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925B1 - 조선소 작업장 내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조선소 작업장 내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925B1
KR102614925B1 KR1020220138079A KR20220138079A KR102614925B1 KR 102614925 B1 KR102614925 B1 KR 102614925B1 KR 1020220138079 A KR1020220138079 A KR 1020220138079A KR 20220138079 A KR20220138079 A KR 20220138079A KR 102614925 B1 KR102614925 B1 KR 102614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data
current data
location
welding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환
이상신
최원기
김지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38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Arrangements or circuits for arc welding with pulsed current or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조선소 작업장 내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은, 용접 블록에 대해 용접 작업하는 중에 디지털 용접기에서 발생되는 용접 데이터를 수집하고, 디지털 용접기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 데이터를 수집하며, 수집된 용접 데이터와 전류 데이터를 기초로 용접 작업 위치를 분석한다. 이에 의해, 철제 구조물이 많은 조선소 환경에서도 정확한 용접 작업 위치 확인이 가능해지며, 용접 작업 위치들이 측위 데이터 오차 범위 이내로 매우 인접한 경우에도 지그핀 간격 수준의 정확도로 작업 위치들을 구분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선소 작업장 내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Method for finding the location of welding work in the shipyard workshop}
본 발명은 조선소 내 용접 작업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규모 조선소 내에서 디지털 용접기들에 의해 수행되는 용접 작업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규모 용접 작업이 수행되고 있는 조선소 등에서 디지털 용접기를 도입함으로써, 용접 작업 여부, 용접 시간, 용접 패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다.
하지만 디지털 용접기를 통해 수집된 용접 데이터는 용접 작업 자체에 대한 정보만을 줄 뿐이며, 어느 장소에서 어떤 작업에 투입되었을 때의 데이터인지를 특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용접 작업 위치 확인을 위해 디지털 용접기가 무선 통신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전송하도록 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철제 구조물이 많은 조선소에서는 간섭으로 인한 측위와 무선 통신 제약이 있으며, 특히 철제 구조물 안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것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용접 작업 위치가 매우 인접한 경우에는, 오차가 다소 발생하는 측위 데이터로 두 작업 위치를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선소 내 대규모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디지털 용접기로 수집되는 용접 데이터와 디지털 용접기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용접 작업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은, 용접 블록에 대해 용접 작업하는 중에 디지털 용접기에서 발생되는 용접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디지털 용접기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용접 데이터와 전류 데이터를 기초로, 용접 작업 위치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분석 단계는, 용접 데이터를 기초로 용접 패턴을 파악하는 제1 파악단계; 전류 데이터를 기초로 용접 패턴을 파악하는 제2 파악단계; 제1 파악 단계에서 파악된 용접 패턴과 일치하는 제2 파악단계에서 파악된 용접 패턴을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용접 패턴의 기초가 된 전류 데이터를 수집한 위치를 용접 작업 위치로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탐색 단계는, 동시간대에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한 용접 패턴들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용접 블록은, 지그핀 위에 놓여진 상태로 용접 작업되고, 전류 데이터는, 지그핀에서 수집되며, 용접 작업 위치는, 지그핀의 식별자로 특정될 수 있다.
전류 흐름은, 디지털 용접기 본체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홀더, 지그핀, 지그핀이 설치된 작업대를 통해 디지털 용접기 본체로 입력되는 경로를 따를 수 있다.
전류 데이터는, 작업장에 설치된 다수의 지그핀들 중 일부에서만 수집될 수 있다.
용접 데이터는, 디지털 용접기의 식별자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수집되고, 전류 데이터는, 지그핀의 식별자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수집될 수 있다.
