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496B1 - 릴레이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릴레이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496B1
KR102613496B1 KR1020210085099A KR20210085099A KR102613496B1 KR 102613496 B1 KR102613496 B1 KR 102613496B1 KR 1020210085099 A KR1020210085099 A KR 1020210085099A KR 20210085099 A KR20210085099 A KR 20210085099A KR 102613496 B1 KR102613496 B1 KR 102613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witch
control signal
turne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951A (ko
Inventor
이재근
Original Assignee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5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496B1/ko
Priority to EP22833511.3A priority patent/EP4365923A1/en
Priority to PCT/KR2022/009000 priority patent/WO2023277455A1/ko
Priority to CN202280045540.4A priority patent/CN117616536A/zh
Publication of KR20230001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2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50/443Connections to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레이 스위치 및 릴레이 스위치와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릴레이 코일을 포함하는 릴레이과,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1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온 또는 오프되어 릴레이 코일에 제1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1 스위치와, 릴레이 코일 및 제1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는 제어 저항과, 제1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기와, 제2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온 또는 오프되어 릴레이 코일에 제1 전류 보다 높은 제2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릴레이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릴레이 구동 장치{APPARATUS FOR DRIVING RELAY}
본 발명은 릴레이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릴레이 구동 시 온도를 저감할 수 있는 릴레이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저장 장치(예컨대, 배터리)와 부하 사이의 전력 공급선로 상에는 릴레이가 구비된다. 이러한 릴레이는 선택적으로 폐회로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릴레이는 스위칭 동작을 위해 릴레이 코일을 포함한 릴레이 구동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릴레이 구동 회로는 릴레이 코일과 연결되어 릴레이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릴레이 구동 회로는 릴레이 코일을 여기(energize)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턴-온되도록 하고, 릴레이 코일을 비여기(de-energize)시켜 릴레이가 턴-오프되도록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릴레이 구동 회로가 릴레이 코일을 여기 또는 비여기시키는 동작은 릴레이 코일에 연결된 스위치를 턴-온시키거나 턴-오프시키는 스위칭 제어 동작에 의해 수행된다.
한편, 릴레이의 온(On) 구동 초기에 릴레이 코일로 고전류를 흘려 릴레이 스위치의 접점 접속을 확실하게 보장하고, 이후, 릴레이 스위치의 접점 접속이 된 상태에서는 저전류로도 릴레이 스위치의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릴레이 코일로 저전류를 흘려 릴레이의 온도를 저감하는 릴레이 구동 회로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제어 신호를 펄스 형태로 스위치에 인가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방식이 이용되고 있지만, 이 제어 방식은 스위칭에 따라 발생되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로 인해 릴레이의 신뢰성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2개의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여 스위치를 제어하는 경우, 제어부에 추가적인 핀이 필요하며, 특히 제어부에서 다수의 릴레이를 제어하는 경우 릴레이 수만큼의 핀들이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릴레이의 온도를 저감할 수 있는 릴레이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제어 신호를 이용해 순차적으로 두 개의 제어 신호가 출력됨으로써 두 개의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릴레이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릴레이 스위치 및 릴레이 스위치와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릴레이 코일을 포함하는 릴레이와,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1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온 또는 오프되어 릴레이 코일에 제1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1 스위치와, 릴레이 코일 및 제1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는 제어 저항과, 제1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기와, 제2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온 또는 오프되어 릴레이 코일에 제1 전류 보다 높은 제2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릴레이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1 스위치는 제1 제어 신호가 하이 레벨이면 턴-온되고, 제1 제어 신호가 로우 레벨이면 