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796B1 - 치과용 임플란트에 치과용 상부구조를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 및 어댑터를 포함한 치과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에 치과용 상부구조를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 및 어댑터를 포함한 치과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796B1
KR102613796B1 KR1020187000405A KR20187000405A KR102613796B1 KR 102613796 B1 KR102613796 B1 KR 102613796B1 KR 1020187000405 A KR1020187000405 A KR 1020187000405A KR 20187000405 A KR20187000405 A KR 20187000405A KR 102613796 B1 KR102613796 B1 KR 102613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dental
attachment portion
root
cr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384A (ko
Inventor
아드리안 하우스
Original Assignee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7240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61379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filed Critical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034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gular adjustment means, e.g. ball and socket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internal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pandable or compressibl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30)에 치과용 상부구조(50)를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1, 1')에 관한 것이다. 어댑터(1, 1')는 치과용 상부구조(50)에 어댑터(1, 1')를 부착하기 위한 치관 부착 부분(2, 2'), 치과용 임플란트(30)에 어댑터(1, 1')를 부착하기 위한 치근 부착 부분(4) 및 치관 부착 부분(2, 2') 및 치근 부착 부분(4) 사이에 배열된 중간 부분(6)을 포함한다. 치근 부착 부분(4)은 어댑터(1, 1')의 치근 단부 부분을 정의하며 치과용 임플란트(30)의 상응하는 리세스(32)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이다. 돌출부는 회전식 대칭이며, 따라서 어댑터(1, 1')는 치과용 임플란트(30)로의 어댑터(1, 1')의 부착의 상태에서 치과용 임플란트(3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치과용 상부구조(50) 및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어댑터(1, 1')를 포함한 치과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에 치과용 상부구조를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 및 어댑터를 포함한 치과용 어셈블리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치과용 상부구조를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치과용 상부구조 및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어댑터를 포함한 치과용 어셈블리 및 치과용 임플란트 및 이러한 어댑터를 포함한 치과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브릿지들과 같은, 치과용 상부구조들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치아가 없는 환자들의 치료를 위해 널리 사용된다. 이들 상부구조들은 어댑터들의 사용으로 또는 그것 없이 환자의 턱뼈에 위치된 치과용 임플란트들에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두 개의 접근법들 중 전자에 대해, 어댑터들은 턱뼈에 배열된 임플란트들에 나사로 조여지며 치과용 상부구조는 어댑터들에 시멘팅(cement)된다. 시멘팅에 의한 어댑터들로의 치과용 상부구조의 부착은 상부구조 및 임플란트 사이에서의 미스핏(misfit)들 또는 오정렬들을 보상하도록 도우며, 따라서 상부구조의 랩-내 밀링을 지원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멘팅된 부착은 실패/허용 오차 보상 특징을 제공한다.
그러나, 어댑터 또는 어댑터들에 치과용 상부구조를 부착하기 위한 시멘트의 사용은 환자의 입에 염증을 야기하는 위험을 가지며 그에 따라 임상적 관점에서 불리하다. 뿐만 아니라, 상부구조가 어댑터 또는 어댑터들에 부착되었다면, 상부구조의 배열 또는 배향에서의 어떤 조정들도 부착을 파괴하지 않고는 이루어질 수 없다.
이러한 염증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멘트화 단계는 임상 환경에서 매우 신중하게 수행되어야 하며, 따라서 치료 절차를 힘들게 한다.
어댑터들의 사용 없이 치과용 임플란트들에 부착되는 치과용 상부구조들의 경우에 대해, 시멘팅된 부착의 부재로 인해,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은 어떤 실패/허용 오차 보상 특징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부구조 및 임플란트들 사이에서 가능한 미스핏들 또는 오정렬들은, 예를 들면, 상부구조에서의 응력 피크들로 인해, 보다 높은 골절의 위험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상부구조 및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들 사이에서의 오정렬들 또는 미스핏들이 보상되도록 허용하며, 그에 따라 골절과 같은, 이들 구성요소들에 대한 손상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들에 치과용 상부구조를 부착하기 위한 신뢰 가능하며 효율적인 접근법에 대한 요구가 남아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2000호(2012.07.20.)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3788호(2010.07.2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071139호(2012.04.1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용 상부구조와 같은 제1 치과용 구성요소를 치과용 임플란트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와 같은, 제2 치과용 구성요소에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것은 상기 제1 및 제2 치과용 임플란트 구성요소, 예를 들면, 상부구조 및 임플란트 사이에서의 오정렬들 또는 미스핏들이 신뢰 가능하며 효율적으로 보상되도록 허용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이러한 어댑터를 포함한 치과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들 목적들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기술적 특징들을 가진 어댑터들에 의해 및 청구항 14 및 청구항 15 중 어느 하나의 특징들을 가진 치과용 어셈블리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로부터 이어진다.
제1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치과용 상부구조와 같은, 제1 치과용 구성요소를 치과용 임플란트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와 같은, 제2 치과용 구성요소에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를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에 상기 어댑터를 부착하기 위한 치관 부착 부분, 상기 제2 치과용 구성요소에 상기 어댑터를 부착하기 위한 치근 부착 부분 및 상기 치관 부착 부분 및 상기 치근 부착 부분 사이에 배열된 중간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치근 부착 부분은 상기 어댑터의 치근 단부 부분을 정의하며 상기 구성요소의 대응하는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이다. 상기 돌출부는 회전식 대칭이며, 따라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2 치과용 구성요소로의 상기 어댑터의 부착의 상태에서 상기 제2 치과용 구성요소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여기에서, 오브젝트, 예를 들면, 상기 돌출부는, 임의의 각도만큼 축(즉, 대칭 축) 주위에서의 그것의 회전이 상기 오브젝트를 그 자체에 매핑시킨다면, 회전식 대칭이다.
여기에서, 용어("치과용 상부구조")는 치과용 브릿지, 예를 들면, Nobel Biocare에 의한 NobelProcera® 임플란트 브릿지와 같은, 다수의 치아 수복을 나타낸다.
상기 돌출부는 치관 부착 부분으로부터 치근 부착 부분을 향한 방향 주위에서, 즉 어댑터의 세로 방향 주위에서 회전식 대칭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치과용 구성요소가 치과용 상부구조이며 상기 제2 치과용 구성요소가 치과용 임플란트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인 경우에,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는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에 상기 어댑터의 치근 부착 부분을 부착, 즉 상기 임플란트/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의 대응하는 리세스로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며, 상기 어댑터의 치관 부착 부분에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어댑터를 통해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어댑터는 첫 번째로 상기 상부구조에 상기 어댑터의 치관 부착 부분을 부착함으로써 상기 상부구조에 부착될 수 있으며, 그 후,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에 상기 어댑터의 치근 부착 부분을 부착, 즉 상기 임플란트/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의 대응하는 리세스로 상기 돌출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치관 부착 부분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치과용 상부구조로의 부착을 위해 스냅 핏 또는 마찰 핏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로의 상기 어댑터의 부착의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돌출부의 회전식 대칭 구성으로 인해,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회전 자유 때문에, 상부구조 및 임플란트 사이에서의 오정렬들 또는 미스핏들이 보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가 상기 임플란트 및 상기 상부구조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를 사용하여 복수의 치과용 임플란트들에 부착되면, 상기 상부구조 또는 상기 임플란트들에서의 응력 피크들 없이 상기 상부구조의 정확하며 신뢰 가능한 맞춤이 보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능한 보다 높은 허용 오차들로 인해,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는 단순하며 비용-효율적인 방식으로, 예로서, 랩-내 밀링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2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치과용 상부구조와 같은 제1 치과용 구성요소를, 치과용 임플란트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와 같은 제2 치과용 구성요소에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를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에 상기 어댑터를 부착하기 위한 치관 부착 부분, 상기 제2 치과용 구성요소에 상기 어댑터를 부착하기 위한 치근 부착 부분, 및 상기 치관 부착 부분 및 상기 치근 부착 부분 사이에 배열된 중간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제1 치과용 구성요소의 치근 부분에 접촉하기 위한 치관 베어링 표면 및 상기 제2 치과용 구성요소의 치관 부분에 접촉하기 위한 치관 베어링 표면의 반대편에 있는 치근 베어링 표면을 갖는다. 상기 중간 부분은 적어도 상기 치근 부착 부분으로부터 상기 치관 부착 부분으로의 방향 및 상기 치관 부착 부분으로부터 상기 치근 부착 부분으로의 방향으로 탄성 또는 소성 변형 가능하다.
