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865B1 - manufacturing method of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and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thereby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and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there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865B1
KR102614865B1 KR1020160138694A KR20160138694A KR102614865B1 KR 102614865 B1 KR102614865 B1 KR 102614865B1 KR 1020160138694 A KR1020160138694 A KR 1020160138694A KR 20160138694 A KR20160138694 A KR 20160138694A KR 102614865 B1 KR102614865 B1 KR 102614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ayer
original glass
camera window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5120A (en
Inventor
박덕영
황재영
김학철
김현호
하태주
Original Assignee
(주)유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티아이 filed Critical (주)유티아이
Priority to KR1020160138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865B1/en
Publication of KR20180045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1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86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51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 G03F7/2059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using a scanning corpuscular radiation beam, e.g. an electron beam
    • G03F7/2063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using a scanning corpuscular radiation beam, e.g. an electron beam for the production of exposure masks or re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691Handling of masks or work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카메라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서, 중심부에 투과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과부 주변으로 패턴이 형성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판유리의 전면 또는 양면 상에 셀단위 패턴가공용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턴가공용 마스크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원판유리 상에 셀단위로의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턴층을 마스크로 하여, 식각공정에 의해 상기 원판유리의 배면에 셀단위의 배면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턴가공용 마스크층을 제거하고,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의 전면 및 배면 상에 형상가공용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가공용 마스크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를 셀단위로 형상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가공용 마스크층을 제거하고,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를 강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의 배면 또는 양면에 셀단위의 기능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를 셀단위로 분리하여 카메라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글라스 기판의 배면에 배면패턴 및 단일증착층을 형성하여 반사율 및 굴절율을 높임으로써 더욱 선명한 패턴 라인을 인식할 수 있으며, 전체 공정의 단순화 및 공정 비용을 절감시키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and a camera window manufactured thereby.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in which a transparent part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pattern is formed around the transparent part, the cell is formed on the front or both sides of the original glass. Forming a mask layer for unit pattern processing, patterning the mask layer for pattern processing to form a pattern layer in each cell on the original glass, and using the pattern layer as a mask to perform an etching process. Forming a cell-level back pattern on the back of the original glass, removing the pattern processing mask layer, and forming a shape processing mask layer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Patterning a mask layer for processing to shape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cell by cell; removing the shape processing mask layer and strengthening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and A back pattern is realized,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cell-level functional layer on the back or both sides of the formed original glass, and separating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into cells to form a camera window. The technical point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and a camera window with a back pattern manufactured thereby.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reflectance and refractive index by forming a back pattern and a single deposition layer on the back of the glass substrate, thereby enabling clearer pattern lines to be recognized, and has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entire process and reducing process costs.

Description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manufacturing method of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and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thereby}Manufacturing method of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implemented and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manufactured thereby {manufacturing method of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and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thereby}

본 발명은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카메라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글라스 기판의 배면에 배면패턴 및 단일증착층을 구현하여, 더욱 선명한 패턴 라인을 인식할 수 있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and a camera window manufactured thereby.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 pattern and a single deposition layer on the back of a glass substrate, thereby realizing a back pattern that allows clearer pattern line recognition. It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and a camera window in which the rear pattern manufactured thereby is implemented.

일반적으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네비게이션, PDA 등과 같은 각종 휴대용 단말기에는 정보 확인을 위한 사용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직접 조작하고 작동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ouch screen displays are widely used in various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smartphones, tablet PCs, laptops, navigation devices, PDAs, etc., not only for convenience of use for checking information, but also for direct manipulation and confirmation of operating status.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다양한 기능의 요구와 더불어 차별화된 디자인에 대한 요구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 글라스에 대한 디자인적 요소를 개선시키기 위한 연구가 많이 시도되고 있다.Recently, in response to consumers' demands for various functions for portable terminals as well as demands for differentiated designs, many studies have been attempted to improve the design elements of the cover glass of portable terminals.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 중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커버 글라스는 디스플레이 상의 윈도우에 결합되는 전면 커버 글라스와, 그 배면에 결합되는 배면 커버 글라스, 그리고, 대부분의 스마트폰의 배면 쪽에 위치하는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카메라 윈도우, 홈키 버튼부로 크게 구분되어지고 있으며, 각 부분에 대한 기능적 요소를 고려하면서도 디자인적 요소를 개선시키고자,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 및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The cover glass used in smartphones, the most popular of these portable terminals, consists of a front cover glass attached to the window on the display, a rear cover glass attached to the back, and a camera lens located on the back of most smartphones. It is largely divided into a camera window to protect the camera and a home key button, and various research and approaches are being attempted to improve the design elements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al elements of each part.

특히, 휴대폰의 외관 디자인을 결정짓는 전면 커버 글라스 및 배면 커버 글라스에 대한 디자인적 요소의 개선에 대해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카메라 윈도우나 홈키 버튼부의 디자인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 윈도우의 디자인을 개선시키는 것에 집중하고자 하며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In particular, while much attention is being paid to improving the design elements of the front cover glass and back cover glass, which determine the exterior design of mobile phones, recent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design of the camera window and home key button. In the present invention, we would like to focus on improving the design of the camera window and explain it based on this.

일반적으로 휴대폰에서의 카메라 모듈은 고해상도 성능 유지를 위해 복수 개의 렌즈와 이를 수용고정시키는 배럴(barrel)로 크게 구성되며, 카메라 윈도우는 이러한 카메라 모듈의 대물렌즈 전단부에 위치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카메라 모듈 등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In general, the camera module in a mobile phone is large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nses and a barrel that accommodates and fixes them to maintain high-resolution performance, and the camera window is located at the front of the objective lens of the camera module to protect the camera module, etc. from external shocks. It is to protect.

이러한 카메라 윈도우는 기능적으로는 높은 광투과도를 가지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카메라 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충격에 강한 재질을 사용하고, 내외측면에는 정전기 방지코팅, AR 코팅 등이 구현되며, 디자인적으로는 카메라 윈도우의 투광부를 제외한 주변부로 단색(블랙, 화이트, 골드, 블루, 핑크 등)으로 인쇄층을 구비하거나, 패턴감을 부여하기 위해 바탕인쇄층 형성 후 패턴인쇄층의 두가지 인쇄층으로 구현하여 왔다.Functionally, these camera windows use shock-resistant materials that have high light transmittance while protecting the camera module from external shocks. Anti-static coating and AR coating are implemented on the inside and outside sides, and in terms of design, they are used as cameras. A printing layer has been provided in a single color (black, white, gold, blue, pink, etc.) in the peripheral area excluding the light-transmitting part of the window, or has been implemented as two printing layers, a pattern printing layer after forming a background printing layer to give a sense of pattern.

