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957B1 -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957B1
KR102613957B1 KR1020210062100A KR20210062100A KR102613957B1 KR 102613957 B1 KR102613957 B1 KR 102613957B1 KR 1020210062100 A KR1020210062100 A KR 1020210062100A KR 20210062100 A KR20210062100 A KR 20210062100A KR 102613957 B1 KR102613957 B1 KR 102613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icide
module
detection line
risk
re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4494A (ko
Inventor
임지수
임지현
임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산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산기술
Priority to KR1020210062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957B1/ko
Publication of KR20220154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자살 감지를 위한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장치; 상기 카메라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을 표시하고 모니터링하는 관제 센터 단말; 상기 관제 센터 단말의 관제자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카메라 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영상에 기반하여 자살 방지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자살 방지 서버를 구성한다. 상술한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에 의하면, 자살 장소의 영상에서 자살 위험이 높은 구역에 대해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설정하고 이를 감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자살 위험을 판단하고 자살을 방지 및 지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자살하고자 하는 사람의 연령, 나이를 영상을 통해 분석하여 그에 맞는 음성과 멘트로 자살 시도를 지연시키고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자살 시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살 시도가 이루어지더라도 이를 바로 감지하고 그 위치와 신원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한 응급 처치 시도로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SYSTEM OF PEVENTING SUICIDE USING VIRTULAL DETECTION LINE IN IMAGE}
본 발명은 자살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절벽이나 강의 다리 등에서 자살이 많이 발생한다.
실내가 아닌 공공의 장소에서 발생하는 자살은 누군가의 감시와 관심으로 인해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사람들이 없거나, 누군가의 눈길을 피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자살이 특히 많이 발생하는 장소가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변에 사람이 없을 때도 이를 잘 감시하여 방지할 수 있다면 자살률을 많이 낮출 수 있고, 생명을 구할 수 있다.
이에, 자살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10-2004-0063863 등록특허공보 10-2105120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은, 자살 감지를 위한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장치; 상기 카메라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을 표시하고 모니터링하는 관제 센터 단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제 센터 단말의 관제자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영상에 기반하여 자살 방지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자살 방지 서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에 의하면, 자살 장소의 영상에서 자살 위험이 높은 구역에 대해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설정하고 이를 감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자살 위험을 판단하고 자살을 방지 및 지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자살하고자 하는 사람의 연령, 나이를 영상을 통해 분석하여 그에 맞는 음성과 멘트로 자살 시도를 지연시키고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자살 시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살 시도가 이루어지더라도 이를 바로 감지하고 그 위치와 신원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한 응급 처치 시도로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내 가상 감지선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감지선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내 객체를 감지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영상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내 가상 감지선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감지선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내 객체를 감지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영상의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은 카메라 장치(100), 관제 센터 단말(200), 스피커(300), 자살 방지 서버(400), 사용자 단말(5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메라 장치(100)는 자살 감지를 위한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0)는 자살이 자주 발생하는 야외의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벽이나 한강 다리 등이 될 수 있다.
관제 센터 단말(200)은 카메라 장치(100)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을 표시하고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피커(300)는 관제 센터 단말(200)의 관제자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제자는 영상을 통해 자살 위험이 있음을 확인하면 관제자 음성을 통해 자살 시도하지 못하게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자실 시도를 지연시켜 구조대가 올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자살 방지 서버(400)는 카메라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영상에 기반하여 자살 방지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살 방지 서버(400)는 시맨틱 분할 실행 모듈(401), 자살 경고 구역 가상 검지선 설정 모듈(402), 자살 위험 구역 가상 검지선 설정 모듈(403), 딥러닝 객체 탐지 모듈(404), 뼈대 분석 모듈(405), 객체 추적 모듈(406), 동일 객체 판단 모듈(407), 월선 판단 모듈(408), 자살 경고 구역 진입 알람 모듈(409), 자살 위험 구역 진입 알람 모듈(410), 경고 구역 타이머 모듈(411), 위험 구역 타이머 모듈(412), 자살 위험 판단 모듈(413), 성별/나이 분석 모듈(414), 성별/나이별 자살 방지 음성 데이터베이스(415), 성별/나이별 자살 방지 음성 출력 제어 모듈(416), 자살 판단 모듈(417), 관제 센터 알림 모듈(418)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맨틱 분할 실행 모듈(401)은 카메라 장치(100)에서 생성된 영상에 대해 시맨틱 분할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객체를 구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맨틱 분할 알고리즘에 의해 픽셀 단위의 분석을 수행하고 영상 내 객체를 분할하여 구별할 수 있다.