상기 중간 부분은 따라서 상기 제1 치과용 구성요소, 예를 들면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를, 상기 제2 치과용 구성요소, 예를 들면,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에 부착하는 방향인, 상기 어댑터의 세로 방향을 따라 탄성 또는 소성 변형 가능하다.
상기 중간 부분은 적어도 상기 어댑터의 세로 방향을 따라 탄성 또는 소성 변형 가능하므로, 상기 제1 치과용 구성요소, 예를 들면 상기 상부구조, 및 상기 제2 임플란트 구성요소, 예를 들면, 상기 임플란트 사이에서의 오정렬들 또는 미스핏들이 보상된다. 그러므로, 상기 상부구조, 상기 어댑터 및 상기 임플란트에서의 응력 누적이 방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상부구조, 상기 어댑터 및 상기 임플란트 내에서, 예를 들면, 상기 환자의 씹기 움직임들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응력을 균일하게 분배하는, 변형 가능한 로딩 부재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들 구성요소들 중 임의의 것의 골절의 위험이 상당히 감소된다.
게다가, 상기 중간 부분이 상기 어댑터를 통해 상기 임플란트로의 상기 상부구조의 부착 또는 고정 시 탄성 또는 소성 변형될 때, 상기 상부 구조 및 상기 임플란트 사이에서의 갭은 상기 중간 부분에 의해 신뢰 가능하게 밀봉되며, 따라서 상기 갭으로의 세균의 진입을 방지하며 염증 또는 감염의 위험을 추가로 감소시킨다.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가, 이하에서 상세히 논의될 바와 같이, 나사의 사용에 의해 어댑터를 통해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에 고정되면, 상기 변형 가능한 중간 부분은 또한 고정 로딩 부재로서 동작하여, 나사의 헐거워짐을 방지하며, 그러므로 상기 상부 구조의 특히 신뢰 가능한 맞춤을 보장한다.
상기 중간 부분은, 0.05 내지 0.50 mm,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0.40 mm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30 mm의 범위에서, 상기 어댑터의 세로 방향에서의 두께, 예로서 상기 치관 베어링 표면 및 상기 치근 베어링 표면 사이에서의 거리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 부분은 0.2 mm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중간 부분은, 금속, 예를 들면, 티타늄, 티타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보강 폴리머 등과 같은, 폴리머와 같은, 연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티타늄은 중간 부분을 위한 특히 바람직한 재료이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 부분은 금속, 특히 티타늄으로 만들어지며, 0.05 내지 0.50 mm,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0.40 mm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30 mm의 범위에서의 두께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 부분은 티타늄으로 만들며 0.2 mm의 두께를 갖는다.
제3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치과용 상부구조와 같은, 제1 치과용 구성요소를, 치과용 임플란트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와 같은, 제2 구성요소에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를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 치과용 구성요소에 상기 어댑터를 부착하기 위한 치관 부착 부분, 상기 제2 치과용 구성요소에 상기 어댑터를 부착하기 위한 치근 부착 부분, 및 상기 치관 부착 부분 및 상기 치근 부착 부분 사이에 배열된 중간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치관 부착 부분 및/또는 상기 치근 부착 부분은 적어도 상기 치근 부착 부분으로부터 상기 치관 부착 부분으로의 방향, 즉 어댑터의 세로 방향에 수직인 모든 방향들에서 탄성 또는 소성 변형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 및 상기 임플란트 사이에서의 임의의 오정렬들 또는 미스핏들이 상기 치관 부착 부분 및/또는 상기 치근 부착 부분의 탄성 또는 소성 변형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상기 상부구조, 상기 어댑터 또는 상기 임플란트에서 응력 누적 또는 응력 피크들의 형성이 회피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 구성요소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한, 골절과 같은, 손상의 위험을 최소화한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치관 부착 부분 및 상기 치근 부착 부분 양쪽 모두는 적어도 상기 치근 부착 부분으로부터 상기 치관 부착 부분으로의 방향에 수직인 모든 방향들에서 탄성 또는 소성 변형 가능하다.
상기 치관 부착 부분 및/또는 상기 치근 부착 부분은 0.05 내지 0.80 mm,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0.60 mm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0.50 mm의 범위에서의 상기 어댑터의 세로 방향에 수직인 방향들로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벽 두께를 갖는, 중공 또는 관형 실린더와 같은, 중공 또는 관형 몸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관 부착 부분 및/또는 상기 치근 부착 부분은 금속, 예를 들면, 티타늄, 티타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보강 폴리머 등과 같은, 폴리머와 같은, 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티타늄은 상기 치관 부착 부분 및/또는 상기 치근 부착 부분을 위한 특히 바람직한 재료이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치관 부착 부분 및/또는 상기 치근 부착 부분은 금속, 특히 티타늄으로 만들어지며, 0.10 내지 0.50 mm의 범위에서의 벽 두께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양상들에 따른 어댑터에 대해, 상기 치관 부착 부분 및/또는 상기 치근 부착 부분은 적어도 상기 치근 부착 부분으로부터 상기 치관 부착 부분으로의 방향에 수직인 모든 방향들에서 탄성 또는 소성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 및 상기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들 사이에서의 특히 높은 자유도가 보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상부구조, 상기 어댑터 및 상기 임플란트에 대한 손상의 위험을 추가로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어댑터에 대해,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의 치근 부분에 접촉하기 위한 치관 베어링 표면 및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관 부분에 접촉하기 위한 상기 치관 베어링 표면의 반대편에 있는 치근 베어링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상기 치근 부착 부분으로부터 상기 치관 부착 부분으로의 방향 및 상기 치관 부착 부분으로부터 상기 치근 부착 부분으로의 방향에서 탄성 또는 소성 변형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상기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들에 대한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의 배열에 대해 특히 높은 자유도를 제공하며, 따라서 이들 구성요소들에서 응력의 임의의 형성을 최소화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중간 부분 외에,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상기 어댑터는 적어도 치근 부착 부분으로부터 치관 부착 부분으로의 방향에 수직인 모든 방향들에서 탄성 또는 소성 변형 가능한 상기 치관 부착 부분 및/또는 상기 치근 부착 부분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적어도 상기 어댑터의 세로 방향을 따라 탄성 또는 소성 변형 가능한 상기 중간 부분 및 적어도 상기 어댑터의 세로 방향에 수직인 모든 방향들에서 탄성 또는 소성 변형 가능한 상기 치관 부착 부분 및/또는 상기 치근 부착 부분을 가진 본 발명의 어댑터의 경우에 대해, 치과용 상부구조 및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의 오정렬들 또는 미스핏들이 모든 3개의 치수들에서 신뢰 가능하게 보상된다는 것이 특히 신뢰 가능하게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어댑터의 중간 부분은 상기 어댑터의 나머지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예로서 상기 어댑터의 세로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들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어댑터의 중간 부분은 실질적으로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관 부착 부분으로부터 상기 치근 부착 부분으로의 방향, 즉 상기 어댑터의 세로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 있다. 상기 치관 베어링 표면 및 상기 치근 베어링 표면은 상기 중간 부분의 고리의, 각각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고리 형태는, 예로서, 상기 임플란트로의 상기 상부구조의 부착 또는 고정 동안 또는 환자의 씹기 움직임들 동안, 상기 어댑터 상에 작용하는 힘들의 특히 균일하고 균질한 분포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상기 상부구조, 상기 어댑터 및 상기 임플란트에서의 임의의 응력 누적이 특히 신뢰 가능하게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댑터는 상기 치관 부착 부분으로부터 상기 치근 부착 부분으로의 방향, 즉 상기 어댑터의 세로 방향으로 상기 어댑터를 통해 연장되는 관통 홀(through hole)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는 상기 어댑터에 형성된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하는 나사에 의해 상기 어댑터를 통해 상기 임플란트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는 상기 나사의 헤드를 유지하기 위해 나사 시트를 갖는 관통 홀을 제공받을 수 있다. 나사의 스레딩 하부 부분은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에 형성된 스레딩 보어로 삽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상부구조는 상기 나사에 의해 상기 어댑터를 통해 상기 임플란트에 신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 홀을 상기 어댑터에 제공함으로써, 상부 구조 및 임플란트 사이에서의 가역적 고정 연결, 즉 쉽게 해제될 수 있는 연결이 획득된다. 그러므로, 상기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들에 대해 상기 어댑터 또는 어댑터들 또는 상부구조를 배치할 때 임의의 에러들 또는 편차들은 단순하며 비-파괴적 방식으로 교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떤 시멘트도 상기 상부구조를 상기 임플란트에 신뢰 가능하며 단단히 부착하기 위해 요구되지 않으며, 따라서 환자의 입에서의 염증의 위험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나사는 15 내지 50 Ncm,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5 Ncm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Ncm의 범위에서의 조임 토크를 갖고 치과용 임플란트에 고정 가능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임 토크는 35 Ncm이다.