이와 같이 잉크를 이용한 인쇄층의 구현은 비교적 중저가 모델에 적용되어 왔으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 충족과 보다 고급 사양의 모델에 적용하기 위해서, 잉크를 이용한 인쇄층의 구현 대신에 글라스 기판에 바로 금속 재료 등의 증착 및 보강인쇄 등으로 보다 심미감을 부여하거나, 패터닝된 마스크를 이용하여 금속 재료 등의 증착 및 보강인쇄 등으로 패턴감을 부여하여 고급 사양에 적용하기 시작하였다.In this way, the implementation of a printing layer using ink has been applied to relatively mid- to low-priced models. In order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consumers and apply to models with more advanced specifications, instead of implementing a printing layer using ink, metal materials, etc. are directly placed on the glass substrate. It began to be applied to high-end specifications by giving a more aesthetic sense through deposition and reinforcement printing, or by giving a pattern feel through deposition and reinforcement printing of metal materials using a patterned mask.

이러한 증착 및 보강인쇄 등의 공정에 의한 디자인적 요소에 대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디자인적 요구가 더욱 높아지고, 고급 사양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가장 최근에는 카메라 윈도우 재료로 사용되는 글라스 기판 배면에 에칭 등의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소정의 입체적인 에칭 패턴을 형성하고, 그 에칭패턴 상측에 증착층 및 인쇄층을 구현하여 반사율을 높여 글라스 기판 전면으로 패턴감이 부여되도록 하는 것으로 구현되어 왔다.Despite improvements in design elements through processes such as deposition and reinforcement printing, as consumers' design demands grow higher and demands for advanced specifications increase, glass substrates, which are most recently used as camera window materials, It has been implemented by forming a predetermined three-dimensional etching pattern using an etching process such as etching on the back side, and implementing a deposition layer and a printing layer on the top of the etching pattern to increase reflectivity and provide a pattern feeling to the entire glass substrate.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글라스 기판 배면에 패턴을 구현하고 글라스 기판 전면으로 패턴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글라스 기판 전면으로 패턴감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글라스 기판 배면에 증착층이 필요하게 되는데, 종래의 증착층은 다층박막(multi-layer) 형태로 형성되어 전체 공정에 대해 공정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고, 공정 과정을 복잡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method implements a pattern on the back of the glass substrate and allows the pattern to be recognized on the front of the glass substrate. In order to provide a sense of pattern to the front of the glass substrate, a deposition layer is essentially required on the back of the glass substrate. The deposition layer is formed in the form of a multi-layer thin film,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process costs for the entire process and complicating the process.

본 발명은 글라스 기판의 배면에 배면패턴 및 단일증착층을 구현하여 더욱 선명한 패턴 라인을 인식할 수 있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with a back pattern that can recognize a clearer pattern line by implementing a back pattern and a single deposition layer on the back of a glass substrate, and a camera window with a back pattern manufactured thereby. It is for that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심부에 투과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과부 주변으로 패턴이 형성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판유리의 전면 또는 양면 상에 셀단위 패턴가공용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턴가공용 마스크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원판유리 상에 셀단위로의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턴층을 마스크로 하여, 식각공정에 의해 상기 원판유리의 배면에 셀단위의 배면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턴가공용 마스크층을 제거하고,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의 전면과 배면 상에 각각 형상가공용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가공용 마스크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를 셀단위로 형상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가공용 마스크층을 제거하고,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를 강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의 배면에 단일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일증착층의 상부 및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의 전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기능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를 셀단위로 분리하여 카메라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in which a transparent part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pattern is formed around the transparent part,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mask layer for cell-level pattern processing on the front or both sides of the original glass. and patterning the mask layer for pattern processing to form a pattern layer in cell units on the original glass, and using the pattern layer as a mask to form a cell-based back surface of the original glass through an etching process. Forming a pattern, removing the pattern processing mask layer, and forming a shape processing mask layer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rear pattern is formed, and patterning the shape processing mask layer, Processing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cell by cell, removing the shape processing mask layer and strengthening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and single deposition on the back of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forming a layer, forming a functional layer on either or both of the top of the single deposition layer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and separating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into cells. The technical gist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with a rear pattern implemented, which includes the step of forming a camera window.

또한, 본 발명은 중심부에 투과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과부 주변으로 패턴이 형성된 카메라 윈도우에 있어서, 글라스 기판과, 상기 글라스 기판 배면에 형성된 배면패턴과, 상기 배면패턴 상부에 형성된 단일증착층 및 상기 단일증착층의 상부 및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글라스 기판 전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형성된 기능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를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window in which a transmission part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pattern is formed around the transmission part, including a glass substrate, a back pattern formed on the back of the glass substrate, a single deposition layer formed on the back pattern, and the single layer. Another technical point is a camera window with a back pattern implemented, which includes a functional layer formed on one or both of the top of the deposition layer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본 발명은 글라스 기판의 배면에 배면패턴 및 단일증착층을 형성하여 반사율 및 굴절율을 높임으로써 더욱 선명한 패턴 라인을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clearer pattern lines to be recognized by increasing the reflectance and refractive index by forming a back pattern and a single deposition layer on the back of the glass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은 글라스 기판의 배면에 배면패턴 및 단일증착층을 구현함으로써, 전체 공정의 단순화 및 공정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entire process and reducing process costs by implementing a back pattern and a single deposition layer on the back of the glass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원판 상태에서 가공되어, 최종 셀단위로 분리되어 카메라 윈도우를 제공함으로써 공정 효율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xcellent process efficiency by processing the original plate as a whole, dividing it into final cell units, and providing a camera window.

도 1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에 대한 모식도.
도 2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에 대한 단면 모식도.
Figure 1 -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with a rear pattern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of a camer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카메라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서, 글라스 기판의 배면에 배면패턴 및 단일증착층(single layer)을 구현하여 더욱 선명한 패턴 라인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단일증착층의 형성에 의해 전체 공정의 단순화 및 공정 비용을 절감시키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and a camera window manufactured thereb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and a camera window manufactured thereby, by implementing a back pattern and a single deposition layer on the back of a glass substrate to enable recognition of a clearer pattern line. The purpose is to simplify the entire process and reduce process costs by forming layers.

