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987B1 - 부피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택배단말기 - Google Patents

부피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택배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987B1
KR102613987B1 KR1020230053459A KR20230053459A KR102613987B1 KR 102613987 B1 KR102613987 B1 KR 102613987B1 KR 1020230053459 A KR1020230053459 A KR 1020230053459A KR 20230053459 A KR20230053459 A KR 20230053459A KR 102613987 B1 KR102613987 B1 KR 102613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volume
support
unit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3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텀
Priority to KR1020230053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7/00Methods or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apacity of containers or cavities, or the volume of solid bo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e.g. determining prof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8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postal parcels and le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01G19/414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for controlling postal rate in articles to be mail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01G23/37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06Q50/3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58Wireles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a sensor or probe and a control or evaluation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의 부피를 측정하는 부피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택배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물품이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의 일방에 입설된 지지부와, 물품의 부피를 측정하는 부피측정부와, 지지부를 이동시켜 부피측정부의 측정위치를 변경하는 이동부와, 부피측정부의 측정과 이동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품의 부피측정시 지지부와 이동부에 의해 부피측정부의 측정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부피측정부의 측정위치를 변경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물품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는 동시에 부피측정부를 부피측정의 최적의 위치로 변경하여 부피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피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택배단말기{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AND DELIVERY SERVIC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피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택배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의 부피를 측정하는 부피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택배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쇼핑과 같은 온라인 거래의 폭발적인 증가로 택배 수화물의 물동량은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나, 현실적으로 택배회사의 업무 흐름은 신속한 물품발송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만큼 신속하지 못하다.
일반적으로 택배 수화물을 발송하기 위해, 사용자는 택배회사를 선정하여, 택배회사에 유선 또는 온라인으로 수화물 집화를 요청하고, 택배 기사의 방문을 통해 수화물을 발송하게 된다.
택배 기사의 방문은 택배 회사별로 차이는 있지만, 수 시간에서 하루 가까운 시간이 허비되기도 한다. 또한, 택배 기사 방문시, 발송될 주소와 같은 택배정보는 PDA와 같은 개인 단말기로 입력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택배 기사가 수기로 작성하고, 이후 수화물이 모이는 집화 터미널에서 전산으로 재차 입력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택배 기사 또는 전산 입력 과정의 오류가 발생할 경우, 수화물이 엉뚱한 곳으로 발송될 수도 있으며, 전산 입력 등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배송이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고자, 사용자가 직접 수화물을 발송할 수 있는 무인장치가 제안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우체국에서 운용하는 무인우편창구와 편의점에서 운용하는 무인택배 발송시스템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무인 접수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현장에서 배송 관련 주소를 입력해야 하고, 사용자의 수기 입력에 따른 시간이 소요되므로 무인 접수기가 비치된 우체국에서 혼잡 시간대에는 여전히 사용자들이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우체국과 택배회사 등에서 처리하는 우편 택배물이나 각종 수하물은 중량에 따라 요금이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한다. 그런데, 택배물이나 수하물은 중량 뿐만 아니라 부피도 택배 요금에 영향을 미친다.
