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847B1 - 데이터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847B1
KR102613847B1 KR1020237018771A KR20237018771A KR102613847B1 KR 102613847 B1 KR102613847 B1 KR 102613847B1 KR 1020237018771 A KR1020237018771 A KR 1020237018771A KR 20237018771 A KR20237018771 A KR 20237018771A KR 102613847 B1 KR102613847 B1 KR 102613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tted
reliable transmission
mapping relationship
ind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7610A (ko
Inventor
지엔화 료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87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2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4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단말 기기의 비액세스 계층이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비액세스 계층이 기설정된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및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에 따라,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는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함 - ;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는 것으로 지시하는 것에 응답하여, 비액세스 계층이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전송한 후, 액세스 계층이 네트워크 기기에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는 설정된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에서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데이터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 대 사물 통신 시스템은 롱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 기기간 통신(D2D, Device to Device)에 기반한 사이드링크(SL, Sidelink) 전송 기술을 채택하였고, LTE시스템에서 통신 데이터가 기지국을 통해 수신 또는 송신하는 기존의 방식과 달리, 차량 대 사물 통신 시스템은 단말간 직접 통신의 방식을 채택하므로, 더 높은 스펙트럼 효율 및 더 낮은 전송 지연을 갖는다.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14에서 차량 대 사물 통신 기술(V2X, Vehicle-to-Everything)이 표준화되었고, 모드 3 및 모드 4인 2 개의 전송 모드가 정의되었다. 모드 3에서, 단말의 전송 자원은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다. 모드 4에서, 단말은 센싱(sensing) 및 예약(reservation)을 결합한 방식으로 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 기술의 경우, 데이터 복제(data duplication) 전송을 지원하는 방안은 PDCP의 데이터 복제 기능(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음)을 이용하여, 복제된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을 2 개의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 엔티티(2 개의 상이한 논리 채널)에 각각 전송하고, 최종적으로, 복제된 PDCP PDU가 상이한 물리 계층 집성 반송파에서 전송될 수 있도록 확보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구현하여 데이터 전송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여,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차량 대 사물 통신 전송 모드 및 도 1에 도시된 아키텍처에 기반하여,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신뢰적 전송을 진행할지 여부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는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아래와 같이 구현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였고,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단말 기기의 비액세스 계층이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비액세스 계층이 기설정된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에 따라,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함 - ; 및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비액세스 계층이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전송한 후, 상기 액세스 계층이 네트워크 기기에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는 설정된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 사이에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였고,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의해 송신된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설정된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액세스 계층에 위치한 획득 부분, 비액세스 계층에 위치한 결정 부분, 비액세스 계층에 위치한 전송 부분 및 액세스 계층에 위치한 송신 부분을 포함하는 단말 기기를 제공하였고,
상기 획득 부분은,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정 부분은, 기설정된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에 따라,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함 - ;
상기 전송 부분은,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신 부분은, 네트워크 기기에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 - 상기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는 설정된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 사이에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임 - 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였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수신 부분 및 데이터 전송 부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신 부분은,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의해 송신된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부분은, 상기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설정된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1 메모리 및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를 제공하였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와 정보를 수신 및 송신하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메모리는, 상기 제1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작동될 때,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실행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2 메모리 및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와 정보를 수신 및 송신하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메모리는, 제2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작동될 때,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실행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였고, 상기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였고, 단말 비액세스 계층은 전송될 데이터의 관련 설명 정보에 따라 액세스 계층에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지시를 제공하여, 액세스 계층으로 하여금 지시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요청함으로써, 단말의 액세스 계층은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이중 연결 네트워크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차량 대 사물 통신 중의 모드 3의 시나리오 모식도이다.
도 3은 차량 대 사물 통신 중의 모드 4의 시나리오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다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의 구성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다른 단말 기기의 구성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기기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조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 및 기술적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이해하기 위해, 아래에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을 상세히 설명하며, 첨부된 도면은 다만 참조로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차량 대 사물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차량 대 사물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LTE-D2D의 차량 대 사물 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 단말 사이의 통신 데이터가 네트워크 기기(예를 들어, 기지국 )를 통해 수신 또는 송신하는 방식과는 달리, 차량 대 사물 통신 시스템은 단말간 직접 통신의 방식을 사용하므로, 더욱 높은 주파수 스펙트럼 효율 및 더욱 낮은 전송 지연을 갖는다. Rel-14에 개시된 차량 대 사물 통신의 전송 모드, 즉 모드 3 및 모드 4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간단히 설명한다.
