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678B1 - Headset apparatus having mute function - Google Patents

Headset apparatus having mute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678B1
KR102614678B1 KR1020220054832A KR20220054832A KR102614678B1 KR 102614678 B1 KR102614678 B1 KR 102614678B1 KR 1020220054832 A KR1020220054832 A KR 1020220054832A KR 20220054832 A KR20220054832 A KR 20220054832A KR 102614678 B1 KR102614678 B1 KR 102614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otating
boom
sectio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8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55230A (en
Inventor
윤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인텍
Priority to KR1020220054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678B1/en
Priority to PCT/KR2022/010238 priority patent/WO2023214615A1/en
Publication of KR20230155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2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6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Abstract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가 제공된다. 헤드셋장치는, 이어컵 일 측에 회전식 붐대가 결합된 헤드셋장치에 있어서, 붐대의 회전중심에 고정된 제1중심단자, 제1중심단자에서 회전반경만큼 이격되어 붐대에 고정된 회전단자, 제1중심단자 및 회전단자에 접속되어 붐대 끝에 배치된 마이크모듈, 및 이어컵에 배치되고 헤드셋장치의 전원과 접속되며, 회전반경으로 정의되는 회전단자의 회전범위와 부분적으로만 중첩되는 접속구간을 구비하고, 접속구간 내에서만 제1중심단자 및 회전단자와 모두 통전되어 상기 전원의 전력을 마이크모듈로 제공하는 구간형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붐대의 회전에 따라 회전단자가 접속구간 내에 있으면 마이크모듈이 켜지고, 회전단자가 접속구간을 이탈하면 상기 마이크모듈이 꺼지도록 형성된다.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is provided. The headset device includes a headset device in which a rotating boom is coupled to one side of an ear cup, a first center terminal fix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boom, a rotating termina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enter terminal by a rotation radius and fixed to the boom, and a first It has a microphone module connected to the center terminal and a rotating terminal and placed at the end of the boom stand, and a connection section that is placed on the ear cup and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of the headset device and only partially overlaps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ting terminal defined by the rotating radius. , including a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that is energized with both the first center terminal and the rotation terminal only within the connection section and provides power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microphone module, and when the rotation terminal is within the connection s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oom, the microphone module is turned on. , the microphone module is configured to turn off when the rotary terminal leaves the connection section.

Description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Headset apparatus having mute function}Headset apparatus having mute function}

본 발명은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가 달려있는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equipped with a microphone.

헤드폰은 이어컵의 안쪽에 스피커를 장착한 음향기기의 일종이다. 공간을 통한 소리의 확산을 막고 사용자의 귀에 바로 소리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헤드폰이 자주 사용된다.Headphones are a type of audio device with speakers installed inside the earcups. Headphones are often used as a means of preventing the spread of sound through space and delivering sound directly to the user's ears.

헤드폰에 마이크가 접목된 헤드셋은 송화기능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헤드셋 역시 헤드폰만큼 자주 사용된다. 특히 원거리의 상대방과 장시간 통화하는 경우에는 전화보다 편리한 장점이 있어 자주 사용된다.A headset with a microphone attached to the headphone also has a speaking function. Therefore, headsets are used as often as headphones. It is often used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more convenient than a telephone, especially when talking to a person far away for a long time.

예를 들면, 불특정 다수와 반복 통화하는 전화상담원 등에게는 헤드셋의 사용이 거의 필수적이다. 헤드셋은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나, 붐대 끝에 마이크를 장착하여 마이크를 사용자의 입 쪽에 배치한 형태가 일반적이다(예, 대한민국 특허10-0413387등).For example, the use of a headset is almost essential for telephone counselors who make repeated calls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There are various types of headsets, but the most common type is to have a microphone mounted on the end of a boom pole and place the microphone near the user's mouth (e.g., Republic of Korea Patent 10-0413387, etc.).

이러한 헤드셋을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도 자주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헤드셋은 마이크의 온 오프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조금만 부주의하면 마이크를 끈 것으로 착각할 수 있다. Users who frequently use these headsets are known to frequently experience the following problems: For example, with most headsets, it is difficult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on/off status of the microphone, so if you are a little careless, you may mistake the microphone for being turned off.

따라서 헤드셋을 상시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는 원치 않는 개인정보가 유출될 확률이 증가되고, 사용자와 연결된 상대방 역시 불필요한 소음에 노출될 기회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대안은 아직 제공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적인 개선이 필요하였다.Therefore, for users who always use headsets, the probability of unwanted personal information being leaked increases, and the other party connected to the user also has a greater chance of being exposed to unnecessary noise. Because alternatives to these problems have not yet been provided, technical improvements were needed.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413387호, (2004. 01. 0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413387, (2004. 01. 03)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이크의 온 오프 상태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인지시키며, 마이크의 온 오프의 조정도 직관적으로,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by providing 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on and off state of the microphone and can intuitively and conveniently adjust the microphone on and off. It is provid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의한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는, 이어컵 일 측에 회전식 붐대가 결합된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대의 회전중심에 고정된 제1중심단자; 상기 제1중심단자에서 회전반경만큼 이격되어 상기 붐대에 고정된 회전단자; 상기 제1중심단자 및 상기 회전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붐대 끝에 배치된 마이크모듈; 및 상기 이어컵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셋장치의 전원과 접속되며, 상기 회전반경으로 정의되는 상기 회전단자의 회전범위와 부분적으로만 중첩되는 접속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간 내에서만 상기 제1중심단자 및 상기 회전단자와 모두 통전되어 상기 전원의 전력을 상기 마이크모듈로 제공하는 구간형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붐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단자가 상기 접속구간 내에 있으면 상기 마이크모듈이 켜지고, 상기 회전단자가 상기 접속구간을 이탈하면 상기 마이크모듈이 꺼지도록 형성된다.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in which a rotating boom is coupled to one side of an ear cup, comprising: a first central terminal fix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boom; a rotating termina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entral terminal by a rotating radius and fixed to the boom; a microphone module connected to the first center terminal and the rotating terminal and disposed at an end of the boom pole; and a connection section disposed on the ear cup and connected to a power source of the headset device, and only partially overlapping a rotation range of the rotation terminal defined by the rotation radius, and the first center terminal only within the connection section. and a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that is energized with both the rotation terminals and provides power of the power source to the microphone module, so that when the rotation terminal is within the connection s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oom, the microphone module is turned on, and the rotation terminal is turned on. When the terminal leaves the connection section, the microphone module is turned off.

상기 구간형 접속단자는, 상기 제1중심단자와 맞닿게 배치된 제2중심단자, 및 상기 제2중심단자에서 상기 회전반경만큼 이격되고, 상기 회전반경과 중심각이 360도보다 작은 부채꼴을 이루는 원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원호에 대응하는 구간으로 상기 접속구간을 형성하는 원호형 접속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second central terminal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irst central terminal, and an arc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entral terminal by the rotation radius and forming a fan shape with the rotation radius and the central angle being less than 360 degrees. It is made up of a shape and may include an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that forms the connection section in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arc.

상기 회전단자는 상기 붐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붐대의 회전위치와 상기 회전단자의 회전위치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The rotary terminals ar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m, so tha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boom can be synchronized with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rotary terminal.

상기 제1중심단자 및 상기 회전단자는 각각 스프링에 탄성 지지된 핀형 단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2중심단자 및 상기 원호형 접속단자는 각각 점형상 및 원호형상의 패턴으로 단일 기판의 일 면에 인쇄될 수 있다.The first central terminal and the rotary terminal are each formed as a pin-type terminal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and the second central terminal and the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are printed on one side of a single substrate in a dot-shaped and arc-shaped pattern, respectively. It can be.

상기 원호형 접속단자는 반원형상의 패턴일 수 있다.The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may have a semicircular pattern.

상기 기판이 상기 이어컵 내측에 상기 제2중심단자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기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간형 접속단자의 배향이 바뀔 수 있다.The boar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ear cup about the second central terminal, so that the orientation of the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can change as the board rotates.