즉, 중량이 가볍더라도 부피가 크면, 그만큼 요금이 많이 책정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저울이 택배물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더라도, 편의점 등 택배 접수대에는 반드시 접수 담당자가 수작업으로 접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택배 발송할 물품을 택배 물품의 부피와 무게에 대한 고려없이 물품 발송자의 선택에 따라 발송 접수하게 되므로, 정작 부피와 무게에 맞는 물품의 요금이 적용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6861호 (2017년04월1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10621호 (2021년10월07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2790호 (2020년07월1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물품의 부피측정시 지지부와 이동부에 의해 부피측정부의 측정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부피측정부의 측정위치를 변경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물품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는 동시에 부피측정부를 부피측정의 최적의 위치로 변경하여 부피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부피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택배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측정부와 표시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부피측정과 무게측정을 함께 실시하여 측정결과를 함께 표시할 수 있는 동시에 부피와 무게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해서 물품의 요금을 산정할 수 있는 부피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택배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로서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와 각도조절편을 구비함으로써, 지지대의 형상 및 지지대의 절곡각도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지지대의 변형에 의해 부피측정 범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부피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택배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부로서 제1 지지편과 제1 구동편과 제1 종동편과 제1 전달편과 제1 이동편과 제1 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이동부의 이동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지부의 지지위치와 부피측정부의 측정거리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부피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택배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부로서 제2 구동편과 제2 전달편과 제2 가이드와 제2 이동편을 구비함으로써, 이동부의 미세 이동성능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지지부의 위치이동과 부피측정부의 측정거리 이동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부피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택배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택배단말기로서 본체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부피측정장치가 설치되어 택배물품의 부피와 무게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해서 택배물품의 요금을 산출함으로써, 택배물품의 요금을 부피와 무게 중 선택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동시에 부피측정장치를 다양한 위치에 배치하여 설치공간을 다양화할 수 있는 부피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택배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와 택배제어부에 외부와 유선 및 무선 중 적어도 하나로 통신하는 통신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택배물품의 무인 발송시 사용자가 택배단말기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택배물품의 처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피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택배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품의 부피를 측정하는 부피측정장치로서, 물품이 안착되는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의 일방에 입설된 지지부(20); 상기 지지부(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품의 부피를 측정하는 부피측정부(30);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지지부(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20)를 이동시켜 상기 부피측정부(30)의 측정위치를 변경하는 이동부(40); 및 상기 베이스부(10)의 타방에 설치되어, 상기 부피측정부(30)의 측정과 상기 이동부(4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부(10)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부피측정부(30)의 측정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이동부(40)에 의해 이동하도록 설치된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의 상단에 절곡하도록 설치된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대를 기준해서 상기 제2 지지대의 절곡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부피측정부(30)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2D 카메라, 3D 카메라, TOF 센서 및 레이져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일방에 입설되는 제1 지지편; 상기 제1 지지편의 일단에 설치되어, 이동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편; 상기 제1 지지편의 타단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받는 제1 종동편; 상기 제1 구동편과 상기 제1 종동편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전달편; 상기 제1 전달편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제1 이동편; 및 상기 제1 지지편의 일방에 입설되어, 상기 제1 이동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베이스부(10)에 설치되어, 이동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편; 상기 제2 구동편의 일단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전달편; 상기 제2 전달편의 일방에 설치되어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및 상기 제2 전달편에 연결되어 이동되며, 상기 제2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2 이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재된 부피측정장치를 구비한 택배단말기로서, 상기 부피측정장치가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일방에 저울이 설치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택배물품의 부피와 무게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해서 택배물품의 요금을 산출하는 산출부(120); 상기 본체부(110)의 일방에 설치되어, 택배물품의 정보를 입력하는 디스플레이부(130); 상기 본체부(110)의 타방에 설치되어, 택배물품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40); 및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피측정장치로부터 택배물품의 정보를 전달받아 처리하는 택배제어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와 유선 및 무선 중 적어도 하나로 통신하는 통신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품의 부피측정시 지지부와 이동부에 의해 부피측정부의 측정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부피측정부의 측정위치를 변경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물품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는 동시에 부피측정부를 부피측정의 최적의 위치로 변경하여 부피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무게측정부와 표시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부피측정과 무게측정을 함께 실시하여 측정결과를 함께 표시할 수 있는 동시에 부피와 무게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해서 물품의 요금을 산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지지부로서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와 각도조절편을 구비함으로써, 지지대의 형상 및 지지대의 절곡각도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지지대의 변형에 의해 부피측정 