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369B1 -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14369B1 KR102614369B1 KR1020220126471A KR20220126471A KR102614369B1 KR 102614369 B1 KR102614369 B1 KR 102614369B1 KR 1020220126471 A KR1020220126471 A KR 1020220126471A KR 20220126471 A KR20220126471 A KR 20220126471A KR 102614369 B1 KR102614369 B1 KR 1026143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er
- air
- generating device
- aerosol generating
- air heat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0953 kanth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504 cigaret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1—Conductive ceramics, e.g. metal oxides, metal carbides, barium titanate, ferrites, zirconia, vitrous compound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실시예는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메인 히터; 메인 히터와 간격을 두고 메인 히터를 감싸는 히터 하우징; 메인 히터의 상단을 히터에 고정하는 상부 커버; 히터의 하단을 히터 하우징에 고정하는 제1 브라켓; 히터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 커버; 메인 히터와 히터 하우징 사이의 간격부를 통해 메인 히터 내로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 유입 유로; 및 외기 유입 유로 상에 설치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메인 히터; 메인 히터와 간격을 두고 메인 히터를 감싸는 히터 하우징; 메인 히터의 상단을 히터에 고정하는 상부 커버; 히터의 하단을 히터 하우징에 고정하는 제1 브라켓; 히터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 커버; 메인 히터와 히터 하우징 사이의 간격부를 통해 메인 히터 내로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 유입 유로; 및 외기 유입 유로 상에 설치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실시예는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가열부와 외기 도입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1)는 케이싱(11) 내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해 유도 가열 장치, 유도 가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50) 및 제어 회로(50)를 통해 유도 가열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를 포함한다. 유도 가열 장치는, 서셉터(21)와, 서셉터(21)를 유도 가열하기 위한 인덕터 코일(22)을 포함한다. 서셉터(21)는 원통형으로 내부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삽입가능한 공동을 구비하며, 서셉터(21)의 상단부는 상단 하우징(31)에 고정되고, 서셉터(21)의 하단부는 하단 하우징(32)에 결합된다. 상단 하우징(31) 및 하단 하우징(32)에는 서셉터(21)와 간격을 두고, 인덕터 코일(22)을 고정하기 위한 코일 하우징(33)이 설치된다. 코일 하우징(33)의 외면에 인덕터 코일(22)이 설치되며, 인덕터 코일(22)에 전력이 공급되어 서셉터(21)를 유도 가열한다.
이때, 하단 하우징(32)은 외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외기 도입홀(40)과 연통하며, 하단 하우징(32)은 외기 도입홀(40)을 통해 도입된 외기를 서셉터(21) 내부 즉, 서셉터(21)에 삽입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그런데 겨울철과 같이 추운 환경에서는 서셉터(21) 내부로 도입되는 공기가 너무 낮은 온도일 경우, 서셉터(21) 내부로 도입된 외기가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냉각하여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이 발생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실시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부로 도입되는 외기를 가열할 수 있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메인 히터; 메인 히터와 간격을 두고 메인 히터를 감싸는 히터 하우징; 메인 히터의 상단을 히터에 고정하는 상부 커버; 히터의 하단을 히터 하우징에 고정하는 제1 브라켓; 히터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 커버; 메인 히터와 히터 하우징 사이의 간격부를 통해 메인 히터 내로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 유입 유로; 및 외기 유입 유로 상에 설치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브라켓과 하부 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에어 히터를 고정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제2 브라켓은 탄성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하부 커버와 히터 하우징 사이에 제2 브라켓의 일부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상부 커버는 외기 유입 유로로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 유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히터 하우징은 외기 유입 유로로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 유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메인 히터 및 에어 히터는 세라믹, 그래핀, 그라파이트, 칸탈, SU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제1 브라켓은 유기 유입 유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메인 히터 내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연장된 유입 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에어 히터는 유입 파이프의 하단에 부착되는 메쉬형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에어 히터는 