상기 붐대는, 상기 회전중심에서 상기 회전반경보다 넓게 확대되어 상기 제1중심단자와 상기 회전단자가 내부에 고정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컵은, 일 측에 상기 회전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기판의 일 면이 상기 회전판과 면하도록 상기 기판이 내부에 수용된 제1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om unit includes a rotating plate that is expanded wider than the rotating radius at the rotation center and the first central terminal and the rotating terminal are fixed therein, and the ear cup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plate on one side. The substrate may include a first body accommodated therein so that one side of the substrate faces the rotating plate.

상기 이어컵은, 상기 제1몸체의 타 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는 제2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ar cup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ody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and has a built-in speaker.

상기 헤드셋장치는, 상기 제2몸체에서 상기 제1몸체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스피커와 연결된 한 쌍의 탄성접점, 및 상기 제1몸체의 상기 탄성접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탄성접점과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원에 접속된 한 쌍의 점전원단자를 더 포함하는 할 수 있다.The headset device includes a pair of elastic contact points that protrude from the second body toward the first body and are connected to the speaker, and ar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contact point of the first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elastic contact point. It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point power terminal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상기 전원은 상기 이어컵에 내장된 내장전원 및 상기 이어컵의 외부에서 상기 이어컵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power source may be at least one of a built-in power source built into the ear cup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that supplies power to the ear cup from outside the ear cup.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셋 장치의 사용자가 마이크의 온 오프 상태를 시각적 인지를 통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가 꺼져 있는지 스위치 등을 찾아 별도로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직관적인 조작으로 정확하게 마이크의 온 오프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부주의로 인해 마이크의 온 오프 상태를 오인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그와 관련되어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개인정보 유출, 소음발생 등)역시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of a headset device can intuitively know the on-off state of the microphone through visual perception.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check whether the microphone is turned off by looking for a switch, and you can accurately control the microphone on and off status through intuitive oper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misunderstanding the on-off state of the microphone due to carelessness, and also to solve various problems related to it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noise generation, etc.).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셋장치의 주요부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요부 분해도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중심단자, 회전단자, 및 구간형접속단자를 겹쳐서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중심단자, 회전단자, 및 구간형접속단자의 세부구조와 구간형접속단자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붐대의 회전에 의한, 제1중심단자, 회전단자, 및 구간형접속단자의 배치변화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7은 도 1의 헤드셋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의 제1몸체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헤드셋장치의 접속구간 변경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main parts of the headset device of Figure 1.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2 from a different angle.
Figure 4 is a layout diagram showing the first central terminal, the rotating terminal, and the section type connection terminal overlapping each other.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irst center terminal, rotating terminal, and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of FIG. 4 and a modification of the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Figure 6 is an operational diagram showing changes in arrangement of the first center terminal, rotation terminal, and section type connection terminal due to rotation of the boom.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headset device of Figure 1.
Figure 8 is an exploded view of the first body of 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operational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of changing a connection section of the headset device of FIG. 8.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are on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provid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mere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 그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Firs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and based on th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헤드셋장치의 주요부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주요부 분해도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headset device of FIG. 1,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explod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2 from a different angle. .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1)(이하, 헤드셋 장치)는 이어컵(100)에 붐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마이크모듈(300)은 붐대(200)의 회전중심에서 이격된 붐대(200)의 말단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1, the headset devic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om 200 rotatably coupled to an ear cup 100. The microphone module 300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boom pole 200,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boom pole 200.

도 2를 참조하면, 붐대(200)에는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가 배치되고, 이어컵(100)에는 구간형 접속단자(13)가 배치된다. 제1중심단자(11)는 붐대(200)의 회전중심(C)에 있지만 회전단자(12)는 회전중심과 떨어져 있어 붐대(200)의 회전에 의해 위치가 변경된다(도 6참조).Referring to FIG. 2, a first central terminal 11 and a rotating terminal 12 are disposed on the boom stand 200, and a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13 is disposed on the ear cup 100.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is located at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boom 200, but the rotation terminal 12 is separated from the rotation center and changes its position by rotation of the boom 200 (see FIG. 6).

이로 인해 붐대(200)에 배치된 제1중심단자(11)와 회전단자(12)의 쌍은 이어컵(100)에 배치된 구간형 접속단자(13)와 일정구간에서만 모두 접속된다. 접속구간(도 6의 A참조)에서만 마이크모듈(300)이 켜지지만, 단자의 회전이 붐대(200)의 회전과 연동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붐대(200)의 회전상태만 보고도 마이크모듈(300)의 작동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air of the first center terminal 11 and the rotating terminal 12 arranged on the boom stand 200 are connected to the section type connection terminal 13 arranged on the ear cup 100 only in a certain section. The microphone module 300 is turned on only in the connection section (see A in Figure 6), but since the rotation of the terminal is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boom stand 200, the user can turn on the microphone module 300 just by looking at the rotation state of the boom stand 200. You can check whether it is working or not.

또한 붐대(200)를 회전시키면 접속구간으로 단자의 위치를 바꿀 수 있으므로 붐대(200)를 회전시키는 직관적인 조작만으로 마이크모듈(300)을 켜거나 끌 수 있다.Additionally, by rotating the boom 200,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can be changed in the connection section, so the microphone module 300 can be turned on or off simply by intuitively rotating the boom 200.

이러한 본 발명의 헤드셋장치(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헤드셋장치(1)는, 이어컵(100) 일 측에 회전식 붐대(200)가 결합된 헤드셋장치(1)에 있어서, 붐대(200)의 회전중심에 고정된 제1중심단자(도 2의 11참조), 제1중심단자(11)에서 회전반경만큼 이격되어 붐대(200)에 고정된 회전단자(도 2의 12참조),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에 접속되어 붐대(200) 끝에 배치된 마이크모듈(도 1의 300참조), 및 이어컵(100)에 배치되고 헤드셋장치(1)의 전원과 접속되며, 상기 회전반경에 의해 정의되는 회전단자(12)의 회전범위와 부분적으로만 중첩되는 접속구간(도 5 및 도 6의 A, A1~A3참조)을 구비하고, 접속구간 내에서만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와 모두 통전되어 상기 전원의 전력을 마이크모듈(300)로 제공하는 구간형 접속단자(13)를 포함하여, 붐대(200)의 회전에 따라 회전단자(12)가 접속구간 내에 있으면 마이크모듈(300)이 켜지고, 회전단자(12)가 접속구간을 이탈하면 마이크모듈(300)이 꺼지게 된다.The headse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The headset device 1 is a headset device 1 in which a rotating boom 2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ear cup 100, and the first center terminal (11 in FIG. 2) is fix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boom 200. reference), a rotating termina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by the rotating radius and fixed to the boom 200 (see 12 in FIG. 2), a boom connected to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and the rotating terminal 12 (200) A microphone module disposed at the end (see 300 in FIG. 1), and a rotation of the rotation terminal 12, which is disposed on the ear cup 100 and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of the headset device 1, and defined by the rotation radius. It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section (see A, A1 to A3 in FIGS. 5 and 6) that only partially overlaps the range, and is energized with both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and the rotating terminal 12 only within the connection section, so that the power supply Including a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13 that provides power to the microphone module 300, when the rotating terminal 12 is within the connection s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oom stand 200, the microphone module 300 is turned on, and the rotating terminal When (12) leaves the connection section, the microphone module 300 is turned of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간형 접속단자(13)는 제1중심단자(11)와 맞닿게 배치된 제2중심단자(도 2의 13a참조), 및 제2중심단자(13a)에서 회전단자(12)의 회전반경(도 5의 R참조)만큼 이격되고, 회전반경과 중심각이 360도보다 작은 부채꼴을 이루는 원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원호에 대응하는 구간으로 접속구간을 형성하는 원호형 접속단자(도 2의 13b참조)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단자(12)는 붐대(2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붐대(200)의 회전위치와 회전단자(12)의 회전위치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도 6참조).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13 has a second central terminal (see 13a in FIG. 2)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and rotates at the second central terminal 13a. The arc shape is spaced apart by the rotation radius of the terminal 12 (see R in FIG. 5) and has a circular arc shape with a rotation radius and a central angle smaller than 360 degrees, forming a connection section with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arc. It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see 13b in FIG. 2). In addition, the rotation terminal 12 i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m 200, so tha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boom 200 and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rotation terminal 12 can be synchronized (see FIG. 6).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헤드셋장치(1)의 전체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헤드셋장치(1)는, 이어컵(100), 마이크모듈(300)이 장착된 붐대(200), 헤드밴드(400)를 포함한다. 이어컵(100) 안에는 스피커(도 2의 121참조)가 내장되며, 헤드밴드(400)는 사용자의 머리둘레에 대응하여 신축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헤드밴드(400)의 일 측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헤드셋장치(1)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클립(410)이 배치된다.First, referring to Figure 1,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headset device 1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The headset device 1 includes an ear cup 100, a boom 200 equipped with a microphone module 300, and a headband 400. A speaker (see 121 in FIG. 2) is built into the ear cup 100, and the headband 400 is formed to be flexible to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user's head. A support clip 41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eadband 400 to secure the headset device 1 to the user's head.