또한, 본 발명은 글라스 기판의 배면에는 배면패턴 및 단일증착층을 형성하고, 글라스 기판의 전면 및 배면에는 선택적으로 기능층을 형성하도록 하여, 배면패턴의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켜 개발자가 의도된 패턴감이 부여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상승시키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back pattern and a single deposition layer on the back of the glass substrate, and selectively forms a functional layer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glass substrate, furthe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back pattern and creating a sense of the pattern intended by the developer. This has the characteristic of increasing the user's sense of aesthetic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내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면패턴(122)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은, 중심부에 투과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과부 주변으로 패턴이 형성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판유리(110)의 전면 또는 양면 상에 셀단위 패턴가공용 마스크층(12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턴가공용 마스크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원판유리(110) 상에 셀단위로의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턴층을 마스크로 하여, 식각공정에 의해 상기 원판유리(110)의 배면에 셀단위의 배면패턴(122)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턴가공용 마스크층을 제거하고, 상기 배면패턴(122)이 형성된 원판유리(110)의 전면 및 배면 상에 형상가공용 마스크층(13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가공용 마스크층(130)을 패터닝하여, 상기 배면패턴(122)이 형성된 원판유리(110)를 셀단위로 형상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가공용 마스크층(130)을 제거하고, 상기 배면패턴(122)이 형성된 원판유리(110)를 강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면패턴(122)이 형성된 원판유리(110)의 배면에 단일증착층(16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일증착층(160)의 상부 및 상기 배면패턴(122)이 형성된 원판유리(110)의 전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셀단위의 기능층(171)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배면패턴(122)이 형성된 원판유리(110)를 셀단위로 분리하여 카메라 윈도우(CW)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ure 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with a back pattern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a camera window with a back pattern 122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forming a mask layer 120 for cell-level pattern processing on the front or both sides of the original glass 110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camera window in which a transmission part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pattern is formed around the transmission part. and patterning the mask layer for pattern processing to form a cell-by-cell pattern layer on the original glass 110, and using the pattern layer as a mask to form the original glass 110 through an etching process. Forming a cell-level back pattern 122 on the back, removing the pattern processing mask layer, and forming a shape processing mask layer 130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original glass 110 on which the back pattern 122 is formed. ), patterning the shape-processing mask layer 130, and processing the original glass 110 on which the back pattern 122 is formed cell by cell, and forming the shape-processing mask layer 130. removing and strengthening the original glass 110 on which the rear pattern 122 is formed; forming a single deposition layer 160 on the back of the original glass 110 on which the rear pattern 122 is formed; , forming a cell-level functional layer 171 on either or both of the top of the single deposition layer 16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original glass 110 on which the back pattern 122 is formed, and the back pattern 12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step of forming a camera window (CW) by separating the original glass 110 on which 122 is formed into cells.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의 대물렌즈 전단부에 위치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카메라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중심부에는 투과부가 형성되어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투과부 주변으로는 일정 패턴이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패턴감을 부여하여, 휴대 단말기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주기 위한 것이다.The camera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objective lens of the camera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o protect the camera module from external shock. Generally, a transparent part is formed in the center to allow light to pass through. A certain pattern is formed around the transparent portion to provide a sense of pattern to the user, thereby giving a sense of aesthetics to the mobile terminal user.

이러한 카메라 윈도우는 높은 광투과도를 가지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카메라 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충격에 강한 강화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이러한 카메라 윈도우의 전면 또는 배면에는 정전기 방지코팅층, AR 코팅층 또는 AF 코팅층, 휴대 단말기의 색상에 따른 색상층, 보강 인쇄층 등의 기능층이 구현될 수 있다.These camera windows are made of a material such as tempered glass that has high light transmittance and is resistant to impact that can protect the camera module from external shocks. The front or back of these camera windows has an anti-static coating layer, an AR coating layer, or an AF coating layer. Functional layers such as a color layer and a reinforcing printing layer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implemented.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나열한 카메라 윈도우의 기능 및 디자인적 요소를 보강하기 위한 일체의 요소를 기능층이라고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ll elements for reinforcing the functions and design elements of the camera window listed above are referred to as functional layers.

한편, 본 발명에서는 글라스 기판의 배면에 형성된 배면패턴의 패턴감을 보강하고, 패턴라인을 더욱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는 글라스 기판의 배면에 단일증착층(160)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글라스 기판으로 입사된 빛에 대해 반사율 및 굴절율을 높임으로써 배면패턴에 대해 더욱 선명한 패턴 라인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기능층과는 구별되는 구성이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deposition layer 160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glass substrate to reinforce the pattern sense of the back pattern formed on the back of the glass substrate and to make the pattern line more clearly visible. By increasing the reflectance and refractive index of ligh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clearer pattern lines on the back pattern, and is a composition that is distinct from the functional layer.

또한, 본 발명에서는 원장 단위의 공정 기판을 원판유리라고 하며, 셀단위로 최종 가공된 제품에 대해서는 글라스 기판으로 구분하였으며, 편의상 둘의 용어를 함께 사용하기도 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w unit process substrate is called raw glass, and the final processed product in the cell unit is classified as a glass substrate, and for convenience, the two terms are sometimes used togeth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원판유리(110)를 준비하고, 원판유리(110)의 전면 또는 양면 상에 셀단위 패턴가공용 마스크층(120)을 형성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iginal glass 110 is prepared, and a mask layer 120 for cell-level pattern processing is formed on the front or both sides of the original glass 110.

여기에서 원판유리(110)는 표면에 스크래치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며, 투명한 재질의 소다라임 유리(Soldalime Glass) 또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유리(Alumino Silicate Glass)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리를 이용한다.Here, the original glass 110 is inspected for scratches or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and commonly used glass such as transparent soda lime glass or alumino silicate glass is used. .

이러한 원판유리(110)는 강화 또는 무강화 유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원판유리(110)의 전면 또는 양면 상에 셀단위 패턴가공용 마스크층(120)을 형성한다.This original glass 110 can be made of tempered or non-tempered glass, and a mask layer 120 for cell-level pattern processing is formed on the front or both sides of the original glass 110.

상기 셀단위 패턴가공용 마스크층(120)은 원판유리(110) 상에 셀단위로 패턴, 즉, 본 발명에 따른 배면패턴(122)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판유리(110)의 전면 또는 필요에 의해 양면 상에 감광성 코팅층 예컨대, 포토레지스트를 코팅하거나 DFR(Dry Film Resist)을 라미네이션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 또는 DFR을 노광 및 현상하는 패터닝 공정에 의해, 상기 원판유리(110) 상에 셀단위로의 패턴층을 형성한다.The mask layer 120 for cell-level pattern processing is used to form a pattern in each cell on the original glass 110, that is, the back pattern 1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u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riginal glass 110 or as needed. By coating a photosensitive coating layer, such as photoresist or lamination of DFR (Dry Film Resist), on both sides, and patterning process of exposing and developing the photoresist or DFR, cell units are formed on the original glass 110. Form a pattern layer.