용접 작업 위치는, 지그핀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용접 작업은, 철재 구조물에 의해 무선 통신 상태가 좋지 않은 작업장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작업 위치 확인 시스템은, 용접 블록에 대해 용접 작업하는 중에 디지털 용접기에서 발생되는 용접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 수집 시스템; 디지털 용접기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2 수집 시스템; 수집된 용접 데이터와 전류 데이터를 기초로, 용접 작업 위치를 분석하는 분석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은, 용접 블록에 대해 용접 작업하는 중에 디지털 용접기에서 발생되는 용접 데이터를 기초로 용접 패턴을 파악하는 제1 파악단계; 디지털 용접기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 데이터를 기초로 용접 패턴을 파악하는 제2 파악단계; 제1 파악 단계에서 파악된 용접 패턴과 일치하는 제2 파악단계에서 파악된 용접 패턴을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용접 패턴의 기초가 된 전류 데이터를 수집한 위치를 용접 작업 위치로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작업 위치 확인 시스템은, 용접 블록에 대해 용접 작업하는 중에 디지털 용접기에서 발생되는 용접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지털 용접기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용접 데이터를 기초로 용접 패턴을 파악하고, 전류 데이터를 기초로 용접 패턴을 파악하며. 용접 데이터를 기초로 파악된 용접 패턴과 일치하는 전류 데이터를 기초로 파악된 용접 패턴을 탐색하며, 탐색된 용접 패턴의 기초가 된 전류 데이터를 수집한 위치를 용접 작업 위치로 파악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지털 용접기로 수집되는 용접 데이터와 디지털 용접기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용접 작업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철제 구조물이 많은 조선소 환경에서도 정확한 용접 작업 위치 확인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용접 작업 위치들이 측위 데이터 오차 범위 이내로 매우 인접한 경우에도 지그핀 간격 수준의 정확도로 작업 위치들을 구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가능한 용접 작업 환경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디지털 용접기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 경로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작업 위치 확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는 위치 분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선소 작업장 내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을 제시한다. 조선소 내 대규모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디지털 용접기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는 용접 위치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가능한 용접 작업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는 디지털 용접기(11,12,13)를 이용하여 용접 기술자가 작업대(52)에 설치되어 있는 지그핀들(51) 위에 놓여 있는 용접 블록에 대해 용접 작업을 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하였다.
디지털 용접기(11,12,13)는 전류 공급/세기를 조정하여 용접 강도를 제어하는 디지털 용접기 본체(11), 홀더선과 어스선을 정리하기 위한 피더(12), 용접봉을 장착하는 홀더(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접 작업시 디지털 용접기 본체(11)에서 인가되는 전류는 피더(12)와 홀더(13)를 거처 지그핀(51)과 작업대(52)를 통해 디지털 용접기 본체(11)로 회기하는 경로를 따라 흐른다.
이와 같은 용접 작업 환경에서 디지털 용접기의 작업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디지털 용접기(11,12,13)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 경로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핀에 전류 클램프 미터를 설치하면 해당 지그핀을 지나는 전류 경로에서의 전류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측정되는 전류 데이터는 전술한 용접 데이터와 함께 용접 작업 위치를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작업 위치 확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작업 위치 확인 시스템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데이터 수집 시스템(100), 위치 분석 시스템(200) 및 전류 데이터 수집 시스템(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접 데이터 수집 시스템(100)은 디지털 용접기 본체들(11,21)로부터 용접 데이터들을 수집한다. 용접 데이터의 수집은 디지털 용접기 마다 구분하여 수행된다.
전류 데이터 수집 시스템(300)은 디지털 용접기들의 전류 데이터들을 수집한다. 전류 데이터의 수집은 지그핀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지그핀들이 조밀하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 모든 지그핀들에서 전류 데이터를 수집할 필요는 없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 개씩 건너 뛰어 일부 지그핀들에서만 전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지그핀-1,4,7,11에서만 전류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하였다.
위치 분석 시스템(200)은 용접 데이터 수집 시스템(100)에 의해 수집된 용접 데이터와 전류 데이터 수집 시스템(300)에 의해 수집된 전류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용접기 별로 용접 작업 위치를 확인한다.
확인된 용접 작업 위치정보는 용접 작업 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해 디지털 용접기의 용접 작업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용접 작업 위치 확인을 위해, 먼저 용접 데이터 수집 시스템(100)는 디지털 용접기 본체들(11,21)로부터 용접 데이터들을 수집한다(S410). 용접 데이터는 용접 블록에 대해 용접 작업하는 중에 용접기 본체들(11,21)에서 발생되는 데이터이다.
용접 데이터에는 용접기 식별자, 가동여부, 가동강도, 가동시간(타임스탬프) 등이 포함되며, 실시간으로 수집된다. 즉 디지털 용접기 본체-1(11)에서 발생되는 용접 데이터에는 디지털 용접기-1의 식별자와 가동 데이터가 수록되고, 디지털 용접기 본체-2(21)에서 발생되는 용접 데이터에는 디지털 용접기-2의 식별자와 가동 데이터가 수록된다.