유입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코일형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에어 히터는 유입 파이프 내로 돌출된 봉침형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에어 히터는 유입 파이프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필름형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에어 히터는 유입 파이프 내에 설치되는 유도 가열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하부 커버는 외기 유입 유로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에어 히터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가 제공하는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외기 도입 유로에 설치되는 에어 히터가 외기를 가열하여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에어로졸 발생부로 보냄으로써, 에어로졸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고온 건조하여 에어로졸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가 제공하는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메인 히터 외측에 하우징을 형성하고, 외기 유입 유로가 하우징과 메인 히터 사이의 간격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외기 유입 유로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에어 히터를 거치면서 한 번 더 가열이 이루어진 다음 메인 히터 내부의 궐련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총 3회에 걸쳐 외기의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가열부와 외기 도입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기 유동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기 유동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의 장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의 장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의 장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의 장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의 장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가열부와 외기 도입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기 유동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기 유동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의 장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의 장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의 장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의 장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의 장착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메인 히터(100)와 메인 히터(100)로 유입되는 외기를 미리 가열하는 에어 히터(200)를 포함한다. 에어로졸의 흡입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외기가 유입되어 기류가 형성되어야 하며, 에어 히터(200)는 기류를 형성하기 위해 메인 히터(100)로 유입되는 외기를 가열하기 위한 것이다. 메인 히터(100) 및 에어 히터(200)는 세라믹, 그래핀, 그라파이트, 칸탈, SU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히터(100)는 원통형 몸체(110)로 내부에 중공부(120)를 구비한다. 메인 히터(100)와 에어 히터(200)는 히터 하우징(400) 내에 설치되며, 메인 히터(100)의 상단은 상부 커버(300)에 의해 히터 하우징(400)의 상단에 고정되고, 메인 히터(100)의 하단은 제1 브라켓(500)에 의해 지지된다. 제1 브라켓(500)은 제2 브라켓(600)과 결합하여 히터 하우징(400) 내에 고정된다. 이때, 제2 브라켓(600)은 기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실리콘이나 고무 같은 내열성 탄성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브라켓(600)의 하측에는 하부 커버(700)가 결합되어, 히터 하우징(400)의 하단을 폐쇄한다.
히터 하우징(400)의 내경은 메인 히터(100)의 외경보다 커서 간격부(410)를 가지며, 이 간격부(410)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 유로가 형성된다. 메인 히터(100)는 히터 하우징(400)과 간격을 유지한 채로 히터 하우징(400)과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메인 히터(100)의 상단은 상부 커버(300)에 의해 히터 하우징(400)의 상단에 고정된다.
상부 커버(300)는, 히터 하우징(400)의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부(310)와, 히터 하우징(400) 내로 연장되며 에어로졸 발생 기재가 삽입되는 파이프부(320)와, 파이프부(320)의 하단에 메인 히터(100)의 상단을 감싸는 커넥트부(330)를 포함한다. 헤드부(310)에는 외기를 간격부(410)로 유입할 수 있도록 외기 유입홀(310)이 형성된다.
제1 브라켓(500)은 메인 히터(100)의 하단을 지지한다. 제2 브라켓(500)은 메인 히터(100)의 하단 외주를 감싸는 결합부(510)와, 메인 히터(10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면(520)을 구비한다.지지면(520)에는 외기를 유입하는 유입 파이프(530)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면(510)의 중간에는 홀(532)이 형성되며, 홀(532)은 유입 파이프(530)의 하단까지 이어진다. 또한 제1 브라켓(500)은 지지면(520)의 반대측, 즉 히터 하우징(400)의 내주면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540)를 더 구비하고, 플랜지부(540)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히터 하우징(400)의 내주면과 맞닿는 고정부(550)를 구비한다. 이때, 제1 브라켓(500)은 메인 히터(100)와 히터 하우징(400) 사이의 간격부(410)로 유입된 외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플랜지부(540)와 고정부(550)가 일부 구간 삭제되어 외기를 제2 브라켓(600)측으로 연통시켜주는 제1 브라켓 연통홀(560)이 형성된다.