즉, 원판 상태에서 배면패턴(122)을 형성하기 위하여, 셀단위 패턴가공용 마스크층(120)을 원판유리(110) 전면 또는 양면 상에 코팅 또는 라미네이션하여 노광 및 현상하는 패터닝 공정을 거쳐 상기 원판유리(110) 상에 셀단위로의 패턴층을 형성한다.That is, in order to form the back pattern 122 in the original plate state, the mask layer 120 for cell-level pattern processing is coated or laminated on the front or both sides of the original glass 110 and goes through a patterning process of exposure and development to produce the original glass. A pattern layer is formed in cell units on (110).

여기에서, 원판유리(110) 상에 형성되는 셀단위로의 패턴층은 본 발명에 따른 배면패턴(122)이 원판유리(110)의 배면에 형성되므로, 이를 위한 셀단위로의 패턴층은 원판유리(110)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since the back pattern 1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original glass 110, the pattern layer for each cell unit formed on the original glass 110 is the original plate. It is preferably formed on the back of the glass 110.

그러나, 원판유리(110)의 배면 상에도 상기 배면패턴(122)에 대한 입체적인 간섭무늬를 유도하기 위한 별도의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배면패턴(122)과는 다른 형태의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However, a separate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back of the original glass 110 to induce a three-dimensional interference pattern with respect to the back pattern 122, and a pattern of a different form from the back pattern 122 may be implemented. .

이러한 원판유리(110) 상의 셀단위로의 패턴층은 카메라 윈도우(CW)의 투광부를 동심원으로 하는 복수 개의 스핀(spin) 무늬, 스파이럴(spiral) 무늬, 점묘 무늬 등 다양한 형태의 패턴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되는 배면패턴(122)의 형태를 고려하여 형성한다.The pattern layer at the cell level on the original glass 110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patterns, such as a plurality of spin patterns, spiral patterns, and stipple patterns, wit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of the camera window (CW) as a concentric circle. It is formed by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back pattern 122 comple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원판유리(110) 상에 셀단위로 형성된 패턴층을 마스크로 하여, 식각 공정에 의해 상기 원판유리(110)의 배면에 셀단위의 배면패턴(122)을 형성한다. 도 1은 원판유리 상의 하나의 셀에 배면패턴이 형성된 것을 도식화한 것이다.Then, using the pattern layer formed in cell units on the original glass 110 as a mask, a rear pattern 122 in cell units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original glass 110 through an etching process.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ack pattern formed in one cell on an original glass.

즉, 원판유리(110) 배면에 셀단위로 패턴층을 형성하고, 이를 식각 마스크로 하여, 원판유리(110)의 배면에 셀단위의 배면패턴(122)을 형성하는 것이다.That is, a pattern layer is formed in each cell on the back of the original glass 110, and this is used as an etching mask to form a back pattern 122 in each cell on the back of the original glass 110.

여기에서, 상기 식각공정은 구현하고자 하는 배면패턴의 형태에 따라 습식 식각공정 및 건식 식각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단일 또는 복수 회 수행하거나 또는 두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et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performing either a wet etching process or a dry etching process single or multiple times, or by performing both processes sequentially, depending on the form of the rear pattern to be implemented.

상기 습식 식각공정은 종래의 유리 습식 식각공정에 의한 방법에 의하며, 예컨대 HF가 포함된 에칭용액에 일정시간 노출시키거나, 건식 식각공정은 샌드 블라스트(sand blast) 공정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wet etching process is based on a conventional glass wet etching process. For example, the wet etching process can be implemented by exposing the glass to an etching solution containing HF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the dry etching process can be implemented by a sand blast process.

이러한 식각공정을 복수 회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각각이 식각공정에 의해 구현되는 배면패턴은 다른 형태의 패턴일 수 있다.When such an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multiple times or sequentially, the rear pattern implemented by each etching process may have a different type of pattern.

즉, 습식 식각공정에 의해 스핀 무늬를 구현하고, 그 상부에 다시 다른 패턴이 구현된 셀단위 패턴가공용 마스크층(120)을 이용하여 패터닝 공정을 수행한 후 습식 식각공정을 한 번 더 반복하거나, 건식 식각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at is, a spin pattern is implemented through a wet etching process, a pattern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cell-level pattern processing mask layer 120 on which a different pattern is implemented, and the wet etching process is repeated once more, or The dry etching process can be performed sequentially.

이에 의해 나노 싸이즈에서 마이크로 싸이즈 등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미세 패턴의 제조가 가능하여 다양한 패턴감이 부여되는 배면패턴(122)을 구현할 수 있으며, 심미감의 향상과 경우에 따라서는 카메라 윈도우의 기능적인 면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fine pattern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such as from nano to micro, to implement the back pattern 122 with a variety of patterns, improving aesthetics and, in some cases, improving the functionality of the camera window. This was done to complement the aspect.

그 다음, 상기 식각공정에 의해 원판유리(110)의 배면에 셀단위의 배면패턴(122)을 형성한 후, 상기 패턴가공용 마스크층을 제거하고, 상기 배면패턴(122)이 형성된 원판유리(110)의 전면 및 배면 상에 형상가공용 마스크층(130)을 형성한다.Next, after forming the cell-level back pattern 122 on the back of the original glass 110 through the etching process, the pattern processing mask layer is removed, and the original glass 110 on which the back pattern 122 is formed is removed. ) Form a shape processing mask layer 130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그리고, 상기 형상가공용 마스크층(130)을 패터닝하여, 상기 배면패턴(122)이 형성된 원판유리(110)를 셀단위로 형상가공하게 된다. 도 1에서는 원판유리(110) 상의 두 개의 셀 상에 형상가공용 마스크층(130)이 패터닝되어 형성된 것을 모식화한 것이다.Then, the shape processing mask layer 130 is patterned, and the original glass 110 on which the back pattern 122 is formed is processed into shape on a cell basis.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shape processing mask layer 130 being patterned and formed on two cells on the original glass 110.