그러나 헤드셋장치(1)가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도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클립(410)이 형성된 위치에 다른 이어컵(스피커가 내장될 수 있다)이 추가로 장착될 수도 있다.However, the headset device 1 need not be limited to the shape shown, and may be modified into other shapes as needed. For example, another ear cup (which may have a built-in speaker) may be additionally moun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clip 410 is formed.

이어컵(100)은 내부에 공간이 있는 일종의 하우징일 수 있다. 이어컵(100) 내부에는 스피커나 기판 등을 수용가능한 적절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어컵(100)이 사람의 피부와 밀착하는 부위에는 도 1과 같이 이어패드(122)(예를 들면, 내부의 완충재를 직물이나 가죽 등으로 감싼 것일 수 있다)가 배치된다. The ear cup 100 may be a type of housing with a space inside. An appropriate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inside the ear cup 100 to accommodate a speaker or a board. An ear pad 122 (for example, the inner cushioning material may be wrapped with fabric or leather, etc.) is disposed at the area where the ear cup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uman skin, as shown in FIG. 1 .

본 실시예에서 이어컵(100)은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는 착탈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ear cup 100 is composed of two parts: a first body 110 and a second body 120.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may be detachable.

붐대(200)는 이어컵(100) 일 측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붐대(200)는 이어컵(100)의 제1몸체(110)와 결합할 수 있다. The boom stand 200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ear cup 100. For example, the boom 2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110 of the ear cup 100.

붐대(200)는 전체적으로 길이가 긴 바 형태로 형성되며, 이어컵(100)과 결합하는 일단부에 원형의 회전판(210)이 형성된다. 마이크모듈(300)은 붐대(200)의 타단부 말단에 도 1처럼 배치될 수 있다.The boom bar 2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bar overall, and a circular rotating plate 210 is formed at one end coupled to the ear cup 100. The microphone module 300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boom pole 200 as shown in FIG. 1 .

헤드셋장치(1)는 내장전원 또는 외부전원에 의해서 동작할 수 있다. 헤드셋장치(1)의 전원(미도시)은 이어컵(100)에 내장된 내장전원 및 이어컵(100)의 외부에서 이어컵(100)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헤드셋장치(1)의 전원으로부터 제공된 전력에 의해 마이크모듈(300)과 스피커 등이 작동된다.The headset device 1 can be operated by a built-in power source or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power source (not shown) of the headset device 1 may be at least one of a built-in power source built into the ear cup 100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that supplies power to the ear cup 100 from the outside of the ear cup 100. . The microphone module 300 and the speaker are operated by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source of the headset device 1.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셋장치(1)가 전원선(113)에 의해서 연결되는 외부전원(미도시)을 사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헤드셋장치(1)는 내부전원(미도시)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예를 들어, 이어컵(100) 내부에 장착되는 착탈식 또는 충전식 배터리로 내부전원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headset device 1 uses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connected by the power line 113 will be described.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headset device 1 may use an in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In such a cas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internal power source with a removable or rechargeable battery mounted inside the ear cup 100.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헤드셋장치(1)의 결합구조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headset device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붐대(200)는 회전판(210)을 통해 이어컵(1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판(210)은 이어컵(100)의 제1몸체(110)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판(210)과 제1몸체(110)에는 회전식 결합구조가 형성된다. The boom stand 2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ar cup 100 through the rotating plate 210. The rotating plate 21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110 of the ear cup 100. Accordingly, a rotary coupling structure is formed between the rotating plate 210 and the first body 110.

예를 들면, 회전식 결합구조는 원안에 회전 가능한 링 구조가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제1몸체(110)의 회전판(210)과 접하는 부분에 원형으로 개방된 결합구(112)를 형성하고, 도 3과 같이, 회전판(210)의 결합구(112)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몸체(110)를 향해 돌출된 결합링(212)을 형성하여 양자를 결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otatable coupling structure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rotatable ring structure within a circ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a circularly open coupler 112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first body 110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plate 210, and as shown in FIG. 3, the coupler 112 of the rotating plate 210 is formed. ) and a coupling ring 212 protruding toward the first body 110 can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wo.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결합링(212)과 결합구(112) 사이에는 결합 후 빠지지 않도록 요철 결합하는 돌기나 홈 등의 구조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붐대(200)는 이어컵(100)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 structure such as a protrusion or groove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coupling ring 212 and the coupling hole 112 to prevent the coupling ring 212 from falling out after coupling. Due to this structure, the boom 200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ear cup 100.

도 2를 참조하면, 제1중심단자(11), 회전단자(12) 및 구간형 접속단자(13)는 붐대(200)와 이어컵(100)이 결합되는 결합부위에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닿을 수 있게 배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는 결합링(212)의 안쪽에 고정된 회전기판(211)에 배치하고,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구간형 접속단자(13)는 결합구(112)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제1몸체(110)안의 기판(111)에 배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the rotating terminal 12, and the section type connection terminal 13 are at least partial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coupling portion where the boom bar 200 and the ear cup 100 are coupled. It is arranged so that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and the rotating terminal 12 are disposed on the rotating substrate 211 fixed inside the coupling ring 212, and as shown in Figure 2, The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13 can be placed on the substrate 111 in the first body 110 that is partially exposed through the coupler 112.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는 각각 스프링(11a, 12a)에 탄성 지지된 핀형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확대도 참조). 예를 들어 고정블록(11b)안에 스프링(11a, 12a)과 함께 각 단자를 결합하여 탄성 지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와 구간형 접속단자(13)간 접촉이 더 원활해질 수 있다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and the rotary terminal 12 may be formed as pin-type terminals elastically supported by springs 11a and 12a, respectively (see enlarged view). For example, each terminal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by combining springs 11a and 12a in the fixing block 11b. Accordingly,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and the rotating terminal 12 and the section type connection terminal 13 can be made smoother.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스프링(11a, 12a)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를 회전기판(211)에 형성된 단자선(14a)과 통전시킬 수 있다. 즉 스프링 구조가 단자의 전기적 접속상태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필요한 경우에는 스프링 사이로 단자선과 각 단자를 연결하는 연결선(미도시)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the springs 11a and 12a ar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o allow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and the rotating terminal 12 to conduct electricity with the terminal wire 14a formed on the rotating substrate 211. . In other words, the spring structure does not affect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us of the terminal. If necessary, a connection line (not shown) connecting the terminal wire and each terminal may be formed between the springs.