제2 브라켓(600)은 제1 브라켓(500)의 하측에 결합된다. 제1 브라켓(500)의 유입 파이프(530)를 감싸는 파이프 결합부(610), 히터 하우징(400)의 내주면과 접하며, 고정부(550)의 하단을 지지하는 원통형상의 하우징 결합부(630), 파이프 결합부(520)와 하우징 결합부(630)를 연결하는 연결부(620)로 이루어진다. 연결부(620)의 상단은 제1 브라켓(500)의 유입 파이프(530)와 고정부(55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제1 브라켓(500)과 형상결합한다. 파이프 결합부(610)의 내부는 중공부(612)로 유입 파이프(530) 내부의 홀(532)과 연통한다. 이때, 파이프 결합부(610)는 제1 브라켓 연통홀(560)로 유입된 외기가 중공부(612)를 통해 유입 파이프(530)로 유동할 수 있도록, 연결부(620)의 일부 구간이 삭제되는 제2 브라켓 연통홀(64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브라켓(600)의 하측에는 하부 커버(700)가 결합된다. 하부 커버(700)는 원형의 상면(710)과 제2 브라켓(600)의 하우징 결합부(630) 내주면에 결합되는 측벽(720)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원통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진다. 상면(710)은 제2 브라켓(600)의 파이프 결합부(610) 및 연결부(620)와 접하고, 측벽(720)은 제2 브라켓(600)의 하우징 결합부(630)에 접한다. 이때, 파이프 결합부(610)는 하단부 일부가 삭제되어 간격(642)을 형성함으로써 제2 브라켓 연통홀(640)과 중공부(612)가 연통할 수 있게 한다. 한편, 하부 커버(700)의 상면(710)은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한 돌출부(712)를 구비함으로써 유입된 외기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바뀌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돌출부(712)의 지름은 제2 브라켓(600)의 중공부(61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돌출부(712)의 돌출 높이도 간격(642)와 같거나 그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기 유동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파이프부(320)와 메인 히터(100) 내부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삽입하고, 흡입압을 제공하면, 상부 커버(300)의 헤드부(310)에 형성된 외기 유입홀(312)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파이프부(320) 및 메인 히터(100)와 히터 하우징(400) 사이의 간격부(410)를 통해 외기가 유동한다. 그 다음 제1 브라켓(500)의 제1 브라켓 연통홀(560) 및 제2 브라켓 연통홀(640)을 거쳐, 제2 브라켓(600)의 파이프 결합부(610) 하단 간격(640)를 통과하여 제2 브라켓(610)의 중공부(612)로 유입된다. 중공부(612)는 제1 브라켓(500)의 유입 파이프(530)의 홀(532)과 연결되며, 유입 파이프(530)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파이프부(320) 및 메인 히터(100) 내에 삽입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거치면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에서 발생된 에어로졸과 함께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다.
즉, 외기 유입 유로는, 외기 유입홀(312), 간격부(410), 제1 브라켓 연통홀(560), 제2 브라켓 연통홀(540), 간격(642), 중공부(612), 홀(532)로 이루어진다.
제1 실시예에서는 에어 히터(200)가 제1 브라켓(500)의 유입 파이프(530) 하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때, 메인 히터(100)와 에어 히터(200)가 함께 가열되면 외기는 간격부(410)를 지나면서 메인 히터(100)에 의해 1차적으로 가열되고, 에어 히터(200)를 지나면서 2차로 가열되며, 메인 히터(100) 내부의 중공부(120)를 지나면서 3차로 가열된다. 따라서 외기를 많은 열량을 전달할 수 있어 외기의 온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로 고온의 외기가 전달됨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에어 히터(200)는 외기 유입 유로 상 어떠한 곳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나, 설치의 편의와 외기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제1 브라켓(500) 또는 제2 브라켓(6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기 유동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외기 유입 유로로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 유입홀(420a)이 상부 커버(300a)가 아니라 히터 하우징(400a)의 일 측면에 형성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의 장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의 장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의 장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의 장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의 장착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에어 히터는 다양한 형태 또는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1 실시예와 같이 에어 히터(200)는 유입 파이프(530)의 하단에 부착되는 메쉬 형태의 히터를 채용할 수도 있고, 제3 실시예와 같이 에어 히터(200b)는 유입 파이프(5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코일형 히터를 채용할 수도 있으며, 제4 실시예와 같이 에어 히터(200c)는 유입 파이프 내로 돌출된 봉침형 히터를 채용할 수도 있으며, 제5 실시예와 같이 에어 히터(200d) 유입 파이프(53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필름형 히터일 수 있다. 또한, 제6 실시예와 같이 에어 히터로, 자화발열하는 파이프 형 서셉터(210d)와 서셉터(210d)를 자화시키는 유도 코일(220d)로 이루어지는 유도 가열 히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
Claims (14)
-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공부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메인 히터;
메인 히터와 간격을 두고 메인 히터를 감싸는 히터 하우징;
메인 히터의 상단을 히터 하우징에 고정하는 상부 커버;
메인 히터의 하단을 히터 하우징에 고정하는 제1 브라켓;
히터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 커버;
메인 히터와 히터 하우징 사이의 간격부 및 제1 브라켓을 통해 메인 히터의 중공부 하단 내로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 유입 유로; 및
외기 유입 유로 상에서 메인 히터의 중공부 하단 직전에 설치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되,
외기는 외기 유입 유로의 간격부를 지나면서 메인 히터에 의해 1차로 가열되고, 외기 유입 유로의 에어 히터를 지나면서 에어 히터에 의해 2차로 가열되고, 메인 히터의 중공부를 지나면서 메인 히터에 의해 3차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제1 브라켓과 하부 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에어 히터를 고정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제2 브라켓은 탄성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제3항에 있어서,
