결할 수 있다. 일례로서, 연결 부재(400)는, 너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연결 부재(400)는, 제 1 환봉 트러스(300a)와 제 2 환봉 트러스(300b)의 연결부재(400) 내부로의 삽입 정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 1 환봉 트러스(300a) 및 제 2 환봉 트러스(300b)는, 연결 부재(4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결합 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환봉 트러스(300b)는, 제 1 환봉 트러스(300a)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서, 연결 부재(400)는, 지붕 구조물(1)이 설치되는 작업 환경의 특성(예: 지형 등)에 따라 지붕 판넬(P)의 상측 방향으로 절곡 정도가 설계치보다 커지는 경우, 제 1 환봉 트러스(300a) 및 제 2 환봉 트러스(300b)가 연결부재(400) 내부로부터 소정 길이 인출되도록 하여 제 1 환봉 트러스(300a)와 제 2 환봉 트러스(300b)의 연결부재(400) 내부로의 삽입 정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붕 판넬(P)과 보강 파이프(500) 간의 상하 방향 간격이 커질 수 있고, 설계치보다 증가된 지붕 판넬(P)의 절곡 정도에 대응하여 보강 어셈블리(10)가 안정적으로 지붕 판넬(P)을 지지할 수 있다.
또는, 연결 부재(400)는, 지붕 구조물(1)이 설치되는 작업 환경의 특성(예: 지형 등)에 따라 지붕 판넬(P)의 상측 방향으로 절곡 정도가 설계치보다 감소되는 경우, 제 1 환봉 트러스(300a) 및 제 2 환봉 트러스(300b)가 연결부재(400)에 소정 길이 삽입되도록 하여 제 1 환봉 트러스(300a)와 제 2 환봉 트러스(300b)의 연결부재(400) 내부로의 삽입 정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붕 판넬(P)과 보강 파이프(500) 간의 상하 방향 간격이 작아질 수 있고, 설계치보다 감소된 지붕 판넬(P)의 절곡 정도에 대응하여 보강 어셈블리(10)가 안정적으로 지붕 판넬(P)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지붕 구조물(1)이 설치되는 작업 환경의 특성에 따라 보강 어셈블리(10)의 전체적인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유연하고 안정적인 지붕 구조물(1)의 제작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 및 도 14를 참조하면, 환봉 트러스(300)는, 절곡부(310) 및 연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절곡부(310)는, 제 1 절곡부(310a) 및 제 2 절곡부(31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20)는, 제 1 연결부(320a) 및 제 2 연결부(320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환봉 트러스(300a)는, 상기 제 1 절곡부(310a) 및 제 1 연결부(32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절곡부(310a)는, 판넬 연결 트러스(100)에 상방 절곡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절곡부(310a)는, 전술한 제 1 환봉 트러스(300a)의 일측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320a)는, 제 1 절곡부(310a)에 연결되고, 연결부재(400)의 내부에 삽입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연결부(320a)는, 전술한 제 1 환봉 트러스(300a)의 타측에 해당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 1 연결부(320a)의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 1 연결부(320a)는 이러한 나사산을 통해 연결 부재(40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제 1 연결부(320a)와 연결부재(400) 간의 결합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 2 환봉 트러스(300b)는, 상기 제 2 절곡부(310b) 및 제 2 연결부(3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절곡부(310b)는,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에 하방 절곡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절곡부(310b)는, 전술한 제 2 환봉 트러스(300b)의 일측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320b)는, 제 2 절곡부(310b)에 연결되고, 연결부재(400)의 내부에 삽입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연결부(320b)는, 전술한 제 2 환봉 트러스(300b)의 타측에 해당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 2 연결부(320b)의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 2 연결부(320b)는 이러한 나사산을 통해 연결 부재(40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제 2 연결부(320b)와 연결부재(400) 간의 결합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때, 제 1 연결부(320a)와 제 2 연결부(320b)는 연결부재(400)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지붕 판넬(P)과 보강 파이프(500)를 연결하는 제 1 환봉 트러스(300a) 및 제 2 환봉 트러스(300b)가 각각, 판넬 연결 트러스(100) 및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에 절곡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보강 어셈블리(10)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다 안정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제 1 환봉 트러스(300a)의 제 1 절곡부(310a) 및 제 2 환봉 트러스(300b)의 제 2 절곡부(310b)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안정적으로 보강 어셈블리(10)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제 1 연결부(320a) 및 제 2 연결부(320b)는, 연결부재(400)의 내부에서 동일 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연결부(320a) 및 제 2 연결부(320b)가 연결부재(400)의 내부에서 동일 방향(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1 연결부(320a)는 연결부재(400) 내부로부터 소정 길이 인출될 수 있고, 제 2 연결부(320b)는 