한편 전류 데이터 수집 시스템(300)은 지그핀들에서의 전류 데이터들을 수집한다(S420). 전류 데이터는 디지털 용접기를 이용한 용접 블록의 용접 작업에 의해 생성되는 전류 패스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 값이다.
전류 데이터에는 전류 값과 측정시간(타임스탬프) 등이 포함되는데, 디지털 용접기 본체들(11,21)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가 아니므로 용접기 식별자는 포함될 수 없다. 단 전류 데이터 수집 시스템(300)은 수집된 전류 데이터가 측정된 지그핀을 알고 있으므로, 전류 데이터에는 지그핀 식별자(이를 테면, 지그핀 번호)를 부가한다.
위치 분석 시스템(200)은 S410단계에서 수집된 용접 데이터와 S420단계에서 수집된 전류 데이터를 분석하여, 용접 작업 위치를 확인한다. 이 과정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위치 분석 시스템(200)은 먼저 S410단계에서 수집된 용접 데이터들을 기초로 용접 패턴들을 생성한다(S430). S410단계에서 용접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수집될 뿐만 아니라, 가동시간(타임스탬프)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수집되는 가동 데이터를 가동시간에 따라 연결하면 용접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위치 분석 시스템(200)은 먼저 S420단계에서 수집된 전류 데이터들을 기초로 용접 패턴들을 생성한다(S440). S420단계에서 전류 데이터는 용접 작업에 연동하여 발생하는데, 실시간으로 수집될 뿐만 아니라, 측정시간(타임스탬프)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수집되는 전류 값들을 측정시간에 따라 연결하면 용접 패턴을 얻을 수 있다.
이후 위치 분석 시스템(200)은 S430단계에서 생성되는 용접 패턴들과 S440단계에서 생성되는 용접 패턴들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용접 패턴들을 탐색한다(S45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으로 용접 작업들이 이루어지고 있다면, 1) 디지털 용접기-1에 의해 생성된 용접 데이터에 의한 용접 패턴은 지그핀-7에서 측정된 전류 데이터에 의한 용접 패턴과 일치할 것이고, 2) 디지털 용접기-2에 의해 생성된 용접 데이터에 의한 용접 패턴은 지그핀-11에서 측정된 전류 데이터에 의한 용접 패턴과 일치할 것이다.
한편 S450단계에서 일치 패턴 탐색은 동시간대에 수집된 용접 데이터와 전류 데이터를 기초로 파악된 용접 패턴들로 제한하면, 탐색 범위와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다음 위치 분석 시스템(200)은 일치하는 용접 패턴의 기초가 된 용접 데이터에 수록된 디지턱 용접기 식별자를 추출하고(S460), 일치하는 용접 패턴의 기초가 된 전류 데이터에 수록된 지그핀 식별자를 추출한다(S470).
다음 S460단계에서 추출한 식별자를 갖는 디지털 용접기에 의한 용접 작업 위치를 S470단계에서 추출한 지그핀 식별자를 갖는 지그핀으로 식별하고(S480), 식별한 용접 작업 위치를 출력한다(S490).
S490단계에서의 용접 작업 위치 출력시, 지그핀 식별자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해당 지그핀 식별자를 갖는 지그핀이 설치된 구체적인 위치, 이를 테면 작업장 정보, 좌표 정보 등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이를 위해서는 위치 분석 시스템(200)이 지그핀 식별자와 위치 정보를 매핑한 DB를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나아가 디지털 용접기 식별자에 용접 작업 대상이 되는 용접 블록이 매핑된 DB를 위치 분석 시스템(200)이 보유하도록 하면, 어느 용접 블록이 어느 위치에서 용접 작업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 제공도 가능해진다.
도 5는 도 3의 위치 분석 시스템(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위치 분석 시스템(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및 저장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컴퓨팅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용접 데이터 수집 시스템(100) 및 전류 데이터 수집 시스템(300)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프로세서(220)는 용접 데이터 수집 시스템(100)을 통해 수집되는 용접 데이터와 전류 데이터 수집 시스템(300)을 통해 수집되는 전류 데이터를 도 4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분석하여 용접 작업 위치를 확인한다.