상기 치관 부착 부분, 상기 치근 부착 부분 및 상기 중간 부분은 상이한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치관 부착 부분, 상기 치근 부착 부분 및 상기 중간 부분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비 제한적인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으로 만든 상기 어댑터의 및 상기 어댑터의 일 부분 또는 부분의 영률(young's modulus)은 적어도 105 GPa일 수 있다. 상기 영률은 또한 105 내지 120 GPa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치관 부착 부분, 상기 치근 부착 부분 및 상기 중간 부분 중 하나, 둘, 또는 모두는 금속, 예를 들면, 티타늄, 티타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보강 폴리머 등과 같은, 폴리머와 같은, 연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체 어댑터는 이러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댑터는, 예를 들면, 밀링, 예로서 CNC 밀링 또는 CNC 터닝과 같은, 공제 방법에 의해, 사출 성형에 의해 또는 선택적 레이저 소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어댑터는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 비용들이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어댑터의 중간 부분은 상기 중간 부분 전체에 걸쳐 상기 치관 부착 부분으로부터 상기 치근 부착 부분으로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중간 부분 전체에 걸쳐, 씹기 힘들과 같은, 외부 힘들의 특히 균질한 분포가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어댑터의 치관 부착 부분은,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의 치근 부분에 형성된 대응하는 공동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돌출부와, 가요성 암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요소를 포함한 스냅 핏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상부구조에 신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스냅 핏 배열은 각각의 돌출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냅 핏 배열은 둘 이상의 가요성 요소들, 3 이상의 가요성 요소들 또는 4 이상의 가요성 요소들과 같은, 각각의 돌출부들을 가진 복수의 가요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요소들의 돌출부들은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의 치근 부분에 형성된 하나의 대응하는 공동 또는 복수의 대응하는 공동들에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가요성 요소들, 예를 들면 3개의 가요성 요소들을 갖는 것은 상기 상부구조에 대해 상기 어댑터의 자동-조정(self-centring)을 허용한다.
상기 스냅 핏 배열은 5 내지 150 N,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0 N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N의 범위에서의 유지력을 갖고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와 연결되어 상기 치관 부착 부분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스냅 핏 배열을 가진 치관 부착 부분을 포함한 어댑터는 유리하게는 환자의 입으로 도입될 임상 어댑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냅 핏 배열은 상기 어댑터 및 그에 따라 또한 상기 임플란트로의 상기 상부구조의 특히 신뢰 가능한 부착을 보장한다. 그러므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상부구조에 대해 그것의 위치에서 단단히 유지되어, 환자의 입에서 상기 상부구조의 배치를 용이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어댑터의 치관 부착 부분은 마찰 핏에 의해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치관 부착 부분은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의 대응하는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돌출부 및 리세스 사이에서 마찰에 의해 이러한 리세스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 핏의 경우에 대해,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에 연결하여 상기 치관 부착 부분의 유지력은 5 내지 150 N,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0 N,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N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마찰 핏에 의해 상기 상부구조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치관 부착 부분을 가진 어댑터는 유리하게는, 예를 들면, 상기 상부구조의 생산 단계 동안, 사용될 실험실 또는 랩 어댑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어댑터 및 상부구조 사이에서의 상기 마찰 핏은 상이한 제조 단계들 동안, 예로서, 상기 상부구조가 상이한 장치들에 부착되며 그로부터 분리될 때 간단한 방식으로 상기 어댑터가 그로부터 제거되도록 허용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구조로부터의 상기 어댑터의 용이한 제거로 인해, 그것은 실험실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상기 랩 어댑터의 상기 치근 부착 부분 및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임상 어댑터의 각각, 상기 치근 부착 부분 및 상기 중간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어댑터의 중간 부분은 치과용 상부구조와 같은, 제1 치과용 구성요소의 치근 부분에 접촉하기 위한 치관 베어링 표면, 및 치과용 임플란트와 같은, 제2 치과용 구성요소의 치관 부분에 접촉하기 위한 상기 치관 베어링 표면의 반대편에 있는 치근 베어링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치관 베어링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볼록한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치근 베어링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오목한 부분을 가질 수 있고 및/또는 상기 치관 베어링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한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치근 베어링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볼록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어댑터의 세로 방향으로 곡선형, 휜형, 파상 또는 물결 형태를 가져서, 이러한 부분이 이 방향을 따라 특히 신뢰 가능하며 효율적으로 변형 가능함을 보장한다.
상기 치관 베어링 표면은 단지 하나, 즉 단일의, 볼록한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치근 베어링 표면은 단지 하나의 대응하는 오목한 부분을 가질 수 있고 및/또는 상기 치관 베어링 표면은 단지 하나의 오목한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치근 베어링 표면은 단지 하나의 대응하는 볼록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중간 부분은 곡선 또는 휜 형태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상기 치관 베어링 표면은 하나 이상의 볼록한 부분들 및 하나 이상의 오목한 부분들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치근 베어링 표면은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오목한 부분들 및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볼록한 부분들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어댑터의 둘레, 바람직하게는 전체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는 파상 또는 물결 형태를 중간 부분에 제공한다. 상기 중간 부분의 이러한 파상 또는 물결 형태는, 상기 중간 부분 상에 작용하는, 씹기 힘들과 같은 외부 힘들이 상기 중간 부분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됨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어댑터는, 컬러 코드와 같은, 마킹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마킹은 상기 어댑터의 부정확한 사용이 방지됨을 보장한다. 예를 들면, 컬러 코드와 같은 마킹은 상기 치관 부착 부분 및/또는 상기 치근 부착 부분의 외부 직경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마킹은 또한 임상 어댑터 대신에 랩 어댑터의 사용을 피하도록 도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어댑터는, 예로서 환자의 입에서의 부착 상태에서, 그것의 시각적으로 양호한 외관을 위해 마킹되고, 컬러링되거나 또는 컬러-코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는 치과용 브릿지, 예로서 Procera® 임플란트 브릿지와 같은, 치과용 상부구조를 치과용 임플란트에 부착하기에 적합하여, 상기 상세히 설명된 기술적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어댑터는 또한 유리하게는 단일 치아 수복, 개방 또는 폐쇄 트레이 인상 포스트들과 같은, 인상 채득 구성요소, 구강-내 스캐닝 또는 데스크 탑 스캐닝 로케이터, 치유 지대주, 일시적 수복 또는 최종 수복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치과용 임플란트(일반적으로 "치과용 구성요소들"로서 불리우는)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어댑터는 오정렬들 또는 미스핏들이 보상되도록 허용하는 이점을 제공하며, 따라서 이들 치과용 구성요소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한, 골절과 같은, 손상의 위험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면, 세라믹, 금속, 폴리머 또는 복합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치과용 상부구조와 같은 제1 치과용 구성요소를 치과용 임플란트와 같은 제2 치과용 구성요소에 부착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어댑터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어댑터들을 포함한 세트를 추가로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어댑터들의 각각은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에 상기 어댑터를 부착하기 위한 치관 부착 부분, 상기 제2 치과용 구성요소에 상기 어댑터를 부착하기 위한 치근 부착 부분, 및 상기 치관 부착 부분 및 상기 치근 부착 부분 사이에 배열된 중간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어댑터들 중 하나의 상기 치근 부착 부분 및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어댑터들 중 다른 하나의, 각각 상기 치근 부착 부분 및 상기 중간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어댑터들 중 하나의 상기 치관 부착 부분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어댑터들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치관 부착 부분과 상이하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어댑터들 중 하나의 상기 치관 부착 부분은 상기 치과용 구성요소의 치근 부분에 형성된 대응하는 공동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돌출부와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요소를 포함한 스냅 핏 배열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어댑터들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치관 부착 부분은 상기 치과용 구성요소의 대응하는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이다.