연결부재(400)의 내부로 소정 길이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연결부(320a)의 연결부재(400) 내부로부터의 인출 길이 및 제 2 연결부(320b)의 연결부재(400) 내부로의 삽입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연결부(320a) 및 제 2 연결부(320b)가 연결부재(400)의 내부에서 동일 방향(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1 연결부(320a)는 연결부재(400) 내부로 소정 길이 삽입될 수 있고, 제 2 연결부(320b)는 연결부재(400)의 내부로부터 소정 길이 인출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연결부(320a)의 연결부재(400) 내부로의 삽입 길이 및 제 2 연결부(320b)의 연결부재(400) 내부로부터의 인출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연결부(320a)는 연결부재(400)의 내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인출되도록 이동되고, 제 2 연결부(320b)는 연결부재(400)의 내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인출되도록 이동될 수도 있다. 이 때, 제 1 연결부(320a)의 연결부재(400) 내부로부터의 인출 길이 및 제 2 연결부(320b)의 연결부재(400) 내부로부터의 인출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연결부(320a)는 하측 방향으로 연결부재(400) 내부에 소정 길이 삽입되도록 이동되고, 제 2 연결부(320b)는 상측 방향으로 연결부재(400) 내부에 소정 길이 삽입되도록 이동될 수도 있다. 이 때, 제 1 연결부(320a)의 연결부재(400) 내부로의 삽입 길이 및 제 2 연결부(320b)의 연결부재(400) 내부로의 삽입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붕 구조물(1)이 설치되는 작업 환경의 특성에 따라 제 1 환봉 트러스(300a)와 제 2 환봉 트러스(300b)의 연결부재(400) 내부로의 삽입 정도의 조절이 요구될 때, 제 1 연결부(320a) 및 제 2 연결부(320b)의 연결부재(400)의 내부에서의 이동 방향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지붕 판넬(P)과 보강 파이프(500) 간의 상하 방향 간격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판넬 연결 트러스(100)는, 제 1 절곡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절곡홈부(130)는, 제 1 절곡부(310a)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절곡홈부(130)는, 제 1 절곡부(310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절곡홈부(130)는, 전술한 제 1 트러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트러스 플레이트(110b)에 의해 형성된 수용부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제 1 절곡홈부(130)의 일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역삼각형 구조의 복수의 체결 포인트(T)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는, 제 2 절곡홈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절곡홈부(240)는, 제 2 절곡부(310b)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절곡홈부(240)는, 제 2 절곡부(310b)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절곡홈부(240)는, 전술한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10) 및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20)에 의해 형성된 수용부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제 2 절곡홈부(240)의 일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삼각형 구조의 복수의 체결 포인트(T)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환봉 트러스(300)의 절곡된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보강 어셈블리(10)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절곡홈부(130)의 상단부(130a)는, 판넬 연결 트러스(100)의 무게 중심(G1)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절곡홈부(240)의 하단부(240a)는,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의 무게 중심(G2)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상하 방향에서 볼 때 판넬 연결 트러스(100)의 무게 중심(G1) 및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의 무게 중심(G2)이 제 1 절곡홈부(130)의 상단부(130a)와 제 2 절곡홈부(240)의 하단부(24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보강 어셈블리(1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 1 연결부(320a) 및 제 2 연결부(320b)는,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연결부(320a)는, 제 1 절곡부(310a)의 양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제 1 연결부(320a)는, 제 1 절곡부(310a)를 기준으로 한 쌍의 제 1 연결부(320a) 사이에 소정의 각도가 형성되도록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연결부(320b)는, 제 2 절곡부(310b)의 양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제 2 연결부(320b)는, 제 2 절곡부(310b)를 기준으로 한 쌍의 제 2 연결부(320b) 사이에 소정의 각도가 형성되도록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지붕 판넬(P)과 보강 파이프(500) 사이를 연결하는 환봉 트러스(3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보다 더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보강 어셈블리(10)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 1 절곡부(310a)의 곡률 반경은, 제 2 절곡부(310b)의 곡률 반경과 동일하거나 제 2 절곡부(310b)의 곡률 반경보다 더 클 수 있다. 즉, 제 1 절곡부(310a)의 곡률은 제 2 절곡부(310b)의 곡률과 동일하거나 제 2 절곡부(310b)의 곡률보다 더 작을 수 있다.