저장부(210)는 프로세서(220)가 기능하고 동작함에 있어 필요한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조선소 작업장 내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용접 블록을 지그핀 구조물에 올려놓고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환경에서, 디지털 용접기의 전류 흐름이 지그핀 구조물을 타고 용접기로 흘러들어간다는 점에 착안하여, 지그핀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링 하여 용접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용접 데이터와 지그핀의 위치를 매칭하였다.
이에 의해 지그핀을 기준으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어느 용접 블록에 대해 용접 작업이 수행되는지 까지 확인할 수도 있다.
위 실시예에서는 조선소 내 작업장을 상정하였으나 그 밖의 다른 작업장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철재 구조물에 의해 무선 통신 상태가 좋지 않은 작업장, 즉 무선 통신을 통해 위치 파악이 어려운 작업장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 위치 확인 방법이 특히 유용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21 : 디지털 용접기 본체
12,22 : 피더
13,23 : 홀더
51 : 지그핀
52 : 작업대
100 : 용접 데이터 수집 시스템
200 : 위치 분석 시스템
300 : 전류 데이터 수집 시스템

Claims (12)

  1. 용접 작업 위치 확인 시스템이, 용접 블록에 대해 용접 작업하는 중에 디지털 용접기에서 발생되는 용접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용접 작업 위치 확인 시스템이, 디지털 용접기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용접 작업 위치 확인 시스템이, 수집된 용접 데이터와 전류 데이터를 기초로, 용접 작업 위치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분석 단계는,
    용접 작업 위치 확인 시스템이, 용접 데이터를 기초로 용접 패턴을 파악하는 제1 파악단계;
    용접 작업 위치 확인 시스템이, 전류 데이터를 기초로 용접 패턴을 파악하는 제2 파악단계;
    용접 작업 위치 확인 시스템이, 제1 파악 단계에서 파악된 용접 패턴과 일치하는 제2 파악단계에서 파악된 용접 패턴을 탐색하는 단계;
    용접 작업 위치 확인 시스템이, 탐색된 용접 패턴의 기초가 된 전류 데이터를 수집한 위치를 용접 작업 위치로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탐색 단계는,
    동시간대에 수집된 용접 데이터와 전류 데이터에 기초한 용접 패턴들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용접 블록은,
    지그핀 위에 놓여진 상태로 용접 작업되고,
    전류 데이터는,
    지그핀에서 수집되며,
    용접 작업 위치는,
    지그핀의 식별자로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전류 흐름은,
    디지털 용접기 본체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홀더, 지그핀, 지그핀이 설치된 작업대를 통해 디지털 용접기 본체로 입력되는 경로를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전류 데이터는,
    작업장에 설치된 다수의 지그핀들 중 일부에서만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용접 데이터는,
    디지털 용접기의 식별자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수집되고,
    전류 데이터는,
    지그핀의 식별자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용접 작업 위치는,
    지그핀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용접 작업은,
    철재 구조물에 의해 무선 통신 상태가 좋지 않은 작업장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
  10. 용접 블록에 대해 용접 작업하는 중에 디지털 용접기에서 발생되는 용접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 수집 시스템;
    디지털 용접기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2 수집 시스템;
    수집된 용접 데이터와 전류 데이터를 기초로, 용접 작업 위치를 분석하는 분석 시스템;을 포함하고,
    분석 시스템은,
    용접 데이터를 기초로 용접 패턴을 파악하고, 전류 데이터를 기초로 용접 패턴을 파악하며, 용접 데이터를 기초로 파악된 용접 패턴과 일치하는 전류 데이터를 기초로 파악된 용접 패턴을 탐색하고, 탐색된 용접 패턴의 기초가 된 전류 데이터를 수집한 위치를 용접 작업 위치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작업 위치 확인 시스템.