자살 경고 구역 가상 검지선 설정 모듈(402)은 시맨틱 분할 실행 모듈(401)에서 구별된 객체에 기반하여 자살 경고 구역 가상 검지선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노란색 선으로 자살 경고 구역 가상 검지선이 설정되어 있다.
자살 위험 구역 가상 검지선 설정 모듈(403)은 시맨틱 분할 실행 모듈(401)에서 구별된 객체에 기반하여 자살 위험 구역 가상 검지선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빨간색 선으로 자살 위험 구역 가상 검지선이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검지선은 가상의 검지선으로서 영상 분석에 의해 객체가 해당 구역에 있는지 판단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검지선은 도 3에서 보듯이 다양한 개수의 선과 다각형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딥러닝 객체 탐지 모듈(404)은 시맨틱 분할 실행 모듈(401)에서 구별된 객체를 딥러닝 기술에 의해 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람인지 사물인지 등을 구별할 수 있다.
뼈대 분석 모듈(405)은 딥러닝 객체 탐지 모듈(404)에 의해 탐지된 객체에서 뼈대 분석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딥러닝에 의해 사람인지 여부를 분석하여 알 수 있다.
객체 추적 모듈(406)은 딥러닝 객체 탐지 모듈(404)에 의해 탐지된 객체 중 뼈대 분석 모듈(405)에 의해 뼈대 분석이 실행된 객체를 광학 흐름(optical track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객체 추적 모듈(406)은 영상 프레임들의 흐름 속에서 객체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지를 추적할 수 있다.
동일 객체 판단 모듈(407)은 객체 추적 모듈(406)에서 추적되는 객체가 동일 객체인지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추적되는 객체가 동일한 객체인지 판단하며, 여러 객체를 동시에 추적하여 동일 객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월선 판단 모듈(408)은 객체 추적 모듈(406)에서 추적되는 객체가 동일 객체 판단 모듈에서 동일 객체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객체가 자살 경고 구역 가상 검지선 또는 자살 위험 구역 가상 검지선을 월선하는지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살 경고 구역 진입 알람 모듈(409)은 월선 판단 모듈(408)에서 객체가 경고 구역 가상 검지선을 월선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살 경고 구역 진입 알람을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살 경고 구역 여부의 표지판이 없어도 스피커(300)를 통해 경각심을 갖게 할 수 있다.
자살 위험 구역 진입 알람 모듈(410)은 월선 판단 모듈(408)에서 객체가 위험 구역 가상 검지선을 월선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살 위험 구역 진입 알람을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살 위험 구역 여부의 표지판이 없어도 스피커(300)를 통해 경각심을 갖게 하고 위험하다는 것을 인지하게 할 수 있다.
경고 구역 타이머 모듈(411)은 월선 판단 모듈(408)의 월선 판단에 기반하여 객체가 자살 경고 구역에 머무는 시간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험 구역 타이머 모듈(412)은 월선 판단 모듈(408)의 월선 판단에 기반하여 객체가 자살 위험 구역에 머무는 시간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살 위험 판단 모듈(413)은 월선 판단 모듈(408)의 월선 판단과 경고 구역 타이머 모듈(411) 및 위험 구역 타이머 모듈(411)에서 각각 측정된 시간에 기반하여 객체의 자살 위험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순히 검지선을 넘어섰다가 돌아오는 것이 아니라, 해당 구역들에 머무는 시간이 길다면, 통해 해당 객체(사람)이 자살 의도가 있는지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성별/나이 분석 모듈(414)은 자살 위험 판단 모듈(413)에서 자살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영상에 기반하여 해당 객체의 성별 및 나이를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뼈대 분석 모듈(405)의 분석 결과를 참조하고 외모를 분석하여 성별 및 나이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성별/나이별 자살 방지 음성 데이터베이스(415)는 성별 및 나이별로 자살 방지 음성이 미리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 아이에게는 엄마 목소리와 같은 음성의 멘트가 저장되고, 중년의 남성이나 여성에게는 자식 목소리와 같은 음성의 멘트가 저장될 수 있다.