이러한, 원판유리(110)의 셀단위의 형상가공은 레이저 가공공정에 의해 수행되며, 휴대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폰의 사양에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되게 된다.This cell-level shape processing of the original glass 110 is performed by a laser processing process, and is process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여기에서 형상가공시 수행되는 레이저 가공공정은, 상기 배면패턴(122)이 형성된 원판유리(110)를 셀단위로 형상가공함과 동시 또는 카메라 윈도우(CW)의 형상에 따라 형상가공을 수행한 후 그 후의 별도의 공정으로 셀단위로의 크랙컷(crack cut)(140)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Here, the laser processing process performed during shape processing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shape processing the original glass 110 on which the back pattern 122 is formed in a cell unit, or after shape process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amera window (CW). Subsequently, a separate process may be performed to form a crack cut 140 on a cell basis.

상기 크랙컷(140)은 원판유리(110) 상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한 부분 이상 원판유리(110) 상에 셀단위로 형상가공된 부분이 붙어 있는 경우로서, 전체적으로는 원판(sheet) 단위로 제공되게 되나, 부분적으로는 셀단위로 형상가공된 상태에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crack cut 140 is not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original glass 110, but is a case in which at least one part of the original glass 110 is attached to the shape of a cell unit, and is generally formed in a sheet unit. However, it is partially provided in a state of shape processing on a cell-by-cell basis.

또한, 상기 크랙컷(140) 형성 후에, 상기 크랙컷(140)이 형성된 원판유리(110)에 습식 식각공정을 진행하여 크랙컷(140) 라인을 중심으로 챔퍼부(chamfer)(150)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forming the crack cut 140, a wet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original glass 110 on which the crack cut 140 is formed to form a chamfer 150 centered on the crack cut 140 line. can do.

상기 챔퍼부(150)는 습식 식각공정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습식 식각공정은 HF가 포함된 식각용액에 20℃~30℃의 온도로 5초 내지 10분 동안, 형상가공용 마스크층(130)이 형성된 원판유리(110)를 식각용액에 일정시간 노출시키는 방법에 의해 구현되며, 상기 크랫컷 라인을 중심으로 즉, 상기 형상가공용 마스크층(130) 사이로 챔퍼부(15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chamfer portion 150 is performed by a wet etching process, in which the shape processing mask layer 130 is formed in an etching solution containing HF at a temperature of 20°C to 30°C for 5 seconds to 10 minutes. This is implemented by exposing the formed original glass 110 to an etching solu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 chamfer portion 150 is formed around the crate cut line, that is, between the shape processing mask layers 130.

이러한 습식식각 공정에 의한 챔퍼부(150)의 형성은, 형상가공을 위한 레이저 가공공정 또는 크랙컷(140) 형성공정으로 인해 컷팅면에 마이크로 크랙이 발생하게 되는데, 레이저 컷팅 부분에 화학적으로 식각을 진행하게 되면 마이크로 크랙을 스무딩하게 형성할 수 있어 측면을 일정 부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formation of the chamfer portion 150 by this wet etching process causes micro cracks to occur on the cut surface due to the laser processing process for shape processing or the crack cut 140 formation process, and the laser cut portion is chemically etched. As the process progresses, micro-cracks can be formed smoothly, which serves to strengthen the side to a certain extent.

그 다음 형상가공용 마스크층(130)을 제거하고, 상기 배면패턴(122)이 형성된 원판유리(110)를 강화시키게 된다. 강화된 원판유리(1차 강화)(110)를 이용하여, 상기의 공정들을 진행한 경우에는 본 공정에 의해 추가 강화공정(2차 강화)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Next, the shape processing mask layer 130 is removed, and the original glass 110 on which the rear pattern 122 is formed is strengthened. When the above processes are performed using strengthened original glass (primary strengthening) 110, an additional strengthening process (secondary strengthening) is performed through this process.

이는 공정 진행 동안 예컨대, 배면패턴(122)의 형성이나 레이저 가공공정 등에 의해 1차 강화부분이 취약된 부분이 있다면 이 부분을 추가적으로 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질산칼륨(KNO3)을 이용하여, 350℃~450℃의 온도에서 화학 강화(chemical tempering)를 실시하게 되며, 강화 후에는 서서히 냉각시켜 크랙을 방지하도록 하며, 강화가 완료되면 원판유리(110)를 세정한다.This is to additionally strengthen the primary reinforced part if it is weak during the process, for example, due to the formation of the back pattern 122 or the laser processing process, and specifically, by using potassium nitrate (KNO 3 ). , Chemical tempering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350°C to 450°C. After tempering, it is slowly cooled to prevent cracks, and when strengthening is completed, the original glass 110 is cleaned.

이러한 강화공정은 레이저로 셀단위로 형상가공이 완료된 원판유리(110)의 전면 및 배면을 강화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상기의 크랙컷(140)을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 크랙컷(140)을 통해 상기 원판유리(110)의 측면도 동시에 가공되게 된다.This strengthening process is based on strengthening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original glass 110, on which shape processing has been completed on a cell-by-cell basis with a laser. When the crack cut 140 is formed, the crack cut 140 is used. The side surface of the original glass 110 is also processed simultaneously.

즉, 셀단위로 형상가공된 원판유리(110)는 현재 원판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원판유리(110)의 전면 및 배면뿐만 아니라 크랙컷(140)을 통해 원판유리(110)의 측면도 강화되도록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original glass 110, which has been shape-processed in cell units, is currently maintaining its original state, and not only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original glass 110, but also the sides of the original glass 110 are strengthened through the crack cut 140. will be.

이러한 강화공정은 기본적으로 원판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강화 공정이 진행되므로, 셀단위의 공정에 비해 생산수율이 높고, 가공절단면인 측면 강화도 동시에 수행되어 내구성을 개선시키게 된다.This strengthening process is basically carried out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plate state, so the production yield is higher than the cell-level process, and side strengthening, which is the processed cutting surface, is also performed simultaneously to improve durability.

그리고, 상기 배면패턴 상부에 단일증착층(16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단일증착층(160)은 깊이 방향으로 같은 물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고굴절율, 고반사율의 구현을 위해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진 단일 물질이거나, 상기 단일 물질이 서로 혼합된 혼합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비금속 또는 비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의해서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n, a single deposition layer 160 is formed on the top of the back pattern. The single deposition layer 160 has the same physical properties in the depth direction, and to achieve high refractive index and high reflectance, it is preferable to use a single material made of metal or metal oxide, or a mixed material in which the single materials are mixed together. However, in some cases, non-metal or non-metal oxide may be used, and if necessary,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may be used.

예컨대, 단일 물질로는 TiO2, ZrO2, Al2O3, Cr, Zr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혼합 물질로는 이들 중 둘 이상이 혼합된 물질이며, 혼합 물질이어도 깊이 방향으로는 동일한 물성을 갖는 것이다.For example, TiO 2 , ZrO 2 , Al 2 O 3 , Cr, Zr, etc. can be used as single materials, and mixed materials are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se materials, and even if they are mixed materials, they have the same physical properties in the depth direction. It is to have.