모드 3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탑재 단말의 전송 자원은 LTE에서의 진화된 이노드비(eNB, evolved NodeB) 또는 뉴라디오(NR, New Radio)에서의 5G 기지국(gNB)과 같은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고,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다운링크(DL, Down Link)를 통해 차량탑재 단말에 그랜트(Grant)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달한 다음, 차량탑재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자원에 따라 SL에서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한다. 모드 3에서, 기지국은 차량탑재 단말에 단일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단말에 반정적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모드 4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탑재 단말은 센싱 및 예약을 결합한 전송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차량탑재 단말은 자원풀에서 센싱의 방식을 통해 이용 가능한 전송 자원 세트를 획득하고, 차량탑재 단말은 상기 전송 자원 세트로부터 하나의 자원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한다. 차량 대 사물 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는 주기적 특성을 가지므로, 차량탑재 단말은 반정적 전송의 방식을 채택하며, 즉 차량탑재 단말은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한 후, 복수 개의 전송 주기에서 상기 자원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자원 재선택 및 자원 충돌의 확률을 감소시킨다. 차량탑재 단말은 이번에 전송될 제어 정보에 다음번 전송될 자원을 예약하는 정보를 반송할 수 있어, 다른 단말이 상기 차량탑재 단말의 제어 정보를 검출함으로써 이 자원이 상기 차량탑재 단말에 의해 예약 및 사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자원 충돌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을 달성한다.
선택적으로, 차량 대 사물 통신 시스템이 기반한 통신 시스템은 이동 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 연결(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연결(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WiMAX) 통신 시스템, 뉴라디오(New Radio, NR) 또는 미래의 5G 시스템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기기는 차량 탑재 단말 기기일 수 있거나,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 공중 육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은 네트워크 기기를 결합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GSM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LTE 시스템에서의 에볼루션형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으며, 클라우드 무선 접속망(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시나리오의 무선 제어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국, 액세스 노드,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 PLMN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두 가지 모드의 예시적인 설명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기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모든 기술방안은, 차량 대 사물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다른 기기간 직접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상기 단말은 차량탑재 단말, 핸드 헬드 단말, 개인용 정보 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웨어러블 단말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상기 네트워크는 NR 네트워크, LTE 네트워크 등일 수 있다.
실시예 1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였고,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1에 있어서, 단말 기기의 비액세스 계층은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402에 있어서, 상기 비액세스 계층은 기설정된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에 따라,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한다.
단계 S403에 있어서,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비액세스 계층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전송한 후, 상기 액세스 계층은 네트워크 기기에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는 설정된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 사이에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비액세스 계층(NAS, Non-Access Stratum)은 일반적으로 통신 프로토콜 스택에서 단말 및 코어 네트워크 기기 사이에서만 메시지 전송을 지원하는 기능 계층을 지칭한다. 구체적 메시지 타입은, 예를 들어 서비스 구축, 릴리스 또는 이동성 관리 등 타입이며,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 비액세스 계층에서의 프로토콜 엔티티는 이동성 관리, 세션 관리, 서비스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액세스 계층의 경우, 일반적으로 단말과 액세스 기기 사이의 메시지 전송을 위한 기능 계층을 지칭하며, 액세스 기기는 기지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중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 등 네트워크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액세스 계층은 일반적으로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계층 및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 내용에 기반하여, PDCP 복제를 통해 신뢰적 전송을 구현하는 것을 예로 들면, 도 4에 도시된 기술방안에서, 서비스 관리가 비액세스 계층을 통해 수행되고, PDCP 복제 전송의 구현은 액세스 계층을 통해 구현되므로, 단말 액세스 계층이 신뢰적 전송을 구현할 때, 비액세스 계층을 통해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에 대해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액세스 계층 및 네트워크 기기 사이에서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는 것으로 지시할 필요가 있다. 비액세스 계층의 지시에 기반하여, 단말의 액세스 계층으로 하여금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인식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기술방안에서, 일반적으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의 경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는, 일반적으로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되고,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중요도와도 관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는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특성 정보, 또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중요한 특성 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또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정도 정보;
또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