상기 설명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어댑터들 중 하나는 유리하게는 임상 어댑터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적어도 두 개의 어댑터들 중 다른 하나는 유리하게는 랩 어댑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어댑터들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치관 부착 부분은 마찰 핏에 의해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어댑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컬러 코드와 같은, 마킹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임상 어댑터 및 상기 랩 어댑터가 뒤섞이지 않는다는 것이 신뢰 가능하게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및 치과용 상부구조를 포함한 치과용 어셈블리를 추가로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과용 어셈블리는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어댑터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이러한 어댑터들 및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개의 이러한 어댑터들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치과용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 임플란트,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치과용 임플란트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치과용 임플란트들 및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개의 치과용 임플란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어셈블리는 본 발명의 어댑터들에 대해 상기 상세하게 이미 설명된 효과들 및 이점들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와 같은, 제1 치과용 구성요소, 및 상기 제1 치과용 구성요소에 제2 치과용 구성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를 포함한 치과용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에 상기 어댑터를 부착하기 위한 치관 부착 부분, 상기 제1 치과용 구성요소에 상기 어댑터를 부착하기 위한 치근 부착 부분, 및 상기 치관 부착 부분 및 상기 치근 부착 부분 사이에 배열된 중간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치근 부착 부분은 상기 어댑터의 치근 단부 부분을 정의하며 상기 제1 치과용 구성요소의 대응하는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이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어댑터가 상기 제1 치과용 구성요소로의 상기 어댑터의 부착의 상태에서 상기 제1 치과용 구성요소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치과용 어셈블리는 적어도 두 개의 치과용 임플란트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치과용 임플란트들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개의 치과용 임플란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어셈블리는 적어도 두 개의 어댑터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어댑터들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개의 어댑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어셈블리는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로의 상기 어댑터의 부착의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그러므로, 어댑터 및 임플란트 사이에서의 이러한 회전 자유 때문에, 상부구조 및 임플란트 사이에서의 오정렬들 또는 미스핏들이 보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가 복수의 어댑터들을 사용하여 복수의 치과용 임플란트들에 부착된다면, 상기 상부구조 또는 상기 임플란트들에서 응력 피크들 없이 상기 상부구조의 정확하고 신뢰 가능한 맞춤이 보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능한 보다 높은 허용 오차들로 인해,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는 간단하며 비용-효율적인 방식으로, 예로서 랩-내 밀링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는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나사의 스레딩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스레딩 보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치관 부착 부분으로부터 상기 치근 부착 부분으로의 방향으로 상기 어댑터를 통해 연장된 관통 홀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 및 상기 어댑터는 가역적 방식으로 상기 임플란트에 고정될 수 있어서, 상기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염증의 위험을 추가로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치과용 상부구조는 예를 들면, 세라믹, 금속, 폴리머 또는 복합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는, 예를 들면, 티타늄, 티타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또는 세라믹 또는 PEEK와 같은 폴리머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도 1(a)는 어댑터의 투시도이고, 도 1(b)는 어댑터의 측면도이며, 도 1(c)는 도 1(b)에서의 영역(Y)의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도 2(a)는 도 1(b)에서 라인(A-A)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2(b)는 어댑터의 상면도이며 도 2(c)는 도 2(a)에서의 영역(Z)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도 3(a)는 어댑터의 투시도이고, 도 3(b)는 어댑터의 측면도이며, 도 3(c)는 도 3(b)에서의 영역(Y)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도 4(a)는 도 3(b)에서 라인(A-A)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4(b)는 어댑터의 상면도이며, 도 4(c)는 도 4(a)에서의 영역(Z)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어댑터가 부착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상부구조의 부분을 도시하며, 여기에서 도 5(a)는 부분의 투명 상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서 라인(C-C)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5(b)에서의 영역(Y)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상부구조의 부분을 도시하며, 여기에서 도 6(a)는 도 5(a)에서 라인(A-A)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6(b)는 부분의 투명 상면도이고, 도 6(c)는 도 5(b)에서의 영역(Z)의 확대도이며, 도 6(d)는 부분의 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의해(도 7(a)) 및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의해(도 7(b)) 치과용 임플란트로의 부착의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의 치과용 상부구조의 부분을 도시한다;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상부구조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도 8(a)는 하부 턱의 모형으로의 부착의 상태에서 치과용 상부구조의 투시도이며, 도 8(b)는 그것에 부착된 본 발명에 따른 5개의 어댑터들을 도시한 치과용 상부구조의 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이제 수반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치과용 상부구조를 부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를 도시한다.
어댑터(1)는 치과용 상부구조(도 7 및 도 8 참조)에 어댑터(1)를 부착하기 위한 치관 부착 부분(2) 및 치과용 임플란트(도 7 참조)에 어댑터(1)를 부착하기 위한 치근 부착 부분(4), 및 치관 부착 부분(2) 및 치근 부착 부분(4) 사이에 배열된 중간 부분(6)을 포함한다. 치근 부착 부분(4)은 어댑터(1)의 치근 단부 부분을 정의하며 치과용 임플란트(도 7 참조)의 대응하는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이다. 돌출부는 회전식 대칭이며, 따라서 어댑터(1)는 임플란트로의 어댑터(1)의 부착의 상태에서 치과용 임플란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돌출부는 원형 단면을 가진 실린더로서 형성된다.
전체 어댑터(1)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어댑터는, 예를 들면, 밀링에 의해, 사출 성형에 의해, 터닝에 의해 또는 선택적 레이저 소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6)은 실질적으로 고리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리는 치관 부착 부분(2)으로부터 치근 부착 부분(4)으로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6)은, 대체로 직각으로, 치관 부착 부분(2) 및 치근 부착 부분(4)을 포함한, 어댑터(1)의 나머지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중간 부분(6)은 치과용 상부구조의 치근 부분에 접촉하기 위한 치관 베어링 표면(8) 및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관 부분에 접촉하기 위한 치관 베어링 표면(8)의 반대편에 있는 치근 베어링 표면(10)을 갖는다(도 1(a), 도 1(b), 도 2(a), 도 2(b) 및 도 7(a) 참조). 중간 부분(6)은 중간 부분(6) 전체에 걸쳐 치관 부착 부분(2)으로부터 치근 부착 부분(4)으로의 방향에서 대체로 일정한 두께, 즉, 치관 베어링 표면(8) 및 치근 베어링 표면(10) 사이에서 일정한 거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부분(6)의 두께는 대략 0.2 mm이다.
상기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전체 어댑터(1) 및, 그에 따라, 또한 중간 부분(6)은 금속, 바람직하게는 티타늄으로 만들어진다. 뿐만 아니라, 중간 부분(6)은 대략 0.2 mm의 일정한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중간 부분은 가변적인 또는 변화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 부분은 둘 이상의 상이한 두께들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중간 부분(6)은 치근 부착 부분(4)으로부터 치관 부착 부분(2)으로의 방향 및 치관 부착 부분(2)으로부터 치근 부착 부분(4)으로의 방향으로, 즉 어댑터(1)의 세로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하다.