범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동부로서 제1 지지편과 제1 구동편과 제1 종동편과 제1 전달편과 제1 이동편과 제1 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이동부의 이동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지부의 지지위치와 부피측정부의 측정거리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동부로서 제2 구동편과 제2 전달편과 제2 가이드와 제2 이동편을 구비함으로써, 이동부의 미세 이동성능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지지부의 위치이동과 부피측정부의 측정거리 이동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택배단말기로서 본체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부피측정장치가 설치되어 택배물품의 부피와 무게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해서 택배물품의 요금을 산출함으로써, 택배물품의 요금을 부피와 무게 중 선택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동시에 부피측정장치를 다양한 위치에 배치하여 설치공간을 다양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와 택배제어부에 외부와 유선 및 무선 중 적어도 하나로 통신하는 통신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택배물품의 무인 발송시 사용자가 택배단말기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택배물품의 처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이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이동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이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이동후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다른 이동부의 이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다른 이동부의 이동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또 다른 이동부의 이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또 다른 이동부의 이동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지지부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제어부와 무게측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 및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택배단말기의 외부에 부피측정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택배단말기의 내부에 부피측정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택배단말기의 상부에 무게측정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택배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택배단말기의 처리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이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이동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이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이동후 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다른 이동부의 이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다른 이동부의 이동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또 다른 이동부의 이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또 다른 이동부의 이동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지지부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제어부와 무게측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1 및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택배단말기의 외부에 부피측정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택배단말기의 내부에 부피측정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택배단말기의 상부에 무게측정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택배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택배단말기의 처리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 내지 도 10,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피측정장치는, 베이스부(10), 지지부(20), 부피측정부(30), 이동부(40), 제어부(50), 표시부(60) 및 무게측정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물품의 부피를 측정하는 부피측정장치이다.
베이스부(10)는, 물품이 안착되는 베이스부재로서, 부피측정 대상인 물품을 상부에 안착시키는 플레이트 등과 같이 판재로 이루어져 있고, 부피측정시 물품의 사이즈를 측정이 용히하도록 상면에 격자무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지지부(20)는, 베이스부(10)의 일방에 입설되어 부피측정부(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서, 제1 지지대(21), 제2 지지대(22) 및 각도조절편(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지지대(21)는, 이동부(40)에 의해 이동하도록 이동부(40)의 일방에 설치된 지지부재로서, 이동부(4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이동되거나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지지대(22)는, 제1 지지대(21)의 상단에 절곡하도록 설치된 지지부재로서, 제1 지지대(21)를 기준해서 소정각도로 절곡된 제2 지지대(22)의 일단에는 부피측정부(30)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도조절편(23)은, 제1 지지대(21)와 제2 지지대(22)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지지대(21)를 기준해서 제2 지지대(22)의 절곡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로서, 제1 지지대(21)와 제2 지지대(22) 사이에 회전 지지가능하도록 설치된 힌지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부피측정부(30)는, 지지부(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품의 부피를 측정하는 부피측정부재로서,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2D 카메라, 3D 카메라, TOF(Time of Flight) 센서 및 레이져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동부(40)의 일예는, 베이스부(10)와 지지부(20)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부(20)를 이동시켜 부피측정부(30)의 측정위치를 변경하는 이동부재로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지편(41a), 제1 구동편(42a), 제1 종동편(43a), 제1 전달편(44a), 제1 이동편(45a), 제1 가이드(46b) 및 제1 동력수단(47a)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지지편(41a)은, 베이스부(10)의 일방에 입설되는 지지부재로서, 베이스부(10)의 일방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입설되어 하부에는 제1 구동편(42a)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 동력수단(47a)과 연결되어 있고, 상부에는 제1 종동편(43a)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구동편(42a)은, 제1 지지편(41a)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로서, 제1 지지편(41a)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동력수단(47a)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풀리나 치차나 롤러 등과 같은 회전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종동편(43a)은, 제1 지지편(41a)의 타단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받는 종동부재로서, 제1 지지편(41a)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전달편(44a)을 개재해서 제1 구동편(42a)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받도록 풀리나 치차나 롤러 등과 같은 회전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전달편(44a)은, 제1 구동편(42a)과 제1 종동편(43a)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부재로서, 제1 구동편(42a)과 제1 종동편(43a)의 외곽 둘레를 따라 연결되어 제1 구동편(42a)의 구동력을 제1 종동편(43a)에 전달하여 제1 이동편(45a)을 이동시키도록 타이밍벨트나 체인 등과 같이 동력전단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이동편(45a)은, 제1 전달편(44a)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이동부재로서, 제1 전달편(44a)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승이동하거나 하강이동하도록 선형이동하게 되며, 제1 이동편(45a)에는 지지부(20)가 결합되어 지지부(20)를 승강이동시키거나 하강이동시키게 된다.