특히, 제 1 환봉 트러스(300a)는 아치 형상의 지붕 판넬(P)에 연결되는 판넬 연결 트러스(100)에 결합되고, 제 2 환봉 트러스(300b)는 지붕 판넬(P)의 하부에 위치한 보강 파이프(500)에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에 결합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절곡부(310a)의 곡률 반경이 제 2 절곡부(310b)의 곡률 반경보다 더 큰 경우, 아치 형상의 지붕 판넬(P)에 대응하여 제 2 환봉 트러스(300b)보다 상측에 위치한 제 1 환봉 트러스(300a)의 곡률을 더 작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지붕 판넬(P)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판넬 연결 트러스(100), 상기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 제 1 환봉 트러스(300a) 및 제 2 환봉 트러스(300b)는,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보강 어셈블리(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에서 볼 때, 판넬 연결 트러스(100) 및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는 지그 재그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하나의 제 1 환봉 트러스(300a)의 한 쌍의 제 1 연결부(320a)는, 서로 다른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에 결합된 제 2 환봉 트러스(300b)의 제 2 연결부(320b)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제 2 환봉 트러스(300b)의 한 쌍의 제 2 연결부(320b)는, 서로 다른 판넬 연결 트러스(100)에 결합된 제 1 환봉 트러스(300a)의 제 1 연결부(320a)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보강 어셈블리(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에서 볼 때, 지붕 판넬(P)과 보강 파이프(500) 사이를 연결하는 환봉 트러스(3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더욱 확실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보다 더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보강 어셈블리(1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은 도 1의 지붕 구조물(1)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1)의 시공 방법은, 도 15에서와 같이 하기 S1 단계 내지 S4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S1 단계에서, 지붕 판넬(P)을 준비한다.
상기 S2 단계에서, 지붕 판넬(P)의 길이 방향(Y축 방향)에서의 양단을 지면에 배치된 지지부(N)에 결합한다.
상기 S3 단계에서, 지붕 판넬(P)의 전측 하단 및 후측 하단에 보강 어셈블리(10)를 조립하여 결합한다.
상기 S4 단계에서, 보강 어셈블리(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에서의 양단을 지지부(N)에 결합한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지붕 판넬(P)의 전후 방향(X축 방향) 전체 영역에 대해 보강 어셈블리(10)가 배치되지 않고, 지붕 판넬(P)의 전측 하단 및 후측 하단에만 보강 어셈블리(10)가 배치될 수 있으므로, 보강 어셈블리(10)의 소요를 최소화하여 지붕 구조물(1)의 제작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S3 단계는, 하기 S31 단계 내지 S34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S31 단계에서, 판넬 연결 트러스(100)를 조립하여 지붕 판넬(P)에 연결한다.
상기 S32 단계에서, 판넬 연결 트러스(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보강 파이프(500)에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를 조립한다.
상기 S33 단계에서, 판넬 연결 트러스(100)에 결합된 제 1 환봉 트러스(300a) 및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에 결합된 제 2 환봉 트러스(300b)를 연결 부재(400)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상기 S34 단계에서, 보강 파이프(500)를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의 파이프 연결부(230)에 연결한다.
상기 제 1 환봉 트러스(300a)는, 일측이 판넬 연결 트러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 1 환봉 트러스(300a)의 일측은, 판넬 연결 트러스(100)에 상방 절곡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환봉 트러스(300b)는, 일측이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 1 환봉 트러스(300a)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 2 환봉 트러스(300b)의 일측은,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에 하방 절곡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붕 판넬(P)과 보강 파이프(500)를 연결하는 제 1 환봉 트러스(300a) 및 제 2 환봉 트러스(300b)가 각각, 판넬 연결 트러스(100) 및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에 절곡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보강 어셈블리(10)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다 안정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제 1 환봉 트러스(300a) 및 제 2 환봉 트러스(300b)의 일측은,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안정적으로 보강 어셈블리(1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S31 단계는, 하기 S311 단계 내지 S31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S311 단계에서, 제 1 트러스 부재(110)에 제 1 환봉 트러스(300a)를 결합한다.