치관 부착 부분(2) 및 치근 부착 부분(4)은, 도 1(a) 및 도 2(b)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공 몸체들, 특히 대체로 원형 단면을 가진 중공 실린더들로서 형성된다. 치관 부착 부분(2) 및 치근 부착 부분(4)의 벽 두께는 0.1 내지 0.5 mm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0.2 mm이다. 게다가, 치관 부착 부분(2) 및 치근 부착 부분(4)은, 상기 표시된 바와 같이, 금속, 바람직하게는 티타늄으로 만들어진다. 치관 부착 부분(2) 및 치근 부착 부분(4)은 따라서 치근 부착 부분(4)으로부터 치관 부착 부분(2)으로의 방향에 수직인 모든 방향들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공된 설명들로부터 이어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는 치근 부착 부분(4)으로서 회전식 대칭 돌출부를 갖고, 중간 부분(6)은 어댑터(1)의 세로 축을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하며 치관 부착 부분(2) 및 치근 부착 부분(4)은 어댑터(1)의 세로 축에 수직인 모든 방향들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다.
그러므로, 어댑터(1)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치과용 상부구조를 부착할 때 최대 자유를 제공하여, 오정렬들 또는 미스핏들이 모든 3개의 치수들에서 신뢰 가능하게 보상되도록 허용한다. 그러므로, 치과용 상부구조, 어댑터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에서의 응력 누적 또는 응력 피크들의 형성이 회피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 구성요소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한, 골절과 같은, 손상의 위험을 최소화한다.
어댑터(1)는 치관 부착 부분(2)으로부터 치근 부착 부분(4)으로의 방향에서 어댑터(1)를 통해 연장되는 관통 홀(12)(도 1(a), 도 2(a) 및 도 2(b) 참조)을 추가로 포함한다. 그러므로, 치과용 상부구조는 어댑터(1)의 관통 홀(12) 및 상부구조를 통해 나사를 통과시키며 치과용 임플란트(도 7(a) 참조)에 정의된 스레딩 보어로 나사를 삽입함으로써 어댑터(1)를 통해 치과용 임플란트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어댑터(1) 및 치과용 상부구조는 가역적 방식으로 치과용 임플란트에 고정될 수 있다. 어떤 시멘트도 이러한 고정 연결을 위해 요구되지 않으므로, 환자의 입에서의 염증 위험이 또한 추가로 감소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는 치과용 상부구조(도 1(a), 도 1(c), 도 2(a), 도 2(c), 도 5(b), 도 6(c) 및 도 7(a) 참조)의 치근 부분에 형성된 대응하는 공동 또는 대응하는 공동들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각각의 돌출부들(16)과, 3개의 가요성 요소들(14), 즉 가요성 암들을 포함한 스냅 핏 배열을 갖는다. 가요성 요소들(14)은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치관 부착 부분(2)의 벽에서 주변 재료를 잘라냄으로써 형성된다. 가요성 요소들(14)은 대략 중간 부분(6)의 레벨 또는 높이에서 어댑터(1)의 나머지에 연결되며 치근 부착 부분(4)으로부터 치관 부착 부분(2)으로의 방향으로 이러한 연결로부터 연장된다.
스냅 핏 배열은 7 내지 100 N의 범위에서의 유지력을 갖고 치과용 상부구조와 연결하여 치관 부착 부분(2)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치관 부착 부분(2)은 스냅 핏 배열을 통해 치과용 상부구조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어서, 임상 어댑터로서 어댑터(1)의 신뢰 가능한 사용이 환자의 입에 도입되도록 허용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를 도시한다. 제2 실시예의 어댑터(1')의 치근 부착 부분 및 중간 부분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의 각각 치근 부착 부분(4) 및 중간 부분(6)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그것의 반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는 단지 치관 부착 부분(2')이 상이한 부착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를 위해 이용된 바와 같은 스냅 핏 배열보다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의 치관 부착 부분(2')은 마찰 핏 배열을 갖는다.
도 3(a) 내지 도 3(c), 도 4(a) 및 도 4(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마찰 핏 배열은 3개의 가요성 요소들(18), 즉 3개의 가요성 암들을 포함한다. 가요성 요소들(18)은 치관 부착 부분(2')으로부터 주변 재료를 잘라냄으로써 형성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의 가요성 요소들(14)과 대조적으로, 이들 가요성 요소들(18)은 치관 부착 부분(2')(도 3(a) 내지 도 3(c) 및 도 4(a) 및 도 4(c) 참조)의 치관 단부에서 어댑터(1')의 나머지에 연결된다. 가요성 요소들(18)은 치관 부착 부분(2')으로부터 치근 부착 부분으로의 방향으로 이러한 연결로부터 연장된다.
마찰 핏 배열은 7 내지 100 N의 범위에서의 유지력을 갖고 치과용 상부구조와 연결하여 치관 부착 부분(2')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가요성 요소들(18)을 가진 치관 부착 부분(2')은 치과용 상부구조의 대응하는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이다. 가요성 요소들(18)에 의해 발생된 마찰 또는 유지력으로 인해, 어댑터(1')는 치과용 상부구조에 연결되어 유지되지만 비-파괴적 방식으로 그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어댑터(1')는 유리하게는 실험실 또는 랩 어댑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어댑터(1')는 제조 프로세스에서의 상이한 단계들 동안, 예를 들면 상부구조가 상이한 장치들에 부착되며 그로부터 분리될 때 치과용 상부구조로부터 그것의 제거를 허용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는 임상 및 실험실 목적들을 위해 어댑터들의 세트에서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제1 및 제2 실시예들에 따른 어댑터들(1, 1')의 치관 부착 부분들(2, 2')을 수용하기 위한 부착 구조를 포함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상부구조의 부분(20)을 도시한다.
도 5(a), 도 5(b), 도 6(a), 도 6(b) 및 도 6(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구조의 부분(20)은 측 표면으로부터 그것의 치근 부분(24)으로 부분(20)을 통해 연장된 관통 홀(22)을 갖는다. 관통 홀(22)은 그것 상에 나사 헤드를 받치기 위한 나사 시트(26)를 포함한다(도 7 참조).
치과용 상부구조는,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그것의 치관 측으로부터, 즉 부분(20)의 측 표면으로부터 관통 홀(22)로 나사를 도입하고, 상부구조의 부분(20)의 치근 부분(24)에 부착된 어댑터(1, 1')의 관통 홀(12)을 통해 나사를 통과시키며 치과용 임플란트에 형성된 스레딩 보어로 나사를 삽입함으로써 치과용 임플란트에 고정될 수 있다. 나사의 나사 헤드는 관통 홀(22)에 제공된 나사 시트(26) 상에서 받친다.
치과용 상부구조의 부분(20)의 측 표면에서의 관통 홀(22)의 치관 개구의 배열은 이러한 개구가 상부구조상에서의 최상부 뷰에서 가시적이지 않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치과용 상부구조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관통 홀(22)은 상부구조의 치근 부분(24)으로부터 치근 단부로 실질적으로 직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치과용 상부구조의 치근 부분(24)은, 도 5(a), 도 5(b) 및 도 6(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의 가요성 요소들(14)의 돌출부들(16)을 수용하기 위해 고리형 공동(28)을 갖고 형성된다. 그러므로, 임상 어댑터(1)의 치관 부착 부분(2)은 관통 홀(22)(도 7(a) 참조)의 치근 단부 내에서 단단히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그 부분(20)이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되는, 치과용 상부구조는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치관 부착 부분(2')은 관통 홀(22)의 치근 단부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로 삽입되며 가요성 요소들(18)에 의해 관통 홀(22)(도 7(b) 참조)의 치근 단부의 내부 벽으로 인가된 마찰력에 의해 제 위치에서 유지된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치과용 상부구조의 부분(20)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도 7(a))에 의해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도 7(b))에 의해 치과용 임플란트(30)에 부착되는 상태들을 도시한다.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임플란트(30)는 치근 부착 부분(4)을 수용하기 위해, 임플란트(30)의 치관 단부에 형성된 어댑터(1, 1')의 치근 부착 부분(4)에 대응하는 리세스(32)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30)는 임플란트(30)의 치근 방향으로 리세스(32) 아래에서 연장된 스레딩 보어(34)를 갖는다. 게다가, 임플란트(30)는 환자의 턱뼈로 임플란트(30)를 나사로 조이기 위해 외부 스레딩 부분(35)을 갖는다.