또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에 기반하여, 추가로 설명하면, 기설정된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정도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 타입과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 우선순위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의 비액세스 계층이 미리 구성된 또는 기존의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설정한 상기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신뢰적 전송을 적용하거나, 특정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신뢰적 전송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 비액세스 계층은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또는 서비스 식별자에 따라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카테고리는 신뢰적 전송이 적용되거나, 특정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는 신뢰적 전송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비액세스 계층은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따라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차량 대 사물 통신 V2X 기술에서,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는, 차량 군집 주행(Vehicles Platooning), 어드밴스드 드라이빙(Advanced Driving), 확장된 센서(Extended Sensors), 원격 주행(Remote Driving) 등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는, 신뢰적 전송이 적용되는 것과 신뢰적 전송이 적용되지 않는 것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어, 신뢰적 전송이 적용되는 부분의 서비스 타입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의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비액세스 계층은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신뢰적 전송이 적용되지 않는 부분의 서비스 타입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의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비액세스 계층은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대 사물 통신에서 자율 주행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의 경우, 또한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정도에 따라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정도를 3 가지 등급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저등급 자율 주행, 중등급 자율 주행 및 고등급 자율 주행이며;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 등급 및 자율 정도가 높을수록, 운전자의 수동 제어의 개입 정도는 상응하게 낮아지므로, 데이터의 신뢰성 요구사항도 더 높아진다, 따라서,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율 주행 정도가 높은 부분에 대한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대 사물 통신에서 전송된 데이터 타입에 관해, 마찬가지로 맞춤형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비액세스 계층은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에 따라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차량 대 사물 통신 기술에서,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은 인터텟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데이터, 비 인터넷 프로토콜(Non-IP) 데이터, 디어넷(Ethernet) 데이터, 비 구조적(Unstructed)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이한 데이터 타입의 신뢰적 전송 요구 사항은 상이하며, 예를 들어, IP 데이터는 신뢰적 전송을 수행해야 하지만, Non-IP 데이터 또는 Ethernet 데이터는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데이터 타입이 IP 데이터인 전송될 데이터이면, 비액세스 계층은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데이터 타입이 Non-IP 데이터 또는 Ethernet 데이터인 전송될 데이터이면, 비액세스 계층은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 또한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우선순위에 따라 등급을 나눌 수 있으며, 자율 주행 정도와 유사하게,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신뢰적 전송을 진행할 필요가 더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위의 예시적인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를 획득한 후,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를 기설정된 데이터의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와 매칭하여,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액세스 계층에 제공되는 전송될 데이터의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기반하여, 상기 비액세스 계층이 기설정된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에 따라,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와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가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가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정도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정도 정보가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 타입과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이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 우선순위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기술방안에 대해, 반송파 집성(CA) 기술은 PDCP 복제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액세스 계층이 네트워크 기기에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후,
설정된 반송파 집성 전략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기술방안에 대해, 상술한 내용에서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모두 설명하였고, 하나의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지시하는 것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고, 상기 비액세스 계층이 상기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였고, 단말 비액세스 계층은 전송될 데이터의 관련 설명 정보에 따라 액세스 계층에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지시를 제공하여, 액세스 계층으로 하여금 지시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요청함으로써, 단말의 액세스 계층은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 2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발명 구상에 기반하여,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501에 있어서,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의해 송신된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S502에 있어서, 상기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설정된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는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전송될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므로,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따라 설정된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반송파 집성(CA) 기술에 의해 지원되는 PDCP 복제 기능을 통해 전송을 수행하는 것은 바람직한 신뢰적 전송 방식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예 3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발명 구상에 기반하여,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60)를 제공하였고, 상기 단말 기기(60)는 비액세스 계층에 위치한 획득 부분(601), 비액세스 계층에 위치한 결정 부분(602), 비액세스 계층에 위치한 전송 부분(603) 및 액세스 계층에 위치한 송신 부분(604)을 포함한다.
상기 획득 부분(601)은,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정 부분(602)은, 기설정된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에 따라,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한다.