구간형 접속단자(13)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구간형 접속단자(13)는 실질적으로 두 개의 단자가 기하학적으로 조합된 형태일 수 있다. 구간형 접속단자(13)는 제2중심단자(13a) 및 원호형 접속단자(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중심단자(13a) 및 원호형 접속단자(13b)는 각각 점형상 및 원호형상의 패턴으로 단일 기판[전술한 제1몸체(110) 내부의 기판(111)]의 일 면에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The section type connection terminal 13 consists of two parts. The section type connection terminal 13 may be substantially a geometric combination of two terminals. The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13 may include a second central terminal 13a and an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13b. The second central terminal 13a and the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13b may be printed on one side of a single substrate (the substrate 111 inside the first body 110 described above) in a dot-shaped and arc-shaped pattern, respectively. You can.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원호형 접속단자(13b)는 반원형상의 패턴일수 있다. 그러나 그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원호 형상으로 변형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2, the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13b may have a semicircular pattern. However, there is no need to be limited thereto, and it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arc shapes as will be described later.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와, 구간형 접속단자(13)는 붐대(200)의 회전판(210)과, 제1몸체(110)의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회전판(210)은 붐대(200)의 회전중심(C)에서 회전단자(12)의 회전반경(도 5의 R참조)보다 넓게 확대된 구조이며 예를 들면, 납작한 원반 또는 원판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제1중심단자(11)와 회전단자(12)는 회전판(210)의 내부(외측 테두리에서 안쪽을 말함)에 고정된다.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the rotary terminal 12, and the section type connection terminal 13 are position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using the rotary plate 210 of the boom stand 200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body 110. It can be placed in . The rotating plate 210 has a structure enlarged from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boom 200 to be wider than the rotating radius of the rotating terminal 12 (see R in FIG. 5) and may have the shape of, for example, a flat disk or disk. there is.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and the rotating terminal 12 are fixed to the inside (inside from the outer edge) of the rotating plate 210.

제1몸체(110)는 일 측에 회전판(21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구간형 접속단자[즉 제2중심단자(13a) 및 원호형 접속단자(13b)]가 일 면에 인쇄된 기판(111)이 회전판(210)과 면하도록 수용된다.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전술한 결합구(112)를 통해 기판(111)의 일 면에 인쇄된 구간형 접속단자(13)가 회전판(210) 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first body 110 has a rotary plate 210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and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s (i.e., second center terminal 13a and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13b) are printed on one side inside. The substrate 111 is accommodated to face the rotating plate 210. As illustrated in FIG. 2 , the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13 print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111 may be exposed to the rotating plate 210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upler 112.

따라서 붐대(200)가 이어컵(100)에 결합되면(구체적으로 붐대의 회전판과 이어컵의 제1몸체간 결합) 결합부위에 위치한 단자(제1중심단자, 회전단자 및 구간형 접속단자)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된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제1중심단자(11)와 제2중심단자(13a)는 붐대(200)의 회전중심(C)에서 맞닿아 접촉상태를 유지하지만, 회전중심(C)과 떨어져있는 회전단자(12)와 원호형 접속단자(13b)는 회전단자(12)의 회전 위치에 따라 접촉되거나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boom 200 is coupled to the ear cup 100 (specifically, the coupling between the rotating plate of the boom and the first body of the ear cup), the terminals (first center terminal, rotating terminal, and section type connection terminal) located at the coupling portion are At least partially touched. As shown in Figure 2,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and the second central terminal 13a are maintain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boom 200, but are separated from the rotation center C. The rotary terminal 12 and the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13b may or may not be in contact depending on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rotary terminal 12.

따라서 실질적으로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의 쌍과 구간형 접속단자(13)간 통전은 구간형 접속단자(13) 전체[즉 제2중심단자(13a) 및 원호형 접속단자(13b)]가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 모두와 접촉되는 구간에서만 발생된다. 이러한 단자구조를 이용하여, 마이크모듈(300)로 전력을 제공하거나 전력공급을 제한할 수 있다. Therefore, in practice, electricity is passed between the pair of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and the rotary terminal 12 and the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13 through the entire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13 (i.e., the second center terminal 13a and the arc-shaped connection). It occurs only in the section where the terminal (13b)] is in contact with both the first center terminal (11) and the rotary terminal (12). Using this terminal structure, power can be provided to the microphone module 300 or power supply can be limited.

도 2를 참조하면,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는, 회전기판(211)에 형성된 단자선(14a)과 회전기판(211)과 마이크모듈(도 1의 300참조)을 연결하는 배선(16a)등을 통해 마이크모듈(300)과 접속된다. 반면 구간형 접속단자(13)는, 기판(111)에 형성된 또 다른 단자선(14b)과 기판(111)과 전원선(113)을 연결하는 또 다른 배선(16b)등을 통해 전원에 접속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and the rotating terminal 12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 line 14a formed on the rotating substrate 211, the rotating substrate 211, and the microphone module (see 300 in FIG. 1). It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module 300 through the connecting wire (16a). On the other hand, the section type connection terminal 13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through another terminal line 14b formed on the board 111 and another wire 16b connecting the board 111 and the power line 113. .

즉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의 쌍은 마이크모듈(300)에, 구간형 접속단자(13)는 전원에 각각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1중심단자(11), 회전단자(12) 및 구간형 접속단자(13)는 실질적으로 전원과 마이크모듈(300)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과 마이크모듈(300)사이의 회로(전원회로)를 개폐하는 일종의 스위칭 장치로 기능한다.That is, since the pair of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and the rotating terminal 12 are connected to the microphone module 300, and the section type connection terminal 13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and the rotating terminal 12 are connected to the microphone module 300. (12) and the section type connection terminal 13 are located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microphone module 300 and function as a kind of switching device that opens and closes the circuit (power circuit)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microphone module 300.

예를 들면,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는 마이크모듈(300)의 전원단자에 형성된 양 극(또는 그라운드와 전원)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구간형 접속단자(13)의 제2중심단자(13a) 및 원호형 접속단자(13b)는 전술한 헤드셋장치(1) 전원의 양 극(또는 그라운드와 전원단자)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중심단자(11)와 제2중심단자(13a), 회전단자(12)와 원호형 접속단자(13b)가 모두 통전되는 구간에서만 마이크모듈(300)로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enter terminal 11 and the rotating terminal 12 may each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or ground and power) formed on the power terminal of the microphone module 300, and the first center terminal 11 and the rotating terminal 12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ositive pole (or ground and power) formed on the power terminal of the microphone module 300. The two center terminals 13a and the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13b can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ositive pole (or ground and power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of the headset device 1 described above. Therefore, power can be provided to the microphone module 300 only in the section where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the second central terminal 13a, the rotating terminal 12, and the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13b are all energized.

이하, 도 2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단자들의 구체적인 배치와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pecific arrangement and operation of the terminal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s 2 and 4 to 6.

도 4는 제1중심단자, 회전단자, 및 구간형접속단자를 겹쳐서 도시한 배치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중심단자, 회전단자, 및 구간형접속단자의 세부구조와 구간형접속단자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붐대의 회전에 의한, 제1중심단자, 회전단자, 및 구간형접속단자의 배치변화를 도시한 작동도이다.FIG. 4 is a layout diagram showing the first central terminal, rotary terminal, and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overlapping, and FIG. 5 is a detailed structure of the first center terminal, rotary terminal, and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of FIG. 4 and the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This is a drawing showing a modified example, and FIG. 6 is an operational diagram showing changes in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central terminal, the rotating terminal, and the section type connection terminal due to the rotation of the boom.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1중심단자(11), 회전단자(12), 및 구간형 접속단자(13)를 겹쳐서 도시하면 단자들의 상호간 배치가 보다 분명히 나타난다. 도 4는 붐대(200)에 형성된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와, 이어컵(도 3의 100참조)에 형성된 구간형 접속단자(13)를 도 2의 회전중심(도 2의 C참조)방향으로 겹쳐서 도시한 것이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the rotary terminal 12, and the sectional connection terminal 13 are shown overlapping each other, the arrangement of the terminals appears more clearly. Figure 4 shows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and the rotation terminal 12 formed on the boom stand 200 and the section type connection terminal 13 formed on the ear cup (see 100 in Figure 3) at the rotation center of Figure 2 (Figure 2). It is shown overlapping in the direction (see C in 2).