제1 가이드(46b)는, 제1 지지편(41a)의 일방에 입설되어 제1 이동편(45a)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로서, 제1 이동편(45a)의 승강이동 및 하강이동을 강이드하도록 선형의 가이드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동력수단(47a)은, 제1 구동편(42a)의 일단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재로서, 제1 구동편(42a)에 정회전이나 역회전의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나 스텝모터 등과 같이 제어가능한 모터로 이루어져 있다.
이동부(40)의 다른예는, 베이스부(10)와 지지부(20)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부(20)를 이동시켜 부피측정부(30)의 측정위치를 변경하는 이동부재로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구동편(41b), 제2 전달편(42b), 제2 가이드(43b) 및 제2 이동편(44b)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구동편(41b)은, 베이스부(10)에 설치되어 이동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로서, 제2 전달편(42b))에 정회전이나 역회전의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나 스텝모터 등과 같이 제어가능한 모터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전달편(42b)은, 제2 구동편(41b)의 일단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부재로서, 제2 구동편(41b)의 회전력을 제2 이동편(44b)의 직선이동을 변환해서 전달시키도록 나선형상편이나 볼스크류 등과 같은 동력변환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가이드(43b)는, 제2 전달편(42b)의 일방에 설치되어 제2 이동편(44b)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로서, 제2 이동편(44b)의 선형이동을 가이드하도록 LM가이드 등과 같은 선형가이드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이동편(44b)은, 제2 전달편(42b)에 연결되어 이동되며 제2 가이드(43b)에 의해 가이드되는 이동부재로서, 제2 전달편(42b)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2 가이드(43b)를 따라 상승이동하거나 하강이동하도록 선형이동하게 되며, 제2 이동편(44b)에는 지지부(20)가 결합되어 지지부(20)를 승강이동시키거나 하강이동시키게 된다.
이동부(40)의 또 다른예는, 베이스부(10)와 지지부(20)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부(20)를 이동시켜 부피측정부(30)의 측정위치를 변경하는 이동부재로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구동편(41c) 및 제3 이동편(42c)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3 구동편(41c)은, 베이스부(10)에 설치되어 이동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로서, 제3 이동편(42c)에 승강이동이나 하깅이동의 선형 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리더, 유공압기구, 선형모터 등과 같이 제어가능한 선형이동기구로 이루어져 있다.
제3 이동편(42c)은, 제3 구동편(41c)의 일단에 설치되어 선형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로서, 제3 구동편(41c)의 구동력의해 상승이동하거나 하강이동하도록 선형이동하게 되는 피스톤 등과 같은 이송기구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제3 이동편(42c)에는 지지부(20)가 결합되어 지지부(20)를 승강이동시키거나 하강이동시키게 된다.
제어부(50)는, 베이스부(10)의 타방에 설치되어 부피측정부(30)의 측정과 이동부(4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로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피측정부(30)의 측정결과가 측정거리의 미확보에 의해 측정이 불가능하여 에러가 발생된 경우에는 이동부(40)를 승강이동시켜 다시 측정시키는 측정 및 이동 제어모듈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부(50)는, 외부의 유선단말기나 휴대폰, 태블릿 등과 같은 무선단말기에 유선 및 무선 중 적어도 하나로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표시부(60)는, 베이스부(10)의 일방에 설치되어 부피측정부(30)의 측정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재로서, 물품의 부피정보나 무게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상태정보를 수치로 표시해서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 등과 같이 출력 가능한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져 있다.
무게측정부(70)는, 베이스부(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재로서, 무게의 측정결과를 수치로 나타내도록 전자저울 등과 같은 측정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60)와 무게측정부(70)는, 제어부(50)에 연결되어 물품의 부피측정 결과와 무게측정 결과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부피측정장치를 구비한 택배단말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6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부피측정장치를 구비한 택배단말기(100)는, 본체부(110), 산출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출력부(140), 택배제어부(150) 및 통신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택배물품을 무인으로 접수해서 발송하는 택배단말기이다.