임플란트(30)는, 금속, 예를 들면, 티타늄, 티타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다. 임플란트(30)는 또한 세라믹 또는 PEEK와 같은 폴리머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것의 부분(20)이 도 7에 도시되는 치과용 상부구조를 임플란트(30)에 부착할 때, 어댑터(1, 1')는 임플란트(30)의 대응하는 리세스(32)에 치근 부착 부분(4)을 삽입함으로써 임플란트(30)에 부착된다. 임플란트(30)로의 어댑터(1, 1')의 부착 상태에서, 어댑터(1, 1')의 치근 베어링 표면(10)은 임플란트(30)의 치관 부분(36)에 접촉해 있다. 뿐만 아니라, 치과용 상부구조는 치관 부착 부분(2, 2')을 관통 홀(22)의 치근 단부로 삽입함으로써 어댑터(1, 1')에 부착된다. 어댑터(1, 1')로의 치과용 상부구조의 부착 상태에서, 치관 베어링 표면(8)은 상부구조의 치근 부분(24)에 접촉해 있다.
치관 부착 부분(2, 2')은 어댑터(1)의 경우에 대해(도 7(a) 참조) 고리형 리세스(28)와 어댑터(1)의 가요성 요소들(14)의 돌출부들(16)의 맞물림에 의해 및 어댑터(1')의 경우에 대해(도 7(b) 참조) 가요성 요소들(18)에 의해 가해진 마찰력으로 인한 마찰 핏에 의해 치근 부분(24)에 연결되어 유지된다.
이러한 부착 상태에서 치과용 상부구조, 어댑터(1, 1') 및 임플란트(30)를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해, 나사(40)는 치과용 상부구조의 관통 홀(22)의 치관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관통 홀(22)의 치근 개구를 통해 통과되고, 어댑터(1, 1')의 관통 홀(12)을 통해 통과되며, 임플란트(30)의 스레딩 보어(34)로 삽입된다. 도 7에서, 나사(40)는 절반이 삽입된 상태에서 도시된다.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40)의 하부 스레딩 부분(42)은 스레딩 보어(34) 내에 완전히 수용되며 나사(40)의 나사 헤드(44)는 나사 시트(26)에 기초하며, 그에 의해 그것들의 상대적 위치들에서 상부 구조, 어댑터(1, 1') 및 임플란트(30)를 확고하게 유지한다.
상기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어댑터(1, 1')의 치근 부착 부분(4)은 회전식 대칭인 돌출부, 즉 원형 단면을 가진 실린더이다. 따라서, 나사(40)를 조이기 전에, 어댑터(1, 1')는 임플란트(30)의 대응하는 리세스(32)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중간 부분(6)은 어댑터(1, 1')의 세로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하며 치관 부착 부분(2, 2') 및 치근 부착 부분(4)은 어댑터(1, 1')의 세로 방향에 수직인 모든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그러므로, 치과용 상부구조 및 임플란트(30)의 임의의 오정렬들 또는 미스핏들은 모든 3개의 치수들에서 신뢰 가능하게 보상될 수 있다.
도 8은 어댑터들(1, 1')을 통해, 도 7에 도시된 임플란트들(30)과 같은, 각각의 임플란트들로의 부착을 위해 5개의 부분들(20)(도 5 내지 도 7 참조)을 가진 치과용 상부구조(50)를 도시한다.
치과용 상부구조(50)는 예로서, 티타늄 프레임과 같은 금속 프레임, 및 금속 프레임을 커버하는 포세린 베니어(porcelain veneer)를 가진, 다수의 치아 수복이다. 예를 들면, NobelProcera® 임플란트 브릿지는 치과용 상부구조(50)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치과용 상부구조(50)는 세라믹으로 만들어진다. 치과용 상부구조(50)는 또한 베니어링되지 않은 전체 윤곽 수복일 수 있다.
도 8(b)는 부분들(20)의 관통 홀들(22)의 각각의 치근 단부 부분들로 삽입된 5개의 랩 어댑터들(1')을 가진 치과용 상부구조(50)의 투시 저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어댑터들(1')은 마찰 핏에 의해 상부구조(50)에 대해 그것들의 위치들에서 유지된다.
도 8(a)은 치과용 상부구조(50)가 어댑터들(1') 및 턱뼈 모형(60)에서 제공된 대응하는 치과용 임플란트들(도시되지 않음)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에 의해 환자의 하부 턱 뼈(60)의 모형에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특히, 도 8(a)은 상부구조(50)의 치관 단부 표면에서 배열된 관통 홀(22)의 치관 개구를 가진 두 개의 부분들(20a) 및 상부구조(50)의 측 표면(또한 도 5 내지 도 7 참조)에서 배열된 관통 홀(22)의 치관 개구를 가진 하나의 부분(20(b))을 도시한다.
게다가, 도 8(a)는,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부착 상태에서 치과용 상부구조(50), 어댑터들(1') 및 임플란트들을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해, 도 7에서 도시된 나사들(40)과 같은, 나사들을 관통 홀들(22)의 치관 개구들로 삽입하며 나사들을 조이기 위한 나사 드라이버 툴(70)을 도시한다.
치과용 상부구조(50)는 대체로 턱뼈 모형(60)에 대해 도 8(a)에 예시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환자의 턱뼈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임플란트들(30)과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들은 턱뼈에 나사로 조여질 수 있다. 이들 임플란트들이 턱뼈에 골 유착되면, 치과용 상부구조(50)는, 상기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어댑터들(1) 및 나사들에 의해 임플란트들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제2 실시예에 따른 랩 어댑터들(1')보다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임상 어댑터들(1)이 사용되어, 환자가 어댑터를 삼키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스냅 핏에 의해 상부구조(50)에 대해 그것들의 위치들에서 어댑터들(1)이 유지되도록 한다.
치근 부착 부분들(4)의 회전 가능한 배열 및 어댑터들(1, 1')의 치관 부착 부분(2'), 치근 부착 부분(4) 및 중간 부분(6)의 변형 가능성으로 인해, 치과용 상부구조(50) 및 임플란트들 사이에서의 오정렬 또는 미스핏이 모든 3개의 치수들에서 신뢰 가능하며 효율적으로 보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변형 가능한 중간 부분(6)은 상부구조(50), 어댑터들(1, 1') 및 임플란트들에서 응력 누적을 감소시키며 상부구조(50), 어댑터들(1, 1') 및 임플란트들 내에서, 씹기 힘들과 같은, 응력을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해 로딩 부재로서 동작한다. 게다가, 변형 가능한 중간 부분(6)은 또한 나사들(40)의 헐거워짐을 방지하며 상부구조(50) 및 임플란트들 사이에서의 갭을 신뢰 가능하게 밀봉하고(도 7 참조), 따라서 상부구조(50) 및 임플란트들 사이에서의 연결에서 세균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17)

  1. 치과용 상부구조와 같은, 제1 치과용 구성요소(50)를, 치과용 임플란트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와 같은, 제2 치과용 구성요소(30)에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1, 1')로서,
    상기 어댑터(1, 1')를 제1 치과용 구성요소(50)에 부착하기 위한 치관 부착 부분(2, 2');
    상기 어댑터(1, 1')를 제2 치과용 구성요소(30)에 부착하기 위한 치근 부착 부분(4); 및
    상기 치관 부착 부분(2, 2') 및 상기 치근 부착 부분(4) 사이에 배열된 중간 부분(6)을 포함하되;
    상기 치근 부착 부분(4)은 상기 어댑터(1, 1')의 치근 단부 부분을 정의하며 상기 제2 치과용 구성요소(30)의 상응하는 리세스(32)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이며,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회전식 대칭이며, 따라서 상기 어댑터(1, 1')는 상기 제2 치과용 구성요소(30)로의 상기 어댑터(1, 1')의 부착의 상태에서 상기 제2 치과용 구성요소(30)에 대해 회전 가능한, 어댑터(1, 1').