턴-오프되며, 제2 스위치는 제2 제어 신호가 하이 레벨이면 턴-온되고, 제2 제어 신호가 로우 레벨이면 턴-오프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생성기는, 제1 제어 신호를 제1 또는 제2 시구간만큼 지연 시킨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시간 조절 회로와, 제1 및 제3 제어 신호가 서로 다른 레벨이면 하이 레벨의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1 및 제3 제어 신호가 동일 레벨이면 로우 레벨의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XOR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시구간은 제1 시구간 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가 하이 레벨의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제1 스위치는 턴-온되고, 제2 스위치는 턴-온된 후 제1 시구간 이후 턴-오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가 로우 레벨의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제1 스위치는 턴-오프되고, 제2 스위치는 턴-온되고 제2 시구간 이후 턴-오프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스위치가 모두 턴-온되면, 릴레이 코일에 제2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시간 조절 회로는 저항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지는 저역통과필터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시구간은 저항의 저항값 및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릴레이의 온(On) 구동 초기에 릴레이 코일로 고전류를 흘려 릴레이 스위치의 접점 접속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고, 이후, 릴레이 스위치의 접점 접속이 된 상태에서는 저전류로도 릴레이 스위치의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릴레이 코일로 저전류를 흘려 릴레이의 온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 동작 시 제어부에서 하나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순차적으로 두 개의 제어 신호가 출력됨으로써 두 개의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어 신호를 펄스 형태로 인가하는 종래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시 발생되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고, 기존 제어부에서 2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핀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장치의 신호 생성기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장치의 릴레이 온 동작 시 신호 흐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장치의 릴레이 온 동작 시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장치의 릴레이 오프 동작 시 신호 흐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장치의 릴레이 오프 동작 시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수단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용어는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또는 B”“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위 용어는 각 구성요소의 순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장치는 릴레이(100), 제어부(200), 제1 스위치(410), 제어 저항(415), 신호 생성기(300) 및 제2 스위치(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릴레이(100)는 릴레이 스위치(110) 및 릴레이 코일(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코일(120)은 릴레이 스위치(110)와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110)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릴레이 코일(12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기력이 생성되고 이러한 자기력에 의해 릴레이 스위치(110)의 접점이 개폐하게 된다.
제어부(200)는 제1 제어 신호(S1)를 출력하여 릴레이(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릴레이 코일(120)의 일단에는 구동 전압(Vcc)이 인가되고, 제1 스위치(SW1)(410) 및 제2 스위치(SW2)(420)의 일단은 릴레이 코일(120) 타단에 각각 병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스위치(SW1)(410) 및 제2 스위치(SW2)(420)의 타단은 각각 접지와 연결되고, 릴레이 코일(120) 및 제1 스위치(410) 사이에는 제어 저항(415)이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스위치(410)가 턴-온되면 릴레이 코일(120) 및 제1 스위치(410)를 따라 전류 경로가 형성되고, 제2 스위치(420)가 턴-온되면 릴레이 코일(120) 및 제2 스위치(420)를 따라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스위치(410) 및 제2 스위치(420)가 모두 턴-온되면, 제어 저항(415)으로 인해 릴레이 코일(120) 및 제2 스위치(420)를 따라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제1 스위치(410)는 제어부(200)로부터 제1 제어 신호(S1)를 입력 받아 온 또는 오프되어 릴레이 코일(120)에 제1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신호 생성기(300)는 제1 제어 신호(S1)를 입력 받아 제2 제어 신호(S2)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제2 스위치(420)는 신호 생성기(300)로부터 제2 제어 신호(S2)를 입력 받아 온 또는 오프되어 릴레이 코일(120)에 제2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류는 제어 저항(415)으로 인해 제1 전류 보다 높다.
제1 스위치(410)는 제1 제어 신호(S1)가 하이 레벨이면 턴-온되고, 제1 제어 신호(S1)가 로우 레벨이면 턴-오프된다. 그리고, 제2 스위치(420)는 제2 제어 신호(S2)가 하이 레벨이면 턴-온되고, 제2 제어 신호(S2)가 로우 레벨이면 턴-오프된다.