또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료로는 TiO2, ZrO2이거나, 이들과 Al2O3의 혼합물이 될 수 있으며, 반투명으로 옅은 색상감을 부여하기 위해서 불순물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불순물은 증착과정 중에 타겟의 추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may be TiO 2 , ZrO 2 , or a mixture of these and Al 2 O 3 , and impurities may be added to provide a translucent, light color. The impurities may be implemented by adding a target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이러한 단일증착층(160)은, 글라스 기판의 배면에 형성된 배면패턴의 패턴감을 보강하고, 패턴라인을 더욱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글라스 기판으로 입사된 빛에 대해 반사율 및 굴절율을 높임으로써 배면패턴에 대해 더욱 선명한 패턴 라인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기능층과는 구별되는 구성이다.This single deposition layer 160 is intended to reinforce the pattern of the back pattern formed on the back of the glass substrate and to make the pattern lines more clearly visible. This is done by increasing the reflectivity and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glass substrate. This allows clearer pattern lines to be recognized for the back pattern, and is a configuration that is distinct from the functional layer.

그리고, 상기 단일증착층(160)의 상부 및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의 전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셀단위의 기능층(171)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기능층(171)은 카메라 윈도우(CW)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윈도우의 전면 또는 배면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부여하게 된다.In addition, a cell-level functional layer 171 is formed on either or both the top of the single deposition layer 16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and the functional layer 171 serves as a camera window. It is intended to complement the function of (CW), and various characteristics are given depending on the function of the front or back of the camera window.

상기 기능층(171)은 상기 단일증착층(160)의 에칭없이 상기 단일증착층(160) 상부에 형성되거나(도 1(a)), 투과부 영역 상부의 단일증착층(160)이 에칭된 후 형성(도 1(b))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단일증착층(160)이 에칭되고, 상기 기능층(171)이 원판유리(110)의 배면에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The functional layer 171 is formed on the single deposition layer 160 without etching the single deposition layer 160 (FIG. 1(a)), or after the single deposition layer 160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parent region is etched. may be formed (Figure 1(b)). The drawing shows a case where the single deposition layer 160 is etched and the functional layer 171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original glass 110.

여기에서 단일증착층(160)의 에칭없이 기능층(171)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일증착층(160)은 투명 또는 반투명하면서, 고투과율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야 하며, 일실시예로 TiO2, ZrO2이거나, 이들과 Al2O3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Here, when forming the functional layer 171 without etching the single deposition layer 160, the single deposition layer 160 must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with high transmittance, and in one embodiment, TiO 2 , ZrO 2 , or a mixture of these and Al 2 O 3 can be used.

상기 투과부 영역 상부의 단일증착층(160)이 에칭된 후 기능층(171)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투과부 영역을 제외한 상기 단일증착층(160) 상부에 셀단위로 인쇄층을 형성하고, 상기 원판유리의 배면의 투과부에 AR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진행되게 된다.When the functional layer 171 is formed after the single deposition layer 160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mission area is etched, a printing layer is formed in each cell on the upper part of the single deposition layer 160 excluding the transmission area, and The process proceeds with forming an AR coating layer on the transparent portion of the back of the original glass.

또한, 상기 단일증착층(160)의 에칭없이 상기 단일증착층(160) 상부에 기능층(171)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일증착층(160) 상부에 상기 투과부 영역을 제외하고 인쇄층이 형성되며, 상기 단일증착층(160) 상부의 상기 원판유리의 배면의 투과부에 AR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진행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functional layer 171 is formed on the single deposition layer 160 without etching the single deposition layer 160, the printed layer is formed on the top of the single deposition layer 160 except for the transparent region. It is formed, and proceeds with the process of forming an AR coating layer on the transparent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original glass above the single deposition layer 160.

상기 인쇄층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폰 사양에 따라 1도~4도가 적당하며, 잉크의 색상은 조색잉크 또는 원색잉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printing layer can be formed by a known method, and a range of 1 to 4 degrees is appropriate depending on the mobile phone specifications, and the color of the ink can be toned ink or primary color ink.

또한, 상기 투과부에 AR코팅층을 형성한 후, 상기 배면패턴(122)이 형성된 원판유리(110)의 전면에 AF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AF코팅층은, 원판유리(110)의 표면 처리 형태에 따라, 이를 생략하거나 보완하는 수준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Additionally, after forming the AR coating layer on the transparent portion, an AF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original glass 110 on which the rear pattern 122 is formed. Here, the AF coating layer may be omitted or formed at a supplementary level, depending on the type of surface treatment of the original glass 110.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기능층(171)은 휴대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원판유리(110)(글라스 기판)의 전면 또는 배면에 정전기 방지코팅층, AF 코팅층, 습기제거층, 휴대 단말기의 색상에 따른 색상층, 보강 인쇄층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unctional layer 171 is optionally formed on the front or back of the original glass 110 (glass substrat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an anti-static coating layer, an AF coating layer, a moisture removal layer, and a color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mobile terminal. It may be implemented as a layer, a reinforcing printed layer, etc.

예컨대, 카메라 윈도우의 전면에는 내지문 특성의 부여를 위한 AF코팅층을 형성하거나, 배면에는 인쇄층, 보강인쇄층 등을 형성하거나, 전면 또는 배면에는 반사방지를 위한 AR코팅층, 정전기 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n AF coating layer can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camera window to provide anti-fingerprint properties, a printed layer or reinforcing printed layer can be formed on the back, or an AR coating layer and anti-static layer can be formed on the front or back to prevent reflection. there is.

그리고, 상기 원판유리(110)의 배면, 즉, 상기 배면패턴(122) 상부에 셀단위로 기능층(171)을 형성한 후에, 상기 배면패턴(122)이 형성된 원판유리(110)를 셀단위로 분리하여 카메라 윈도우(CW)를 형성하게 된다.Then, after forming the functional layer 171 in cell units on the rear surface of the original glass 110, that is, on the top of the rear pattern 122, the original glass 110 on which the rear pattern 122 is formed is formed in cell units. is separated to form a camera window (CW).

상기 원판유리(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가공공정 등에 의해 셀단위로 형상가공되어 원판유리(110) 상태로 제공되거나, 상기 크랙컷(140)의 형성 후 원판유리(110) 상태로 제공되어 있으므로, 이를 셀단위로 분리하여 최종 카메라 윈도우(CW)를 공급하게 된다.The original glass 1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original glass 110 by being processed into the shape of each cell by a laser processing process, etc., as described above, or is provided in the form of original glass 110 after forming the crack cut 140. Therefore, it is separated into cells and the final camera window (CW) is supplied.