상기 전송 부분(603)은,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상기 단말 기기(60)의 액세스 계층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송신 부분(604)은, 네트워크 기기에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는 설정된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60)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 사이에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획득 부분(601)에서 획득된,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또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정도 정보;
또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
또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포함한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기설정된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정도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 타입과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 우선순위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결정 부분(602)은,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와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가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고;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가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며;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정도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정도 정보가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며;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 타입과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이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며;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 우선순위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안에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 기기(60)는 비액세스 계층에 위치한 설정 부분(60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부분은 미리 구성된 또는 기존의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송신 부분(604)은, 또한 설정된 반송파 집성 전략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전송 부분(603)은, 또한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지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단말 기기(60)는 D2D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기기이고, V2X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기기일 수도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부분”은 부분 회로, 부분 프로세서, 부분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 등일 수 있으며, 물론 유닛일 수도 있고, 모듈 방식 또는 비모듈 방식일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각 구성 부분은 하나의 처리 유닛 중에 통합될 수 있거나, 각 유닛이 단독적 및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또는 2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통합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통합된 유닛은 독립된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해에 근거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이나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의 전부 또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 또는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의 전부 또는 부분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몇 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이동식 하드 디스크, 롬(ROM, Read 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상기 단말 기기(60) 및 컴퓨터 저장 매체에 기반하여,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60)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하였고,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1), 제1 메모리(802) 및 제1 프로세서(803)를 포함하며;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804)을 통해 서로 커플링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버스 시스템(804)은 이러한 컴포넌트 간의 연결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버스 시스템(804)은 데이터 버스 외에도,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8에서 다양한 버스는 모두 버스시스템(804)으로 표기된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1)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메모리(802)는, 제1 프로세서(803)에서 작동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제1 프로세서(803)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작동될 때,
비액세스 계층이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비액세스 계층이 기설정된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에 따라,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결정하며 -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함 - ;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비액세스 계층이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전송한 후, 상기 액세스 계층이 네트워크 기기에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 - 상기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는 설정된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 사이에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임 - 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제1 메모리(8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역할을 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을 통해, 많은 형태의 RAM이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너스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RAM)이다. 본문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의 제1 메모리(802)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프로세서(803)는 신호의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제1 프로세서(803)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803)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장치, 이산 하드웨어 부품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개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결합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디코팅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 완료되어 구현되며, 또는 디코팅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수행 완료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제1 메모리(802)에 위치하고, 제1 프로세서(803)는 제1 메모리(802)의 정보를 판독하며, 그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문에서 설명된 이러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드웨어 구현에 대해서, 처리 유닛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DSP Device, DSPD), 프로그래머블 논리 기기(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범용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출원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타 전자 유닛 또는 조합 중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대해, 본문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예를 들어, 과정, 함수 등)을 통해 본문에서 설명된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60)에서의 제1 프로세서(803)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작동될 때,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며,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예 4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발명 구상에 기반하여,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 부분(901) 및 데이터 전송 부분(902)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90)를 제공하였고, 여기서,
상기 수신 부분(901)은,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의해 송신된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부분(902)은, 상기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설정된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네트워크 기기(90)는 D2D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이고, 기지국(eNB 또는 gNB)과 같은 V2X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였고, 상기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실시예 2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의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기술방안에서의 설명을 참조하며,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90) 및 컴퓨터 저장 매체에 기반하여,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90)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였고,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1), 제2 메모리(1002) 및 제2 프로세서(1003)를 포함하며;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1004)을 통해 서로 커플링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버스 시스템(1004)은 이러한 컴포넌트 간의 연결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버스 시스템(1004)은 데이터 버스 외에도,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10에서 다양한 버스는 모두 버스시스템(1004)으로 표기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1)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와 정보를 수신 및 송신하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제2 메모리(1002)는, 제2 프로세서(1003)에서 작동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제2 프로세서(1003)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작동될 때,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의해 송신된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설정된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90)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조에서의 구성 부분은, 전술한 기술방안에서의 상응한 부분과 유사하며,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위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비액세스 계층은 전송될 데이터의 관련 설명 정보에 따라 액세스 계층에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지시를 제공하여, 액세스 계층으로 하여금 지시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에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요청함으로써, 단말의 액세스 계층은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Claims (22)

  1.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의 비액세스 계층이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비액세스 계층이 기설정된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에 따라,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비액세스 계층이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이 네트워크 기기에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는 설정된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액세스 계층에 의해 획득된,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또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정도 정보;
    또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
    또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는,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와, 적어도 하나의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정도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 타입과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 우선순위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액세스 계층이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가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가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정도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정도 정보가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 타입과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이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 우선순위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의 비액세스 계층이 미리 구성된 또는 기존의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설정된 반송파 집성 전략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지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비액세스 계층이 상기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차량 대 사물 통신 전송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데이터 전송을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는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맵핑 관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비액세스 계층이 상기 맵핑 관계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 설명 정보에 따라,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 기기의 비액세스 계층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를 획득함 - ;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의해 송신된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는 설정된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을 구성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와, 적어도 하나의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정도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데이터 타입과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데이터 우선순위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을 구성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차량 대 사물 통신 전송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을 구성하는 방법.