또한, 제1 스위치(410) 및 제2 스위치(420) 중 제1 스위치(410)만 턴-온되면 릴레이 코일(120)에 제1 전류가 흐르고, 제2 스위치(420)만 턴-온되면 릴레이 코일(120)에 제2 전류가 흐른다. 이와 달리, 제1 스위치(410) 및 제2 스위치(420)가 모두 턴-온되면 제어 저항(415)으로 인해 릴레이 코일(120)에 제2 전류가 공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장치의 신호 생성기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신호 생성기(300)는 신호 조절 회로(310) 및 XOR 회로(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간 조절 회로(310)는 제1 제어 신호(S1)를 제1 시구간(T1) 또는 제2 시구간(T2)만큼 지연 시킨 제3 제어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조절 회로(310)는 저항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지는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 LPF)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XOR 회로(320)는, 논리 회로의 일종으로서, 제어부(200)로부터 제1 제어 신호(S1)을 입력 받고, 시간 조절 회로(310)로부터 제3 제어 신호(S1`)을 입력 받아, 제1 제어 신호(S1) 및 제3 제어 신호(S1`)가 서로 다른 레벨이면 하이(High) 레벨의 제2 제어 신호(S2)를 생성하고, 제1 제어 신호(S1) 및 제3 제어 신호(S1`)가 동일 레벨이면 로우(Low) 레벨의 제2 제어 신호(S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장치의 릴레이 온 동작 시 신호 흐름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장치의 릴레이 온 동작 시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00)가 하이 레벨의 제1 제어 신호(S1)를 출력하면, 제1 스위치(410)는 턴-온되고, 제2 스위치(420)는 턴-온된 후 제1 시구간(T1) 이후 턴-오프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가 t1 시점에 하이(High; H) 레벨의 제1 제어 신호(S1)를 출력하면, 제1 스위치(410)는 t1 시점에 바로 하이(H) 레벨의 제1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바로 턴-온된다. 즉, 제1 제어 신호는 로우 레벨을 유지하다고 t1 시점에 하이 레벨로 변환된다.
그리고, 시간 조절 회로(310)는 t1 시점에 제1 제어 신호(S1)를 입력 받아 제1 제어 신호(S1)를 제1 시구간(T1)만큼 지연 시켜 t2 시점에 하이(H) 레벨의 제3 제어 신호(S1`)를 출력한다. 즉, 제3 제어 신호(S1`)는 로우 레벨을 유지하다가 t2 시점 하이 레벨로 변환된다.
그리고, XOR 회로(320)는 t1 시점에 하이(H) 레벨의 제1 제어 신호(S1) 및 로우(L) 레벨의 제3 제어 신호(S1`)을 입력 받고, t2 시점에 하이(H) 레벨의 제1 제어 신호(S1) 및 하이(H) 레벨의 제3 제어 신호(S1`)을 입력 받게 된다.
이에 따라, XOR 회로(320)는 t1 시점에 하이(H) 레벨의 제2 제어 신호(S2)를 출력하고, t2 시점에 로우(L) 레벨의 제2 제어 신호(S2)를 출력하게 된다. 즉, 제2 제어 신호(S2)는 로우 레벨을 유지하다가 t1 시점에 하이 레벨로 변환되고, t2 시점 로우 레벨로 변환된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t1 시점에 제1 스위치(410) 및 제2 스위치(420)가 모두 턴-온되어, 제어 저항(415)으로 인해 릴레이 코일(120) 및 제2 스위치(420)를 따라 전류 경로(점선으로 표시)가 형성된다.
이후, 제1 스위치(410)는 온 상태가 유지되고, t2 시점에 제2 스위치(420)가 턴-오프되어, 릴레이 코일(120) 및 제1 스위치(410)를 따라 전류 경로(실선으로 표시)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어 저항(415)으로 인해 점선으로 표시된 전류 경로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실선으로 표시된 전류 경로로 흐르는 전류 보다 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장치는, 릴레이의 온(On) 구동 초기에 릴레이 코일(120)로 고전류를 흘려 릴레이 스위치(110)의 접점 접속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의 접점 접속이 된 상태에서는 저전류로도 릴레이 스위치(110)의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릴레이 코일(120)로 저전류를 흘려 릴레이(100)의 온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장치는, 상기 제어 동작 과정 시 제어부(200)에서 하나의 제1 제어 신호(S1)를 출력하면, 순차적으로 제1 제어 신호(S1) 및 제2 제어 신호(S2)가 출력됨으로써 제1 스위치(410) 및 제2 스위치(420)의 온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어 신호를 펄스 형태로 인가하는 종래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시 발생되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고, 기존 제어부에서 2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핀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장치의 릴레이 오프 동작 시 신호 흐름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장치의 릴레이 오프 동작 시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00)가 로우 레벨의 제1 제어 신호(S1)를 출력하면, 제1 스위치(410)는 턴-오프되고, 제2 스위치(420)는 턴-온되고 제2 시구간(T2) 이후 턴-오프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가 t3 시점에 로우(Low; L) 레벨의 제1 제어 신호(S1)를 출력하면, 제1 스위치(410)는 t3 시점에 바로 로우(L) 레벨의 제1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바로 턴-오프된다. 즉, 제1 제어 신호(S1)는 하이 레벨을 유지하다가 t3 시점 로우 레벨로 변환된다.