하부 커버와 히터 하우징 사이에 제2 브라켓의 일부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커버는 외기 유입 유로로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 유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히터 하우징은 외기 유입 유로로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 유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메인 히터 및 에어 히터는 세라믹, 그래핀, 그라파이트, 칸탈, SU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제1 브라켓은 외기 유입 유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메인 히터 내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연장된 유입 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에어 히터는 유입 파이프의 하단에 부착되는 메쉬형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에어 히터는 유입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코일형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에어 히터는 유입 파이프 내로 돌출된 봉침형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에어 히터는 유입 파이프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필름형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에어 히터는 유입 파이프 내에 설치되는 유도 가열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하부 커버는 외기 유입 유로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에어 히터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6471A KR102614369B1 (ko) | 2022-10-04 | 2022-10-04 |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6471A KR102614369B1 (ko) | 2022-10-04 | 2022-10-04 |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14369B1 true KR102614369B1 (ko) | 2023-12-15 |
Family
ID=89124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6471A KR102614369B1 (ko) | 2022-10-04 | 2022-10-04 |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1436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5027411A1 (en) | 1994-04-08 | 1995-10-19 | Philip Morris Products Inc. | Inductive heating systems for smoking articles |
WO2015177255A1 (en) | 2014-05-21 | 2015-11-26 | Philip Morris Products S.A. | Inductive heating device for heating an aerosol-forming substrate |
KR20210110983A (ko) * | 2020-03-02 | 2021-09-10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대류형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
KR20220044158A (ko) * | 2020-09-28 | 2022-04-06 | 차이나 타바코 윈난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 궐련 전단에서 유도 가열되는 발연 장치 |
-
2022
- 2022-10-04 KR KR1020220126471A patent/KR1026143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5027411A1 (en) | 1994-04-08 | 1995-10-19 | Philip Morris Products Inc. | Inductive heating systems for smoking articles |
WO2015177255A1 (en) | 2014-05-21 | 2015-11-26 | Philip Morris Products S.A. | Inductive heating device for heating an aerosol-forming substrate |
WO2015177257A1 (en) | 2014-05-21 | 2015-11-26 | Philip Morris Products S.A. | Inductive heating device, aerosol-delivery system comprising an inductive hea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
KR20210110983A (ko) * | 2020-03-02 | 2021-09-10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대류형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
KR20220044158A (ko) * | 2020-09-28 | 2022-04-06 | 차이나 타바코 윈난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 궐련 전단에서 유도 가열되는 발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87024B1 (en) | Aerosol generator, detachable atomizing device and electronic cigarette having same | |
TW202045040A (zh) | 氣溶膠產生裝置 | |
CN214962605U (zh) | 雾化腔设于雾化芯内底部的雾化器 | |
KR102614369B1 (ko) |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
WO2022247188A1 (zh) | 雾化装置、气溶胶产生装置 | |
WO2023019797A1 (zh) | 电子雾化装置 | |
CN217089623U (zh) | 电子雾化装置 | |
WO2022016852A1 (zh) | 气溶胶产生装置 | |
CN215455411U (zh) | 雾化装置、气溶胶生成装置 | |
CN207754547U (zh) | 具有电磁感应加热装置的雾化器 | |
CN111449302B (zh) | 一种隔热保温非接触式电子烟加热装置及其使用方法 | |
CN214903779U (zh) | 雾化芯具有套管的雾化器 | |
CN115486574B (zh) | 一种空气加热的加热不燃烧烟具 | |
CN208609921U (zh) | 一种低温加热烟具 | |
CN111134367A (zh) | 一种可加热的手持压缩雾化器 | |
CN215837089U (zh) | 方便组装的雾化装置 | |
KR102622599B1 (ko) |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시스템 | |
CN212306802U (zh) | 一种可加热的手持压缩雾化器 | |
CN209376685U (zh) | 一种电子烟 | |
KR20240016493A (ko) |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외기 도입홀에 설치되는 에어 히터 | |
CN221510978U (zh) | 一种气溶胶生成装置 | |
KR20240041083A (ko) |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
WO2023123085A1 (zh) | 雾化组件及气溶胶产生装置 | |
WO2023035912A1 (zh) | 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 |
CN220274928U (zh) | 雾化器及电子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