  11. 용접 작업 위치 확인 시스템이, 용접 블록에 대해 용접 작업하는 중에 디지털 용접기에서 발생되는 용접 데이터를 기초로 용접 패턴을 파악하는 제1 파악단계;
    용접 작업 위치 확인 시스템이, 디지털 용접기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 데이터를 기초로 용접 패턴을 파악하는 제2 파악단계;
    용접 작업 위치 확인 시스템이, 제1 파악 단계에서 파악된 용접 패턴과 일치하는 제2 파악단계에서 파악된 용접 패턴을 탐색하는 단계;
    용접 작업 위치 확인 시스템이, 탐색된 용접 패턴의 기초가 된 전류 데이터를 수집한 위치를 용접 작업 위치로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
  12. 용접 블록에 대해 용접 작업하는 중에 디지털 용접기에서 발생되는 용접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지털 용접기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용접 데이터를 기초로 용접 패턴을 파악하고, 전류 데이터를 기초로 용접 패턴을 파악하며. 용접 데이터를 기초로 파악된 용접 패턴과 일치하는 전류 데이터를 기초로 파악된 용접 패턴을 탐색하며, 탐색된 용접 패턴의 기초가 된 전류 데이터를 수집한 위치를 용접 작업 위치로 파악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작업 위치 분석 시스템.
KR1020220138079A 2022-10-25 2022-10-25 조선소 작업장 내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 KR102614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079A KR102614925B1 (ko) 2022-10-25 2022-10-25 조선소 작업장 내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079A KR102614925B1 (ko) 2022-10-25 2022-10-25 조선소 작업장 내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925B1 true KR102614925B1 (ko) 2023-12-19

Family

ID=8938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079A KR102614925B1 (ko) 2022-10-25 2022-10-25 조선소 작업장 내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9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294A (ko) * 2013-06-24 2015-0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작업률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135567B1 (ko) * 2019-11-13 2020-07-20 (주)휴빌론 용접 공정에서 블록 형상 정보를 이용한 측위 보정을 수행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158386B1 (ko) * 2019-09-23 2020-09-22 (주)매트론 용접정보 자동 수집 시스템
KR102297917B1 (ko) * 2020-10-30 2021-09-06 (주)매트론 금속매체 통신을 이용한 용접정보 수집시스템
KR102305039B1 (ko) * 2020-09-08 2021-09-27 (주)매트론 방향성을 갖는 비접촉 통신장치를 이용한 용접정보 수집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294A (ko) * 2013-06-24 2015-0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작업률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158386B1 (ko) * 2019-09-23 2020-09-22 (주)매트론 용접정보 자동 수집 시스템
KR102135567B1 (ko) * 2019-11-13 2020-07-20 (주)휴빌론 용접 공정에서 블록 형상 정보를 이용한 측위 보정을 수행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305039B1 (ko) * 2020-09-08 2021-09-27 (주)매트론 방향성을 갖는 비접촉 통신장치를 이용한 용접정보 수집 시스템
KR102297917B1 (ko) * 2020-10-30 2021-09-06 (주)매트론 금속매체 통신을 이용한 용접정보 수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22014B (zh) 测试报告生成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N101865975B (zh) 主板测试系统及方法
CN101876674B (zh) 特性阻抗测试系统及方法
US200502513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drive test data for communications system
CN107479540B (zh) 故障诊断方法以及系统
CN101196389B (zh) 影像量测系统及方法
CN102785126A (zh) 刀库及自动换刀装置综合性能检测系统
CN104907746A (zh) 机器人焊接系统及其焊接质量检测方法
CN109615723B (zh) 巡查路线覆盖情况自动分析方法及系统
CN105263118A (zh) 一种用户终端的定位方法和用户终端
CN106681923B (zh) 一种软件测评方法及装置
KR102614925B1 (ko) 조선소 작업장 내 용접 작업 위치 확인 방법
CN111105150A (zh) 一种项目风险分析系统
CN110825725B (zh) 基于双螺旋管理的数据质量校验方法及系统
CN108957434A (zh) 自适应定位方法、装置及定位设备
CN108317956A (zh) 便携式滚刀智能检测仪及滚刀磨损数据处理方法
CN113850450A (zh) 一种航空发动机装配生产资源信息的追溯方法
CN114527315B (zh) 一种量测设备可靠性监测系统和方法
CN116244131A (zh) 服务器接口测试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US11781932B2 (en) Product imbalance analysis methods and related systems and apparatuses
CN114782378A (zh) 一种各类构件焊接工艺用机器人智能焊接数据库的构建方法
CN114676061A (zh) 一种基于知识图谱自动化固件检测方法
CN114007244A (zh) 一种分析车地通信质量的方法
CN206326446U (zh) 一种在线ccd推扫测量系统
CN112418622A (zh) 一种用于台区未知电表相对地理定位设备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