여기에서, 셀단위로의 분리는 레이저를 이용할 수 있으며, 크랙컷을 완전히 절단하여 원판유리에서 셀단위로 형상가공된 카메라 윈도우(CW)를 분리시키게 된다.Here, separation into cells can be done using a laser, and the crack is completely cut to separate the camera window (CW), which has been shaped into cells, from the original glas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에 대한 단면 모식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글라스 기판의 배면에 배면패턴이 형성되고, 그 배면패턴 상부에 (단일)증착층(투과부 영역 에칭됨)이 형성되고, 투과부 영역을 제외하고 인쇄층을 형성하고, 투과부에는 AR코팅층이 형성된 것으로서, 종래의 카메라 윈도우와 비교하여 글라스 기판의 배면에 배면패턴 및 단일증착층이 구현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면의 AF코팅층의 형성이 필요없어,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공정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Figure 2 show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of a camer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back pattern is formed on the back of a glass substrate, and a (single) deposition layer (transmissive area etched) is formed on the top of the back pattern. A printing layer is formed except for the transmissive area, and an AR coating layer is formed in the transmissive area. Compared to a conventional camera window, a back pattern and a single deposition layer are implemented on the back of the glass substrate, and in some cases, the AF on the front side is There is no need to form a coating layer, which simplifies the process and reduces process cost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원판 상태에서 가공되어, 최종 셀단위로 분리되어 카메라 윈도우를 제공함으로써 공정 효율이 뛰어나며, 글라스 기판의 배면에 배면패턴 및 단일증착층이 구현되어 공정을 단순화시키는 장점이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process efficiency by being processed in the original state as a whole, separated into final cell units, and providing a camera window, and has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process by implementing a back pattern and a single deposition layer on the back of the glass substrate. .

110 : 원판유리 120 : 셀단위 패턴가공용 마스크층
122 : 배면패턴 130 : 형상가공용 마스크층
140 : 크랙컷 150 : 챔퍼부
160 : 단일증착층 171 : 기능층
CW : 카메라 윈도우
110: Original glass 120: Mask layer for cell-level pattern processing
122: Back pattern 130: Mask layer for shape processing
140: Crack cut 150: Chamfer part
160: single deposition layer 171: functional layer
CW: Camera Window

Claims (21)

중심부에 투과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과부 주변으로 패턴이 형성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판유리의 전면 또는 양면 상에 셀단위 패턴가공용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턴가공용 마스크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원판유리 상에 셀단위로의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턴층을 마스크로 하여, 식각공정에 의해 상기 원판유리의 배면에 셀단위의 배면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턴가공용 마스크층을 제거하고,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의 전면과 배면 상에 각각 형상가공용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상가공용 마스크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를 셀단위로 형상가공하는 단계;
상기 형상가공용 마스크층을 제거하고,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를 강화시키는 단계;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의 배면에 단일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일증착층의 상부 및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의 전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기능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를 셀단위로 분리하여 카메라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투과부 영역 상부의 단일증착층이 에칭된 후 형성되거나, 상기 단일증착층의 에칭없이 상기 단일증착층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투과부 영역 상부의 단일증착층이 에칭된 후 기능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투과부 영역을 제외한 상기 단일증착층 상부에 셀단위로 인쇄층을 형성하고, 상기 원판유리의 배면의 투과부에 AR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거나,
상기 단일증착층의 에칭없이 상기 단일증착층 상부에 기능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일증착층 상부에 상기 투과부 영역을 제외하고 인쇄층이 형성되며, 상기 단일증착층 상부의 상기 원판유리의 배면의 투과부에 AR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in which a transparent part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pattern is formed around the transparent part,
Forming a mask layer for cell-level pattern processing on the front or both sides of the original glass;
Patterning the mask layer for pattern processing to form a pattern layer in cells on the original glass;
Using the pattern layer as a mask, forming a cell-level back pattern on the back of the original glass through an etching process;
Removing the pattern processing mask layer and forming a shape processing mask layer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rear pattern is formed;
Patterning the shape-processing mask layer to shape-process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on a cell-by-cell basis;
removing the shape processing mask layer and strengthening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forming a single deposition layer on the back of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forming a functional layer on either or both of the top of the single deposition layer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It includes forming a camera window by separating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into cells,
The step of forming the functional layer is,
It is formed after the single deposition layer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mission area is etched, or i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ingle deposition layer without etching the single deposition layer,
When a functional layer is formed after the single deposition layer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mission area is etched,
It includes a process of forming a printed layer in a cell unit on the upper part of the single deposition layer excluding the transmissive area, and forming an AR coating layer on the transmissive area on the back of the original glass, or
When forming a functional layer on top of the single deposition layer without etching the single deposition layer,
Manufacture of a camera window with a rear pattern, characterized in that a printed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ingle deposition layer except for the transparent portion area, and an AR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original glas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ingle deposition layer.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공정에 의해 상기 원판유리의 배면에 셀단위의 배면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습식 식각공정 및 건식 식각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단일 또는 복수회 수행하거나, 또는 두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forming a cell-level back pattern on the back of the original glass by the etching process compri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with a back pattern implemented by performing either a wet etching process or a dry etching process single or multiple times, or performing both processes sequentiall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공정을 복수회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각각의 식각공정은 서로 다른 형태의 배면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when the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multiple times or sequentially,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with a back pattern, characterized in that each etching process forms a back pattern of a different shap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식각공정은,
샌드 블라스트(sand blast)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ry etching process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with a back pattern implemented by a sand blast proc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를 셀단위로 형상가공하는 단계는,
레이저 가공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shape processing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cell by cell,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with a back pattern implemented by a laser processing proces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가공공정은,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를 셀단위로 형상가공 후에 또는 동시에, 셀단위로의 크랙컷(crack cut)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aser processing proces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with a back pattern, characterized in that a crack cut is formed in a cell unit after shape processing of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in a cell unit or at the same tim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컷을 형성한 후,
상기 크랙컷이 형성된 원판유리에 습식식각을 진행하여 크랙컷 라인을 중심으로 챔퍼부(chamfer)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fter forming the crack cu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with a rear pattern, characterized in that wet etching is performed on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crack cut is formed to form a chamfer around the crack cut lin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를 강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크랙컷을 통해 상기 원판유리의 측면을 동시에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strengthening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with a back pattern implemen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s of the original glass are simultaneously strengthened through the crack cu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에 AR코팅층을 형성한 후,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의 전면에 AF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fter forming the AR coating layer on the transparent portion, an AF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증착층은,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진 단일 물질이거나,
상기 단일 물질이 서로 혼합된 혼합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ngle deposition layer is:
It is a single substance made of metal or metal oxide, o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with a rear pattern, characterized in that the single materials are mixed toge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원판유리를 셀단위로 분리하여 카메라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셀단위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forming a camera window by separating the original glass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into cells inclu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window with a rear pattern, characterized by separating cells into cells using a laser.
중심부에 투과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과부 주변으로 패턴이 형성된 카메라 윈도우에 있어서,
글라스 기판;
상기 글라스 기판 배면에 형성된 배면패턴;
상기 배면패턴 상부에 형성된 단일증착층; 및
상기 단일증착층의 상부 및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글라스 기판 전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형성된 기능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층은 상기 투과부 영역 상부의 단일증착층이 에칭된 후 형성되거나, 상기 단일증착층의 에칭없이 상기 단일증착층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투과부 영역 상부의 단일증착층이 에칭된 후 기능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투과부 영역을 제외한 상기 단일증착층 상부에 셀단위로 인쇄층을 형성하고, 상기 글라스 기판의 배면의 투과부에 AR코팅층이 형성되거나,
상기 단일증착층의 에칭없이 상기 단일증착층 상부에 기능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일증착층 상부에 상기 투과부 영역을 제외하고 인쇄층이 형성되며, 상기 단일증착층 상부의 상기 글라스 기판의 배면의 투과부에 AR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
In a camera window in which a transparent part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pattern is formed around the transparent part,
glass substrate;
A back pattern formed on the back of the glass substrate;
A single deposition layer formed on the back pattern; and
It includes a functional layer formed on either or both of the top of the single deposition layer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The functional layer is formed after the single deposition layer on top of the transmission region is etched, or is formed on the top of the single deposition layer without etching the single deposition layer,
When forming a functional layer after the single deposition layer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parent region is etched, a printed layer is formed in each cell on the upper part of the single deposition layer excluding the transparent region, and an AR coating layer is applied to the transparent region on the back of the glass substrate. is formed, or
When forming a functional layer on top of the single deposition layer without etching the single deposition layer, a printed layer is formed on the top of the single deposition layer except for the transparent region, and the back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on top of the single deposition layer A camera window with a back pattern implemented, characterized by an AR coating layer formed on the transparent part of th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패턴은,
상기 글라스 기판의 식각공정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back pattern is:
A camera window with a back pattern implemented by an etching process of the glass substr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에 AR 코팅층을 형성한 후, 상기 배면패턴이 형성된 글라스 기판의 전면에 AF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
According to clause 15,
A camera window with a back pattern, characterized in that after forming the AR coating layer on the transparent part, an AF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glass substrate on which the back pattern is formed.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증착층은,
단일 물질로 이루어진 금속산화물 또는 둘 이상의 금속산화물이 혼합된 혼합물질로 이루어진 금속산화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ingle deposition layer is:
A camera window with a rear pattern formed of a metal oxide made of a single material or a mixture of two or more metal oxides.
KR1020160138694A 2016-10-24 2016-10-24 manufacturing method of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and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thereby KR1026148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694A KR102614865B1 (en) 2016-10-24 2016-10-24 manufacturing method of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and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694A KR102614865B1 (en) 2016-10-24 2016-10-24 manufacturing method of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and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thereb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120A KR20180045120A (en) 2018-05-04
KR102614865B1 true KR102614865B1 (en) 2023-12-19