상기 S312 단계에서, 제 1 트러스 부재(110)의 전후 방향(X축 방향) 양측에 제 2 트러스 부재(120)를 결합한다.
상기 S313 단계에서, 제 1 트러스 부재(110)를 지붕 판넬(P)에 연결한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판넬 연결 트러스(100)를 복수의 부재가 중첩 결합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보강 어셈블리(10)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S32 단계는, 하기 S321 단계 및 S322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S321 단계에서,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10) 및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20) 사이에, 상기 제 2 환봉 트러스(300b)를 결합한다.
상기 S322 단계에서,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10) 및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220) 사이를 결합한다.
도 16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S3 단계는, 하기 S35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S35 단계에서, 보강 파이프(500)를 파이프 연결 트러스(200)의 파이프 연결부(230)에 연결한 후에, 파이프 연결부(230) 사이를 연결 파이프(600)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보강 어셈블리(10) 사이가 연결될 수 있어, 복수 개의 보강 어셈블리(10)가 지붕 판넬(P)의 전측 하단 및 후측 하단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 : 지붕 구조물
10 : 보강 어셈블리
100 : 판넬 연결 트러스
110 : 제 1 트러스 부재
110a : 제 1 트러스 플레이트
110b : 제 2 트러스 플레이트
112 : 제 1 연장부
114 : 제 2 연장부
116 : 제 3 연장부
120 : 제 2 트러스 부재
120a : 제 1 지지 플레이트
120b : 제 2 지지 플레이트
122 : 돌출부
124 : 수평연장부
130 : 제 1 절곡홈부
200 : 파이프 연결 트러스
210 :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
220 :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
230 : 파이프 연결부
240 : 제 2 절곡홈부
300 : 환봉 트러스
310 : 절곡부
320 : 연결부
300a : 제 1 환봉 트러스
310a : 제 1 절곡부
320a : 제 1 연결부
300b : 제 2 환봉 트러스
310b : 제 2 절곡부
320b : 제 2 연결부
400 : 연결 부재
500 : 보강 파이프
600 : 연결 파이프
P : 지붕 판넬

Claims (11)

  1. 지붕 판넬; 및
    상기 지붕 판넬의 전측 하단 및 후측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붕 판넬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보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어셈블리는,
    상기 지붕 판넬에 연결되는 판넬 연결 트러스;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붕 판넬의 하부에 위치한 보강 파이프에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 트러스;
    일측이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에 결합되는 제 1 환봉 트러스; 및
    일측이 상기 파이프 연결 트러스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 1 환봉 트러스에 연결되는 제 2 환봉 트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환봉 트러스의 일측은,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에 상방 절곡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제 2 환봉 트러스의 일측은,
    상기 파이프 연결 트러스에 하방 절곡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는,
    상기 제 1 환봉 트러스의 일측이 상방 절곡된 상태로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는,
    상기 지붕 판넬에 연결되는 제 1 트러스 부재; 및
    상기 제 1 트러스 부재의 전후 방향 양측에 결합되는 제 2 트러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판넬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 및 상기 보강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은,
    지면에 배치된 지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구조물.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연결 트러스는,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와 마주보도록 구성된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파이프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구조물.