잠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중심단자(11)와 회전단자(12)는 모두 붐대(200)에 고정되어 있다. 제1중심단자(11)는 붐대(200)의 회전중심(C)에 고정되며, 회전단자(12)는 제1중심단자(11)와 회전반경(도 5의 R참조)만큼 이격되어 붐대(200)에 고정된다. 회전단자(12)가 회전중심(C)에서 이격되어 있으므로 붐대(200)가 회전하면 회전단자(12)도 함께 회전한다.Referring to FIG. 2 for a moment, both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and the rotating terminal 12 are fixed to the boom stand 200.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is fixed to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boom 200, and the rotating terminal 12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by a rotation radius (see R in Figure 5) to form a boom ( 200). Since the rotation terminal 12 is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C, when the boom 200 rotates, the rotation terminal 12 also rotates.

예를 들면, 회전단자(12)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회전단자(12)의 회전범위(최대 회전범위를 의미함)는 더 클 수 있다. 회전단자(12)의 회전각도는 붐대(200)의 회전각도와 일치하므로 붐대(200)가 360도 회전하면 회전단자(12) 역시 360도 회전된다.For example, the rotary terminal 12 can rotate as shown in FIG. 6. However, since Figure 6 is an example, the rotation range (meaning the maximum rotation range) of the rotation terminal 12 may be larger. Since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ry terminal 12 matches the rotation angle of the boom 200, when the boom 200 rotates 360 degrees, the rotary terminal 12 also rotates 360 degrees.

따라서 회전단자(12)의 회전범위는, 실질적으로 회전반경에 의해 정의되는 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중심단자(11)와 회전단자(12) 사이의 회전반경(R)을 측정할 수 있고, 해당 회전반경(R)에 의해 정의되는 원 위에서 회전단자(12)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Therefore,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ry terminal 12 may be substantially a circle defined by the rotation radiu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turning radius (R) between the first center terminal 11 and the rotating terminal 12 can be measured, and the rotating terminal is measured on a circle defined by the rotating radius (R). (12) can rotate freely.

단자들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회전반경(R)을 비롯하여 후술하는 원호의 길이, 그에 대응하는 접속구간(A1~A3) 등은 모두 단자들의 두께에 영향 받지 않는 단자의 중심에 대해 도시되었다. 즉 회전반경(R)은 제1중심단자(11)의 중심(붐대의 회전중심과 일치한다)과 회전단자(12)의 중심간 간격으로 측정될 수 있다.Since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s may vary as needed, the radius of rotation (R), the length of the arc described later, and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sections (A1 to A3) are all show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terminal, which is not affected by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s. It has been done. That is, the rotation radius (R) can be measur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center terminal 11 (coincident with the rotation center of the boom) and the center of the rotation terminal 12.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구간형 접속단자(13)는 이어컵(100)에 배치된다. 구간형 접속단자(13)는 실질적으로 이어컵(100)에 고정되며 회전단자(12)의 회전범위와 부분적으로만 중첩되는 접속구간을 구비한다. 따라서 구간형 접속단자(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구간 내에서만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와 모두 통전되며, 그러한 접속구간 내에 회전단자(12)가 위치할 때에만 마이크모듈(도 1의 300참조)로 전력을 제공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13 is disposed on the ear cup 100. The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13 is substantially fixed to the ear cup 100 and has a connection section that only partially overlaps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ry terminal 12.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13 is energized with both the first center terminal 11 and the rotating terminal 12 only within the connection section, and the microphone is connected only when the rotating terminal 12 is located within the connection section. Power is provided to the module (see 300 in FIG. 1).

도 2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구간형 접속단자(13)는 제1중심단자(11)와 맞닿게 배치된 제2중심단자(13a), 및 제2중심단자(13a)와 이격된 원호형 접속단자(13b)를 포함한다. 원호형 접속단자(13b)는, 제2중심단자(13a)에서 회전단자(12)의 회전반경(도 5의 R참조)만큼 이격되고, 회전반경과 중심각이 360도보다 작은 부채꼴을 이루는 원호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접속구간은 실질적으로 원호형 접속단자(13b)가 이루는 원호에 대응하는 구간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S. 2 and 4 together, the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13 has a second central terminal 13a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and a circl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entral terminal 13a. It includes an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13b). The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13b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entral terminal 13a by the rotation radius of the rotary terminal 12 (see R in FIG. 5), and has a circular arc forming a fan shape with a rotation radius and a central angle smaller than 360 degrees. It is made up of shapes. Because of this, the connection section is substantially formed as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arc formed by the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13b.

도 5를 참조하여 접속구간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의 (a)에는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와, 제2중심단자(13a) 및 원호형 접속단자(13b)의 간격이 비교되어 있다. 간격은 전술한 것처럼 단자의 중심간 간격을 고려하였다. 도시된 것처럼 회전단자(12)와 제1중심단자(11)간 간격은, 제2중심단자(13a)와 원호형 접속단자(13b)의 간격과 동일하며, 이 간격은 회전단자(12)의 회전반경(R)과도 동일하다.The connection sec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5. In Figure 5 (a),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and the rotary terminal 12, the second central terminal 13a and the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13b is compared. The spacing took into account the spacing between the centers of the terminals as described above. As shown, the spacing between the rotary terminal 12 and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is the same as the spacing between the second central terminal 13a and the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13b, and this spacing is the same as the spacing between the rotary terminal 12 and 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It is the same as the turning radius (R).

회전단자(12)의 회전범위는 회전반경(R)으로 정의되는 원에 해당하므로 원호형 접속단자(13b)가 형성하는 원호는 상기 원의 일부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 5의 (a)와 같이, 원호형 접속단자(13b)는 회전단자(12)의 회전범위와 부분적으로만 중첩되는 (원호에 대응하는 구간으로) 접속구간(A1)을 형성한다.Since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ry terminal 12 corresponds to a circle defined by the rotation radius R, the arc formed by the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13b corresponds to a part of the circle. Therefore, as shown in (a) of FIG. 5, the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13b forms a connection section A1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arc) that only partially overlaps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ry terminal 12.

제1중심단자(11)와 제2중심단자(13a)는 접촉상태로 유지되지만, 회전단자(12)는 원호형 접속단자(13b)와 접속구간(A1)에서만 접촉하기 때문에,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와, 구간형 접속단자(13) 전체가 통전되는 구간은 접속구간(A1)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헤드셋장치의 전원이 마이크모듈(300)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간도 접속구간(A1)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회전단자(12)가 접속구간(A1)안에 있을 때에만 마이크모듈(300)이 켜지고, 회전단자(12)가 접속구간(A1)을 이탈하면 마이크모듈(300)은 꺼지게 된다.The first central terminal (11) and the second central terminal (13a) are maintained in contact, but the rotating terminal (12) is in contact only with the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13b) and the connection section (A1), so the first central terminal (13a) is maintained in contact. The section in which the entire section (11), the rotary terminal 12, and the section type connection terminal 13 are energized is limited to the connection section A1. Therefore, the section in which the power source of the headset device can provide power to the microphone module 300 is also limited to the connection section A1. Therefore, the microphone module 300 is turned on only when the rotating terminal 12 is within the connection section A1, and when the rotating terminal 12 leaves the connection section A1, the microphone module 300 is turned off.

도 5의 (a), (b), (c)를 참조하면, 원호형 접속단자(13b)가 이루는 원호[접속구간(A1, A2, A3)과 실질적으로 동일함]는, 회전반경(R)과 중심각(θ1, θ2, θ3)이 360도보다 작은 부채꼴을 이루게 된다. 도시된 것처럼, 원호의 길이는 한정적이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므로, 접속구간(A1, A2, A3)의 크기 역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원호형 접속단자(13b)의 크기를 조절하면 필요한 만큼 접속구간의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도면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더 다양하게 구간의 크기를 바꿀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5 (a), (b), and (c), the arc formed by the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13b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nection sections A1, A2, and A3) has a radius of rotation (R). ) and the central angles (θ1, θ2, θ3) form a fan shape that is less than 360 degrees. As shown, the length of the arc is not limited and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so the sizes of the connection sections (A1, A2, A3) can also be changed in various ways. In other words,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13b, the size of the connection section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needed (the drawing is an example, so the size of the section can be changed in more diverse ways).