본체부(110)는, 본 실시예의 부피측정장치가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일방에 저울이 설치된 본체부재로서, 단말기의 함체를 구성하게 되며 내부에 다양한 모듈이나 제어수단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부(110)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 무게측정부(7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부피측정장치의 베이스부(10)의 기능을 수행하여 본체부(110)에 부피측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산출부(120)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택배물품의 부피와 무게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해서 택배물품의 요금을 산출하는 산출부재로서, 사전에 설정된 택배요금표를 기준해서 택배물품의 부피와 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택배물품의 요금을 산출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본체부(110)의 일방에 설치되어 택배물품의 정보를 입력하는 표시부재로서, 사용자가 터치에 의해 택배물품의 정보나 결재정보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택배물품의 정보를 표시해서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 등과 같은 입출력 가능한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져 있다.
출력부(140)는, 본체부(110)의 타방에 설치되어 택배물품의 정보와 요금결재 정보 등을 운송장으로 출력하는 출력부재로서, 열전사 프린터 또는 레이져 프린터 등과 같이 다양한 출력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택배제어부(150)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부피측정장치로부터 택배물품의 정보를 전달받아 처리하는 택배제어부재로서, 부피측정장치로부터 택배물품의 부피와 무게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전달받아 택배단말기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택배제어부(150)는, 부피측정장치의 부피측정부(30)와 무게측정부(70)에 직접 연결되거나 제어부(50)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택배물품의 부피와 무게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전달받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통신부(160)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되 디스플레이부(130)를 개재해서 택배제어부(150)에 연결되어 외부와 유선 및 무선 중 적어도 하나로 통신하는 통신부재로서, 외부의 유선단말기나 휴대폰, 태블릿 등과 같은 무선단말기(200)에 유선 및 무선 중 적어도 하나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무선단말기(200)로는 택배단말기(100)와 무선으로 입출력 정보를 전달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20)이 설치되어 있는 휴대폰, 태블릿 등과 같은 모바일기기(210)로 이루어져 있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택배단말기의 택배처리방법은, 택배단말기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입력단계(S10), 부피 측정단계(S20), 무게 측정단계(S30), 요금 산출단계(S40), 택배정보 입력단계(S50), 요금 선택단계(S60), 요금 결재단계(S70) 및 운송장 출력단계(S8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택배단말기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입력단계(S10)는, 택배단말기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여 택배물품의 발송메뉴를 입력하여 택배물품의 발송을 위한 준비상태를 완료하게 된다.
부피 측정단계(S20)는, 베이스부(10)나 무게측정부(70)의 상부에 택배물품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택배단말기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지령을 입력하여 택배물품의 부피를 부피측정부(30)에 의해 측정하게 된다.
무게 측정단계(S30)는, 무게측정부(70)의 상부에 택배물품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택배단말기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지령을 입력하여 택배물품의 무게를 무게측정부(70)에 의해 측정하게 된다.
요금 산출단계(S40)는, 부피측정부(30)에 의해 측정된 택배물품의 부피와 무게측정부(70)에 의해 측정된 택배물품의 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사전에 설정된 택배요금표를 기준해서 비교하여 택배물품의 요금을 산출하게 된다.
택배정보 입력단계(S50)는, 요금 산출단계(S40)에서 택배요금을 산출한 후에 택배물품에 대한 수취인의 주소와 연락처와 성명 등의 각종 정보를 택배단말기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상에 입력하게 된다.
요금 선택단계(S60)는, 택배정보 입력단계(S50)에서 택배정보를 입력한 후에 요금의 결재방식을 선불로 할 것인지 후불로 할 것인지를 선택하여 택배단말기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상에 입력하게 된다.
요금 결재단계(S70)는, 요금 선택단계(S60)에서 택배요금을 선불로 선택한 경우에 현금결재나 카드결재 등과 같은 결재수단을 사용하여 택배단말기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택배요금을 결재하게 된다.