  6. 삭제
  7. 지붕 판넬 및 상기 지붕 판넬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보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붕 판넬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지붕 판넬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을 지면에 배치된 지지부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지붕 판넬의 전측 하단 및 후측 하단에 상기 보강 어셈블리를 조립하여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을 상기 지지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어셈블리를 조립하여 결합하는 단계는,
    판넬 연결 트러스를 조립하여 상기 지붕 판넬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어셈블리는,
    일측이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에 결합되는 제 1 환봉 트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환봉 트러스의 일측은,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에 상방 절곡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는,
    상기 제 1 환봉 트러스의 일측이 상방 절곡된 상태로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를 조립하여 상기 지붕 판넬에 연결하는 단계는,
    제 1 트러스 부재에 상기 제 1 환봉 트러스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 1 트러스 부재의 전후 방향 양측에 제 2 트러스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트러스 부재를 상기 지붕 판넬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어셈블리를 조립하여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의 하부에 위치하고, 보강 파이프에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 트러스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에 결합된 상기 제 1 환봉 트러스 및 상기 파이프 연결 트러스에 결합된 제 2 환봉 트러스를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 연결 트러스의 파이프 연결부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 연결 트러스의 하부에 위치하고, 보강 파이프에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 트러스를 조립하는 단계는,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 및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 2 환봉 트러스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파이프 연결 플레이트 사이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어셈블리를 조립하여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보강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 연결 트러스의 파이프 연결부에 연결한 후에, 상기 파이프 연결부 사이를 연결 파이프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0230032378A 2023-03-13 2023-03-13 보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및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615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378A KR102615226B1 (ko) 2023-03-13 2023-03-13 보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및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378A KR102615226B1 (ko) 2023-03-13 2023-03-13 보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및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226B1 true KR102615226B1 (ko) 2023-12-19

Family

ID=8938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378A KR102615226B1 (ko) 2023-03-13 2023-03-13 보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및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22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2093A (en) * 1978-12-19 1983-02-08 Frelena Ab Truss of lattice type
JPH04197898A (ja) * 1990-11-29 1992-07-17 Uchu Tsushin Kiso Gijutsu Kenkyusho:Kk トラス構造体
JPH07127239A (ja) * 1993-08-11 1995-05-16 Fuigura Kk 板材の固定装置及びその板材
CN102322463A (zh) * 2011-08-18 2012-01-18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充气展开桁架结构主支撑管与斜拉管之间的连接结构
KR101465013B1 (ko) * 2014-09-01 2014-11-25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건축 구조물의 트러스형 지붕 건축 방법 및 건축 구조물의 트러스형 지붕 구조
KR102381707B1 (ko) * 2021-01-25 2022-05-17 이용구 철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20230027968A (ko) * 2021-08-20 2023-02-28 김성근 지붕 프레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2093A (en) * 1978-12-19 1983-02-08 Frelena Ab Truss of lattice type
JPH04197898A (ja) * 1990-11-29 1992-07-17 Uchu Tsushin Kiso Gijutsu Kenkyusho:Kk トラス構造体
JPH07127239A (ja) * 1993-08-11 1995-05-16 Fuigura Kk 板材の固定装置及びその板材
CN102322463A (zh) * 2011-08-18 2012-01-18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充气展开桁架结构主支撑管与斜拉管之间的连接结构
KR101465013B1 (ko) * 2014-09-01 2014-11-25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건축 구조물의 트러스형 지붕 건축 방법 및 건축 구조물의 트러스형 지붕 구조
KR102381707B1 (ko) * 2021-01-25 2022-05-17 이용구 철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20230027968A (ko) * 2021-08-20 2023-02-28 김성근 지붕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2213B2 (en) Asymmetric cable-membrane tensegrity structure of opening type,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and method of designing the same
CN103314167A (zh) 将π形状的截面使用为弦杆的桁架结构
KR101065633B1 (ko)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강관 트러스 보
KR100964067B1 (ko) 교량용 강관 합성거더 및 그 제조방법
CN101415891B (zh) 蜂窝建筑构造体
KR101188784B1 (ko) 원형 브레이스 및 이의 시공방법
CN113107131B (zh) 一种内环交汇的外悬挑大跨弧形变截面箱型钢梁结构及构成方法
US8522502B2 (en) Pole construction for framework towers of wind power plants
KR102615226B1 (ko) 보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및 지붕 구조물의 시공 방법
CN216197045U (zh) 一种铁塔分段结构用辅助装置
KR100887742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강재빔의 제작방법
KR102615212B1 (ko) 보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KR102615209B1 (ko) 보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CN207739718U (zh) 钢结构抗震框架结构及钢结构装配式抗震建筑
JP2013055263A (ja) 太陽光パネル架台
US2916109A (en) Reinforced wall construction
CN201786045U (zh) 钢梁与先张法预应力叠合梁相结合的房屋结构体系
KR102570291B1 (ko) 보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US4947599A (en) Trussed girder with pre-tension member therein
US3195274A (en) Umbrella type frame structures
CN107842242A (zh) 钢结构抗震框架结构及钢结构装配式抗震建筑
RU2204672C2 (ru) Оп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CN106063123A (zh) 用于构成太阳能发电板设置用支架的部件
KR101732719B1 (ko) 튜브형 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보
CN210713185U (zh) 装配式钢结构及装配式建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