이러한 단자구조에 의해서, 예를 들어 도 6의 (a)와 같이, 접속구간(A)안에 회전단자(12)를 중첩시켜 마이크모듈(30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마이크모듈 ON상태). 또한, 도 6의 (b)와 같이, 접속구간(A) 밖으로 회전단자(12)를 이탈시켜 마이크모듈(300)의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마이크모듈 OFF상태). By this terminal structure,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6,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microphone module 300 by overlapping the rotary terminal 12 in the connection section A (microphone module ON state).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6, the power to the microphone module 300 can be cut off by moving the rotary terminal 12 out of the connection section A (microphone module OFF state).

접속구간(A)은 실질적으로 움직이지 않으므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에서도, 접속구간(A)에 대응하는 대응접속구간(A')[접속구간(A)의 중심각과 동일하고 같은 회전중심을 갖되 회전반경만 증가된 원호 또는 부채꼴일 수 있다]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대응접속구간(A')은 제품 제조 시 기록하였다가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고, 표시가 없더라도 반복사용에 의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또는 이어컵(100) 등에 대응접속구간(A')을 표시해 놓을 수도 있다.Since the connection section (A) does not move substantially, as shown in FIG. 6, a corresponding connection section (A')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section (A) (same as the central angle of the connection section (A) and having the same rotation center) It can be easily recognized as an arc or fan shape with only the radius of rotation increased.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section (A') can be recorded during product manufacturing and notified to the user, or even if it is not marked,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it through repeated use. Alternatively,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section (A') may be marked on the ear cup 100, etc.

회전단자(12)의 회전은 붐대(200)의 회전과 연동되어 있으므로, 붐대(200)와 대응접속구간(A')의 위치를 보고 마이크모듈(300)의 작동상태를 매우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회전단자(12)는 붐대(2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도시된 것처럼 붐대(200)의 회전위치와 회전단자(12)의 회전위치를 완전히 동기화시킬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붐대(200)의 방향의 방향이 회전단자(12)의 방향을 가리키게 할 수 있다.Since the rotation of the rotary terminal 12 is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boom stand 200, the operating state of the microphone module 300 can be recognized very intuitively by looking at the positions of the boom stand 200 and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section (A'). there is. In addition, the rotary terminal 12 i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m 200 and can completely synchronize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boom 200 and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rotary terminal 12, so that the boom 200 is substantially The direction of can be point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ry terminal 12.

따라서 사용자는 대응접속구간(A')과 붐대(200)의 위치로부터 접속구간(A)과 회전단자(12)의 위치를 동등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6의 (a)와 같이, 붐대(200)가 대응접속구간(A') 안에 있으면 마이크모듈(300)이 켜진 상태로 인지하고, 도 6의 (b)와 같이, 붐대(200)가 대응접속구간(A') 밖으로 이탈되면 마이크모듈(300)이 꺼진 상태로 마이크모듈(300)의 작동여부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equally determine the positions of the connection section (A) and the rotary terminal 12 from the positions of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section (A') and the boom stand 200. Therefore,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6, if the boom unit 200 is in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section (A'), the microphone module 300 is recognized as turned on, and as shown in (b) of FIG. 6, the boom unit ( If 200) deviates from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section (A'), the microphone module 300 is turned off, and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recognize whether the microphone module 300 is operating.

또한 사용자가 붐대(200)를 회전시켜, 대응접속구간(A') 안으로 배치하거나, 밖으로 이탈시키는 매우 직관적인 방식으로 마이크모듈(300)을 손쉽게 켜거나 끌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turn the microphone module 300 on or off in a very intuitive way by rotating the boom stand 200 and placing it inside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section (A') or moving it ou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단자구조를 이용하여 마이크모듈(300)의 작동여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나머지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 후, 헤드셋장치 전체의 작동을 설명한다.In this way, using the termin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determine whether the microphone module 300 is operating. Hereinafter,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n the operation of the entire headset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어컵(100)은 서로 착탈되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를 포함한다.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착탈 구조로 스피커 측에도 편리하게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ear cup 100 includes a first body 110 and a second body 120 that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The detachable structure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llows power to be conveniently provided to the speaker.

제2몸체(120)는 스피커(121)가 내장되어 있고 제1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 각각 제1결합부(도 3의 114참조) 및 제2결합부(도 2의 123참조)를 형성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120 has a built-in speaker 121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110. For example, a first coupling portion (see 114 in FIG. 3)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see 123 in FIG. 2) are formed on opposing parts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respectively. Can be detachably combined.

제1결합부(114)와 제2결합부(123)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마주보는 면에 서로 착탈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도면의 구조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The first coupling portion 114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may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that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on surfaces facing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nd therefore will not be limited to the structures in the drawings. There is no need.

예를 들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는 요철결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제2결합부(123) 측에 결합돌기(124)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결합부(114)는 예를 들어, 결합돌기(124)가 내측에 끼워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결합돌기(124)와 결합하는 테두리부분 안쪽은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may be coupled in a concavo-convex coupling manner, and a coupling protrusion 124 may be formed 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side. For examp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4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124 can be fitted inside, and the inside of the edge portion coupl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124 may be open.

특히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2몸체(120)에는 제2몸체(120)에서 제1몸체(110)를 향해 돌출되고 스피커(121)(진동판 측이 아닌 반대편 일부가 노출된 형태로 도시됨)와 연결된 한 쌍의 탄성접점(121a)이 형성되고, 제1몸체(110)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접점(12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접점(121a)과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전술한 헤드셋장치(1)의 전원에 접속된 한 쌍의 점전원단자(15)가 형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body 120 protrudes from the second body 120 toward the first body 110 and has a speaker 121 (a portion of the opposite side, not the diaphragm side, is shown exposed). ) is formed, and a pair of elastic contact points 121a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10 are dispos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contact point 121a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elastic contact point 121a, as shown in FIG. 3. A pair of point power terminals 15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of the headset device 1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점전원단자(15)는 예를 들어, 전술한 구간형 접속단자(13)가 일 면에 인쇄된 기판(111)의 반대편 타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111)과 전원선(113)을 연결하는 배선(16b)등을 통해서 헤드셋장치(1)의 전원과 접속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이므로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로 구조를 바꾸어 배치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For example, the point power terminal 15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111 on which the above-described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13 is printed on one side, and the substrate 111 and the power line 113 It can b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of the headset device 1 through the wiring 16b connecting the . However, since this is just an exampl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tructure and arrange it in a different form as needed.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결합되면, 점전원단자(15)는 탄성접점(121a)과 탄성적으로 접하여 통전된다. 점전원단자(15)가 헤드셋장치(1)의 전원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원으로부터 탄성접점(121a)을 통해 스피커(121) 측으로 전력이 공급된다.With this structure, wh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combined, the point power terminal 15 is electrically conductive by elastically contacting the elastic contact point 121a. Since the point power terminal 15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of the headset device 1,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speaker 121 through the elastic contact point 121a.

제2몸체(120)가 착탈식으로 쉽게 분리되므로 스피커(121), 이어패드(122)등의 교체 및 수리, 유지보수도 편리하며, 복잡한 배선이 사라지므로 헤드셋장치(1)의 조립성도 크게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이어컵(100)을 헤드셋장치(1)에 적용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 body 120 is easily detachable and detachable, replacement, repair, and maintenance of the speaker 121 and ear pad 122 are convenient, and complex wiring is eliminated, greatly increasing the assembling of the headset device 1. do. The ear cup 100 of this structure can be applied to the headset device 1.

도 7은 도 1의 헤드셋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headset device of Figure 1.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헤드셋장치(1)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외부에서도 접속구간(도 6의 A참조)에 대응하는 대응접속구간(도 6의 A'참조)을 인지할 수 있고 회전단자(도 6의 12참조)의 회전위치도 붐대(200)의 위치만 보면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에, 마이크모듈(300)이 켜져 있는지 또는 꺼져 있는지를 붐대(200)의 회전위치만 보고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The headset device 1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can be us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As described above,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section (see A' in FIG. 6)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section (see A in FIG. 6)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and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rotary terminal (see 12 in FIG. 6) can also be recognized through the boom bar 200. Since you can immediately tell just by looking at the position of , you can intuitively know whether the microphone module 300 is turned on or off just by looking a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boom stand 200.