  2. 치과용 상부구조와 같은, 제1 치과용 구성요소(50)를, 치과용 임플란트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와 같은, 제2 치과용 구성요소(30)에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1, 1')로서,
    상기 어댑터(1, 1')를 상기 제1 치과용 구성요소(50)에 부착하기 위한 치관 부착 부분(2, 2');
    상기 어댑터(1, 1')를 상기 제2 치과용 구성요소(30)에 부착하기 위한 치근 부착 부분(4); 및
    상기 치관 부착 부분(2, 2') 및 상기 치근 부착 부분(4) 사이에 배열된 중간 부분(6)을 포함하되;
    상기 중간 부분(6)은 상기 제1 치과용 구성요소(50)의 치근 부분(24)에 접촉하기 위한 치관 베어링 표면(8) 및 상기 제2 치과용 구성요소(30)의 치관 부분(36)에 접촉하기 위한 상기 치관 베어링 표면(8)의 반대편에 있는 치근 베어링 표면(10)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중간 부분(6)은 적어도 상기 치근 부착 부분(4)으로부터 상기 치관 부착 부분(2, 2')으로의 방향 및 상기 치관 부착 부분(2, 2')으로부터 상기 치근 부착 부분(4)으로의 방향으로 탄성 또는 소성 변형 가능한, 어댑터(1, 1').
  3. 치과용 상부구조와 같은, 제1 치과용 구성요소(50)를, 치과용 임플란트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와 같은, 제2 치과용 구성요소(30)에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1, 1')로서,
    상기 어댑터(1, 1')를 상기 제1 치과용 구성요소(50)에 부착하기 위한 치관 부착 부분(2, 2');
    상기 어댑터(1, 1')를 상기 제2 치과용 구성요소(30)에 부착하기 위한 치근 부착 부분(4); 및
    상기 치관 부착 부분(2, 2') 및 상기 치근 부착 부분(4) 사이에 배열된 중간 부분(6)을 포함하되,
    상기 치관 부착 부분(2, 2') 및/또는 상기 치근 부착 부분(4)은 적어도 상기 치근 부착 부분(4)으로부터 상기 치관 부착 부분(2, 2')으로의 방향에 수직인 모든 방향들로 탄성 또는 소성 변형 가능한, 어댑터(1, 1').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치관 부착 부분(2, 2') 및/또는 상기 치근 부착 부분(4)은 적어도 상기 치근 부착 부분(4)으로부터 상기 치관 부착 부분(2, 2')으로의 방향에 수직인 모든 방향들로 탄성 또는 소성 변형 가능한, 어댑터(1, 1').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분(6)은 상기 제1 치과용 구성요소(50)의 치근 부분(24)에 접촉하기 위한 치관 베어링 표면(8) 및 상기 제2 치과용 구성요소(30)의 치관 부분(36)에 접촉하기 위한 상기 치관 베어링 표면(8)의 반대편에 있는 치근 베어링 표면(10)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중간 부분(6)은 적어도 상기 치근 부착 부분(4)으로부터 상기 치관 부착 부분(2, 2')으로의 방향 및 상기 치관 부착 부분(2, 2')으로부터 상기 치근 부착 부분(4)으로의 방향으로 탄성 또는 소성 변형 가능한, 어댑터(1, 1').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분(6)은 실질적으로 고리 형태를 가지는, 어댑터(1, 1').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관 부착 부분(2, 2')으로부터 상기 치근 부착 부분(4)으로의 방향으로 상기 어댑터(1, 1')를 통해 연장된 관통 홀(12)을 더 포함하는, 어댑터(1, 1').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관 부착 부분(2, 2'), 상기 치근 부착 부분(4) 및 상기 중간 부분(6)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어댑터(1, 1').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분(6)은 상기 중간 부분(6) 전체에 걸쳐 상기 치관 부착 부분(2, 2')으로부터 상기 치근 부착 부분(4)으로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어댑터(1, 1').
  10.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치관 베어링 표면(8)은 적어도 하나의 볼록한 부분 또는 오목한 부분을 가지며, 상기 치근 베어링 표면(10)은 적어도 하나의 상응하는 오목한 부분 또는 볼록한 부분을 갖는, 어댑터(1, 1').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관 부착 부분(2, 2')은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의 치근 부분(24)에 형성된 상응하는 공동(28)서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돌출부(16)와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요소(14)를 포함한 스냅 핏(snap fit) 배열을 갖는, 어댑터(1, 1').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관 부착 부분(2, 2')은 상기 치과용 상부구조의 상응하는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그리고 마찰 핏에 의해 이러한 리세스에서 유지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갖는, 어댑터(1, 1').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 1')는 컬러 코드와 같은, 마킹을 갖는, 어댑터(1, 1').
  14. 치과용 어셈블리에 있어서, 치과용 상부구조와 같은, 치과용 구성요소 및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1, 1')를 포함하는, 치과용 어셈블리.
  15. 치과용 임플란트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사체와 같은, 제1 치과용 구성요소(50), 및 치과용 상부구조와 같은, 제2 치과용 구성요소(30)를 상기 제1 치과용 구성요소(50)에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1, 1')를 포함한 치과용 어셈블리로서, 상기 어댑터(1, 1')는:
    상기 어댑터(1, 1')를 상기 제2 치과용 구성요소(30)에 부착하기 위한 치관 부착 부분(2, 2');
    상기 어댑터(1, 1')를 상기 제1 치과용 구성요소(50)에 부착하기 위한 치근 부착 부분(4); 및
    상기 치관 부착 부분(2, 2') 및 상기 치근 부착 부분(4) 사이에 배열된 중간 부분(6)을 포함하되;
    상기 치근 부착 부분(4)은 상기 어댑터(1, 1')의 치근 단부 부분을 정의하며 상기 제1 치과용 구성요소(50)의 상응하는 리세스(32)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이며,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어댑터(1, 1')가 상기 어댑터(1, 1')의 상기 제1 치과용 구성요소(50)로의 부착의 상태에서 상기 제1 치과용 구성요소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치과용 어셈블리.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분(6)은 상기 치관 부착 부분(2, 2')으로부터 상기 치근 부착 부분(4)으로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 있는, 어댑터(1, 1').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관 부착 부분(2, 2'), 상기 치근 부착 부분(4) 및 상기 중간 부분(6)은 금속 또는 폴리머로 만들어지는, 어댑터(1, 1').
KR1020187000405A 2015-07-24 2016-07-14 치과용 임플란트에 치과용 상부구조를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 및 어댑터를 포함한 치과용 어셈블리 KR102613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78182 2015-07-24
EP15178182.0 2015-07-24
PCT/EP2016/066819 WO2017016893A1 (en) 2015-07-24 2016-07-14 Adapter for attaching a dental superstructure to a dental implant and dental assembly comprising the adap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384A KR20180034384A (ko) 2018-04-04
KR102613796B1 true KR102613796B1 (ko) 2023-12-15

Family

ID=5372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405A KR102613796B1 (ko) 2015-07-24 2016-07-14 치과용 임플란트에 치과용 상부구조를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 및 어댑터를 포함한 치과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490997B2 (ko)
EP (1) EP3324877B1 (ko)
JP (1) JP7017412B2 (ko)
KR (1) KR102613796B1 (ko)
CN (2) CN107666880A (ko)
AU (1) AU2016299226B2 (ko)
BR (1) BR112017025452B1 (ko)
CA (1) CA2985446A1 (ko)
ES (1) ES2935592T3 (ko)
WO (1) WO2017016893A1 (ko)
ZA (1) ZA2017075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2052B1 (fr) * 2017-01-26 2021-07-16 Anthogyr Sa Ensemble de composants pour la restauration prothetique dentaire
FR3062053B1 (fr) * 2017-01-26 2021-07-16 Anthogyr Sa Piece intermediaire de fixation
US20220168066A1 (en) * 2019-03-08 2022-06-02 Straumann Holding Ag A dental drill guiding system
LU101149B1 (en) * 2019-03-11 2020-09-18 Jade Finance S A R L Tool assembly for mounting of a dental prosthesis an method of mounting
KR20210088884A (ko) 2020-01-07 2021-07-15 권현정 어버트먼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1139A (ja) 2010-09-29 2012-04-12 Ivoclar Vivadent Ag 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GB2509135A (en) 2012-12-21 2014-06-25 Nobel Biocare Services Ag An abutment with conical metal adapter
WO2015066438A1 (en) 2013-11-01 2015-05-07 Chien-Ping Ju Double-cushioned dental implant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09000A (en) 1929-11-06 1933-05-16 Myerson Simon Dental anchorage
US3934347A (en) * 1975-01-14 1976-01-27 Lash Oral Implants Dental prosthetic structure and method
CA2002840A1 (en) 1988-11-16 1990-05-16 Stuart J. Filhol Dental equipment and method
DE3909580A1 (de) 1988-11-24 1990-10-18 Imz Fertigung Vertrieb Enossales implantat mit elastischem zwischenelement und metall-distanzhuelse
US5195891A (en) 1990-12-06 1993-03-23 Sulc Josef M Adjustable dental implant system
US5281140A (en) * 1991-01-02 1994-01-25 Core-Vent Corporation Multi-part, multi-positionable abutment for use with dental implants
US5362235A (en) 1993-05-17 1994-11-08 Fereidoun Daftary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interlockable angled abutment assembly
EP0868889B1 (de) 1997-03-21 1998-11-04 Dinkelacker, Wolfgang, Dr. med. dent. Zahnimplantat
US6540514B1 (en) 1998-02-26 2003-04-01 Theodore S. Falk Method for isolating a dental implant
US6394806B1 (en) 1999-09-14 2002-05-28 Nobel Biocare Usa, Inc Snap-in healing cap
US6644969B2 (en) 1999-09-14 2003-11-11 Nobel Biocare Ab Snap-in healing cap and insertion tool
GB0213774D0 (en) 2002-06-15 2002-07-24 Osseobiotek Ltd Prosthesis
AU2003234889A1 (en) * 2003-04-17 2004-11-04 Wolfgang Dinkelacker Jaw implant
ES2335301T3 (es) * 2006-11-10 2010-03-24 Straumann Holding Ag Soporte de fundicion para un implante dental.