성별/나이별 자살 방지 음성 출력 제어 모듈(416)은 성별/나이별 자살 방지 음성 데이터베이스(415)에 미리 저장된 자살 방지 음성을 참조하여 성별/나이 분석 모듈(414)에서 분석된 성별 및 나이에 따른 자살 방지 음성을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자살 시도를 하는 사람에게 자살을 주저할 수 있게 하는 가장 호소력있는 성별 및 나이의 자살 방지 음성을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살 판단 모듈(417)은 객체 추적 모듈(406)의 객체 추적 결과 객체가 자살 위험 구역에서 자살 경고 구역으로 월선하지 않고 사라진 경우, 객체가 자살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자살을 포기하고 자살 위험 구역 검지선을 월선하여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영상 속에서 자살 위험 구역에서 바로 사라지는 경우에는 투신 자살로 판단할 수 있다.
관제 센터 알림 모듈(418)은 자살 위험 판단 모듈(413)에서 객체가 자살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거나 자살 판단 모듈(417)에서 객체가 자살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관제 센터 단말(200)로 실시간 알림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500)은 사용자 단말(500)의 가속도를 실시간 측정하고, 측정된 가속도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자살 또는 실족 여부를 실시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의 경우에는 위와 같은 카메라 장치(100)나 그 영상이 없어도 투신 자살이나 실족을 판단할 수 있으며, 그 판단에는 장소의 제약이 없다.
사용자 단말(500)은 가속도 센서(501), 자살/실족 판단 모듈(502), 위치 정보 수집 모듈(503), 긴급 연락처 수집 모듈(504), 긴급 연락처 자동 발신 모듈(505), 신상정보/위치정보/긴급연락처 실시간 송신 모듈(506)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속도 센서(501)는 사용자 단말(500)의 가속도를 실시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살/실족 판단 모듈(502)은 가속도 센서(501)에서 실시간 측정되는 가속도가 소정 기준 시간 이상 0으로 측정되는 경우, 사용자의 자살 또는 실족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투신 자유 낙하 중에는 z축의 수직 방향의 가속도가 0으로 측정되고, 3축 가속도 역시 0으로 측정된다. 상당 시간 0으로 측정되면, 투신 자살 또는 실족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집 모듈(503)은 자살/실족 판단 모듈(502)에서 사용자의 자살 또는 실족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5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긴급 연락처 수집 모듈(504)은 자살/실족 판단 모듈(502)에서 사용자의 자살 또는 실족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500)에 미리 저장된 긴급 연락처를 실시간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긴급 연락처는 가족이나 친구 등의 연락처가 될 수 있다.
긴급 연락처 자동 발신 모듈(505)은 긴급 연락처 수집 모듈(504)에서 실시간 수집된 긴급 연락처로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해 자동 발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실족하여 부상을 당한 경우에는 통화 시도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자동 발신을 통해 도움을 요청하기 위함이다.
신상정보/위치정보/긴급연락처 실시간 송신 모듈(506)은 사용자 단말(500)에 미리 저장된 신상 정보, 위치 정보 수집 모듈(503)에서 실시간 수집된 현재 위치 정보 및 긴급 연락처 수집 모듈(504)에서 실시간 수집된 긴급 연락처를 구조 센터 단말(30) 및 관제 센터 단말(20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조 센터에서는 해당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장으로 출동할 수 있다.
관제 센터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신상 정보, 위치 정보 및 긴급 연락처를 실시간 수신하고, 해당 시점에 자살 방지 서버(400)의 자살 판단 모듈(417)에서 자살로 판단되는 객체가 있는 경우 그 위치 정보와 해당 자살 위험 구역의 위치 정보를 대비하여 해당 객체와 사용자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관제 센터에서도 신속하게 현장 대처를 할 수 있다.