운송장 출력단계(S80)는, 요금 선택단계(S60)에서 후불로 선택한 경우와 요금 결재단계(S70)에서 택배요금을 결재한 후에 택배단말기에서 택배물품의 운송장을 출력하여 택배물품에 부착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의 부피측정시 지지부와 이동부에 의해 부피측정부의 측정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부피측정부의 측정위치를 변경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물품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는 동시에 부피측정부를 부피측정의 최적의 위치로 변경하여 부피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무게측정부와 표시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부피측정과 무게측정을 함께 실시하여 측정결과를 함께 표시할 수 있는 동시에 부피와 무게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해서 물품의 요금을 산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지지부로서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와 각도조절편을 구비함으로써, 지지대의 형상 및 지지대의 절곡각도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지지대의 변형에 의해 부피측정 범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동부로서 제1 지지편과 제1 구동편과 제1 종동편과 제1 전달편과 제1 이동편과 제1 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이동부의 이동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지부의 지지위치와 부피측정부의 측정거리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동부로서 제2 구동편과 제2 전달편과 제2 가이드와 제2 이동편을 구비함으로써, 이동부의 미세 이동성능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지지부의 위치이동과 부피측정부의 측정거리 이동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택배단말기로서 본체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부피측정장치가 설치되어 택배물품의 부피와 무게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해서 택배물품의 요금을 산출함으로써, 택배물품의 요금을 부피와 무게 중 선택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동시에 부피측정장치를 다양한 위치에 배치하여 설치공간을 다양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와 택배제어부에 외부와 유선 및 무선 중 적어도 하나로 통신하는 통신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택배물품의 무인 발송시 사용자가 택배단말기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택배물품의 처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베이스부 20: 지지부
30: 부피측정부 40: 이동부
50: 제어부 60: 표시부
70: 무게측정부 110: 본체부
120: 산출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출력부 150: 택배제어부
160: 통신부

Claims (10)

  1. 물품의 부피를 측정하는 부피측정장치를 구비한 택배단말기로서,
    물품이 안착되는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의 일방에 입설된 지지부(20);
    상기 지지부(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품의 부피를 측정하는 부피측정부(30);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지지부(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2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이동시켜 상기 부피측정부(30)의 측정거리를 변경하는 이동부(40); 및
    상기 베이스부(10)의 타방에 설치되어, 상기 부피측정부(30)의 측정과 상기 이동부(4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부피측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이동부(40)에 의해 이동하도록 설치된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의 상단에 절곡하도록 설치된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대를 기준해서 상기 제2 지지대의 상하방향의 절곡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편;을 포함하고,
    상기 부피측정장치가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일방에 저울이 설치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택배물품의 부피와 무게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해서 택배물품의 요금을 산출하는 산출부(120);
    상기 본체부(110)의 일방에 설치되어, 택배물품의 정보를 입력하는 디스플레이부(130);
    상기 본체부(110)의 타방에 설치되어, 택배물품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40); 및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피측정장치로부터 택배물품의 정보를 전달받아 처리하는 택배제어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피측정장치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부피측정부(30)의 측정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피측정장치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단말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피측정부(30)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2D 카메라, 3D 카메라, TOF 센서 및 레이져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일방에 입설되는 제1 지지편;
    상기 제1 지지편의 일단에 설치되어, 이동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편;
    상기 제1 지지편의 타단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받는 제1 종동편;
    상기 제1 구동편과 상기 제1 종동편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전달편;
    상기 제1 전달편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제1 이동편; 및
    상기 제1 지지편의 일방에 입설되어, 상기 제1 이동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베이스부(10)에 설치되어, 이동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편;
    상기 제2 구동편의 일단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전달편;
    상기 제2 전달편의 일방에 설치되어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및
    상기 제2 전달편에 연결되어 이동되며, 상기 제2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2 이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단말기.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와 유선 및 무선 중 적어도 하나로 통신하는 통신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단말기.