EP1925267A1 (de) * 2006-11-27 2008-05-28 Straumann Holding AG Angussabutment mit verbesserter Geometrie
US8038442B2 (en) 2007-04-23 2011-10-18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and dental component connection
EP2417928B2 (de) 2007-09-17 2019-03-06 Straumann Holding AG Verbindungsanordnung zwischen einem Dentalimplantat und einem Abutment
WO2009060415A2 (en) * 2007-11-09 2009-05-14 Southern Implants (Pty) Ltd Dental implant adaptor
US8033826B2 (en) * 2007-11-15 2011-10-11 Biomet 3I, Llc Two-piece dental abutment system
GB0807113D0 (en) * 2008-04-18 2008-05-21 Neoss Ltd Locking ring
US20090298013A1 (en) 2008-05-27 2009-12-03 Daniel Baruc Inclined dental abutment assembly device
US8246870B2 (en) 2009-06-01 2012-08-21 Layton Grant H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of use
EP2281527A1 (de) * 2009-07-27 2011-02-09 Straumann Holding AG Adapter zum Übertragen eines Drehmoments auf den Aufbauteil eines Dentalimplantats
CN102625679A (zh) 2009-09-09 2012-08-01 丹塔尔伊诺维森有限公司 牙桥附接系统和方法
WO2011138029A1 (de) 2010-05-05 2011-11-10 Holger Zipprich Dentalimplantat
CN201831973U (zh) * 2010-09-16 2011-05-18 吕·路克 人工牙根植体的纤维支柱材料与结构
WO2012040056A1 (en) 2010-09-23 2012-03-29 Biomet 3I, Llc Dental abutment system
DE102010051176A1 (de) * 2010-11-15 2012-05-16 Urs Brodbeck Dental-Implantat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ntal-Implantatsystems
JP2014516731A (ja) 2011-06-08 2014-07-17 ゼスト、アイピー、ホールディングス、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ー、カンパニー 固定された取り外し可能な歯科用アタッチメント装置、組合体及び当該装置及び組合体を使用する方法
AT511608B1 (de) 2011-08-12 2013-01-15 Redtenbacher Praez Steile Gmbh Zahnersatz
SE538150C2 (sv) * 2012-07-11 2016-03-22 Heraeus Kulzer Nordic Ab En skruvkanalsriktande anordning för en dental superstrukturoch metoder för att tillverka en dental superstruktur
EP2922492B1 (en) * 2012-11-20 2021-11-03 Advanced Implant Intellectual Properties, LLC Universal aligning adaptor system
GB2509138A (en) 2012-12-21 2014-06-25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component with screw fixation
GB2509136A (en) * 2012-12-21 2014-06-25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component with metal adapter
MX2015008786A (es) * 2013-01-07 2016-04-11 Edvin Elsner Unidad de fijacion de dispositivo dental asegurada resilientemente en implantes y/o unidad de fijacion de dispotivo dental asegurada en implantes que permiten el ajuste opcional de posicion angular.
EP2983611B1 (en) 2013-04-09 2019-05-22 Biomet 3i, LLC Dental implant with coded upper surface
PT2829250T (pt) * 2013-07-26 2020-08-20 Sic Invent Ag Implante dentário, pilar, sistema de implante e conjunto de implantação
JP2015123323A (ja) 2013-12-27 2015-07-06 林 揚春 歯科用アバットメ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歯科インプラン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1139A (ja) 2010-09-29 2012-04-12 Ivoclar Vivadent Ag 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GB2509135A (en) 2012-12-21 2014-06-25 Nobel Biocare Services Ag An abutment with conical metal adapter
WO2015066438A1 (en) 2013-11-01 2015-05-07 Chien-Ping Ju Double-cushioned dental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299226A1 (en) 2017-12-07
CA2985446A1 (en) 2017-02-02
ES2935592T3 (es) 2023-03-08
JP2018524046A (ja) 2018-08-30
CN107666880A (zh) 2018-02-06
ZA201707534B (en) 2019-01-30
WO2017016893A1 (en) 2017-02-02
BR112017025452B1 (pt) 2021-05-04
EP3324877A1 (en) 2018-05-30
JP7017412B2 (ja) 2022-02-08
EP3324877B1 (en) 2022-12-07
CN117717425A (zh) 2024-03-19
US20180206945A1 (en) 2018-07-26
KR20180034384A (ko) 2018-04-04
AU2016299226B2 (en) 2021-05-06
BR112017025452A2 (pt) 2018-08-07
US11490997B2 (en) 202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3796B1 (ko) 치과용 임플란트에 치과용 상부구조를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 및 어댑터를 포함한 치과용 어셈블리
KR102302292B1 (ko)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임프레션 포스트 용 몰드
US5829981A (en) One-piece impression coping for customized implant restorative systems
ES2861515T3 (es) Sistema para conectar una restauración dental a un implante dental
ES2300690T3 (es) Sistema de implante en una sola etapa.
US6149433A (en) One-piece impression coping for customized implant restorative systems
KR10196640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EP2086451B1 (en) Device for securing a dental attachment to an implant
US20050136378A1 (en) Implant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JP2012517861A (ja) インプラントと共に使用される構成要素、および関連する方法
WO2011156668A2 (en) Component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temporary prosthetics
JP2023100996A (ja) 界面を備えた歯科コンポーネント
US20190029779A1 (en) Dental fitting attachable to a dental component and dental assembly comprising the dental fitting
WO2006084346A1 (en) Implant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and kit comprising the same
EP3071141B1 (en) Dental implant
HU231077B1 (hu) Szerelvény fogműnek egy fogászati implantátumhoz való rögzítésére
US20190247150A1 (en) Dental component for a dental restoration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dental component
JP2013520253A (ja) アタッチメント部材及び歯科修復物
US10682208B2 (en) Abutment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10024189A (ko) 침하방지 단차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KR101909323B1 (ko) 치아 임플란트
US11980525B2 (en) Dual fixation system for prosthesis on dental implants that allows the prosthesis to be screwed or clip retained as appropriate
WO2024055089A1 (pt) Base, parafuso e intermediário permutável para fixação de prótese dentária a um implante dentário e componente protético para fixação de prótese dentária a um implante dentário
BR102022018233A2 (pt) Base, parafuso e intermediário permutável para fixação de prótese dentária a um implante dentário e componente protético para fixação de prótese dentária a um implante dentário
EP3402437A1 (en) Dental fitting attachable to a dental component and dental assembly comprising the dental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