한편, 가속도 센서(501)에서 실시간 측정되는 가속도가 0 m/s2와 마이너스(-) 값의 범위에서 반복적으로 진동하는 값을 갖는데, 이러한 경우, 자살/실족 판단 모듈(502)은 해당 사용자가 번지 점프 중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조 센터에서 투신 낙하로 오판하여 현장 출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카메라 장치
200: 관제 센터 단말
300: 스피커
400: 자살 방지 서버
401: 시맨틱 분할 실행 모듈
402: 자살 경고 구역 가상 검지선 설정 모듈
403: 자살 위험 구역 가상 검지선 설정 모듈
404: 딥러닝 객체 탐지 모듈
405: 뼈대 분석 모듈
406: 객체 추적 모듈
407: 동일 객체 판단 모듈
408: 월선 판단 모듈
409: 자살 경고 구역 진입 알람 모듈
410: 자살 위험 구역 진입 알람 모듈
411: 경고 구역 타이머 모듈
412: 위험 구역 타이머 모듈
413: 자살 위험 판단 모듈
414: 성별/나이 분석 모듈
415: 성별/나이별 자살 방지 음성 데이터베이스
416: 성별/나이별 자살 방지 음성 출력 제어 모듈
417: 자살 판단 모듈
418: 관제 센터 알림 모듈
500: 사용자 단말
501: 가속도 센서
502: 자살/실족 판단 모듈
503: 위치 정보 수집 모듈
504: 긴급 연락처 수집 모듈
505: 긴급 연락처 자동 발신 모듈
506: 신상정보/위치정보/긴급연락처 실시간 송신 모듈

Claims (3)

  1. 자살 감지를 위한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장치;
    상기 카메라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을 표시하고 모니터링하는 관제 센터 단말;
    상기 관제 센터 단말의 관제자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카메라 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영상에 기반하여 자살 방지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자살 방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자살 방지 서버는,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생성된 영상에 대해 시맨틱 분할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객체를 구별하는 시맨틱 분할 실행 모듈;
    상기 시맨틱 분할 실행 모듈에서 구별된 객체에 기반하여 자살 경고 구역 가상 검지선을 설정하는 자살 경고 구역 가상 검지선 설정 모듈;
    상기 시맨틱 분할 실행 모듈에서 구별된 객체에 기반하여 자살 위험 구역 가상 검지선을 설정하는 자살 위험 구역 가상 검지선 설정 모듈;
    상기 시맨틱 분할 실행 모듈에서 구별된 객체를 딥러닝 기술에 의해 탐지하는 딥러닝 객체 탐지 모듈;
    상기 딥러닝 객체 탐지 모듈에 의해 탐지된 객체에서 뼈대 분석을 실행하는 뼈대 분석 모듈;
    상기 딥러닝 객체 탐지 모듈에 의해 탐지된 객체 중 상기 뼈대 분석 모듈에 의해 뼈대 분석이 실행된 객체를 광학 흐름(optical flow)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적하는 객체 추적 모듈;
    상기 객체 추적 모듈에서 추적되는 객체가 동일 객체인지 판단하는 동일 객체 판단 모듈;
    상기 객체 추적 모듈에서 추적되는 객체가 상기 동일 객체 판단 모듈에서 동일 객체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객체가 상기 자살 경고 구역 가상 검지선 또는 상기 자살 위험 구역 가상 검지선을 월선하는지 판단하는 월선 판단 모듈;
    상기 월선 판단 모듈의 월선 판단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가 상기 자살 경고 구역에 머무는 시간을 측정하는 경고 구역 타이머 모듈;
    상기 월선 판단 모듈의 월선 판단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가 상기 자살 위험 구역에 머무는 시간을 측정하는 위험 구역 타이머 모듈;
    상기 월선 판단 모듈의 월선 판단과 상기 경고 구역 타이머 모듈 및 상기 위험 구역 타이머 모듈에서 각각 측정된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의 자살 위험을 판단하는 자살 위험 판단 모듈;
    상기 객체 추적 모듈의 객체 추적 결과 상기 객체가 상기 자살 위험 구역에서 상기 자살 경고 구역으로 월선하지 않고 사라진 경우, 상기 객체가 자살한 것으로 판단하는 자살 판단 모듈;
    상기 자살 위험 판단 모듈에서 상기 객체가 자살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거나 상기 자살 판단 모듈에서 상기 객체가 자살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관제 센터 단말로 실시간 알림을 송신하는 관제 센터 알림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가속도를 실시간 측정하고, 측정된 가속도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자살 또는 실족 여부를 실시간 판단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가속도를 실시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실시간 측정되는 가속도가 소정 기준 시간 이상 0으로 측정되는 경우, 사용자의 자살 또는 실족으로 판단하는 자살/실족 판단 모듈;
    상기 자살/실족 판단 모듈에서 사용자의 자살 또는 실족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 모듈;
    상기 자살/실족 판단 모듈에서 사용자의 자살 또는 실족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저장된 긴급 연락처를 실시간 수집하는 긴급 연락처 수집 모듈;