  12. 비액세스 계층에 위치한 프로세서 및 액세스 계층에 위치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기설정된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에 따라,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액세스 계층에 위치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기기에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는 설정된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또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정도 정보;
    또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
    또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는,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와, 적어도 하나의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정도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 타입과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 우선순위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가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며;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가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며;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정도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정도 정보가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며;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 타입과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이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며;
    또는, 기설정된 데이터 우선순위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상기 맵핑 관계와 매칭될 때,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액세스 계층에 위치한 프로세서는 또한, 미리 구성된 또는 기존의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컨텐츠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또한, 설정된 반송파 집성 전략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지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차량 대 사물 통신 전송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0. 네트워크 기기로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를 구성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는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신뢰적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맵핑 관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비액세스 계층이 상기 맵핑 관계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 설명 정보에 따라.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 기기의 비액세스 계층이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설명 정보를 획득함 - ;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의해 송신된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신뢰적 전송 요청 메시지는 설정된 신뢰적 전송 전략을 통해 상기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설명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와, 적어도 하나의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자율 주행 정도 정보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데이터 타입과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
    또는, 데이터 우선순위와 신뢰적 전송 지시 정보 사이의 맵핑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차량 대 사물 통신 전송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KR1020237018771A 2018-02-14 2018-02-14 데이터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613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7021390A KR102541408B1 (ko) 2018-02-14 2018-02-14 데이터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PCT/CN2018/076868 WO2019157728A1 (zh) 2018-02-14 2018-02-14 一种数据传输的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390A Division KR102541408B1 (ko) 2018-02-14 2018-02-14 데이터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610A KR20230087610A (ko) 2023-06-16
KR102613847B1 true KR102613847B1 (ko) 2023-12-13

Family

ID=676201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390A KR102541408B1 (ko) 2018-02-14 2018-02-14 데이터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0237018771A KR102613847B1 (ko) 2018-02-14 2018-02-14 데이터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390A KR102541408B1 (ko) 2018-02-14 2018-02-14 데이터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10856312B1 (ko)
EP (1) EP3726743B1 (ko)
JP (1) JP7037660B2 (ko)
KR (2) KR102541408B1 (ko)
CN (2) CN111641442B (ko)
AU (1) AU2018409147B2 (ko)
BR (1) BR112020014798A2 (ko)
CA (1) CA3090434A1 (ko)
MX (1) MX2020008249A (ko)
RU (1) RU2751670C1 (ko)
SG (1) SG11202007452TA (ko)
WO (1) WO20191577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7728A1 (zh) * 2018-02-14 2019-08-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971630B (zh) * 2018-09-29 2021-05-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3498108B (zh) * 2020-03-20 2023-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业务类型调整数据传输策略的芯片、设备以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4110B2 (en) * 1997-07-31 2005-06-07 Francois Trans Channel equalization system and method
KR20130063644A (ko) * 2011-12-07 2013-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2d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계층을 포함하는 단말 및 기지국, 이를 이용한 d2d 베어러 설정 방법