Family

ID=6219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694A KR102614865B1 (en) 2016-10-24 2016-10-24 manufacturing method of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and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there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86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930B1 (en) * 2019-05-17 2020-02-11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Manufacturing method of both-sided patterned window glass for camera of smartphone
KR102091356B1 (en) * 2019-07-29 2020-03-19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Maunfacturing method of window glass for smartphone camera having uv molding pattern
KR102240445B1 (en) * 2020-12-09 2021-04-14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Manufacturing method of thin-film glass for L chamfer type cover window
KR102240446B1 (en) * 2020-12-09 2021-04-14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Thin film glass manufacturing method for convex curved chamfer type cover window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7669A (en) 2005-08-31 2009-02-26 コリア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インダストリアル テクノロジー Lens manufacturing method
KR101480708B1 (en) * 2013-09-30 2015-01-09 (주)유티아이 Protective coating method on side edge of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KR101553606B1 (en) 2014-03-13 2015-09-16 크루셜텍 (주) Cover gla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70658B1 (en) 2014-12-18 2015-11-23 (주)유티아이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glass with tempered side edge using sheet cutt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707A (en) * 2014-12-04 2016-06-14 엠엔지솔루션 주식회사 Method of producing camera window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7669A (en) 2005-08-31 2009-02-26 コリア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インダストリアル テクノロジー Lens manufacturing method
KR101480708B1 (en) * 2013-09-30 2015-01-09 (주)유티아이 Protective coating method on side edge of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KR101553606B1 (en) 2014-03-13 2015-09-16 크루셜텍 (주) Cover gla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70658B1 (en) 2014-12-18 2015-11-23 (주)유티아이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glass with tempered side edge using sheet cut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120A (en)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0029B2 (en) Camera window having distinctive pattern
KR10261486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and camera window with bottom pattern thereby
JP7092137B2 (en) Cover members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s
CN206143062U (en) Protection glass and key fob
KR101706562B1 (en) Cover gla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826275B1 (en) Housing and mobile terminal
CN104003623B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glass cover-plate and glass cover-plate
WO2018116981A1 (en) Cover member,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JP2017001940A (en) Glass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over glas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display device
CN111727178A (en) Cover glass and embedd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30169591A1 (en) Strengthened glass block,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and oled display device
TWI573064B (en) Display panel structure with concealed blind hole and its making method
KR101425364B1 (en) Cover gla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56812B1 (en) Mass production method of display window glas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ecorative pattern printed
KR101553606B1 (en) Cover gla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93080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amera window with top pattern and camera window with top pattern thereby
CN111727177A (en) Cover glass and in-cel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606582B2 (en)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A127121C2 (en) Camera hole cover plate, camera hole cover plate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20190000018A (en) manufacturing method of camera window with prominent pattern and camera window with prominent pattern thereby
KR20150126317A (en) Cover gla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008569A (en) Method for forming a flange of a window glass
KR20160008670A (en) Cover gla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H1201200007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ver glass for portable device
KR101531671B1 (en) Method of producing protect gla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