그리고, 시간 조절 회로(310)는 t3 시점에 제1 제어 신호(S1)를 입력 받아 제1 제어 신호(S1)를 제2 시구간(T2)만큼 지연 시켜 t4 시점에 로우(L) 레벨의 제3 제어 신호(S1`)를 출력한다. 즉, 제3 제어 신호(S1`)는 하이 레벨을 유지하다가 t4 시점 로우 레벨로 변환된다.
그리고, XOR 회로(320)는 t3 시점에 로우(L) 레벨의 제1 제어 신호(S1) 및 하이(H) 레벨의 제3 제어 신호(S1`)을 입력 받고, t4 시점에 로우(L) 레벨의 제1 제어 신호(S1) 및 로우(L) 레벨의 제3 제어 신호(S1`)을 입력 받게 된다.
이에 따라, XOR 회로(320)는 t3 시점에 하이(H) 레벨의 제2 제어 신호(S2)를 출력하고, t4 시점에 로우(L) 레벨의 제2 제어 신호(S2)를 출력하게 된다. 즉, 제2 제어 신호(S2)는 로우 레벨을 유지하다가 t3 시점에 하이 레벨로 변환되고 t4 시점 로우 레벨로 변환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t3 시점에 제1 스위치(410)는 턴-오프되고 제2 스위치(420)는 턴-온되어, 릴레이 코일(120) 및 제2 스위치(420)를 따라 전류 경로(실선으로 표시)가 형성된다.
이후, t4 시점에 제2 스위치(420)가 턴-오프되어, 릴레이 코일(120)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구동 장치는, 제어부(200)에서 하나의 제1 제어 신호(S1)를 출력하면, 순차적으로 제1 제어 신호(S1) 및 제2 제어 신호(S2)가 출력됨으로써 제1 스위치(410) 및 제2 스위치(420)의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어 신호를 펄스 형태로 인가하는 종래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시 발생되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고, 기존 제어부에서 2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핀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한편, 릴레이(100)의 온(On) 구동 시 릴레이 코일(120)로 고전류를 수 ms 시간 이상 공급해야 릴레이 스위치(110)의 접점 접속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릴레이(100)의 오프(Off) 구동 시 제어 신호에 즉각적으로 반응해야 릴레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조절 회로(310)는 제1 시구간(T1) 및 제2 시구간(T2)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ON 시간 조절 및 OFF 시간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조절 회로(310)는, 제1 시구간(T1)을 수 ms 이상 길게 설정하여 릴레이 접점 시간을 확보할 수 있고, 제2 시구간(T2)을 최대한 짧게 설정하여 릴레이 오프 시간을 맞출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구간(T1) 또는 제2 시구간(T2)은 시간 조절 회로(310)를 구성하는 저항의 저항값 및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가변 저항 또는 가변 커패시터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시간 조절 회로(310)는 제2 시구간을 제1 시구간 보다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간 조절 회로(310)는, 릴레이(100)의 온(On) 구동 시 비교적 긴 제1 시구간 동안 릴레이 코일(120)로 고전류를 공급하여 릴레이 스위치(110)의 접점 접속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그리고, 릴레이(100)의 오프(Off) 구동 시 제어 신호 공급 후 비교적 짧은 제2 시구간 이후 릴레이 코일(120)의 전류를 차단하여 릴레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및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릴레이
110: 릴레이 스위치
120: 릴레이 코일
200: 제어부
300: 신호 생성기
310: 시간 조절 회로
320: XOR 회로
410: 제1 스위치
420: 제2 스위치

Claims (10)

  1.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릴레이 스위치와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릴레이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릴레이 코일을 포함하는 릴레이;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릴레이 코일에 제1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1 스위치;
    상기 릴레이 코일 및 제1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는 제어 저항;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기;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릴레이 코일에 상기 제1 전류 보다 높은 제2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생성기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제1 또는 제2 시구간 만큼 지연시킨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시간 조절 회로; 및
    상기 제1 및 제3 제어 신호가 서로 다른 레벨이면 하이 레벨의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3 제어 신호가 동일 레벨이면 로우 레벨의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XOR 회로를 포함하는
    릴레이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하이 레벨이면 턴-온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로우 레벨이면 턴-오프되며,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하이 레벨이면 턴-온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로우 레벨이면 턴-오프되는
    릴레이 구동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조절 회로는
    상기 제1 시구간 및 제2 시구간을 조절하는
    릴레이 구동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구간은 상기 제1 시구간 보다 짧은
    릴레이 구동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하이 레벨의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제1 스위치는 턴-온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턴-온된 후 상기 제1 시구간 이후 턴-오프되는
    릴레이 구동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로우 레벨의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제1 스위치는 턴-오프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턴-온되고 상기 제2 시구간 이후 턴-오프되는
    릴레이 구동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가 모두 턴-온되면,
    상기 릴레이 코일에 상기 제2 전류가 공급되는
    릴레이 구동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조절 회로는
    저항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지는 저역통과필터로 동작하는
    릴레이 구동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시구간은
    상기 저항의 저항값 및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에 의해 정해지는
    릴레이 구동 장치.