EP2832170A1 (en) * 2012-03-30 2015-02-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Local internet protocol access (lipa) extensions to enable local content sharing
WO2014047933A1 (en) * 2012-09-29 2014-04-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rc message combining
CN104662950A (zh) * 2013-02-06 2015-05-27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和系统
RU2568295C2 (ru) * 2013-08-07 2015-11-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Лаборатория Касперского"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временной защиты операционной системы программно-аппаратных устройств от приложений, содержащих уязвимости
KR102213905B1 (ko) * 2014-08-06 2021-02-10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디바이스-대-디바이스(d2d) 선점 및 액세스 제어
CN105430591B (zh) * 2014-09-05 2019-12-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设备到设备业务恢复的方法、装置以及归属用户服务器
EP3253098B1 (en) * 2015-02-17 2019-05-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Backhaul link establishing method, evolved nodeb and device
TWI816160B (zh) * 2016-01-05 2023-09-21 美商內數位專利控股公司 在傳訊平面上傳送小資料nas協定之增強的裝置及方法
WO2017132995A1 (zh) 2016-02-05 2017-08-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业务传输的方法和装置
US9961713B2 (en) 2016-02-23 2018-05-01 Motorola Mobility Llc Procedures to support network slic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90710B1 (ko) * 2016-03-30 2023-01-19 아이디에이씨 홀딩스, 인크. 5g 플렉시블 rat 시스템의 독립형 l2 프로세싱 및 제어 아키텍처
CN107317653B (zh) * 2016-04-26 2022-06-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14727424A (zh) * 2016-06-15 2022-07-08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用于新无线电的无许可上行链路传输
US11671907B2 (en) * 2016-07-26 2023-06-06 Apple Inc. Device for and method of radio access technology selection among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WO2018117774A1 (ko) * 2016-12-23 2018-06-28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수행하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186552A1 (ko) * 2017-04-02 2018-10-11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241164B (zh) * 2017-05-05 2021-10-2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无线承载重复传输的处理方法及装置
WO2019157728A1 (zh) * 2018-02-14 2019-08-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2243
3GPP S2-18014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904A (ko) 2020-10-22
US20200359397A1 (en) 2020-11-12
EP3726743A1 (en) 2020-10-21
EP3726743A4 (en) 2020-12-30
US10856312B1 (en) 2020-12-01
KR102541408B1 (ko) 2023-06-07
CN111213326A (zh) 2020-05-29
KR20230087610A (ko) 2023-06-16
BR112020014798A2 (pt) 2020-12-08
MX2020008249A (es) 2020-09-25
EP3726743B1 (en) 2024-01-17
SG11202007452TA (en) 2020-09-29
US11582777B2 (en) 2023-02-14
JP2021517379A (ja) 2021-07-15
RU2751670C1 (ru) 2021-07-15
CN111641442B (zh) 2024-01-02
AU2018409147A1 (en) 2020-08-06
US20210029728A1 (en) 2021-01-28
AU2018409147B2 (en) 2023-12-14
CN111641442A (zh) 2020-09-08
CA3090434A1 (en) 2019-08-22
WO2019157728A1 (zh) 2019-08-22
JP7037660B2 (ja)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57387B (zh) 多连接的方法及相关装置
RU2653059C1 (ru) Передача малых объемов данных в беспроводной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US114902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new radio (NR) service in multi-rat dual connectivity (DC)
JP6129974B2 (ja) Wlan及びplmnの選択のためのandsfポリシー
US8874710B2 (en) Access network discovery
US20210029509A1 (en) Position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WO2019157689A1 (zh) 一种信息上报的方法、装置及系统
EP3913963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582777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TWI698138B (zh) 執行存取控制的裝置及方法
US20220368454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Mode in Sidelink, Terminal Apparatus, and Network Apparatus
WO2021022460A1 (zh) 一种会话验证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21528907A (ja) 車両インターネットにおける通信方法及び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装置
WO2019153237A1 (zh) 配置同步载波的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1130339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WO2021035499A1 (zh) 通信方法、设备和通信系统
EP3720188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20077645A1 (zh) 一种参数配置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JP7339381B2 (ja) データ伝送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TW202005443A (zh) 訊息處理方法及其終端設備
JP7426401B2 (ja) 端末の接続方法及び端末
WO2023123218A1 (zh) 网络切片的请求方法、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WO2020042038A1 (zh) 通信方法和设备
KR20220133963A (ko) 접근성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재할당을 이용한 등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