KR1020230053459A 2023-04-24 2023-04-24 부피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택배단말기 KR102613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459A KR102613987B1 (ko) 2023-04-24 2023-04-24 부피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택배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459A KR102613987B1 (ko) 2023-04-24 2023-04-24 부피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택배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987B1 true KR102613987B1 (ko) 2023-12-14

Family

ID=8916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3459A KR102613987B1 (ko) 2023-04-24 2023-04-24 부피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택배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98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393A (ko) * 2015-06-10 2016-12-20 주식회사 울프슨랩 3차원 스캐닝 시스템
KR101726861B1 (ko) 2015-04-15 2017-04-13 이재용 무인 우편/택배 접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787558B1 (ko) * 2016-06-23 2017-10-18 주식회사 웰텍 부피 및 중량 자동 측정 시스템
KR102132790B1 (ko) 2018-06-29 2020-07-13 카페24 주식회사 송장 출력 자동화 시스템, 송장 출력 자동화 장치 및 송장 출력 자동화 방법
KR20200120170A (ko) * 2019-04-11 2020-10-21 주식회사 비에스알테크놀로지 부피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102310621B1 (ko) 2015-04-15 2021-10-07 이재용 무인 우편/택배 접수 시스템
KR102317883B1 (ko) * 2021-06-07 2021-10-27 이앤에이치(주) 인공지능을 활용한 열화상 감시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861B1 (ko) 2015-04-15 2017-04-13 이재용 무인 우편/택배 접수 시스템 및 방법
KR102310621B1 (ko) 2015-04-15 2021-10-07 이재용 무인 우편/택배 접수 시스템
KR20160145393A (ko) * 2015-06-10 2016-12-20 주식회사 울프슨랩 3차원 스캐닝 시스템
KR101787558B1 (ko) * 2016-06-23 2017-10-18 주식회사 웰텍 부피 및 중량 자동 측정 시스템
KR102132790B1 (ko) 2018-06-29 2020-07-13 카페24 주식회사 송장 출력 자동화 시스템, 송장 출력 자동화 장치 및 송장 출력 자동화 방법
KR20200120170A (ko) * 2019-04-11 2020-10-21 주식회사 비에스알테크놀로지 부피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102317883B1 (ko) * 2021-06-07 2021-10-27 이앤에이치(주) 인공지능을 활용한 열화상 감시 수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0739B2 (ja) 両面彫刻システム
EP0415771A2 (en) Measurement of spatial dimensions and weight of an object
JP2018512050A (ja) コーヒー豆を調合して供給するための装置
CN107798776A (zh) 一种电磁定位高效率o2o自动售货机
KR102613987B1 (ko) 부피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택배단말기
CN210321968U (zh) 一种智能识别商品的会员卡电子秤
CN207587087U (zh) 3d打印产品自动售卖机
CN107923738A (zh) 用于弯曲机的、测量板材的臂之间弯曲角度的电子角度测量装置
US20220309443A1 (en) Package management system, packag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storing storage medium
KR200481743Y1 (ko) 의약품 2차원 바코드 일괄 수집 처리 장치
EP3171338B1 (en) A device for handling consignments and a method of handling consignments
CN107507365B (zh) 3d打印产品自动售卖机
KR101717481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 재단 방법
KR101650815B1 (ko)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
CN211309959U (zh) 一种智能物流管理装置
CN107403475A (zh) 一种具有复称功能的寄件设备及寄件方法
US1021036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eckouts, scan portal, and pay station environments with improved attendant work stations
US20220392095A1 (en) Package measuring apparatus, package accepting system, package measu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1726861B1 (ko) 무인 우편/택배 접수 시스템 및 방법
JP7148201B2 (ja) 荷物引受装置及び荷物引受方法
KR102310621B1 (ko) 무인 우편/택배 접수 시스템
KR101044440B1 (ko) 문자인식이 가능한 우편용 저울장치
CN214407731U (zh) 一种称重量方的设备
KR102141227B1 (ko) 우편물 접수장치
JP7116967B2 (ja) 荷物引受装置及び荷物引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