KR1020210085099A 2021-06-29 2021-06-29 릴레이 구동 장치 KR102613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099A KR102613496B1 (ko) 2021-06-29 2021-06-29 릴레이 구동 장치
EP22833511.3A EP4365923A1 (en) 2021-06-29 2022-06-24 Relay driving device
PCT/KR2022/009000 WO2023277455A1 (ko) 2021-06-29 2022-06-24 릴레이 구동 장치
CN202280045540.4A CN117616536A (zh) 2021-06-29 2022-06-24 继电器驱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099A KR102613496B1 (ko) 2021-06-29 2021-06-29 릴레이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951A KR20230001951A (ko) 2023-01-05
KR102613496B1 true KR102613496B1 (ko) 2023-12-12

Family

ID=84691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099A KR102613496B1 (ko) 2021-06-29 2021-06-29 릴레이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65923A1 (ko)
KR (1) KR102613496B1 (ko)
CN (1) CN117616536A (ko)
WO (1) WO202327745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635B1 (ko) * 2019-08-26 2020-09-10 엘에스일렉트릭(주) 코일 구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400B1 (ko) * 2015-05-27 2019-04-09 자동차부품연구원 저전력 릴레이 구동 장치
KR20200068375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제어 장치
KR102142459B1 (ko) * 2019-02-27 2020-08-10 한국자동차연구원 릴레이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200134976A (ko) * 2019-05-24 2020-12-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 및 이의 릴레이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635B1 (ko) * 2019-08-26 2020-09-10 엘에스일렉트릭(주) 코일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951A (ko) 2023-01-05
EP4365923A1 (en) 2024-05-08
WO2023277455A1 (ko) 2023-01-05
CN117616536A (zh)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1223B2 (ja) パルス幅変調法を用いたソレノイド用駆動コントローラ
US5311548A (en) Digital control electronic having a pulse width modulated (PWM)-output signal for the control of electric control elements of a hydraulic system
JP2666881B2 (ja) エネルギー並びにデータの無線伝送装置および該無線伝送装置用の手段の制御および評価方法
KR960005656A (ko) 전자기 스위치 및 제어 시스템
US72304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udible artifacts in an audio system
CN109120150B (zh) 钳位电感反激电压以降低功耗
US7733073B2 (en) Current regulator with current threshold dependent duty cycle
WO2003003554A8 (en) Current mode controlled switched mode power supply
KR102613496B1 (ko) 릴레이 구동 장치
US9698669B2 (en) Control device for a switching device with separate start-up and holding coils
JP5767941B2 (ja) 誘導性負荷駆動装置
EP2662554A1 (en) Driving circuit for a magnetic valve
DE102011077387A1 (de) Schaltungsanordnung zum Schalten eines Strome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JPS63232065A (ja) 弁装置の駆動方法
US11855554B2 (en) Method of driving an electrical load and corresponding driver circuit
CN110580997A (zh) 电磁阀的脉宽调制控制
KR102052968B1 (ko) Mst 드라이버의 전송효율을 높이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드라이버 장치
EP3848952A1 (en) Relay drive with power supply economizer
KR100779494B1 (ko) 배터리의 역전압 차단장치
JPH10252930A (ja) 電磁弁駆動装置
JP2004296674A (ja) レーザダイオードの駆動回路
KR101394002B1 (ko) 릴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0252917Y1 (ko)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자기 브레이크 제어장치
JP4389272B2 (ja) Yig発振器のコイル電流ドライブ回路および周波数シンセサイザ
WO2016111959A1 (en) Gate drive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