    상기 긴급 연락처 수집 모듈에서 실시간 수집된 긴급 연락처로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위해 자동 발신을 수행하는 긴급 연락처 자동 발신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저장된 신상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수집 모듈에서 실시간 수집된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긴급 연락처 수집 모듈에서 실시간 수집된 긴급 연락처를 구조 센터 단말 및 상기 관제 센터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는 신상정보/위치정보/긴급연락처 실시간 송신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센터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상 정보, 위치 정보 및 긴급 연락처를 실시간 수신하고, 상기 자살 방지 서버의 자살 판단 모듈에서 자살로 판단되는 객체가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와 해당 자살 위험 구역의 위치 정보를 대비하여 해당 객체와 사용자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
KR1020210062100A 2021-05-13 2021-05-13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 KR102613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100A KR102613957B1 (ko) 2021-05-13 2021-05-13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100A KR102613957B1 (ko) 2021-05-13 2021-05-13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494A KR20220154494A (ko) 2022-11-22
KR102613957B1 true KR102613957B1 (ko) 2023-12-14

Family

ID=8423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100A KR102613957B1 (ko) 2021-05-13 2021-05-13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9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916B1 (ko) * 2013-06-11 2014-12-02 주식회사 에스원 의사 시도자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사 시도자 감지 방법
KR101475177B1 (ko) * 2014-05-20 2014-12-22 정효정 비상 호출 cctv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863A (ko) 2004-06-16 2004-07-14 한상관 하천이나 저수지 또 하천에 투신하는 자살자들이 자살하지 못하도록 자살방지용 그물망을 구성하는 방법
KR101371065B1 (ko) * 2007-11-23 2014-03-10 렉스젠(주) 차량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4696B1 (ko) * 2013-05-14 2015-04-23 (주)에스디시스템 교량 안전사고 관리시스템
KR102105120B1 (ko) 2018-02-23 2020-05-29 이관궁 자살방지 펜스용 조립 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916B1 (ko) * 2013-06-11 2014-12-02 주식회사 에스원 의사 시도자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사 시도자 감지 방법
KR101475177B1 (ko) * 2014-05-20 2014-12-22 정효정 비상 호출 cctv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494A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74095B (zh) 幼儿行为监控系统及方法
KR20220125716A (ko) 이벤트 검출 방법, 장치, 전자 기기,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
WO2021023064A1 (zh) 一种列车安全驾驶监测系统及方法
JP6080501B2 (ja) 監視システム
JP5386744B2 (ja) 監視システム
JP4430027B2 (ja) 画像処理装置、監視カメラ及び画像監視システム
KR100916960B1 (ko) 승강장 모니터링 시스템
TW201432633A (zh) 跌倒偵測方法
US20230154307A1 (en) Accident sign detection system and accident sign detection method
KR102613957B1 (ko)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
CN111062238A (zh) 基于人体骨架信息及多目标跟踪的扶梯流量监测方法及系统
KR20150106986A (ko) 서버기반 졸음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48004B1 (ko) 폭력감지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폭력감시시스템
JP2003224844A (ja) ホーム監視システム
CN103974028A (zh) 人员激烈行为侦测方法
JP704794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171335A (zh) 一种融合图像和语音的独居老人室内安全保护方法及装置
KR20220154473A (ko) 영상 내 가상 검지선을 이용한 외부 침입 방지 시스템
US20220036074A1 (en) Warning system, warn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odikara et al. Surveillance based Child Kidnap Detection and Prevention Assistance
JP695441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286152A1 (ja) 検出装置、検出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WO2022259902A1 (ja) 誘導情報生成装置、制御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20170162021A1 (en) A System for Identifying a Change in Walking Speed of a Person
WO2022009349A1 (ja) 会話監視装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