도 7에는 대응접속구간이 하부 반원(ON으로 표시되어 있는 구간)으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붐대(200)가 해당 구간으로 회전되어 있으면 마이크모듈(300)이 켜진 것으로 바로 인지되며, 대응접속구간이 아닌 상부 반원(OFF로 표시되어 있는 구간)안으로 붐대(200)가 회전되어 있으면 마이크모듈(300)이 꺼진 것으로 역시 바로 인지된다.In Figure 7,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section is shown as a lower semicircle (section marked as ON). Therefore, if the boom 200 is rotated to the corresponding section, it is immediately recognized that the microphone module 300 is turned on, and if the boom 200 is rotated into the upper semicircle (section marked OFF) rather than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section, the microphone module 300 is recognized as being turned on. It is also immediately recognized that (300) is turned off.

또한, 사용자가 마이크모듈(300)을 켜고 싶을 때는 대응접속구간인 하부 반원(ON으로 표시되어 있는 구간)으로 붐대(200)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며, 마이크모듈(300)을 끄고 싶으면 대응접속구간 밖인 상부 반원(OFF로 표시되어 있는 구간)으로 붐대(200)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마이크모듈(300)을 켜고 끄는 조작도 매우 직관적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turn on the microphone module 300, all he has to do is rotate the boom bar 200 to the lower semicircle (section marked ON), which is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section. Since all you have to do is rotate the boom bar 200 to the outer upper semicircle (section marked OFF), turning the microphone module 300 on and off can be done very intuitively.

따라서 헤드셋장치(1)를 자주 사용하더라도, 마이크모듈(300)을 오조작하거나, 마이크모듈(300)의 온 오프 상태를 착각할 확률은 극도로 낮아지게 된다. Therefore, even if the headset device 1 is frequently used, the probability of mismanipulating the microphone module 300 or misunderstanding the on-off state of the microphone module 300 is extremely low.

또한 전술한 것처럼, 접속구간(도 5의 A1, A2, A3참조)의 크기 또는 범위도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조정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접속구간 및 대응접속구간의 범위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조작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헤드셋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 size or range of the connection section (see A1, A2, and A3 in Figure 5) can be adjusted as needed, so the user's convenience of operation can be improved by adjusting the range of the connection section and corresponding connection section as needed. can be further improved. In this way, the headset device 1 can be used.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헤드셋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별도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모두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Hereinafter, a headse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In order to make the explanation concise and clear, the explanation will focus on parts that differ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all explanations for the remaining parts will be replaced with the above-mentioned explana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의 제1몸체의 분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헤드셋장치의 접속구간 변경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FIG. 8 is an exploded view of the first body of 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operational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of changing a connection section of the headset device of FIG. 8.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헤드셋장치는, 구간형 접속단자(13)가 형성된 기판(111a)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따라서 구간형 접속단자(13)의 위치 또는 배향까지 사용자가 맞춤형으로 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8 and 9, the headse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board 111a on which the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13 is formed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refore, the user can custom-adjust the position or orientation of the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13.

예를 들어, 구간형 접속단자(13)가 인쇄된 기판(111a)[제1몸체(110) 내측에 장착된 기판]을 이어컵(100) 내측에 제2중심단자(13a)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기판(111a)의 회전에 따라 구간형 접속단자(13)의 배향이 바뀌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9참조).For example, the board 111a (board mounted inside the first body 110) on which the section type connection terminal 13 is printed is rotated around the second center terminal 13a inside the ear cup 100. By enabling this combination, it is possible to form the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13 so that its orientation changes as the substrate 111a rotates (see FIG. 9).

예를 들어, 기판(111a)의 일 측에 외부에서 조작 가능한 핸들(111b)을 배치하고, 제1몸체(110)의 대응위치에 핸들(111b)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홈부(110a)를 형성하여, 기판(111a)의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기판(111a)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 또는 원통의 일부인 원호형의 홀더(110b)에 결합하여 제2중심단자(13a)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For example, a handle 111b that can be manipulated from the outside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111a, and a groove 110a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irst body 110 to provide a movement path for the handle 111b. Thus, rotation of the substrate 111a can be performed. As shown in FIG. 9, the substrate 111a can be coupled to an arc-shaped holder 110b, which is a cylinder or a part of a cylinder, and can be rotatably placed around the second central terminal 13a.

이때 전술한 점전원단자(15)는 예를 들어, 별도의 분리기판(111c)등에 따로 배치하여 회전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분리기판(111c)은 또 다른 형태의 고정형 홀더(110c)에 결합할 수 있다. 기판(111a)과 분리기판(111c)은 전술한 전원선(도 8의 113참조)과 연결된 또 다른 배선(16c)을 통해 헤드셋장치의 전원과 접속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point power terminal 15 can be placed separately on, for example, a separate separator board 111c and fixed so as not to rotate. The separator plate 111c can be coupled to another type of fixed holder 110c. The board 111a and the separator board 111c can b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of the headset device through another wire 16c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power line (see 113 in FIG. 8).

도 8에는 생략되었지만, 도 9의 홀더(110b, 110c)들은 제1몸체(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제1몸체(110)를 형성하는 경우, 사출방식으로 제1몸체(110)에 다양한 형태의 홀더(110b, 100c)를 형성할 수 있으며 홀더(110b, 110c)를 별도 제작하여 제1몸체(110) 내부에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omitted in FIG. 8, the holders 110b and 110c in FIG. 9 may be located inside the first body 110. For example, when forming the first body 110 from plastic, various types of holders (110b, 100c) can be formed on the first body 110 using the injection method, and the holders (110b, 110c) can be manufactured separately. It is also possible to assemble it inside the first body 110.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핸들(111b)을 조작하여 기판(111a)을 회전시키고 구간형 접속단자(13)의 배향을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원호형 접속단자(13b)의 위치가 바뀌므로 원호에 대응하는 접속구간(A, A-1)의 위치도 변경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with this structure, the handle 111b can be manipulated to rotate the substrate 111a and change the orientation of the section type connection terminal 13. Accordingly, since the position of the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13b is changed,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sections A and A-1 corresponding to the arc can also be changed.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면 접속구간(A, A-1) 또는 그에 대응하는 대응접속구간(도 6의 A'참조)의 위치도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으므로, 어느 방향으로 붐대(200)를 회전시켰을 때 마이크모듈(도 7의 300참조)이 켜지거나 꺼질지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Using this structure, the user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onnection section (A, A-1) or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section (see A' in FIG. 6), so when the boom pole 200 is rotated in any direction, the microphone Whether the module (see 300 in FIG. 7) is turned on or off can be customized to the user.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자신에게 익숙한 방향으로 붐대(200)를 회전시켰을 때 켜지거나 또는 꺼지게 하는 등의 설정을 보다 세밀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더 직관적으로 헤드셋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헤드셋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Therefore, the user can make more detailed settings, such as turning the boom 200 on or off when the boom 200 is rotated in a direction familiar to the user. Therefore, you can use the headset device more intui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 headset device in this wa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
11: 제1중심단자 12: 회전단자
11a, 12a: 스프링 11b: 고정블록
13: 구간형 접속단자 13a: 제2중심단자
13b: 원호형 접속단자 14a, 14b: 단자선
15: 점전원단자 16a, 16b, 16c: 배선
100: 이어컵 110: 제1몸체
110a: 홈부 110b, 110c: 홀더
111, 111a: 기판 111b: 핸들
111c: 분리기판 112: 결합구
113: 전원선 114: 제1결합부
120: 제2몸체 121: 스피커
121a: 탄성접점 122: 이어패드
123: 제2결합부 124: 결합돌기
200: 붐대 210: 회전판
211: 회전기판 212: 결합링
300: 마이크모듈 400: 헤드밴드
410: 지지클립 R: 회전반경
θ1, θ2, θ3: 중심각 A, A1, A2, A3, A-1: 접속구간
A': 대응접속구간 C: 회전중심
1: Headset device with mute function
11: First central terminal 12: Rotating terminal
11a, 12a: spring 11b: fixed block
13: section type connection terminal 13a: second center terminal
13b: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14a, 14b: terminal wire
15: Point power terminals 16a, 16b, 16c: Wiring
100: ear cup 110: first body
110a: Groove 110b, 110c: Holder
111, 111a: substrate 111b: handle
111c: Separator plate 112: Coupler
113: power line 114: first coupling portion
120: second body 121: speaker
121a: elastic contact point 122: ear pad
123: second coupling portion 124: coupling protrusion
200: Boom 210: Rotating plate
211: Rotating board 212: Coupling ring
300: Microphone module 400: Headband
410: Support clip R: Rotation radius
θ1, θ2, θ3: Central angle A, A1, A2, A3, A-1: Connection section
A': Corresponding connection section C: Center of rotation

Claims (10)

이어컵 일 측에 회전식 붐대가 결합된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대의 회전중심에 고정된 제1중심단자;
상기 제1중심단자에서 회전반경만큼 이격되어 상기 붐대에 고정된 회전단자;
상기 제1중심단자 및 상기 회전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붐대 끝에 배치된 마이크모듈; 및
상기 이어컵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셋장치의 전원과 접속되며,
상기 회전반경으로 정의되는 상기 회전단자의 회전범위와 부분적으로만 중첩되는 접속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간 내에서만 상기 제1중심단자 및 상기 회전단자와 모두 통전되어 상기 전원의 전력을 상기 마이크모듈로 제공하는 구간형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붐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단자가 상기 접속구간 내에 있으면 상기 마이크모듈이 켜지고, 상기 회전단자가 상기 접속구간을 이탈하면 상기 마이크모듈이 꺼지되,
상기 구간형 접속단자는,
상기 제1중심단자와 맞닿게 배치된 제2중심단자, 및
상기 제2중심단자에서 상기 회전반경만큼 이격되고, 상기 회전반경과 중심각이 360도보다 작은 부채꼴을 이루는 원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원호에 대응하는 구간으로 상기 접속구간을 형성하는 원호형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
In 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combined with a rotating boom on one side of the ear cup,
a first central terminal fix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boom pole;
a rotating termina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entral terminal by a rotating radius and fixed to the boom;
a microphone module connected to the first center terminal and the rotating terminal and disposed at an end of the boom pole; and
It is placed on the ear cup and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of the headset device,
Provided with a connection section that only partially overlaps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tion terminal defined by the rotation radius,
Including a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that is energized with both the first center terminal and the rotating terminal only within the connection section to provide power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microphone module,
As the boom arm rotates, if the rotating terminal is within the connection section, the microphone module is turned on, and if the rotating terminal leaves the connection section, the microphone module is turned off.
The section type connection terminal is,
a second central terminal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irst central terminal, and
It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enter terminal by the radius of rotation, and has the shape of an arc forming a fan shape where the radius of rotation and the central angle are smaller than 360 degrees,
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including an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forming the connection section with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arc.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단자는 상기 붐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붐대의 회전위치와 상기 회전단자의 회전위치를 동기화시키는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wherein the rotating terminals ar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m stand and synchronize the rotating position of the boom stand with the rotating position of the rotating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심단자 및 상기 회전단자는 각각 스프링에 탄성 지지된 핀형 단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2중심단자 및 상기 원호형 접속단자는 각각 점형상 및 원호형상의 패턴으로 단일 기판의 일 면에 인쇄되는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central terminal and the rotating terminal are each formed as a pin-type terminal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in which the second central terminal and the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are printed on one side of a single board in a dot-shaped and arc-shaped pattern, respective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접속단자는 반원형상의 패턴인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arc-shaped connection terminal is 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in a semicircular patter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상기 이어컵 내측에 상기 제2중심단자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기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간형 접속단자의 배향이 바뀌는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in which the boar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ear cup about the second central terminal, and the orientation of the section-type connection terminal changes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boar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는, 상기 회전중심에서 상기 회전반경보다 넓게 확대되어 상기 제1중심단자와 상기 회전단자가 내부에 고정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컵은, 일 측에 상기 회전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기판의 일 면이 상기 회전판과 면하도록 상기 기판이 내부에 수용된 제1몸체를 포함하는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boom includes a rotating plate that is expanded wider than the rotating radius at the rotating center and in which the first central terminal and the rotating terminal are fixed therein,
The ear cup is 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including a first body in which the rotating plate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and the substrate is accommodated therein so that one side of the substrate faces the rotating pl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컵은, 상기 제1몸체의 타 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는 제2몸체를 더 포함하는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
In clause 7,
The ear cup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body with a built-in speak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에서 상기 제1몸체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스피커와 연결된 한 쌍의 탄성접점, 및
상기 제1몸체의 상기 탄성접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탄성접점과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원에 접속된 한 쌍의 점전원단자를 더 포함하는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
According to clause 8,
a pair of elastic contact points protruding from the second body toward the first body and connected to the speaker, and
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point power terminal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contact point of the first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elastic contact point and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상기 이어컵에 내장된 내장전원 및 상기 이어컵의 외부에서 상기 이어컵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headset device with a mute function, wherein the power source is at least one of a built-in power source built into the ear cup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that supplies power to the ear cup from outside the ear cup.
KR1020220054832A 2022-05-03 2022-05-03 Headset apparatus having mute function KR1026146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832A KR102614678B1 (en) 2022-05-03 2022-05-03 Headset apparatus having mute function
PCT/KR2022/010238 WO2023214615A1 (en) 2022-05-03 2022-07-13 Headset device having mute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832A KR102614678B1 (en) 2022-05-03 2022-05-03 Headset apparatus having mute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230A KR20230155230A (en) 2023-11-10
KR102614678B1 true KR102614678B1 (en) 2023-12-19

Family

ID=88646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832A KR102614678B1 (en) 2022-05-03 2022-05-03 Headset apparatus having mute func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4678B1 (en)
WO (1) WO2023214615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6326A (en) * 1998-03-04 2002-02-26 ハロー・ダイレクト・インク Optical switch for headset
US20210267300A1 (en) * 2018-06-21 2021-09-02 Savox Communications Oy Ab (Ltd) A headset for a helme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85395T1 (en) * 2001-03-16 2008-02-15 Gn Netcom As HEAD UNIT WITH ADJUSTABLE MICROPHONE HOLDER
KR100413387B1 (en) 2002-01-18 2004-01-03 (주) 보이스웨어 Headset for Modulated Vo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8520860B2 (en) * 2007-12-13 2013-08-27 Symbol Technologies, Inc. Modular mobile computing headset
US9749728B2 (en) * 2013-06-07 2017-08-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dio headset accommodating ear geometry vari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6326A (en) * 1998-03-04 2002-02-26 ハロー・ダイレクト・インク Optical switch for headset
US20210267300A1 (en) * 2018-06-21 2021-09-02 Savox Communications Oy Ab (Ltd) A headset for a helm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4615A1 (en) 2023-11-09
KR20230155230A (en)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029042U (en) For earplug, portable listen to or the box and wireless listening system of electronic equipment
US9813799B2 (en) Modular headset with pivotable boom and speaker module
US7519196B2 (en) Headset
EP1777985B1 (en) Headphone with improved earpiece suspension
US8320602B2 (en) Adjustable earphone
KR20020061776A (en) Head set
JP7264155B2 (en) sound output device
AU2021101502A4 (en) Magnetic bluetooth eyeglasses
KR102614678B1 (en) Headset apparatus having mute function
JP2012105118A (en) Headphones and head-mounted type image display device
US20060239447A1 (en) Earphone with selectable cable positioning
JP5209828B1 (en) earphone
KR20190015035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CN113747302A (en) Earphone set
CN210781272U (en) Earphone set
KR200228489Y1 (en) Head set
JP4154587B2 (en) Electronics
CN219802545U (en) Earphone with microphone rod
WO2018198265A1 (en) Headphones
CN214960044U (en) Head-wearing earphone
JP4551891B2 (en) Headphone device
KR20190022138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90014980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101687750B1 (en) Headset
JPH0645980A (en) Portable telephon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